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65983B1 - 휴대용 쑥뜸기 - Google Patents

휴대용 쑥뜸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65983B1
KR100665983B1 KR1020050100191A KR20050100191A KR100665983B1 KR 100665983 B1 KR100665983 B1 KR 100665983B1 KR 1020050100191 A KR1020050100191 A KR 1020050100191A KR 20050100191 A KR20050100191 A KR 20050100191A KR 100665983 B1 KR100665983 B1 KR 1006659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tor
portable
lower case
moxa
mugw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001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 제임스
진수 강 피터
Original Assignee
최 제임스
진수 강 피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 제임스, 진수 강 피터 filed Critical 최 제임스
Priority to KR10200501001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6598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659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659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9/00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specific reflex points of the body for physical therapy, e.g. acupuncture
    • A61H39/06Devices for heating or cooling such points within cell-life limi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1Constructive details
    • A61H2201/0157Constructive details portab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2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heated or cooled
    • A61H2201/0207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heated or cooled heat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2Driving means
    • A61H2201/1207Driving means with electric or magnetic driv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Finger-Pressure Mass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용 쑥뜸기에
모터와 이 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팬과 상기 모터에 전원을 연결하는 스위치가 설치되는 상부 케이스와, 뜸쑥을 수용하며 이 수용부의 바닥에는 배출공이 형성되는 하부 케이스가 착탈이 자유롭게 설치되어 있고, 상기 팬과 하부 케이스의 수용부 사이에는 통공이 형성된 칸막이가 설치되어 있는 휴대용 쑥뜸기에 있어서,
상기 상부 케이스(100)의 하부 안쪽에는 내부 결합구(300)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하부 케이스(200)의 수용부(210)는, 바닥(211)과 상기 바닥으로부터 위쪽으로 연장되는 둘레방향의 수용턱(212)으로 구성되어 있되, 상기 내부 결합구(300)의 하단은 상기 하부 케이스(200)의 내면과 수용턱(212)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내부 결합구(300)의 하단에는 위쪽으로 오목한 홈(310)으로 된 칸막이(370)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홈(310)의 아래쪽 내면에는 둘레방향을 따라 복수의 통공(320)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므로,
연소중인 쑥을 간접 송풍방식에 의해 쑥재가 비산하는 경우를 피할 수 있어, 환부를 더럽히거나, 비산된 재가 모터나 팬 등으로 역류하여 점착함으로써 고장을 일으키는 경우를 피할 수 있고, 통공이 홈의 하단 부근의 둘레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중앙에 배치된 뜸쑥에 의해 모터나 팬에 고열이 직접 전달되어 고장을 일으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쑥뜸기, 케이스, 모터, 팬, 걸림망, 수용턱

Description

휴대용 쑥뜸기{PORTABLE MUGWORT MOXIBUSTION APPARATUS}
도 1은, 종래 쑥뜸기의 예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쑥뜸기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a)는 저면 사시도이고, (b)는 상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의 종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쑥뜸기에서 수용부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a)는 저면 사시도이고, (b)는 상면 사시도이고, (c)는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쑥뜸기에서 하부 케이스 부분의 저면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쑥뜸기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a)는 종단면도이고, (b)는 칸막이 부분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적용될수 있는 본 발명의 쑥듬기의 전자제어 동작회로도의 일 예이다.
※ 주요 도면부호의 설명
100... 상부 케이스
200... 하부 케이스
300... 내부 결합구
400... 걸림망
500... 긁개
600... 쑥 고정축
800... 모터전압제어기
본 발명은 휴대용 쑥뜸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팬을 사용하여 쑥뜸의 효율을 높이는 동시에 팬의 사용으로 인한 재의 비산 및 이로 의한 고장 및 사용자의 불쾌감을 방지하고 외부에의 열발산을 최소화할 수 있는 휴대용 쑥뜸기에 관한 것이다.
쑥뜸은 평소 몸이 차가운 사람에게 유효하여, 여성의 냉.대하, 생리 불순, 어혈 등을 방지하는데 크게 효과적일 뿐만 아니라, 유산 위험을 줄이는데도 효과가 좋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소화 불량, 속쓰림, 이유 없는 짜증과 한숨, 허리와 다리의 저림, 불면증 등의 증상에 시달리는 사람에게도 효과가 좋다. 또한, 비만, 만성 피로, 출산 뒤 몸단속, 골다공증 예방, 피부 미용에도 도움을 준다.
이에 따라, 근래에는 가정에서도 손쉽게 쑥뜸을 적용할 수 있도록 쑥뜸기가 시판되고 있다.
이러한 쑥뜸기의 대표적인 구조가 도 1에 도시되어 있는데, 이를 간략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쑥뜸기는, 건전지(1)에 의해 모터(2)를 구동하여 팬(3)을 회전 및 송풍시키는 부분인 몸체(4)와, 그 아래쪽에 착탈이 자유롭게 되어 있으며 바닥에 배출공이 여러 개 관통 형성된 스텐레스통(5)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외부에서 불을 붙인 쑥(7)을 안쪽 공간(6)에 넣어서 태우도록 하는 동시에, 쑥 연기와 열이 팬(3)의 회전에 의해 아래쪽 스텐레스통(5)의 배출공을 통해 밑으로 빠져나와 인체의 환부에 훈열을 가하게 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쑥뜸기는 공급되는 공기가 직접 뜸쑥에 공급되기 때문에 타고 남은 쑥재가 비산되는 경우가 많았다.
특히, 비산되는 재는 케이스의 배출공을 통해 배출되어 환부를 더럽히거나, 역류하여 모터나 팬에 점착함으로써 고장을 일으키는 문제도 있었다.
더욱이, 고온의 뜸쑥과 팬 사이가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얇은 망에 의해 가려져 있을 뿐이기 때문에, 뜸쑥의 온도가 상기 팬이나 모터에 거의 직접적으로 전달되어 고장의 한 원인이 될 수 있다.
더욱이, 내부공기를 배출하기 위한 구멍이 없어서 내부 온도의 급격한 상승으로 인해 고장이 발생될 수 있었다.
또한, 뜸쑥의 온도가 스텐레스통(5)으로 바로 전달되므로 사용중 손에 화상을 입을 수도 있었다.
또한, 사용중 내부의 뜸쑥이 흔들려서 재가 쉽게 비산할 수밖에 없는 구조로 되어 있었다.
또한, 항상 외부에서 뜸쑥을 점화시킨 후 몸체(4)와 스텐레스통(5)을 결합해야 하므로 번거롭다는 단점도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발명의 목적은 간접송풍에 의해 뜸쑥에 공기를 공급함으로써 쑥의 재가 비산하는 것과 이로 인해 주변기기의 고장을 방지할 수 있는 휴대용 쑥뜸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뜸쑥의 온도가 주변기기에 전달되지 않도록 하는 휴대용 쑥뜸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케이스의 온도가 외면에 전달되지 않도록 하는 휴대용 쑥뜸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쑥의 재가 환부에 누출되는 것을 확실히 방지할 수 있는 휴대용 쑥뜸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쑥 재료를 넣은 상태에서 쑥을 직접 점화시키도록 함으로써 편리성을 높인 휴대용 쑥뜸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쑥뜸기는,
모터와 이 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팬과 상기 모터에 전원을 연결하는 스위치가 설치되는 상부 케이스와, 뜸쑥을 수용하며 이 수용부의 바닥에는 배출공이 형성되는 하부 케이스가 착탈이 자유롭게 설치되어 있고, 상기 팬과 하부 케이스의 수 용부 사이에는 통공이 형성된 칸막이가 설치되어 있는 것으로서,
상기 상부 케이스의 하부 안쪽에는 내부 결합구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하부 케이스의 수용부는, 바닥과 상기 바닥으로부터 위쪽으로 연장되는 둘레방향의 수용턱으로 구성되어 있되,
상기 내부 결합구의 하단은 상기 하부 케이스의 내면과 수용턱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내부 결합구의 하단에는 위쪽으로 오목한 홈으로 된 칸막이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홈의 아래쪽 내면에는 둘레방향을 따라 복수의 통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수용부의 바닥 하부에는 컬링 형태의 걸림망이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수용부의 바닥 위쪽에는 긁개가 회전이 자유롭게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수용부의 바닥 상부에는 쑥 고정축이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모터에는 모터전압제어기가 연결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칸막이를 지나 아래쪽으로, 전원과 연결된 저항열선이 설치되어 있으며, 케이스의 외부에는 상기 저항열선을 전원에 연결하는 점화 스위치가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하부 케이스에는 대기와 통하는 열분산공이 관통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하부 케이스의 안쪽에는, 상기 하부 케이스와 일체가 되어 아래쪽을 향해 연장됨으로써 배출되는 연기를 안내하는 가이드용 파이프가 형성되어 있되, 상기 가이드용 파이프는 하부 케이스의 하단부에 미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제1실시예
도 2 내지 도 4에 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쑥뜸기의 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쑥뜸기(1000)는, 모터(M), 이 모터(M)에 의해 구동되는 팬(F), 상기 모터(M)에 전원을 연결하는 스위치(S)를 수용하는 상부 케이스(100)와, 뜸쑥(900)을 수용하며 이 수용부(210)의 바닥에는 배 출공(217) 이 형성되는 하부 케이스(200)가 착탈이 자유롭게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상부 케이스(100)의 하부 안쪽에는 내부 결합구(300)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내부 결합구(300)의 하단에는 위쪽으로 오목한 홈(310)(도면에서 콘(cone) 형상)으로 된 칸막이(370)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내부 결합구(300)의 하단 부근에서 홈(310)의 안쪽에는, 둘레방향을 따라 복수의 통공(320)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상부 케이스(100)의 상단에는 스위치(S)가 설치된 커버(160)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하부 케이스(200)의 수용부(210)는, 바닥(211)과 상기 바닥으로부터 위쪽으로 연장되는 둘레방향의 수용턱(212)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때, 상기 내부 결합구(300)의 하단은 상기 하부 케이스(200)의 내면과 수용턱(212)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이 경우, 상기 통공(320)은 하부 케이스(200)에 형성된 수용부(210)의 수용턱(212)을 향해 배치되어 있다.
상기 상부 케이스(100)와 하부 케이스(200)는 플라스틱으로 구성되고, 상기 내부 결합구(300)는 스테인레스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하부 케이스(200)에는 대기와 통하는 열분산공(270)이 관통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서, 상기 하부 케이스(200)의 수용부 아래쪽 공간에 열분산공(270)이 형성되어 있어, 쑥을 통과한 공기가 환부를 과열시키는 경우가 없다.
또한, 상기 하부 케이스(200)의 안쪽에는, 상기 하부 케이스(200)와 일체가 되어 아래쪽을 향해 연장됨으로써 배출되는 연기를 안내하는 가이드용 파이프(260)가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 상기 가이드용 파이프(260)는 하부 케이스(200)의 하단부에 미치지 않게 되어 있어, 안내되어 나온 연기가 연속적으로 하부 케이스(200)의 열분산공(270)으로 배출될 수 있게 된다. 상기 가이드용 파이프(260)로 인해, 연소하는 쑥으로부터의 훈열이 환부에 집중적으로 작용할 수 있게 되어 치료 효과가 한층 뛰어나게 된다.
한편, 상기 모터(M)에는 모터전압제어기(800)가 연결되어 있어, 모터전압제어기(800)에 연결된 스위치(S)를 회전시킴에 따라서 회전수가 달라지고 송풍량이 달라지게 되어 있다. 또한, 상기 모터전압제어기(800)에 의한 변화를 나타내기 위해 LED(170)가 배치되어 있어, 전압이 클수록 밝기가 커지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전원은 건전지나 외부전원이 모두 사용될 수 있는데,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전원은 어댑터(미도시)가 연결되도록 전원잭(190)을 설치하면 되고, 건전지는 도면에서와 같이 상부 케이스(100)의 손잡이 부분에 적당한 위치에 배치하면 된다. 상기 전원과의 연결을 위한 단자(미도시) 배치는 매우 통상적이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전술한 구성에 따라, 점화된 뜸쑥을 상기 수용부(210)에 배치하면, 뜸쑥은 상기 바닥(211)과 수용턱(212)에 의해 위치가 고정되게 된다.
상기 수용부(210)의 바닥 상부에 쑥 고정축(600)을 설치하면, 보다 확실히 쑥을 고정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쑥에 미리 설치구멍을 형성하는 것이 좋다.
이 상태에서 상부 케이스(100)와 하부 케이스(200)를 서로 결합하면, 상기 상부 케이스(100)의 하부 안쪽에 배치된 내부 결합구(300)가 하부 케이스(200)의 상부 개구쪽에 정확히 들어맞으면서 결합하게 된다.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나사(P) 등을 이용하여 하부 케이스(200)와 내부 결합구(300)를 견고하게 결합할 수 있다.
상부 케이스(100)와 하부 케이스(200)의 결합이 완료되면, 상기 내부 결합구(300)의 하단이 하부 케이스(200)의 내면과 수용턱(212) 사이에 배치된다.
이 경우, 상기 내부 결합구(300)의 하단에는 오목한 홈(310)으로 된 칸막이(370)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홈(310)의 하단 부근에는 통공(320)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통공(320)을 통과하는 쑥 연기는 수용턱(212)을 향하게 된다.
즉, 쑥 연기는 일단 수용턱(212)에 부딪힌 후, 다시 수용턱(212)을 넘어서 연소중인 쑥을 통과하고, 상기 바닥(211)의 배출공(217)을 통해 연속 배출되어 환부에 작용한다. 즉, 쑥 연기는 간접 송풍방식에 의해 쑥으로 공급된다.
이에 따라, 직접 송풍에 의해 연소되는 쑥재가 비산하여 환부를 더럽히는 경우가 없게 된다.
또한, 비산된 재가 모터(M)나 팬(F) 등으로 역류하여 점착함으로써 고장을 일으키는 경우도 피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통공(320)이 홈(310)의 하단 부근의 둘레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중앙에 배치된 뜸쑥의 고열이 모터(M)나 팬(F)에 직접 전달되어 고장을 일으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뜸쑥과 상하부 케이스 사이는 내부 결합구(300)에 의해 이격되어 있고, 상기 상하부 케이스는 플라스틱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중 손에 화상을 입는 경우를 피할 수 있다.
또한, 하부 케이스(200)에는 열분산공(270)이 형성되어 있어 연소되는 쑥에서 발생된 열이 계속 환부에 중첩되어 화상을 일으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용부(210)의 바닥 상부에는 쑥 고정축(600)이 설치되어 있어 뜸쑥을 보다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또한, 모터전압제어기(800)에 의해 모터(M)의 속도를 조절함으로써 팬(F)에 의한 송풍량을 적절히 조절할 수 있다.
제2실시예
도 5에는 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쑥뜸기의 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배출공(217)이 형성된 상기 수용부(210)의 바닥(211) 위쪽에 긁개(500)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제외하면 제1실시예와 동일하다.
따라서,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 긁개(500)는 상기 바닥(211)에 회전이 자유롭게 설치되어 있고, 회전지점(510)의 반대쪽 단부에는 손잡이(520)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긁개(500)를 회전시킴으로써, 수용부(210)의 바닥(211)에 퇴적된 쑥재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더욱이, 상기 긁개(500)의 바닥 접촉부(530)는 매우 날카롭게 형성되어 쑥재 를 남김없이 분리시키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3실시예
도 6에는 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쑥뜸기의 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수용부(210)의 바닥(211) 아래쪽에는 걸림망(400)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제외하면 제1실시예와 동일하다.
따라서,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도면에서, 상기 걸림망(400)은 다수의 가느다란 철사가 컬링(curling) 형성된 구성으로 되어 있어, 비산된 쑥재가 통과하는 것을 방지하게 되어 있다.
상기 걸림망(400)으로 인해, 비산된 쑥재가 환부에 닿거나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4실시예
도 7에 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쑥뜸기의 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칸막이(370)를 지나 아래쪽으로, 전원과 연결된 저항열선(350)이 설치되어 있으며, 케이스의 외부에는 상기 저항열선(350)을 전원에 연결하는 점화 스위치(150)가 설치되어 있다. 그 밖의 구성은 제1실시예와 동일하므로 동일한 부분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전술한 구성에 따라, 상기 점화 스위치(150)를 ON하면, 저항열선(350)이 달구어지므로, 미리 수용부(210)에 배치된 뜸쑥을 점화할 수 있게 된다. 즉, 연소하 고 있는 쑥을 수용부(210)에 이동시켜서 배치하는 번거로움을 피할 수 있게 된다.
확실한 점화를 위해, 상기 저항열선(350)은 배치된 뜸쑥에 닿도록 하는 것이 좋다.
상기 저항열선(350) 및 모터(M)의 전원 연결은 병렬연결이 바람직하며, 연결경로 중간에는 점화 스위치(150)와 스위치(S)가 배치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적용될 수 있는 송풍량의 제어와 송풍량의 변화에 따른 표시 LED의 밝기 변화, 및 쑥이 점화되어 온도가 상승함에 따른 송풍모터의 속도제어 등을 위한 전기전자적 제회로이다. 여기에 적용되는 전압제어에 의한 모터속도제어 및 히터의 점화제어, 표시소자의 밝기제어 등은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관용적으로 활용되는 기술을 활용한 것이며, 이의 제어에 필요한 전원제어용 집적회로인 전원제어용 IC와 발진부(100) 등으로 구성된 전원제어용 IC부(801)는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관용적으로 사용되고 상품화된 전력전자제어용 부품이다.
이하, 도 8에 도시된 회로도에 관해 간략히 기술한다.
먼저, 송풍모터부(805)의 속도제어는, 전원 공급부(809)에서 입력되는 전원 스위치(S: 회로도상에는 미도시)와 가변저항으로 이루어진 모터속도제어용 저항부(804)를 거처 전원제어용 IC부(801)에 의해 이루어진다.
전원제어용 IC부(801)는, 후술하는 온도 감지부(803)로부터 입력된 쑥의 연소 및 온도변화에 따른 전압 또는 저항을 입력받아 연산하여, 그 제어신호를 송풍모터(M)와 송풍모터에 공급되는 전원을 제어하기 위한 FET 등의 트랜지스터로 이루 어진 송풍모터부에 공급하여 송부모터(M)의 속도를 제어한다. 아울러, 상기 저항값의 변화와 온도변화에 따라 전원제어용 IC부(801)에서 출력되는 제어 신호는, LED 등으로 이루어진 발광소자와 발광소자에 공급되는 전원을 제어하는 FET 등의 트랜지스터로 이루어진 표시소자부(806)에 전달되어 전원투입표시 및 모터속도에 따른 발광소자의 밝기를 다르게 표시한다.
또한, 쑥의 연소를 위해 사용자가 점등 발열선 제어부(807)의 스위치(150)를 ON하면, 전원제어용 IC부(801)는 미리 설정된 일정시간 동안 또는 온도감지부(803)에서 일정온도 이상의 온도가 감지될 때까지 히터(350) 등으로 이루어진 발열소자 와 발열소자에 공급되는 전원을 제어하는 FET 등의 트랜지스터로 이루어진 발열부(802)에 신호를 공급하여 쑥과 접촉된 전기히터를 발열시키고 쑥을 점화시킨다.
여기서, 모터의 속도제어 및 점화여부 등을 제어하기 위해, 쑥의 연소온도 감지부(803)는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관용적으로 사용되는 PCT 소자 또는 써머커플 등의 온도감지소자가 사용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르면, 연소중인 쑥을 간접 송풍방식에 의해 통과시키므로 쑥재가 비산하여 환부를 더럽히는 경우가 없게 된다.
또한, 비산된 재가 모터나 팬 등으로 역류하여 점착함으로써 고장을 일으키는 경우도 피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통공이 홈의 하단 부근의 둘레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중앙에 배치된 뜸쑥에 의해 모터나 팬에 고열이 직접 전달되어 고장을 일으 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뜸쑥과 상하부 케이스 사이는 내부 결합구에 의해 이격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중 손에 화상을 입는 경우를 피할 수 있다.
또한, 하부 케이스에는 열분산공이 형성되어 있어 연소되는 쑥에서 발생된 열이 계속 환부에 중첩되어 화상을 일으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하부 케이스의 안쪽에 일체로 형성된 가이드용 파이프로 인해, 연소하는 쑥으로부터의 훈열이 환부에 집중적으로 작용할 수 있게 되어 치료 효과가 한층 뛰어나게 된다.
또한, 상기 수용부의 바닥 상부에는 쑥 고정축이 설치되어 있어 뜸쑥을 보다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또한, 모터전압제어기에 의해 모터의 속도를 조절함으로써 팬에 의한 송풍량을 사용자에 맞게 적절히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수용부의 바닥부에는 긁개가 설치되어 있어, 수용부 바닥에 퇴적된 쑥재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수용부의 바닥부 아래쪽에는 걸림망이 설치되어 있어, 비산된 쑥재가 환부에 닿거나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보다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칸막이를 지나 아래쪽으로, 전원과 연결된 저항열선이 설치되어 있어, 저항열선에 의해 미리 수용부에 배치된 뜸쑥을 점화할 수 있으므로, 연소중인 쑥을 수용부에 이동시켜서 배치하는 번거로움을 피할 수 있다.

Claims (8)

  1. 모터와 이 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팬과 상기 모터에 전원을 연결하는 스위치가 설치되는 상부 케이스와, 뜸쑥을 수용하며 이 수용부의 바닥에는 배출공이 형성되는 하부 케이스가 착탈이 자유롭게 설치되어 있고, 상기 팬과 하부 케이스의 수용부 사이에는 통공이 형성된 칸막이가 설치되어 있는 휴대용 쑥뜸기에 있어서,
    상기 상부 케이스(100)의 하부 안쪽에는 내부 결합구(300)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하부 케이스(200)의 수용부(210)는, 바닥(211)과 상기 바닥으로부터 위쪽으로 연장되는 둘레방향의 수용턱(212)으로 구성되어 있되,
    상기 내부 결합구(300)의 하단은 상기 하부 케이스(200)의 내면과 수용턱(212)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내부 결합구(300)의 하단에는 위쪽으로 오목한 홈(310)으로 된 칸막이(370)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홈(310)의 아래쪽 내면에는 둘레방향을 따라 복수의 통공(320)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쑥뜸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210)의 바닥 하부에는 컬링 형태의 걸림망(400)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쑥뜸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210)의 바닥 위쪽에는 긁개(500)가 회전이 자유롭게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쑥뜸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210)의 바닥 상부에는 쑥 고정축(600)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쑥뜸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M)에는 모터전압제어기(800)가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쑥뜸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칸막이(370)를 지나 아래쪽으로, 전원과 연결된 저항열선(350)이 설치되어 있으며, 케이스의 외부에는 상기 저항열선(350)을 전원에 연결하는 점화 스위치(150)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쑥뜸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케이스(200)에는 대기와 통하는 열분산공(270)이 관통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쑥뜸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케이스(200)의 안쪽에는, 상기 하부 케이스(200)와 일체가 되어 아래쪽을 향해 연장됨으로써 배출되는 연기를 안내하는 가이드용 파이프(260)가 형성되어 있되, 상기 가이드용 파이프(260)는 하부 케이스(200)의 하단부에 미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쑥뜸기.
KR1020050100191A 2005-10-24 2005-10-24 휴대용 쑥뜸기 KR1006659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00191A KR100665983B1 (ko) 2005-10-24 2005-10-24 휴대용 쑥뜸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00191A KR100665983B1 (ko) 2005-10-24 2005-10-24 휴대용 쑥뜸기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30155U Division KR200405244Y1 (ko) 2005-10-24 2005-10-24 휴대용 쑥뜸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65983B1 true KR100665983B1 (ko) 2007-01-10

Family

ID=378672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00191A KR100665983B1 (ko) 2005-10-24 2005-10-24 휴대용 쑥뜸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65983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697648A (zh) * 2012-06-25 2012-10-03 胡秀萍 一种自动排烟的艾炙装置
CN102793623A (zh) * 2012-09-12 2012-11-28 胡秀萍 一种新型艾炙装置
CN105496773A (zh) * 2016-02-02 2016-04-20 莫颖琳 全自动雀啄灸艾灸盒
WO2019109568A1 (zh) * 2017-12-04 2019-06-13 深圳前海艾艾贴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环保材质梅花型艾灸器底座及艾灸器
CN111297680A (zh) * 2020-02-18 2020-06-19 浦江县人民医院 艾条悬置支撑装置及艾灸过程控制方法
KR20210038140A (ko) 2019-09-30 2021-04-07 (주)에쎄르 온열요법기능과 원적외선 방사기능을 갖는 전자식 쑥뜸기계장치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697648A (zh) * 2012-06-25 2012-10-03 胡秀萍 一种自动排烟的艾炙装置
CN102697648B (zh) * 2012-06-25 2013-10-23 胡秀萍 一种自动排烟的艾炙装置
CN102793623A (zh) * 2012-09-12 2012-11-28 胡秀萍 一种新型艾炙装置
CN105496773A (zh) * 2016-02-02 2016-04-20 莫颖琳 全自动雀啄灸艾灸盒
WO2019109568A1 (zh) * 2017-12-04 2019-06-13 深圳前海艾艾贴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环保材质梅花型艾灸器底座及艾灸器
KR20210038140A (ko) 2019-09-30 2021-04-07 (주)에쎄르 온열요법기능과 원적외선 방사기능을 갖는 전자식 쑥뜸기계장치
KR102252837B1 (ko) 2019-09-30 2021-05-17 (주)에쎄르 온열요법기능과 원적외선 방사기능을 갖는 전자식 쑥뜸기계장치
CN111297680A (zh) * 2020-02-18 2020-06-19 浦江县人民医院 艾条悬置支撑装置及艾灸过程控制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65983B1 (ko) 휴대용 쑥뜸기
JP2019098137A (ja) インテリジェント温灸器
KR200405244Y1 (ko) 휴대용 쑥뜸기
WO2019137560A1 (zh) 自动控制的加热不燃型电子烟具及其控制方法
KR100994143B1 (ko) 히터
US20100064545A1 (en) Air dryer and sanitizer
US20190078806A1 (en) Handheld portable hot air device
US7160315B2 (en) Handheld thermal therapy device
CN103565635A (zh) 一种间接艾灸方法及装置
KR200205768Y1 (ko) 한방 쑥뜸 장치
US7261537B2 (en) Forced hot air ice cream scoop
KR200424452Y1 (ko) 온열쑥찜방석
KR100356936B1 (ko) 쑥뜸기
US20060048769A1 (en) Roaster oven able to roast meat on both sides simultaneously
CN213311659U (zh) 一种磁脉冲温灸仪
KR20090107811A (ko) 휴대용 습식 뜸질장치
KR100494716B1 (ko) 쑥찜기
KR0128496Y1 (ko) 쑥뜸기
KR200350708Y1 (ko) 쑥뜸기
CN209301715U (zh) 一种温灸保健仪
KR200268156Y1 (ko) 손 뜸치료기
KR200278918Y1 (ko) 쑥뜸기
CN215637314U (zh) 艾条点火装置
KR102274839B1 (ko) 핀스크린 방식의 전자 뜸 장치
CN208886830U (zh) 一种点艾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027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