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64901B1 - 반사시트매수검사장치 - Google Patents

반사시트매수검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64901B1
KR100664901B1 KR1020040063792A KR20040063792A KR100664901B1 KR 100664901 B1 KR100664901 B1 KR 100664901B1 KR 1020040063792 A KR1020040063792 A KR 1020040063792A KR 20040063792 A KR20040063792 A KR 20040063792A KR 100664901 B1 KR100664901 B1 KR 1006649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ximity sensor
reflective sheet
support
support wall
thickn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637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14999A (ko
Inventor
박인협
안웅관
이동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디에스엘시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디에스엘시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디에스엘시디
Priority to KR10200400637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64901B1/ko
Publication of KR200600149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149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649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649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06Details
    • G02F1/1309Repairing; Testing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6Liquid crystal cell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semi-conducting layer or substrate, e.g. cells forming part of an integrated circuit
    • G02F1/1362Active matrix addressed cells
    • G02F1/136254Checking; Test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Testing Of Optical Devices Or Fi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반사시트매수검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액정표시장치를 구성하는 백라이트모듈의 금속재질 백커버프레임에 면접촉하도록 장착되는 반사시트의 매수를 검사하기 위한 반사시트매수검사장치에 있어서, 검사결과를 외부에 알려주기 위한 검사결과출력부와; 일 영역에 형성된 지지벽부를 갖는 지지체와, 상기 지지벽부의 종단으로부터 상기 반사시트 두께만큼 이격된 위치와 상기 지지벽부의 종단으로부터 상기 반사시트 두께의 2배만큼 이격된 위치사이가 검출영역이 되도록 상기 지지체에 설치되는 고주파발진형 제1근접센서를 구비한 센싱부와; 상기 제1근접센서로부터의 검출신호에 따라 검사결과가 표시되도록 상기 검사결과출력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검사의 정확성을 제고되고, 검사시간이 단축되며, 반사시트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액정표시장치, 반사시트, 고주파발진, 센서, 제어부

Description

반사시트매수검사장치{Device for Counting the Number of Reflecting Sheet}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사시트매수검사장치의 사시도,
도2는 도1의 센싱부의 부분절개사시도,
도3은 도1의 센싱부의 단면도,
도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사시트매수검사장치의 제어부의 연결구성도,
도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사시트매수검사장치를 사용하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
도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반사시트매수검사장치의 센싱부의 단면도,
도7은 액정표시장치의 요부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검사결과출력부 13, 14 : 발광다이오드
15 : 전압공급스위칭부 20 : 센싱부
22, 23 : 근접센서 30 : 지지체
31 : 헤드부 32 : 파지부
31b : 지지벽부 41 : 피시비
210 : 프레임부 212 : 백커버프레임
220 : 액정패널 230 : 백라이트모듈
232 : 반사시트
본 발명은 액정표시장치의 검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액정표시장치을 구성하는 반사시트의 장착상태를 검사하는 데 사용되는 반사시트매수검사장치에 관한 것이다.
액정표시장치는,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부(210)와, 프레임부(210)에 높이차를 두고 설치되는 액정패널(220) 및 백라이트모듈(230)을 갖고 있다.
프레임부(210)는 중앙영역에 장방형상의 개구가 형성되어 있는 상부프레임(211)과, 상부프레임(211)의 하측 개구영역을 폐쇄하도록 상부프레임(211)의 저면에 결합되는 백커버프레임(212)과, 상부프레임(211)의 전면에 결합되는 샤시(213)를 갖고 있다. 샤시(213)의 중앙영역에는 개구가 형성되어 있다.
액정패널(220)은 상부프레임(211)과 샤시(213)사이에 개재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백라이트모듈(230)은 상부프레임(211)에 대향하도록 설치되는 램프(231)와, 백커버프레임(212)과 상부프레임(211)이 형성하는 공간에서 순차적으로 적층되는 반사시트(232), 도광판(233), 확산시트(234), 프리즘시트(235) 및 보호시트(236)를 갖고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액정표시장치은 조립단계에서 반사시트의 장착상태를 검사하게 된다.
종래 반사시트의 장착상태검사는 작업자가 손가락(맨손가락 상태 또는 고무핑거를 낀 상태)으로 백커버프레임(212)에 장착된 반사시트(232)의 매수가 한 장인지를 육안으로 확인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그런데 종래의 반사시트매수검사방법에 따르면, 작업자의 촉감과 육안에 의해 백커버프레임(212)에 장착된 반사시트(232)의 매수를 확인하여야 하기 때문에 검사의 정확성이 떨어지고, 검사시간이 많이 소요되며, 반사시트의 손상을 초래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백커버프레임(212)에 장착된 반사시트(232)의 매수가 두 장 이상임에도 불구하고 한 장으로 검사하는 경우 액정표시장치의 목표휘도값을 얻을 수 없게 되고, 상부프레임(211)과 백커버프레임(212)의 조립이 어려워지며 조립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없다는 2차적인 문제점이 발생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백커버프레임에 반사시트가 한 장 장착되어 있는 것을 전자적인 메커니즘을 이용하여 자동으로 검사할 수 있도록 한 반사시트매수검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액정표시장치를 구성하는 백라이트모듈의 금속재질 백커버프레임에 면접촉하도록 장착되는 반사시트의 매수를 검사하기 위한 반사시트매수검사장치에 있어서, 검사결과를 외부에 알려주기 위한 검사결과출력부와; 일 영역에 형성된 지지벽부를 갖는 지지체와, 상기 지지벽부의 종단으로부터 상기 반사시트 두께만큼 이격된 위치와 상기 지지벽부의 종단으로부터 상기 반사시트 두께의 2배만큼 이격된 위치사이가 검출영역이 되도록 상기 지지체에 설치되는 고주파발진형 제1근접센서를 구비한 센싱부와; 상기 제1근접센서로부터의 검출신호에 따라 검사결과가 표시되도록 상기 검사결과출력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사시트매수검사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백커버프레임에 장착된 반사시트의 수가 두 장인 것을 확인할 수 있도록, 상기 센싱부는 상기 지지벽부의 종단으로부터 상기 반사시트 두께의 2배만큼 이격된 위치와 상기 지지벽부의 종단으로부터 상기 반사시트 두께의 3배만큼 이격된 위치사이가 검출영역이 되도록 상기 지지체에 설치되는 고주파발진형 제2근접센서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1근접센서와 상기 제2근접센서는 동일한 검출거리를 가지고, 상기 제2근접센서는 검출코일이 상기 제1근접센서의 검출코일보다 상기 반사시트의 두께만큼 상기 지지벽부의 종단에 더 접근하도록 상기 지지체에 설치되도록 구성하거나 상기 제2근접센서는 상기 제1근접센서보다 상기 반사시트의 두께만큼 더 큰 검출거리를 가지고 상기 제1근접센서와 상기 제2근접센서는 각각 검출코일이 상기 지지벽부의 종단으로부터 동일거리만큼 이격되도록 상기 지지체에 설치되도록 구성 할 수 있다.
이하에서,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사시트매수검사장치의 사시도이고, 도2는 도1의 센싱부의 부분절개사시도이고, 도3은 도1의 센싱부의 단면도이며, 도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사시트매수검사장치의 제어부의 연결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사시트매수검사장치는,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직육면체의 형상의 하우징(11)을 구비한 검사결과출력부(10)와, 원형단면의 헤드부(31)와 헤드부(31)로부터 수직으로 연장 형성된 봉상의 파지부(32)를 갖는 지지체(30)를 구비한 센싱부(20)와, 하우징(11)의 내부에 설치된 피시비(43)상에 구현된 제어부(41)와, 하우징(11)에 설치된 온오프스위치(42)를 갖고 있다.
검사결과출력부(10)는 하우징(11)에 더하여 하우징(11)의 내부에 설치된 배터리(12)와, 외부로 노출되도록 하우징(11)에 설치된 제1발광다이오드(13) 및 제2발광다이오드(14)와, 제1발광다이오드(13) 및 제2발광다이오드(14)와 배터리(12)사이에 개재하는 전압공급스위칭부(15)를 갖고 있다(도4 참조).
전압공급스위칭부(15)는 외부로부터의 제어신호에 따라 제1발광다이오드(13) 및 제2발광다이오드(14)를 선택적으로 배터리(12)에 연결할 수 있도록 피시비(43)상에 구현되어 있다. 이러한 전압공급스위칭부(15)는 공지의 기술을 적용하여 구성할 수 있다.
센싱부(20)는 지지체(30)에 더하여 헤드부(31)에 설치된 고주파발진형 제1근 접센서(23) 및 고주파발진형 제2근접센서(22)를 갖고 있다.
헤드부(31)는 전면에 평탄면(31a)이 형성되어 있고, 평탄면(31a)의 연부 전 둘레구간으로부터 지지벽부(31b)가 평탄면(31a)의 판면에 수직으로 연장 형성되어 있다.
제1근접센서(23)와 제2근접센서(22)는 동일한 검출거리를 갖고 있다.
그리고 제2근접센서(22)는 검출코일(도시되지 않음)이 제1근접센서(23)의 검출코일(도시되지 않음)보다 반사시트(232)의 두께(T)만큼 지지벽부(31b)의 종단에 더 접근하도록 지지체(30)에 설치되어 있다.
이에 따라 제1근접센서(23)의 검출영역은 지지벽부(31b)의 종단으로부터 반사시트(232) 두께(T)만큼 이격된 위치와 지지벽부(31b)의 종단으로부터 반사시트(232) 두께(T)의 2배만큼 이격된 위치사이가 된다.
그리고 제2근접센서(22)의 검출영역은 지지벽부(31b)의 종단으로부터 반사시트(232) 두께(T)의 2배만큼 이격된 위치와 지지벽부(31b)의 종단으로부터 반사시트(232) 두께(T)의 3배만큼 이격된 위치사이가 된다.
지지벽부(31b)는 전 둘레구간에 걸쳐 동일높이를 갖도록 형성되어 있다.
제어부(41)는,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단에는 제1근접센서(23)및 제2근접센서(22)가 연결되어 있고 출력단에는 전압공급스위칭부(15)가 연결되어 있다.
온오프스위치(42)는 배터리(12)와 전압공급스위칭부(15)사이에 개재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사시트매수검사장치를 사 용하여 백커버프레임에 장착된 반사시트의 매수를 검사하는 방법을 도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온오프스위치(42)를 온상태로 조작한다.
다음에 센싱부(20)의 파지부(32)를 잡고 지지벽부(31b)를 백커버프레임(212)에 장착된 반사시트(232)에 접촉시킨다.
지지벽부(31b)가 반사시트(232)에 접촉함에 따라 제1근접센서(23)와 제2근접센서(22)는 백커버프레임(212)에 장착된 반사시트(232)의 매수에 따라 검출신호를 제어부(41)로 송출한다.
즉, 백커버프레임(212)에 장착된 반사시트(232)의 매수가 한 장인 경우 제1근접센서(23)로부터 검출신호가 제어부(41)로 송출되고, 백커버프레임(212)에 장착된 반사시트(232)의 매수가 두 장인 경우 제2근접센서(22)로부터 검출신호가 제어부(41)로 송출된다.
제어부(41)는 제1근접센서(23)로부터 검출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제1발광다이오드(13)에 동작전압이 공급되도록 전압공급스위칭부(15)를 제어하고, 제2근접센서(22)로부터 검출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제2발광다이오드(14)에 동작전압이 공급되도록 전압공급스위칭부(15)를 제어한다.
제어부(41)의 제어동작에 따라 전압공급스위칭부(15)는 배터리(12)의 전압이 제1발광다이오드(13)와 제2발광다이오드(14) 중 어느 하나에 공급되도록 스위칭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이러한 전압공급스위칭부(15)의 스위칭동작에 따라 백커버프레임(212)에 장 착된 반사시트(232)의 매수가 한 장인 경우 제1발광다이오드(13)가 발광하고, 반사시트(232)의 매수가 두장 인 경우 제2발광다이오드(14)가 발광하게 된다.
제1발광다이오드(13)와 제2발광다이오드(14)의 발광동작에 따라 작업자는 백커버프레임(212)에 장착된 반사시트(232)의 매수를 판단하게 된다.
즉, 제1발광다이오드(13)가 발광하는 경우 작업자는 백커버프레임(212)에 장착된 반사시트(232)의 매수가 한 장인 것으로 판단하고, 제2발광다이오드(14)가 발광하는 경우 작업자는 백커버프레임(212)에 장착된 반사시트(232)의 매수가 두장인 것으로 판단하고, 제1발광다이오드(13)와 제2발광다이오드(14)가 모두 발광하지 않는 경우 작업자는 백커버프레임(212)에 장착된 반사시트(232)의 매수가 세 장 이상인 것으로 판단한다.
나아가 작업자는 제2발광다이오드(14)가 발광하거나, 제1발광다이오드(13)와 제2발광다이오드(14) 모두 발광하지 않는 경우 백커버프레임(212)에 장착된 반사시트(232)를 종래와 같은 방법으로 검사한 후 한 장의 반사시트만 남겨두고 나머지는 백커버프레임(212)으로부터 분리시킨다.
상술한 바와 같이, 백커버프레임(212)에 반사시트가 한 장 장착되어 있는 것을 검출할 수 있는 제1근접센서(23)를 구비한 센싱부(20)를 마련함으로써, 백커버프레임(212)에 한 장의 반사시트(232)가 장착되어 있는 것을 전자적인 메커니즘을 이용하여 자동으로 검사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센싱부(20)에 백커버프레임(212)에 두장의 반사시트(232)가 장착되어 있는 것을 검출할 수 있는 제2근접센서(22)를 추가함으로써, 백커버프레임(212)에 두 장의 반사시트(232)가 장착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제1근접센서(23)와 제2근접센서(22)를 동일한 검출거리를 갖도록 하는 한편 제2근접센서(22)가 검출코일(도시되지 않음)이 제1근접센서(23)의 검출코일(도시되지 않음)보다 반사시트(232)의 두께(T)만큼 지지벽부(31b)의 종단에 더 접근하도록 지지체(30)에 설치되도록 구성하고 있으나, 제2근접센서(22)가 제1근접센서(23)보다 반사시트(232)의 두께(T)만큼 더 큰 검출거리를 갖도록 하는 한편,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근접센서(23)와 제2근접센서(22)의 검출코일(도시되지 않음)이 지지벽부(31b)의 종단으로부터 동일거리만큼 이격되도록 지지체(30)에 설치하여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다.
도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반사시트매수검사장치의 센싱부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반사시트매수검사장치의 센싱부(30')는 제1근접센서(23')와 제2근접센서(22')의 검출코일(도시되지 않음)이 지지벽부(31b)의 종단으로부터동일거리만큼 이격되도록 지지체(30')에 설치되어 있고 각각의 검출거리가 다르다는 점을 제외하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사시트매수검사장치의 센싱부와 동일한 구조와 기능을 갖고 있다.
도6에서 도면번호 31'a는 지지벽부를 나타낸다.
한편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제1근접센서(23, 23')와 제2근접센서(22, 22')를 함께 지지체(30, 30')에 설치하고 있으나, 제1근접센서(23, 23')만을 지지체(30, 30')에 설치하여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와 같이 제1근접센서(23, 23')만을 지지체(30, 30')에 설치하여 본 발명을 실시하는 경우 제2발광다이오드(14)를 생략하거나 제1근접센서(23, 23')로부터 검출신호가 입력되지 않는 경우(즉, 백커버프레임에 두장 이상의 반사시트가 장착되어 있는 경우) 제2발광다이오드(14)가 발광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검사결과출력부(10)를 발광다이오드를 사용하여 시각적으로 구성하고 있으나, 출력주파수를 달리하는 부저 등을 사용하여 청각적으로 구현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백커버프레임에 반사시트가 한 장 장착되어 있는 것을 전자적인 메커니즘을 이용하여 자동으로 검사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검사의 정확성이 제고되고, 검사시간이 단축되며, 반사시트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나아가 백커버프레임에 반사시트가 한 장 장착되어 있는 것을 정확하게 검사할 수 있게 됨에 따라 액정표시장치의 목표휘도값을 얻을 수 있고, 상부프레임과 백커버프레임의 조립이 용이해지고, 조립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Claims (4)

  1. 액정표시장치를 구성하는 백라이트모듈의 금속재질 백커버프레임에 면접촉하도록 장착되는 반사시트의 매수를 검사하기 위한 반사시트매수검사장치에 있어서,
    검사결과를 외부에 알려주기 위한 검사결과출력부와;
    일 영역에 형성된 지지벽부를 갖는 지지체와, 상기 지지벽부의 종단으로부터 상기 반사시트 두께만큼 이격된 위치와 상기 지지벽부의 종단으로부터 상기 반사시트 두께의 2배만큼 이격된 위치사이가 검출영역이 되도록 상기 지지체에 설치되는 고주파발진형 제1근접센서를 구비한 센싱부와;
    상기 제1근접센서로부터의 검출신호에 따라 검사결과가 표시되도록 상기 검사결과출력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사시트매수검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부는 상기 지지벽부의 종단으로부터 상기 반사시트 두께의 2배만큼 이격된 위치와 상기 지지벽부의 종단으로부터 상기 반사시트 두께의 3배만큼 이격된 위치사이가 검출영역이 되도록 상기 지지체에 설치되는 고주파발진형 제2근접센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사시트매수검사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근접센서와 상기 제2근접센서는 동일한 검출거리를 가지고, 상기 제2근접센서는 검출코일이 상기 제1근접센서의 검출코일보다 상기 반사시트의 두께만큼 상기 지지벽부의 종단에 더 접근하도록 상기 지지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사시트매수검사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근접센서는 상기 제1근접센서보다 상기 반사시트의 두께만큼 더 큰 검출거리를 가지고, 상기 제1근접센서와 상기 제2근접센서는 각각 검출코일이 상기 지지벽부의 종단으로부터 동일거리만큼 이격되도록 상기 지지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사시트매수검사장치.
KR1020040063792A 2004-08-13 2004-08-13 반사시트매수검사장치 KR1006649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63792A KR100664901B1 (ko) 2004-08-13 2004-08-13 반사시트매수검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63792A KR100664901B1 (ko) 2004-08-13 2004-08-13 반사시트매수검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14999A KR20060014999A (ko) 2006-02-16
KR100664901B1 true KR100664901B1 (ko) 2007-01-04

Family

ID=371238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63792A KR100664901B1 (ko) 2004-08-13 2004-08-13 반사시트매수검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64901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167137A (en) 1980-05-28 1981-12-22 Toshiba Corp X-ray photographing device
JPS61250794A (ja) 1985-04-30 1986-11-07 Toshiba Corp シ−トフイルム量検出装置
JPH11185007A (ja) * 1997-12-05 1999-07-09 Whitaker Corp:The 紙残量検出機構
WO2004055498A1 (en) 2002-12-13 2004-07-01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Method and apparatus for measuring thickness of thin films via transient thermoreflectanc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167137A (en) 1980-05-28 1981-12-22 Toshiba Corp X-ray photographing device
JPS61250794A (ja) 1985-04-30 1986-11-07 Toshiba Corp シ−トフイルム量検出装置
JPH11185007A (ja) * 1997-12-05 1999-07-09 Whitaker Corp:The 紙残量検出機構
WO2004055498A1 (en) 2002-12-13 2004-07-01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Method and apparatus for measuring thickness of thin films via transient thermoreflectan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14999A (ko) 2006-0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166521B1 (en) Flame Detector
RU2511232C1 (ru) Холодильник
KR100768884B1 (ko) 기판의 발광소자 검사장치
CN101192554B (zh) 用于将基板引入处理室的系统和方法
US20150204783A1 (en) Light transmittance measuring apparatus
KR20180083135A (ko) 곡면 디스플레이 패널 검사 장치
KR100664901B1 (ko) 반사시트매수검사장치
KR101154330B1 (ko) 접촉센서모듈 검사용 지그장치 및 이를 이용한 검사 방법
JP2019212731A (ja) 回路素子の誤組付け検出装置及び方法
US20130010104A1 (en) Visual inspector for inspecting flat panel display device and visual inspecting method using the same
CN111522075A (zh) 溢胶检测装置及溢胶检测方法
KR20090056718A (ko) 하이브리드 입력모듈 검사용 지그장치
KR101242295B1 (ko) 신속하고 정확하게 터치패널의 아이알 인쇄 패턴을 검사하는 티에스피 투과율 측정기.
JP5576092B2 (ja) 電気制御装置
CN207946622U (zh) 点灯装置
KR20210057237A (ko) 웨이퍼 정 위치 감지 장치
US4996436A (en) Automatic apparatus for controlling the size of wafer-supporting boats
US20080235968A1 (en) Detecting apparatus for workpiece
CN104808360A (zh) 一种液晶显示面板的检测安装装置
US20150033820A1 (en) Apparatus for inspecting physical quality sensor
CN112304251A (zh) 角度检测装置及角度检测方法
CN113687574A (zh) 光刻设备及其光源位置监控方法
JP3183551U (ja) 光学式放電検出器
JP3854300B2 (ja) 光電スイッチ
JP4443953B2 (ja) Ledチップの光学特性測定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1202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