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66682B1 - 맥동 제어 파이프를 갖는 압축기의 토출 머플러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맥동 제어 파이프를 갖는 압축기의 토출 머플러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66682B1
KR100666682B1 KR1020050095476A KR20050095476A KR100666682B1 KR 100666682 B1 KR100666682 B1 KR 100666682B1 KR 1020050095476 A KR1020050095476 A KR 1020050095476A KR 20050095476 A KR20050095476 A KR 20050095476A KR 100666682 B1 KR100666682 B1 KR 1006666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 pipe
pulsation control
lower case
discharge muffler
puls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954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가성준
손승길
박대웅
이용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Priority to KR10200500954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6668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666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666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P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PERATIONS; UNIVERSAL MACHINE TOOLS
    • B23P15/00Making specific metal objects by operations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or a group in this subclas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ress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토출 머플러의 내부에 냉매 가스의 맥동 성분을 감소하는 맥동 제어 파이프를 고정시킴으로써 브레이징 가공에 접합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맥동 제어 파이프를 갖는 압축기의 토출 머플러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냉매 가스의 맥동 성분을 제거하는 맥동 제어 파이프를 상부 및 하부 케이스로 구성된 토출 머플러 내부에 고정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토출 머플러의 하부 케이스에 형성된 홈부에 상기 맥동 제어 파이프가 안착되도록 하는 단계; 상기 안착된 상기 맥동 제어 파이프를 상기 하부 케이스의 홈부와 고정하는 단계; 및 상기 하부 케이스와 상기 상부 케이스를 결합하고 상기 상부 및 하부 케이스를 브레이징 접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따라서, 맥동 제어 파이프를 브레이징 가공을 위해 토출 머플러의 내부에 용이하게 접합하여 토출 머플러의 제조를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압축기, 토출 머플러

Description

맥동 제어 파이프를 갖는 압축기의 토출 머플러 제조 방법{Method for manufacturing discharge muffler of Compressor with pulsation pipe}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맥동 제어 파이프를 갖는 압축기의 토출 머플러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2 는 도 1의 따른 맥동 제어 파이프를 토출 머플러에 고정하는 단면도.
도 3 은 도 2의 맥동 제어 파이프를 코킹을 이용하여 토출 머플러에 고정하는 단면도.
도 4 는 도 3의 맥동 제어 파이프를 브레이징 가공을 통해 토출 머플러에 접합한 단면도.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맥동 제어 파이프를 갖는 압축기의 토출 머플러 제조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압축기 토출 머플러의 맥동 제어 파이프를 고정하여 절곡한 토출 머플러의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상부 케이스 110: 가압부
120: 고정부 200: 하부 케이스
210: 1차 팽창부 220: 2차 팽창부
300: 맥동 제어 파이프 400: 토출 파이프
500: 브레이징 접합부
본 발명은 맥동 제어 파이프를 갖는 압축기의 토출 머플러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토출 머플러의 내부에 냉매 가스의 맥동 성분을 감소하는 맥동 제어 파이프를 고정시킴으로써 브레이징 가공에 접합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맥동 제어 파이프를 갖는 압축기의 토출 머플러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압축기는 증발기에서 증발된 저온ㆍ저압의 냉매가스를 압축하여 그 압력과 온도를 응축온도에 상당하는 포화 압력까지 높인 다음, 이를 응축기에 보내줌으로써 응축기에서 이 냉매가스를 용이하게 응축 및 액화될 수 있도록 해주는 기기이다.
이러한 압축기는 실린더 내의 피스톤을 왕복 운동시켜서 냉매가스를 압축하는 왕복동식 압축기와, 실린더 내의 회전자를 회전시켜서 냉매가스를 압축하는 회전식 압축기 및, 임펠러의 원심력을 이용하여 속도에너지를 압력에너지로 변환시킴으로써 냉매가스를 압축하는 터보 압축기 등이 있다.
이와 같은 압축기는 냉장고 등의 냉동장치에 설치되어 응축기, 팽창밸브, 증발기와 함께 냉매가스의 증발 잠열을 이용하여 증발기 주위의 열을 빼앗는 냉각작용을 수행한다.
즉, 압축기가 냉매가스를 압축하여 포화 압력까지 압력과 온도를 상승시켜 주면, 응축기는 물이나 공기를 이용하여 고온ㆍ고압의 냉매가스가 갖고 있는 열을 흡수함으로써 냉매가스를 응축 및 액화시키고, 응축 및 액화된 냉매가스는 팽창밸브를 통과하면서 교축작용에 의해 온도와 압력이 급격히 낮아지며, 이 냉매가스가 증발기에 의해 증발되면서 피 냉각물체로부터 열을 빼앗아 냉각시키게 된다.
일반적인 밀폐형 압축기는 용접에 의해 밀폐된 케이스 내에 압축기 본체가 내장되어 있다. 이러한 압축기 본체는 크게 골격 역할을 하는 프레임과, 이 프레임의 하부에 설치되어 전동매체인 샤프트를 회전시켜 주는 구동부와, 상기 샤프트의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하여 흡입된 냉매가스를 압축 및 토출시켜 주는 기계부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구동부는 프레임에 지지가 되며 고정자 역할을 하는 스테이터 및, 샤프트를 회전시켜 주는 로터로 구성되고, 기계부는 프레임 상단에 고정되는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에 삽입되는 피스톤 및, 상기 피스톤과 샤프트의 크랭크부 사이에 연결되어 샤프트의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시켜 주는 피스톤 로드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밀폐형 압축기는 구동부에 의해 회전하는 샤프트가 크랭크부를 통하여 기계부의 피스톤 로드를 왕복 운동시킴으로써 상기 실린더 내의 피스톤이 직선왕복 운동을 하면서 실린더 내로 흡입된 냉매가스를 압축 및 토출시켜 주고, 이 냉매가스는 냉동장치를 순환함으로써 소기의 냉동 목적을 달성하게 된다.
또한, 실린더의 일측에는 토출 머플러가 설치되어 실린더 내에서 압축된 고 온ㆍ고압의 냉매가스가 토출되는 토출측에 설치되어 냉매가스의 토출시 압력의 맥동에 의해 발생하는 소음을 감소시켜 주는 역할을 하게 된다.
토출 머플러는 실린더 내에서 압축된 냉매가스가 소음공학의 확장관 이론에 의해 냉매가스의 맥동음 및 밸브 타격음이 감쇄되도록 1차 팽창부와 2차 팽창부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토출 머플러의 1차 팽창부와 2차 팽창부가 파이프를 통하여 연결되고 상기 연결 파이프를 이용하여 냉매 가스의 맥동 성분이 감쇄되도록 상기 맥동 성분 제어용 연결 파이프의 길이를 연장시켜야 하지만 밀폐형 압축기가 갖고 있는 내부용적의 한계로 인하여 압축기의 상하부 케이스의 크기가 커져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맥동 성분이 1차 팽창부와 2차 팽창부를 통과하며 감쇄될 수 있도록 1차 팽창부와 2차 팽창부 사이에 맥동 제어 파이프를 용이하게 고정할 수 있는 고정 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토출 머플러에 형성된 1차 팽창부와 2차 팽창부 사이에 맥동 제어 파이프를 고정하여 접합하는 맥동 제어 파이프를 갖는 압축기의 토출 머플러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냉매 가스의 맥동 성분을 제거하는 맥동 제어 파이프를 갖는 토출 머플러의 제조 방법으로서, 상기 토출 머플러의 하부 케이스에 형성된 홈부에 상기 맥동 제어 파이프가 안착되도록 하는 단계; 상기 안착된 상기 맥동 제어 파이프를 상기 하부 케이스의 홈부와 고정하는 단계; 및 상기 하부 케이스와 상기 상부 케이스를 결합하고 상기 상부 및 하부 케이스를 브레이징 접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안착된 상기 맥동 제어 파이프를 상기 하부 케이스의 홈부와 고정하는 단계는 상기 맥동 제어 파이프의 상부와 상기 토출 머플러의 하부 케이스를 코킹으로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부 케이스와 상기 상부 케이스를 결합하고 상기 상부 및 하부 케이스를 브레이징 접합하는 단계에서 브레이징 접합된 상기 상부 케이스와 하부 케이스를 절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상부 케이스와 하부 케이스를 절곡하는 단계는 상기 맥동 제어 파이프를 포함하여 절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맥동 제어 파이프를 구비한 토출 머플러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토출 머플러는 상부 케이스(100)와, 하부 케이스(200)와, 상부 및 하부 케이스(100 및 200)의 결합으로 형성된 1차 팽창부(210)와, 1차 팽창부(210)와 2차 팽창부를 연결하고, 냉매 가스의 맥동 성분을 제거하기 위한 맥동 제어 파이프(300)가 브레이징(Brazing) 접합을 통해 이루어진다.
이때 토출 머플러의 1차 팽창부(210)와 2차 팽창부(220)는 맥동 제어 파이프(300)를 통해서만 연결되고, 이 맥동 제어 파이프(300)의 내부를 통해 1차 및 2차 팽창부(210 및 220) 사이에 냉매가 유동하여 토출 머플러의 1차 및 2차 팽창부(210 및 220)에서 제거하지 못한 맥동 성분 예를 들면 압력 및 소음을 제거하게 된다.
또한, 1차 팽창부(210)와 2차 팽창부(220)가 맥동 제어 파이프(300) 이외의 부분에서 연결된 경우 맥동 성분이 제거가 어려워진다.
또한, 하부 케이스의 일측에는 토출 머플러를 통과한 냉매 가스가 토출되도록 토출 파이프(400)가 설치된다.
도 2 내지 도 4는 맥동 제어 파이프를 토출 머플러에 고정하는 과정을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압축기 토출 머플러의 맥동 제어 파이프 고정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토출 머플러의 하부 케이스(200)의 내측에 맥동 제어 파이프(300)가 안착될 수 있도록 홈부(211)를 미리 형성하고 상기 미리 형성된 홈부(211)에 맥동 제어 파이프(300)가 안착되도록 한다(S100).
이때 홈부(211)의 형상은 맥동 제어 파이프(300)의 외주연 형상과 동일한 형상으로 맥동 제어 파이프(300)는 홈부(211)에 완전히 삽입된다.
상기 S100단계에서 하부 케이스(200)의 홈부(211)에 맥동 제어 파이프(300)가 안착된 경우 맥동 제어 파이프(300)의 상부에 코킹(Cooking: 230)을 수행하여 맥동 제어 파이프(300)가 하부 케이스(200)의 홈부(211)와 고정되도록 한다(S110).
상기 S110단계를 수행한 다음 상부 케이스(100)를 하부 케이스(200)와 결합(S120)하여 하부 케이스(200)의 홈부(211)와 맥동 제어 파이프(300)가 더욱 고정되도록 한다.
이때 상부 케이스(100)는 하부 케이스(200)의 홈부(211)에 고정된 맥동 제어 파이프(300)의 유동을 방지하고 상부 케이스(100)와 하부 케이스(200)가 일정한 위치에서 치합되도록 상부 케이스(100)의 저면에 고정부(120)가 상부 케이스(100)의 하방향으로 일정 길이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S120단계를 수행한 다음 상부 케이스(100)와 하부 케이스(200)는 브레이징(Brazing) 가공을 통해 접합(S130)되고, 이때 상부 케이스(100) 및 하부 케이스(200)와 맥동 제어 파이프(300)의 외주연 사이는 브레이징 접합부(500)로 완전히 접합하여 고정된다.
즉 도 4에 도시한 것처럼 토출 머플러의 하부 케이스(200)에 형성된 1차 팽창부와 2차 팽창부는 맥동 제어 파이프(300)를 통해서만 연결되도록 하여 1차 팽창부와 2차 팽창부에서 감쇄되지 못한 냉매의 맥동 성분을 제거할 수 있도록 한다.
그러나 토출 머플러의 하부 케이스(200)에 형성된 1차 팽창부와 2차 팽창부가 맥동 제어 파이프(300)의 내부 이외에 다른 부분 즉 상부 케이스(100)와 하부 케이스(200) 및 맥동 제어 파이프(300)의 외주연 사이에 형성된 브레이징 접합부(500)에 냉매가 유동할 수 있는 틈(미도시)이 형성된 경우 이 틈을 통해 1차 팽창부와 2차 팽창부가 연결되어 냉매의 맥동 성분 제거 목적은 달성할 수 없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압축기 토출 머플러의 맥동 제어 파이프를 브레이징 하여 고정시킨 후 절곡한 토출 머플러의 단면도이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브레이징 가공을 통해 접합된 상부 케이스(100) 및 하부 케이스(200)와 맥동 제어 파이프(300)는 상부 케이스(100)의 가압부(110)를 중심으로 맥동 제어 파이프(300)를 포함한 상부 케이스(100) 및 하부 케이스(200)를 절곡하여 완전히 고정되도록 한다.
따라서 맥동 제어 파이프(300)를 하부 케이스(200)와 코킹으로 용이하게 고정한 후 브레이징 가공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맥동 제어 파이프를 브레이징 가공을 위해 토출 머플러의 내부에 용이하게 접합하여 토출 머플러의 제조를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토출 머플러의 상부 케이스 및 하부 케이스와 맥동 제어 파이프를 한번의 브레이징으로 고정할 수 있어 생산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서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4)

  1. a) 압축기 토출 머플러의 하부 케이스에 형성한 홈부에 냉매 가스의 맥동 성분을 제거하는 맥동 제어 파이프가 안착되도록 하는 단계;
    b) 상기 안착된 맥동 제어 파이프가 상기 하부 케이스의 홈부에 고정되도록 상기 맥동 제어 파이프의 상부와 상기 하부 케이스를 코킹하는 단계; 및
    c) 상기 맥동 제어 파이프가 상기 코킹으로 고정된 상기 하부 케이스의 상면에 상부 케이스를 결합하고, 상기 상부 케이스, 하부 케이스 및 맥동 제어 파이프를 브레이징 접합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상기 브레이징 접합으로 생성된 브레이징 접합부에서 상기 맥동 제어 파이프 이외에 상기 냉매가 유동하는 공간의 발생을 방지한 맥동 제어 파이프를 갖는 압축기의 토출 머플러 제조 방법.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단계 c에서 브레이징 접합된 상기 토출 머플러의 상부 케이스와 하부 케이스를 절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맥동 제어 파이프를 갖는 압축기의 토출 머플러 제조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 머플러의 상부 케이스와 하부 케이스를 절곡하는 단계는 상기 맥동 제어 파이프를 포함하여 절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맥동 제어 파이프를 갖는 압축기의 토출 머플러 제조 방법.
KR1020050095476A 2005-10-11 2005-10-11 맥동 제어 파이프를 갖는 압축기의 토출 머플러 제조 방법 KR1006666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95476A KR100666682B1 (ko) 2005-10-11 2005-10-11 맥동 제어 파이프를 갖는 압축기의 토출 머플러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95476A KR100666682B1 (ko) 2005-10-11 2005-10-11 맥동 제어 파이프를 갖는 압축기의 토출 머플러 제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66682B1 true KR100666682B1 (ko) 2007-01-09

Family

ID=378674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95476A KR100666682B1 (ko) 2005-10-11 2005-10-11 맥동 제어 파이프를 갖는 압축기의 토출 머플러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66682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97777A (ja) 1985-02-27 1986-09-02 Toshiba Corp 圧縮機のバルブカバ−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97777A (ja) 1985-02-27 1986-09-02 Toshiba Corp 圧縮機のバルブカバ−の製造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10015068A1 (en) Pulse tube refrigerator
KR100666682B1 (ko) 맥동 제어 파이프를 갖는 압축기의 토출 머플러 제조 방법
KR100681458B1 (ko) 압축기의 토출 머플러
KR100685758B1 (ko) 압축기의 토출 머플러
KR100788423B1 (ko) 흡입머플러 및 이를 갖는 압축기
KR100771909B1 (ko) 압축기용 어큐뮬레이터의 고정장치
KR200345585Y1 (ko) 밀폐형압축기용토출머플러의소음방지구조
KR100407466B1 (ko) 밀폐형 압축기의 2단 팽창 토출머플러_
KR20000014050U (ko) 밀폐형 압축기의 진동감소를 위한 배관 연결구조
JP2006077701A (ja) 密閉型圧縮機
KR20000013440U (ko) 밀폐형 압축기의 케이스와 연결관의 연결구조
KR100325059B1 (ko) 토출머플러에 형성된 측지 공명기를 갖는 밀폐형 왕복동식 압축기의 소음 저감장치
KR20070025726A (ko) 냉장고
KR20010002247U (ko) 밀폐형 압축기의 방열구조_
KR200238186Y1 (ko) 밀폐형전동압축기의토출머플러구조
KR20000014054U (ko) 밀폐형 압축기의 밸브 플레이트와 토출머플러체결구조
KR100325058B1 (ko) 측지 공명기를 이용한 밀폐형 왕복동식 압축기의 소음 저감장치
KR100508294B1 (ko) 냉장고 압축기의 저소음형 토출밸브
KR200300018Y1 (ko) 실외기의 진동 저감 구조
KR100348679B1 (ko) 밸브플레이트에 형성된 측지 공명기를 갖는 밀폐형 왕복동식 압축기의 소음 저감장치
KR20000013449U (ko) 밀폐형 압축기의 토출머플러 구조
KR100217119B1 (ko) 밀폐형 압축기의 프레임 지지구
KR20000013450U (ko) 밀폐형 압축기의 공명형 소음구조
KR20000013435U (ko) 밀폐형 압축기의 토출머플러 일체형 밸브 어셈브리 구조
KR100329834B1 (ko) 헬름홀츠 공명기를 이용한 밀폐형 왕복동식 압축기의 소음 저감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3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