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72262B1 - 파이프 클립 - Google Patents

파이프 클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72262B1
KR100672262B1 KR1020057004448A KR20057004448A KR100672262B1 KR 100672262 B1 KR100672262 B1 KR 100672262B1 KR 1020057004448 A KR1020057004448 A KR 1020057004448A KR 20057004448 A KR20057004448 A KR 20057004448A KR 100672262 B1 KR100672262 B1 KR 1006722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pipe clip
clip
clips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044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57341A (ko
Inventor
랄프 클레브
로거 휘피
Original Assignee
페엠아 아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페엠아 아게 filed Critical 페엠아 아게
Publication of KR200500573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573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722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722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F16L3/22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a number of parallel pipes at interva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F16L3/08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 F16L3/1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divided, i.e. with two or more members engag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 F16L3/1075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divided, i.e. with two or more members engag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with two members, the two members being joined with a hinge on one side and fastened together on the other sid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F16L3/08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 F16L3/1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divided, i.e. with two or more members engag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amps And Clips (AREA)
  • Supports For Pipes And Cables (AREA)
  • Mutual Connection Of Rods And Tubes (AREA)
  • Gripping Jigs, Holding Jigs, And Positioning Jigs (AREA)
  • Wire Bonding (AREA)
  • Quick-Acting Or Multi-Walled Pipe Joints (AREA)
  • Flanged Joints, Insulating Joints, And Other Joint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 클립은 경첩(4)을 통해 선회 가능하게 서로 연결된 상부(1) 및 하부(2)를 포함한다. 폐쇄를 위해 고정 부재(15, 16)가 제공된다. 상기 파이프 클립은 하부 지지면(7) 및 상부 지지면(6)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면들은 적어도 2개의 파이프 클립의 위·아래 적층을 가능하게 한다. 지지 부재(10)에 대한 예비 조립 및 고정을 위해 하부(2)에는 보어(8)가 제공되고, 나사의 형태로 된 고정 부재(9)가 제공된다.

Description

파이프 클립 {PIPE CLIP}
본 발명은 파이프용 관통 개구를 둘러싸는 상부 및 하부를 포함하며, 상기 2개의 부분이 한 면에서는 경첩(hinge)을 통해 서로 연결되고, 다른 면에는 해체 가능한 고정 부재를 구비하는 파이프 클립에 관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유형의 파이프 클립은 예를 들어 EP A1 602 456호에 공지되어 있다. 상기 간행물에 기술된 파이프 클립은 각각 하나의 반원형 하부 및 상부로 구성되고, 상기 하부 및 상부는 삽입 경첩을 통해 선회 가능하게 서로 연결된다. 상기 파이프 클립의 2개 부분의 경첩에 마주 놓인 면에는 걸쇠가 배치되어 있으며, 파이프 클립의 2개 부분을 상호 고정시키기 위해서 상기 걸쇠의 한편에는 너트가 배치되고, 다른 한편에는 나사가 배치된다. 또한 파이프 클립은 한 부분에 나선형 너트를 구비하며, 상기 너트에 의해서 파이프 클립이 나선형 스템(stem)에 고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유형의 파이프 클립은 개별 파이프를 고정시키기에 적합하다. 그러나 다수의 평면에서 위·아래로 배치된 파이프들은 고정될 수 없다. 또한 나사 결합을 통한 파이프 클립의 폐쇄도 번거로우며, 접근이 어려운 장소에서는 상기와 같은 폐쇄가 어려움이 있다. 그러나 특히 자동차 제조 분야에서는 다수의 파이프를 나란히 고정시킬 필요가 종종 있으며, 추가적으로는 다수의 파이프가 다수의 층으로 위·아래로 배치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파이프 그룹의 고정은 실제로는 복잡한 추가 장치들에 의해서만 가능하기 때문에 상당한 비용을 필요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특히 자동차 제조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지지 레일과 같은 지지 부재에 간단히 예비 고정시킬 수 있는 파이프 클립을 제조하는 것이다. 또한 파이프 클립이 적층 가능하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다수의 파이프 층이 위·아래로 배치될 수 있는 동시에, 파이프 클립은 간단히 폐쇄될 수 있고, 가벼운 부하뿐만 아니라 무거운 부하에 대해서도 적합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은 청구항 1에 규정된 특징에 의해서 달성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개선예들은 종속항에서 규정된다.
상부 및 하부에는 지지면이 각각 하나씩 배치되며, 이 경우 상기 지지면들은 외부로 향하고,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으며, 하부를 지지 부재에 간단히 고정시킬 수 있고, 본 발명에 따른 유형의 2개 이상의 파이프 클립의 확실한 적층을 가능케 한다. 파이프 클립의 하부에는 보어가 설치되고, 상기 보어는 파이프용 관통 개구로부터 출발하여 하부의 지지면을 통과한다. 상기 관통 개구 내부로 고정 부재, 예컨대 나사가 삽입될 수 있음으로써, 파이프 클립의 하부는 지지 부재에, 예컨대 지지 레일 내부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배치된 너트에 고정될 수 있다. 그럼으로써 하부 및 파이프 클립이 간단한 방식으로 예비 조립될 수 있다. 파이프 클립의 2개 부분의 해체 가능한 고정 부재에 추가하여, 상기 파이프 클립의 측면 영역에는 관통 보어가 배치되고, 상기 관통 보어는 추가의 연결 부재를 수용하기 위해서 이용된다. 상기 연결 부재는 지지 부재에 대한 파이프 클립의 추가 고정을 가능하게 하고, 추가적으로는 상기 파이프 클립의 2개 부분의 상호 고정을 보강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작업들은 예를 들어 상기 관통 보어를 통과하여 지지 부재 내에서 너트와 연결되는 나사에 의해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은 배열 상태에 의해서는 추가의 파워가 수용될 수 있고, 그렇기 때문에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 클립은 무거운 부하에 대해서도 적합하다. 파이프 클립의 양 측면 영역에 2개의 연결 부재를 추가적으로 수용하기 위한 관통 보어가 배치되면, 무거운 부하도 수용될 수 있다.
파이프 클립의 상부와 하부 사이에 있는 해체 가능한 고정 부재가 스냅(snap)식 연결부로서 형성됨으로써, 파이프가 삽입되자마자 파이프 클립의 폐쇄는 간단히 이루어질 수 있다. 가벼운 부하 내지 중간 크기의 부하를 확실하게 수용할 수 있기 위해, 상기 스냅식 연결부는 파이프 클립의 상부 및 하부를 충분한 크기의 폐쇄력으로 연결시킨다. 이와 같은 경우에는 파이프 클립의 측면 영역에 추가의 연결 부재를 설치할 필요가 전혀 없다. 상기 스냅식 연결부가 용이하게 해체될 수 있음으로써, 파이프 설치의 개조 작업도 용이해진다. 상기 스냅식 연결부는 하부 및 상부에 배치된 탄성 연결 부재 및 파이프 클립의 다른 부분에 배치된 상응하는 억제부(restraining part)로 구성된다. 파이프 클립의 상부 및 하부가 경첩만큼의 선회 동작에 의해서 폐쇄되자마자, 상기 부분들은 후크 형상으로 그리고 탄성적으로 서로 결합된다. 파이프 클립의 하부가 측면부를 구비하고, 상기 측면부가 파이프용 관통 개구의 중심축을 지나 상부의 방향으로 연장됨으로써 추가의 장점이 얻어진다. 그럼으로써, 측면 가이드부가 형성되고, 상기 측면 가이드부는 파이프 클립이 폐쇄될 때까지 삽입된 파이프를 보다 원하는 위치에 잘 고정시킨다. 또한 그럼으로써, 파이프 클립의 상부가 더이상 절반부를 형성하지 않고 오히려 더 작게 구성될 수 있는 가능성이 생긴다. 그럼으로써, 선회를 위해서는 적은 공간이 필요하고, 파이프 클립들은 측면에 서로 직접 충돌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배열 상태에 의해서는 상부와 하부 사이에서 파이프 클립의 최상부 에지에 경첩이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바람직한 구성 방식도 마찬가지로 이웃하는 파이프 클립의 측면 동반 이동을 용이하게 하고, 파이프의 최적의 콤팩트한 배열 상태를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배열 상태의 추가의 장점은, 상부가 다만 파이프용 관통 개구의 둘레의 180°미만의 범위에만 걸친다는 것이다. 이 경우 상부의 단부 영역 및 특히 경첩을 포함하는 단부 영역은 가상의 평면에 의해서 제한되고, 상기 가상 평면은 파이프용 관통 개구의 종축 및 경첩의 축에 의해서 상기 경첩의 2개 부분 사이에 형성된다. 이와 같은 배열 상태에 의해서는, 선회 동작에 의해 상부와 삽입된 파이프 사이에 결착력이 형성되지 않더라도 파이프 클립의 상부가 개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배열 상태는 특히 경첩이 파이프용 관통 개구의 중앙 평면 위에 배치된 경우에 바람직하다.
파이프 클립의 하부 및 상부가 본 발명에 따라 형성됨으로써, 2개 이상의 파이프 클립을 위·아래로 적층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 목적을 위해서는 서로 평행하게 진행하고 외부로 향하는 지지면이 이용된다. 이 경우 위·아래로 적층된 파이프 클립의 고정은 추가의 연결 부재를 통해서 이루어지며, 상기 연결 부재는 적어도 하나의 관통 보어를 통해 파이프 클립의 측면 영역에 삽입된다.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 클립의 이와 같은 조립 가능성에 의해서는, 다층의 파이프들이 간단한 방식으로 확실하고 신속하게 고정될 수 있다. 위·아래로 적층된 파이프 클립이 2개의 연결 부재에 의해서 서로 연결되면, 큰 파워도 수용될 수 있다. 최적화된 파이프 클립의 형성예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 클립이 폐쇄된 상태에서 정방형의 외부 형상을 가지며, 이와 같은 외부 형상은 파이프용 관통 개구가 대략 중앙에서 형성되는 형상이다.
본 발명은 도면과 연관된 실시예를 참조하여 하기에서 자세히 설명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 클립을 폐쇄된 상태에서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2는 도 1에 따른 파이프 클립의 상부면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 클립을 개방된 상태에서 도시한 횡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파이프 클립은 상부(1) 및 하부(2)를 포함한다. 상기 2개의 부분(1, 2)은 폐쇄된 상태에서 특정 위치에 고정되어야 하는 파이프를 위한 관통 개구(3)를 포함한다. 도시된 예에서는 물결 모양 파이프용 파이프 클립이 취급되기 때문에, 상기 파이프 클립의 상부(1) 및 하부(2)는 관통 개구(3) 영역에 리브(23)를 구비하며, 상기 리브는 물결 모양 파이프에 있는 상응하는 홈 내부에 삽입된다. 상부(1) 및 하부(2)는 경첩(4)을 통해 선회 가능하게 서로 연결된다. 상기 파이프 클립의 마주 놓인 면에서는 상부(1) 및 하부(2)가 폐쇄된 상태에서 해체 가능한 고정 부재(5)를 통해 서로 맞물림으로써, 상기 2개의 부분(1, 2)은 폐쇄 위치에 고정된다. 상기 고정 부재(5)는 바람직하게 스냅식 연결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연결부는 한편에는 탄성 연결 부재(15)를 포함하고 다른 한편에는 억제부(16)를 포함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탄성 연결 부재(15)는 하부(2)에 배치되어 후크 형상의 걸쇠(latch)를 포함한다. 상기 억제부(16)는 상부(1)에 배치된 캠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캠은 연결 부재(15)의 탄성 후크와 상호 작용한다. 상기 고정 부재(5)는 상부(1)의 선회에 의해서 및 상기 2개 부재(15, 16)의 압착에 의해서 파이프 클립의 폐쇄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상부(1)가 완전히 폐쇄된 후에는 추가의 고정 부재가 작동되거나 제공될 필요없이 상기 상부가 하부(2)에 대해서 확실하게 지지되고 고정된다. 그럼으로써, 관통 개구(3) 내부에 삽입된 파이프도 원하는 위치에 설치되어 지지된다. 하부(2) 내에는 중앙 보어(8)가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보어는 고정 부재, 예컨대 나사(9)를 수용하기 위해서 이용된다. 파이프 클립이 개방되고 파이프가 전혀 삽입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관통 개구(3)를 통해 상기 보어(8)로의 접근이 가능하다. 따라서 상기 출력 위치에서는 파이프 클립이 상기 보어(8) 내부로 삽입된 고정 부재(9)에 의해서 지지 부재(10) 상에 고정되거나 또는 예비 조립될 수 있다. 지지 부재(10)로서는 하나의 장치 또는 물체의 임의의 구조물이 취급될 수 있거나 또는 미끄럼 너트를 구비한 공지된 지지 레일이 취급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유형의 지지 레일은 예를 들어 자동차 제조 분야에서 사용되고, 파이프 클립을 원하는 위치에 간단히 배치할 수 있게 한다. 상기 파이프 클립 은 2개의 측면 영역(11, 12)에 추가의 관통 보어(13 및 14)를 포함하고, 상기 보어는 파이프 클립과 지지 부재(10) 사이의 추가 연결 부재를 수용하기 위해서 이용된다. 약간의 부하가 가해지는 경우에는, 파이프 클립을 지지 부재 상에 고정시키는 작업은 보어(8) 내부에 삽입되는 고정 부재(9)로써 충분하다. 그 경우에는 상부와 하부(1, 2) 사이의 스냅식 연결부(5)도 발생되는 부하를 수용할 수 있다. 부하가 보다 큰 경우에는 적어도 하나의 관통 보어(13, 14) 내부로 추가의 연결 부재, 예컨대 나사가 삽입될 수 있으며, 상기 나사는 너트 또는 나선형 보어에 의해서 지지 부재(10) 상에 연결된다. 그럼으로써, 훨씬 더 높은 파워를 수용할 수 있는 연결이 파이프 클립과 지지 부재(10)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그와 동시에 파이프 클립의 상부(1) 및 하부(2)도 함께 결합되어 높은 파워를 수용할 수 있는 연결이 만들어진다. 예를 들어 철도 차량에서와 같이 특히 무거운 부하가 가해지는 경우에는 각각 하나의 나사마다 2개의 관통 보어(13, 14)가 사용된다.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의 도 1에 따른 파이프 클립의 상부면에 대한 평면도는 2개 관통 보어(13, 14)의 배열 상태 및 2개의 파이프 클립 부분(1, 2)이 경첩(4) 영역에서 서로 결합되어 있는 상태도 보여준다. 예로 도시된 상기 파이프 클립은 폐쇄된 상태에서 정방형의 외부 형상을 갖는다. 이 경우에는 상부(1)뿐만 아니라 하부(2)도 외부로 향하는 지지면(6 또는 7)을 각각 하나씩 구비한다. 상기 2개의 지지면(6, 7)은 서로 평행하게 진행하고, 평탄한 조립면을 형성한다. 그럼으로써 2개 이상의 파이프 클립은 서로 위·아래로 세팅될 수 있다. 즉, 고정된 파이프의 적층이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파이프 클립의 고정은 긴 나사를 통해서 이루어지며, 상기 나사는 관통 보어(13, 14)를 통해 삽입되어 지지 부재(10)와 연결된다. 이와 같은 실시예는 서로 위·아래로 배치된 파이프 클립의 적층을 매우 간단한 방식으로 가능하게 하며, 이 경우에는 파이프 클립들 사이에 추가의 지지 부재 또는 연결 부재가 필요치 않다. 파이프 클립의 하부의 측면부(17, 18)는 관통 개구(3)의 중심축(19)을 지나 상부(1)의 방향으로 연장된다. 이와 같은 실시예에 의해서, 관통 개구(3) 내에 삽입된 파이프는 상부(1)가 폐쇄될 때까지 보다 잘 가이드 될 수 있다는 추가의 장점이 얻어진다.
4가지 적용예에서는 파이프 클립에 의해 고정되어야 하는 다수의 파이프가 나란히 진행하기 때문에, 상기 파이프들을 가급적 가깝게 나란히 배치하고자 하는 바램이 생긴다. 이와 같은 배열 상태는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 클립에서는, 경첩(4)이 상기 파이프 클립의 에지에 배치되고, 상기 에지에서 하부(2)의 연장된 측면부(18)와 상부(1)의 지지면(7)이 서로 충돌하는 경우에 가능하다. 이와 같은 배열 상태로 인해, 상부(1)는 선회 동작시 파이프 클립 옆에 있는 측면 영역에 동작을 위한 추가의 공간을 전혀 필요치 않는다. 이와 같은 사실은, 이웃하는 파이프 클립들이 측면 대 측면으로 서로 인접할 수 있다는 장점을 제공한다. 경첩(4) 만큼의 상부(1)의 선회 동작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상부(1)의 내부 영역은 상기 영역이 관통 개구(3)의 둘레의 180°미만의 범위에만 걸쳐 있도록 형성된다. 도시된 예에서 상기 내부 영역(24)은 다만 약 140°의 각도 범위에만 걸쳐 있으며, 이 경우 상기 각도 범위는 한편으로는 관통 개구(3)의 중심축(10)에 의해서 그리고 다른 한편으로는 가상 평면(21)에 의해서 제한된다. 상기 가상 평면(21)은 관통 개구 (3)의 중앙 종축 및 경첩(4)의 축(22)에 의해서 형성된다. 상기 가상 평면(21)은 상부(1)의 단부 영역(20)을 제한한다. 중심축(19)과 관련한 경첩(4)의 구조적인 형상 및 배열 상태에 따라, 상부(1)의 내부 영역(24)이 걸쳐지는 각도 범위가 변동된다.
예로서 기술된 파이프 클립의 도 3에 도시된 횡단면도로부터는, 파이프 클립 또는 하부(2)가 지지 부재(10)에 고정된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지지 부재(10)로서는 예를 들어 하우징 벽이 취급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지지 부재(10)는 나선형 보어(26)를 구비하며, 상기 보어 내부에는 보어(8)를 통해 삽입되는 나사(9)가 결합된다. 지지 부재(10) 내부에서 나선형 보어(26)의 양 측면에는 2개의 추가 나선형 보어(27, 28)가 배치된다. 상기 나선형 보어들은 관통 보어(13 및 14) 내부에 결합되는 나사를 수용하기 위해서 이용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1)가 경첩(4)을 중심으로 선회 가능함으로써, 파이프 클립의 2개의 부분(1, 2)이 개방되어 도시된 실시예에 따라 물결 모양 파이프가 관통 개구(3) 내부로 삽입될 수 있다. 그 다음에 상부(1)가 선회 동작에 의해서 폐쇄되고, 하부(2)로의 누름 동작에 의해서 스냅식 연결부(5)가 작용하게 된다. 이 때 상부(1)에 있는 억제부(16)가 하부(2)에 있는 탄성 연결 부재(15)의 후크에 로킹됨으로써, 2개 부분(1, 2) 사이에는 형상 결합 및 강제 결합 방식의 연결이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유형의 파이프 클립은 플라스틱 기술에 의해서 용이하고 저렴하게 제조될 수 있다. 파이프 클립 자체의 조립 및 파이프의 삽입도 매우 간단하고, 다만 적은 시간적 비용만을 필요로 한다. 또한 매우 적은 개수의 부분들만이 필요한데, 그 이유는 파이프 클립이 본 발명에 따라 종래의 수단에 의해서 예비 조립될 수 있고 고정 나사의 개수의 선택에 의해서 전체 영역이 가벼운 부하 및 무거운 부하에 대해서 커버될 수 있도록 형성되었기 때문이다. 파이프 클립이 위·아래로 적층될 수 있고 그에 따라 추가의 수단 없이도 파이프의 중첩 배치 상태가 고정될 수 있음으로써, 상당한 시간적 및 비용적 장점들이 나타난다.

Claims (7)

  1. 파이프용 관통 개구(3)를 둘러싸는 상부(1) 및 하부(2)를 포함하며, 상기 2개의 부분(1, 2)이 한 면에서는 경첩(4)을 통해 서로 연결되고, 다른 면에는 해체 가능한 고정 부재(5)를 구비하는 파이프 클립에 있어서,
    상기 상부(1) 및 하부(2)가 외부로 향하고 서로 평행하게 배치된 지지면(6, 7)을 각각 하나씩 포함하며, 상기 하부면(2)에는 관통 개구(3)로부터 접근이 가능한 보어(8)가 설치되고, 상기 보어는 파이프 클립(1, 2)과 지지 부재(10) 사이의 고정 부재(9)를 수용하도록 규정되어 있으며, 상기 파이프 클립의 적어도 한 측면 영역(11, 12)에는 상기 파이프 클립(1, 2)과 지지 부재(10) 사이의 추가 연결 부재를 수용하기 위한 관통 개구(13, 14)가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클립.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해체 가능한 고정 부재(5)가 파이프 클립의 2개 부분(1, 2)의 한 면에서는 스냅식 연결부이며, 상기 하부(2) 또는 상부(1)에는 탄성 연결 부재(15)가 배치되고, 파이프 클립의 다른 부분에는 상응하는 억제부(16)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클립.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2)가 상기 파이프용 관통 개구(3)의 중심축(19)을 지나 상부(1)의 방향으로 연장되는 측면부(17, 18)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클립.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1)는 다만 상기 파이프용 관통 개구(3)의 둘레의 180°미만의 범위에만 걸쳐 있으며, 경첩(4)을 포함하는 상부(1)의 단부 영역(20)은 대략 가상의 평면(21)에 의해서 제한되고, 상기 가상의 평면은 상기 파이프용 관통 개구(3)의 종축 및 상기 경첩(4)의 축(22)에 의해서 파이프 클립의 2개 부분(1, 2) 사이에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클립.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 클립의 2개의 측면 영역(11, 12)이 각각 하나의 추가 연결 부재를 위한 관통 개구(13, 14)를 각각 하나씩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클립.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다수의 파이프 클립이 위·아래로 적층될 수 있고, 이 때 각각 2개의 파이프 클립 사이에서는 외부로 향하는 지지면(6, 7)이 서로 인접하며, 상기 파이프 클립이 관통 보어(13, 14)를 통해 파이프 클립의 측면 영역(11, 12)에 삽입된 적어도 하나의 연결 부재에 의해서 서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클립.
  7.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 클립이 폐쇄된 상태에서는 정방형의 외부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클립.
KR1020057004448A 2002-09-25 2003-08-28 파이프 클립 KR10067226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H16132002 2002-09-25
CH1613/02 2002-09-2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57341A KR20050057341A (ko) 2005-06-16
KR100672262B1 true KR100672262B1 (ko) 2007-01-24

Family

ID=320347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04448A KR100672262B1 (ko) 2002-09-25 2003-08-28 파이프 클립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20060006292A1 (ko)
EP (1) EP1543264B1 (ko)
JP (1) JP2006500530A (ko)
KR (1) KR100672262B1 (ko)
CN (1) CN1695023A (ko)
AT (1) ATE389843T1 (ko)
AU (1) AU2003254687A1 (ko)
DE (2) DE50309426D1 (ko)
ES (1) ES2242554T3 (ko)
WO (1) WO200402949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150439B2 (en) * 2004-10-15 2006-12-19 Donald Ross Konold Configurable clamp assembly
DE102005025360B4 (de) * 2005-05-31 2008-01-24 Flexa Gmbh & Co. Produktion Und Vertrieb Kg Halter für Schläuche oder Rohre
US7456361B2 (en) * 2005-06-09 2008-11-25 Hill Douglas C Clip for flexible armored cable
US7608782B2 (en) * 2005-06-09 2009-10-27 Hill Douglas C Clip
CN100344262C (zh) * 2006-03-29 2007-10-24 中国人民解放军第三军医大学第一附属医院 尿管固定牵引器
DE102006039579A1 (de) * 2006-08-23 2008-03-13 Gottlieb Binder Gmbh & Co. Kg Festlegesystem und dafür verwendbares Befestigungselement
DE102008008334B4 (de) * 2008-02-08 2015-05-28 Hydac Accessories Gmbh Schelle zur Fixierung strangförmiger Bauteile
JP5610431B2 (ja) * 2009-10-26 2014-10-22 株式会社ニフコ 軸支構造、クリップ、および軸支構造の金型
DE102009053725B4 (de) * 2009-11-18 2013-05-29 Centa-Antriebe Kirschey Gmbh Kupplung mit einem ringförmigen Kupplungskörper
KR101737900B1 (ko) * 2010-05-17 2017-05-19 볼보 컨스트럭션 이큅먼트 에이비 건설기계용 유압배관 고정장치
CN102031992B (zh) * 2010-12-31 2013-03-06 蒋世银 井下工作面高压软管管夹
DE102011077346A1 (de) 2011-06-10 2012-12-13 Putzmeister Engineering Gmbh Schalenkupplung und deren Verwendung
CN103133782A (zh) * 2011-11-24 2013-06-05 中国航空工业集团公司沈阳发动机设计研究所 一种折页式三联卡箍结构
US20130214101A1 (en) * 2012-02-16 2013-08-22 Kevin M. Daniel Attachable gathering bracket for retaining any number of hoses, such as associated with an injection molding operation
DE202012013705U1 (de) 2012-03-12 2019-11-07 Murrplastik Systemtechnik Gmbh Systemhalter
DE102012004693B4 (de) 2012-03-12 2020-07-16 Murrplastik Systemtechnik Gmbh Systemhalter
DE102012017899B4 (de) 2012-09-11 2021-08-12 Murrplastik Systemtechnik Gmbh Halter für einen langgestreckten Gegenstand
CN103414129A (zh) * 2013-07-15 2013-11-27 苏州新达电扶梯部件有限公司 一种缆线固定扣
CN103419152B (zh) * 2013-08-30 2015-05-20 钦州学院 管件夹紧装置
US20150191301A1 (en) * 2014-01-03 2015-07-09 I-Sin Peng Bucket
KR101598100B1 (ko) * 2014-01-27 2016-02-29 이태하 배관 고정장치
GB201419533D0 (en) * 2014-11-03 2014-12-17 Bytec Healthcare Ltd Battery system for a mobile workstation
CN105042194A (zh) * 2015-07-03 2015-11-11 何鹏 一种山体引流管道固定座
US20170063064A1 (en) 2015-08-24 2017-03-02 William Gary Gintz Releasable holder for cables and conduit
US20190267785A1 (en) 2015-08-24 2019-08-29 Sticnstac, LLC Releasable holder for cables and conduit
CN106481885B (zh) * 2016-12-20 2019-08-02 上海华林工业气体有限公司 一种液态气体输送用低温金属软管固定装置
EP3610184A4 (en) * 2017-04-13 2020-12-23 Hunting Titan, Inc. FIXING COLLAR FOR DRILL CABLE LUBRICATOR
CN109420890B (zh) * 2017-08-25 2021-04-23 系统科技公司 化学品自动供给装置的软管与接头组装装置
NL2022434B1 (en) * 2019-01-22 2020-08-18 Coxgeelen B V A pipe clip for attaching a pipe or a similar object to a support
US11125356B2 (en) * 2019-06-05 2021-09-21 Unirac Inc. Conduit mount bracket
US11662041B2 (en) 2019-07-29 2023-05-30 Erico International Corporation Support clip
CN110469719B (zh) * 2019-08-08 2021-04-06 泰州市恒安固管件有限公司 一种可自锁的万向调节污水管道用固定装置
CN111677939B (zh) * 2020-06-24 2022-03-18 珠海格力机电工程有限公司 自紧式管夹及应用其的空调器
FR3120417A1 (fr) 2021-03-02 2022-09-09 APR product Ecarteur et clip de positionnement pour la réalisation d'une canalisation enterrée dans une tranchée.
CN113607130A (zh) * 2021-09-30 2021-11-05 四川省公路规划勘察设计研究院有限公司 危岩体变形监测装置及崩落影响范围确定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694474A (en) * 1927-06-20 1928-12-11 Abraham A Lainer Holding and clamping device
US3216683A (en) * 1964-03-10 1965-11-09 Donald A Girard Tube clamps for multiple tube layers
FR95704E (fr) * 1967-09-12 1971-04-26 Liber Jean Amélioration des dispositifs de fixation sans vis.
US4172578A (en) * 1978-03-16 1979-10-30 Indian Head Inc. Device for clamping conduit
DE3126488C2 (de) * 1981-07-04 1983-04-21 Fa. A. Raymond, 7850 Lörrach Rohrschelle
US5044583A (en) * 1988-06-27 1991-09-03 Creative Systems Einginnering, Inc. Conduit bracket lock system with flexible hinge
US5390876A (en) * 1993-11-19 1995-02-21 Sumitomo Denso Kabushiki Kaisha Holder for fixing wiring harness and the like to automobile body
NO305334B1 (no) * 1996-04-01 1999-05-10 Eilif Elvegaard Klammeranordning for fastspenning av r°r e.l.
USD414404S (en) * 1997-12-16 1999-09-28 Van de lande B.V. Fastener for pipes and tubes
US6378813B1 (en) * 1999-06-10 2002-04-30 Arlington Industries, Inc. Cable support
EP1209397A1 (de) * 2000-11-23 2002-05-29 Adam Gerich Haltevorrichtung für schlauchförmige Elemente
JP3935357B2 (ja) * 2001-02-05 2007-06-20 サーパス工業株式会社 超音波流量計
US6809257B2 (en) * 2001-06-22 2004-10-26 Newfrey Llc Capped clip for pipe, electric cable or the like
US6561471B1 (en) * 2001-08-15 2003-05-13 Hawie Robert L Rod holder and bracket therefor
JP3940308B2 (ja) * 2002-03-27 2007-07-04 矢崎総業株式会社 ハーネス固定具
USD483241S1 (en) * 2002-05-06 2003-12-09 Data Machine, Inc. Toolholder tightening fixture
DE102004026813A1 (de) 2004-06-02 2005-12-29 Kuka Roboter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Steuern von Handhabungsgerät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695023A (zh) 2005-11-09
EP1543264A1 (de) 2005-06-22
US20060006292A1 (en) 2006-01-12
DE50309426D1 (de) 2008-04-30
ATE389843T1 (de) 2008-04-15
KR20050057341A (ko) 2005-06-16
DE20380318U1 (de) 2005-07-21
ES2242554T3 (es) 2008-07-01
AU2003254687A1 (en) 2004-04-19
WO2004029492A1 (de) 2004-04-08
EP1543264B1 (de) 2008-03-19
JP2006500530A (ja) 2006-01-05
ES2242554T1 (es) 2005-1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72262B1 (ko) 파이프 클립
CA2333249C (en) Lay-in wireway
CA2496961C (en) Bracket and bridging member for metal stud wall
JP7489182B2 (ja) イージーロックp字型クランプ
US20030016931A1 (en) Cable trough cover
US6962470B2 (en) Rod clip
EP0920083B1 (en) Electrical connection unit with a junction block or main box having an extended side wall
US6837009B1 (en) Brace for restricting relative movement between a rod and building structure
US20020088188A1 (en) Modular partition
JP2010502328A (ja) 引出しの接続デバイス
PL171565B1 (pl) Obejma rurowa PL PL PL
KR20060109341A (ko) 도어 내측 강판 및 캐리어 요소로 이루어진 조립 유닛
US6648431B1 (en) Cabinet hinge attachment system
NL2022398B1 (en) Plastic pipe clip.
JP2588237B2 (ja) フロアパネル開口部の塞ぎ板の取付構造
KR200433347Y1 (ko) 케이블지지 구
KR200147195Y1 (ko) 트럭용 적재함 도어의 체결 구조
KR200144934Y1 (ko) 창문의 프레임 고정장치
CN215220953U (zh) 移相器固定装置以及移相器固定结构
KR20010101787A (ko) 로드 플로어 래치
KR100364278B1 (ko) 회전가능한 차량 시이트의 고정 플레이트
KR200375107Y1 (ko) 옥내 천장 배선용 접속함의 커버
KR200372021Y1 (ko) 단자함
JP2003018721A (ja) 長さ調整用ラックカバー
KR100318725B1 (ko) 스트라이커 고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0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2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3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1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9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26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