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78145B1 - 하이브리드형 속도 측정용 설비 전원공급 컨트롤시스템 - Google Patents

하이브리드형 속도 측정용 설비 전원공급 컨트롤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78145B1
KR101678145B1 KR1020160113724A KR20160113724A KR101678145B1 KR 101678145 B1 KR101678145 B1 KR 101678145B1 KR 1020160113724 A KR1020160113724 A KR 1020160113724A KR 20160113724 A KR20160113724 A KR 20160113724A KR 101678145 B1 KR101678145 B1 KR 1016781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supply
information
power
signal
light emi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137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점래
이기상
김승진
김용만
허영현
김성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동해종합기술공사
주식회사 삼영기술
주식회사 동해
(주)지유엔지니어링
주식회사 금성종합기술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동해종합기술공사, 주식회사 삼영기술, 주식회사 동해, (주)지유엔지니어링, 주식회사 금성종합기술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동해종합기술공사
Priority to KR10201601137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7814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781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781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PMEASURING LINEAR OR ANGULAR SPEED,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SHOCK; INDICATING PRESENCE, ABSENCE, OR DIRECTION, OF MOVEMENT
    • G01P5/00Measuring speed of fluids, e.g. of air stream; Measuring speed of bodies relative to fluids, e.g. of ship, of aircraft
    • G01P5/02Measuring speed of fluids, e.g. of air stream; Measuring speed of bodies relative to fluids, e.g. of ship, of aircraft by measuring forces exerted by the fluid on solid bodies, e.g. anemometer
    • G01P5/06Measuring speed of fluids, e.g. of air stream; Measuring speed of bodies relative to fluids, e.g. of ship, of aircraft by measuring forces exerted by the fluid on solid bodies, e.g. anemometer using rotation of vanes
    • G01P5/07Measuring speed of fluids, e.g. of air stream; Measuring speed of bodies relative to fluids, e.g. of ship, of aircraft by measuring forces exerted by the fluid on solid bodies, e.g. anemometer using rotation of vanes with electrical coupling to the indicating device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182Level alarms, e.g. alarms responsive to variables exceeding a threshold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1/00Circuit arrangements for dc mains or dc distribution network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7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monitoring or indicating devices or circuits
    • H02J7/0048Detection of remaining charge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Abstract

본 발명은 하이브리드형 속도 측정용 설비 전원공급 컨트롤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태양광 발전시스템(100)과 풍력 발전시스템(200)으로부터 발전된 전원을 저장하는 배터리부(300)에 저장된 전원을 엘이디발광장치 및 레이저 혹은 레이더 센서로 제공하며, 속도 측정 신호를 획득하지 못할 경우 혹은 실 유효전력량 정보가 임계치 정보 미만으로 떨어질 경우에 고장으로 판단하여 관제센터로 해당 고장 정보를 제공하게 됨으로써, 유지보수 비용 절감 및 전원 공급의 효율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하이브리드형 속도 측정용 설비 전원공급 컨트롤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하이브리드형 속도 측정용 설비 전원공급 컨트롤시스템{Power Supply Control system for measuring device of speed type hybrid}
본 발명은 하이브리드형 속도 측정용 설비 전원공급 컨트롤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태양광 발전시스템과 풍력 발전시스템으로부터 발전된 전원을 저장하는 배터리부에 저장된 전원을 엘이디발광장치 및 레이저 혹은 레이더 센서로 제공하며, 속도 측정 신호를 획득하지 못할 경우 혹은 실 유효전력량 정보가 임계치 정보 미만으로 떨어질 경우에 고장으로 판단하여 관제센터로 해당 고장 정보를 제공하게 됨으로써, 유지보수 비용 절감 및 전원 공급의 효율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하이브리드형 속도 측정용 설비 전원공급 컨트롤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력발전, 화력발전 및 원자력발전과 같은 발전방법을 통하여 필요한 전기를 생산한다.
이러한 발전 방법들은 비교적 규모가 큰 발전설비를 필요로 하고 자원의 한계나 유지보수의 문제로 인하여 최근에는 공해가 없으면서도 무한하게 이용할 수 있는 대체에너지를 이용한 발전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이러한 대체에너지로는 태양에너지, 풍력, 수력 또는 조력과 같은 것을 들 수 있다.
태양에너지를 이용하는 발전장치의 예로, 태양광발전기는 태양광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는 장치로서, 반도체로 이루어지는 태양전지판에 태양광이 조사되면 광기전력에 의하여 전기가 발생하고, 다수의 태양전지판에서 공급된 전기를 통하여 배터리를 충전시켜 필요한 개소에 공급하는 것이다.
한편, 태양의 열 에너지를 집열하여 난방용 또는 온수용으로 사용하는 집열방식도 있는데, 이러한 경우 대단위의 집열 시스템을 이용하여 물을 고열화한 후에 이를 이용하여 발전기를 회전하여 전기를 생산하는 방법을 사용하기도 한다.
그런데, 이러한 태양에너지를 이용하는 발전장치는 발전의 전력이 낮아 필요한 전기를 생산하기 위하여 대규모의 시설을 필요로 하고, 기상의 변화에 따라 제한적으로 사용될 수밖에 없는 문제가 있다.
풍력발전기는 지상에 고정 설치되는 소정의 구조물의 상단에 블레이드를 장착하고, 바람에 의해 블레이드가 회전하면서 얻는 회전력을 발전기를 통하여 전기에너지로 변환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풍력발전기는 주로 바람이 많이 부는 내륙 또는 해안가에 설치하여 사용된다.
풍력발전 방식은 단순히 풍력에만 의존하여 전기를 생산하여야 하므로 바람이 불지 않거나 블레이드를 필요한 회전속도로 회전시키기에 충분하지 않은 미풍이 부는 경우에는 발전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상기와 같은 풍력발전기나 태양광발전기와 같은 경우, 자연친화적이고 무한자원으로 각광받고 있으나, 대규모 설비, 생산되는 전력량의 한계 또는 기상변화에 따른 제한적인 가동과 같은 문제가 있었다.
한편, 종래의 속도 측정장치의 경우에는 상용 전원을 이용하여 전원을 공급받는 방식으로서, 속도 측정하지 않는 평상시에도 지속적인 유지가 가능하여야 하며, 측정된 속도를 표시하는 부수적인 엘이디전광판을 사용하기도 한다.
종래의 경우에, 상기한 속도 측정시스템을 유지 보수하기 위하여 현장에 직접 관리자가 방문하여 현재 시스템의 문제점을 진단하는 방식을 사용하고 있었다.
상기한 방식의 경우에는 송전이 되지 않는 지역에서는 사용이 불가능한 시스템으로 태양광발전과 풍력발전을 활용한 시스템의 도입이 필요하게 되었다.
이때, 상기한 에너지시스템의 효율적인 전원 공급 기술을 도입할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는 실정이다.
(등록특허문헌) KR 10-1268423호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태양광 발전시스템(100)과 풍력 발전시스템(200)으로부터 발전된 전원을 저장하는 배터리부(300)에 저장된 전원을 엘이디발광장치 및 레이저 혹은 레이더 센서로 제공하며, 속도 측정 신호를 획득하지 못할 경우 혹은 실 유효전력량 정보가 임계치 정보 미만으로 떨어질 경우에 고장으로 판단하여 관제센터로 해당 고장 정보를 제공하게 됨으로써, 유지보수 비용 절감 및 전원 공급의 효율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형 속도 측정용 설비 전원공급 컨트롤시스템은,
태양광 발전시스템(100)과 풍력 발전시스템(200)으로부터 발전된 전원을 저장하기 위한 배터리부(300)와,
상기 배터리부에 저장된 전원을 레이저 혹은 레이더 센서로 공급하며, 엘이디발광장치로 공급하며, 레이저 혹은 레이더 센서로부터 주기적으로 감지된 속도 신호를 수신하되, 설정된 시간 동안 감지된 속도 신호를 수신하지 않을 경우에 고장으로 판단하여 고장 신호를 관제센터서버로 제공하며, 엘이디발광장치로부터 주기적으로 실 유효전력량 정보를 수신하되, 실 유효전력량 정보가 설정된 임계치값 미만일 경우에 고장 신호를 관제센터서버로 제공하기 위한 하이브리드전원공급컨트롤러(400)와,
상기 하이브리드전원공급컨트롤러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동작하며, 감지된 속도값을 엘이디발광장치로 제공하기 위한 레이저 혹은 레이더 센서(500)와,
상기 하이브리드전원공급컨트롤러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동작하며, 실 유효전력량 정보를 하이브리드전원공급컨트롤러로 제공하기 위한 엘이디발광장치(600),를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본 발명의 과제를 해결하게 된다.
또한, 상기 하이브리드전원공급컨트롤러(400)는,
태양광 발전시스템(100)과 풍력 발전시스템(200)에서 제공되는 전원을 저장하고 있는 배터리부에 전원 공급 명령을 송출하기 위한 전원공급명령부(410)와;
스위치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스위치를 온시켜 공급되는 전원을 레이저 혹은 레이더 센서 및 엘이디발광장치로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동작부(420)와;
레이저 혹은 레이더 센서부로부터 속도 측정신호를 주기적으로 획득하기 위한 속도측정신호획득부(430)와;
상기 속도측정신호획득부로부터 속도 측정신호가 설정 시간동안 수신되지 않을 경우에 레이저 혹은 레이더 센서의 고장으로 판단하여 관제센터서버(700)로 고장 신호를 송출하기 위한 센서고장신호제공부(440)와;
엘이디발광장치의 실 유효 전력량 정보와 이벤트 발생용 임계치 정보 및 고장 판단용 설정시간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이벤트정보저장부(450)와;
엘이디발광장치로부터 실 유효 전력량 정보를 주기적으로 획득하기 위한 실유효전력량정보획득부(460)와;
상기 이벤트정보저장부에 저장된 실 유효 전력량 정보와 상기 실유효전력량정보획득부에서 획득된 실 유효 전력량 정보를 비교하여 일치하지 않을 경우에 1차 경고 신호를 관제센터서버로 제공하며, 상기 이벤트 발생용 임계치 정보 미만일 경우에 엘이디발광장치의 고장으로 판단하여 관제센터서버로 교체 신호를 송출하기 위한 엘이디발광장치이벤트신호제공부(47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관제센터서버(700)는,
전원공급명령부로부터 전원 공급 명령 신호와 신호 발생 시간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전원공급명령획득부(710)와,
전원공급동작부로부터 스위치 온 신호와 신호 발생 시간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전원공급동작정보획득부(720)와,
센서고장신호제공부로부터 레이저 혹은 레이더 센서의 고장 신호를 획득하기 위한 센서고장신호획득부(730)와,
엘이디발광장치이벤트신호제공부로부터 1차 경고 신호를 획득하기 위한 1차경고신호획득부(740)와,
엘이디발광장치이벤트신호제공부로부터 교체 신호를 획득하기 위한 교체신호획득부(750)와,
상기 전원공급명령획득부와, 전원공급동작정보획득부와, 센서고장신호획득부와, 1차경고신호획득부와, 교체신호획득부로부터 획득된 정보를 전원공급정보디비에 저장시키기 위한 정보저장처리부(760)와,
레이저 혹은 레이더 센서의 고유아이디 정보, 엘이디발광장치의 고유아이디 정보, 상기 정보저장처리부에 의해 처리된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전원공급정보디비(770)와,
상기 센서의 고장 신호와 교체 신호에 부합되는 고유아이디 정보를 추출하여 이를 매칭시켜 모니터링 화면에 출력시키기 위한 이벤트신호처리부(78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통해, 본 발명의 과제를 해결하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하이브리드형 속도 측정용 설비 전원공급 컨트롤시스템은, 태양광 발전시스템(100)과 풍력 발전시스템(200)으로부터 발전된 전원을 저장하는 배터리부(300)에 저장된 전원을 엘이디발광장치 및 레이저 혹은 레이더 센서로 제공하며, 속도 측정 신호를 획득하지 못할 경우 혹은 실 유효전력량 정보가 임계치 정보 미만으로 떨어질 경우에 고장으로 판단하여 관제센터로 해당 고장 정보를 제공하게 됨으로써, 유지보수 비용 절감 및 전원 공급의 효율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게 된다.
즉, 시스템 고장시 현장 방문없이 원격지인 관제센터에서 고장 유무를 확인할 수 있으며, 실시간으로 시스템들의 모니터링을 효율적으로 운영할 수 있게 된다.
결국, 유지보수 비용 절감 및 전원 공급의 효율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형 속도 측정용 설비 전원공급 컨트롤시스템의 전체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형 속도 측정용 설비 전원공급 컨트롤시스템의 하이브리드전원공급컨트롤러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형 속도 측정용 설비 전원공급 컨트롤시스템의 관제센터서버 블록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하이브리드형 속도 측정용 설비 전원공급 컨트롤시스템의 실시예를 통해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형 속도 측정용 설비 전원공급 컨트롤시스템의 전체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시스템은 크게, 태양광 발전시스템(100), 풍력 발전시스템(200), 배터리부(300), 하이브리드전원공급컨트롤러(400), 레이저 혹은 레이더 센서(500), 엘이디발광장치(600), 관제센터서버(700)를 포함하여 구성되게 된다.
상기 태양광 발전시스템(100), 풍력 발전시스템(200)을 적어도 한 시스템 이상을 적용하고 있는 전원공급수단을 포함하고 있는 시스템을 하이브리드 전원 공급이라 정의하도록 하겠다.
이때, 상기 배터리부(300)는 태양광 발전시스템(100)과 풍력 발전시스템(200)으로부터 발전된 전원을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전원을 공급하기 위하여 상기 배터리부에는 MPPT제어를 수행하기 위한 스트링컨버터와 PCS 시스템을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상기 스트링컨버터의 경우에는 부스트컨버터를 적용하여 스위치 온오프에 따른 출력 전압을 제어하게 된다.
예를 들어, 태양광 발전시스템과 풍력 발전시스템의 경우, 송전이 되지 않는 지역 등에 전원을 공급하는 것이 주기능이다.
태양광발전과 풍력발전 모두 각각의 지리적 제한을 받기 때문에 설치 장소가 한정되어 있다.
그래서, 태양광발전과 풍력발전을 서로 결합하여 제한 요건을 상호 보완함으로써 좀더 원활한 전원공급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래의 전원공급 기능뿐 아니라, 전원을 공급받는 시스템(예를 들어, 전광판 등)의 정상동작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통신 기능을 추가하는 것이다.
이때, 신호를 받아 전류 또는 전력사용이 제로에 근접하거나 평균 수치보다 현저히 떨어질 경우, 관제센터 등에 데이터를 송출하여 시스템의 고장 유무를 판단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하이브리드전원공급컨트롤러(400)은, 배터리부에 저장된 전원을 레이저 혹은 레이더 센서로 공급하며, 엘이디발광장치로 공급하게 된다.
그리고, 레이저 혹은 레이더 센서로부터 주기적으로 감지된 속도 신호를 수신하되, 설정된 시간 동안 감지된 속도 신호를 수신하지 않을 경우에 고장으로 판단하여 고장 신호를 관제센터서버(700)로 제공하게 된다.
예를 들어, 속도 신호가 감지될 경우에 10초 이내에 속도 신호 정보를 전송하게 되는데, 설정된 시간 즉, 30분 혹은 1시간 동아에 속도 신호 정보가 전송되지 않을 경우에는 자동적으로 고장으로 판단하게 되며, 고장 신호 정보 즉, 해당 레이저 혹은 레이더 센서를 식별할 수 있는 고유아이디 정보를 포함한 고장 신호 정보를 생성하여 관제센터서버로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고유아이디 정보는 관제센터에서 어디서 제공된 신호인지를 확인할 수 있는 고유한 식별자 정보를 의미한다.
상기 고유아이디 정보에는 식별번호, 위치 정보, 담당자 정보, 담당자 연락처 정보, 관할기관 정보 등을 포함하고 있게 된다.
그리고, 엘이디발광장치로부터 주기적으로 실 유효전력량 정보를 수신하게 되는데, 실 유효전력량 정보가 설정된 임계치값 미만일 경우에 고장 신호를 관제센터서버로 제공하게 된다.
상기 임계치값 미만일 경우에는 전력 사용을 시스템 고장에 따라 사용하지 못할 경우의 정보를 의미한다.
한편, 본 발명의 특징은 레이저 혹은 레이더 센서(500)로부터 제공되는 속도값을 고장 식별의 변수로 사용하는 것이다.
이는 단순할 수도 있으나, 가장 간단하면서도 효율적인 시스템 운영의 장점을 제공하게 된다.
상기 레이저 혹은 레이더 센서(500)는 차도 주변에 설치 구성되게 되는데, 예를 들어, 속도를 측정하기 위한 장소에 설치 구성되게 되며, 어린이 보호구역의 경우에는 엘이디발광장치 즉, 엘이디 전광판에 속도값을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한 예와 같이, 속도를 측정할 수 있는 장소에 설치 구성되는 속도 측정 센서를 의미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레이저 혹은 레이더 센서(500)는 하이브리드전원공급컨트롤러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동작하며, 감지된 속도값을 엘이디발광장치로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엘이디발광장치(600)는 하이브리드전원공급컨트롤러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동작하며, 실 유효전력량 정보를 하이브리드전원공급컨트롤러로 제공하게 된다.
상기 실 유효전력량 정보를 제공하는 구성은 일반적인 기술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겠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형 속도 측정용 설비 전원공급 컨트롤시스템의 하이브리드전원공급컨트롤러 블록도이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하이브리드전원공급컨트롤러(400)는, 전원공급명령부(410)와; 전원공급동작부(420)와; 속도측정신호획득부(430)와; 센서고장신호제공부(440)와; 이벤트정보저장부(450)와; 실유효전력량정보획득부(460)와; 엘이디발광장치이벤트신호제공부(470);를 포함하여 구성되게 된다.
또한, 상기한 각각의 부 들간의 전반적인 제어를 수행하기 위한 중앙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당연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상기 전원공급명령부(410)는 태양광 발전시스템(100)과 풍력 발전시스템(200)에서 제공되는 전원을 저장하고 있는 배터리부에 전원 공급 명령을 송출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즉, 평상시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것이며, 전원공급동작부(420)를 통해 스위치를 온시켜 공급되는 전원을 레이저 혹은 레이더 센서 및 엘이디발광장치로 공급하게 된다.
그리고, 속도측정신호획득부(430)를 통해, 레이저 혹은 레이더 센서부로부터 속도 측정신호를 주기적으로 획득하게 된다.
예를 들어, 속도 측정 발생시마다 제공할 수 있으며, 속도 측정 후, 5초 이내에 제공할 수도 있는 것이며, 상기한 신호 송출 주기는 관리자에 의해 설정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센서고장신호제공부(440)는 속도측정신호획득부로부터 속도 측정신호가 설정 시간 동안 수신되지 않을 경우에 레이저 혹은 레이더 센서의 고장으로 판단하여 관제센터서버(700)로 고장 신호를 송출하게 된다.
즉, 설정 시간(고장 판단용 설정시간)이 30분 혹은 1시간으로 세팅되어 있다면 30분 혹은 1시간을 카운팅하여 해당 카운팅이 완료되는 시점까지도 속도 측정신호가 수신되지 않는다면 고장을 판단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한 방식의 경우에는 별도의 복잡한 알고리즘을 적용한 고장 판단 기술을 적용하지 않아 안정적이면서도 신속한 처리가 가능한 장점을 가지게 된다.
상기 이벤트정보저장부(450)는 엘이디발광장치의 실 유효 전력량 정보와 이벤트 발생용 임계치 정보 및 고장 판단용 설정시간 정보를 저장하고 있게 된다.
상기 실 유효전력량 정보는 예를 들어, 최초 설치시 엘이디발광장치의 유효 전력량 정보를 의미할 수 있으며, 관리자에 의해 세팅된 유효전력량 정보가 될 수도 있다.
상기 이벤트 발생용 임계치 정보는 예를 들어, 실 유효전력량이 100 kw이고, 이벤트 발생용 임계치 유효전력량이 1kw라면, 상기 1kw 미만으로 측정된다면 이는 고장으로 판단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실유효전력량정보획득부(460)는 엘이디발광장치로부터 실 유효 전력량 정보를 주기적으로 획득하게 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엘이디발광장치에는 실 유효 전력량 정보를 계산하기 위한 계산모듈을 추가적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엘이디발광장치이벤트신호제공부(470)는 이벤트정보저장부에 저장된 실 유효 전력량 정보와 상기 실유효전력량정보획득부에서 획득된 실 유효 전력량 정보를 비교하여 일치하지 않을 경우에 1차 경고 신호를 관제센터서버로 제공하게 된다.
즉, 실 유효 전력량 정보의 범위를 설정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80 ~100kw라면, 해당 범위에 측정된 실 유효 전력량 정보가 포함되어 있으면, 정상으로 판단하게 되며, 상기 범위를 벗어나게 되면, 1차 경고 신호를 관제센터서버로 전송할 수 있게 된다.
이는 고장 발생 전에 사전 증후를 관리자에게 제공하기 위한 구성인 것이다.
이렇게 되면 관리자는 해당 현장을 사전 방문하여 고장이 나기 전에 대책을 강구할 수 있는 시간을 제공할 수 있게 될 것이다.
그리고, 이벤트 발생용 임계치 정보 미만일 경우에 예를 들어, 이벤트 발생용 임계치값을 1kw로 설정하게 되면, 이를 참조하여 엘이디발광장치의 고장으로 판단하여 관제센터서버로 교체 신호를 송출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관리자들은 수시로 시내와 거리가 떨어진 지역을 방문하여 일일히 체크할 필요없이 실제 고장시에만 방문하여 교체하거나 수리를 수행할 수 있게 되므로 이에 따른 유지 관리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하이브리드전원공급컨트롤러(400)는, 태양광발전시스템(100) 및 풍력발전시스템(200)과 선로 혹은 무선으로 연결되어(미도시) 태양광발전시스템(100) 및 풍력발전시스템(200)의 전류량을 측정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하이브리드전원공급컨트롤러(400)는 설정치의 백분율을 이용하여 태양광발전시스템(100) 및 풍력발전시스템(200)의 전류량을 측정하여 양자 합하여 100% 이하이면 알람을 관제센터서버(700)로 보내도록 전류량측정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태양광발전시스템(100)이 설정치의 70% 발전하고 있으며, 풍력발전시스템(200)이 설정치의 40%를 발전하고 있으면 양자 합하여 110%이면 현상황을 관제센터서버(700)로 보내지만 알람은 발생하지 않는다.
그러나, 태양광발전시스템(100)이 설정치의 40% 발전하고 있고, 풍력발전시스템(200)이 설정치의 40%를 발전하고 있으면 양자 합하여 80%로서 100%에 미치지 못한다.
그리하면 알람 신호를 생성하여 관제센터서버(700)로 보낸다.
상기에서 백분율 중 설정치는 태양광발전시스템(100)의 설정치 혹은 풍력발전시스템(200)의 설정치를 말하며, 100%는 양자 발전시스템의 기준치를 말한다.
기준치는 100%만 아니라, 다른 값을 가질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형 속도 측정용 설비 전원공급 컨트롤시스템의 관제센터서버 블록도이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관제센터서버(700)는, 전원공급명령획득부(710)와, 전원공급동작정보획득부(720)와, 센서고장신호획득부(730)와, 1차경고신호획득부(740)와, 교체신호획득부(750)와, 정보저장처리부(760)와, 전원공급정보디비(770)와, 이벤트신호처리부(780)를 포함하여 구성되게 된다.
또한, 상기 각각의 부 들간의 전반적인 제어를 수행하기 위한 서버중앙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은 당연한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하이브리드전원공급컨트롤러와 관제센터서버는 서로 통신하기 위하여 각각 무선통신부 혹은 유선통신부를 구성하고 있는 것은 일반적인 기술이다.
상기 전원공급명령획득부(710)는 하이브리드전원공급컨트롤러(400)의 전원공급명령부로부터 전원 공급 명령 신호와 신호 발생 시간 정보를 획득하게 된다.
즉, 전원 공급 명령 신호를 전송한 신호 발생 시간 정보를 획득하게 되는데, 상기한 정보에는 해당 하이브리드전원공급컨트롤러의 고유아이디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것은 당연한 것이다.
상기 획득된 정보는 서버중앙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전원공급정보디비(770)에 저장하거나, 별도의 디비를 구성하여 해당 디비에 저장하여 관리할 수도 있다.
이는 추후 관리자가 디비에 저장된 정보를 참조하여 고장 판단시, 부수적인 판단 근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전원공급동작정보획득부(720)는 하이브리드전원공급컨트롤러(400)의 전원공급동작부로부터 스위치 온 신호와 신호 발생 시간 정보를 획득하게 된다.
즉, 스위치 온 신호와 신호가 발생된 시간 정보를 같이 저장 처리하기 위한 것이다.
이 또한, 추후 관리자가 디비에 저장된 정보를 참조하여 고장 판단시, 부수적인 판단 근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센서고장신호획득부(730)는 하이브리드전원공급컨트롤러(400)의 센서고장신호제공부로부터 레이저 혹은 레이더 센서의 고장 신호를 획득하게 된다.
즉, 하이브리드전원공급컨트롤러(400)의 센서고장신호제공부로부터 제공된 고장 신호를 획득하게 되며, 필요에 따라 시간 정보와 같이 저장 처리하기 위한 것이다.
이 또한, 추후 관리자가 디비에 저장된 정보를 참조하여 고장 판단시, 부수적인 판단 근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1차경고신호획득부(740)는 하이브리드전원공급컨트롤러(400)의 엘이디발광장치이벤트신호제공부로부터 1차 경고 신호를 획득하게 되며, 획득시 필요에 따라 시간 정보와 같이 저장 처리하기 위한 것이다.
이 또한, 추후 관리자가 디비에 저장된 정보를 참조하여 고장 판단시, 부수적인 판단 근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교체신호획득부(750)는 하이브리드전원공급컨트롤러(400)의 엘이디발광장치이벤트신호제공부로부터 교체 신호를 획득하게 되며, 획득시 필요에 따라 시간 정보와 같이 저장 처리하기 위한 것이다.
이 또한, 추후 관리자가 디비에 저장된 정보를 참조하여 고장 판단시, 부수적인 판단 근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한 정보를 저장 처리하기 위하여, 정보저장처리부(760)를 구성하게 되며, 이를 통해, 전원공급명령획득부와, 전원공급동작정보획득부와, 센서고장신호획득부와, 1차경고신호획득부와, 교체신호획득부로부터 획득된 정보를 전원공급정보디비에 저장시키게 된다.
상기 전원공급정보디비(770)에는 레이저 혹은 레이더 센서의 고유아이디 정보, 엘이디발광장치의 고유아이디 정보, 상기 정보저장처리부에 의해 처리된 정보를 저장하고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이벤트신호처리부(780)는 센서의 고장 신호와 엘이디발광장치의 교체 신호에 부합되는 고유아이디 정보를 추출하여 이를 매칭시켜 모니터링 화면에 출력시키게 된다.
즉, 관리자가 어느 지역에 위치한 레이더 혹은 레이저 센서에서 고장이 났는지, 어느 지역에 위치한 엘이디발광장치에서 고장이 났는지를 확인하기 위하여 고유아이디 정보를 추출하여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 및 동작을 통해, 태양광 발전시스템(100)과 풍력 발전시스템(200)으로부터 발전된 전원을 저장하는 배터리부(300)에 저장된 전원을 엘이디발광장치 및 레이저 혹은 레이더 센서로 제공하며, 속도 측정 신호를 획득하지 못할 경우 혹은 실 유효전력량 정보가 임계치 정보 미만으로 떨어질 경우에 고장으로 판단하여 관제센터로 해당 고장 정보를 제공하게 됨으로써, 유지보수 비용 절감 및 전원 공급의 효율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내용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된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100 : 태양광 발전시스템
200 : 풍력 발전시스템
300 : 배터리부
400 : 하이브리드전원공급컨트롤러
500 : 레이저 혹은 레이더 센서
600 : 엘이디발광장치
700 : 관제센터서버

Claims (1)

  1. 하이브리드형 속도 측정용 설비 전원공급 컨트롤시스템에 있어서,
    태양광 발전시스템(100)과 풍력 발전시스템(200)으로부터 발전된 전원을 저장하기 위한 배터리부(300)와,
    상기 배터리부에 저장된 전원을 레이저 혹은 레이더 센서로 공급하며, 엘이디발광장치로 공급하며, 레이저 혹은 레이더 센서로부터 주기적으로 감지된 속도 신호를 수신하되, 설정된 시간 동안 감지된 속도 신호를 수신하지 않을 경우에 고장으로 판단하여 고장 신호를 관제센터서버(700)로 제공하며, 엘이디발광장치로부터 주기적으로 실 유효전력량 정보를 수신하되, 실 유효전력량 정보가 설정된 임계치값 미만일 경우에 고장 신호를 관제센터서버로 제공하기 위한 하이브리드전원공급컨트롤러(400)와,
    상기 하이브리드전원공급컨트롤러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동작하며, 감지된 속도값을 엘이디발광장치로 제공하기 위한 레이저 혹은 레이더 센서(500)와,
    상기 하이브리드전원공급컨트롤러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동작하며, 실 유효전력량 정보를 하이브리드전원공급컨트롤러로 제공하기 위한 엘이디발광장치(6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형 속도 측정용 설비 전원공급 컨트롤시스템.
KR1020160113724A 2016-09-05 2016-09-05 하이브리드형 속도 측정용 설비 전원공급 컨트롤시스템 KR1016781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3724A KR101678145B1 (ko) 2016-09-05 2016-09-05 하이브리드형 속도 측정용 설비 전원공급 컨트롤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3724A KR101678145B1 (ko) 2016-09-05 2016-09-05 하이브리드형 속도 측정용 설비 전원공급 컨트롤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78145B1 true KR101678145B1 (ko) 2016-11-23

Family

ID=575416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13724A KR101678145B1 (ko) 2016-09-05 2016-09-05 하이브리드형 속도 측정용 설비 전원공급 컨트롤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7814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64951A (ko) * 2016-12-06 2018-06-15 주식회사 비트센싱 레이더와 반사체를 이용한 직선의 가상펜스 시스템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36471A (ko) * 2010-06-15 2011-12-21 정영재 Led가로등 및 그 제어방법
KR20120019553A (ko) * 2010-08-26 2012-03-07 하이테콤시스템(주) Led 가로등 점등 시스템 및 방법
KR20130027212A (ko) * 2011-09-07 2013-03-15 안광석 도로 조명장치
KR101268423B1 (ko) 2012-01-30 2013-07-04 한서대학교 산학협력단 태양광 가로등의 점등제어장치
KR20160093827A (ko) * 2015-01-30 2016-08-09 영산대학교산학협력단 관제서버 및 전자제어장치를 포함하는 하이브리드 가로등 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36471A (ko) * 2010-06-15 2011-12-21 정영재 Led가로등 및 그 제어방법
KR20120019553A (ko) * 2010-08-26 2012-03-07 하이테콤시스템(주) Led 가로등 점등 시스템 및 방법
KR20130027212A (ko) * 2011-09-07 2013-03-15 안광석 도로 조명장치
KR101268423B1 (ko) 2012-01-30 2013-07-04 한서대학교 산학협력단 태양광 가로등의 점등제어장치
KR20160093827A (ko) * 2015-01-30 2016-08-09 영산대학교산학협력단 관제서버 및 전자제어장치를 포함하는 하이브리드 가로등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64951A (ko) * 2016-12-06 2018-06-15 주식회사 비트센싱 레이더와 반사체를 이용한 직선의 가상펜스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798441B (zh) 一种基于分布式发电的智能微电网系统
KR101943636B1 (ko) 차세대 IoT를 지원하기 위한 스마트 RTU
KR101298500B1 (ko) 마이크로그리드 시뮬레이션 장치 및 전력 관리 시스템
KR101201863B1 (ko) 단위 모듈 감시가 가능한 태양광 진단 시스템
KR20060082108A (ko) 태양광과 풍력을 이용한 하이브리드 발전시스템
CN106357003B (zh) 带地理位置信息的通信基站电源报警系统及方法
CN108599724A (zh) 一种光伏组件在线监测系统及监测方法
KR20170007625A (ko) 마이크로그리드 태양광 하베스팅 기반의 에너지 효율화를 위한 에너지 통합 관리 시스템
KR102159057B1 (ko) 태양광 발전 시스템
Sayed et al. Wind power plants control systems based on scada system
KR101678145B1 (ko) 하이브리드형 속도 측정용 설비 전원공급 컨트롤시스템
KR20120074974A (ko) 태양광 에너지 접속반 관리시스템
US20170054411A1 (en) Solar device diagnosis method
JP6307122B2 (ja) 再生可能エネルギー発生装置を監視するための遠隔監視システム
KR20140014763A (ko) 마이크로그리드를 이용한 에너지 및 담수 통합 공급장치
JP5461722B1 (ja) 太陽光発電装置の健全性を診断する方法及び情報処理装置
KR101717956B1 (ko) Iot 기반의 역 전송 전력조절 및 누수 감지가 가능한 태양광 발전 시스템
KR20190064782A (ko) 신재생 에너지 모니터링 시스템
Chockalingam et al. Sensor based hotspot detection and isolation in solar array system using iot
KR20150133880A (ko) 태양광 발전설비용 원격 관리 시스템
Sahu et al. A Review on Solar Monitoring System
KR102443585B1 (ko) 인공지능을 이용하여, 고장을 추정하는 태양광 발전 시스템
KR20060039049A (ko) 송전탑 관리시스템
KR102521644B1 (ko) 태양광 발전소 모니터링 시스템
KR102555638B1 (ko) 분산전원 발전단지 발전량 효율증대를 위한 데이터분산서비스 미들웨어 제공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