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33928B1 - 하수관거의 파손과 균열보수방식으로 운용되는 장치 - Google Patents

하수관거의 파손과 균열보수방식으로 운용되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33928B1
KR101833928B1 KR1020170113571A KR20170113571A KR101833928B1 KR 101833928 B1 KR101833928 B1 KR 101833928B1 KR 1020170113571 A KR1020170113571 A KR 1020170113571A KR 20170113571 A KR20170113571 A KR 20170113571A KR 101833928 B1 KR101833928 B1 KR 1018339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wer pipe
bar
ground
buried
sp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135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승현
Original Assignee
(주)자연과환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자연과환경 filed Critical (주)자연과환경
Priority to KR10201701135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3392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39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39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3/00Sewer pipe-line systems
    • E03F3/06Methods of, or installations for, laying sewer pip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3/00Sewer pipe-line systems
    • E03F3/06Methods of, or installations for, laying sewer pipes
    • E03F2003/065Refurbishing of sewer pipes, e.g. by coating, lin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수관거의 파손과 균열보수방식으로 운용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지중에 매설된 하수관거의 매설 경로를 표시하는 동시에 매설된 하수관거를 지반 상에 안전하게 견인하여 지반 부등침하에 의한 파손과 균열 방지 및 보수가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지진 등으로 인한 외부로부터 전달되는 진동 등을 완충하여 견인바 등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한 하수관거의 파손과 균열보수방식으로 운용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하수관거의 파손과 균열보수방식으로 운용되는 장치{OPERATION APPARATUS OF BREAKAGE AND CRACK MAINTENANCE TYPE FOR SEWER PIPE}
본 발명은 하수처리 기술 분야 중 하수관거의 파손과 균열보수방식으로 운용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지중에 매설된 하수관거의 매설 경로를 표시하는 동시에 매설된 하수관거를 지반 상에 안전하게 견인하여 지반 부등침하에 의한 파손과 균열 방지 및 보수가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지진 등으로 인한 외부로부터 전달되는 진동 등을 완충하여 견인바 등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한 하수관거의 파손과 균열보수방식으로 운용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상, 하수도관이나 케이블 등은 안전 및 미관상의 이유로 지하에 매설된다.
특히, 생활수준 향상으로 인하여 최근 도시 가스관 및 인터넷 등의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각종 통신 케이블도 지하에 매설되고 있다.
이렇게 매설된 각종 관이나 케이블 등의 관리 및 추후에 있을 보수 공사시 관이나 케이블 등이 손상될 수 있으며, 매설물의 정확한 매설위치가 제공되지 않는 한 매설물의 매설 위치를 찾기 위한 굴착작업에만 막대한 예산이 낭비될 수 있다.
한편, 하천유역 또는 강수량이 많은 산간지역 등 지반의 붕괴와 부분적인 침하가 빈번한 곳에 하수관거를 단순 매설할 경우, 지반 부등침하 및 토압에 대한 하수관거의 지지력이 극히 미약하여 하수도관 매설지의 경미한 지반침하로도 하수도관이 쉽게 이탈되거나 파손되어 누수 및 외부 이물질의 유입이 발생되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일부 개선한 종래기술로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10-0672012호(2007.01.24.)에는 '하수관거 매설물 위치도 표지 설치구조'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하수관거 매설물 위치도 표지 설치구조는 지진 등의 외부로부터 전달되는 진동을 완충할 수 없기 때문에 견인바 등이 파손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10-0672012호(2007.01.24.) '하수관거 매설물 위치도 표지 설치구조'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지중에 매설된 하수관거의 매설 경로를 표시하는 동시에 매설된 하수관거를 지반 상에 안전하게 견인하여 지반 부등침하에 의한 파손과 균열 방지 및 보수가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지진 등으로 인한 외부로부터 전달되는 진동 등을 완충하여 견인바 등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한 하수관거의 파손과 균열보수방식으로 운용되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지중에 매설된 하수관거(1)의 매설 경로를 표시하는 동시에 상기 하수관거(1)를 견인하여 지반 부등침하에 의한 파손과 균열 방지 및 보수가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지면과의 충분한 접지력 확보를 위해 일정 면적을 갖는 장방형으로 형성되며, 가장자리를 따라 다수의 볼팅공(100)이 천공되고, 상면에는 내측에 수용홈(120)을 갖는 표지판 설치구(12)가 단차지게 형성되는 침하방지판(10); 및 상기 수용홈(120)에 위치하고, 상기 수용홈(120) 내벽 단부에 양측이 힌지 결합되어 이 힌지를 질점으로 회동되어 상기 침하방지판(10) 상에 직립될 수 있으며, 두 개의 투광판이 조그만 틈새(G)를 두고 이격 배치되어 상기 틈새(G)로 매설 경로가 표시되는 표지(28)를 끼워넣을 수 있는 표지판(20)을 포함하며, 상기 침하방지판(10) 하부 지중에 매설되는 하수관거(1)는, 상면 중앙에 반원형의 안착홈(300)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고, 상면 측부를 따라 다수개의 고리(310)가 구비된 기초 콘크리트(30) 상에 안착되며, 상기 기초 콘크리트(30)는, 양단부가 각각 상기 볼팅공(100)과 상기 고리(310)에 연결되는 견인바(40)를 통해 지면으로부터 견인되는 하수관거의 파손과 균열보수방식으로 운용되는 장치에 있어서, 외부로부터 전달되는 진동을 완충하기 위한 완충부(400)를 더 포함하되, 상기 견인바(40)는, 상단부가 상기 볼팅공(100)에 연결되는 상부바(41); 및 하단부가 상기 고리(310)에 연결되고, 상단부가 개방되어 내측으로 상기 상부바(41)의 하부가 승,하강 가능하게 결합되는 하부바(42)로 이루어지고, 상기 완충부(400)는, 상기 하부바(42)의 내측으로 수용되는 스프링(410); 상기 하부바(42)의 내측에 승,하강 가능하게 수용되며, 상기 스프링(410)을 지지하는 지지판(420); 및 상기 지지판(420)을 승,하강되도록 하여 상기 스프링(410)의 탄성력을 조절하는 조절부재(430)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바(42)는, 양측에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가이드공(42a)이 형성되며,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판(420)은, 양측에 상기 가이드공(42a)을 통해 상기 하부바(42)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가이드바(421)가 형성되며, 상기 조절부재(430)는,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하부바(42)의 외측으로 나사결합되고, 회전에 따른 승,하강에 따라 상기 지지판(420)이 함께 승,하강되도록 하여 상기 스프링(410)을 가압 또는 가압해제하면서 상기 스프링(410)의 탄성력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관거의 파손과 균열보수방식으로 운용되는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첫째, 보수 공사로 인해 지중에 매설된 시설물의 경로상에 변화가 있을 경우 표지판만을 교체할 수 있음으로써, 표지구 교체에 따른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것은 물론, 교체에 따른 불필요한 인력소모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지중에 매설된 하수관거가 지면으로부터 안전하게 견인됨으로써 하수관거가 연약지반 상에 설치되는 경우에 연약지반 부등침하로 인하여 하수관거가 이탈되거나 이로 인하여 파손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다.
셋째, 지진 등의 외부로부터 전달되는 진등 등을 완충함으로써 견인바 등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하수관거의 파손과 균열보수방식으로 운용되는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하수관거의 파손과 균열보수방식으로 운용되는 장치에 따른 시공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3은 도 2에서 완충부가 구비된 상태를 나타낸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설명에 앞서 이하의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예들은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물,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후술되는 선등록특허 제0672012호를 그대로 이용하므로 이하 설명되는 장치 구성상의 특징들은 모두 등록특허 제0672012호에 기재된 사항들로 이해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상기 등록특허 제0672012호에 개시된 구성들 중 '하수관거 매설물 위치도 표지 설치구조'는 '하수관거의 파손과 균열보수방식으로 운용되는 장치'로 대체하고, 외부로부터 전달되는 진동을 완충하기 위한 구조 및 그 작용설명이 더 포함되며 이 부분이 가장 핵심적인 구성상 특징을 이룬다.
따라서, 이하 설명되는 장치 구성과 특징 및 작동관계는 상기 등록특허 제0672012호의 내용을 그대로 인용하기로 하며, 후단부에서 본 발명의 주된 특징과 관련된 구성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여 보면, 본 발명에 따른 하수관거의 파손과 균열보수방식으로 운용되는 장치는 지중에 매설된 하수관거의 매설 경로를 표시하는 동시에 매설된 하수관거를 지반 상에 안전하게 견인하여 지반 부등침하에 의한 파손과 균열 방지 및 보수가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지면 상에 설치되며 지면과의 충분한 접지력 확보를 위해 일정 면적을 갖는 장방형의 침하방지판(10) 및 침하방지판(10) 상에 장착된 표지판(20)을 포함한다.
상기 침하방지판(10)은 가장자리를 따라 볼팅공(100)이 다수 천공되면서 상면에는 내측에 수용홈(120)을 갖는 표지판 설치구(12)가 단차지게 형성되어 상기 수용홈(120) 내측에 상기 표지판(20)이 회동가능하게 장착된다.
도 1을 참조하여 보면, 상기 표지판(20)은 침하방지판(10)의 표지판 설치구(12) 내측 수용홈(120)에 위치할 수 있게 상기 수용홈(120)에 상응하는 크기로 형성되면서 상기 수용홈(120) 내벽 단부에 그 단부 양측이 힌지 결합되어 힌지를 질점으로 회동된다. 이에 따라, 상기 표지판(20)은 필요에 따라 침하방지판(10) 상에 직립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표지판(20)은 두 개의 투광판이 조그만 틈새(G)를 두고 이격 배치된 구조로 이루어져 상기 틈새(G) 사이로 매설 경로가 표시된 표지(28)를 끼워넣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지중에 매설된 하수관거(1)의 매설 깊이 또는 매설 경로상에 변화가 있을 경우에 기존과 같이 표지구 전체를 교체하지 않고도 표지(28)만 갈아 끼우면 되므로 표지구 교체에 따른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상기 표지판(20)은 침하방지판(10) 상에서 댐퍼(25)를 통해 지지되면서 진동이나 바람 등의 외력에 의해 쓰러지지 않는다.
상기 댐퍼(25)는 양단부가 각각 상기 표지판(20) 중앙 양측부와 수용홈(120) 중앙 양측 내벽에 고정된다.
한편, 침하방지판(10) 하부 지중에는 하수관거(1)가 매설된다.
상기 하수관거(1)는 기초 콘크리트(30) 상에 안착된 상태에서 견인바(40)를 통해 상기 침하방지판(10)에 견인되어 지지된다.
이에 따라, 상기 하수관거(1)가 연약지반 상에 설치된 경우에 연약지반 부등침하로 인한 파손과 균열 방지 및 보수가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기초 콘크리트(30)는 상면 중앙에 반원형의 안착홈(300)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안착홈(300)에 하수관거(1)가 안착될 수 있으며, 상면 측부를 따라서는 다수개의 앵커형 고리(310)를 구비하고 있다.
견인바(40)는 양단부에 각각 나사산과 훅 형태의 고리를 구비한다.
이에 따라, 견인바(40)를 이용하여 상기 기초 콘크리트(30)를 침하방지판(10)에 견인시킬 경우에, 상기 견인바(40)의 양단부를 각각 상기 침하방지판(10) 볼팅공(100)과 기초 콘크리트(30) 고리(310)에 각각 연결하여 침하방지판(10)이 설치된 지면으로부터 상기 기초 콘크리트(30)가 안전하게 견인되도록 한다.
미설명 부호 50은 하수관거를 기초 콘크리트 상에 견고히 고정시키기 위해 상기 하수관거를 덮으면서 기초 콘크리트와 결합되는 반원형의 덮개를 가르킨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도 2에서와 같이 하수관거(1) 직상부에 구비되는 표지판(20)에 의해서 하수관거(1)의 경로에 대한 정보를 제공함과 아울러, 하수관거(1)를 지면측으로 안전하게 견인하여 하수관거(1)가 연약지반 상에 설치되는 경우, 연약지반 부등침하로 인한 파손과 균열 방지 및 보수가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작용 및 효과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표지판(20)을 이용하여 지중에 매설된 하수관거(1)의 매설 위치 및 매설 경로를 알려준다. 이에 따라, 보수공사 시 하수관거(1)의 매설 위치를 찾기 위한 굴착작업에 막대한 예산이 낭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표지판(20)은 두 개의 투광판이 조그만 틈새(G)를 두고 이격되게 배치되어 상기 틈새(G) 사이로 매설 경로가 표시된 표지(28)를 간단히 끼워넣는 것으로 표지(28)를 간단히 교체할 수 있다. 따라서, 지중에 매설된 하수관거(1)의 매설 깊나 매설 경로상에 변화가 있을 경우에 기존과 같이 표지구 전체를 교체하지 않아도 되므로 표지구 교체에 따른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상기 표지판(20)은 침하방지판(10) 상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어서 필요에 따라 표지판(20)을 세울 수 있다. 이 경우에, 외부 식별력이 높아져 멀리서도 표지판 위치를 쉽게 파악할 수 있고, 보수공사시에는 외부인이나 차량 통제를 위한 통제수단으로 활용될 수 있다.
하수관거(1)는 기초 콘크리트(30) 위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기초 콘크리트(30)가 지면 위에 설치되는 침하방지판(10)에 견인바(40)를 통해 안전하게 견인된다.
이에 따라, 연약지반 상에 하수관거(1)가 위치한 경우 연약지반에 부등침하가 발생하더라도 지면측으로 안전하게 견인되므로 하수관거(1)의 파손과 균열 방지 및 보수가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술한 구성을 그대로 포함하면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로부터 전달되는 진동을 완충하기 위한 완충부(400)의 구성이 추가로 구현된다.
상기 완충부(400)는 지진 등으로 인한 외부로부터 전달되는 진동 등을 완충하여 상기 견인바(40) 등의 파손을 방지한다.
상기 견인바(40)는 상단부가 상기 볼팅공(100)에 연결되는 상부바(41), 하단부가 상기 고리(310)에 연결되고 상단부가 개방되어 내측으로 상기 상부바(41)의 하단부가 승,하강 가능하게 결합되는 하부바(42)로 이루어진다.
상기 견인바(40)는 상,하부바(41,42)를 연결하는 연결부재(4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부바(41)는 하단부에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플랜지(41a)가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재(43)는 관 형태를 이루되 상부 내경이 하부의 내경보다 작게 형성되면서 상기 상부바(41)의 외측으로 승,하강 및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한편, 상기 플랜지(41a)에 의해 이탈이 방지되면서 상기 하부바(42)의 상단부로 결합된다.
상기 하부바(42)는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재(43)는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면서 상기 하부바(42)의 상부 외측으로 나사결합된다.
이에 따라, 상기 연결부재(43)는 개방된 상기 하부바(42)의 상부를 차단하는 한편, 상기 상,하부바(42)의 탈착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완충부(400)는 상기 하부바(42)의 내측으로 수용되는 스프링(410), 상기 하부바(42)의 내측에 승,하강 가능하게 수용되며 상기 스프링(410)을 지지하는 지지판(420) 및 상기 지지판(420)을 승,하강되도록 하여 상기 스프링(410)의 탄성력을 조절하는 조절부재(430)를 포함한다.
상기 스프링(410)은 지진 등의 외부로부터 전달되는 진동 등에 의한 상기 하부바(42)의 승,하강에 따라 수축,이완되면서 충격이 완충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하부바(42)는 상기 기초 콘크리트(30)와 함께 승,하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지지판(420)은 원판 형태를 이루며, 상기 하부바(42)의 하부 내측으로 수용되면서 상기 스프링(410)을 지지한다.
상기 하부바(42)는 양측에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가이드공(42a)이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공(42a)은 상기 하부바(42)의 내,외부가 연통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지지판(420)은 양측에 상기 가이드공(42a)을 통해 상기 하부바(42)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가이드바(421)가 형성된다.
상기 조절부재(430)는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면서 상기 하부바(42)의 외측으로 나사결합된다.
즉, 상기 조절부재(430)는 회전에 따른 승,하강에 따라 상기 지지판(420)이 함께 승,하강되도록 하여 상기 스프링(410)을 가압 또는 가압해제하면서 상기 스프링(410)의 탄성력을 조절한다.
상기 완충부(400)는 상기 하부바(420)를 보호하는 보호수단(4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호수단(440)은 상,하부가 개방되며 상부가 상기 연결부재(43)의 상부에 위치되도록 상기 상부바(41)의 외측으로 결합되는 한편, 하부가 하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면서 상기 하부바(42)를 감싸는 케이싱(441) 및 상기 케이싱(441)의 상부에 위치되도록 상기 상부바(41)의 나사결합되면서 상기 케이싱(510)을 결속하는 체결부재(442)를 포함한다.
상기 케이싱(441)은 상부 내경이 하부 내경보다 작게 형성되면서 상부가 상기 연결부재(43)의 상부에 안착되는 한편, 하부가 하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면서 내측으로 상기 하부바(42)가 수용되도록 하여 상기 하부바(42)를 보호한다.
상기 상부바(41)는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체결부재(442)는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너트 등으로 이루어지면서 상기 상부바(41)의 외측으로 나사결합된다.
이에 따라, 상기 보호수단(440)은 외력 등으로부터 상기 하부바(42)를 안정적으로 보호할 수 있는 것은 물론, 상기 가이드공(42a)으로 이물질 등이 유입되는 것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완충부(400)는 지진 등으로 인한 외부로부터 전달되는 진동 등을 완충함으로써 상기 견인바(40) 등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1 : 하수관거 10 : 침하방지판
12 : 표지판 설치구 20 : 표지판
25 : 댐퍼 28 : 표지
30 : 기초 콘크리트 40 : 견인바
41 : 상부바 42 : 하부바
43 : 이탈방지부재 100 : 볼팅공
300 : 안착홈 310 : 고리
400 : 완충부 410 : 스프링
420 : 지지판 421 : 가이드바
430 : 조절부재 440 : 보호수단
441 : 케이싱 442 : 체결부재

Claims (1)

  1. 지중에 매설된 하수관거(1)의 매설 경로를 표시하는 동시에 상기 하수관거(1)를 견인하여 지반 부등침하에 의한 파손과 균열 방지 및 보수가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지면과의 충분한 접지력 확보를 위해 일정 면적을 갖는 장방형으로 형성되며, 가장자리를 따라 다수의 볼팅공(100)이 천공되고, 상면에는 내측에 수용홈(120)을 갖는 표지판 설치구(12)가 단차지게 형성되는 침하방지판(10); 및
    상기 수용홈(120)에 위치하고, 상기 수용홈(120) 내벽 단부에 양측이 힌지 결합되어 이 힌지를 질점으로 회동되어 상기 침하방지판(10) 상에 직립될 수 있으며, 두 개의 투광판이 조그만 틈새(G)를 두고 이격 배치되어 상기 틈새(G)로 매설 경로가 표시되는 표지(28)를 끼워넣을 수 있는 표지판(20)을 포함하며,
    상기 침하방지판(10) 하부 지중에 매설되는 하수관거(1)는,
    상면 중앙에 반원형의 안착홈(300)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고, 상면 측부를 따라 다수개의 고리(310)가 구비된 기초 콘크리트(30) 상에 안착되며,
    상기 기초 콘크리트(30)는,
    양단부가 각각 상기 볼팅공(100)과 상기 고리(310)에 연결되는 견인바(40)를 통해 지면으로부터 견인되는 하수관거의 파손과 균열보수방식으로 운용되는 장치에 있어서,
    외부로부터 전달되는 진동을 완충하기 위한 완충부(400)를 더 포함하되,
    상기 견인바(40)는,
    상단부가 상기 볼팅공(100)에 연결되는 상부바(41); 및
    하단부가 상기 고리(310)에 연결되고, 상단부가 개방되어 내측으로 상기 상부바(41)의 하부가 승,하강 가능하게 결합되는 하부바(42)로 이루어지고,
    상기 완충부(400)는,
    상기 하부바(42)의 내측으로 수용되는 스프링(410);
    상기 하부바(42)의 내측에 승,하강 가능하게 수용되며, 상기 스프링(410)을 지지하는 지지판(420); 및
    상기 지지판(420)을 승,하강되도록 하여 상기 스프링(410)의 탄성력을 조절하는 조절부재(430)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바(42)는,
    양측에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가이드공(42a)이 형성되며,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판(420)은,
    양측에 상기 가이드공(42a)을 통해 상기 하부바(42)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가이드바(421)가 형성되며,
    상기 조절부재(430)는,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하부바(42)의 외측으로 나사결합되고, 회전에 따른 승,하강에 따라 상기 지지판(420)이 함께 승,하강되도록 하여 상기 스프링(410)을 가압 또는 가압해제하면서 상기 스프링(410)의 탄성력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관거의 파손과 균열보수방식으로 운용되는 장치.
KR1020170113571A 2017-09-05 2017-09-05 하수관거의 파손과 균열보수방식으로 운용되는 장치 KR1018339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3571A KR101833928B1 (ko) 2017-09-05 2017-09-05 하수관거의 파손과 균열보수방식으로 운용되는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3571A KR101833928B1 (ko) 2017-09-05 2017-09-05 하수관거의 파손과 균열보수방식으로 운용되는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33928B1 true KR101833928B1 (ko) 2018-03-06

Family

ID=617275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13571A KR101833928B1 (ko) 2017-09-05 2017-09-05 하수관거의 파손과 균열보수방식으로 운용되는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3392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24232B1 (ko) * 2018-05-11 2019-09-23 공민근 하수관거의 유지관리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2012B1 (ko) 2006-10-13 2007-01-24 주식회사 삼안 하수관거 매설물 위치도 표지 설치구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2012B1 (ko) 2006-10-13 2007-01-24 주식회사 삼안 하수관거 매설물 위치도 표지 설치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24232B1 (ko) * 2018-05-11 2019-09-23 공민근 하수관거의 유지관리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15233B2 (en) Adaptor for mounting cable connectors
US20070120035A1 (en) In-ground anchor structure for interchangeable posts and signs
KR101833928B1 (ko) 하수관거의 파손과 균열보수방식으로 운용되는 장치
KR100784481B1 (ko) 변전 지중 케이블 이설장치
KR100723013B1 (ko) 지중매설물 안전점검 및 진단구조
US20190169806A1 (en) Apparatus for marking the location of a utility fixture
KR100672012B1 (ko) 하수관거 매설물 위치도 표지 설치구조
JP2010043453A (ja) マンホール浮上抑制装置
JP2010168822A (ja) 埋設筐
KR102377509B1 (ko) 높이조절 플라스틱맨홀 인상용 함체
KR100753970B1 (ko) 강선을 이용한 하중 분산형 연약지반용 지중 하수도 박스지지장치
KR102092033B1 (ko) 지중 관로의 연직변위 모니터링 방법 및 이를 위한 지중 관로의 매립 설치구조
KR200270061Y1 (ko) 매설관 지지구
KR200318753Y1 (ko) 지하관로표시기
KR200411780Y1 (ko) 가스배관 보링 검지공 보호구
KR100654219B1 (ko) 공동주택단지 지중에 매설되는 다용도 하수관
CN214116399U (zh) 一种市政道路护栏
JP6338426B2 (ja) マンホール浮上防止装置
CN103353341A (zh) 光纤光栅振动传感光缆敷设方法
KR101426727B1 (ko) 지중 송전 케이블 매설용 지지대
KR102101777B1 (ko) 탄성분리구조를 갖는 케이블 고정장치
KR102655768B1 (ko) 내진기능이 향상된 매설 상하수도관 보호 장치
KR102472469B1 (ko) 도시계획 지하시설물 통합 관리 시스템 및 그 시공방법
KR100716020B1 (ko) 상수도관의 보호장치
JP2003034975A (ja) 制御装置および下水道設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