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72012B1 - 하수관거 매설물 위치도 표지 설치구조 - Google Patents

하수관거 매설물 위치도 표지 설치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72012B1
KR100672012B1 KR1020060100030A KR20060100030A KR100672012B1 KR 100672012 B1 KR100672012 B1 KR 100672012B1 KR 1020060100030 A KR1020060100030 A KR 1020060100030A KR 20060100030 A KR20060100030 A KR 20060100030A KR 100672012 B1 KR100672012 B1 KR 1006720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
ground
buried
plate
receiving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000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종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삼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삼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삼안
Priority to KR10200601000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7201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720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720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9/00Advertising or display mea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9F19/22Advertising or display means on roads, walls or similar surfaces, e.g. illuminated
    • G09F19/228Ground signs, i.e. display signs fixed on the ground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3/00Labels, tag tickets, or similar identification or indication means; Seals; Postage or like stamps
    • G09F3/02Forms or constructions
    • G09F3/0295Labels or tickets for tubes, pipes and the lik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3/00Labels, tag tickets, or similar identification or indication means; Seals; Postage or like stamps
    • G09F3/08Fastening or securing by means not forming part of the material of the label itself
    • G09F3/18Casings, frames or enclosures for labels
    • G09F3/20Casings, frames or enclosures for labels for adjustable, removable, or interchangeable labels
    • G09F3/205Casings, frames or enclosures for labels for adjustable, removable, or interchangeable labe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cables, pipes or the lik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Marketing (AREA)
  • Sewage (AREA)

Abstract

개시된 본 발명은 연약지반 하수관거 매설물 위치도 표지 설치구조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수용홈을 갖는 표지판 설치구가 단차지게 형성된 침하방지판과, 상기 침하방지판의 표지판 설치구 내측 수용홈에 위치하면서 상기 수용홈 내벽 단부에 그 단부 양측이 힌지 결합되어 이 힌지를 질점으로 회동되며 지중에 매설된 시설물의 위치 및 경로를 표시하는 표지가 착탈식으로 끼워질 수 있는 표지판을 포함하며, 상기 침하방지판 하부 지중에 매설되는 하수도관은 기초 콘크리트 상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기초 콘크리트는 견인바를 통해 지면에 설치되는 상기 침하방지판으로부터 안전하게 견인되는 것을 구성의 요지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지중에 매설된 시설물의 매설 경로를 표시하는 동시에 매설된 시설물을 지면측으로 안전하게 견인하여 지반 부등침하에 의해 상기 지중에 매설된 시설물 예를 들어, 하수관거 등이 이탈되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발현된다.
지중 시설물, 하수관거, 견인, 매설 위치 및 경로 표지판

Description

하수관거 매설물 위치도 표지 설치구조{Sign plate install construction of laying pipe underground}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하수관거 매설물 위치도 표지 설치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인 하수관거 매설물 위치도 표지 설치구조에 따른 시공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하수도관 10...침하방지판
12...표지판 설치구 20...표지판
25...댐퍼 28...표지
30...기초 콘크리트 40...견인바
100...볼팅공 120...수용홈
300...안착홈 310...고리
본 발명은 지중에 매설된 구조물 예컨대, 하수관거의 매설 위치를 알려주기 위한 하수관거 매설물 위치도 표지 설치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연약지반 상에 매설되는 하수관거를 지면으로부터 견인하여 연약지반 부등침하로 인한 하수관거의 이탈 및 파손을 예방하면서 하수관거의 매설현황 예컨대, 매설 깊이 및 경로 등을 알려주어 보수공사 시 굴착오차를 줄일 수 있도록 한 하수관거 매설물 위치도 표지 설치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상, 하수도관이나 케이블 등은 안전 및 미관상의 이유로 지하에 매설되어 있다. 특히, 생활수준 향상으로 인하여 최근 도시 가스관 및 인터넷 등의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각종 통신 케이블도 지하에 매설되고 있다. 이렇게 매설된 각종 관이나 케이블 등의 관리 및 추후에 있을 보수 공사시 관이나 케이블 등이 손상될 수 있으며, 매설물의 정확한 매설위치가 제공되지 않는 한 매설물의 매설 위치를 찾기 위한 굴착작업에만 막대한 예산이 낭비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도로면에 설치되어 매립 시설물의 위치를 알려주기 위한 표지구가 제안된 바 있다. 한국 등록특허 제10-231407호에는 "지하매설물표시용 라인마크"라는 제목으로 안내문자 또는 기호가 표식된 원판 저부에 매설봉을 연장하여 상기 매설봉이 지중에 매설 고정토록 하여 매설된 시설물의 위치를 표시하는 매설물 표지구를 개시하고 있다. 상기 국내 등록특허 제231407호는 원판으로 된 헤드의 결속구에 날개와 공간부가 교호로 형성되고 선단이 첨예부로 된 핀의 매설봉을 고정시켜서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은 보수 공사로 인하여 지반 상에 매설된 시설 물의 경로상에 변화가 있을 경우 표지구 전체를 교체해야 하는 비경제적인 문제가 있다.
한편, 하천유역 또는 강수량이 많은 산간지역 등 지반의 붕괴와 부분적인 침하가 빈번한 곳에 하수관거를 단순 매설할 경우, 지반 부등침하 및 토압에 대한 하수관거의 지지력이 극히 미약하여 하수도관 매설지의 경미한 지반침하로도 하수도관이 쉽게 이탈되거나 파손되어 누수 및 외부 이물질의 유입이 발생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보수 공사로 인해 지중에 매설된 시설물의 경로상에 변화가 있을 경우에 표지판만을 교체할 수 있게 함으로써 표지구 교체에 따른 비용을 경감시킬 수 있는 하수관거 매설물 위치도 표지 설치구조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지중에 매설된 지중 시설물 예를 들어, 하수관거가 지면으로부터 안전하게 견인되게 하여 하수관거가 연약지반 상에 설치되는 경우에 연약지반 부등침하로 인한 하수관거의 이탈 및 파손을 예방할 수 있도록 하는 데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지중에 매설된 시설물의 매설 경 로를 표시하는 동시에 매설된 시설물을 안전하게 견인하여 지반 부등침하에 의한 위치 이탈 및 파손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지면과의 충분한 접지력 확보를 위해 일정 면적을 갖는 장방형으로 형성되며, 가장 자리를 따라 다수의 볼팅공이 천공되고, 상면에는 그 내측에 수용홈을 갖는 표지판 설치구가 단차지게 형성된 침하방지판과; 상기 침하방지판의 표지판 설치구 내측 수용홈에 위치하고, 상기 수용홈 내벽 단부에 그 단부 양측이 힌지 결합되어 이 힌지를 질점으로 회동되어 침하방지판 상에 직립될 수 있으며, 두개의 투광판이 조그만 틈새를 두고 이격배치되어 상기 틈새 사이로 매설 경로가 표시된 표지를 끼워넣을 수 있는 표지판;을 포함하는 한편, 상기 침하방지판 하부 지중에 매설되는 하수도관은 그 상면 중앙에 반원형의 안착홈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고 상면 측부를 따라 다수개의 고리가 구비된 기초 콘크리트 상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기초 콘크리트는 그 양단부가 각각 상기 침하방지판 볼팅공과 기초 콘크리트 고리에 연결되는 견인바를 통해 지면으로부터 안전하게 견인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관거 매설물 위치도 표지 설치구조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표지판은 그 양단부가 각각 상기 표지판 중앙 양측부와 수용홈 중앙 양측 내벽에 고정되는 댐퍼를 통해 직립 시 그 직립상태가 유지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하수관거 매설물 위치도 표지 설치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시공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은 지중에 매설된 시설물의 매설 경로를 표시하는 동시에 매설된 시설물을 지반 상에 안전하게 견인하여 지반 부등침하에 의한 위치 이탈 및 파손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지면 상에 설치되며 지면과의 충분한 접지력 확보를 위해 일정 면적을 갖는 장방형의 침하방지판(10) 및 이 침하방지판(10) 상에 장착된 표지판(20)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침하방지판(10)은 그 가장 자리를 따라 볼팅공(100)이 다수 천공되면서 그 상면에는 그 내측에 수용홈(120)을 갖는 표지판 설치구(12)가 단차지게 형성되어 상기 수용홈(120) 내측에 상기 표지판(20)이 회동가능하게 장착된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표지판(20)은 침하방지판(10)의 표지판 설치구(12) 내측 수용홈(120)에 위치할 수 있게 상기 수용홈(120)에 상응하는 크기로 형성되면서 상기 수용홈(120) 내벽 단부에 그 단부 양측이 힌지 결합되어 이 힌지를 질점으로 회동된다. 이에 따라, 상기 표지판(20)은 필요에 따라 침하방지판(10) 상에 직립되게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표지판(20)은 두개의 투광판이 조그만 틈새(G)를 두고 이격배치된 구조로 이루어져 상기 틈새(G) 사이로 매설 경로가 표시된 표지(28)를 끼워넣을 수 있다. 따라서, 지중에 매설된 시설물 예컨대, 하수도관(1)의 매설 깊이 또는 매설 경로상에 변화가 있을 경우에 기존과 같이 표지구 전체를 교체하지 않고도 표지(28)만 갈아 끼우면 되므로 표지구 교체에 따른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 다.
나아가, 상기 표지판(20)은 침하방지판(10) 상에서 댐퍼(25)를 통해 지지되어 외부 알림을 위해 이 표지판(20)을 세웠을 경우 외력 예컨대, 진동 또는 바람의 영향으로 임의로 쓰러지는 않는다. 물론, 상기 댐퍼(25)는 그 양단부가 각각 상기 표지판(20) 중앙 양측부와 수용홈(120) 중앙 양측 내벽에 고정된다.
한편, 침하방지판(10) 하부 지중에는 지중 시설물 예를 들어, 하수도관(1)이 매설된다. 상기 하수도관(1)은 기초 콘크리트(30) 상에 안착된 상태에서 견인바(40)를 통해 상기 침하방지판에 견인되어 지지된다. 이에 따라, 하수도관(1)이 연약지반 상에 설치된 경우에 연약지반 부등침하로 인한 하수도관의 이탈 및 파손이 예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기초 콘크리트(30)는 그 상면 중앙에 반원형의 안착홈(300)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안착홈(300)에 하수도관(1)이 안착될 수 있으며, 그 상면 측부를 따라서는 다수개의 앵커형 고리(310)를 구비하고 있다. 견인바(40)는 그 양단부에 각각 나사산과 훅 형태의 고리를 구비한다. 따라서, 견인바(40)를 이용하여 상기 기초 콘크리트(30)를 침하방지판(10)에 견인시킬 경우에, 상기 견인바(40) 양단부를 각각 상기 침하방지판(10) 볼팅공(100)과 기초 콘크리트(30) 고리(310)에 각각 연결하여 침하방지판(10)이 설치된 지면으로부터 상기 기초 콘크리트(30)가 안전하게 견인되도록 한다.
미설명 부호 50은 하수도관을 기초 콘크리트 상에 견고히 고정시키기 위해 상기 하수도관을 덮으면서 기초 콘크리트와 결합되는 반원형의 덮개를 가르킨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도 2에서와 같이 지중 시설물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서의 하수도관(1) 직상부에 구비되는 표지판(20)에 의해서 지중에 매설된 시설물 경로에 대한 정보를 제공함과 아울러, 지중에 매설된 시설물을 지면측으로 안전하게 견인하여 시설물이 연약지반 상에 설치되는 경우, 연약지반 부등침하로 인한 지중 시설물의 이탈 및 파손을 예방한다.
본 발명의 작용 및 효과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표지판(20)을 이용하여 지중에 매설된 시설물 예를 들어, 하수도관(1)의 매설 위치 및 매설 경로를 알려준다. 이에 따라, 보수공사 시 지중 시설물의 매설 위치를 찾기 위한 굴착작업에 막대한 예산이 낭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표지판(20)은 두개의 투광판이 조그만 틈새()를 두고 이격되게 배치되어 상기 틈새(G) 사이로 매설 경로가 표시된 표지(28)를 간단히 끼워넣는 것으로 표지(28)를 간단히 교체할 수 있다. 따라서, 지중에 매설된 시설물 예컨대, 하수도관(1)의 매설 깊이 또는 매설 경로상에 변화가 있을 경우에 기존과 같이 표지구 전체를 교체하지 않아도 되므로 표지구 교체에 따른 비용 역시 현저히 절감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표지판(20)은 침하방지판(10) 상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어서 필요에 따라 표지판(20)을 세울 수 있다. 이 경우에, 외부 식별력이 높아져 멀리서도 그 표지판 위치를 쉽게 파악할 수 있고, 보수공사시에는 외부인이나 차량 통제를 위한 통제수단으로 활용될 수도 있다.
더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지중에 매설되는 하수도관(1)이 기초 콘크리트(30) 위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기초 콘크리트(30)가 지면 위에 설치되는 침하방지판(10)에 견인바(40)를 통해 안전하게 견인된다. 이에 따라, 연약지반 상에 하수도관(1)이 위치한 경우 연약지반에 부등침하가 발생하더라도 하수도관(1)은 지면측으로 안전하게 견인되므로 하수도관의 이탈 및 파손을 예방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하수관거 매설물 위치도 표지 설치구조에 의하면, 보수 공사로 인해 지중에 매설된 시설물의 경로상에 변화가 있을 경우에 표지판만을 교체할 수 있게 됨으로써, 표지구 교체에 따른 비용을 현저히 절감시킬 수 있으며, 교체에 따른 불필요한 인력소모를 없앨 수 있다. 또한, 지중에 매설된 지중 시설물 예를 들어, 하수관거가 지면으로부터 안전하게 견인됨으로써 하수관거가 연약지반 상에 설치되는 경우에 연약지반 부등침하로 인하여 하수관거가 이탈되거나 이로 인하여 파손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은 표지판과 견인장치 등 두가지 기능을 모두 충족시킬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하고 도시하였지만, 본 발명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2)

  1. 지중에 매설된 시설물의 매설 경로를 표시하는 동시에 매설된 시설물을 안전하게 견인하여 지반 부등침하에 의한 위치 이탈 및 파손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지면과의 충분한 접지력 확보를 위해 일정 면적을 갖는 장방형으로 형성되며, 가장 자리를 따라 다수의 볼팅공이 천공되고, 상면에는 그 내측에 수용홈을 갖는 표지판 설치구가 단차지게 형성된 침하방지판과;
    상기 침하방지판의 표지판 설치구 내측 수용홈에 위치하고, 상기 수용홈 내벽 단부에 그 단부 양측이 힌지 결합되어 이 힌지를 질점으로 회동되어 침하방지판 상에 직립될 수 있으며, 두개의 투광판이 조그만 틈새를 두고 이격배치되어 상기 틈새 사이로 매설 경로가 표시된 표지를 끼워넣을 수 있는 표지판;을 포함하는 한편,
    상기 침하방지판 하부 지중에 매설되는 하수도관은 그 상면 중앙에 반원형의 안착홈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고 상면 측부를 따라 다수개의 고리가 구비된 기초 콘크리트 상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기초 콘크리트는 그 양단부가 각각 상기 침하방지판 볼팅공과 기초 콘크리트 고리에 연결되는 견인바를 통해 지면으로부터 안전하게 견인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약지반 하수관거 매설물 위치도 표지 설치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지판은 그 양단부가 각각 상기 표지판 중앙 양측부와 수용홈 중앙 양측 내벽에 고정되는 댐퍼를 통해 직립 시 그 직립상태가 유지될 수 있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관거 매설물 위치도 표지 설치구조.
KR1020060100030A 2006-10-13 2006-10-13 하수관거 매설물 위치도 표지 설치구조 KR1006720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00030A KR100672012B1 (ko) 2006-10-13 2006-10-13 하수관거 매설물 위치도 표지 설치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00030A KR100672012B1 (ko) 2006-10-13 2006-10-13 하수관거 매설물 위치도 표지 설치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72012B1 true KR100672012B1 (ko) 2007-01-24

Family

ID=380143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00030A KR100672012B1 (ko) 2006-10-13 2006-10-13 하수관거 매설물 위치도 표지 설치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7201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33928B1 (ko) 2017-09-05 2018-03-06 (주)자연과환경 하수관거의 파손과 균열보수방식으로 운용되는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47464B1 (ko) * 2005-10-14 2006-01-31 주식회사 남원건설엔지니어링 상수도관 매설 위치 식별장치
KR100552327B1 (ko) * 2005-09-28 2006-02-24 주식회사동일기술공사 토목공사용 지중 구조물의 위치를 측량하는 측점 표시봉의설치 구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52327B1 (ko) * 2005-09-28 2006-02-24 주식회사동일기술공사 토목공사용 지중 구조물의 위치를 측량하는 측점 표시봉의설치 구조
KR100547464B1 (ko) * 2005-10-14 2006-01-31 주식회사 남원건설엔지니어링 상수도관 매설 위치 식별장치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등록특허공보 10-547464 (2006.1.31.공고)
등록특허공보 10-552327 (2006.2.24.공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33928B1 (ko) 2017-09-05 2018-03-06 (주)자연과환경 하수관거의 파손과 균열보수방식으로 운용되는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70120035A1 (en) In-ground anchor structure for interchangeable posts and signs
US20160319960A1 (en) Pipe support and method for supporting and orientating a pipe
KR100672012B1 (ko) 하수관거 매설물 위치도 표지 설치구조
KR100667585B1 (ko) 상하수도관용 침하 계측장치
KR100784481B1 (ko) 변전 지중 케이블 이설장치
KR101447095B1 (ko) 지중선로 표지기
KR100619585B1 (ko) 경계용 표주(標柱)
KR100984002B1 (ko) 전력선관로블록
KR101833928B1 (ko) 하수관거의 파손과 균열보수방식으로 운용되는 장치
CN109616029B (zh) 一种可调式电缆标志装置
US20190169806A1 (en) Apparatus for marking the location of a utility fixture
KR100827009B1 (ko) 상하수도관 매설용 토류판
KR100891105B1 (ko) 전력선 보호구
KR200318753Y1 (ko) 지하관로표시기
KR20080002652U (ko) 강관주기초대
KR200414007Y1 (ko) 상수도, 하수도, 도로, 하천제방 및 매립장 침출수 배수공사에 사용되는 매설위치 표시기
KR100983103B1 (ko) 관로 확인용 자기마크 고정장치
KR100663061B1 (ko) 하수관의 지중 매설 위치 현황 표시블록
KR100654219B1 (ko) 공동주택단지 지중에 매설되는 다용도 하수관
KR102101586B1 (ko) 하수관 시공을 위한 터파기 시스템
KR200258938Y1 (ko) 전력 맨홀 번호표시기
KR101008968B1 (ko) 지중매설관 정보표시기
JP4630215B2 (ja) 埋設物の移設工法
KR20050100421A (ko) 접착형 라인마크
KR200219063Y1 (ko) 높이조절이 가능한 맨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5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2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26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