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66671B1 - 원격제어 가능한 자가 발전 가로등 - Google Patents

원격제어 가능한 자가 발전 가로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66671B1
KR100666671B1 KR1020050104133A KR20050104133A KR100666671B1 KR 100666671 B1 KR100666671 B1 KR 100666671B1 KR 1020050104133 A KR1020050104133 A KR 1020050104133A KR 20050104133 A KR20050104133 A KR 20050104133A KR 100666671 B1 KR100666671 B1 KR 1006666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control unit
solar panel
power generation
l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041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태
Original Assignee
김성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37867456&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0666671(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김성태 filed Critical 김성태
Priority to KR10200501041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66671B1/ko
Priority to PCT/KR2006/004526 priority patent/WO2007052960A1/en
Priority to CNA2006800451118A priority patent/CN101322444A/zh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666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666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H05B47/175Controlling the light source by remote control
    • H05B47/19Controlling the light source by remote control via wireless transmiss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8/00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 F21S8/08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with a standard
    • F21S8/085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with a standard of high-built type, e.g. street ligh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9/00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 F21S9/02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the power supply being a battery or accumulator
    • F21S9/026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the power supply being a battery or accumulator rechargeable by using wind power, e.g. using wind turbin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9/00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 F21S9/02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the power supply being a battery or accumulator
    • F21S9/03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the power supply being a battery or accumulator rechargeable by exposure to light
    • F21S9/032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the power supply being a battery or accumulator rechargeable by exposure to light the solar unit being separate from the lighting unit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H05B47/105Controlling the light source in response to determined parameters
    • H05B47/11Controlling the light source in response to determined parameters by determining the brightness or colour temperature of ambient ligh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20/00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 Y02B20/40Control techniques providing energy savings, e.g. smart controller or presence detec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20/00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 Y02B20/72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in street ligh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 Circuit Arrangement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AREA)
  • Wind Mo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원격제어가 가능한 자가 발전 가로등에 관한 것으로, 태양의 위치를 파악하고, 태양전지판이 태양의 방향을 향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발전효율을 최대화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프로펠러의 회전 속도가 소정의 속도 이상이 되면 그 회전을 멈추고 태양 전지판이 수평방향으로 놓이도록 트래킹 구동부를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강풍이 불 경우에도 시설들을 보호하고, 소음을 해소할 수 있다. 나아가 원격제어 가능한 자가 발전 가로등은 카메라를 장착하여, 촬영 영상을 웹 서버로 전송하여 원격지 단말에서 실시간으로 가로등 및 그 주변의 상태를 모니터링 할 수 있다.
가로등, 태양광, 풍력 발전, 원격제어

Description

원격제어 가능한 자가 발전 가로등{Self-generating Streetlight Capable of Remote control}
도 1은 원격 제어를 위하여 하나의 원격지 단말과 다수개의 가로등들이 통신하는 시스템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원격감시 및 제어 가능한 자가 발전 가로등의 외관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원격감시 및 제어 가능한 자가 발전 가로등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제어부 200: 충전부
210: 태양 전지판 220: 풍력 발전부
300: 축전지 400: 램프
500: 광 센서부 600: 트래킹 구동부
800: 카메라 900: 통신부
본 발명은 자가 발전 가로등에 관한 것으로, 특히 원격감시 및 제어가 가능한 자가 발전 가로등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로등은 상용전력 또는 태양전지로부터 충전된 전력을 전력 공급원으로 하며, 타이머, 중앙제어, 센서에 의한 작동으로 전원이 공급되어 고압수은등, 형광등, 나트륨등을 광원으로 하는 램프를 점등한다. 그러나 태양전지는 기상조건의 악화로 일사량이 부족할 경우 그 역할을 수행할 수 없기 때문에, 상용전원과 연계하거나 풍력발전기와 연동하여 사용하는 방안이 제시되고 있다. 태양은 자전과 공전을 하므로 계절, 시간에 따라 그 위치가 변하는 반면 종래의 태양광을 이용한 가로등에 장착된 태양 전지판은 고정된 형태로 발전 효율이 극대화되지 못하였다. 또한 태양 전지판은 넓은 판의 형태이기 때문에 강풍이 불 경우에 손상될 우려가 있다.
최근에는 가로등의 일괄적 점등, 소등을 제어하거나 타이머나 센서의 동작에 따른 점등, 소등만 이루어지는 한계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무선 원격 제어 기술이 사용되고 있다. 이는 가로등의 설치, 유지, 관리, 보수를 수행하는 행정기관의 컴퓨터로 연결되며 각 가로등의 작동 현황, 고장 내역, 보수관리에 대한 정보를 데이터 베이스에 누적, 저장하여 전산화한다. 그리고 관리자의 조작에 따라 전산화된 정보를 출력하여 수리 담당자에게 통지하는 기술이다. 그러나 본 기술의 원격 제어는 단순히 전원제어나 고장 검출에 그친다는 한계가 있다.
본 발명은 이 같은 배경에서 도출된 것으로, 태양 전지판의 발전효율을 극대 화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나아가 본 발명은 강풍으로 인한 시설의 고장이나 소음을 해소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추가적으로 본 발명은 더욱 실질적인 원격 모니터링이 가능한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원격제어 가능한 자가 발전 가로등은 광센서부가 태양의 방향을 감지하고, 트래킹 제어부는 광 센서부로부터 입력된 신호를 기초로 하여 태양의 위치를 파악한다. 그리고 트래킹 제어부는 태양 전지판이 광 센서부에서 감지된 태양의 방향을 향하도록 트래킹 구동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프로펠러의 회전 속도가 소정의 속도 이상 이면 풍력 발전 제어부는 그 회전을 멈추도록 제어하고, 트래킹 제어부는 태양 전지판이 수평방향으로 놓이도록 트래킹 구동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가로등에 카메라를 장착하여 촬영 영상을 원격지로 전송하여, 원격지 단말에서 실시간으로 가로등 및 그 주변의 상태를 모니터링 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이 같은 양상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르면, 태양 전지판의 지향 방향이 태양을 추적하여 가변 됨으로써 그 발전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풍력 발전기에 장착된 프로펠러의 속도를 감지하여 강풍이 불 경우 그 동작을 제어하고, 태양 전지판을 수평방향으로 놓이게 함으로써 강풍으로부터 시설들을 보호할 수 있고 더 나아가 프로펠러로 인한 소음을 해소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특징적인 양상에 따라 원격제어 가능한 자가 발전 가로등은 가로등에 설치된 카메라를 통해 가로등의 동작 및 그 주변의 감시가 가능하고, 그 데이터를 원격지 단말에서 실시간으로 수신 가능하므로 가로등의 오동작이나 부품의 고장 등에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다. 도 1은 원격 제어를 위하여 하나의 원격지 단말과 다수개의 가로등들이 통신하는 시스템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도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원격제어 가능한 자가 발전 가로등은 무선 통신부를 이용하여 원격지 단말에서 가로등의 원격 제어도 가능하여 수리의 신속화 및 관리 인력을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전술한, 그리고 추가적인 본 발명의 양상들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행되는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통하여 더욱 명백해 질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을 이러한 실시예를 통해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 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원격제어 가능한 자가 발전 가로등의 외관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원격제어 가능한 자가 발전 가로등은 수직으로 직립하여 하부가 대지에 매립되는 지주와, 지주의 측면에 설치되며 트래킹 구동이 가능한 태양 전지판(210)과, 지주의 상단에 장착되고 풍력 에 의한 전기 에너지를 발생시키기 위한 풍력 발전부(220)와, 지주의 상단에 장착되고 전기 에너지를 빛으로 변환하며 보호갓을 구비한 램프(400)와, 역시 지주 에 장착되되 램프(400)보다는 하단부에 장착되고 가로등의 주위 상황을 촬영하는 웹 카메라(800)를 구비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태양 전지판(210)은 태양광을 흡수하고, 그 상단부에 빛을 감지할 수 있는 광 센서부(500)를 구비하며, 그 밑면이 볼 트래커를 통해 트래킹 구동부(600)와 연결된다. 따라서 태양 전지판(210)은 광 센서부(500)를 통해 태양의 위치 파악이 가능하고, 트래킹 제어부(120)에 의해 상시 태양을 지향하도록 제어될 수 있다. 풍력 발전부(220)는 그 일측에 장착된 프로펠러(225), 회전축을 포함한 회전자, 이를 적정 속도로 변환하는 증속기와 기동.제동 및 운용 효율성 향상을 위한 브레이크등을 포함한 공지된 구성이다.
도 3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원격제어 가능한 자가 발전 가로등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원격제어 가능한 자가 발전 가로등은 전기 에너지를 빛으로 변환하는 램프(400)와, 태양광을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는 태양 전지판(210)과, 발생된 전기 에너지를 정전압 특성을 갖는 전력으로 변환하는 충전부(200)와, 충전부(200)로부터 공급된 전력을 저장하는 축전지(300)와, 광을 감지하는 광 센서부(500)와, 태양 전지판(210)의 지향 방향이 가변되도록 태양 전지판(210)을 움직이는 트래킹 구동부(600)와, 광 센서부(500)에서 감지된 빛의 양에 따라 램프(400)의 온/오프를 제어하는 가로등 제어부(110)와, 태양 전지판(210)이 광 센서부(400)에서 감지된 태양의 방향을 향하도록 상기 트래킹 구동부(600)를 제어하는 트래킹 제어부(120)를 포함하는 제어부(1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램프(400)는 고압수은등, 형광등, 나트륨등을 광원으로 하는 통상적인 램프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램프(400)는 외관과 내관이 있고 그 사이는 진공으로 되어 있으며, 내관의 내부에는 1쌍의 전극과 미량의 나트륨이 들어있는 나트륨 램프이다.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전구 내부에 전극이 없는 대신 외부 코일의 초고주파 방전으로 전구 내의 형광물질이 발광하는 무 전극 램프일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태양 전지판(210)은 실리콘(N/P)반도체로 이루어지며 태양 광 중에서 가시광선 영역 내 일부 영역의 주파수 파장을 흡수하여 전기 에너지로 변환한다.
충전부(200)는 태양 전지판(210)을 통해 공급된 전기 에너지를 정전압 특성을 갖는 전력으로 변환한다. 충전부(200)는 정전류 회로와 DC/DC 컨버터를 포함한 공지된 구성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충전부(200)는 태양 전지판(210)에서 발전된 전기를 일정한 전압 및 전류로 정류하여 축전지(300)에 공급한다.
축전지(300)는 전력의 소비가 없는 동안 충전부(200)로부터 공급된 전력을 저장한다. 또한 램프(400)가 온 상태일 때에, 축전지(300)는 저장했던 전력을 공급한다.
태양 전지판(210)에 공급된 태양 광을 전력으로 변환하여 저장하는 위의 태양 전지판(210), 충전부(200), 축전지(300)에서의 물리적 과정은 이미 공지된 사실이므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광 센서부(500)는 빛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빛 감지 센서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광 센서부(500)는 다수 개의 빛 감지 센서를 구비하여 빛의 유무를 감지함은 물론 태양의 방향도 감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빛 감지 센서는 포토 트랜지스터가 될 수 있다. 다수의 포토 셀을 모으고, 집광렌즈에 각 셀을 구분하는 격벽을 두며, 각 셀 별로 광축을 설계하여, 입사광의 입사각에 따라 출력전류를 달리하는 광센서 모듈이 공지되어 있다. 광 센서부(500)는 감지한 신호를 제어부(100)로 전달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트래킹 구동부(600)는 트래킹 제어부(120)의 제어 신호에 따라 태양 전지판(210)이 항상 태양을 향하도록 그 지향 방향을 가변한다. 태양 전지판을 구동하는 기술은 이미 공지된 기술이므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어부(100)는 통상적인 마이크로프로세서로 이루어지는데 전체 시스템을 제어한다. 제어부(100)에서의 동작은 도 3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원격제어 가능한 자가발전 가로등의 제어부(100)에서의 동작을 도 2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어부(100)는 광 센서부(500)에서 감지된 빛의 양에 따라 램프(400)의 온/오프를 제어하는 가로등 제어부(110)와, 태양 전지판(210)이 광 센서부(500)에서 감지된 발광체의 방향을 향하도록 트래킹 구동부(600)를 제어하는 트래킹 제어부(120)포함한다. 가로등 제어부(110)는 가로등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가로등 제어부(110)는 일 실시예에 있어서, 태양 전지판(210)에서 충전부(200)로 공급되는 전류로부터 광량을 검출하여 온/오프를 제어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광 센서부(500)로부터 감지된 빛의 양을 파악하여 낮 시간 동안은 가로등 을 오프시키고, 밤 시간에만 온 시키도록 제어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가로등 제어부(110)는 태양 전지판(210) 또는 풍력 발전부(220) 또는 연료전지 발전부(230)에서 생산된 전기를 축전지(300)에 충전하고, 낮/밤 상태에 따라 전원을 램프(400)측에 공급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트래킹 제어부(600)는 광 센서부(500)에 장착된 다수개의 센서로부터 감지한 빛의 양을 전달받아 태양의 위치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 그리고 태양 전지판(210)이 파악된 태양의 위치를 향하도록 트래킹 구동부(600)를 제어한다. 이는 태양 전지판(210)이 항상 태양을 향하도록 제어함으로써 태양전지판(210)이 흡수할 수 있는 광량이 증가하여 발전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적인 양상에 따라, 원격제어 가능한 자가 발전 가로등은 프로펠러(225)를 구비하고, 풍력에 의해 전기 에너지를 생산하여 충전부(200)로 공급하는 풍력 발전부(220)를 더 포함한다. 그리고 제어부(100)가 풍력 발전부(220)의 동작을 제어하는 풍력 발전 제어부(130)와, 상기 프로펠러(225)의 회전 속도가 소정의 속도 이상이면 태양 전지판(210)이 수평방향으로 놓이도록 조절하는 전지판 보호 제어부(125)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풍력 발전부(220)는 프로펠러(225)의 회전력을 교류전압으로 변환한다. 풍력 발전부(220)는 프로펠러(225)가 3.1m/sec 이상의 바람에 의하여 회전할 때에 유선형 몸통 내부의 영구자석 교류 발전기에서 발전을 시작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프로펠러(225)는 탄소 섬유로 이루어져 있다. 변환된 교류 전압은 충전부(200)로 인가되어 정전압 특성을 갖는 전력으로 변환되어 축전지(300)에 저장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충전부(200)는 태양 전지판(210)에서 생산된 전기 에너지와 풍력 발전부(200)에서 생산된 전기 에너지를 스위칭하여 공급받을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동시에 둘 다 공급받을 수도 있다. 그리고 동시에 공급 받는 경우에는 풍력 발전부(200)와 태양 전지판(210)에서 생산된 전력이 서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역류 방지 필터를 더 포함한다. 풍력 발전에 대한 물리적 동작 역시 공지된 사항이므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풍력발전부(220)는 프로펠러(225)의 회전 속도를 감지할 수 있다. 풍력발전부(220)에서 감지된 프로펠러(225) 속도가 소정의 속도 이상이면 즉 강풍이 불 경우에, 풍력 발전 제어부(130)는 프로펠러(225)의 회전을 제어한다. 풍력 발전 제어부(130)는 프로펠러(225)의 모터에 공급되는 전원을 오프시킴으로써 역기전력을 발생시킨다. 이에 따라 프로펠러(225)에는 마찰력에 의한 전자 브레이크 현상이 일어나고, 그 회전을 멈추게 된다.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일기예보 정보나 풍속계를 탑재하여 그 자료등을 참조하여 풍력 발전 제어부(130)에서 강풍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빠른 프로펠러(225)의 회전으로 발생할 수 있는 소음을 제거하고, 프로펠러(225)를 포함한 풍력 발전부(220)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 풍력 발전부(220)에서 감지된 프로펠러(225)의 속도가 소정의 속도 이상이면, 전지판 보호 제어부(125)는 트래킹 구동부(600)를 제어하여 태양 전지판(210)이 수평방향으로 놓이도록 조절한다. 이는 강풍으로 인한 태양 전지판(210)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원격 제어 가능한 자가 발전 가로등은 연료가 지닌 화학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하는 연료전지 발전부를 더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연료 전지 발전부(230)는 연료를 산화시키는 애노드와 산소를 환원시키는 캐소드가 전해질막을 거쳐 형성된다. 예를 들어 수소를 주성분으로 하는 수소가스와 공기 속의 산소를 이용하고, 95%이상의 진한 인산을 탄화규소(SiC) 매트릭스에 함침시킨 것을 전해질로 사용하는 인산형 연료전지일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추가적으로 연료 전지를 사용함으로써 자연 에너지 이용에 있어서 낮은 자연 연료 밀도에 대한 불가피한 한계점을 보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에 따르면, 원격제어 가능한 자가 발전 가로등은 근거리 촬영이 가능한 카메라부(800)와, 카메라부(800)에서 촬영된 영상데이터를 외부의 원격지 단말로 전송하는 통신부(900)를 더 포함한다. 그리고 제어부(100)가 가로등에 장착된 카메라부(800)의 동작을 제어하는 영상 감시 제어부(14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카메라부(800)는 내부에 웹 서버를 포함하며, 외부의 컴퓨터로 영상 액세스나 원격제어가 가능한 웹 카메라이다. 카메라부(800)에 사용된 웹 서버는 카메라에 보이는 영상을 홈페이지로 전송하여 원거리의 사물이라도 인터넷 홈페이지를 통하여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는 기술이다. 따라서 원거리에 있는 원격지 단말에서 가로등 주변의 상황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촬영 영상을 원거리에서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가능한 그 어떤 기술도 사용될 수 있다. 영상 감시 제어부(140)는 카메라 구동부(810)를 통하여 카메라부(800)의 동작, 예를 들면 팬/틸트, 쥬밍, 콘트라스트 등을 제어한다.
통신부(900)는 네트워크 통신망을 통해 외부의 원격지 단말로 영상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으며, 또한 원격지 단말로부터 원격 제어 신호를 수신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네트워크 통신망은 통신망 사업자가 운영하는 인터넷, 무선 통신망, RF 무선통신등의 통신망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통신부(900)는 인터넷 모듈이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통신부(900)는 인터넷 통신을 위한 하드웨어 혹은 소프트웨어적 구성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HTTP나 TCP/IP와 같은 프로토콜을 통하여 통신 가능하다.
본 발명의 특징적인 양상에 따라 원격제어 가능한 자가 발전 가로등의 제어부(100)는 통신부(900)를 통하여 외부에서 수신한 데이터 중 적어도 일부를 상기 통신부(900)를 통해 다시 외부로 송신하는 통신 중계부(16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통신부(900)의 송/수신부는 비대칭적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 1은 하나의 원격지 단말과 다수개의 가로등들이 통신하는 시스템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가로등은 마스터/슬래이브로 동작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마스터 가로등(M)은 원격지 단말과 통신이 가능하고, 슬레이브 가로등(S)들은 마스터 가로등(M)을 통하여 제어신호를 수신하거나 상태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마스터 가로등(M)의 통신 중계부(160)는 슬래 이브 가로등들로부터 수신된 각 데이터를 집계.분석하고 저장한 후에 원격지 단말로 전송한다. 이는 사용자에 의해 셋팅된 시간 간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슬래이브 가로등(S)의 통신 중계부(160)는 수신된 데이터를 다음 슬래이브 가로등(S)이나 마스터 가로등(M)으로 전송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원격지 단말과 마스터 가로등(M)의 통신부(900)는 WCDMA, 인터넷, 위성 등의 공지된 통신 기술을 통해 통신할 수 있다. 또한 마스터 가로등(M)과 슬래이브 가로등(S) 간에 혹은 슬래이브 가로등(S)과 슬래이브 가로등(S) 간에도 근거리 유무선 통신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지그비나 블루투스등의 공지된 근거리 통신기술이 이용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그 밖에 유.무선 통신망을 포괄하도록 해석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적인 양상에 따르면, 통신부(900)에서 수신한 데이터에 따라 상기 가로등의 동작을 제어하고, 상기 가로등의 동작 상태에 대한 각종데이터를 상기 통신부(900)를 통해 전송하는 원격제어부를 더 포함한다. 원격 제어부(150)는 통신 중계부(160)에서 전달된 제어신호에서 자신 가로등에 해당하는 신호를 검출한다. 예를 들어 가로등마다 고유 아이디를 할당하여 해당 데이터를 검출하는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원격 제어부(150)는 검출된 제어신호에 따라 가로등의 동작을 제어한다.
또한 원격 제어부(150)는 온도감지 센서(700)나 제 1검출부(310), 제 2검출부(420)의 결과값을 통신 중계부(160)에 전달한다. 온도 감지 센서(700)는 가로등의 주변 온도 데이터를 나타낼 수 있다. 그리고 제 1 검출부(310)는 충전부(300) 의 출력단에 연결되어 출력 전압 값을 검출한다. 또한 제 2 검출부(420)는 스위칭부(410)의 온/오프 상태를 조절하여 그 검출 되는 값에 따라 축전지(300)의 충전 상태를 파악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위치를 온 시켰을 경우 제 2검출부(420)의 값이 '제로'이면 축전지(300)가 방전 상태임을 알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원격 제어부(150)는 가로등 내부의 각 구성마다 전류, 전압, 온도센서의 수치 등을 검출하여 통신부(900)를 통하여 타 가로등 혹은 원격지 단말로 전송한다.
원격제어부(150)는 상태 데이터 신호를 통신부(900)를 통하여 원격지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이는 원격지 단말에서 가로등의 상태 및 전력 충전 상태, 누전발생 여부, 각 부품들의 고장 상태 등을 신속하게 파악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원격 제어부(150)는 원격지 단말로부터 수신된 제어신호를 통해 제어부(100)의 각 구성들을 제어할 수 있다. 이는 원격지에서 가로등의 동작 제어가 가능함으로써 수리의 신속화 및 관리 인력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원격제어 가능한 자가 발전 가로등은 태양 전지판의 지향 방향이 태양을 추적하여 가변 됨으로써 그 발전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르면, 풍력 발전기에 장착된 프로펠러의 속도를 감지하여 강풍이 불 경우 그 동작을 제어하고, 태양 전지판을 수평방향으로 놓이게 함으로써 강풍으로부터 시설들을 보호할 수 있고 더 나아가 프로펠러로 인한 소음을 해소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 따르면, 가로등에 설치된 웹 카메라를 통해 가로등의 동작 감시가 가능하고, 그 데이터를 원격지 단말에서 실시간으로 수신 가능하므로 가로등의 오동작이나 부품의 고장 등에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다. 또한 무선 통신부를 이용하여 원격지 단말에서 가로등의 원격 제어도 가능하여 수리의 신속화 및 관리 인력을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술되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되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 같은 자명한 변형예를 포괄하도록 의도된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해석되어져야 한다.

Claims (6)

  1. 삭제
  2. 원격제어 가능한 자가 발전 가로등에 있어서:
    전기 에너지를 빛으로 변환하는 램프와;
    태양광을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는 태양 전지판과;
    상기 변환된 전기 에너지를 정전압 특성을 갖는 전력으로 변환하는 충전부와;
    상기 충전부로부터 공급된 전력을 저장하는 축전지와;
    광을 감지하는 광 센서부와;
    상기 태양 전지판의 지향 방향이 가변되도록 상기 태양 전지판을 움직이는 트래킹 구동부와;
    프로펠러를 구비하고, 풍력에 의한 운동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여 상기 충전부로 공급하는 풍력 발전부와;
    상기 램프의 온/오프를 제어하는 가로등 제어부와, 상기 태양 전지판이 상기 광 센서부에서 감지된 태양의 방향을 향하도록 상기 트래킹 구동부를 제어하는 트래킹 제어부와, 상기 풍력 발전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풍력 발전 제어부와, 상기 프로펠러의 회전 속도가 소정의 속도 이상이면 상기 태양 전지판이 수평방향으로 놓이도록 조절하는 전지판 보호 제어부를 포함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제어 가능한 자가 발전 가로등.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가로등이:
    연료가 지닌 화학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하여 상기 충전부로 공급하는 연료전지 발전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제어 가능한 자가 발전 가로등.
  4. 제 2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로등이:
    근거리 촬영이 가능한 카메라부와;
    상기 카메라부에서 촬영된 영상데이터를 외부의 원격지 단말로 전송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가 상기 카메라의 동작을 제어하는 영상 감시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제어 가능한 자가 발전 가로등.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가:
    상기 통신부를 통하여 외부에서 수신한 데이터 중 적어도 일부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다시 외부로 송신하는 통신 중계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제어 가능한 자가 발전 가로등.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가:
    상기 통신부에서 수신한 데이터에 따라 상기 가로등의 동작을 제어하고, 상기 가로등의 동작 상태에 대한 각종데이터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전송하는 원격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제어 가능한 자가 발전 가로등.
KR1020050104133A 2005-11-02 2005-11-02 원격제어 가능한 자가 발전 가로등 KR1006666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04133A KR100666671B1 (ko) 2005-11-02 2005-11-02 원격제어 가능한 자가 발전 가로등
PCT/KR2006/004526 WO2007052960A1 (en) 2005-11-02 2006-11-02 Remote-controlled self-generating streetlamp
CNA2006800451118A CN101322444A (zh) 2005-11-02 2006-11-02 远程可控的自发电街灯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04133A KR100666671B1 (ko) 2005-11-02 2005-11-02 원격제어 가능한 자가 발전 가로등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66671B1 true KR100666671B1 (ko) 2007-01-09

Family

ID=378674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04133A KR100666671B1 (ko) 2005-11-02 2005-11-02 원격제어 가능한 자가 발전 가로등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0666671B1 (ko)
CN (1) CN101322444A (ko)
WO (1) WO2007052960A1 (ko)

Cited B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017353A2 (en) * 2007-07-30 2009-02-05 Song-Tae Kim Smart illumination device
KR100905054B1 (ko) 2007-05-23 2009-06-30 인천광역시 계양구 고장 점검, 방범 및 경고 기능을 동시에 갖는 다기능보안등
KR100955813B1 (ko) * 2009-08-20 2010-05-06 오현우 태양광 추적형 자가발전 가로등
KR101006399B1 (ko) * 2010-04-30 2011-01-10 주식회사 케이지테크 전원 절환기능을 갖는 태양광 전원 컨트롤러
KR101016530B1 (ko) * 2009-03-13 2011-02-24 오세동 가로등을 기반으로 하는 감시카메라 관리 시스템
KR200457489Y1 (ko) * 2009-09-07 2011-12-22 대양산업(주) 가로등
KR101133774B1 (ko) * 2010-02-03 2012-04-09 뎀코 (주) 자가발전 시설물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460230Y1 (ko) * 2009-07-29 2012-06-13 주식회사 코솔라 양면 수광 태양전지를 구비한 가로등
KR101160558B1 (ko) * 2012-02-07 2012-06-27 주식회사 천일 신재생에너지를 이용한 비상용 조명시스템 및 이를 구비한 조명탑
KR101260933B1 (ko) * 2011-02-10 2013-05-06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조명 시스템
KR101300025B1 (ko) * 2013-05-21 2013-08-29 주식회사 유진사 무인 제어용 가로등
KR101311349B1 (ko) 2011-12-27 2013-09-25 주식회사 퓨처테크 계통 연계형 가로등 감시 제어 시스템
KR101343032B1 (ko) * 2013-07-29 2013-12-18 조영숙 태양광 전지를 이용한 연료전지 발전 장치 및 이를 적용한 가로등
KR101429203B1 (ko) * 2014-03-11 2014-09-22 (주)레프코리아 태양전지와 배터리를 이용한 통합형 led 가로등 시스템
KR20180002377U (ko) 2018-06-22 2018-08-03 충청대학교 산학협력단 다기능 가로등
CN108901111A (zh) * 2018-09-17 2018-11-27 江苏智慧优视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路灯智能监控系统
KR101956529B1 (ko) 2018-11-09 2019-03-12 재진가로등 주식회사 다기능 스마트 가로등
CN110225627A (zh) * 2019-07-18 2019-09-10 电子科技大学中山学院 一种基于太阳能自跟踪的智能路灯控制器
KR20220136698A (ko) 2021-04-01 2022-10-11 주식회사 에니텍시스 계통 전원 연결 및 무선 관리 기능이 탑재된 태양광 가로등 콘트롤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358691A (zh) * 2007-07-30 2009-02-04 崇越电通股份有限公司 照明系统
CN101358692A (zh) * 2007-07-30 2009-02-04 崇越电通股份有限公司 照明系统
EP2262350A1 (en) * 2009-06-10 2010-12-15 iLEDs GmbH Lighting unit, network of lighting unit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light intensity of a lighting network comprising at least one lighting unit
SM200900067B (it) * 2009-07-30 2012-05-03 Novatech S R L I Generatore di energia elettrica fotovoltaico
FI123457B (fi) * 2009-09-24 2013-05-15 Oversol Oy Heijastin ja sitä käyttävä valaisin
ITRM20090514A1 (it) * 2009-10-07 2011-04-08 Giuseppe Sciscione Video sorveglianza solare
TW201220952A (en) * 2010-03-29 2012-05-16 Koninkl Philips Electronics Nv Network of heterogeneous devices including at least one outdoor lighting fixture node
FR2961055B1 (fr) * 2010-06-04 2012-06-22 Michel Picariello Reseau de balises lumineuses autonomes synchrones
EP2393342B1 (fr) * 2010-06-04 2019-08-07 Michel Picariello Réseau de balises lumineuses autonomes synchrones
CN101907894B (zh) * 2010-07-09 2012-08-22 中山盛兴股份有限公司 带天气感应装置的太阳能自动跟踪器
EP2647261B1 (fr) * 2010-07-27 2020-09-30 Societe D'etudes Et D'economies En Eclairage Procédé électrique alimentant en courant continu un réseau de charges utilisant les énergies renouvelables et/ou le réseau electrique 50 hz
CN102548147A (zh) * 2011-03-16 2012-07-04 泰州祥和新能源科技有限公司 一种风能光伏供电照明应用的控制系统
RS20110345A3 (en) * 2011-08-02 2013-08-30 Istreetlight Doo EXTENSIVE MULTISENSOR INTELLIGENT STREET LIGHT WITH COMPLETE REMOTE CONTROL AND CONTROL SYSTEM AND AUTONOMOUS SYSTEM FOR COLLECTING THE ENERGY OF THE SUN AND KINETIC ENERGY OF THE VEHICLE AND TRANSMITTER
FR2980832B1 (fr) * 2011-09-30 2014-09-26 2Iser Dispositif d'eclairage contenant une camera et des capteurs et envoyant des donnees sans fil
WO2014140962A1 (en) 2013-03-14 2014-09-18 Koninklijke Philips N.V. Solar power supply system
CN103781266B (zh) * 2013-11-07 2016-03-30 福建睿能科技股份有限公司 电子镇流器、移动终端、移动终端自动播报系统和方法
US10158238B2 (en) * 2014-05-14 2018-12-18 Kiril Stefanov Gochev HELPS—Hybrid Electric Light Pole System
CN104582128A (zh) * 2014-10-08 2015-04-29 国网辽宁省电力有限公司葫芦岛供电公司 架空输电线路夜视照明装置
FR3045230B1 (fr) * 2015-12-10 2017-12-15 Sunna Design Dispositif autonome d'eclairage et de fourniture d'energie electrique
CN105554982A (zh) * 2016-01-19 2016-05-04 惠州高盛达科技有限公司 基于ZigBee的风光切换路灯及控制方法
CN110972379B (zh) * 2019-12-27 2021-07-27 浙江冠南能源科技有限公司 用于智慧路灯的漏电防护检测系统及其检测方法
CN113966054A (zh) * 2021-01-20 2022-01-21 深圳市耀嵘科技有限公司 太阳能路灯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49188A (en) * 1991-04-01 1992-09-22 Solar Outdoor Lighting, Inc. Solar powered exterior lighting system
JPH08138422A (ja) * 1994-11-04 1996-05-31 Nippon Electric Ind Co Ltd 風車発電と太陽光発電を使用した街灯装置
JP2004124920A (ja) * 2002-10-01 2004-04-22 Takashuu:Kk 多種電源設置型街路灯
KR200322111Y1 (ko) * 2003-04-18 2003-08-02 (주)한국마이크로휠터 태양광 추적장치를 구비한 자연에너지 가로등

Cited B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5054B1 (ko) 2007-05-23 2009-06-30 인천광역시 계양구 고장 점검, 방범 및 경고 기능을 동시에 갖는 다기능보안등
WO2009017353A3 (en) * 2007-07-30 2009-03-26 Song-Tae Kim Smart illumination device
KR100922313B1 (ko) * 2007-07-30 2009-10-21 김성태 에너지 절약이 가능한 지능형 조명 기기
WO2009017353A2 (en) * 2007-07-30 2009-02-05 Song-Tae Kim Smart illumination device
KR101016530B1 (ko) * 2009-03-13 2011-02-24 오세동 가로등을 기반으로 하는 감시카메라 관리 시스템
KR200460230Y1 (ko) * 2009-07-29 2012-06-13 주식회사 코솔라 양면 수광 태양전지를 구비한 가로등
KR100955813B1 (ko) * 2009-08-20 2010-05-06 오현우 태양광 추적형 자가발전 가로등
KR200457489Y1 (ko) * 2009-09-07 2011-12-22 대양산업(주) 가로등
KR101133774B1 (ko) * 2010-02-03 2012-04-09 뎀코 (주) 자가발전 시설물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006399B1 (ko) * 2010-04-30 2011-01-10 주식회사 케이지테크 전원 절환기능을 갖는 태양광 전원 컨트롤러
KR101260933B1 (ko) * 2011-02-10 2013-05-06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조명 시스템
KR101311349B1 (ko) 2011-12-27 2013-09-25 주식회사 퓨처테크 계통 연계형 가로등 감시 제어 시스템
KR101160558B1 (ko) * 2012-02-07 2012-06-27 주식회사 천일 신재생에너지를 이용한 비상용 조명시스템 및 이를 구비한 조명탑
KR101300025B1 (ko) * 2013-05-21 2013-08-29 주식회사 유진사 무인 제어용 가로등
KR101343032B1 (ko) * 2013-07-29 2013-12-18 조영숙 태양광 전지를 이용한 연료전지 발전 장치 및 이를 적용한 가로등
KR101429203B1 (ko) * 2014-03-11 2014-09-22 (주)레프코리아 태양전지와 배터리를 이용한 통합형 led 가로등 시스템
KR20180002377U (ko) 2018-06-22 2018-08-03 충청대학교 산학협력단 다기능 가로등
CN108901111A (zh) * 2018-09-17 2018-11-27 江苏智慧优视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路灯智能监控系统
KR101956529B1 (ko) 2018-11-09 2019-03-12 재진가로등 주식회사 다기능 스마트 가로등
CN110225627A (zh) * 2019-07-18 2019-09-10 电子科技大学中山学院 一种基于太阳能自跟踪的智能路灯控制器
CN110225627B (zh) * 2019-07-18 2024-02-02 电子科技大学中山学院 一种基于太阳能自跟踪的智能路灯控制器
KR20220136698A (ko) 2021-04-01 2022-10-11 주식회사 에니텍시스 계통 전원 연결 및 무선 관리 기능이 탑재된 태양광 가로등 콘트롤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322444A (zh) 2008-12-10
WO2007052960A1 (en) 2007-05-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66671B1 (ko) 원격제어 가능한 자가 발전 가로등
WO2019059525A1 (ko) 통합 제어보드가 구비된 태양광 조명 시스템과 이를 이용한 모니터링 시스템
KR20160124504A (ko) 복합 기능형 가로등 시스템
WO2018044115A1 (ko) 신재생에너지를 사용하는 스마트 폴
CN104763968A (zh) 一种多功能一体化太阳能风能监控路灯
CN207112652U (zh) 智能路灯及系统
JP2007077895A (ja) 風車補助駆動装置
US20150161860A1 (en) Security System and Associated Methods
KR101524345B1 (ko) 절전형 다기능 야외 조명 장치
KR20090011586U (ko) 본 고안은 환경상태 계측, 센서 상태 계측 ,영상 J-peg전송해서 볼 수 있고 그 모든 것이 SD 카드에 저장 되고네트워크 되는 지능형 태양광 LED 가로등
CN202253333U (zh) 一种设有监控系统的风光能源互补路灯
KR200427302Y1 (ko) 다목적 가로등
KR20170085842A (ko) 다목적 기능성 전등 보안등 및 그의 제어방법
KR102548171B1 (ko) 저풍속 발전형 하이브리드 스마트폴
JP2000057815A (ja) 照明用発電装置
CN108848319A (zh) 一种可自动调光的监控系统
KR101234617B1 (ko) 저전력 가로등 구동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저전력 센서 네트워크 기반의 가로등 원격감시시스템
KR101260933B1 (ko) 조명 시스템
CN105910051A (zh) 一种基于物联网技术的智能led路灯
KR101127809B1 (ko) 정전보상 엘이디조명 장치 및 보조 카메라 서비스 방법
CN108365674A (zh) 分布式楼宇发电装置和监控系统
TWI841940B (zh) 地域適配型環境監測系統
KR101678145B1 (ko) 하이브리드형 속도 측정용 설비 전원공급 컨트롤시스템
KR101800479B1 (ko) 디밍 조절 기능이 있는 하이브리드형 야외 조명 장치
CN208058692U (zh) 一种市政道路照明节能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0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5

Year of fee payment: 9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4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