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67418B1 - 인스트루먼트 스위치의 세이프티 락 장치 - Google Patents

인스트루먼트 스위치의 세이프티 락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67418B1
KR100667418B1 KR1020050083761A KR20050083761A KR100667418B1 KR 100667418 B1 KR100667418 B1 KR 100667418B1 KR 1020050083761 A KR1020050083761 A KR 1020050083761A KR 20050083761 A KR20050083761 A KR 20050083761A KR 100667418 B1 KR100667418 B1 KR 1006674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fety lock
safety
knob
switch
lock b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837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의량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837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6741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674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674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12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3/14Operating parts, e.g. push-butt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26Snap-action arrangements depending upon deformation of elastic memb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5/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actuation in opposite directions, e.g. slide switch
    • H01H15/02Detai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5/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actuation in opposite directions, e.g. slide switch
    • H01H15/02Details
    • H01H15/06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5/16Driving mechanism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9/00Details of switching devices, not covered by groups H01H1/00 - H01H7/00
    • H01H9/02Bases, casings, or covers
    • H01H9/06Casing of switch constituted by a handle serving a purpose other than the actuation of the switch, e.g. by the handle of a vacuum cleaner

Landscapes

  • Rotary Switch, Piano Key Switch, And Lever Switc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스트루먼트 스위치의 세이프티 락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스위치 본체의 접점이 오프되도록 스위치 노브를 원위치 시키는 것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스위치 노브에 가해지는 압력에 의해 세이프티 락 바가 파손되지 않도록 발명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스프링 고정용 핀(120)과 세이프티락바홀더(110)가 하부에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는 인스트루먼트 스위치 노브(100)와, 상기 스위치 노브(100)의 고정용 핀(120)에 일측부가 결합되어 있는 스프링(500)을 압축시키며 일측으로 이동됨과 동시에 상기 스프링(500)의 자체 탄성력에 의해 타측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세이프티 노브(200)와, 상기 세이프티 노브(200)의 하부에 고정되게 결합되는 사각형 톱니바퀴(600)와, 상기 사각형 톱니바퀴(600)에 치합되어 일측 및 타측 방향으로 회전이 이루어지는 원형톱니바퀴(320)와, 상기 원형톱니바퀴(320)의 회전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세이프티락바홀더(110)를 중심으로 회전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세이프티 락 바(300)와, 상기 세이프티 락 바(300)가 일측 및 타측 방향으로 회전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스위치 노브(100)가 온,오프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는 고정돌기(410)로 구성되는 것에 의해 달성된다.

Description

인스트루먼트 스위치의 세이프티 락 장치{A Safety Lock Device of an instrument Switch}
도 1은 종래 인스트루먼트 스위치의 세이프티 락 장치를 보인 단면도
도 2는 종래 인스트루먼트 스위치가 오프된 상태의 세이프티 락 장치를 보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인스트루먼트 스위치의 세이프티 락 장치를 보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인 인스트루먼트 스위치가 온된 상태의 세이프티 락 장치를 보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인스트루먼트 스위치의 세이프티 락 장치의 결합상태를 보인 분해사시도 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스위치 노브 110 : 세이프티락바홀더
120 : 고정용 핀 200 : 세이프티 노브
210 : 안착홈 300 : 세이프티 락 바
310 : 접촉돌기 320 : 원형톱니바퀴
400 : 스위치 본체 410 : 고정돌기
500 : 스프링 600 : 사각형 톱니바퀴
700 : 스위치버튼픽싱핀 800 : 세이프티락바픽싱핀
810 : 접촉부
본 발명은 인스트루먼트 스위치의 세이프티 락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스위치 본체의 접점이 오프되도록 스위치 노브를 원위치 시키는 것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스위치 노브에 가해지는 압력에 의해 세이프티 락 바가 파손되지 않도록 발명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실의 전면에 설치되어 있는 인스트루먼트패널에는 차량을 운행하는 운전자가 자동차의 각종 가능을 조작하기 위한 다수개의 스위치들이 설치되는데, 상기와 같이 인스트루먼트패널에 설치된 다수의 스위치들 중에는 차량을 운행중 임의 조작에 의해 차량의 주행 안전성에 큰 영향을 미치는 스위치들도 많이 있다.
즉, 디퍼런셜 락 스위치(Differential lock Switch), 휠락스위치(Wheel Lock switch), CNG 메인 스위치, 닐링스위치(Kneeling Switch) 등은 차량의 주행 안전성 에 큰 영향을 미치므로 세이프티 락 장치를 구비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기존의 세이프티 락 장치는 별도의 도구(예를 들면: 키)를 사용하여 세이프티 락, 언락을 조작하여야 함에 따라 긴급한 조작을 필요로 할 경우에는 상당히 불편함을 느끼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스위치가 오프 또는 온 상태 중 어느 한쪽에서만 세이프티 락 기능을 수행함에 따라 세이프티 락 기능이 적용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스위치의 임의 조작이 가능해져 주행안전성을 해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종래에도 상기 종래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도 1과 도 2에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인스트루먼트 스위치 노브(10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세이프티 노브(200')와, 상기 세이프티 노브(200')와 일체로 형성된 세이프티 락 바(300')와, 상기 세이프티 락 바(300')를 초기 위치로 복원시키는 판스프링(500')과, 상기 세이프티 노브(200')가 조작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상기 스위치 노브(100') 눌려지지 않도록 상기 세이프티 락 바(300')를 끼워서 락킹하는 락킹로드(600')로 구성된 인스트루먼트 스위치의 세이프티 락 장치를 개발하여 사용하고 있다.
또한, 상기 락킹로드(600')에는 걸림턱(620')과 걸림홈(640')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걸림턱(620')은 인스트루먼트 스위치 본체(400')의 접점이 오프된 상태에서는 스위치 노브(100')가 눌러지지 않도록 세이프티 락 바(300')를 지지하고, 상기 걸림홈(640')은 스위치 본체(400')의 접점이 온 상태에서 스위치 노브(100')가 눌러지지 않도록 세이프티 락바(300')를 끼워서 고정하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종래 인스트루먼트 스위치의 세이프티 락 장치는 인스트루먼트 스위치가 오프 된 상태 즉, 스위치 노브(100')가 외부로 돌출 된 상태에서는 세이프티 악 바(300')가 락킹로드(600')의 걸림턱(620')에 안착되어, 운전자가 스위치 노브(100')를 누르더라도 스위치가 작동하지 않게 된다.
이 상태에서, 운전자가 스위치 노브(100')를 조작하기 위해서는 먼저 세이프티 노브(200')를 화살표 방향으로 움직이면서 눌러야만 세이프티 락 바(300')가 락킹로드(600')의 걸림턱(620')으로부터 빠지면서 스위치 노브(100')가 눌러지게 된다.
이때, 상기 세이프티 노브(200')는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세이프티 락 바(300')가 판스프링(500')의 탄성력에 의해 밀리면서 걸림홈(640')에 끼워지는 것에 의해 초기 위치로 자동 복원됨은 물론, 상기 세이프티 락 바(300')가 락킹로드(600')의 걸림홈(640')에 끼워져 고정되는 것에 의해 운전자가 스위치 노브(100')를 누르더라도 스위치가 작동하지 않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이 온 되어 있는 스위치 노브(100')를 오프 시키는 경우에는 먼저 세이프티 노브(200')를 화살표 방향으로 움직이도록 밀면서 스위치 노브(100')를 눌러주면 판스프링(500')의 탄성력에 의해 세이프티 노브(200')가 초기 위치로 자동 복원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인스트루먼트 스위치의 세이프티 락 장치는 운전자가 세 이프티 노브(200')를 화살표 방향으로 밀면서 스위치 노브(100')를 눌러 주어야만 인스트루먼트 스위치가 오프 상태를 유지하게 됨으로써, 상기 세이프티 노브(200')를 언락시켜 스위치 노브(100')가 원상 복귀되도록 하는 경우 운전자가 불편함을 느끼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스위치 노브(100')가 오프 상태가 되도록 하기 위해 스위치 노브(100')를 과도하게 많은 힘으로 누르는 경우에는, 락킹로드(600')의 걸림홈(640')에 삽입되어 있는 세이프티 락 바(300')가 변형 및 파손되어 제 기능을 수행하지 못하게 됨으로써, 인스트루먼트 패널에 설치되어 있는 인스트루먼트 스위치 전체를 교체 수리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스위치 노브에 압력을 가해주는 것에 의해 세이프티 노브가 언락상태가 되면서 스위치 본체의 접점상태가 오프되도록 스위치 노브가 오프 상태로 복원되어, 차량을 운행하는 운전자가 인스트루먼트 스위치의 세이프락 장치를 오프시키는 경우에도 불편함을 느끼지 않도록 하는 인스트루먼트 스위치의 세이프티 락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은, 스프링 고정용 핀(120)과 세이프티락바홀더(110)가 하부에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는 인스트루먼트 스위치 노브(100)와, 상기 스위치 노브(100)의 고정용 핀(120)에 일측부가 결합되어 있는 스프링(500)을 압축시키며 일측으로 이동됨과 동시에 상기 스프링(500)의 자체 탄성력에 의해 타측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세이프티 노브(200)와, 상기 세이프티 노브(200)의 하부에 고정되게 결합되는 사각형 톱니바퀴(600)와, 상기 사각형 톱니바퀴(600)에 치합되어 일측 및 타측 방향으로 회전이 이루어지는 원형톱니바퀴(320)와, 상기 원형톱니바퀴(320)의 회전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세이프티락바홀더(110)를 중심으로 회전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세이프티 락 바(300)와, 상기 세이프티 락 바(300)가 일측 및 타측 방향으로 회전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스위치 노브(100)가 온오프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는 고정돌기(410)로 구성되는 것에 의해 달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인 인스트루먼트 스위치의 세이프티 락 장치는 스위치 노브(100)에 압력을 가해주게 되면 스프링(500)의 자체 탄성력에 의해 원 위치되는 세이프티 노브(200)에 의해 세이프티 락 바(300)가 상부로 이동됨과 동시에 사각형 톱니바퀴(600)에 치합되어 있는 원형톱니바퀴(320)에 의해 일측으로 회전되어 고정돌기(410)에 놓여지면서 스위치 노브(100)가 오프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인스트루먼트 스위치의 세이프티 락 장치를 보인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인 인스트루먼트 스위치가 온된 상태의 세이프티 락 장치를 보인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인스트루먼트 스위치의 세이프티 락 장치의 결합상태를 보인 분해사시도 이다.
본 발명의 인스트루먼트 스위치의 세이프티 락 장치도 도 3의 단면도와 도 4의 작동상태를 보인 단면도에서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스프링 고정용 핀(120) 과 세이프티락바홀더(110)가 하부에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는 인스트루먼트 스위치 노브(100)에 세이프티 노브(200)가 일측 및 타측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이때, 상기 스프링(500)의 일측부는 도 5에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세이드티 노브(200) 방향으로 절곡되게 형성되어 있는 고정용 핀(120)의 하부에 결합되고, 상기 스프링(500)의 타측부는 세이프티 노브(200)에 형성되어 있는 안착홈(210)에 안착되어 있어, 상기 세이프티 노브(200)가 일측으로 이동되는 경우에도 스프링(500)이 수축력에 의해 설치된 위치를 이탈하지 않게 되고, 스위치 노브(100)가 오프 상태가 되도록 상부에서 압력을 가하는 경우에는 세이프티 노브(200)가 스프링(500)의 자체 탄성력에 의해 타측으로 이동되면서 원래위치로 원상복귀 되어지게 된다.
한편, 상기 세이프티 노브(200)에는 도 5에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사각형 톱니바퀴(600)가 하부에 스위치버튼픽싱핀(700)에 의해 고정되게 결합되고, 상기 사각형 톱니바퀴(600)에는 세이프티 락 바(300)에 결합되어 있는 원형톱니바퀴(320)가 치합되게 설치된다.
또한, 상기 원형톱니바퀴(320)가 결합되어 있는 세이프트 락 바(500)는 스위치 노브(100)에 형성되어 있는 세이프티락바홀더(110)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어, 상기 세이프티 노브(200)가 스프링(500)을 압축시키며 일측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에 의해 사각형 톱니바퀴(600)가 일측 방향으로 이동되면 원형톱니바퀴(320)가 일측 방향으로 회전되고, 상기 원형톱니바퀴(320)와 동일한 방향으로 세이프티 락 바(300)가 세이프티락바홀더(110)를 중심으로 회전이 이루어지게 된다.
한편, 상기 세이프티 락 바(300)가 일측 및 타측으로 회전되면서 스위치 노브(100)가 온 오프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고정돌기(410)가 스위치 본체(400) 내부에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어, 상기 세이프티 락 바(300)가 세이프티락바홀더(110)를 중심으로 일측 방향으로 회전된 후 에는 고정돌기(410)의 일측면에 접촉되어 지지되면서 타측 방향으로 회전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지지된다.
또한, 상기 세이프티 락 바(300)는 고정돌기(410)의 상부면에 놓여지는 접촉돌기(310)가 하부에 절곡 형성되어 있어, 상기 세이프티 락 바(300)가 일측으로 회전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고정돌기(410)의 상부면에 접촉되면서 지지되어 세이프티 락 바(300)가 하부로 이동되지 않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어 있는 본 발명의 인스트루먼트 스위치의 세이프티 락 장치는 인스트루먼트 스위치가 오프된 상태, 즉 스위치 노브(100)가 외부로 돌출된 상태에서는 세이프티 락 바(300)의 접촉돌기(310)가 스위치 본체(400) 내부에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는 고정돌기(410)의 상부면과 저면이 접촉되면서 지지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으므로, 운전자가 스위치 노브(100)를 누르면서 압력을 가하는 경우에도 스위치가 작동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운전자가 스위치 노브(100)를 조작하기 위해서는 세이프티 노브(200)를 화살표 방향으로 밀면서 스위치 노브(100)를 누르게 된다.
이때, 상기 세이프티 노브(200)에 결합된 사각형 톱니바퀴(600)도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되고, 상기 사각형 톱니바퀴(600)가 이동되는 량만큼 원형톱니바퀴 (320)가 일측 방향으로 회전이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상기 원형톱니바퀴(320)가 결합되어 있는 세이프티 락 바(300)도 원형톱니바퀴(320)가 회전되는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이 이루어지게 되고, 상기 세이프티 라 바(500)가 일정치 회전하게 되면 접촉돌기(310)의 저면이 스위치 본체(400) 내부에 형성되어 있는 고정돌기(410)의 상부면과 접촉이 이루어지지 않게되는 것에 의해 스위치 노브(100)가 온 상태가 되도록 눌려지게 된다.
이때, 상기 세이프티 락 바(300)의 접촉돌기(310)는 스위치 본체(400)의 일측면에 접촉되어 지지되면서 스위치 본체(400)의 접점이 온 상태가 유지되어지게 된다.
이 상태에서, 운전자가 스위치 노브(100)를 원 위치로 복귀시켜 스위치 본체(400)의 접점이 오프 상태가 되도록 하는 경우에는, 스위치 노브(100)에 압력을 가해주면 세이프티 노브(200)가 스프링(500)의 탄성력에 의해 타측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에 의해 세이프티 락 바(300)가 세이프티락바홀더(110)를 중심으로 타측 방향으로 회전되어 고정돌기(410)의 상부면에 접촉돌기(310)가 저면이 지지되도록 접촉되면서 세이프티 노브(200)와 스위치 노브(100)를 동시에 원위치로 원상복귀 시키게 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하면 스위치 노브(100)에 압력을 가해주는 것에 의해 세이프티 노브(200)가 언락상태가 되면서 스위치 본체(400)의 접점상태 가 오프되도록 스위치 노브(100)가 오프 상태로 복원됨으로써, 상기 스위치 본체(400)의 접점이 오프되도록 스위치 노브(100)를 원위치 시키는 것이 용이하게 이루어지게 됨은 물론, 상기 스위치 노브(100)에 가해지는 압력에 의해 세이프티 락 바(300)가 파손되지 않도록 하는 효과가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Claims (6)

  1. 스프링 고정용 핀(120)과 세이프티락바홀더(110)가 하부에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는 인스트루먼트 스위치 노브(100)와, 상기 스위치 노브(100)의 고정용 핀(120)에 일측부가 결합되어 있는 스프링(500)을 압축시키며 일측으로 이동됨과 동시에 상기 스프링(500)의 자체 탄성력에 의해 타측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세이프티 노브(200)와, 상기 세이프티 노브(200)의 하부에 고정되게 결합되는 사각형 톱니바퀴(600)와, 상기 사각형 톱니바퀴(600)에 치합되어 일측 및 타측 방향으로 회전이 이루어지는 원형톱니바퀴(320)와, 상기 원형톱니바퀴(320)의 회전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세이프티락바홀더(110)를 중심으로 회전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세이프티 락 바(300)와, 상기 세이프티 락 바(300)가 일측 및 타측 방향으로 회전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스위치 노브(100)가 온,오프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는 고정돌기(410)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인스트루먼트 스위치의 세이프티 락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세이프티 노브(200)에는 고정용 핀(120)에 일측부가 결합되어 있는 스프링(500)의 타측부가 안정되게 안착되도록 하는 안착홈(210)이 일측부에 내삽지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인스트루먼트 스위치의 세이프티 락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세이프티락바홀더(110)의 하단부에는 세이프티 락 바(300)의 저면이 접하는 접촉부(810)가 형성되어 있는 세이프티락바픽싱핀(800)이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인스트루먼트 스위치의 세이프티 락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세이프티 노브(200)에는 사각형 톱니바퀴(600)가 저면에 고정되게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스위치버튼픽싱핀(700)이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인스트루먼트 스위치의 세이프티 락 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용 핀(120)은 하부가 세이드티 노브(200) 방향으로 절곡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인스트루먼트 스위치의 세이프티 락 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세이프티 락 바(300)는 고정돌기(410)의 상부면에 놓여지는 접촉돌기(310)가 하부에 절곡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인스트루먼트 스위치의 세이프티 락 장치.
KR1020050083761A 2005-09-08 2005-09-08 인스트루먼트 스위치의 세이프티 락 장치 KR1006674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83761A KR100667418B1 (ko) 2005-09-08 2005-09-08 인스트루먼트 스위치의 세이프티 락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83761A KR100667418B1 (ko) 2005-09-08 2005-09-08 인스트루먼트 스위치의 세이프티 락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67418B1 true KR100667418B1 (ko) 2007-01-10

Family

ID=378676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83761A KR100667418B1 (ko) 2005-09-08 2005-09-08 인스트루먼트 스위치의 세이프티 락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6741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4666B1 (ko) 2005-08-10 2008-07-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인스트루먼트 스위치의 세이프티 락 장치
KR101168083B1 (ko) 2011-03-22 2012-07-24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도어 락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차단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4666B1 (ko) 2005-08-10 2008-07-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인스트루먼트 스위치의 세이프티 락 장치
KR101168083B1 (ko) 2011-03-22 2012-07-24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도어 락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차단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101340B1 (de) Elektrischer Schalter, insbesondere Elektrowerkzeugschalter
WO1998049701A1 (fr) Commutateur a bouton poussoir, dispositif de mise en service et pupitre mobile le contenant
JP3064801B2 (ja) 自動車用ドアロックスイッチ
DE102004019919B3 (de) Vorrichtung zum Starten eines Fahrzeugmotors mittels eines elektronischen Schlüssels und ein dazu zu verwendener Schlüssel
KR100667418B1 (ko) 인스트루먼트 스위치의 세이프티 락 장치
US6958455B1 (en) Lock-on/lock-off tool switch
DE602004000215T2 (de) Drucktastenschalter
DE60101746T2 (de) Schalter, insbesondere Notausschalter für eine Kraftwagenbatterie
DE102008014430A1 (de) Elektrischer Schalter
US6082598A (en) Safety dispenser for a water purifier
DE4229756A1 (de) Elektrisches Schaltgerät
KR100844666B1 (ko) 인스트루먼트 스위치의 세이프티 락 장치
KR20060119114A (ko) 인스트루먼트 스위치의 세이프티 락 장치
KR100569357B1 (ko) 인스트루먼트 스위치의 세이프티 락 장치
KR100896416B1 (ko) 차량용 스티어링휠 리모콘
DE3902964C1 (en) Switching-on device for a general-purpose cutter
JP4122697B2 (ja) スイッチ装置
DE1150739B (de) Drucktastenschalter mit auswechselbaren Drucktasten, insbesondere fuer die Steuerungvon Werkzeugmaschinen
EP1744335B1 (de) Schalteinrichtung für elektrische Hausinstallationen
KR200454933Y1 (ko) 자동차용 트레이 커버 록킹장치
US7521644B2 (en) Operating module for a motor vehicle
KR20150032919A (ko) 로고 일체형 오픈 스위치
JP2004206926A (ja) スイッチ装置
CN109484260B (zh) 安全带防误触装置及儿童安全座椅
JPH0735256Y2 (ja) シーソスイッ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12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