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68459B1 - 폐합성수지함유종이 분리수거장치 - Google Patents

폐합성수지함유종이 분리수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68459B1
KR100668459B1 KR1020050080060A KR20050080060A KR100668459B1 KR 100668459 B1 KR100668459 B1 KR 100668459B1 KR 1020050080060 A KR1020050080060 A KR 1020050080060A KR 20050080060 A KR20050080060 A KR 20050080060A KR 100668459 B1 KR100668459 B1 KR 1006684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per
case
synthetic resin
space
paper dischar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800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진수
Original Assignee
이진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진수 filed Critical 이진수
Priority to KR10200500800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6845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684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684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5/00Gathering or removal of refuse otherwise than by receptacles or vehicles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CPRODUCTION OF CELLULOSE BY REMOVING NON-CELLULOSE SUBSTANCES FROM CELLULOSE-CONTAINING MATERIALS; REGENERATION OF PULPING LIQUORS; APPARATUS THEREFOR
    • D21C5/00Other processes for obtaining cellulose, e.g. cooking cotton linters ;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choice of cellulose-containing starting materials
    • D21C5/02Working-up waste pap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2210/00Equipment of refuse receptacles
    • B65F2210/12Crush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2240/00Types of refuse collected
    • B65F2240/156Pap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64Paper recyc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PVC벽지나 실크벽지, 그 밖의 합성수지 코팅벽지를 포함한 합성수지함유종이를 사용한 후 폐기할 때에 종이와 합성수지를 따로 분리 수거하여 재활용하기 위한 폐합성수지함유종이 분리수거장치에 관한 것으로, 종래의 폐합성수지함유종이 분리수거장치는 케이스 냉각수단이 없었기 때문에 종이 분리과정에서 고열에 노출되는 합성수지가 녹아서 회전칼날을 포함한 회전축과 케이스의 내주면에 늘러 붙게 되므로 수시로 회전축과 케이스를 청소해주어야 하는 불편이 있었고 애써 분리된 종이도 다시 합성수지에 늘러 붙게 되므로 종이 분리 효율도 그다지 좋지 못하게 되는 문제가 있었던 바, 타격날개(21)를 포함하는 회전축(20)이 내부 하부에 설치되는 케이스(10)의 외부 둘레에 제2케이스(50)를 설치하고, 케이스(10) 및 제2케이스(50) 사이의 공간을 격벽(51)을 통해 상하로 구획하여 격벽(51) 상부 공간에 종이배출관체(30)와 연결되는 흡기공간부(A)를 마련하는 동시에 케이스(10)의 상부 둘레에 흡기공간부(A)와 연결되는 다수의 종이배출소공(12)을 형성하며, 격벽(51)의 하부 공간에 순환 냉각수가 충전되는 냉각공간부(B)를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본 발명에 의하면 회전축(20)의 고속 회전을 통해 케이스(10) 내부에서 폐합성수지함유종이의 합성수지와 종이가 분리되는 과정에서 케이스(10) 내부 하부 공간이 과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므로 분리된 합성수지가 회전축(20)이나 케이스(10), 분리된 종이에 다시 엉겨 붙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어 분리수거장치의 유지관리를 극히 용이할 수 있게 되며, 케이스(10) 내부 상부로 비 산되는 미립 종이를 종이배출소공(12) 및 흡기공간부(A)를 통해 종이배출관체(30)로 원활하게 유도할 수 있게 되어 종이 분리 효율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게 되는 등의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폐합성수지함유종이, 분리장치, 제2케이스, 흡기공간부, 냉각공간부

Description

폐합성수지함유종이 분리수거장치 { a paper separating apparatus for a plastic coating paper }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의 종단면도
도 2는 동 실시예의 요부 횡단면도
* 도면 부호중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100 : 폐합성수지함유종이 분리수거장치
10 : 케이스 11 : 투입구
12 : 종이배출소공 20 : 회전축
21 : 타격날개 30 : 종이배출관체
40 : 흡입팬 50 : 제2케이스
51 : 격벽 60 : 회전긁게
61 : 긁게편 70 : 회전긁게 구동모터
A : 흡기공간부 B : 냉각공간부
본 발명은 PVC벽지나 실크벽지, 그 밖의 합성수지 코팅벽지를 포함한 합성수 지함유종이를 사용한 후 폐기할 때에 종이와 합성수지를 따로 분리 수거하여 재활용하기 위한 폐합성수지함유종이 분리수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자세하게는 잘게 자른 폐합성수지함유종이를 타격하면서 종이와 합성수지를 분리하는 과정에서 본체가 가열되어 추출되는 합성수지가 서로 엉겨붙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개선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종이는 잘 찢어지는 등 내구성이 약할 뿐 아니라 방수가 되지 않아 물에 취약하게 되는 바, 종이에 합성수지필름을 코팅하거나 함유시키는 경우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됨은 물론 뛰어난 방수효과도 기대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벽에 부착 설치하여 실내공간을 아름답게 꾸밀 수 있도록 하는 벽지의 경우 단순히 종이로만 된 것보다는 PVC벽지나 실크벽지, 그 밖의 합성수지 코팅벽지 등 합성수지함유종이로 제작된 것을 많이 사용하고 있는 실정이며, 그 밖의 다른 산업분야에 있어서도 합성수지함유종이를 많이 사용하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합성수지함유종이는 합성수지와 종이의 두 종류의 원료로 제작된 것이므로 사용하고 난 후 재활용하기 위해서는 합성수지와 종이를 각각 분리할 필요가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 합성수지함유종이를 사용하고 난 후 재활용을 위해 합성수지와 종이를 분리하는 폐합성수지함유종이 분리수거장치에 관계하는 것으로, 종래에 있어서 이러한 폐합성수지함유종이 분리수거장치는 실용신안등록 제246778호와 같이 내부가 밀폐된 공간을 가지며 상부에 유입관체와 배출관체가 장착된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중앙에 구동수단에 의해 회전하며 소정의 회전칼날이 구비된 회전축; 상기 케이스 내벽에 부착되는 소정의 고정칼날; 상기 케이스 내부로 에어를 주입시키며 배출관체로 배출시키는 송풍장치로 구성된 것 등이 주로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상기 폐합성수지함유종이 분리수거장치에 있어서는 케이스 내부에 잘게 자른 폐합성수지함유종이를 투입하고 회전축을 고속 회전시키게 되면 회전칼날에 의해 폐합성수지함유종이가 타격되면서 종이와 합성수지가 분리되는데, 미립화된 비중이 낮은 종이를 배출관체에 설치된 송풍팬을 통해 외부로 강제 배출시키게 되면 케이스 내부에는 비중이 높은 합성수지만이 잔류하게 되므로 합성수지와 종이를 분리하여 수거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폐합성수지함유종이 분리수거장치에 있어서 회전축을 고속 회전시켜 종이와 합성수지를 분리하는 과정에서는 회전칼날과 폐합성수지종이와의 마찰로 인하여 케이스의 내부 하부 공간의 온도가 상승하게 되는데, 종래의 폐합성수지함유종이 분리수거장치는 케이스 냉각수단이 없었기 때문에 종이 분리과정에서 고열에 노출되는 합성수지가 녹아서 회전칼날을 포함한 회전축과 케이스의 내주면에 늘러 붙게 되므로 수시로 회전축과 케이스를 청소해주어야 하는 불편이 있었고 애써 분리된 종이도 다시 합성수지에 늘러 붙게 되므로 종이 분리 효율도 그다지 좋지 못하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실정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이며, 그 목적이 종이 분리과정에서 케이스의 내부 하부 공간을 냉각하는 것에 의해 분리된 합성수 지가 회전축이나 케이스, 분리된 종이에 엉겨붙지 않도록 함은 물론 종이 분리 효율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폐합성수지함유종이 분리수거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케이스의 외부 하부에 순환 냉각수를 충전할 수 있는 냉각공간부를 마련하여 케이스가 과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 등을 특징으로 하며, 이하 그 구체적인 기술내용을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더욱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도 1에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의 종단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2에는 동 실시예의 요부 횡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는 바, 본 발명은 상부 일측에 잘게 자른 폐합성수지함유종이를 투입할 수 있도록 하는 투입구(11)가 마련되고 내부 하부에 적어도 한 개이상의 타격날개(21)를 구비하는 회전축(20)이 설치되는 케이스(10)를 구비하며, 상기 케이스(10)의 상부 일측에 흡입팬(40)이 설치되는 종이배출관체(30)가 설치되어 폐합성수지함유종이의 종이와 합성수지를 분리 수거할 수 있도록 하는 폐합성수지함유종이 분리수거장치(100)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10)의 외부 둘레에 제2케이스(50)를 설치하고, 케이스(10) 및 제2케이스(50) 사이의 공간을 격벽(51)을 통해 상하로 구획하여 격벽(51) 상부 공간에 종이배출관체(30)와 연결되는 흡기공간부(A)를 마련하는 동시에 케이스(10)의 상부 둘레에 흡기공간부(A)와 연결되는 다수의 종이배출소공(12)을 형성하며, 격벽(51)의 하부 공간에 순환 냉각수가 충전되는 냉각공간부(B)를 마련하여서 되는 것 이다.
도시된 실시예는 종이 분리수거과정에서 각 종이배출소공(12)이 막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케이스(10)의 내부 상부에 적어도 한 개이상의 긁게편(61)을 갖는 회전긁게(60)를 설치하고, 케이스(10)의 상단 중앙에 회전긁게 구동모터(70)를 설치한 형태를 갖는다.
도면부호중 미설명부호 13은 합성수지 배출구, 80은 회전축 구동모터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있어서는 투입구(11)를 통해 케이스(10) 내부에 잘게 자른 폐합성수지함유종이를 투입하고 회전축(20)을 고속 회전시키는 동시에 흡입팬(40)을 가동하게 되면 타격날개(21)에 의해 폐합성수지함유종이가 타격되어 종이가 부서지게 되면서 종이와 합성수지가 분리되는데, 미립화되어 상부로 비산되는 종이는 케이스(10)의 상부 둘레에 마련된 각 종이배출소공(12)을 통해 흡기공간부(A)로 진입한 후 종이배출관체(30)를 통해 외부로 강제 배출되고, 비중이 높은 합성수지는 케이스(10)의 내부 하부에 축적된다.
한편 상기 분리과정에서는 고속 회전하는 타격날개(21)와 폐합성수지함유종이의 마찰에 의해 고열이 발생하게 되지만 본 발명에 있어서는 케이스(11)의 외부 하부 둘레에 순환 냉각수가 충전되는 냉각공간부(B)가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케이스(11)의 내부 하부 공간의 온도가 상승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어 분리된 합성수지가 회전축(20)이나 케이스(10), 분리된 종이에 다시 엉겨 붙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며, 케이스(10) 내부 상부로 비산되는 미립 종이를 종이배출소공(12) 및 흡기공간부(A)를 통해 종이배출관체(30)로 원활하게 유도할 수 있게 되므 로 종이 분리 효율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타격날개(21)를 포함하는 회전축(20)이 내부 하부에 설치되는 케이스(10)의 외부 둘레에 제2케이스(50)를 설치하고, 케이스(10) 및 제2케이스(50) 사이의 공간을 격벽(51)을 통해 상하로 구획하여 격벽(51) 상부 공간에 종이배출관체(30)와 연결되는 흡기공간부(A)를 마련하는 동시에 케이스(10)의 상부 둘레에 흡기공간부(A)와 연결되는 다수의 종이배출소공(12)을 형성하며, 격벽(51)의 하부 공간에 순환 냉각수가 충전되는 냉각공간부(B)를 마련한 것으로, 본 발명에 의하면 회전축(20)의 고속 회전을 통해 케이스(10) 내부에서 폐합성수지함유종이의 합성수지와 종이가 분리되는 과정에서 케이스(10) 내부 하부 공간이 과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므로 분리된 합성수지가 회전축(20)이나 케이스(10), 분리된 종이에 다시 엉겨 붙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어 분리수거장치의 유지관리를 극히 용이할 수 있게 되며, 케이스(10) 내부 상부로 비산되는 미립 종이를 종이배출소공(12) 및 흡기공간부(A)를 통해 종이배출관체(30)로 원활하게 유도할 수 있게 되어 종이 분리 효율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게 되는 등의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Claims (2)

  1. 상부 일측에 투입구(11)가 마련되고 내부 하부에 적어도 한 개이상의 타격날개(21)를 구비하는 회전축(20)이 설치되는 케이스(10)를 구비하며, 상기 케이스(10)의 상부 일측에 흡입팬(40)이 설치되는 종이배출관체(30)가 설치되어 폐합성수지함유종이의 종이와 합성수지를 분리 수거할 수 있도록 하는 것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10)의 외부 둘레에 제2케이스(50)를 설치하고, 케이스(10) 및 제2케이스(50) 사이의 공간을 격벽(51)을 통해 상하로 구획하여 격벽(51) 상부 공간에 종이배출관체(30)와 연결되는 흡기공간부(A)를 마련하는 동시에 케이스(10)의 상부 둘레에 흡기공간부(A)와 연결되는 다수의 종이배출소공(12)을 형성하며, 격벽(51)의 하부 공간에 순환 냉각수가 충전되는 냉각공간부(B)를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합성수지함유종이 분리수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케이스(10)의 내부 상부에 적어도 한 개이상의 긁게편(61)을 갖는 회전긁게(60)를 설치하고, 케이스(10)의 상단 중앙에 회전긁게 구동모터(70)를 설치하여 각 종이배출소공(12)이 막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합성수지함유종이 분리수거장치.
KR1020050080060A 2005-08-30 2005-08-30 폐합성수지함유종이 분리수거장치 KR1006684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80060A KR100668459B1 (ko) 2005-08-30 2005-08-30 폐합성수지함유종이 분리수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80060A KR100668459B1 (ko) 2005-08-30 2005-08-30 폐합성수지함유종이 분리수거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24954U Division KR200403364Y1 (ko) 2005-08-30 2005-08-30 폐합성수지함유종이 분리수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68459B1 true KR100668459B1 (ko) 2007-01-16

Family

ID=380136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80060A KR100668459B1 (ko) 2005-08-30 2005-08-30 폐합성수지함유종이 분리수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6845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438620A (zh) * 2018-01-02 2018-08-24 湖南望隆企业管理咨询有限公司 一种可以粉碎垃圾的办公用垃圾桶
CN111017441A (zh) * 2019-12-27 2020-04-17 湖南工艺美术职业学院 一种环境艺术设计用废料箱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438620A (zh) * 2018-01-02 2018-08-24 湖南望隆企业管理咨询有限公司 一种可以粉碎垃圾的办公用垃圾桶
CN111017441A (zh) * 2019-12-27 2020-04-17 湖南工艺美术职业学院 一种环境艺术设计用废料箱
CN111017441B (zh) * 2019-12-27 2020-10-02 湖南工艺美术职业学院 一种环境艺术设计用废料箱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84370C (zh) 衣物烘干机
CN108168222B (zh) 一种便于除杂的羽绒生产加工用清洗烘干装置
EP3118534B1 (en) Evaporative humidifier
JP5894541B2 (ja) 電気掃除機
KR100668459B1 (ko) 폐합성수지함유종이 분리수거장치
CN202582082U (zh) 羽毛脱水装置
KR200403364Y1 (ko) 폐합성수지함유종이 분리수거장치
CN101032387A (zh) 餐具清洗机
CN210991876U (zh) 一种用于中药饮片加工的滚筒式炒药机
CN104534818A (zh) 一种新型脱水装置
CN202522020U (zh) 塑料薄膜清洗脱水机
CN108903200B (zh) 电吹风机
CN209555555U (zh) 直吸式风道的毛球修剪器
CN213471820U (zh) 一种塑料除水筛滤机
CN211518437U (zh) 一种线缆加工塑料颗粒喂入装置
CN208349704U (zh) 离心脱水机
CN205009433U (zh) 搅拌式纸塑分离机
CN209251131U (zh) 一种新型玉米脱粒装置
KR101838263B1 (ko) 원심분리형 합성수지 탈수장치
CN108175360B (zh) 设备的进排风系统及洗碗机
CN214136858U (zh) 一种注塑用热风烘料箱
CN210788488U (zh) 一种防飞尘吹尘设备
CN107957186A (zh) 轮胎清洁烘干系统
CN219713871U (zh) 一种废旧塑料快速烘干装置
CN216544144U (zh) 一种内置搅动结构的pe管材生产用原料干燥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8 Du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102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