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71230B1 - 드럼형 케이싱을 구비한 냉각장치 - Google Patents

드럼형 케이싱을 구비한 냉각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71230B1
KR100671230B1 KR1020060046960A KR20060046960A KR100671230B1 KR 100671230 B1 KR100671230 B1 KR 100671230B1 KR 1020060046960 A KR1020060046960 A KR 1020060046960A KR 20060046960 A KR20060046960 A KR 20060046960A KR 100671230 B1 KR100671230 B1 KR 1006712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um
cooling
type casing
evaporator
ca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469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만익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물사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물사랑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물사랑
Priority to KR10200600469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7123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712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712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31/00Othe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 F25D31/002Liquid coolers, e.g. beverage cooler
    • F25D31/003Liquid coolers, e.g. beverage cooler with immersed cooling ele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1/00Self-contained movable devices, e.g. domestic refriger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400/00General features of, or devices for 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or fo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covered by any other subclass
    • F25D2400/18Aesthetic feat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1/00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 F28D1/02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with heat-exchange conduits immersed in the body of fluid
    • F28D1/04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with heat-exchange conduits immersed in the body of fluid with tubular condu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케이싱을 오크통 드럼형태를 이용하여 구성함으로써 냉각장치 본래의 기능과 더불어 외관상으로 고객의 주의를 끄는 중요한 장식소품으로 자리하게 되어 특히 생맥주용 냉각장치로서 효과적인 드럼형 케이싱을 구비한 냉각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은 증발기, 응축기, 압축기를 포함하는 냉각싸이클과, 상기 증발기를 내부에 수용하며 냉각수가 채워지는 수조와, 상기 수조 내에 설치되며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액상물질이 경유하면서 냉각이 이루어지는 냉각코일로 구성되는 냉각모듈 및 상기 냉각모듈을 내부에 수용하는 케이싱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액상물질 냉각장치에 있어서, 일측에 상기 냉각코일과 연결되는 코크가 구비되며 외관상 드럼형태로 이루어진 드럼부와 상기 드럼부를 받혀주는 소정 높이의 받침부가 결합된 모양으로 이루어지고, 내부는 상기 드럼부와 받침부가 통합되어 상기 냉각모듈을 수용하는 하나의 공간을 형성하며 흡기공과 배기공이 다수개소에 걸쳐 형성된 드럼형 케이싱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드럼형 케이싱을 구비한 냉각장치{A COOLING SYSTEM WITH DRUM-TYPE CASING}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의 구성을 보이는 사시도
도 2는 도 1의 결합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종단면도
도 4는 도 3의 종단면도
도 5는 일반적인 냉각장치의 구성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본 발명의 드럼형 케이싱을 구비한 냉각장치
C: 냉각모듈 10: 냉각싸이클 11: 증발기
13: 응축기 25: 압축기 20: 수조
23: 가이드 30: 냉각코일 100: 드럼형 케이싱
110: 드럼부 112: 뚜껑 120: 받침부
121: 공기 유입구 130: 바닥면 151: 코크
a; 흡기구 b: 배기구 200: 종래기술의 냉각장치
본 발명은 생맥주와 같은 액상물질의 냉각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케이싱을 오크통 드럼형태를 이용하여 구성함으로써 냉각장치 본래의 기능과 더불어 외관상으로 고객의 주의를 끄는 중요한 장식소품으로 자리하게 되어 특히 생맥주용 냉각장치로서 효과적이며, 콤팩트한 구성으로 좁은 면적의 테이블에도 설치가 용이하고 소음공해가 현저히 줄어들며 방열이 원활하게 이루어져 기기의 가동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드럼형 케이싱을 구비한 냉각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생맥주, 하절기의 막걸리 등의 주류 또는 기타 식음료는 최상의 맛과 풍미를 즐기기 위해 냉각장치를 통해 분배 공급된다.
종래기술의 냉각장치(200)는 대체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매가 코일내에서 급격하게 증발되면서 주위의 열을 빼앗아 냉각시키는 증발기(11), 상기 증발기(11)와 연결되는 응축기(13) 및 상기 증발기로부터 유입되는 냉매를 압축하여 응축기(13)로 공급하는 압축기(15)를 포함하는 냉각싸이클(10)과, 상기 증발기(11)를 내부에 수용하며 냉각수가 채워지는 수조(20)와 상기 수조(20) 내에 설치되며 예컨대 생맥주 등의 액상물질이 경유하는 냉각코일(30)이 배치된다.
상기 증발기(11)는 냉매가 유통되는 코일이 원통형태를 이루고, 상기 냉각코일(30) 역시 원통형으로 이루어져 상기 증발기(11) 내측으로 배치된다.
상기 냉각코일(30)의 일단은 예컨대 맥주통에 연결되고 타단은 케이싱(210)에 설치된 코크에 연결되어 맥주통에서 냉각장치로 유입된 생맥주는 상기 수조(20) 에서 냉각코일(30)을 경유하는 동안 냉각 열교환이 이루어져 코크를 통하여 토출시에는 시원하게 온도가 바뀌어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생맥주 전문업소의 경우 이와 같은 냉각장치는 손님들이 볼 수 있는 테이블 위에 거치해두는 것이 일반적이다.
한편, 실내 인테리어는 특히 주류전문업소에서 업소의 이미지 및 매상을 좌우하는 중요한 요소이며 바람직하기는 상기 냉각장치와 같은 기기들도 업소의 분위기를 조성하는 하나의 소품으로 조화를 이루는 것이다.
그런데 상기 종래기술의 냉각장치(200)는 케이싱(210)이 스틸 사각박스형태로 구성되어 외관이 무미건조하여 인테리어 소품으로서의 면모와는 거리가 멀고, 냉각싸이클 가동음이 여과 없이 외부로 파급되어 소음이 크게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서양에서 오래전부터 주류를 숙성하는데 사용되고 있으며 원목(참나무)으로 이루어진 드럼형태의 용기인 오크통은 주류업소와 썩 잘 어울린다.
본 출원인은 이와 같은 오크통을 냉각장치의 케이싱에 이용한다면 냉각장치 본래의 기능과 더불어 특히 생맥주 전문업소의 분위기를 조화롭게 연출하는 탁월한 인테리어 구성 소품으로 자리매김할 수 있다는 데 착안하게 되었다.
그러나 냉각장치의 구성요소들을 모두 수용할 수 있기 위하여는 오크통의 반경이 한정된 면적의 테이블에 올려놓을 수 없을 정도로 커져야 되므로 공간상 제약으로 설치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케이싱을 오크통 드럼형태를 이용하여 구성함으로써 냉각장치 본래의 기능과 더불어 고객의 주의를 끄는 중요한 장식소품으로 자리하게 되어 특히 생맥주용 냉각장치로서 효과적인 드럼형 케이싱을 구비한 냉각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콤팩트한 구성으로 좁은 면적의 테이블에도 설치가 용이하며 소음공해가 현저히 줄어들고 방열이 원활하게 이루어져 기기의 가동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드럼형 케이싱을 구비한 냉각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는 본 발명에 따른 드럼형 케이싱을 구비한 냉각장치는, 증발기, 응축기, 압축기를 포함하는 냉각싸이클과, 상기 증발기를 내부에 수용하며 냉각수가 채워지는 수조와, 상기 수조 내에 설치되며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액상물질이 경유하면서 냉각이 이루어지는 냉각코일로 구성되는 냉각모듈 및 상기 냉각모듈을 내부에 수용하는 케이싱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액상물질 냉각장치에 있어서,
일측에 상기 냉각코일과 연결되는 코크가 구비되며 외관상 드럼형태로 이루어진 드럼부와 상기 드럼부를 받혀주는 소정 높이의 받침부가 결합된 모양으로 이루어지고, 내부는 상기 드럼부와 받침부가 통합되어 상기 냉각모듈을 수용하는 하 나의 공간을 형성하며 흡기공과 배기공이 다수개소에 걸쳐 형성된 드럼형 케이싱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드럼형 케이싱을 구비한 냉각장치에 대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의 구성을 보이는 사시도, 도 2는 도 1의 결합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종단면도, 도 4는 도 3의 종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의 드럼형 케이싱을 구비한 냉각장치(1)는, 증발기(11), 응축기(13), 압축기(15)를 포함하는 냉각싸이클(10)과, 상기 증발기(11)를 내부에 수용하며 냉각수가 채워지는 수조(20)와, 상기 수조(20) 내에 설치되며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액상물질이 경유하면서 냉각이 이루어지는 냉각코일(30)로 구성되는 냉각모듈(C) 및 상기 냉각모듈(C)을 내부에 수용하는 케이싱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액상물질 냉각장치에 있어서, 일측에 상기 냉각코일(30)과 연결되는 코크(151)가 구비되며 외관상 드럼형태로 이루어진 드럼부(110)와 상기 드럼부(110)를 받혀주는 소정 높이의 받침부(120)가 결합된 모양으로 이루어지고, 내부는 상기 드럼부(110)와 받침부(120)가 통합되어 상기 냉각모듈(C)을 수용하는 하나의 공간(S)을 형성하며 흡기공(a)과 배기공(b)이 다수개소에 걸쳐 형성된 드럼형 케이싱(10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드럼형 케이싱의 바닥면(130)은 지면으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된 높낮이에 위치되며 다수의 흡기공(a)이 형성되고, 상기 받침부(120)의 하방으로 상기 흡기공(a)으로 외기가 유입되도록 바닥면(130)보다 낮게 위치되는 공기유입구(121)가 다수개소에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드럼형 케이싱(100)에는 흡기공(a) 또는 배기공(b)으로 기능하는 슬롯공이 드럼부(110)와 받침부(120)를 통합하여 이루어지는 전/후/좌/우/상/하면에 광범위하게 형성된다.
상기 흡기공(a) 및 배기공(b)은 예시도면에서는 한쪽으로만 치우쳐 형성된 경우만을 도시하였으나 전체면에 걸쳐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드럼형 케이싱의 드럼부(110)는 오크통 모양으로 구성되고, 상부에 오크통 모양의 일부를 형성하는 뚜껑(112)이 구비된다. 상기 뚜껑(112)은 드럼부 몸체에 결합된 상태에서는 두드러지지 않는다.
상기 드럼형 케이싱의 드럼부(110)는 중앙부의 반경이 더 커지는 배불림 오크통 모양으로 구성되어도 무방하다.
이와 같은 상기 드럼형 케이싱(100)은 목재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나 수지재나 금속재로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수조(20)는 바닥면에 하부에서 상부로 상승 순환되는 냉각수가 상기 증발기(11)와 냉각코일(30) 사이로 상승되도록 유도하는 가이드(23)가 더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이드(23)는 냉각수의 순환을 증발기와 냉각코일 사이로 유도하고 일부의 외곽으로도 순환되게 하여 수조 내부 전체에 걸쳐 열교환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냉각효율성이 크게 향상될 수 있다
도면 중 설명되지 않은 도면부호 '21'은 냉각수 교반용 임펠러, '31'은 냉각코일 유입부로서 예를 들면 맥주통과 연결되는 것이고(이상 도 4 참조) '113'은 손잡이이다.
상기 구성을 지닌 본 발명에 따른 드럼형 케이싱을 구비한 냉각장치(1)의 작용상태를 살펴본다.
본 발명은 예컨대 생맥주 등과 같은 액상물질 냉각장치의 케이싱을 오크통 드럼형태를 이용하여 구성함으로써 냉각장치가 기능적인 수단뿐만 아니라 외관상 장식성을 갖는 중요한 장식소품으로 자리하도록 구성된 것이다.
상기 드럼형 케이싱(100)은 드럼부(110)와 일정 높이를 갖는 받침부(120)가 통합되어 하나의 통합된 공간(S)을 형성함으로써 드럼부(110)의 직경에 받침부(120)의 높이가 합해진 크기의 내부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따라서, 냉각모듈(C)의 크기에 비하여 케이싱이 공간낭비가 없는 콤팩트한 구성으로 되어 좁은 면적의 테이블에도 용이하게 설치가 가능하다.
또한, 케이싱의 드럼부(110)가 냉각모듈을 돔형태로 둘러싸는 형태로 되어 냉각모듈에 따르는 구동모터 및 팬의 가동소음이 드럼부(110)의 돔형 만곡면에 흡수되어 소음공해가 현저히 줄어든다.
또한, 바닥면(130)을 포함하여 사방으로부터 외기가 유입되고 더워진 공기가 상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흡기구(a) 및 배기구(b)가 형성됨으로써 응축기(13)의 방열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고 기기의 가동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냉각장치는 주류, 식음료, 그 중에서도 생맥주용 냉각장치로 적합하며, 냉각장치 본래의 기능과 더불어 고객의 주의를 끄는 우수한 장식소품으로 기능한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로 설명하였다. 여기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상에서 상세히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드럼형 케이싱을 구비한 냉각장치는 케이싱이 오크통 드럼형태를 이용하여 구성됨으로써 냉각장치 본래의 기능과 더불어 고객의 주의를 끄는 중요한 장식소품으로 자리하게 되어 특히 생맥주용 냉각장치로서 대단히 효과적인 기술이다.
또한, 냉각모듈의 크기에 비하여 공간낭비가 없는 콤팩트한 구성으로 되어 좁은 면적의 테이블에도 설치가 용이하며 소음공해가 현저히 줄어들고, 방열이 원활하게 이루어져 기기의 가동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는 이점이 있다.

Claims (6)

  1. 증발기(11), 응축기(13), 압축기(15)를 포함하는 냉각싸이클(10)과, 상기 증발기(11)를 내부에 수용하며 냉각수가 채워지는 수조(20)와, 상기 수조(20) 내에 설치되며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액상물질이 경유하면서 냉각이 이루어지는 냉각코일(30)로 구성되는 냉각모듈(C) 및 상기 냉각모듈(C)을 내부에 수용하며 외관상 드럼형태로 이루어진 드럼부(110)가 구비된 드럼형 케이싱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에 있어서,
    일측에 상기 냉각코일(30)과 연결되는 코크(151)가 구비되는 드럼부(110)와 상기 드럼부(110)를 받혀주는 소정 높이의 받침부(120)가 결합된 모양으로 이루어지고, 내부는 상기 드럼부(110)와 받침부(120)가 통합되어 상기 냉각모듈(C)을 수용하는 하나의 공간(S)을 형성하며 흡기공(a)과 배기공(b)이 다수개소에 걸쳐 형성된 드럼형 케이싱(100)으로 구성되고,
    상기 드럼형 케이싱의 바닥면(130)은 지면으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된 높낮이에 위치되며 다수의 흡기공(a)이 형성되고, 상기 받침부(120)의 하방으로 상기 흡기공(a)으로 외기가 유입되도록 바닥면(130)보다 낮게 위치되는 공기유입구(121)가 다수개소에 형성되며,
    상기 드럼형 케이싱(100)에는 흡기공(a) 또는 배기공(b)으로 기능하는 슬롯공이 드럼부(110)와 받침부(120)를 통합하여 이루어지는 전/후/좌/우/상/하면에 광범위하게 형성되고,
    상기 수조(20)는 바닥면에 하부에서 상부로 상승 순환되는 냉각수가 상기 증발기(11)와 냉각코일(30) 사이로 상승되도록 유도하는 가이드(23)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형 케이싱을 구비한 냉각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060046960A 2006-05-25 2006-05-25 드럼형 케이싱을 구비한 냉각장치 KR1006712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46960A KR100671230B1 (ko) 2006-05-25 2006-05-25 드럼형 케이싱을 구비한 냉각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46960A KR100671230B1 (ko) 2006-05-25 2006-05-25 드럼형 케이싱을 구비한 냉각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71230B1 true KR100671230B1 (ko) 2007-01-19

Family

ID=380142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46960A KR100671230B1 (ko) 2006-05-25 2006-05-25 드럼형 케이싱을 구비한 냉각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7123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5462B1 (ko) * 2007-11-01 2010-01-06 이상철 급속냉각장치를 구비한 탁주 제성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67412A (ko) * 1997-02-04 1998-10-15 김철호 맥주피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67412A (ko) * 1997-02-04 1998-10-15 김철호 맥주피처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1019980067412
2000991320000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5462B1 (ko) * 2007-11-01 2010-01-06 이상철 급속냉각장치를 구비한 탁주 제성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27745B1 (ko) 음식 재료를 냉장하는 장치를 갖는 음식 준비용 테이블
EP1604156B1 (en) Food chiller with ductless air circulation
US20060207278A1 (en) Modular refrigeration cassette with condensate evaporative tray
US20060207280A1 (en) Bottom deck assembly for refrigerated merchandiser
US20130327064A1 (en) End table with concealed built-in refrigerator
US4765152A (en) Beverage dispenser with a partitionless refrigerating stand
KR20050052762A (ko) 빌트인 냉장고의 방열장치
CA2253352C (en) Component configuration for enhancing dispenser serviceability
MX2007011448A (es) Abrazadera de soporte de ventilador de evaporador/de ensamble motor.
KR100671230B1 (ko) 드럼형 케이싱을 구비한 냉각장치
US2241558A (en) Air-cooled bottled beverage cooler
CN109163492A (zh) 一种风冷恒温冷藏自提柜
US7334425B1 (en) Rotative tri-module refrigeration unit
CN201548014U (zh) 一种冷酒器
US3216775A (en) Beverage cabinets
US20190293322A1 (en) Top mount cooling system and method for use thereof
RU2009142880A (ru) Холодильный аппарат с рециркуляцией воздуха
JP3768062B2 (ja) 飲料ディスペンサ
KR20110115877A (ko) 알코올 증류장치
CN108937359A (zh) 一种便于拆卸的电子产品销售展示装置
US6865902B2 (en) Grate for refrigerated cooler
JP3927423B2 (ja) 飲料ディスペンサ
US6792772B1 (en) Refrigerated cooler
JP5367401B2 (ja) 冷却貯蔵庫
US6666205B1 (en) Upright heating burner having a heatsink device background of the inven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0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8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