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65923B1 - 곡물 저장장치용 음이온 발생전극 및 음이온 발생장치가구비된 곡물 저장장치 - Google Patents

곡물 저장장치용 음이온 발생전극 및 음이온 발생장치가구비된 곡물 저장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65923B1
KR100665923B1 KR1020050109168A KR20050109168A KR100665923B1 KR 100665923 B1 KR100665923 B1 KR 100665923B1 KR 1020050109168 A KR1020050109168 A KR 1020050109168A KR 20050109168 A KR20050109168 A KR 20050109168A KR 100665923 B1 KR100665923 B1 KR 1006659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ain
storage device
electrode
high voltage
grain stor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091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용교
나병옥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원지에스아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원지에스아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원지에스아이
Priority to KR10200501091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6592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659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659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ING, e.g. BY CANNING, MEAT, FISH, EGGS, FRUIT, VEGETABLES, EDIBLE SEED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THE PRESERVED, RIPENED, OR CANNED PRODUCTS
    • A23B9/00Preservation of edible seeds, e.g. cereals
    • A23B9/16Preserving with chemical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0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 A23L3/32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by treatment with electric currents without heating effect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0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 A23L3/34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by treatment with chemic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TSPARK GAPS; OVERVOLTAGE ARRESTERS USING SPARK GAPS; SPARKING PLUGS; CORONA DEVICES; GENERATING IONS TO BE INTRODUCED INTO NON-ENCLOSED GASES
    • H01T13/00Sparking plug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Storage Of Harvested Produ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곡물 저장장치용 음이온 발생전극에 관한 것으로서, 일단이 고전압발생장치에 접속되고 타단이 상기 곡물 저장장치에 저장된 곡물에 소정 깊이 삽입되며, 외면에 다수의 돌기가 형성된 도전성의 전극봉 및 상기 전극봉을 외부와 절연시키기 위해 상기 전극봉을 밀폐 수용하는 절연 하우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곡물 저장장치에 저장된 곡물에 음이온을 공급하여 곡물의 수분 방출 속도를 낮추어 줌으로써 곡물의 형태를 보존하고 가공효율을 높여 풍미가 우수하도록 유지하는 효과가 있다.
음이온, 전극, 곡물, 저장, 수분, 절연, 고전압.

Description

곡물 저장장치용 음이온 발생전극 및 음이온 발생장치가 구비된 곡물 저장장치{Ion Generation Electode For Cereals Storage Bin And A Cereals Storage Bin Having Ion Generator}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곡물 저장장치용 음이온 발생전극의 외형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곡물 저장장치용 음이온 발생전극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곡물 저장장치용 음이온 발생전극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음이온 발생장치가 구비된 곡물 저장장치의 정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음이온 발생장치가 구비된 곡물 저장장치의 평면 단면도이다.
<주요 도면부호에 관한 설명>
10 : 고전압발생기 20 : 음이온 발생전극
21 : 절연체 하우징 23 : 패킹부재
40 : 전선케이블 50 : 전극봉
60 : 돌기부 70 : 첨탑부
100 : 본체부 200 : 곡물
본 발명은 곡물 저장장치용 음이온 발생전극 및 음이온 발생장치가 구비된 곡물 저장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저장장치에 장기간 저장되는 곡물을 이온화하여 곡물의 상태를 초기상태로 유지시켜 곡물의 가공 효율 및 풍미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음이온 발생전극 및 이를 구비한 곡물 저장장치에 관한 것이다.
수확된 벼 등의 곡물은 탈곡, 풍구, 정미 등을 거쳐 껍질이 벗겨진 낟알 형태로 빈, 사일로 등의 곡물 저장장치에 일정 기간 저장한 후 출하된다. 곡물의 저장 시에는 곡물의 수분과 온도를 최적으로 유지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곡물의 수분이 과다하면 곡물이 변질될 염려가 있고 곡물의 수분이 과다하게 부족하면 곡물의 과건조로 인해 곡물의 가공 효율이 저하되고 그에 따라 곡물의 풍미가 현저하게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종래 곡물의 저장은 박스나 원통형 케이스에 단순히 곡물을 저장하거나 또는 내부에 교반기와 히터를 구비하여 곡물의 수분을 제거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곡물 저장장치의 경우 전체 곡물이 균일한 건조상태를 유지하기 어렵고 특히, 히터가 위치하는 부분에 근접한 지점의 곡물이 과다건조되어 곡물의 품질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종래 곡물 저장장치에 대한 불합리한 점을 극복하고, 저장된 곡물이 균일하게 적당한 수분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여 곡물의 가공 효율 및 풍미가 우수하도록 유지할 수 있는 곡물 저장장치에 대한 요구가 높아지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에 착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곡물 저장장치에 저장된 곡물에 음이온을 공급하여 곡물의 수분 방출 속도를 낮추어 줌으로써 곡물의 형태를 보존하고 가공효율을 높여 풍미가 우수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외면에 다수의 돌기를 형성된 음이온 발생전극을 절연체 하우징의 내면에 접촉되도록 수납하는 구조를 취함으로써 절연상태를 유지하면서도 곡물에 다량의 이온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일단이 고전 압발생장치에 접속되고 타단이 상기 곡물 저장장치에 저장된 곡물에 소정 깊이 삽입되며, 외면에 다수의 돌기가 형성된 도전성의 전극봉 및 상기 전극봉을 외부와 절연시키기 위해 상기 전극봉을 밀폐 수용하는 절연 하우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 저장장치용 음이온 발생전극이 제공된다.
상기 다수의 돌기는 상기 절연 하우징의 내면에 접하도록 수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일측면에 따르면, 곡물을 저장하기 위한 공간이 형성되고 외면이 접지된 본체부, 음의 고전압을 발생시키는 고전압발생장치 및 상기 고전압발생장치에 의해 인가된 음의 고전압에 의해 전자를 발생시켜 상기 곡물을 음이온화하는 음이온 발생부를 포함하고, 상기 음이온 발생부는 일단이 상기 고전압발생장치에 접속되고 타단이 상기 곡물 저장장치에 저장된 곡물에 소정 깊이 삽입되며, 외면에 다수의 돌기가 형성된 도전성의 전극봉 및 상기 전극봉을 외부와 절연시키기 위해 밀폐 수용하는 절연 하우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이온 발생장치가 구비된 곡물 저장장치가 제공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곡물 저장장치용 음이온 발생전극의 외형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곡물 저장장치용 음이온 발생전 극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음이온 발생장치는 고전압 발생기(10) 및 음이온 발생전극(20)으로 구성된다.
고전압 발생기(10)는 0 ~ - 20,000V 사이의 마이너스 고전압을 음이온 발생전극(20)에 인가하는 장치이다. 고전압 발생기(10)는 내부적으로 인가되는 음이온 발생량 조절을 위한 전압 조절, 전압 인가 타이밍 조절 등을 제어하기 위한 컨트롤러(미도시)가 내장되어 있다.
고전압 발생기(10)는 외부적으로 마이컴(15)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동작 주기가 제어된다. 즉, 고전압 발생기(10)가 일정 시간 이상 작동하면 방출되는 음이온이 포화되므로 마이컴(15)은 고전압 발생기(10)가 일정시간 동안 가동한 후 일정시간 가동을 중지하도록 제어한다.
음이온 발생전극(20)은 원통형 절연체 하우징(21) 내에 도전성 전극봉(50)이 수용된 구조로서, 도전성 전극봉(50)은 절연체 하우징(21)에 의해 외부와 절연되어 있다.
도전성 전극봉(50)은 일단이 전선케이블(40)을 통해 고전압 발생기(10)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절연체 하우징(21)의 일단이 패킹 부재(23)과 밀폐되도록 결합되어 외부와 도전성 전극봉(50) 간의 절연을 유지하도록 되어 있다.
도전성 전극봉(50)은 곡물 저장장치의 깊이에 따라 다양한 길이로 제작될 수 있으며 저장장치의 깊이와 거의 동일한 치수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전성 전극봉(50)의 외면에는 다수의 돌기부(60)가 형성되어 있으며, 다수 의 돌기부(60)가 절연체 하우징(21)의 내주면에 접촉되도록 수납되어 있다. 다수의 돌기부(60)는 도전성 전극봉(50)의 외주면 길이 방향으로 소정 폭의 홈을 내고, 길이방향을 따라 철부(凸)를 절삭 가공하여 복수개의 산형상(△)을 형성한 후, 상방 꼭지점 부분이 약간 편평하도록 깎아내어 뾰족한 부분에서 다량의 전자를 방출하는 동시에 절연체 하우징(21)의 내주면과 접촉하는 면적을 충분히 확보하여 방출된 다량의 전자가 절연체 하우징(21) 외부로 방출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곡물 저장장치용 음이온 발생전극의 분해 사시도이다.
제 2 실시예는 돌기부(60)를 첨탑 또는 산형상으로 가공하여 보다 뾰족한 모양이 되도록 한 점 이외는 제 1 실시예와 동일하다.
돌기부(60)를 보다 뾰족하게 하면 돌기부(60)의 선단에서 보다 많은 수의 전자가 방출되도록 하여 전자가 절연체 하우징(21) 외부로 더 잘 방출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나 가공비가 높아지고 절연체 하우징(21)의 내주면과 접촉하는 면적이 충분히 확보되지 못할 수 있는 단점이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음이온 발생장치가 구비된 곡물 저장장치의 정단면도이고, 도 5는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음이온 발생장치가 구비된 곡물 저장장치의 평면 단면도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고전압 발생기(10)는 곡물 저장장치의 외부에 설 치되고 음이온 발생전극(20)은 전선케이블(40)에 통해 곡물 저장장치 내부로 인입된 후 저장된 곡물 내로 적당한 깊이로 삽입된다.
본 실시예에서 음이온 발생전극(20)은 곡물 저장장치의 중앙부에 1개가 배치되고 중앙부에 배치된 음이온 발생전극(20)을 중심으로 소정거리 떨어진 지점에 4개의 음이온 발생전극(20)이 추가로 배치된다.
곡물 저장장치의 본체부(100)는 접지되어 있으며, 고전압 발생기(10)로부터 음이온 발생전극(20)으로 고전압의 마이너스 전압이 인가되면 음이온 발생전극(20)으로부터 다량의 전자가 외부로 방출된다.
도 4의 부분 확대도에는 곡물 저장장치에 저장된 곡물이 이온화되는 원리가 도시되어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고전압 발생기(10)로부터 음이온 발생전극(20)으로 고전압의 마이너스 전압이 인가되면 뾰족한 형태의 돌기부(60)로 전자가 집중되고 절연체 하우징(21)에서 돌기부(60)의 선단과 접촉된 부분을 통해 집중된 전자들이 외부로 방출된다.
이 때, 곡물(200)의 일단이 뾰족한 형태를 취하고 내부에 어느 정도의 수분을 함유하고 있으므로 방출된 전자들은 곡물(200)의 뾰족한 일단을 통해 곡물(200) 내부로 유입되어 곡물(200)을 이온화시키게 되며, 이러한 이온화 현상은 이온화된 곡물(200)로부터 인접한 곡물(200)로 전이되어 곡물 저장장치 내부의 곡물(200)들을 이온화시키게 된다.
이 경우 곡물(200)의 이온화 현상은 음이온 발생전극(20)으로부터 이격될수록 약화되므로 적절한 지점에 음이온 발생전극(20)을 다수개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 하며, 본 실시예에서는 이러한 의미에서 5m × 5m의 단면적을 갖는 곡물 저장장치내에 총 5개의 음이온 발생전극(20)을 배치하였다.
본 실시예에서 본체부(100)의 높이와 같은 길이의 5개의 음이온 발생전극(20)을 약 50t의 곡물(200)이 저장된 곡물 저장장치내에 배치하고, 음이온 발생전극(20)에 5시간 동안 10,000V의 전압을 인가한 후 여러 지점에서 음이온 발생량을 측정한 결과 100 ~ 120 만개의 음이온이 검출되었다.
따라서, 음이온 발생전극(20)의 길이 및 고전압 발생기(10)에서 인가되는 전압을 0 ~ 20,000V 사이에서 조정하면 적절한 개수의 음이온을 발생시킬 수 있으며, 방출되는 음이온이 포화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일정시간 동안 가동한 후 일정시간 가동을 중지하는 것을 반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1시간 간격으로 3분 동안 가동을 중지하였으며, 공급된 음이온의 양이 곡물에 포화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1일 동안 음이온을 발생시킨 후 1주일 동안 가동을 중지하도록 마이컴(15)에 프로그램화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곡물 저장장치에 저장된 곡물에 음이온을 공급하여 곡물의 수분 방출 속도를 낮추어 줌으로써 곡물의 형태를 보존하고 가공효율을 높여 풍미가 우수하도록 유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외면에 다수의 돌기를 형성된 음이온 발생전극을 절연체 하우징의 내면에 접촉되도록 수납하는 구조를 취함으로써 절연상태를 유지하면서도 곡물에 다 량의 이온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비록 본 발명이 상기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이나 변형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는 본 발명의 요지에서 속하는 이러한 수정이나 변형을 포함할 것이다.

Claims (3)

  1. 곡물 저장장치용 음이온 발생전극에 있어서,
    일단이 고전압발생장치에 접속되고 타단이 상기 곡물 저장장치에 저장된 곡물에 소정 깊이 삽입되며, 외면에 다수의 돌기가 형성된 도전성의 전극봉; 및
    상기 전극봉을 외부와 절연시키기 위해 상기 전극봉을 밀폐 수용하는 절연 하우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 저장장치용 음이온 발생전극.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돌기가 상기 절연 하우징의 내면에 접하도록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 저장장치용 음이온 발생전극.
  3. 음이온 발생장치가 구비된 곡물 저장장치에 있어서,
    곡물을 저장하기 위한 공간이 형성되고 외면이 접지된 본체부;
    음의 고전압을 발생시키는 고전압발생장치; 및
    상기 고전압발생장치에 의해 인가된 음의 고전압에 의해 전자를 발생시켜 상기 곡물을 음이온화하는 음이온 발생부를 포함하고,
    상기 음이온 발생부는
    일단이 상기 고전압발생장치에 접속되고 타단이 상기 곡물 저장장치에 저장된 곡물에 소정 깊이 삽입되며, 외면에 다수의 돌기가 형성된 도전성의 전극봉 및 상기 전극봉을 외부와 절연시키기 위해 밀폐 수용하는 절연 하우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이온 발생장치가 구비된 곡물 저장장치.
KR1020050109168A 2005-11-15 2005-11-15 곡물 저장장치용 음이온 발생전극 및 음이온 발생장치가구비된 곡물 저장장치 KR1006659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09168A KR100665923B1 (ko) 2005-11-15 2005-11-15 곡물 저장장치용 음이온 발생전극 및 음이온 발생장치가구비된 곡물 저장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09168A KR100665923B1 (ko) 2005-11-15 2005-11-15 곡물 저장장치용 음이온 발생전극 및 음이온 발생장치가구비된 곡물 저장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65923B1 true KR100665923B1 (ko) 2007-01-09

Family

ID=378672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09168A KR100665923B1 (ko) 2005-11-15 2005-11-15 곡물 저장장치용 음이온 발생전극 및 음이온 발생장치가구비된 곡물 저장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65923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20693A (ko) * 1994-12-14 1996-07-18 김정한 식품선도(食品鮮度) 유지장치
KR20030045043A (ko) * 2000-08-28 2003-06-09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공기 개질 기기 및 이것에 사용되는 이온 발생 장치
KR20040032833A (ko) * 2004-03-19 2004-04-17 이태성 클러스터 음이온 발생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식품 저장용용기, 식품 저장용 건물, 식품 저장용 이동체
KR20040083578A (ko) * 2003-03-24 2004-10-06 주식회사제4기한국 튜브 타입의 플라즈마 음이온 발생기
KR20050051847A (ko) * 2003-11-28 2005-06-02 도상혁 음이온 변환기 및 그를 이용한 음이온 발생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20693A (ko) * 1994-12-14 1996-07-18 김정한 식품선도(食品鮮度) 유지장치
KR20030045043A (ko) * 2000-08-28 2003-06-09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공기 개질 기기 및 이것에 사용되는 이온 발생 장치
KR20040083578A (ko) * 2003-03-24 2004-10-06 주식회사제4기한국 튜브 타입의 플라즈마 음이온 발생기
KR20050051847A (ko) * 2003-11-28 2005-06-02 도상혁 음이온 변환기 및 그를 이용한 음이온 발생기
KR20040032833A (ko) * 2004-03-19 2004-04-17 이태성 클러스터 음이온 발생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식품 저장용용기, 식품 저장용 건물, 식품 저장용 이동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09990B2 (en) Electrostatically atomizing unit for use in a temperature-regulating appliance
EP3255960B1 (en) Anions generator comprising a plasma source comprising porous dielectric
CN107846870B (zh) 用于蜂箱灭虫的装置及控制蜂箱灭虫的方法
JP4645503B2 (ja) 静電霧化装置
EP2476490A2 (en) Refrigerator
KR100665923B1 (ko) 곡물 저장장치용 음이온 발생전극 및 음이온 발생장치가구비된 곡물 저장장치
CN111380291B (zh) 风冷冰箱及其杀菌方法
CN110544877A (zh) 动态水离子生成装置和动态水离子生成方法
CN109855362A (zh) 空气净化装置、方法和冰箱
JP2007260626A (ja) 静電霧化装置
CN112703824A (zh) 用于生成冷等离子体的包括电极和电介质的设备
US9325157B2 (en) Discharge electrode and neutralization device
CN111380289A (zh) 风冷冰箱及其杀菌控制方法
JP2009284811A (ja) 乾燥装置およびこの乾燥装置を用いて乾燥した乾燥物
GB1247154A (en)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closures of electric dry cells
JPH01164702A (ja) 冷蔵庫用オゾナイザ
US3889157A (en) Arrangement for the generation of unipolar air ions
CN111380288A (zh) 风冷冰箱及其杀菌方法
ATE324667T1 (de) Sputterionenquelle
US5428338A (en) Thermal cutoff assembly
JP4019283B2 (ja) エアー噴射型イオン発生器
JP5398390B2 (ja) 冷蔵庫
KR101860237B1 (ko) 다습 환경에서 이용되는 플라즈마 장치
KR200343686Y1 (ko) 김치냉장고의 균일냉각구조
JP4529675B2 (ja) コー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2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3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1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27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23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