KR101861684B1 - 강화된 연약지반용 어스앵커 구조체 - Google Patents

강화된 연약지반용 어스앵커 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61684B1
KR101861684B1 KR1020150154622A KR20150154622A KR101861684B1 KR 101861684 B1 KR101861684 B1 KR 101861684B1 KR 1020150154622 A KR1020150154622 A KR 1020150154622A KR 20150154622 A KR20150154622 A KR 20150154622A KR 101861684 B1 KR101861684 B1 KR 1018616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arth
retaining wall
tension
hole
earth retai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546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52317A (ko
Inventor
박광호
Original Assignee
박광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광호 filed Critical 박광호
Priority to KR10201501546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61684B1/ko
Publication of KR201700523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523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16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16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02Foundation pits
    • E02D17/04Bordering surfacing or stiffening the sides of foundation pi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06Foundation trenches ditches or narrow shafts
    • E02D17/08Bordering or stiffening the sides of ditches trenches or narrow shafts for found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3/00Improving or preserving soil or rock, e.g. preserving permafrost soil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74Means for anchoring structural elements or bulkheads
    • E02D5/80Ground anchor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74Means for anchoring structural elements or bulkheads
    • E02D5/80Ground anchors
    • E02D5/805Ground anchors with deformable anchoring mem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Soil Sciences (AREA)
  • Piles And Underground Anch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하체의 반전을 이용하여 지지력을 향상시키고, 어스앵커를 엄지말뚝에 설치하여 어스앵커 설치를 위한 띠장의 설치를 생략할 수 있으며, 어스앵커의 지지구조를 이용하여 흙막이 벽체의 지지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강화된 연약지반용 어스앵커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흙막이 벽체에 의해 지지되는 지반의 천공 내에 설치되어 상기 흙막이 벽체를 지지하는 어스앵커 구조체에 있어서, 일단은 상기 흙막이 벽체의 외부에 노출되고 타단은 반전되게 굽혀져 상기 천공 내에 삽입되는 인장선 부재; 상기 인장선 부재의 타단끝에 고정되어 상기 천공 내에 삽입되는 제1내하체; 및 상기 흙막이 벽체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인장선 부재를 인장한 상태에서 상기 인장선 부재의 일단을 상기 흙막이 벽체에 고정하는 헤드블럭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강화된 연약지반용 어스앵커 구조체{REINFORCED EARTH-ANCHOR STRUCTURE FOR WEAKGROUND}
본 발명은 강화된 연약지반용 어스앵커 구조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내하체의 반전을 이용하여 지지력을 향상시키고, 어스앵커를 엄지말뚝에 설치하여 어스앵커 설치를 위한 띠장의 설치를 생략할 수 있으며, 어스앵커의 지지구조를 이용하여 흙막이 벽체의 지지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강화된 연약지반용 어스앵커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최근 건설의 규모가 커짐에 따라 지상으로는 고층화, 지하로는 굴착심도가 깊어지면서 인접 건물과의 근접 시공이 불가피해지고 있다. 특히 도심지 근처에서 진행중인 건설현장에서 이러한 현상이 많이 발생되고 있다. 건축이 고층화되고 지하부의 심도가 깊어짐에 따라 흙막이 벽체인 토류벽체에 작용하는 토압과 수압이 증가하게 된다. 이러한 상황에서 지하 15~20m 정도에서 적용해 오던 재래식 흙막이 공법은 굴착의 깊이가 이 이상 깊어질 경우 굴착부의 저면에 발생하는 토압과 수압을 제대로 저항하지 못해 공사 중 노무자들의 안전에 대한 문제를 야기시킬 수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흙막이 벽체인 토류벽체 배면에 지반을 개량하는 공법을 이용하여 벽체에 작용하는 토압과 수압을 경감시킬 수 있으나 그에 따라 막대한 공사비를 증가시키게 되고 지반개량 공법 중 하나인 그라우팅(Grouting) 공법은 천공 깊이가 20m 이상이 될 경우 설계된 깊이 및 위치에 대한 정확한 개량이 어렵다.
이러한 이유로 벽체의 강성이 아주 크며 또한 차수 효과를 충분히 만족시킬 수 있는 지하연속벽(Diaphragm Wall) 공법이 도심지 공사에 많이 채택되고 있으나, 이 공법 역시 별도의 흙막이 벽체 배면에 작용하는 응력에 대하여 어스앵커(Earth Anchor) 또는 별도의 지지 공법을 병행하여야 한다.
어스앵커 공법은, 사면의 붕괴나 슬라이딩을 억제하기 위한 안정공법으로 가장 널리 이용되고 있다. 여기서, 어스앵커라 함은 원지반에 인장재(앵커 구조체)를 설치하여 원지반 강도를 최대한 이용하면서 복합보강지반을 형성함으로써, 지반의 전단 및 인장강도를 증가시켜 변위를 억제시키고 지반의 이완을 방지시키는 공법이다.
즉, 어스앵커 공법의 기본 설계개념은 어스앵커의 구조체에 의해 보강된 영역의 토괴가 마치 일체화된 옹벽과 같은 작용을 한다는 것에 의해 보강토 벽체가 가정할 수 있는 어떠한 경사면에 대해서도 안정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어스앵커는 근래에 들어 도로의 사면보강, 철도, 댐, 터널 갱구부 등의 암반보강 등 그 적용대상이 한층 넓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이러한 어스앵커는 토반에 유용하게 고안된 앵커를 암반에 접목시킨 것인데, 각종 사면의 암반구조는 토반과 달라 절리가 많은 암반, 공동층이 많은 암반, 단층의 영향을 받아 열변질화되어 취약한 암반, 발파의 영향으로 불연속면이 발달되어 모암과 분리된 암반 등 많은 사면 구조가 불안정하여 기존의 와이어를 이용한 어스앵커만으로 암반사면을 보강시키는 것은 상당한 문제점이 있다.
기존의 와이어를 이용한 어스앵커 구조체는 천공홀에 다수의 와이어가 연결된 어스앵커를 삽입한 후 당겨 어스앵커가 지반 또는 암반에 걸리도록 한 후 와이어를 지압판에 고정시키는 방법으로 사면보강 구조체를 설치하였으나, 시간이 지남에 따라서 천공홀에 고정된 어스앵커가 지반에서 밀리는 현상이 발생되어 와이어의 인장력이 소멸되어 지반의 사면에 슬라이딩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한국공개특허 제10-2009-0131807호(사면 보강용 어스앙카 및 이를 이용한 어스앙카 시공 방법, 2009.12.30. 공개, 이하 '종래기술'이라 칭함)가 개발된 바 있다.
상기 종래기술은, 지반의 침하나 토사의 유실로 안정성이 떨어지는 것을 보강하기 위해 설치되는 사면보강용 어스앙카에 관한 것으로서, 어스앙카의 와이어 고정부를 소일네일 앙카 형태로 이루어진 제1앙카와 제2앙카로 구성하여 지지토록 함으로서 와이어의 견고한 지지력을 갖도록 하여 인장력을 향상시키고 공사 후 많은 시간이 지나더라도 강력한 인장력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며, 제1, 제2 앙카를 헤드가 설치된 케이싱 몸체 상단에 지지돌기를 갖는 다수의 블레이드를 설치하여 천공 홀에 설치시 와이어로 철근봉을 당기는 간단한 동작으로 케이싱 몸체 내의 헤드가 블레이드의 지지돌기 저부를 밀어 블레이드가 펼쳐져 천공 홀의 내벽에 걸려 와이어를 지지하도록 함으로 연결부재와 지압판의 결속 인장력을 강화시켜 지반의 사면을 보호할 수 있도록 한 사면 보강용 어스앙카 및 이를 이용한 어스앙카 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종래기술에서는, 제1앙카와 제2앙카를 구비하여 지지토록 함으로서 와이어가 견고한 지지력을 갖도록 하여 인장력을 향상시키고 공사 후 많은 시간이 지나더라도 강력한 인장력을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런데 이러한 효과를 발휘하기 위해서는 와이어를 당겨 블레이드의 날개몸체가 힌지부를 중심으로 외향으로 벌어지게 해야 하고 이를 위해 제1앙카 및 제2앙카의 구성이 복잡해지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기술에서도, 블레이드에 의해 지지력이 향상되기는 하지만, 앙카 자체가 와이어의 인장력 방향과 동축상으로 배치됨으로서 앙카가 몰타르에 의해 지지되는 정도의 지지력만을 발휘함으로서, 연약지반에서는 지지력이 크게 향상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내하체의 반전을 이용하여 지지력을 향상시키는 강화된 연약지반용 어스앵커 구조체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어스앵커를 엄지말뚝에 설치하여 어스앵커 설치를 위한 띠장의 설치를 생략할 수 있는 강화된 연약지반용 어스앵커 구조체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어스앵커의 지지구조를 이용하여 흙막이 벽체의 지지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강화된 연약지반용 어스앵커 구조체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강화된 연약지반용 어스앵커 구조체에 관한 것으로, 흙막이 벽체에 의해 지지되는 지반의 천공 내에 설치되어 상기 흙막이 벽체를 지지하는 어스앵커 구조체에 있어서, 일단은 상기 흙막이 벽체의 외부에 노출되고 타단은 반전되게 굽혀져 상기 천공 내에 삽입되는 인장선 부재; 상기 인장선 부재의 타단끝에 고정되어 상기 천공 내에 삽입되는 제1내하체; 및 상기 흙막이 벽체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인장선 부재를 인장한 상태에서 상기 인장선 부재의 일단을 상기 흙막이 벽체에 고정하는 헤드블럭부재;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인장선 부재의 타단에는, 상기 인장선 부재가 반전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인장선 부재의 타단을 결속하는 결속부재가 장착된다.
이러한 결속부재는 상기 인장선 부재에 인장력을 가했을 때 파단될 수 있는 강도를 갖거나, 상기 인장선 부재로부터 이탈되는 소재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인장선 부재의 타단에는, 상기 인장선 부재가 반전되지 않은 부분에 설치되는 제2내하체가 더 장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헤드블럭부재는, 상기 흙막이 벽체를 구성하는 인접한 2개의 엄지말뚝에 걸쳐 고정되고 중앙에 상기 인장선 부재를 통과시킬 수 있는 통공이 형성된 고정판넬과, 상기 통공으로 노출된 인장선 부재에 인장력을 가하여 상기 고정판넬에 고정하는 지압판과 캡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는 상기 헤드블럭부재는, 상기 인장선 부재와 제1내하체 간의 경사각에 맞추어 상기 흙막이 벽체를 구성하는 엄지말뚝에 형성된 관통공에 대응하는 통공을 구비하고 상기 엄지말뚝에 설치되는 고정판넬과, 상기 통공으로 노출된 인장선 부재에 인장력을 가하여 상기 고정판넬에 고정하는 지압판과 캡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고정판넬에는 상기 관통공에 삽입되도록 상기 통공 주변에서 연장되는 가결합부재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엄지말뚝에는, 상기 엄지말뚝에 상기 경사각에 맞추어 형성된 2개의 관통공 간을 연결하는 연통관이 장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강화된 연약지반용 어스앵커 구조체에 따르면, 내하체가 반전된 상태로 지중에 매설되어 인장선 부재에 인장력이 가하지면 내하체가 반전되는 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천공을 가압하므로 연약지반에서도 강화된 지지력을 나타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어스앵커를 엄지말뚝에 설치할 수 있는 구조를 개발하여 어스앵커의 설치를 위하여 엄지말뚝에 설치되었던 띠장을 생략할 수 있으므로, 공사비 및 시간을 현저히 단축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흙막이 벽체 시공 후 지하 구조물 구축을 위한 작업 공간을 확장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어스앵커 구조체의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어스앵커 구조체의 작동을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어스앵커 구조체의 변형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변형예에 따른 어스앵커 구조체의 작동을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헤드블럭부재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도 5에 도시된 헤드블럭부재의 분해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헤드블럭부재가 인접한 엄지말뚝에 설치된 형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도 7에 도시된 헤드블럭부재의 분해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헤드블럭부재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10은 도 8에 도시된 헤드블럭부재의 분해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헤드블럭부재가 CIP공법에 적용된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헤드블럭부재의 분해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강화된 연약지반용 어스앵커 구조체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과 함께 더불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어스앵커 구조체의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어스앵커 구조체의 작동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어스앵커 구조체는 흙막이 벽체에 의해 지지되는 지반의 천공(210) 내에 설치되어 상기 흙막이 벽체(200)를 지지하는 것으로서, 크게 인장선 부재(110), 제1내하체(120) 및 헤드블럭부재(130)를 포함한다.
상기 인장선 부재(110)는 그 일단이 흙막이 벽체(200)의 외부에 노출되고 타단이 반전되게 굽혀져 천공(210) 내에 삽입된다. 이때 인장선 부재(110)가 반전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인장선 부재(110)의 타단에는 상기 인장선 부재(110)를 결속하는 결속부재(140)가 장착된다. 또한 상기 결속부재(140)는 상기 인장선 부재(110)에 인장력을 가했을 때 파단될 수 있는 강도를 갖거나 인장선 부재(110)로부터 이탈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결속부재(140)의 예로는, 테이프, 고무줄 등을 들 수 있다.
제1내하체(120)는 상기 인장선 부재(110)의 타단에 고정되어 상기 천공(210) 내에 삽입된다. 이때 상기 인장선 부재(110)의 타단은 반전된 상태이므로, 상기 제1내하체(12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전된 상태로 천공(210) 내에 삽입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통상의 어스앵커 구조체에서와 같이, 상기 인장선 부재(110)가 반전되지 않는 부분에 제2내하체(150)가 추가로 장착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어스앵커 구조체는 제1내하체(120)를 하나만 구비할 수도 있지만,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내하체(150)에 인장선 부재(110)를 통해 2개의 제1내하체(120a, 120b)가 연결될 수도 있다.
헤드블럭부재(130)는 상기 흙막이 벽체(200)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인장선 부재(110)를 인장한 상태에서 상기 인장선 부재(110)의 일단을 상기 흙막이 벽체(200)에 고정한다.
이러한 헤드블럭부재(130)는 어스앵커를 엄지말뚝(220)에 직접 설치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져 어스앵커의 설치를 위하여 엄지말뚝(220)에 설치되었던 띠장을 생략할 수 있게 한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헤드블럭부재(130)는, 제1실시예로서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흙막이 벽체(200)를 구성하는 인접하는 2개의 엄지말뚝(220)에 걸쳐 고정되고 중앙에 상기 인장선 부재(110)를 통과시킬 수 있는 통공(132)이 형성된 고정판넬(131)과, 상기 통공(132)으로 노출된 인장선 부재(110)에 인장력을 가하여 상기 고정판넬(131)에 고정하는 지압판(135) 및 캡(136)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2개의 엄지말뚝(220) 사이로 인장선 부재(110)가 통과하므로 2개의 엄지말뚝(220) 사이에 설치되는 토류판(230)에는 상기 인장선 부재(110)가 통과할 수 있는 통공이 형성된다.
이때 지압판(135)과 캡(136)은 상기 캡의 상단을 기준으로 인장선 부재(110)가 수직방향으로 체결될 수 있도록 경사지게 형성된다.
또한 인접한 엄지말뚝(220)은,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호간 근접하여 설치될 수도 있다. 이 경우에 2개의 엄지말뚝 사이로 인장선 부재가 통과할 수 없으므로, 상기 고정판넬(131)의 통공(132)에 대응되게 상기 엄지말뚝(220)에는 관통공(221)이 형성된다. 이러한 관통공(221)은 상기 인장선 부재(110)와 제1내하체(120) 간의 경사각에 맞추어 형성되므로 엄지말뚝의 전면부와 배면부에 각각 형성된다.
이러한 관통공(221)이 형성될 경우에, 상기 고정판넬(131)에는 상기 전면부에 형성된 관통공(221)에 삽입되도록 상기 통공 주변에서 연장되는 가결합부재(133)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가결합부재(133)는 상기 고정판넬(131)을 상기 엄지말뚝(220)에 용접이나 볼트결합 등의 방식으로 결합하기 이전에 상기 고정판넬을 엄지말뚝에 가결합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관통공(221)에는 연통관(137)이 삽입되어 설치될 수 있는데, 이러한 연통관(137)은 흙막이 벽체 주변의 토사나 지하수의 유입을 차단하여 상기 인장선 부재(110)의 오염이나 부식을 방지하는 기능을 한다.
아울러, 2개의 엄지말뚝에 헤드블럭부재가 설치되는 제1실시예에서는, 2개의 엄지말뚝 간을 결속하기 위한 구속판(223)이 장착될 수 있다. 상기 구속판(223)은 절곡된 일단 및 타단을 구비하여 그 절곡된 부분을 통해 2개의 엄지말뚝이 삽입된다. 이러한 구속판(223)도 상기 엄지말뚝에 용접 또는 볼트결합 등으로 상기 엄지말뚝에 고정될 수 있다.
또는 상기 구속판(223)은 엄지말뚝을 둘러 배치되고 상기 엄지말뚝에 고정될 수도 있다.
상기 헤드블럭부재(130)의 제2실시예로는,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헤드블럭부재(130)가 상기 인장선 부재(110)와 제1내하체(120) 간의 경사각에 맞추어 상기 흙막이 벽체(200)를 구성하는 엄지말뚝(220)에 형성된 관통공(221)에 대응하는 통공(132)을 구비하고 상기 엄지말뚝(220)에 고정되는 고정판넬(131)과, 상기 통공(132)으로 노출된 인장선 부재(110)에 인장력을 가하여 상기 고정판넬(131)에 고정하는 지압판(135)과 캡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2실시예에서는, 하나의 엄지말뚝(220)에 헤드블럭부재(130)가 장착되는 예로서, 하나의 엄지말뚝(220)에 인장선 부재(110)가 통과될 수 있는 2개의 관통공(221)이 형성되고, 그 관통공(221)은 인장선 부재(110)가 설치되는 경사각에 맞추어 형성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제2실시예에서의 엄지말뚝은, 도시된 바와 같이, H형강보다는 'ㅍ'형 단면을 갖는 형강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2실시예에서는 하나의 엄지말뚝만이 사용되므로 구속판을 장착할 필요가 없고, 그 이외의 구성은 상술한 제1실시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또한 엄지말뚝(220)이 CIP공법에서 다수개의 파일 사이에 삽입되는 H형강(240)인 경우에, 그 H형강(240)에 헤드블럭부재(130)가 장착된다. 이때 H형강(240)은 통상적으로 CIP공법으로 흙막이 벽체(200)를 제작할 때 플랜지(flange)의 일면이 노출되게 배치되지 않고,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웨브(web)면이 노출되도록 배치되며 그 웨브에 관통공(241)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H형강(240)의 대면하는 플랜지(flange)에는 한쌍의 L형강(250)이 장착되고 상기 L형강(250)의 전면에 헤드블럭부재(130)가 장착된다. 이때 상기 헤드블럭부재(130)의 고정판넬(131)의 양단은 한쌍의 L형강(250) 측면으로 노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노출된 고정판넬(131)과 파일 사이의 공간에 지지판넬(139)이 삽입되어 H형강(240) 사이의 파일을 일체화시키면서 어스앵커에 대한 인장력을 흙막이 벽체(200)가 함께 분담하게 된다.
또한 상기 지지판넬(139)의 상단이 절곡되어 그 절곡된 상단을 고정판넬(131) 상단에 지지되어 가고정되고, 그 후에 지지판넬(139)의 고정을 위해 지지판넬(139)과 고정판넬(131) 간에는 용접 또는 볼트결합 등이 수행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강화된 연약지반용 어스앵커 구조체의 설치방법 및 작용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인장선 부재(110)의 일단은 흙막이 벽체(200)의 외부로 노출되어 헤드블럭부재(130)에 의해 엄지말뚝(220)에 장착되고 타단은 반전되게 굽혀져 천공(210) 내에 삽입된다. 이때 상기 반전된 인장선 부재(110)에는 제1내하체(120)가 장착되고, 상기 인장선 부재(110)에서 반전되지 않은 부분에는 제2내하체(150)가 추가로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인장선 부재(110)는 반전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결속부재(140)가 장착되어 있다.
상기 인장선 부재(110)의 일단이 인접한 2개의 엄지말뚝(220) 사이에 걸쳐 고정되는 헤드블럭부재(130)의 통공을 통해 노출된 상태에서 천공(210) 내에 그라우팅을 충진하여 고정단을 형성한다.
이후 상기 인장선 부재(110)를 팽팽하게 인장되도록 하여 지압판(135)에 캡(136)을 씌워 고정한다.
이때 인장선 부재(110)가 인장될 때,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인장선 부재(110)가 외부로 당겨지면서 제1내하체(120)는 반전되는 방향으로 회전하고 상기 인장선 부재(110)에서 반전된 부분은 펴지려는 성질로 인하여 상기 반전된 부분을 결속하고 있던 결속부재(140)에 힘이 가해져 파단되거나 인장선 부재(110)로부터 이탈된다.
제1내하체(120)의 길이는 천공(210)의 직경보다 상대적으로 크기 때문에 제1내하체(120)는 반전되는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천공벽에 의한 저항을 받게 된다. 더구나 제1 및 제2내하체(120, 150)는 충진된 그라우팅에 묻혀서 그 자체로 고정단을 형성하고 있으므로 제1 및 제2내하체(120, 150)의 고정단으로의 내력과 제1내하체(120)의 반전에 따른 내력이 더해져 본 발명에 따른 어스앵커가 견딜 수 있는 토압은 현저히 증가하게 된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제1내하체(120a,120b)가 장착되는 경우에는, 인장선 부재(110)가 당겨지면 각 제1내하체(120a,120b)가 회동하면서 반전되려 한다. 이때 각 제1내하체(120a,120b)는 대략 반대방향으로 회동하므로, 각 제1내하체(120a,120b)의 반전에 따른 내력에 서로 반대방향으로 천공벽에 의한 저항이 더해져 마치 갈고리 형태로 흙막이 벽체(200)를 지지하게 된다.
아울러, 인장선 부재(110)를 파지하고 있는 지압판(135)과 캡(136)은 헤드블럭부재(130)의 고정판넬(131)에 고정되고, 상기 고정판넬(131)은 엄지말뚝이나 2개의 인접한 엄지말뚝 사이에 걸쳐 장착되므로, 헤드블럭부재(130)를 설치하기 위하여 엄지말뚝(220)에 별도의 띠장을 설치할 필요가 없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띠장의 설치가 생략되는 장점이 있지만, 엄지말뚝 간의 결합으로 흙막이 벽체의 내력을 증대시키기 위하여 엄지말뚝 상단에 캡띠장(미도시)을 씌워 엄지말뚝 간을 상호 연결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권리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100 : 어스앵커 구조체
110 : 인장선 부재 120 : 제1내하체
130 : 헤드블럭부재 131 : 고정판넬
132 : 통공 133 : 가결합부재
135 : 지압판 136 : 캡
137 : 연통관 139 : 지지판넬
140 : 결속부재 150 : 제2내하체
200 : 흙막이 벽체
210 : 천공 220 : 엄지말뚝 221 : 관통공
230 : 토류판 240 : H형강 241 : 관통공
250 : L형강

Claims (7)

  1. 흙막이 벽체(200)에 의해 지지되는 지반의 천공(210) 내에 설치되어 상기 흙막이 벽체(200)를 지지하는 어스앵커 구조체에 있어서,
    일단은 상기 흙막이 벽체(200)의 외부에 노출되고 타단은 반전되게 굽혀져 상기 천공(210) 내에 삽입되는 인장선 부재(110);
    상기 인장선 부재(110)의 타단끝에 고정되어 상기 천공(210) 내에 삽입되고 상기 천공(210)의 직경보다 상대적으로 큰 길이를 갖는 제1내하체(120);
    상기 인장선 부재(110)의 타단에 장착되어 상기 인장선 부재(110)가 반전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인장선 부재(110)의 타단을 결속하는 결속부재(140); 및
    상기 흙막이 벽체(200)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인장선 부재(110)를 인장한 상태에서 상기 인장선 부재(110)의 일단을 상기 흙막이 벽체(200)에 고정하는 헤드블럭부재(130);를 포함하고,
    상기 결속부재(140)는 상기 인장선 부재(110)에 인장력을 가하여 상기 반전된 제1내하체(120)가 상기 인장선 부재(110)에 이끌려 회동하면서 상기 결속부재(140)가 결속하고 있는 상기 인장선 부재(110)의 반전된 부분이 펴지려 할 때 파단될 수 있는 강도를 갖거나, 상기 인장선 부재(110)로부터 이탈되는 소재로 제작되며,
    상기 천공에 그라우팅을 충진한 상태에서 상기 인장선 부재(110)에 인장력이 가해지면 상기 반전되어 있는 제1내하체(120)가 회동되면서 상기 결속부재(140)에 의한 상기 인장선 부재(110)의 결속이 해제됨과 아울러 상기 제1내하체(120)가 천공(210)을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화된 연약지반용 어스앵커 구조체.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장선 부재(110)에는, 상기 인장선 부재(110)가 반전되지 않은 부분에 제2내하체(150)가 더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화된 연약지반용 어스앵커 구조체.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블럭부재(130)는, 상기 흙막이 벽체(200)를 구성하는 인접한 2개의 엄지말뚝(220)에 걸쳐 고정되고 중앙에 상기 인장선 부재(110)를 통과시킬 수 있는 통공(132)이 형성된 고정판넬(131)과, 상기 통공으로 노출된 인장선 부재(110)에 인장력을 가하여 상기 고정판넬(131)에 고정하는 지압판(135)과 캡(136)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화된 연약지반용 어스앵커 구조체.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블럭부재(130)는, 상기 인장선 부재(110)와 제1내하체(120) 간의 경사각에 맞추어 상기 흙막이 벽체(200)를 구성하는 엄지말뚝(220)에 형성된 관통공(221)에 대응하는 통공(132)을 구비하고 상기 엄지말뚝(220)에 설치되는 고정판넬(131)과, 상기 통공(132)으로 노출된 인장선 부재(110)에 인장력을 가하여 상기 고정판넬(131)에 고정하는 지압판(135)과 캡(136)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화된 연약지반용 어스앵커 구조체.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판넬(131)에는 상기 관통공(221)에 삽입되도록 상기 통공 주변에서 연장되는 가결합부재(133)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화된 연약지반용 어스앵커 구조체.
KR1020150154622A 2015-11-04 2015-11-04 강화된 연약지반용 어스앵커 구조체 KR1018616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4622A KR101861684B1 (ko) 2015-11-04 2015-11-04 강화된 연약지반용 어스앵커 구조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4622A KR101861684B1 (ko) 2015-11-04 2015-11-04 강화된 연약지반용 어스앵커 구조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2317A KR20170052317A (ko) 2017-05-12
KR101861684B1 true KR101861684B1 (ko) 2018-05-28

Family

ID=587403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54622A KR101861684B1 (ko) 2015-11-04 2015-11-04 강화된 연약지반용 어스앵커 구조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6168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577327B (zh) * 2019-01-24 2024-03-26 安徽理工大学 一种可注浆抗拔预应力锚杆装置
CN109881681A (zh) * 2019-03-13 2019-06-14 中国十七冶集团有限公司 一种复杂环境下深基坑联合支护的施工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3335Y1 (ko) * 2002-04-20 2002-07-26 주식회사 삼우기초기술 그라운드 앵커용 내하체
KR100895770B1 (ko) * 2007-06-21 2009-05-06 신세영 지반붕괴방지보강조립체용 내하체겸 전단보강조립체 및 이에 의한 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3335Y1 (ko) * 2002-04-20 2002-07-26 주식회사 삼우기초기술 그라운드 앵커용 내하체
KR100895770B1 (ko) * 2007-06-21 2009-05-06 신세영 지반붕괴방지보강조립체용 내하체겸 전단보강조립체 및 이에 의한 시공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2317A (ko) 2017-05-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13569B1 (ko) 흙막이벽용 피에이치씨 파일
KR100917044B1 (ko) 앵커 일체형 이중 벽체 콘크리트 옹벽 시공방법
KR100904857B1 (ko) 강관과 세그먼트를 이용한 지하구조물 축조방법
KR100986548B1 (ko) 사면 보강용 어스앙카 및 이를 이용한 어스앙카 시공 방법
KR101149895B1 (ko) 터널 필라부 보강블록
KR102412155B1 (ko) 전단키 및 고장력 볼트를 이용한 케이슨의 결합구조
KR101065017B1 (ko) 아치형 강판파일과 h-파일을 이용한 흙막이공법
JP2007205161A (ja) 擁壁及びその施工方法
KR101861684B1 (ko) 강화된 연약지반용 어스앵커 구조체
KR101386275B1 (ko) 가설 흙막이 구조물 및 그 설치방법
KR100710867B1 (ko) 수평배수공 역할을 겸한 상향식 지반보강공법 및 그 구조
KR101078080B1 (ko) 지지말뚝과 지반보강을 이용한 흙막이벽체 및 그 시공방법
KR200381571Y1 (ko) 수평배수공 역할을 겸한 상향식 지반보강구조
KR101913493B1 (ko) 주열식 말뚝을 이용한 자립공법
KR101284514B1 (ko) 에이치형강의 플랜지 좌굴 방지를 위한 스티프너
JP5777435B2 (ja) 小規模建築物用基礎の補強工法
KR100984040B1 (ko) 이중 보강 공법을 통한 절토용 보강토 옹벽 시공 방법
KR102560550B1 (ko) 엄지말뚝 시공용 강재 조립 파일
KR101126338B1 (ko) 파형강판을 활용한 벽체
KR101065619B1 (ko) 인접한 터널 사이에 록볼트를 대신하여 타이로드를 설치하는 방법
EP2848739A1 (en) Steel wall
KR101757975B1 (ko) 사면을 압착하기 위한 수압판측에 정착체가 구비된 앵커 및 그 시공 방법
KR100657656B1 (ko) 지반안정공법용 파일 및 그 제조방법
KR102119948B1 (ko) 커넥터 조립체 및, 파일벽 구조체
JP2011157719A (ja) 山留め工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