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68477B1 - 피복된 전기 전도체를 위한 자동노출 접속 장치 - Google Patents

피복된 전기 전도체를 위한 자동노출 접속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68477B1
KR100668477B1 KR1020010032263A KR20010032263A KR100668477B1 KR 100668477 B1 KR100668477 B1 KR 100668477B1 KR 1020010032263 A KR1020010032263 A KR 1020010032263A KR 20010032263 A KR20010032263 A KR 20010032263A KR 100668477 B1 KR100668477 B1 KR 1006684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p
tightening
exposure
connection device
c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322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112591A (ko
Inventor
베샤버나드
귈레르미어로랑트
Original Assignee
엔트렐렉 에스.에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엔트렐렉 에스.에이 filed Critical 엔트렐렉 에스.에이
Publication of KR200101125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1125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684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684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24Connections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or cutting insulation or cable strands
    • H01R4/2416Connections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or cutting insulation or cable strands the contact members having insulation-cutting edges, e.g. of tuning fork type
    • H01R4/242Connections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or cutting insulation or cable strands the contact members having insulation-cutting edges, e.g. of tuning fork type the contact members being plates having a single slot
    • H01R4/2425Flat plates, e.g. multi-layered flat plates
    • H01R4/2429Flat plates, e.g. multi-layered flat plates mounted in an insulating bas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58Means for relieving strain on wire connection, e.g. cord grip, for avoiding loosening of connections between wires and terminals within a coupling device terminating a cable
    • H01R13/5833Means for relieving strain on wire connection, e.g. cord grip, for avoiding loosening of connections between wires and terminals within a coupling device terminating a cable the cable being forced in a tortuous or curved path, e.g. knots in ca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Installation Of Indoor Wiring (AREA)
  • Cable Accessories (AREA)
  • Suspension Of Electric Lines Or Cables (AREA)
  • Manufacturing Of Electrical Connectors (AREA)
  • Connection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Conductors (AREA)
  • Processing Of Termin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절연 피복물(7)로 둘러싸인 전도체 코어(9)를 포함하는 접속 장치에 관한 것으로, 전도체 코어(9)까지 케이블(8)의 전도체 코어를 접속 및 고정시키기 위해, 절연 피복물(7)을 절개하도록 하는 노출 및 고정 간극(6)을 한면에 포함하는 튜브 동체(5)에 의해 형성된 1 이상의 노출 및 접속 조오(4)가 구비된 상호 접속 부재(2)와, 노출 간극(6)에 대향 배치된 벽면에서, 케이블(8)의 절연 피복물(7)을 핀칭 처리하도록 하는 조임 간극(16)을 포함하고, 노출 조오(4)가 배치된 내부에 1 이상의 접속 챔버(15)를 구획하는 절연 케이스(3)를 포함한다. 조임 간극(16)은 노출 간극(6)에 대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측면 이동된다.

Description

피복된 전기 전도체를 위한 자동노출 접속 장치{Autostripping connection apparatus for sheathed electric conductor}
도 1은 본 발명의 접속 장치의 부분 전개도를 도시한다.
도 2는 전도체의 도입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3은 도 1의 선 III-III을 따른 횡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장치의 기타의 구체예를 도시한다.
본 발명은 피복된 전기 전도체의 접속을 위한 자동노출 접속 장치의 기술 분야에 관한 것이다.
자동노출 접속에 의하여 교차 블록에 해당하는 부재와 같은 피복된 전기 전도체의 접속을 수행하는 것은 공지되어 있다. 이러한 자동노출 접속이 가능한 장치는 거의 전기 전도체의 직경에 해당하는 크기를 갖는 간극을 포함하는 전기 전도체 조오(machoire)를 포함하며, 여기서 간극의 축을 따라 클램프(etrier)내에서 전도체를 도입하는 동안 예리한 에지가 전도체와 클램프의 사이에 전기 접속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절연 피복을 절개하게 된다. 클램프는 클램프의 간극과 함께 정렬 되는 간극 자체를 포함하는 절연 지지체내에 장착되며, 이는 피복물의 조임으로 전도체가 통과하게 된다. 조오가 전도체를 유지하고, 이러한 유지 및 기계적 고정은 절연 지지체내에 설치된 간극내에서 절연 피복물의 조임에 의해 개선된다.
이러한 구조는 전도체의 종축에서의 전도체의 견인력 및 진동이 양호하게 유지된다. 그러나, 간극의 방향에서의 견인력의 경우 그리고 특정의 성질을 갖는 절연 피복물을 갖는 케이블을 사용하면 전도체 케이블의 조임을 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전술한 유형의 피복 전기 전도체를 위한 자동노출 접속 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으로서, 여기서, 간극의 방향으로 전도체의 조임이 개선된다.
이를 위해서, 절연 피복물을 둘러싼 전도성 코어를 포함하는 1 이상의 전기 케이블의 접속을 위한 자동노출 접속 블록은,
- 전도체 코어까지 케이블의 전도체 코어를 접속 및 고정시키기 위해, 절연 피복물을 절개하도록 하는 노출 및 고정 간극을 한면에 포함하는 튜브 동체에 의해 형성된 1 이상의 노출 및 접속 조오가 구비된 상호 접속 부재,
- 노출 간극에 대향 배치된 벽면에서, 케이블의 절연 피복물을 핀칭 처리하도록 하는 조임 간극을 포함하고, 노출 조오가 배치된 내부에 1 이상의 접속 챔버를 구획하는 절연 케이스를 포함하는 유형의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접속 블록은 조임 간극은 노출 간극에 대해 적어도 부분 적으로 측면 이동된다.
요구되는 유지 응력의 중요성에 따라서, 분리된 방식으로 또는 실현 가능한 여러가지의 조합에 의해 여러가지의 구조로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특징에 의하면, 조임 간극의 축은 노출 조오의 축에 대해 평행하며, 이에 대해 측면에서 이동한다. 이와 같이, 전도체는 수직은 아니나 개방된 S자 형태를 띠는 절연 지지체의 외부와 클램프의 내부의 사이에서의 경로를 따라 수행되는데, 이는 케이블의 유지를 촉진하며 본 발명에 의한 블록에 의해 수행되는 접속 견입력에 대한 저항을 강화하게 된다.
본 발명의 기타의 특징에 의하면, 조임 간극은 구배가 형성되어 있고, 이러한 구배는, 접속 위치에서 전도체의 통과시키는 조임 간극 영역이 동일한 접속 위치에서 전도체를 수용하는 노출 간극 영역에 대하여 측면 이동된다. 이러한 경우, 조임 저항이 촉진되도록 전도체는 직선이 아닌 형태를 갖게 된다.
본 발명의 기타의 특징에 의하면, 조임 간극은 국부적으로 좁아지는 것이 바람직하기는 하나, 전도체가 도입되도록 간극의 단부 부근에 반드시 배치될 필요는 없다.
이와 같이 조임 간극의 국부적으로 좁아지는 것은 간극 방향에서 접속된 케이블의 접속에 대치되도록 하는 장애물을 형성할 수도 있다.
좁아지는 영역에서는, 조임 간극의 크기가 이의 종방향에서의 나머지 부분에서의 크기보다 작은 것이 이롭다.
간극 방향에서의 조임 저항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절연 지지체내에서 형성된 간극의 좁아짐이 배플(chicane)형 출구를 구획하도록 종방향의 나머지 부분에서의 간극의 축에 대해 측면 이동한다.
제1 구체예에 의하면, 절연 지지체내에 형성된 간극의 국부적으로 좁아지는 것은 이의 몰딩 동안 절연 지지체의 구조에 의해 얻어진다.
또다른 구체예에 의하면, 절연 지지체내에 형성된 간극의 국부적으로 좁아지는 것은 독립적으로 수행된 부재의 지지체상에서의 고정에 의해 얻어진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전기 케이블의 위치의 유지는 노출 조오의 간극 정도의 높이에서 전도성 코어의 핀칭을 생성할 수 있으며, 또한 절연 케이스의 조임 간극의 높이에서 케이블의 전도성 코어를 둘러싼 절연 피복물에 형성되는 가압이 생성된다. 이러한 2 가지의 핀칭 및 조임의 효과는 노출 및 조임의 간극에서의 적어도 부분적으로 이동된 구조에 의해 더욱 강화된다.
또한, 본 발명은 절연 케이스의 조임 간극에 의해 얻는 접속된 케이블의 고정을 개선시키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특징에 의하면, 조임 간극은 지지물로 불리우는 제1의 부재가 조임으로 불리우는 제2의 부재보다 두께가 큰 케이스의 벽면의 2개의 부재에 의해 구획된다. 지지 부재는 노출 간극의 대칭 축상면에 더욱 근접하게 배치된 조임 간극의 2 개의 에지를 구획하는 것이 바람직하기는 하나, 필수 사항은 아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성에 의하면, 조임 부재는 변형 가능한 탄성을 지니며, 지지 부재보다 강성이 적다. 그래서, 조임 부재는 지지 부재에 대해서 조임 간극내에서 맞물린 케이블을 제거하게 된다.
본 발명의 또다른 특징에 의하면, 조임 부재는, 조임 간극의 유입 단부에 대한 이격에 따라서 강성이 증가하도록 형성된다. 그래서, 조임 부재는 조임 간극의 유입 단부에 대향되도록 배치되고, 접속 위치에서 전기 케이블을 수용하게 되는 영역내에서 최대 강성을 갖는다.
본 발명의 또다른 특징에 의하면, 조임 부재는 절연 케이스의 측면과 일체형을 이룬다. 조임 부재를 포함하는 측면벽의 일부분이 피복된 전도체의 통과 동안 포함하게 되는 벽면과 조임 부재의 탄성 변형을 촉진하도록 하는 오목 외부면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나, 필수 사항은 아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조임 부재를 포함하는 측면벽의 일부분은 절연 케이스의 공칭 두께가 도입 단계 동안 증가되지 않으면서 접속하고자 하는 케이블의 도입 동안 변형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이와 같은 이로운 특성은 다수의 장치를 수행하는 경우, 접속시키고자하는 전도체의 배치 동안 병렬 배치에서 완전히 교란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한면을 다른면의 옆에 배치시킬 수 있다. 사실상, 전도체의 통과시 측벽이 변형되고, 케이스의 공칭 공간 내에서 체류하여, 전기 케이블의 접속에 의해 교란되지 않게 되는 위치에 이웃하는 케이스 상에서 구속이 형성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기타의 특성에 의하면, 접속된 케이블이 조기에 접속 해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지지 부재는 조임 간극의 도입 단부의 높이에서 조임 간극의 국부적으로 좁아지는 부위를 구획하는 돌출 부재가 형성된다.
본 발명의 또다른 특징에 의하면, 접속시키고자 하는 케이블을 더욱 용이하 게 도입하기 위해, 케이스의 벽면 부분은 돌출 부재에 대향 배치된 조임 부재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취지에서 그리고 본 발명의 기타의 특성에 의하면, 조임 부재를 포함하는 케이스의 측면벽의 내부면은 돌출 부재와 대향 배치된 오목 부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다른 특징에 의하면, 조임 부재는 돌출 부재와 대향 배치된 보강재를 형성한다.
또다른 특성에 의하면, 조오의 동체는 거의 "C"자형의 수직 섹션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성에 의하면, 조오 동체는, 대향 단부가 노출 간극의 에지를 형성하는 각각의 아암을 코어와 대향 위치로 포함하는 거의 평행한 2 개의 분기부(branch)로 연장되는 코어를 포함하는 거의 다각형인 횡단 수직 섹션을 갖는다. 아암은 서로를 향해서 노출 조오의 동체의 코어와 반대로 대향 위치로 집중되어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특성은 특히 전기 케이블의 유지 및 고정에 의하여 노출 조오의 효과를 강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타의 다양한 특성은 본 발명의 목적의 수행을 위한 비제한적인 여러 형태를 예시하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면 명백할 것이다.
도 1 및 도 2를 살펴보면, 조립체에서 도면 부호 1로 표시한 본 발명에 의한 접속 장치는 절연재로 이루어진 케이스(3)내에 배치된 전기 전도체 소재로 이루어진 상호접속 부재(2)를 포함한다.
상호접속 부재(2)에는 1 이상의 노출 및 접속 조오(4)가 구비된다. 예시된 구체예에 의하면, 상호접속 부재(2)는 도시된 노출 조오(4)와 대향으로 제2의 노출 조오(도시하지 않음)를 포함하는 것으로 간주된다.
도 3에 의하면, 노출 조오는, 전도성 코어(9)를 접속 및 고정시키기 위한 케이블의 전도성 코어(9)까지 전기 케이블(8)의 절연 피복물(7)을 절개하도록 하는 노출 및 고정 간극(6)을 한면에 포함하는 튜브형 동체(5)로 형성된다.
조오(4)는 거의 평행한 2 개의 분기부(11)가 연장된 것으로부터 코어(10)를 포함하는 다각형 횡단 수직 섹션을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각각의 분기부(11)는 코어(10)와 대향 위치에서 아암(12)을 포함하는데, 여기서 자유 단부는 노출 및 고정 간극(6)의 에지(13)를 형성한다. 에지(13)는 노출 조오(4)의 대칭형 동체의 축상면(P1)의 양쪽에 위치한다. 아암(12)은 코어(10)와 대향 방향으로 서로를 향해 집중되어 있는 것이 본 발명의 수행에 있어서 바람직하나, 필수 사항은 아니다. 이러한 본 발명의 특성은 노출 및 고정 간극(6)내에 배치되는 동안 전기 케이블(8)의 고정 효율을 개선시킬 수 있다.
도 1 및 도 3에 의하면, 절연 케이스(3)는 노출 조오(4)가 배치되어 있는 내부에 접속 챔버(15)를 구획한다. 노출 챔버(15)는 노출 간극(6)에 대향 배치되는 벽면에서, 조오(4)에 접속되는 동안 전기 케이블(8)을 통과시키도록 하는 조임 간극(16)을 형성한다.
화살표(F1)의 방향으로 노출 간극의 축(Δ)에 평행한 변이 이동에 의해 노출 간극(6)과 조임 간극(16)의 2 개에서 맞물리기 이전에, 노출 간극(6)과 조임 간극(16)에 수직하게 케이블(8)을 배치하기 위해 절연 케이스(3)는 조임 간극(16)의 도입 단부(17)의 높이에서 개구부(18)를 형성하여야 한다.
도 1∼도 3에 도시된 바람직한 구체예에 의하면, 도 2에 상세하게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면에 대하여 조임 간극의 축(Δ')은 노출 간극의 축(Δ)에 평행하며, 노출 간극에 대하여 측면 이동된다. 이러한 노출 간극(6) 및 조임 간극(16)의 특정 장치는 접속된 전기 케이블에서 전기 케이블이 잘 고정되도록 S자 형태를 갖는다.
한편, 예시된 바람직한 구체예에 의하면, 조임 간극은 조임 간극의 에지를 각각 형성하는 케이스(3)의 2 개의 벽면 부재(20, 21)로 구획된다. 이러한 2개의 부재(20, 21)는 작동을 가능케 하며, 조임 간극(16)에서 맞물리는 피복된 전기 케이블이 가능한한 잘 고정되도록 하기 위해 서로 상이한 형태로 형성된다.
그리하여, 조임 간극(16)은 "조임"으로 칭하는 제2의 벽면 부재(21)가 배치된 것에 대향 위치에서 제1의 "지지물" 부재(20)에 의해 구획된다.
예시된 바람직한 구체예에 의하면, 지지 부재(20)는 노출 조오(4)의 대칭 축상면(P1)에 더욱 근접하는 조임 간극(16)의 에지를 형성한다. 예시된 실시예에 의하면, 지지 부재(20)는 조임 부재(21)보다 두께가 더 두껍다. 이러한 두께차는 접속시키고자 하는 전기 케이블의 배치시 지지 부재(20)와 조임 부재(21)의 형태 차이와 관련된 것이 바람직하다. 사실상, 조임 부재(21)는 접속시키고자 하는 전기 케이블(8)의 도입시에 탄성 변형되도록 형성되는 반면, 지지 부재(20)는 조임 부재(21)에 의해 지지 부재(20)에 대해 조여지게 되는 전기 케이블(8)에 거의 경질 인 지지물을 제공하도록 형성된다.
조임 간극으로의 도입에 장애물이 되지 않도록 하면서 접속 위치에서 전기 케이블(8)이 잘 고정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조임 부재(21)가, 도입 단부(17)에 대하여 이격됨에 따라 증가하는 강성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강성은 도입 단부(17)와 대향 배치되는 조임 간극(16) 영역 내에서 최대가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시된 실시예에 의하면, 조임 부재(21)는 절연 케이스(3)의 측벽(23)과 일체형인 파형부(rib)로 형성된다.
조임 부재(21)의 변형 능력을 비교하기 위해, 측벽(23)은 외부면의 높이에서 오목 영역(24)을 형성한다. 조임 부재(21)의 증가하는 강성을 비교하도록, 오목 영역(24)의 중심은 도입 단부(17)에 이웃하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사실상, 오목부(24)는 측벽(23)에서 도입 단부(17)에 대해서 이격됨에 따라 두께가 증가되는 것을 비교한다.
본 발명의 이로운 특성에 의하면, 측벽(23)의 오목부(24)는 조임 간극(17)에 케이블이 도입되는 동안, 조임 부재(21) 및 측벽(23)은 절연 케이스(3)의 공칭 두께를 증가시키지 않고도 변형되도록 하는 크기를 갖는다.
따라서, 노출 간극(6) 및 조임 간극(16)내에서 케이블의 진행에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접속 블록내에 케이블을 배치하는 동안, 지지 부재(20)는 부동 상태로 있는 반면, 지지 부재에 대해 케이블의 피복물을 구속하기 위해, 조임 부재는 우선 비스듬하게 형성된다. 이와 같이 조임 부재에 의해 형성된 구속은 본 발명에 의한 장치에서 수행된 접속 견인력에 대한 저항이 우수하고 실질적인 고정 기능을 제공하는 좁아지는 방식을 형성하는 지지 부재 모두를 포함하는 피복물의 변형을 유발하게 된다.
노출 간극(6)과 조임 간극(16)을 제외한 접속된 케이블이 조기에 완전 제거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노출 간극은 도입 단부의 부근에서 국부적으로 좁아진 부위(25)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기는 하나, 필수적인 사항은 아니다.
예시된 구체예에 의하면, 좁아진 부위(25)는 지지 부재(20)의 통합부를 형성하고, 도입 단부(17)와 같은 높이에 배치되는 돌출 부재(26)에 의해 형성된다. 한편, 돌출 부재(26)는 도입 단부(17)와 대향 배치된 영역(27)의 크기보다 작은 크기를 지니며, 접속 위치에 케이블(8)이 배치되는 높이에서 좁아진 부위(25)를 구획한다.
예시된 구체예에 의하면, 돌출 부재(26)의 존재에도 불구하고, 조임 간극내에 전기 케이블을 용이하게 도입시키도록 하기 위해, 조임 부재(21)를 포함하는 벽면(23)은 돌출 부재(26)에 대향 배치된 영역 내에서 가늘어지게 된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벽면의 내부면(23)은 돌출 부재(26)에 대향 배치된 오목 영역(28)을 포함한다.
한편, 조임 부재(21)는 돌출 부재(26)와 대향 배치된 보강 부재(30)의 형상을 띠는 것이 바람직하나, 엄밀하게는 필수 사항은 아니다. 이러한 보강 부재(30)는 돌출 부재(26)와 함께 조임 간극(16)을 제외한 돌출 부재(26)의 조기에 접속 해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다.
한편, 지지 부재(20)와 조임 부재(21)와 같은 돌출 부재(26)와 보강 부재(30)는, 일단 케이블이 비-회송 시스템 방식으로 약간 완전 접속되면, 비-회송 시스템 방식으로 케이블을 고정시키기는 하나, 케이스 내에서 그리고 노출 간극 내에서 전기 케이블의 도입에 대해 장애물이 되지 않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비-회송을 강화하기 위해, 조임 간극(16)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배플형 구조를 갖도록, 좁아진 부위(25)는 조임 간극(16)의 축(Δ')에 대해 측면 이동된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한 접속 장치는 노출 간극(6) 및 조임 간극(16)에 횡단 방향으로 또는 평행 방향으로 형성되는 진동 또는 견인력의 영향하에 접속된 케이블의 조기에 접속 해제될 위험에 대한 방지력이 우수하다.
상기 예시된 구체예에 의하면, 접속된 위치의 전기 케이블이 위치하는 조임 간극의 고정 영역의 이동은 노출 간극(6)의 축을 기준으로 하여 조임 간극(16)의 축의 완전 측면 이동에 의해 얻을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의하면, 고정 영역(26)의 이와 같은 이동은 기타의 어떠한 방법으로도 얻을 수가 있다.
도 4에는, 조임 간극(16)의 축(Δ')은 노출 및 고정 간극(6)의 축(Δ)에 대해 기울어져 있는 본 발명의 기타의 구체예를 도시한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면, 접속 위치에서 전기 케이블이 위치하는 조임 간극(16)의 부분(27)은 노출 간극(6)에 대해 측면 이동된다.
물론, 본 발명은 상기한 구체예에 의해서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각종의 변형예를 모두 포함한다. 그래서, 특히 상기한 각종의 특성은 본원 발명의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으면서 각종의 조합 범위내에서 또는 단독으로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전기 케이블의 위치의 유지는 노출 조오의 간극 정도의 높이에서 전도성 코어의 핀칭을 생성할 수 있으며, 또한 절연 케이스의 조임 간극의 높이에서 케이블의 전도성 코어를 둘러싼 절연 피복물에 형성되는 가압이 생성된다. 이러한 2 가지의 핀칭 및 조임의 효과는 노출 및 조임의 간극에서의 적어도 부분적으로 이동된 구조에 의해 더욱 강화된다.

Claims (22)

1 이상의 전기 케이블(8)을 접속시키기 위한 자동노출 접속 장치로서,
전도체 코어(9)까지 케이블(8)의 전도체 코어를 접속 및 고정시키기 위해, 절연 피복물(7)을 절개하도록 하는 노출 및 고정 간극(6)을 한면에 포함하는 튜브 동체(5)에 의해 형성된 1 이상의 노출 및 접속 조오(4)가 구비된 상호 접속 부재(2)와,
노출 간극(6)에 대향 배치된 벽면에서, 케이블(8)의 절연 피복물(7)을 핀칭 처리하도록 하는 조임 간극(16)을 포함하고, 노출 조오(4)가 배치된 내부에 1 이상의 접속 챔버(15)를 구획하는 절연 케이스(3)를 포함하는 유형의, 절연 피복물(7)로 둘러싸인 전도체 코어(9)를 포함하고,
조임 간극(16)은 노출 간극(6)에 대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측면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노출 접속 장치.
제 1 항에 있어서, 조임 간극(16)의 축(Δ')은 접속된 위치에서의 케이블(8)을 수용하는 조임 간극의 영역(27)이 노출 간극(6)에 대하여 측면 이동되도록 노출 간극(6)의 축(Δ)에 대해 기울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노출 접속 장치.
제 1 항에 있어서, 조임 간극(16)은 노출 간극(6)의 축(Δ)에 대해 평행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노출 접속 장치.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조임 간극(16)은 국부적으로 좁아진 부위(2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노출 접속 장치.
제 4 항에 있어서, 조임 간극(16)의 국부적으로 좁아진 부위(25)가 조임 간극(6)의 도입 단부(17)의 부근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노출 접속 장치.
제 5 항에 있어서, 조임 간극(16)의 좁아진 부위(25)는 조임 간극(16)의 축(Δ')에 대하여 측면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노출 접속 장치.
제 4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조임 간극(16)의 국부적으로 좁아진 부위(25)는 이의 몰딩 동안 절연 케이스(3)의 형태에 의해 얻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노출 접속 장치.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조임 간극(16)은 지지물로 불리우는 제1의 부재(20)가 조임으로 불리우는 제2의 부재(21)의 두께보다 큰 두께를 갖는 케이스(3)의 2 개의 벽면 부재에 의해 구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노출 접속 장치.
제 8 항에 있어서, 지지 부재(20)는 노출 부재(6)의 축상면(P1)에 더 근접하게 배치되는 조임 간극(16)의 에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노출 접속 장치.
제 8 항 또는 제 9 항에 있어서, 조임 부재(21)는 탄성 변형 가능하며, 지지 부재(20)의 강성보다 낮은 강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노출 접속 장치.
제 10 항에 있어서, 조임 부재(21)는 조임 간극(16)의 도입 단부를 따른 이격에 의해 강성이 증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노출 접속 장치.
제 11 항에 있어서, 조임 부재(21)는 조임 간극(16)의 도입 단부에 대향 배치되고 접속 위치에서 전기 케이블(8)을 수용하도록 하는 영역(27)내에서 최대 강성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노출 접속 장치.
제 8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조임 부재(21)는 절연 케이스(3)의 측벽(23)과 일체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노출 접속 장치.
제 13 항에 있어서, 조임 부재(21)를 포함하는 측벽(23)의 일부분은 오목 외부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노출 접속 장치.
제 13 항 또는 제 14 항에 있어서, 조임 부재(21)를 포함하는 측벽(23)의 일부분은 케이블의 도입 동안 절연 케이스(3)의 공칭 두께를 증가시키지 않으면서 접속시키고자 하는 케이블의 도입시에 변형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노출 접속 장치.
제 8 항 내지 제 1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지지 부재(21)는 조임 간극(16)의 도입 단부의 높이에서, 조임 간극(16)의 국부적으로 좁아진 부위(25)를 구획하는 돌출 부재(2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노출 접속 장치.
제 16 항에 있어서, 돌출 부재(26)와 대향 배치되는 조임 부재(16)를 포함하는 벽(23)의 일부분은 점점 가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노출 접속 장치.
제 14 항 내지 제 1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조임 부재(21)를 포함하는 케이스(3)의 측벽(23)의 내부면은 돌출 부재(27)에 대향 배치된 오목 영역(28)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노출 접속 장치.
제 16 항 내지 제 1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조임 부재(21)는 돌출 부재(26)에 대향 위치에 보강재(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노출 접속 장치.
제 1 항 내지 제 1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조오(4)의 동체(5)는 거의 C자형 수직 섹션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노출 접속 장치.
제 1 항 내지 제 2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조오(4)의 동체(5)는, 단부가 노출 간극(6)의 에지를 구획하는 직각의 아암(13)을 코어(10)에 대향하게 포함하는 거의 평행한 2 개의 분기부(11)로 연장되어 있는 코어(10)를 포함하는 거의 다각형인 횡단 수직 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노출 접속 장치.
제 21 항에 있어서, 2개의 아암(13)은 조오(4)의 동체(5)의 코어(10)에 대향하게 서로를 향해 집중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노출 접속 장치.
KR1020010032263A 2000-06-09 2001-06-09 피복된 전기 전도체를 위한 자동노출 접속 장치 KR10066847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00.07460 2000-06-09
FR0007460A FR2810165B1 (fr) 2000-06-09 2000-06-09 Dispositif de connexion autodenudante pour un conducteur electrique gain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112591A KR20010112591A (ko) 2001-12-20
KR100668477B1 true KR100668477B1 (ko) 2007-01-12

Family

ID=88511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32263A KR100668477B1 (ko) 2000-06-09 2001-06-09 피복된 전기 전도체를 위한 자동노출 접속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6561840B2 (ko)
EP (1) EP1162690B1 (ko)
KR (1) KR100668477B1 (ko)
CN (1) CN1213516C (ko)
DE (1) DE60100828T2 (ko)
ES (1) ES2208533T3 (ko)
FR (1) FR281016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S2913857T3 (es) * 2015-12-28 2022-06-06 Simon S A U Contacto eléctrico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4127896C2 (de) * 1991-08-22 1996-10-24 Krone Ag Anschlußleiste für die Fernmelde- und Datentechnik
GB9220575D0 (en) * 1992-09-30 1992-11-11 Weidmuller Klippon Products Li Electric connector
DE4341152C1 (de) * 1993-12-02 1995-03-16 Quante Ag Anschlußleiste zur abisolierfreien Kontaktierung von Adern
JP2964446B2 (ja) * 1994-11-22 1999-10-18 矢崎総業株式会社 圧接コネクタ
JPH08180909A (ja) * 1994-12-26 1996-07-12 Sumitomo Wiring Syst Ltd 圧接コネクタ
JPH1116612A (ja) * 1997-06-20 1999-01-22 Yazaki Corp 電線の接続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20031936A1 (en) 2002-03-14
FR2810165B1 (fr) 2006-10-06
EP1162690B1 (fr) 2003-09-24
CN1213516C (zh) 2005-08-03
EP1162690A2 (fr) 2001-12-12
EP1162690A3 (fr) 2002-05-15
CN1328359A (zh) 2001-12-26
KR20010112591A (ko) 2001-12-20
US6561840B2 (en) 2003-05-13
DE60100828T2 (de) 2004-04-08
ES2208533T3 (es) 2004-06-16
FR2810165A1 (fr) 2001-12-14
DE60100828D1 (de) 2003-10-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595645C2 (ru) Устройства для кабельного зажима с разгрузкой натяжения кабеля и способов использования таковых
EP1503453B1 (en) H-Tap compression connector
KR200380818Y1 (ko) 와이어 하네스의 프로텍터
JP2008533970A (ja) ワイヤケーブルトレー用接続板
WO2004045025A2 (en) Clamping apparatus for connecting ground wire to grounding member
KR20100072050A (ko) 와이어링 하네스용 전기 접합 어셈블리
NO157520B (no) Anordning for elektrisk forbindelse av ikke isolerte ledninger med strekkavlastere for hver ledning.
US6375491B1 (en) Device for connecting a multipair cable with reduced crosstalk between pairs
MX2012002912A (es) Caja terminal para cables opticos.
CN107548528A (zh) 接线夹
FI74840C (fi) Anslutningsklaemma foer avisoleringsfri anslutning av elledningar vid telekommunikationsanordningars, speciellt vid samtalsfoermedlingsanordningars foerdelare.
KR100668477B1 (ko) 피복된 전기 전도체를 위한 자동노출 접속 장치
US10189424B2 (en) Structure for connecting electric wires and wire harness
MXPA97003709A (es) Separador de soporte para cable aereo.
WO2020236627A1 (en) Pathway isolation fitting for a fiber trough system
MXPA02006067A (es) Conector de desplazamiento de aislante con contactos invertidos de bordes cortantes.
US7223119B2 (en) Cable connector assembly and system
US7803000B2 (en) Wire connection unit
CN109716607A (zh) 用于柔性金属导管的附接的基于销的非金属配装件
JP4125804B2 (ja) ジョイントボックス
KR200176390Y1 (ko) 전선 접속용 분기 슬리브
KR200421637Y1 (ko) 원형 밴드 케이블
FI105296B (fi) Jatkosholkki tai liitin sähkökaapeleiden jatkos- tai haaroitusliitoksia varten
US10665971B2 (en) Cable connector and cable termination
SU951499A1 (ru) Электрический зажим дл проводов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3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9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