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66059B1 - 수액장착형 휴대용 인퓨전펌프 - Google Patents

수액장착형 휴대용 인퓨전펌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66059B1
KR100666059B1 KR1020050005048A KR20050005048A KR100666059B1 KR 100666059 B1 KR100666059 B1 KR 100666059B1 KR 1020050005048 A KR1020050005048 A KR 1020050005048A KR 20050005048 A KR20050005048 A KR 20050005048A KR 100666059 B1 KR100666059 B1 KR 1006660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usion
unit
infusion pump
output port
flu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050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84257A (ko
Inventor
고영호
Original Assignee
(주)비엠바이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비엠바이텍 filed Critical (주)비엠바이텍
Priority to KR10200500050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66059B1/ko
Publication of KR200600842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842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660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660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3/00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 E05C3/02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without latching action
    • E05C3/04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without latching action with operating handle or equivalent member rigid with the bolt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5/00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 E05B65/08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for sliding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9/00Other devices specially designed for securing wings, e.g. with suction cups
    • E05C19/02Automatic catches, i.e. released by pull or pressure on the w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3/00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 E05C3/12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with latching action
    • E05C3/14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with latching action with operating handle or equivalent member rigid with the latc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액장착형 휴대용 인퓨전펌프에 관한 것으로, 보다상세하게는 수액팩이 장착되는 수액걸이구 일측에 압력센서를 설치하여 적외선 드롭센서에 의한 유량 및 수액 잔량측정의 오차를 보정하고, 외부의 사용자가 알아보기 쉽게 수액의 주사량, 잔량, 주사속도를 표시하고, 인퓨전 펌프가 넘어졌을 경우 순간 작동되어 수액배출구를 차단하여 환자 체내로 공기가 유입되는 방지 할수 있고, 환자의 거동을 자유롭게 하기 위해 인퓨전 펌프 일측에 손잡이끈, 어깨끈, 양쪽어깨끈을 설치하여 휴대가 용이한 인퓨전펌프에 관한 것이다.
압력센서, 인퓨전 펌프, 손잡이끈, 어깨끈, 양쪽어깨끈

Description

수액장착형 휴대용 인퓨전펌프{A PORTABLE INFUSION PUMP TO INSTALL RINGER SOLU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수액장착형 휴대용 인퓨전펌프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수액장착형 휴대용 인퓨전펌프의 회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수액장착형 휴대용 인퓨전펌프의 내부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수액장착형 휴대용 인퓨전펌프의 구성요소인 거치부재의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수액장착형 휴대용 인퓨전펌프의 구성요소인 거치부재의 결합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수액장착형 휴대용 인퓨전펌프의 구성요소인 거치부재의 일실시예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수액장착형 휴대용 인퓨전펌프의 측면일측에 어깨끈이 형성된 일실시예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수액장착형 휴대용 인퓨전펌프의 측면일측에 양쪽어깨끈이 형성된 일실시예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수액 장착형 휴대용 인퓨전 펌프의 하단에 설치된 회전식 받침대를 도시한 일실시예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센서부 11 : 각도센서
12 : 압력센서 20 : 수액차단제어부
30 : 마이컴부 40 : 디스플레이부
50 : 키입력부 60 : 스피커부
70 : 표시램프부
본 발명은 수액장착형 휴대용 인퓨전 펌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인퓨전 펌프가 넘어졌을 경우 순간 작동되어 수액배출구 일측에 차단스위치가 작동되어 수액튜브 내부에 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환자의 거동을 자유롭게 하기 위해 인퓨전 펌프 일측에 손잡이끈, 어깨끈, 양쪽어깨끈을 설치하여 휴대가 용이한 인퓨전펌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병원등의 진료기관에서 사용되고 있는 수액(ringer solution;통상 주사 가능한 모든 액체상태의 물질을 총칭한다.)은 원래 염류수용액으로서, 1882년 S.링거가 개구리 심근의 생리학적 실험을 위해 최초로 고안한 생리적 염류
수용액으로 체액(體液)과 같은 이온조성·삼투압·p H(7.2)를 갖는다. 링거의 최초 처방은 그 후 많은 연구자에 의해 다소 변경되어 그 실험 목적에 따라서 각각의 목 적에 맞는 처방이 사용되고 있다. 또 앞에 예로 든 동물 이외의 것을 위해 처방된 것, 임상에서 체액의 대용혈액으로 사용되는 것 등이 있는데, 이것들도 고안자의 이름을 따서 타이로드액 등으로 불리며, 때로는 수액으로 총칭되기도 한다.
상기와 같은 수액을 환자에게 투입하기 위해서는, 통상 잘 알려진 바와 같이 수액이 든 링거병을 침대 일측의 지지대 상단에 걸어 놓은 상태에서 연결호스를 통하여 환자에게 주입하며, 이때 의료인은 눈으로 수액의 주사량 또는 주사속도를 보면서, 즉 물방울이 떨어지는 속도를 보면서 공급튜브에 별도로 부착된 주사량 조절장치를 조절하여 수액의 주사량 또는 그 주사속도 등을 대략적으로 결정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수액 주사량 조절장치는 그 기능이 매우 수동적이고 의료인의 직관적인 또는 경험적인 판단에 의하여 그 주사량 또는 주사속도를 결정하게 되므로, 숙련도 또는 개인간의 차이에 의하여 정확한 주사량 또는 주사속도를 결정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아울러, 이 수액의 잔여량을 수시로 확인하여야 하며, 이를 위하여 보호자가 반드시 필요하게 되는 매우 불편한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특허등록 제0363426호 에서는, 검출수단, 입력수단, 모터구동수단, 마이크로 프로세서, 표시수단, 전원공급수단으로 구성되고,
그 모터구동수단 외면 일측에 표시수단과 입력수단이 형성되는 본체와; 본체의 일측에 결합되며 레버의 회전에 따른 편심캠의 회전에따라 본체에서 슬라이딩 되면서 수액을 공급하기 위한 공급튜브를 장착하는 가동부와; 그 가동부 하단 내측에 구성되어 공급튜브를 통하여 공기의 유입을 감지하기 위한 공기방울 감지센서 와; 본체 내부에 구성되는 모터의 회전축에 결합되어 모터의 구동에 따라 회전되며 원주면에 다수의 보조롤러를 갖는 인젝팅롤러와; 상기 보조롤러의 외면에 구성되며 인젝팅롤러의 회전에 따라 수액을 공급하는 공급튜브를 본체 일측의 가동부에 밀착 또는 이완되게 하여 수액의 주사량 및 속도를 실질적으로 조절하는 탄성편으로 이루어진 정맥 주사 정량 주입장치가 제시되어 있으나,
이는 정량형 수액 주입 인퓨전 펌프가 환자의 실수로 인해 넘어졌을 경우 수액이 역류하여 유로관 내부로 공기가 유입되어 기포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설치 구조상 인퓨전 펌프는 거치대 상단에 설치되고, 그 상단에 수액이 별도로 설치되어 외력에 의하여 쉽게 넘어질 뿐만 아니라 넘어졌을때 인퓨전 펌프가 파손되어 튜브의 구속이 해제되어 환자의 혈액이 역류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환자의 이동시 수액 및 펌프와 거치대를 동시에 옮기기 위하여 거치대를 미는 경우가 대부분이며, 이로 인하여 바닥의 요철통과 및 기타 장소로 이동시 제약을 많이 받게 되고, 별도의 거치대에 장착되어 거치대가 의료 공간을 차지하여 공간 활용을 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그 목적은, 거동이 불편한 환자로 하여금 휴대가 용이하고, 수액 주사량, 수액 잔여량 및 주사 속도를 측정하여 외부의 디스플레이부에 실시간으로 표시할 수 있고, 인퓨전 펌프가 넘어지거나 수액투입 완료시 수액이 역류하여 유로관 내부 로 공기가 유입되어 기포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넘어질 수 있는 원인을 최대한 제거하고, 이동을 편리하게 하며, 휠체어 및 침대 등 임의의 장소에 쉽게 거치하여 공간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는 인퓨전 펌프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수액장착형 휴대용 인퓨전 펌프는
인퓨전 펌프가 넘어졌을 경우에 발생되는 기울기의 각도 및 수액팩의 중량을 검출하는 센서부와,
그 기울기의 각도 및 수액팩의 중량을 단계별로 조절·선택하고, 각각의 선택값을 마이컴으로 보내고, 그 선택값들을 기준으로 마이컴의 제어를 통해 유로상의 수액을 차단하는 수액차단제어부와,
그 수액차단제어부에서 전송된 선택값을 기준으로 수액의 주사량과 주사속도와 기울기의 각도등을 체크하여 수액배출구 일측에 형성된 차단장치 및 디스플레이부, 그리고 표시부 및 알람작동부를 제어하는 마이컴부와,
그 마이컴부의 제어를 통해 사용자가 장비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수액예정량 및 수액예정시간, 그리고 사용자의 키입력결과 및 장비의 동작 상태를 외부로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전원 ON/OFF, 수액의 주사량, 주사속도등을 입력하는 키입력부와,
인퓨전 펌프가 넘어지거나 환자의 체내로 수액투입이 완료될 경우 외부로 알람신호 를 보내는 스피커부와,
그 스피커부와 구동과 동시에 LED로 외부에 동작상황을 표시하는 표시램프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서 달성된다.
그리고, 인퓨전펌프는 박스형상으로, 정면 좌측상단부에 디스플레이부가 형성되고, 그 디스플레이부 하단에 키입력부가 형성되며, 그 키입력부의 하단에 스피커부가 형성되고, 그 스피커부 하단에 각도센서가 형성되며, 그 각도센서 하단부에 힌지구조로 이루어진 좌측개폐부가 형성되고, 그 좌측개폐부 하단부에 수액유로관 홈이 형성되며;
정면 우측에 좌측개폐부와 대칭을 이루는 힌지구조의 우측개폐부가 형성되고, 그 우측개폐부 내부에 수액팩을 장착할 수 있는 수액걸이구가 형성되며;
하단면에 회전식 받침대가 형성되고;
상단면 일측에 손잡이끈이 형성되며;
양측면 상단일측에 어깨끈이 형성되고;
후면 상단일측에 양쪽어깨끈이 형성되며, 그 양쪽어깨끈 하단에 거치부재가 형성되어 구성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수액장착형 휴대용 인퓨전펌프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수액장착형 휴대용 인퓨전펌프의 회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수액장착형 휴대용 인퓨전펌프의 내부 구성도이고,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수액장착형 휴대용 인퓨전펌프의 구성요소인 거치부재의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수액장착형 휴대용 인퓨전펌프의 구성요소인 거치부재의 결합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수액장착형 휴대용 인퓨전펌프의 구성요소인 거치부재의 일실시예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수액장착형 휴대용 인퓨전펌프의 측면일측에 어깨끈이 형성된 일실시예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수액장착형 휴대용 인퓨전펌프의 측면일측에 양쪽어깨끈이 형성된 일실시예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수액 장착형 휴대용 인퓨전 펌프의 하단에 설치된 회전식 받침대를 도시한 일실시예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수액장착형 휴대용 인퓨전펌프의 회로는 도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센서부(10), 수액차단제어부(20), 마이컴부(30), 디스플레이부(40), 키입력부(50), 스피커부(60), 표시램프부(70)로 구성된다.
상기 센서부(10)는 인퓨전 펌프가 넘어졌을 경우에 발생되는 기울기의 각도 및 수액팩의 중량을 검출하는 곳으로, 이는 마이컴의 출력포트 RA0와 연결되어 인퓨전 펌프의 기울어진 각도를 검출하는 각도센서(11)와, 마이컴의 출력포트 RA1과 연결되어 수액팩의 중량을 검출하는 압력센서(12)로 구성된다.
그리고, 각도센서(11)는 인퓨전 펌프의 정면 좌측상단부에 형성된 스피커부의 하단에 설치됨으로서 인퓨전 펌프가 좌우, 앞뒤로 넘어져도 그 기울기의 각도를 효율적으로 검출할 수 있도록, 도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볼(11a)접촉에 의한 복수개의 센서스위치(11b)가 원주방향을 따라 구성되어 경사시 볼이 해당 기울어진 위치의 센서스위치와 접촉되어 작동된다.
압력센서(12)는 종래의 인퓨전 펌프에 설치된 적외선 드롭센서에 의한 유량 및 수액 잔량측정의 오차를 보정하기 위하여, 인퓨전 펌프의 정면 우측개폐부 내부에 형성된 수액팩의 수액걸이구(12-1) 일측에 설치된다. 이러한 구성으로 인해 수액팩의 중량이 수액 걸이구(12-1)쪽으로만 편향되므로, 순수한 수액팩의 총중량에서 일정한 시간동안 환자의 체내로 투입되는 수액량만을 계산하면 된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이동시에 측정되는 무게값의 변동 패턴을 해석하여 환자의 이동 및 정지를 인식한 상태에서, 이동 중의 적외선 드롭센서 측정 오차를 정지시 중량센서 측정량과 비교·보정하여 보다 안정성 있게 유량을 측정할 수는 좋은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압력센서는 중량센서 및 스트레인게이지가 사용된다.
상기 수액차단제어부(20)는 그 기울기의 각도 및 수액팩의 중량을 단계별로 조절·선택하고, 각각의 선택값을 마이컴(30)으로 보내고, 그 선택값들을 기준으로 마이컴(30)의 제어를 통해 유로상의 수액을 차단하는 곳으로, 이는 마이컴(30)의 출력포트 RA3와 연결되어 인퓨전 펌프가 넘어지거나 환자의 체내로 수액투입이 완료될 경우 순간 작동되어 수액배출구의 유로관 일측을 밀착 또는 이완시키는 차단스위치(21)와,
저항(R2,R3,R4,R5)과 연결되어 각도센서(11)의 각도를 1,2,3,4 단계별로 조절하고, 그 단계별로 조절된 각도를 일측에 연결된 마이컴의 출력포트 RC4, RC5, RC6, RC7을 통해 전달하는 각도조절스위치(22)와,
저항(R9,R10,R11,R12)와 연결되어 압력센서(12)의 중량을 1,2,3,4 단계별로 조절하고, 그 단계별로 조절된 중량을 일측에 연결된 마이컴의 출력포트 RC4, RC5, RC6, RC7을 통해 전달하는 중량조절스위치(23)와,
EEPROM으로 구성되어 마이컴의 출력포트 RA4, RA5을 통해 마이컴의 제어신호를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메모리부(24)로 구성된다.
상기 마이컴부(30)는 수액차단제어부(20)에서 전송된 선택값을 기준으로 수액의 주사량과 주사속도와 기울기의 각도등을 체크하여 수액배출구 일측에 형성된 차단스위치(21) 및 디스플레이부(40), 그리고 표시부(50) 및 스피커부(60)를 제어하는 곳으로,
이는 출력포트RA0가 각도센서(11)와 연결되고, 출력포트RA1이 압력센서(12)와 연결되며, 출력포트RA2가 저항R1을 통해 표시램프부(70)와 연결되고, 출력포트RA3가 차단스위치(21)와 연결되며, 출력포트RA4 및 출력포트RA5가 메모리부(24)의 입력포트 SDA(Serial Data Address)/SCL(Serial Clock)단자와 연결되고, 출력포트 RB0~RB6가 저항(R15, R16, R17, R18, R19, R20, R21)을 통해 키입력부(50)의 전원 ON/OFF, 수액의 주사량, 주사속도조절 스위치와 각각 연결되고, 출력포트 RB0~RB7가 디스플레이부(40)의 입력포트 7~14에 연결되고, 출력포트 RC0~RC2가 디스플레이부(40)의 출력포트6,4,5에 연결되며, 출력포트 RC3가 저항R13, 포토커플러(PC), 다이오드(D1)을 통해 스피커부(60)의 알람출력용 릴레이부와 연결되어 구성된다.
상기 디스플레이부(40)는 LCD로 구성되어 그 마이컴부의 제어를 통해 사용자가 장비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수액예정량 및 수액예정시간, 그리고 사용자의 키입력결과 및 장비의 동작 상태를 외부로 표시하는 곳으로, 이는 입력포트 7~14가 마이컴의 출력포트 RB0~RB7와 연결되고, 출력포트6,4,5가 출력포트 RC0~RC2와 연결되어 구성된다.
상기 키입력부(50)는 전원 ON/OFF, 수액의 주사량, 주사속도등을 입력하는 곳으로, 이는 저항(R15, R16, R17, R18, R19, R20, R21)을 통해 전원 ON/OFF, 수액의 주사량, 주사속도조절 스위치가 마이컴(30)의 출력포트 RB0~RB6와 연결되어 구성된다.
상기 스피커부(60)는 인퓨전 펌프가 넘어지거나 환자의 체내로 수액투입이 완료될 경우 외부로 알람신호를 보내는 곳으로, 이는 컨덴서C1, C2, C3가 병렬로 연결된 전원부(U3)의 일측에 캐패시터 C4, C5가 연결되어 알람출력용 릴레이부에 +5V의 회로 전원을 공급하고, 저항R13, 포토커플러(PC), 다이오드(D1)가 마이컴의 출력포트 RC3와 연결되어 순차적으로 마이컴(30)의 제어를 통해 알람을 출력시킨다.
상기 표시램프부(70)는 스피커부(60)와 구동과 동시에 LED로 외부에 동작상황을 표시하는 곳으로, 이는 저항R1 및 LED가 마이컴의 출력포트RA2와 연결되어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수액장착형 휴대용 인퓨전 펌프는 인퓨전펌프는 도3, 도7, 도8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박스형상으로, 정면 좌측상단부에 디스플레이부(40)가 형성되고, 그 디스플레이부 하단에 키입력부(50)가 형성되며, 그 키입력부(50)의 하단에 스피커부(60)가 형성되고, 그 스피커부(60) 하단에 각도센서(11)가 형성되며, 그 각도센서(11) 하단부에 힌지구조로 이루어진 좌측개폐부(80)가 형성되고, 그 좌측개폐부(80) 하단부에 수액유로관 홈(82)이 형성되며, 정면 우측에 좌측개폐부(80)와 대칭을 이루는 힌지구조(90a)의 우측개폐부(90)가 형성되고, 그 우측개폐부(90) 내부에 수액팩(12-1)을 장착할 수 있는 수액걸이구(12-1)가 형성되며, 하단면에 회전식 받침대(95)가 형성되고, 상단면 일측에 손잡이끈(1a)이 형성되며, 양측면 상단일측에 어깨끈(1b)이 형성되고, 후면 상단일측에 양쪽어깨끈(1c)이 형성되며, 그 양쪽어깨끈(1c) 하단에 거치부재(100)가 형성되어 구성된다.
상기 회전식 받침대(95)는 도9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이동후 정지상태에서 인퓨전펌프(1)를 바닥면에 놓을 경우 외력에 의해 쉽게 넘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이는 하단면의 중앙부에 형성된 핀(95a)을 중심으로 ±90°방향으로 회전하여 양쪽으로 날개(95b)가 형성되고, 그 날개(95b)를 고정시키는 사각형상의 고정편(95c)이 돌출되어 형성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상기 거치부재(100)는 탈부착형 구조로, 도 4 및 도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원형돌림나사(110)에 와셔(120)가 삽입되고, 그 와셔(120)에 스프링(130)이 삽입되며, 그 스프링(130)에 'ㅜ'자형 제1연결부재(140)가 연결되고, 그 제1연결부재(140)의 하단부에 형성된 원둘레를 따라 형성된 돌기와 짝을 이루는
Figure 112005003060716-pat00001
자형 제2연결부재(150)가 연결되고, 그
Figure 112005003060716-pat00002
자형 제2연결부재(150) 내부로 제3연결부재(160)가 삽입되어 결합된다.
이렇게 결합된 거치부재(100)는 도6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인퓨전펌프의 후면 상단 일측에 형성된 연결홈(100-1)에 설치되어, 별도의 거치대가 없어도 병실 침대의 일측에 형성된 프레임(100a)에 삽입·결합되어 수평, 수직등 설치장소에 관계없이 장착시 장비가 수평을 유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 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기재된 청구범위 내에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의하면,
수액팩이 장착되는 수액걸이구 일측에 압력센서를 설치함으로서 외부의 사용자가 알아보기 쉽게 수액의 주사량, 주사속도를 표시할 수가 있고, 이동시 적외선 드롭 센서의 측정 오차를 보정할 수 있으며, 각도센서를 통해 인퓨전 펌프가 넘어졌을 경우 차단스위치가 순간 작동되어 수액배출구를 차단함으로서, 환자 체내로 공기가 유입되는 방지 할수 있으며, 인퓨전 펌프 일측에 손잡이끈, 어깨끈, 양쪽어깨끈이 설치되어 휴대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Claims (8)

  1. 정량형 수액 주입 인퓨전 펌프에 있어서,
    인퓨전 펌프가 넘어졌을 경우에 발생되는 기울기의 각도 및 수액팩의 중량을 검출하는 센서부(10)와,
    그 기울기의 각도 및 수액팩의 중량을 단계별로 조절·선택하고, 각각의 선택값을 마이컴으로 보내고, 그 선택값들을 기준으로 마이컴의 제어를 통해 유로상의 수액을 차단하는 수액차단제어부(20)와,
    그 수액차단제어부에서 전송된 선택값을 기준으로 수액의 주사량과 주사속도와 기울기의 각도등을 체크하여 수액배출구 일측에 형성된 차단장치 및 디스플레이부, 그리고 표시부 및 알람작동부를 제어하는 마이컴부(30)와,
    그 마이컴부의 제어를 통해 사용자가 장비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수액예정량 및 수액예정시간, 그리고 사용자의 키입력결과 및 장비의 동작 상태를 외부로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40)와,
    전원 ON/OFF, 수액의 주사량, 주사속도등을 입력하는 키입력부(50)와,
    인퓨전 펌프가 넘어지거나 환자의 체내로 수액투입이 완료될 경우 외부로 알람신호를 보내는 스피커부(60)와,
    그 스피커부와 구동과 동시에 LED로 외부에 동작상황을 표시하는 표시램프부(70)를 포함하여 인퓨전 펌프(1)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액장착형 휴대용 인퓨전 펌프.
  2. 제 1항에 있어서, 센서부(10)는 마이컴의 출력포트 RA0와 연결되어 인퓨전 펌프의 기울어진 각도를 검출하는 각도센서(11)와, 마이컴의 출력포트 RA1과 연결되어 수액팩의 중량을 검출하는 중량센서 및 스트레인게이지로 이루어진 압력센서(12)로 구성되어, 수액팩의 무게 변환 패턴을 측정하여 장비의 상태를 체크하고 이동시 적외선 드롭센서의 측정오차를 보정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액장착형 휴대용 인퓨전 펌프.
  3. 제2항에 있어서, 각도센서(11)는 볼(11a)접촉에 의한 복수개의 센서스위치(11b)가 원주방향을 따라 구성되어 경사시 볼이 해당 기울어진 위치의 센서스위치와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액장착형 휴대용 인퓨전 펌프.
  4. 제1항에 있어서, 수액차단제어부(20)는 마이컴의 출력포트 RA3와 연결되어 인퓨전 펌프가 넘어지거나 환자의 체내로 수액투입이 완료될 경우 순간 작동되어 수액배출구의 유로관 일측을 밀착 또는 이완시키는 차단스위치(21)와,
    저항(R2,R3,R4,R5)과 연결되어 각도센서의 각도를 1,2,3,4 단계별로 조절하고, 그 단계별로 조절된 각도를 일측에 연결된 마이컴의 출력포트 RC4, RC5, RC6, RC7을 통해 전달하는 각도조절스위치(22)와,
    저항(R9,R10,R11,R12)와 연결되어 압력센서의 중량을 1,2,3,4 단계별로 조절하고, 그 단계별로 조절된 중량을 일측에 연결된 마이컴의 출력포트 RC4, RC5, RC6, RC7을 통해 전달하는 중량조절스위치(23)와,
    EEPROM으로 구성되어 마이컴의 출력포트 RA4, RA5을 통해 마이컴의 제어신호를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메모리부(24)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액장착형 휴대용 인퓨전펌프.
  5. 제1항에 있어서, 마이컴부(30)는 출력포트RA0가 각도센서와 연결되고, 출력포트RA1이 압력센서와 연결되며, 출력포트RA2가 저항R1을 통해 표시램프부와 연결되고, 출력포트RA3가 차단스위치와 연결되며, 출력포트RA4 및 출력포트RA5가 메모리부의 입력포트 SDA(Serial Data Address)/SCL(Serial Clock)단자와 연결되고, 출력포트 RB0~RB6가 저항(R15, R16, R17, R18, R19, R20, R21)을 통해 키입력부의 전원 ON/OFF, 수액의 주사량, 주사속도조절 스위치와 각각 연결되고, 출력포트 RB0~RB7가 디스플레이부의 입력포트 7~14에 연결되고, 출력포트 RC0~RC2가 디스플레이부의 출력포트6,4,5에 연결되며, 출력포트 RC3가 저항R13, 포토커플러(PC), 다이오드(D1)을 통해 스피커부의 알람출력용 릴레이부와 연결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액장착형 휴대용 인퓨전펌프.
  6. 제1항에 있어서, 인퓨전펌프(1)는 박스형상으로, 정면 좌측상단부에 디스플 레이부(40)가 형성되고, 그 디스플레이부(40) 하단에 키입력부(50)가 형성되며, 그 키입력부(50)의 하단에 스피커부(60)가 형성되고, 그 스피커(60)의 측면에 표시램프부(70)가 형성되며, 그 스피커부(60) 하단에 각도센서(11)가 형성되며, 그 각도센서(11) 하단부에 힌지구조(80a)로 이루어진 좌측개폐부(80)가 형성되고, 그 좌측개폐부 하단부에 수액유로관 홈(82)이 형성되며;
    정면 우측에 좌측개폐부(80)와 대칭을 이루는 힌지구조(90a)의 우측개폐부(90)가 형성되고, 그 우측개폐부 내부에 수액팩(91-1)을 장착할 수 있는 수액걸이구(91)가 형성되며;
    하단면에 회전식 받침대(95)가 형성되고;
    상단면 일측에 손잡이끈(1a)이 형성되며;
    양측면 상단일측에 어깨끈(1b)이 형성되고;
    후면 상단일측에 양쪽어깨끈(1c)이 형성되며, 그 양쪽어깨끈(1c) 하단에 거치부재(100)가 형성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액장착형 휴대용 인퓨전펌프.
  7. 제6항에 있어서, 회전식 받침대(95)는 하단면의 중앙부에 형성된 핀(95a)을 중심으로 ±90°방향으로 회전하여 양쪽으로 날개(95b)가 형성되고, 그 날개를 고정시키는 사각형상의 고정편(95c)이 돌출되어 형성되는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액장착형 휴대용 인퓨전펌프.
  8. 제5항에 있어서, 거치부재(100)는 탈부착형 구조로, 원형돌림나사(110)에 와셔(120)가 삽입되고, 그 와셔(120)에 스프링(130)이 삽입되며, 그 스프링(130)에 'ㅜ'자형 제1연결부재(140)가 연결되고, 그 제1연결부재(140)의 하단부에 형성된 원둘레를 따라 형성된 돌기와 짝을 이루는
    Figure 112005003060716-pat00003
    자형 제2연결부재(150)가 연결되고, 그
    Figure 112005003060716-pat00004
    자형 제2연결부재(150) 내부로 제3연결부재(160)가 삽입·결합되어 수평, 수직등 설치장소에 관계없이 장착시 장비가 수평을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액장착형 휴대용 인퓨전 펌프.
KR1020050005048A 2005-01-19 2005-01-19 수액장착형 휴대용 인퓨전펌프 KR1006660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5048A KR100666059B1 (ko) 2005-01-19 2005-01-19 수액장착형 휴대용 인퓨전펌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5048A KR100666059B1 (ko) 2005-01-19 2005-01-19 수액장착형 휴대용 인퓨전펌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84257A KR20060084257A (ko) 2006-07-24
KR100666059B1 true KR100666059B1 (ko) 2007-01-09

Family

ID=371743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05048A KR100666059B1 (ko) 2005-01-19 2005-01-19 수액장착형 휴대용 인퓨전펌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6605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6587B1 (ko) 2011-09-08 2013-08-14 (주)대영오앤이 링겔용 수액종료시점측정장치
WO2022191625A1 (ko) * 2021-03-11 2022-09-15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영양백의 움직임을 보정하는 잔여 영양액 측정 장치 및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63133A (ja) * 1992-06-18 1994-03-08 Raifu Technol Kenkyusho 携帯用自動薬液注入装置
KR20030097746A (ko) * 2003-11-28 2003-12-31 주식회사 우영메디칼 멀티 센서가 내설된 휴대용 약물 주입펌프
KR20040003811A (ko) * 2002-07-04 2004-01-13 주식회사 옵토스타 링거액 주사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63133A (ja) * 1992-06-18 1994-03-08 Raifu Technol Kenkyusho 携帯用自動薬液注入装置
KR20040003811A (ko) * 2002-07-04 2004-01-13 주식회사 옵토스타 링거액 주사장치
KR20030097746A (ko) * 2003-11-28 2003-12-31 주식회사 우영메디칼 멀티 센서가 내설된 휴대용 약물 주입펌프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6587B1 (ko) 2011-09-08 2013-08-14 (주)대영오앤이 링겔용 수액종료시점측정장치
WO2022191625A1 (ko) * 2021-03-11 2022-09-15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영양백의 움직임을 보정하는 잔여 영양액 측정 장치 및 방법
KR20220127562A (ko) * 2021-03-11 2022-09-20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영양백의 움직임을 보정하는 잔여 영양액 측정 장치 및 방법
KR102559771B1 (ko) 2021-03-11 2023-07-26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영양백의 움직임을 보정하는 잔여 영양액 측정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84257A (ko) 2006-07-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10031272A1 (en) Chemical dispensing systems and positive displacement flow meters therefor
ES2418630T3 (es) Detección de envase vacío usando un sensor de presión del lado del envase
US10010686B2 (en) Fluid control system and disposable assembly
CN110841135B (zh) 医疗管组件
US9074920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bedside collection of body fluids and automatic volume level monitoring
US9726167B2 (en) Methods, circuits, devices, apparatuses, encasements and systems for identifying if a medical infusion system is decalibrated
CN105848694B (zh) 流体控制系统和一次性组件
KR20180015569A (ko) 수액유량 조절장치
TW200538706A (en) Flow monitoring devices and methods of use
US9364109B2 (en) Hydration system
KR100666059B1 (ko) 수액장착형 휴대용 인퓨전펌프
EP3529566B1 (en) Electronic flowmeter with regulator
US8905330B2 (en) Hydration system
US20230310735A1 (en) Electronically controlled intravenous infusion pump
JP2007506503A (ja) とりわけ医学的用途のための、流体を投与する装置および方法
CN111870753A (zh) 一种模块化床旁血液净化设备及其控制方法
US7639151B2 (en) Liquid blocking apparatus and system equipped with an alarm or wireless calling device and a storing bag
KR20000054819A (ko) 정맥 주사 정량 주입장치
US11656641B2 (en) System for detecting and indicating container volume variations
KR100597601B1 (ko) 생체용 액체주입장치
KR20160145998A (ko) 다기능 약액 공급량 조절기
CN115944808A (zh) 一种智能安全便携术后镇痛泵
JP2004271424A (ja) 実験小動物用飲水量計測システムおよびそれに用いる実験小動物用飲水量計測器、実験小動物用薬剤投与量計測システム
KR20070120215A (ko) 점적주사주입속도측정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