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69213B1 - 침하방지용 상수도관 설치구조 - Google Patents

침하방지용 상수도관 설치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69213B1
KR100669213B1 KR1020060065538A KR20060065538A KR100669213B1 KR 100669213 B1 KR100669213 B1 KR 100669213B1 KR 1020060065538 A KR1020060065538 A KR 1020060065538A KR 20060065538 A KR20060065538 A KR 20060065538A KR 100669213 B1 KR100669213 B1 KR 1006692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ove
guide groove
fixing
sides
service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655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경영
Original Assignee
(주)정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정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정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0600655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6921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692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692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7/00Water main or service pipe systems
    • E03B7/006Arrangements or methods for cleaning or refurbishing water conduit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7/00Water main or service pipe systems
    • E03B7/02Public or like main pipe system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7/00Water main or service pipe systems
    • E03B7/09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Underground Structures, Protecting, Testing And Restoring Found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수도관이 설치되는 지지판과 연결편을 통해 연결되어 터파기된 홈의 주변에 설치되는 부력판넬에서 발생되는 저항력을 통해 상수도관이 설치되는 지역의 침하나 변형 등이 발생됨이 없이 안전하고 견고한 상태로 매설시킬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상수도관을 측면에서 지지하는 연결편을 좌우측으로 슬라이딩되도록 하므로서 지지판에 안치되는 상수도관의 직경과 관계없이 모두 적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침하방지용 상수도관의 설치구조에 관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지상에서부터 일정한 깊이로 터파기된 홈부분에 상수도관(1)을 매설시에 터파기된 홈부분의 상부 양측지면에 안착되어 저항력을 발생하는 한 쌍의 부력판넬(10a)(10b)과; 사각형상으로 형성되는 프레임(12)의 횡방향 양측에 다수의 고정공(13)이 관통형성되며, 프레임(12)의 내부에는 다수 개의 고정바(14)가 일체로 형성되며, 그 고정바(14)의 하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다수 개의 고정핀(15)을 통해 상기 부력판넬(10a)(10b)의 상부에 고정설치되는 고정판넬(11)과; 직사각형상의 지지프레임(21)의 내부에 설치되는 다수의 지지바(23)를 통해 상수도관(1)을 지지토록 하며, 지지프레임(21)의 상부면에는 중앙부분에 삽입홈(22')이 요입형성되는 가이드홈(22)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고, 그 가이드홈(22) 내부의 양측에는 한 쌍의 스프링(24)이 게재되어 상기 터파기된 홈의 바닥면에 설치되는 지지판(20)과; 크랭크형상으로 절곡형성되어 수평상태의 상,하부면 및 그 상,하부면을 경사지게 연결하는 중간부가 일체로 형성되며, 수평상태의 상부면의 저면에는 다수의 지지핀(31)이 하방으로 돌출형성되어 상기 고정판넬(11)의 프레임(12) 양측에 관통형성되는 고정공(13)에 끼움고정되고, 하부면의 양측단부에 양측으로 돌출되게 설치되는 볼스프링(32)은 상기 지지판(20)의 가이드홈(22) 중앙부에 형성된 삽입홈(22')을 통해 결합되어 가이드홈(22)에서 상수도관(1)의 자중에 따라 슬라이딩이동되며, 가이드홈(22) 내부의 양단부에는 한 쌍의 스프링(24)이 게재되는 연결편(30);로 이루어진다.
상수도관, 침하방지

Description

침하방지용 상수도관 설치구조{set up construction of Upper water supply pipe for subsidence preven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상수도관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상수도관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상수도관의 설치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상수도관의 설치상태를 보인 평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a , 10b : 부력판넬 11 : 고정판넬
12 : 프레임 13 : 고정공
14 : 고정바 15 : 고정핀
20 : 지지판 21 : 지지프레임
22 : 가이드홈 23 : 지지바
24 : 스프링 30 : 연결편
31 : 지지핀 32 : 볼스프링
본 발명은 상수도관의 침하를 방지하기 위한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상부의 고정판넬과 상수도관이 안치되는 지지판을 연결하는 연결하는 연결편을 침하정도에 따라 지지판의 가이드홈에서 슬라이딩되면서 상수도관의 측면을 지지토록 하므로서, 주변에 침하가 발생하더라도 설치위치에서 벗어남이 지지되도록 하여 침하나 변형 등이 발생됨이 없이 안전하고 견고한 상태로 매설시킬 수 있도록 한 침하방지용 상수도관의 설치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장이나 주택 및 각종 시설에 상수를 공급하는 상수도관은 수원수를 사람이 마시기에 적합한 물로 급수하기 위한 시설로서, 지상의 공간 확보 및 생활 환경미화를 위해 지상에서부터 일정한 깊이의 지하에 매설되는 데, 이와 같은 상수도관의 매설 작업은 일정한 직경과 길이를 갖는 다수의 상수도관을 일렬로 연통되게 연결한 구조물이 안착될 수 있도록 충분한 공간으로 지면을 절개하고, 이곳에 상수도관 구조물을 길이 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안착시킨 후 토사로 매몰하므로써 매설 작업을 완료하게 된다.
이러한 종래의 상수도관 매설 방법을 살펴 보면 단순히 땅을 파서 그곳에 상수도관을 넣은 후 다시 땅을 덮는 방식이므로 시공이 간편하여 널리 활용되고 있으며, 특히 도심지의 경우에는 상수도관의 주변부에 위치하고 있는 토사를 다져 토사들 간의 조밀도를 높이는 한편, 상수도관이 매설된 지면상에 콘크리트나 아스팔트 등을 도포하므로써 지반의 침하 및 붕괴로 인한 상수도관의 파손 위험을 최소화하고 있다.
한편, 통상적으로 상기 수도관은 수압을 견딜만한 우수한 내압성이 요구되므 로 비교적 강도가 강한 금속 재질 즉, 주물이나 압연강판을 원형으로 접어서 용접한 강철관으로 제작되고, 서로 이웃하는 상수도관의 연결부에는 실링과 같은 방수 작업을 통해 누수 및 오염 물질의 침투를 방지하지만, 상수도관은 우수에 의해 부식이 쉽게 이루어지는 금속 재질이므로 지면으로 스며든 우수와 오랜 시간 동안 접촉하게 되면 조금씩 부식이 진행되면서 그 사용 수명을 단축시키게 되며, 이로 인해 상수도관의 보수 공사 및 교체가 빈번하게 발생될 수 밖에 없었다.
특히 노출에 의한 파손을 방지하기 위하여 땅속에 매립하는 구조로 되어 있으므로, 빗물 등과 같은 우수가 지하의 일정 장소에서 오랫동안 정체되거나 특정 부분만을 집중적으로 침식시키게 되면, 상수도관을 지지하는 기반이 붕괴되거나 약화되어 상수도관의 일부분이 내려앉을 수 있고, 원통형으로 되는 상수도관의 특성상 매립지가 연약지반인 경우 지지면적의 부족으로 인한 상수도관의 자중에 의해 침하되는 현상이 발생하였으며, 이로 인해 상수도관의 연결부가 뒤틀리거나 휨 등이 발생되면서 상수도관의 일부에 파손 및 크랙이 발생되며, 이 파손 및 크랙이 발생된 부분으로 누수 및 오염 물질이 유입되는 등의 많은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강수량이 많은 장마철에 연약지반으로 빗물이 침투하는 경우 종래의 상수도관 매립구조에서는 배수시설을 갖추고 있지 않았기 때문에 연약지반의 지지력을 더욱 약화시켜 상수도관의 침하를 더욱 가속화시키는 문제점도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주된 목적으로는 상수도관이 설치되는 지지판과 연결편을 통해 연결되어 터파기된 홈의 주변에 설치 되는 부력판넬에서 발생되는 저항력을 통해 상수도관이 설치되는 지역의 침하나 변형 등이 발생됨이 없이 안전하고 견고한 상태로 매설시킬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상수도관을 측면에서 지지하는 연결편을 좌우측으로 슬라이딩되도록 하므로서 지지판에 안치되는 상수도관의 직경과 관계없이 모두 적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침하방지용 상수도관의 설치구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지상에서부터 일정한 깊이로 터파기된 홈부분에 상수도관을 매설시에 터파기된 홈부분의 상부 양측지면에 안착되어 저항력을 발생하는 한 쌍의 부력판넬과;
사각형상으로 형성되는 프레임의 횡방향 양측에 다수의 고정공이 관통형성되며, 프레임의 내부에는 다수 개의 고정바가 일체로 형성되며, 그 고정바의 하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다수 개의 고정핀을 통해 상기 부력판넬의 상부에 고정설치되는 고정판넬과;
직사각형상의 지지프레임의 내부에 설치되는 다수의 지지바를 통해 상수도관을 지지토록 하며, 지지프레임의 상부면에는 중앙부분에 삽입홈이 요입형성되는 가이드홈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고, 그 가이드홈 내부의 양측에는 한 쌍의 스프링이 게재되어 상기 터파기된 홈의 바닥면에 설치되는 지지판과;
크랭크형상으로 절곡형성되어 수평상태의 상,하부면 및 그 상,하부면을 경사지게 연결하는 중간부가 일체로 형성되며, 수평상태의 상부면의 저면에는 다수의 지지핀이 하방으로 돌출형성되어 상기 고정판넬의 프레임 양측에 관통형성되는 고정공에 끼움고정되고, 하부면의 양측단부에는 양측으로 돌출되게 설치되는 볼스프링이 상기 지지판의 가이드홈 중앙부에 형성된 삽입홈을 통해 결합되어 가이드홈에서 상수도관의 자중에 따라 슬라이딩이동되며, 가이드홈 내부의 양단부에는 한 쌍의 스프링이 게재되는 연결편;으로 이루어진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과 일실시예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상수도관을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상수도관을 보인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상수도관의 설치상태를 보인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상수도관의 설치상태를 보인 평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침하방지용 상수도관 설치구조는 먼저, 상수도관(1)을 설치하고자 하는 부분을 지상에서부터 일정한 깊이로 터파기하여 홈을 형성한 다음, 그 터파기된 홈부분의 상부 양측지면에 한 쌍의 부력판넬(10a)(10b)을 안착되도록 설치한다.
이때, 부력판넬(10a)(10b)로 사용되는 재질은 터파기 된 홈 부분에 침하가 발생하더라도 부력을 통해 복원될 수 있는 저항력이 강한 재질을 사용하여야 하는 것으로, NBR(nitrile Budadience Rubber)소재 또는 (저밀도폴리에틸렌)소재를 사용하게 되면, 침하가 발생하여 부력판넬(10a)(10b)의 외형이 변형되더라도 빠른 시간내에 복원이 되어 상수도관(1)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어, 상기 부력판넬(10a)(10b)의 상부면에는 사각형상으로 형성되는 프레 임(12)의 횡방향 양측에 다수의 고정공(13)이 관통형성되며, 프레임(12)의 내부에는 하단에 복수 개의 고정핀(15)이 돌출형성되는 다수 개의 고정바(14)가 일체로 형성되는 고정판넬(11)을 고정설치하되, 부력판넬(10a)(10b)에 대한 고정판넬(11)의 고정은 고정바(14)의 하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다수 개의 고정핀(15)을 상기 부력판넬(10a)(10b)의 상부에 강제로 눌러 고정설치토록 한다.
이어, 상기 터파기된 홈의 바닥면에는 매설되는 상수도관(1)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판(20)을 설치하되, 상기 지지판(20)은 직사각형상의 지지프레임(21)의 내부에 설치되는 다수의 지지바(23)를 통해 상수도관(1)을 지지토록 하며, 지지프레임(21)의 상부면에는 중앙부분에 삽입홈(22')이 요입형성되는 가이드홈(22)을 길이방향으로 형성하고, 그 가이드홈(22) 내부의 양측에는 한 쌍의 스프링(24)을 게재토록 한다.
이어, 상기 고정판넬(11)과 지지판(20)의 연결은 크랭크형상으로 절곡형성되어 수평상태의 상,하부면 및 그 상,하부면을 경사지게 연결하는 중간부가 일체로 형성되는 연결편(30)를 통해 서로 연결되도록 하여 지지판(20)에 안치되는 상수도관(1)의 직경에 관계없이 설치토록 함과 동시에, 지지판(20)의 상부에 설치되는 상수도관(1)을 항상 일정위치에서 벗어남이 없도록 지지토록 하되, 이를 위한 상기 연결편(30)은 수평상태의 상부면의 저면에 다수의 지지핀(31)을 하방으로 돌출형성하여 상기 고정판넬(11)의 프레임(12) 양측에 관통형성되는 고정공(13)에 끼움고정하고, 하부면의 양측단부에 양측으로 돌출되게 설치되는 볼스프링(32)을 상기 지지판(20)의 가이드홈(22) 중앙부에 형성된 삽입홈(22')에 결합하여 가이드홈(22)에서 상수도관(1)의 자중 및 직경에 따라 슬라이딩이동되도록 하여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른 침하방지용 상수도관 설치구조에 의하면, 터파기된 홈 부분에 설치된 지지판(20)의 상부에 상수도관(1)이 설치되어 매설된 상태에서 터파기 된 부분의 주위가 홍수 등의 기타 이유로 침하가 발생되게 되면, 침하에 따라 지표면의 상부면에 설치된 부력판넬(10a)(10b)에서 침하에 대한 저항력 및 반발력이 발생하여 원상태대로 복원하게 되므로서 상수도관(1)의 침하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부력판넬(10a)(10b)은 고정판넬(11)의 고정바(14) 하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부력판넬(10a)(10b)의 상부에서 강제로 눌러 고정하는 다수 개의 고정핀(15)을 통해 지표면과 고정되므로서, 저항력 또는 반발력을 갖는 부력판넬(10a)(10b)을 지표면과 견고하면서도 긴밀하게 고정하게된다.
한편, 상수도관(1)을 매설하기 위해 터파기된 홈에는 다양한 직경의 상수도관(1)이 매설되게 되는 데, 매설되는 상수도관(1)의 직경이 큰 경우에는 안치되는 상수도관(1)의 직경에 따라 중간부가 상수도관(1)의 외주면과 접촉되는 연결편(30)의 하단이 지지판(20)의 가이드홈(22)에서 밀리면서 양측으로 벌어짐과 동시에, 가이드홈(22)의 내부에 게재되는 스프링(24)이 연결편(30)의 하단부에 의해 압축되면서 상수도관(1)의 안치공간을 조절할 수 있게 되어 안치되는 상수도관(1)의 직경에 관계없이 어떠한 크기의 상수도관(1)도 설치가 가능한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 및 구체적인 실시 예와 관련하여 설명하였지 만, 본 발명은 이에 의하여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해 분야의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상수도관이 설치되는 지지판과 연결편을 통해 연결되어 터파기된 홈의 주변에 설치되는 부력판넬에서 발생되는 저항력을 통해 상수도관이 설치되는 지역의 침하나 변형 등이 발생됨이 없이 안전하고 견고한 상태로 매설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수도관을 측면에서 지지하는 연결편을 좌우측으로 슬라이딩되도록 하므로서 지지판에 안치되는 상수도관의 직경과 관계없이 범용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1)

  1. 지상에서부터 일정한 깊이로 터파기된 홈부분에 상수도관(1)을 매설시에 터파기된 홈부분의 상부 양측지면에 안착되어 저항력을 발생하는 한 쌍의 부력판넬(10a)(10b)과;
    사각형상으로 형성되는 프레임(12)의 횡방향 양측에 다수의 고정공(13)이 관통형성되며, 프레임(12)의 내부에는 다수 개의 고정바(14)가 일체로 형성되며, 그 고정바(14)의 하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다수 개의 고정핀(15)을 통해 상기 부력판넬(10a)(10b)의 상부에 고정설치되는 고정판넬(11)과;
    직사각형상의 지지프레임(21)의 내부에 설치되는 다수의 지지바(23)를 통해 상수도관(1)을 지지토록 하며, 지지프레임(21)의 상부면에는 중앙부분에 삽입홈(22')이 요입형성되는 가이드홈(22)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고, 그 가이드홈(22) 내부의 양측에는 한 쌍의 스프링(24)이 게재되어 상기 터파기된 홈의 바닥면에 설치되는 지지판(20)과;
    크랭크형상으로 절곡형성되어 수평상태의 상,하부면 및 그 상,하부면을 경사지게 연결하는 중간부가 일체로 형성되며, 수평상태의 상부면의 저면에는 다수의 지지핀(31)이 하방으로 돌출형성되어 상기 고정판넬(11)의 프레임(12) 양측에 관통형성되는 고정공(13)에 끼움고정되고, 하부면의 양측단부에 양측으로 돌출되게 설치되는 볼스프링(32)은 상기 지지판(20)의 가이드홈(22) 중앙부에 형성된 삽입홈(22')을 통해 결합되어 가이드홈(22)에서 상수도관(1)의 자중에 따라 슬라이딩이동되며, 가이드홈(22) 내부의 양단부에는 한 쌍의 스프링(24)이 게재되는 연결편(3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하방지용 상수도관 설치구조.
KR1020060065538A 2006-07-12 2006-07-12 침하방지용 상수도관 설치구조 KR1006692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65538A KR100669213B1 (ko) 2006-07-12 2006-07-12 침하방지용 상수도관 설치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65538A KR100669213B1 (ko) 2006-07-12 2006-07-12 침하방지용 상수도관 설치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69213B1 true KR100669213B1 (ko) 2007-01-16

Family

ID=380138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65538A KR100669213B1 (ko) 2006-07-12 2006-07-12 침하방지용 상수도관 설치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69213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22774A (ko) * 1993-03-26 1994-10-21 스테펜 이 쿠퍼 빔 파라메타를 전자적으로 측정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100538981B1 (ko) * 2005-09-23 2005-12-26 주식회사 건화엔지니어링 연약지반 설치용 상수도관 보호구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22774A (ko) * 1993-03-26 1994-10-21 스테펜 이 쿠퍼 빔 파라메타를 전자적으로 측정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100538981B1 (ko) * 2005-09-23 2005-12-26 주식회사 건화엔지니어링 연약지반 설치용 상수도관 보호구조

Non-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100538981
200318936
201994002277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76681B1 (ko) 침하방지용 하수도관 지지장치
KR100672009B1 (ko) 상수도관 접합부 고정 장치구조
KR200409783Y1 (ko) 침하방지용 하수도관 지지장치
KR100669213B1 (ko) 침하방지용 상수도관 설치구조
KR100676680B1 (ko) 침하방지용 하수도관 설치구조
KR100584659B1 (ko) 상수도관의 롤러식 보호 구조물
KR200407625Y1 (ko) 침하방지용 하수도관 설치구조
KR100751573B1 (ko) 연약지반 기초보강용 상수도 관거 받침장치
KR100654327B1 (ko) 지중매설 상하수도관로 보호용 행거구조
KR100659397B1 (ko) 수평토압과 수직토압에 견디기 용이한 하수관 연결구조
KR100593838B1 (ko) 공동주택 연약지반 내의 상하수관 파손방지구조
KR100564997B1 (ko) 상수도관 침하 방지장치
KR100598769B1 (ko) 연약지반 하수도관 침하방지구조물
KR200413250Y1 (ko) 하수도, 상수도, 도로, 하천 제방 및 매립장 침출수 배수공사에 사용되는 관거의 이탈 방지 앵커 설치 구조
KR20080018569A (ko) 지중에 형성되는 관로의 고정수단
KR200406776Y1 (ko) 연약지반 상하수도관 침하방지용 방석매트 지지구조
KR200184230Y1 (ko) 매설관 지지장치
KR101748776B1 (ko) 연약지반의 하수도관 침하 방지장치
KR200388847Y1 (ko) 맨홀 보강구조
JP4381855B2 (ja) 水中既設構造物の仮締切り構造及び仮締切り工法
KR100582985B1 (ko) 맨홀의 보강 구조물
KR100623930B1 (ko) 긴밀한 결합을 갖는 하수도관 연결구조
KR100596032B1 (ko) 상수도관 침하 방지장치
JP2016056612A (ja) 水平修復可能な建物の基礎構造
KR102403819B1 (ko) 야외 배수로 인근 침하 방지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0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9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9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9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