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64453B1 - 단말 장치 - Google Patents

단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64453B1
KR100664453B1 KR1020000048893A KR20000048893A KR100664453B1 KR 100664453 B1 KR100664453 B1 KR 100664453B1 KR 1020000048893 A KR1020000048893 A KR 1020000048893A KR 20000048893 A KR20000048893 A KR 20000048893A KR 100664453 B1 KR100664453 B1 KR 1006644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mory card
input
audio signal
signal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488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50171A (ko
Inventor
우추미요시마사
Original Assignee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filed Critical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100501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501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644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644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2/00Accessing, addressing or allocating within memory systems or architectures
    • G06F12/14Protection against unauthorised use of memory or access to memor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6Sound input; Sound output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7/00Arrangements for writing information into, or reading information out from, a digital store
    • G11C7/16Storage of analogue signals in digital stores using an arrangement comprising analogue/digital [A/D] converters, digital memories and digital/analogue [D/A] conver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91Television signal processing therefor
    • H04N5/913Television signal processing therefor for scrambling ; for copy protection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2207/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rrangements for writing information into, or reading information out from, a digital store
    • G11C2207/16Solid state audio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91Television signal processing therefor
    • H04N5/913Television signal processing therefor for scrambling ; for copy protection
    • H04N2005/91357Television signal processing therefor for scrambling ; for copy protection by modifying the video signal
    • H04N2005/91364Television signal processing therefor for scrambling ; for copy protection by modifying the video signal the video signal being scrambl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907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static stores, e.g. storage tubes or semiconductor memo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707/00Data processing: database and file management or data structures
    • Y10S707/99941Database schema or data structure
    • Y10S707/99942Manipulating data structure, e.g. compression, compaction, compil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707/00Data processing: database and file management or data structures
    • Y10S707/99941Database schema or data structure
    • Y10S707/99944Object-oriented database structure
    • Y10S707/99945Object-oriented database structure process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Storage Device Security (AREA)
  • Calculators And Similar Devices (AREA)
  • Signal Processing For Digit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REA)

Abstract

제 1 및 제 2 메모리 카드 중 어느 하나가 선택적으로 삽입되는 단말 장치. 제 1 메모리 카드는 저작권 보호를 받는 콘텐츠를 저장하도록 설계된 반면, 제 2 메모리 카드는 저작권 보호를 받지 않는 콘텐츠를 수용하도록 배열된다. 2개의 카드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형상을 갖는다. 저작권 보호를 받는 콘텐츠를 기록하기 위해 사용자가 부주의로 제 2 메모리 카드를 장치에 삽입하면, 콘텐츠는 저하된 데이터 품질로 삽입된 카드에 기록되게 된다. 이는 사용자가 잘못하여 지불한 저작권 보호 콘텐츠를 저작권-비준수 메모리 카드(copyright-noncompliant memory card)에 기록하는 것을 막는다.
단말 장치, 메모리 카드, 디지털 오디오 압축 신호,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

Description

단말 장치{Terminal apparatus}
도 1은 본 발명에 적용할 수 있는 메모리 기록 및 재생 장치의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에 적용할 수 있는 저작권-준수 메모리 카드의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에 적용할 수 있는 저작권-비준수 메모리 카드의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처리예에 적용할 수 있는 메모리 기록 및 재생 장치의 블록도.
도 5는 저작권-준수 또는 저작권-비준수 메모리 카드가 메모리 기록 및 재생 장치에 삽입될 때 수행된 제 1 처리예를 구성하는 단계들의 흐름도.
도 6은 장치에 삽입된 저작권-준수 또는 저작권-비준수 메모리 카드와 선택 가능한 기록 모드 간의 상응 관계의 테이블.
도 7은 본 발명의 제 2 처리예에 적용할 수 있는 메모리 기록 및 재생 장치의 블록도.
도 8은 저작권-준수 또는 저작권-비준수 메모리 카드가 메모리 기록 및 재생 장치에 삽입될 때 수행된 제 2 처리예를 구성하는 단계들의 흐름도.
도 9는 장치에 삽입된 저작권-준수 또는 저작권-비준수 메모리 카드와 선택 가능한 기록 모드 간의 상응 관계의 테이블.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레코더 2: CPU
4: 동작 유니트 5: 디스플레이 장치
11: 메모리 인터페이스 18: 모드 스위치
40A, 40B: 메모리 카드 42: 플래쉬 메모리
71: 마이크로폰 증폭기 72, 83: ATRAC3 디코더
73: D/A 변환기 76: ADPCM 인코더
77: A/D 변환기 78: ATRAC3 인코더
79: ADPCM 디코더 92: 스테레오/모노럴 변환기
본 발명은 예시적으로 저작권-준수 또는 저작권-비준수 메모리를 선택적으로 수용할 수 있는 단말 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재, 사적인 오락을 위해 음악 또는 이미지와 같은 압축된 디지털 데이터를 PC의 하드디스크로 다운로드하기 위해 PC(개인용 컴퓨터)를 통해 WWW(월드 와이드 웹) 네트워크의 소망하는 서버들에 접속하는 사람들이 많아지고 있다.
오늘날 널리 행해지는 다른 실행은 플래쉬 메모리와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를 내장한 휴대용 메모리(예, 메모리 카드)를 휴대용 단말 장치에 설치하는 것이다. (고정된 비휘발성 메모리를 내장한 휴대용 단말 장치도 적용될 수 있다.) 휴대용 단말 장치는 RS(Recommended Standard)-232C 또는 USB(Universal Standard Bus)와 같은 인터페이스 또는 IEEE 1394-호환 케이블을 통해 PC에 접속된다. 음악 및 이미지와 같은 압축된 디지털 데이터는 PC의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에서 비휘발성 메모리로 전송되거나 복사된다. 비휘발성 메모리를 수용하는 휴대용 단말 장치는 예를 들어 옥외에서 기록된 음악이나 다른 콘텐츠를 즐기기 위해 사용자가 휴대한 것이다.
인터넷을 통해 다운로드된 디지털 데이터는 암호화 및/또는 인증을 통해 구현된 저작권 제어가 아직까지 엄격하게 행해지지 않기 때문에 불법적으로 복사되거나 배포되는 경향이 있었다.
현재, 상술된 비휘발성 메모리에 저장된 디지털 데이터는 암호화되지 못한다. 불법 복사는 상술된 휴대용 단말 장치를 사용하는 시스템에 의해 합법적인 시장을 침체시킬 수 있다.
저작권 관리를 엄격하게 실시하기 위해서, 인증 및 암호화를 위한 신호 처리 회로를 내장한 비휘발성 메모리가 제안되었다. 이와 같이 개발된 메모리들은 저작권-준수 비휘발성 메모리(저작권-준수 메모리 카드)이다.
제안된 저작권-준수 비휘발성 메모리를 보급시킬 때, 현재 사용된 저작권-비준수 비휘발성 메모리로부터 이들을 명확히 구별시켜 사용자들이 상황에 따라 하나 또는 다른 유형의 메모리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할 필요가 있다.
한편, 기존 휴대 장치와 호환하기 위해 저작권-준수 비휘발성 메모리를 종래의 비휘발성 메모리의 외형과 상이한 외형으로 해서는 안 된다. 바꿔 말하자면, 저작권-준수 및 저작권-비준수 메모리 모두 동일한 형상을 가지므로 휴대 단말 장치에 수용되게 된다.
저작권-비준수 비휘발성 메모리는 예를 들어 회의록의 비공식적으로 기록된 음성 및 이미지와 같은 저작권이 없는 디지털 데이터라 부를 수 있는 것을 기록하기 위해 사용된다.
한편, 저작권-준수 비휘발성 메모리들은 CD(컴팩트 디스크) 및 MD(미니-디스크)와 같이 기존 기억 매체로부터 디지털 데이터(예, 음악)를 기록하기 위해 사용된다. 이 메모리에 따라, 저작권-보호 데이터의 불법 복사는 암호화를 통해서 또는 적절한 인증 처리에 의해 방지된다.
저작권 보호를 위해, 저작권-준수 비휘발성 메모리는 인증 또는 암호화를 위한 신호 처리 회로를 내장해야 하고, 저작권-비준수 비휘발성 메모리에는 피쳐(feature)가 포함되지 않아야 한다.
단말 장치에는 2가지 유형이 있다. 하나는 주로 회의록을 기록할 수 있는 휴대용 단말 장치(마이크로폰 입력-전용 단말 장치)이고, 다른 하나는 PC 등의 소스로부터 암호화된 디지털 데이터(예, 음악 데이터)를 다운로드할 수 있는 휴대용 단말 장치(라인 입력-전용 단말 장치)이다.
회의록 등의 구술을 기록할 수 있고 음악 데이터 등의 디지털 데이터를 다운로드할 수 있는 세 번째 유형의 휴대용 단말 장치(마이크로폰 입력/라인 입력 겸용 단말 장치)를 생각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마이크로폰 입력"은 휴대용 단말 장치에 접속되거나 또는 장치에 내장될 수 있는 마이크로폰을 통한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의 입력이다. "라인 입력"은 예를 들어 광케이블을 통한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의 입력 또는 USB, IEEE 1394, RS232C 또는 다른 표준에 따르는 케이블을 통한 다른 데이터의 입력이다.
마이크로폰 입력-전용 단말 장치는 저작권-비준수 비휘발성 메모리에 로드되어야 하지만, PC 등으로부터 데이터를 다운로드하는 라인 입력-전용 단말 장치는 그 내부에 삽입된 저작권-준수 비휘발성 메모리를 가져야 한다.
또한, 마이크로폰 입력/라인 입력-겸용 단말 장치에는 의도된 용도, 즉, 마이크로폰 또는 라인 입력 기록에 따라 저작권-준수 또는 저작권 비준수 메모리가 선택적으로 제공되어야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저작권-비준수 및 저작권 준수 비휘발성 메모리 모두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형상을 가지며, 보통 사용자들은 2 유형의 메모리를 구별하기 어렵다. 또한, 사용자들은 어떤 단말 장치가 어떤 유형의 비휘발성 메모리와 호환되는지 알지 못한다.
상이한 유형의 비휘발성 메모리를 구별하기 어렵고, 휴대용 단말 장치들과 비휘발성 메모리들간의 호환성에 대한 일부 사용자들의 이해 부족과, 사용자들이 이용 상황에 따라 적절한 유형의 메모리를 항상 사용할 것이라는 비현실적인 기대를 가정한다면, 휴대용 단말 장치로 부적절한 유형의 비휘발성 메모리를 부주의로 로딩하는 것은 자주 발생할 것이다. 부적절한 유형의 메모리 사용은 휴대용 단말 장치로 부적절한 데이터의 기록 또는 재생을 수반할 수 있다.
이러한 부적절한 기록 또는 재생 실행은 부적절한 저작권 보호 이행을 야기할 것이다.
특히, 저작권-비준수 비휘발성 메모리가 장착된 마이크로폰 입력/라인 입력-겸용 단말 장치는 기록 목적으로 네트워크상에서 데이터를 다운로드하기 전에 사용자가 요구되는 빌링(billing) 처리를 완료하면, 문제를 제기할 것이다. 그 경우에, 단말 장치는 저작권-비준수 비휘발성 메모리로의 데이터 기록을 금지하는 한편, 기록될 콘텐츠가 네트워크상에 배포되게 한다. 즉, 사용자는 장치의 동작에 의해 기록된 배포된 콘텐츠를 취할 수 없거나 또는 장치가 다운로드된 데이터의 기록을 처리하는 것을 방치하여 나중에 기록이 행해지지 않았음을 알게 된다. 일단 사용자가 빌링 처리를 완료하면, 관련 콘텐츠는 중단없이 네트워크를 통해 서버로부터 사용자에게 전송된다. 사용자가 이미 콘텐츠에 대해 지불하였더라도, 메모리 비호환성 때문에 계속 전송되는 데이터가 기록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상황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데이터 기록을 위해 부적절한 유형의 메모리가 사용자에 의해 제공되면, 시스템 결함으로 인한 잘못된 비작동이나 필요한 데이터가 기록되지 않는 완전 기계적 고장과 같은 일부 사용자들의 혼란과 불편을 방지하기 위해 데이터가 저작권 보호를 위해 저하된 데이터 품질로 메모리에 기록되도록 하는 단말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행과 그 일 국면에 따라, 제 1 및 제 2 메모리 카드 중 어느 하나가 선택적으로 삽입되는 단말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 1 메모리 카드는 저작권 보호용의 신호 처리 회로를 가지며, 상기 제 2 메모리 카드는 저작권 보호용의 신호 처리 회로를 가지고 있지 않는, 상기 단말 장치는, 제 1 압축 처리가 수행된 입력 제 1 압축 신호에 제 2 압축 처리를 적용하는 압축 처리 수단으로서, 상기 제 2 압축 처리는 압축 효율면에서 상기 제 1 압축 처리보다 못한, 상기 압축 처리 수단과, 상기 제 1 압축 처리가 수행된 상기 제 1 압축 신호 또는 상기 압축 처리 수단에 의해 제공된 제 2 압축 신호를 선택하는 선택 수단과, 상기 단말 장치에 삽입된 메모리 카드가 상기 제 1 메모리 카드인지 또는 상기 제 2 메모리 카드인지를 판단하는 판단 수단과, 상기 판단 수단에 의해 행해진 판단에 따라 상기 선택 수단을 제어하는 제어 수단, 및 상기 제어 수단에 의해 선택된 압축 신호를 삽입된 메모리 카드에 기록하는 기록 수단을 구비하는, 단말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국면에 따라, 제 1 및 제 2 메모리 카드 중 어느 하나가 선택적으로 삽입되는 단말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 1 메모리 카드는 저작권 보호용의 신호 처리 회로를 가지며, 상기 제 2 메모리 카드는 저작권 보호용의 신호 처리 회로를 가지고 있지 않는, 상기 단말 장치는, 마이크로폰에 의해 픽업된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가 입력되는 제 1 입력 단자와, 제 1 압축 처리가 수행된 디지털 오디오 압축 신호가 입력되는 제 2 입력 단자와, 상기 제 2 입력 단자를 통해 입력된 디지털 오디오 압축 신호를 압축 해제하는 압축 해제 수단과, 상기 압축 해제 수단에서 압축 해제된 디지털 오디오 신호를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로 변환하는 D/A 변환 수단과, 상기 마이크로폰에 의해 픽업되어, 상기 제 1 입력 단자를 통해 입력된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 또는 상기 D/A 변환 수단에서 변환된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를 선택하는 제 1 스위칭 수단과, 상기 제 1 스위칭 수단에서 선택된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를 디지털 오디오 신호로 변환하는 A/D 변환 수단과, 상기 A/D 변환 수단에서 변환된 디지털 오디오 신호에 상기 제 1 압축 처리와 상이한 제 2 압축 처리를 행하는 압축 처리 수단과, 상기 제 1 압축 처리가 수행되고, 상기 제 2 입력 단자를 통해 입력된 디지털 오디오 압축 신호 또는 상기 제 2 압축 처리가 수행되고, 상기 압축 처리 수단에서 출력된 디지털 오디오 압축 신호를 선택하는 제 2 스위칭 수단과, 상기 단말 장치에 삽입된 메모리 카드가 상기 제 1 메모리 카드인지 또는 상기 제 2 메모리 카드인지를 판단하는 판단 수단과, 상기 판단 수단에 의해 행해진 판단에 따라 상기 제 1 및 상기 제 2 스위칭 수단을 제어하는 제어 수단, 및 상기 제 2 스위칭 수단에 의해 선택된 디지털 오디오 압축 신호를 삽입된 메모리 카드에 기록하는 기록 수단을 구비하는, 단말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국면에 따라, 제 1 및 제 2 메모리 카드 중 어느 하나가 선택적으로 삽입되는 단말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 1 메모리 카드는 저작권 보호용의 신호 처리 회로를 가지며, 상기 제 2 메모리 카드는 저작권 보호용의 신호 처리 회로를 가지고 있지 않는, 상기 단말 장치는, m-채널 오디오 신호(m은 적어도 2이상의 정수임)를 n-채널 오디오 신호(n은 m보다 크지 않은 양의 정수임)로 변환하는 변환 수단과, 상기 변환 수단으로부터 변환된 n-채널 오디오 신호 또는 입력된 m-채널 오디오 신호를 선택하는 선택 수단과, 상기 단말 장치로 삽입된 메모리 카드가 상기 제 1 메모리 카드 또는 상기 제 2 메모리 카드인지를 판단하는 판단 수단과, 상기 판단 수단에 의해 행해진 판단에 따라 상기 선택 수단을 제어하는 제어 수단, 및 상기 제어 수단에 의해 선택된 오디오 신호를 삽입된 메모리 카드에 기록하는 기록 수단을 구비하는, 단말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에 따라, 제 1 및 제 2 메모리 카드 중 어느 하나가 선택적으로 삽입되는 단말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 1 메모리 카드는 저작권 보호용의 신호 처리 회로를 가지며, 상기 제 2 메모리 카드는 저작권 보호용의 신호 처리 회로를 가지고 있지 않는, 상기 단말 장치는, 마이크로폰에 의해 픽업된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를 입력하는 마이크로폰 입력 수단과, 라인 입력된 m-채널 디지털 오디오 신호(m은 적어도 2이상의 정수임)를 n-채널 디지털 오디오 신호(n은 m보다 크지 않은 양의 정수임)로 변환하는 변환 수단과, 상기 변환 수단으로부터 변환된 n-채널 디지털 오디오 신호 또는 라인 입력된 m-채널 디지털 오디오 신호를 선택하는 선택 수단과, 상기 라인 입력된 m-채널 디지털 오디오 신호를 기록할 디지털 오디오 신호 기록 모드 또는 상기 마이크로폰 입력 수단에 의해 입력된 상기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를 기록할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 기록 모드를 설정하는 동작 수단과, 상기 단말 장치로 삽입된 메모리 카드가 상기 제 1 메모리 카드인지 또는 상기 제 2 메모리 카드인지를 판단하는 판단 수단과, 상기 판단 수단에 의해 행해진 판단과 상기 동작 수단에 의해 설정된 모드에 따라 상기 선택 수단을 제어하는 제어 수단, 및 상기 제어 수단에 의해 선택된 오디오 신호를 삽입된 메모리 카드에 기록하는 기록 수단을 구비하는, 단말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특징 및 장점은 하기 설명 및 첨부된 도면을 판독함에 따라 보다 명백해질 것이다.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이하 기재할 것이다. 본 발명은 예를 들어 분리 가능한 기록 매체로서 플래쉬 메모리-로드된 메모리 카드를 이용하는 휴대용 장치로서 구현된다. 휴대용 장치는 예를 들어 디지털 오디오 신호 및 다른 데이터를 기록 및 재생하는 장치이다. 이 휴대용 장치를 하기에서 간단히 레코더라 부를 수도 있다.
기재될 바람직한 실시예들은 2가지 유형의 메모리 카드, 즉 저작권 보호를 위한 보안 기능을 갖는 저작권-준수 메모리 카드(40A) 또는 저작권 보호를 위한 보안 기능을 갖지 않는 저작권-비준수 메모리 카드(40B) 중 하나를 사용한다. 이 카드 각각은 이후에 상세히 기재될 것이다.
도 1은 기억 매체로서 레코더에 삽입된 메모리 카드(40A)를 갖는 휴대용 장치(레코더(1))의 블록도이다.
도 1에서, 점선은 2개의 주요 블록을 둘러싸고 있으며, 한 블록은 레코더(1)가 어떻게 구성되어 있는지를 나타내고 있으며, 다른 블록은 메모리 카드(40A)가 어떻게 구성되어 있는지를 나타낸다. 메모리 카드(40A)는 자유롭게 분리 가능한 방식으로 레코더(1)로 로드된다.
레코더(1) 및 메모리 카드(40A)(이후에는 40B으로 기재됨)는 기록 및 재생 시스템을 구성한다. 이 시스템은 디지털 오디오 신호 뿐만 아니라 동화상 및 정지 화상 데이터를 기록 및 재생할 수 있다.
레코더(1)는 CPU(2), 버스를 통해 CPU(2)에 접속된 보안 블록(3), 동작 유니트(4), 및 디스플레이 장치(5)를 포함한다.
보안 블록(3)은 DES(데이터 암호화 표준) 암호화 회로 및 인증 처리를 수행하기 위한 회로를 포함한다.
동작 유니트(4)는 키, 버튼, 조그 다이얼 및 사용자로 하여금 기록 및 재생에 관한 여러 가지 동작을 수행하도록 하는 다른 제어 장치를 갖는다.
동작 유니트(4)의 사용자 동작에 응답하여 발생된 기록 또는 재생 명령과 같은 동작 정보는 버스를 통해 CPU(2)에 전송된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5)는 예를 들어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에 의해 구성된다. CPU(2)의 제어 하에, 디스플레이 디바이스(5)는 레코더(1)의 동작 상태 및 여러 정보 아이템을 디스플레이한다.
레코더(1)에는 또한 모드 스위치(18)가 제공된다. 모드 스위치(18)는 2가지 모드, 즉 회의록 등의 구술이 사용자에 의해 접속된 마이크로폰을 통해 기록되는 마이크로폰 입력 모드 및 라인 입력으로서 공급된 오디오 신호(즉, 음악)가 기록되는 라인 입력 모드 중 하나를 설정하도록 동작된다. "라인 입력"은 USB 커넥터(이후 기재됨)로서 작동하는 단자(9)를 통해 행해지는 데이터 입력 또는 디지털 오디오 입력과 호환할 수 있는 광케이블 단자(10)를 통한 데이터 입력이다.
CPU(2)는 버스를 통해 시스템의 다른 부분들에 제어 신호들을 공급함으로써 여러 제어를 수행한다. 기록 및 재생 동작을 제어하는 기능 외에, CPU(2)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모드 판단 기능(2a) 및 카드 판단 기능(2b)을 갖는다.
모드 판단 기능(2a)은 모드 스위치(18)의 동작 상태를 판단한다. 모드 스위치(18)가 어떻게 작동되는지를 판단하면, 모드 판단 기능(2a)은 마이크로폰 입력 모드 또는 라인 입력 모드를 설정한다.
카드 판단 기능(2b)은 삽입된 메모리 카드가 이후 기재될 저작권-준수 메모리 카드(40A)(보안 기능을 가짐)인지 또는 저작권-비준수 메모리 카드(40B)인지를 판단한다.
레코더(1)는 오디오 데이터 인터페이스 및 인코더/디코더부(7)(이하 인코더/디코더라 함)을 더 포함한다.
인코더/디코더(7)의 구조 및 동작은 도 4를 참조하여 이후 상세히 기재할 것이다. 레코더(1)와 외부에서 제공된 디바이스 사이에 배치된 인코더/디코더(7)는 오디오 신호의 I/O 인터페이스, 여러 가지 인코딩 및 디코딩 처리, A/D 및 D/A 변환, 및 I/O 스위칭 처리를 제공한다.
단자(8 내지 12)는 레코더(1)에 입력된 오디오 신호와 레코더(1)로부터 출력된 오디오 신호를 처리하기 위해 제공된다. 이 단자를 통한 오디오 신호들의 입출력과 수반되는 신호 처리는 인코더/디코더(7)에 의해 수행된다.
단자(8)는 마이크로폰에 접속되고 음성 신호를 마이크로폰 입력으로서 수용한다. 예시적으로, 단자(8)는 레코더(1)가 회의록 및 다른 구술을 기록하게 한다.
단자(9)는 예를 들어 개인용 컴퓨터와 같은 외부 데이터 처리 디바이스와의 디지털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기 위해 사용된 USB 커넥터 단자로서 작용한다. 이 예에서, 압축 데이터는 단자(9)를 통해 외부 개인용 컴퓨터로부터 입력된다. 단자(9)를 통해 도입된 압축 오디오 데이터는 이후 기재될 메모리 카드(40A 및 40B)에 기입될 수 있다. 메모리 카드(40A 및 40B)로부터 검색된 오디오 데이터는 단자(9)를 통해 개인용 컴퓨터와 같은 외부 장치로 출력될 수 있다.
단자(10)는 각 매체로부터 기록을 재생하는 CD 플레이어 또는 MD(미니 디스크) 플레이어와 같은 외부 오디오 출력 디바이스로부터 디지털 데이터 형태의 오디오 신호가 입력되는 광케이블-겸용 단자이다.
단자(11)는 각 매체로부터 기록을 재생하는 MD(미니 디스크) 플레이어와 같은 외부 오디오 출력 디바이스로부터 디지털 데이터 형태의 오디오 신호가 입력되는 광케이블-겸용 단자이다.
단자(12)는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 출력 단자이다.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는 단자(12)를 통해 MD 레코더 또는 테이프 레코더와 같은 외부 오디오 출력 디바이스로 출력된다.
데이터는 다음과 같이 메모리 카드(40A)(또는 40B)에 기록된다. 즉, 단자(8, 9, 또는 10)를 통해 공급된 오디오 신호는 처리된 데이터가 보안 블록(3)에 공급되기 전에 인코더/디코더(7)에 의해 수행되는, 이후에 기재될, 여러 가지 처리에 받게 된다.
보안 블록(3)은 공급된 처리된 데이터를 암호화한다. 몇몇 경우에, 암호화 처리는 인코더/디코더(7)와 함께 이후에 기재된 보안 블록(3)에 의해 수행되지 않을 것이다.
보안 블록(3) 및 이후 기재될 메모리 카드(40A) 내의 보안 블록(52)은 콘텐츠(이 예에서 디지털 오디오 신호)의 저작권을 보호하기 위해 제공된다. 레코더(1)의 보안 블록(3)은 복수의 마스터 키와 해당 장치에 고유한 저장 키를 갖는다. 이들 키는 암호와 해독 목적으로 사용된다.
보안 블록(3)은 또한 세션 키를 발생시키는 랜덤 회로를 포함한다. 보안 블록(52)을 내장한 메모리 카드(40A)가 레코더(1)로 삽입될 때, 삽입된 메모리 카드(40A)가 인증된 카드인지를 확인하기 위해 인증 처리가 수행된다. 메모리 카드(40A)가 인증된 것으로 판단되면, 보안 블록(3)은 보안 블록(52)과 세션 키를 공유할 수 있다.
보안 블록(3 및 52) 각각은 적절한 인증 처리를 실행하는 기능을 갖는다.
이후 보다 상세히 기재되는 바와 같이, 메모리 카드(40A)는 플래쉬 메모리(비휘발성 메모리)(42), DES 암호화 회로를 포함하는 보안 블록(52), 통신 인터페이스 및 레지스터를 갖는 단일-칩 IC 카드이다.
메모리 카드(40A)는 자유롭게 분리 가능한 방식으로 레코더(1)로 로드된다. 실제로, 레코더(1)는 암호화 기능 없는 메모리 카드, 즉, 어떠한 보안 블록도 가지고 있지 않는 메모리 카드(40B)(이후 기재됨)를 수용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입력될 때, 오디오 데이터는 인코더/디코더(7)에 의해서 및 보안 블록(3)에 의해서 처리된다. 이와 같이 처리된 오디오 데이터는 CPU(2)로 전송된다.
CPU(2)는 도시되지 않은 분리 가능한 기구에 장착된 메모리 카드(40A)와 메모리 인터페이스(11)를 통해 데이터를 통신한다. 메모리 인터페이스(11)는 CPU(2)와 메모리 카드(40A) 간의 시리얼 데이터 통신을 보장한다.
보안 블록(3)에 의해 암호화된 후, CPU(2)에 의해 오디오 데이터는 메모리 인터페이스(11)를 통해 메모리 카드(40A)로 전송된다. 메모리 카드(40A)에 공급된 오디오 데이터는 거기에 위치하는 플래쉬 메모리(42)에 기입된다.
입력된 오디오 신호는 메모리 카드(40A)에 기록되기 전에 상기한 바와 같이 라우트된다.
오디오 데이터는 다음과 같이 메모리 카드(40A)로부터 재생된다. 즉, CPU(2)는 메모리 인터페이스(11)를 통해 플래쉬 메모리(42)로부터 오디오 데이터를 판독한다. 검색된 오디오 데이터(즉, 암호화된 오디오 데이터)는 해독을 위해(이후 기재하는 바와 같이 해독이 필요하지 않는 경우도 있다) 보안 블록(3)에 전송된다. 이어서, 해독된 오디오 데이터는 인코더/디코더(7)에 의해 적절히 처리된다.
인코더/디코더(7)에 의한 처리는 44.1 kHz으로 샘플링된 한 샘플당 16비트의 오디오 신호를 재생한다. 이러한 오디오 신호는 단자(11)를 통해 외부 디바이스로 출력된다.
오디오 데이터가 인코더/디코더(7)에 의해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되면,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는 단자(12)를 통해 외부 디바이스로 출력된다.
도 2는 메모리 카드(40A)의 블록도이다. 메모리 카드(40A)는 제어 블록(41) 및 플래쉬 메모리(42)를 포함하는 단일-칩 IC 카드이다.
레코더(1)의 CPU(2)와 메모리 카드(40A) 간의 양방향 시리얼 인터페이스(즉, 메모리 인터페이스(11))는 10개의 신호 라인으로 구성된다.
신호 라인들은 4개의 주요 라인, 즉 데이터 전송중에 클록 신호를 전송하는 클록 라인 SCK, 상태 정보를 전송하는 상태 라인 SBS, 데이터를 전송하는 데이터 라인 DIO, 및 인터럽트 라인 INT을 포함한다.
2개의 접지 라인 GND 및 2개의 파워 라인 VCC이 전원 목적으로 제공된다. 나머지 2개의 신호 라인("Reserv"라 표기된)은 보류된다.
클록 라인 SCK은 데이터와 동기하는 클록 신호를 전송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상태 라인 SBS은 메모리 카드(40A)의 상태를 나타내는 신호를 전송하도록 의도된다.
데이터 라인 DIO은 명령 및 암호화된 오디오 데이터를 입출력하기 위해 사용된다.
인터럽트 라인 INT은 메모리 카드(40A)가 레코더(1)내의 CPU(2)의 인터럽션을 요청하게 하는 인터럽트 신호를 전송하는 신호 라인이다.
인터럽트 신호는 메모리 카드(40A)가 레코더(1)에 삽입될 때 발생된다. 그러나, 이 실시예에 따라, 인터럽트 신호는 데이터 라인 DIO 상으로 전송되는 한편, 인터럽트 라인 INT은 접지되어 사용되지 않는다.
직렬/병렬 및 병렬/직렬 변환 인터페이스 블록(43)(S/P, P/S, I/F 블록으로 약칭될 수 있음)은 제어 블록(41)과 복수의 신호 라인들에 의해 카드에 접속된 레코더(1)의 메모리 인터페이스(11) 사이에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직렬/병렬 및 병렬/직렬 변환 인터페이스 블록(43)은 레코더(1)로부터 직렬 데이터를 병렬 데이터로 변환하고, 변환된 병렬 데이터를 제어 블록(41)으로 공급한다. 인터페이스 블록(43)은 또한 제어 블록(41)으로부터 병렬 데이터를 직렬 데이터로 변환하고, 변환된 직렬 데이터를 레코더(1)로 전송한다.
게다가, 데이터 라인 DIO으로 명령 및 데이터를 수신하면, 직렬/병렬 및 병렬/직렬 변환 인터페이스 블록(43)은 2개의 그룹으로 수신된 것, 즉, 플래쉬 메모리(42)로의 통상의 액세스에 필요한 명령 및 데이터와, 암호화에 필요한 명령 및 데이터를 분리한다.
보다 상세하게, 명령 다음에는 신호들이 데이터 라인 DIO으로 전송되는 포맷으로 데이터가 뒤따른다. 직렬/병렬 및 병렬/직렬 변환 인터페이스 블록(43)은 주어진 명령 코드를 체크하여 명령과 뒤따른 데이터가 통상적인 액세스에 필요한 것인지 또는 암호화에 필요한 것인지를 판단한다.
명령 코드에 대한 체크 결과로서, 통상의 액세스에 필요한 임의의 명령이 명령 레지스터(44)에 설정되고, 수반하는 데이터는 페이지 버퍼(45)와 기입 레지스터(46)에 설정된다.
에러 정정 코드 발생 회로(47)는 기입 레지스터(46)와 함께 제공된다. 에러 정정 코드 발생 회로(47)는 페이지 버퍼(45)에 일시적으로 유지된 데이터에 관하여 여분의 에러 정정 코드(redundant error correcting code)를 발생시킨다.
명령 레지스터(44), 페이지 버퍼(45), 기입 레지스터(46), 및 에러 정정 코드 발생 회로(47)의 출력 데이터는 플래쉬 메모리 인터페이스/시퀀서(51)(메모리 I/F, 시퀀서로 약칭될 수 있음)에 공급된다.
플래쉬 메모리 인터페이스/시퀀서(51)는 제어 블록(41)과 플래쉬 메모리(42) 사이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며, 이에 의해 데이터 교환을 제어한다. 데이터는 이러한 메모리 인터페이스/시퀀서(51)를 통해 플래쉬 메모리(42)에 기입된다.
데이터 판독 동작에서, 플래쉬 메모리(42)로부터 검색된 데이터는 플래쉬 메모리 인터페이스/시퀀서(51)를 통해 페이지 버퍼(45), 판독 레지스터(48), 및 에러 정정 회로(49)로 전송된다.
페이지 버퍼(45)로 있는 데이터에서의 임의의 에러는 에러 정정 회로(49)에 의해 정정된다. 페이지 버퍼(45)의 에러 정정된 출력 데이터뿐만 아니라 판독 레지스터(48)의 출력 데이터는 직렬/병렬 및 병렬/직렬 변환 인터페이스 블록(43)에 공급된다. 그로부터, 데이터는 상기 직렬 인터페이스를 통해 레코더(1)의 CPU(2)로 전송된다.
컨피규레이션(configuration) ROM(50)은 메모리 카드(40A)에 관한 버전 정보 및 여러 아이템의 속성 정보와 같은 정보를 수용하도록 제공된다.
메모리 카드(40A)에는 부적절한 소거를 방지하기 위해 필요에 따라 사용자에 의해 동작될 수 있는 스위치(60)가 장착되어 있다. 스위치(60)가 소거 금지 위치로 설정되면, 플래쉬 메모리(42)의 데이터의 소거를 요청하는 명령이 레코더(1)로부터 전송된다 하더라도 플래쉬 메모리(42)는 소거에 반하여 보호된다.
오실레이터(61)는 메모리 카드(40A)에 의해 처리하는 타이밍 기준을 제공하는 클록 펄스를 발생시킨다.
레코더(1)의 보안 블록(3) 및 메모리 카드(40A)의 보안 블록(52)은 인증 처리를 수행하고, 저작권 보호를 위한 조치로서 플래쉬 메모리(42)에 기입될 콘텐츠(즉, ATRAC3에 의해 압축된 오디오 데이터, 이하 ATRAC3 데이터라 부름)를 암호화한다.
보안 블록(52)은 버퍼 메모리(53), DES 암호화 회로(54) 및 비휘발성 메모리(55)를 포함한다.
보안 블록(52)은 복수의 인증 키와 해당 메모리 카드에 고유한 저장 키를 갖는다.
비휘발성 메모리(55)는 암호화에 필요한 키들을 수용하므로 외부에서 육안으로 볼 수 없게 된다(즉, 판독 불가). 예시적으로, 저장 키들은 비휘발성 메모리(55)에 유지된다.
보안 블록(52)은 또한 카드와 세션 키를 공유하는 전용 레코더(1)(즉, 시스템내의 미리 결정된 데이터 포맷을 공유하는 레코더)의 인증을 허용하는 랜덤 회로를 갖는다.
ATRAC3 데이터를 암호화하는 콘텐츠 키는 세션 키를 사용함으로써 암호화되고, 레코더(1)와 메모리 카드(40A) 사이에서 전송된다.
메모리 카드(40A)의 보안 블록(52)과 마찬가지로, 레코더(1)의 보안 블록(3)도 그 자체 저장 키를 갖는다. 예시적으로, 암호화된 콘텐츠가 한 위치에서 다른 위치로 이동되게 되면, 콘텐츠 키는 보안 블록(3)의 저장 키를 사용하여 다시 암호화된다.
레코더(1) 및 메모리 카드(40A)의 상기 설명에서는, 오디오 데이터가 메모리 카드(40A)에 기록되고 메모리 카드(40A)에서 재생될 때 레코더(1)의 보안 블록(3)이 오디오 데이터를 암호화하고 해독하는 것이 도시되어 있다. 대안으로, 그러한 암호화 및 해독 처리는 메모리 카드(40A)의 보안 블록(52)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다른 대안에서, 오디오 데이터는 기록 시점에서 보안 블록(3)에 의해 암호화될 수 있고, 재생시 보안 블록(52)에 의해 해독될 수 있다. 반대로, 오디오 데이터는 기록을 위해 보안 블록(52)에 의해 암호화될 수 있고, 재생을 위해 보안 블록(3)에 의해 해독될 수 있다.
다른 대안에서, 오디오 데이터는 기록시 2개의 보안 블록(3 및 52)에 의해 암호화될 수 있고, 재생 시점에서 동일한 2개의 보안 블록(52 및 3)에 의해 해독될 수 있다.
보안 블록(3 및 52)은 2개의 블록 간의 암호화 및 해독을 위한 키의 공유 및 교환을 허용하는 유사한 암호화 기능을 갖도록 설계된다. 이 유사 기능은 상기 아웃라인된 오디오 데이터 암호화/해독 방식 중 임의의 방식의 구현을 허용할 것이다.
암호화 및 해독 특징 외에, 보안 블록(3 및 52)은 인증 기능을 각각 갖는다. 메모리 카드(40A)가 레코더(1)로 로드될 때, 보안 블록(3 및 52)은 인증 데이터를 전송한다. 데이터 통신의 결과는 인증 승인이나 비승인에 기초하여 작용한다. 인증이 승인되지 않으면, 레코더(1)는 예를 들어 메모리 카드(40A)에 데이터를 기록하거나 메모리 카드(40A)로부터 데이터를 재생하는 것을 금지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인증 처리는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이 수행된다. 메모리 카드(40A)가 레코더(1)로 삽입될 때, 레코더(1)의 보안 블록(3)에 의해 유지된 인증 데이터는 메모리 카드(40A)로 전송된다. 제 1 인증 데이터가 주어지면, 메모리 카드(40A)의 보안 블록(52)은 미리 설정된 공식에 따라 대응하는 제 2 인증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제 1 인증은 레코더(1)로 전송되기 전에 제 2 인증 데이터에 의해 보충된다.
레코더(1)는 메모리 카드(40A)가 제 1 인증 데이터에 응답하여 적절한 제 2 인증 데이터를 리턴하였는지를 확인하는 체크를 하여 인증을 승인하거나 비승인한다.
상기 개략된 인증, 암호화 및 해독 기능은 주로 저작권을 보호하도록 의도된다.
도 3은 어떠한 암호화 특징도 갖지 않는 메모리 카드(40B)(즉, 이 카드는 저작권에 관한 보안 규정을 따르지 않는다)의 블록도이다. 도 3에는 도 2에 이미 도시한 것과 기능적으로 동일하거나 또는 등가인 부분들은 동일한 참조 번호로 제공되고, 그러한 부분에 대한 설명은 생략된다.
도 2를 참조하여 기재된 메모리 카드(40A)와 비교하면, 직렬/병렬 및 병렬/직렬 변환 인터페이스 블록(43)에 접속된 보안 블록(52)을 갖지 않는 메모리 카드(40B)가 도시된다. 메모리 카드(40B)의 나머지 구조 특징부는 메모리 카드(40A)의 특징부와 동일하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메모리 카드(40A 및 40B)는 형상 및 크기가 동일하다.
레코더(1)는 2가지 유형의 메모리 카드, 즉, 저작권-준수 메모리 카드(40A) 또는 저작권-비준수 메모리 카드(40B) 중의 하나를 수용한다.
메모리 카드(40A)는 음악과 같은 저작권 보호를 필요로 하는 데이터를 주로 기록하고 재생하기 위해 사용된다. 메모리 카드(40B)는 회의록과 같은 저작권 보호가 필요하지 않는 데이터를 기록하고 재생하기 위해 사용된다.
기본적으로, 회의록 또는 다른 구술(이하 구술 기록이라 칭함)을 기록할 때, 사용자는 레코더(1)에 메모리 카드(40B)를 삽입하고, 모드 스위치(18)를 작동시켜 마이크로폰 입력 모드로 설정하고, 기록 시작 동작을 수행한다.
기록이 시작되면, 오디오 신호는 마이크로폰에 접속된 단자(8)를 통해 입력된다. 입력 오디오 신호는 메모리 카드(40B)에 기록된다.
저작권 보호를 받는 음악 또는 다른 데이터를 기록할 때(이하, 음악 기록이라 칭함), 사용자는 레코더(1)에 메모리 카드(40A)를 삽입하고, 모드 스위치(18)를 작동시켜 라인 입력 모드로 설정하고, 기록 시작 동작을 수행한다. 이는 음악과 같은 오디오 신호가 단자(9 또는 10)를 통해 입력되게 한다. 이와 같이 입력된 오디오 신호는 메모리 카드(40A)에 기록된다.
그러나, 사용자들이 항상 정확한 유형의 메모리 카드를 삽입하거나 또는 의도된 기록 모드에 적절한 모드 스위치를 설정하리라고 예상할 수 없다. 메모리 카드(40B)는 음악 기록을 위해 삽입되는 것을 생각될 수 있으며, 또는 메모리 카드(40A)는 구술 기록을 위해 부착되는 것으로 생각될 수 있다.
그러한 경우에, 소망하는 데이터가 저작권 보호에 주의하여 제공된 방식으로 적어도 기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소망하는 데이터가 적어도 기록됨을 확인하는 동시에 저작권이 보호됨을 확인하기 위해, 인코더/디코더(7)는 삽입된 메모리 카드의 유형(40A 또는 40B)에 따라 CPU(2)의 제어 하에 모드 스위치(18)에 의해 설정된 모드로 적절한 처리를 수행한다.
상기 요건을 충족시키기 위해서는 CPU(2)의 카드 판단 기능(2b)을 취하여 삽입된 메모리 카드 유형을 결정하는 것이 수반되어야 한다.
삽입된 메모리 카드의 유형을 판단하는 방법으로는 많은 방법이 존재한다.
한 방법으로는, 레코더(1)의 카드 판단 기능(2b)이 인증시 응답 상태를 체크하는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메모리 카드가 레코더(1)로 삽입될 때, 레코더(1)의 CPU(2)는 제 1 인증 데이터를 상기 방식으로 메모리 카드에 전송한다. 삽입된 카드가 보안 블록(52)을 갖지 않는 메모리 카드(40B)인 경우, CPU(2)는 카드로부터의 정상 응답(즉, 상기 제 2 인증 데이터)을 수신하지 못한다.
CPU(2)가 제 1 인증 데이터의 전송에 이어 미리 결정된 기간 내에 정상 응답을 얻지 못한 경우, CPU(2)는 삽입된 메모리 카드가 저작권-비준수 카드(40B)임을 판단한다. 한편, 정상 응답이 정확한 기간 내에 획득된 경우, 삽입된 메모리 카드는 저작권-준수 메모리 카드(40A)인 것으로 판단된다.
카드 유형을 결정하는 다른 방법으로는 적절한 메모리 카드 영역(즉, 부트 영역)에 저장된 저작권-준수/비준수 식별 정보를 갖는 방법이 있다.
메모리 카드가 레코더(1)로 삽입될 때, CPU(2)는 메모리 카드의 부트 영역으로부터 처음에 판독된 데이터로부터 저작권-준수/비준수 식별 정보를 검색한다. 이와 같이 검색된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레코더(1)는 메모리 카드의 유형(40A 또는 40B)을 결정한다.
예시적으로, CPU(2)(카드 판단 기능(2b)을 갖는)가 삽입된 메모리 카드의 유형을 판단한 후, 모드 스위치(18)에 의해 선택된 모드를 판단하는 모드 판단 기능(2a)에 의해, CPU(2)는 인코더/디코더(7)가 적절하게 기능하게 한다.
인코더/디코더(7)가 전형적으로 어떻게 구성되어 있는지는 도 4를 참조하여 아래에 기재한다.
단자(8, 9 및 10) 각각은 관련 데이터 입력 스트림에 대응한다. 단자(8)를 통한 마이크로폰 입력을 수용하는 입력 흐름은 마이크로폰 증폭기(71), 스위치(74), A/D 변환기(77), 및 ADPCM 인코더(76)로 구성되어 있다.
마이크로폰 입력으로서 도입되는 오디오 신호는 마이크로폰 증폭기(71)에 의해 증폭된다. 증폭된 신호는 스위치(74)의 단자 "c"를 통해 A/D 변환기(77)로 전송되어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된다. 변환 후, 디지털 데이터는 ADPCM 인코더(76)에 의해 ADPCM 압축을 받게 된다. ADPCM을 통해 압축된 오디오 신호는 스위치(75)의 단자 "a"를 통해 보안 블록(3)에 공급된다.
통상적으로, 마이크로폰 입력 오디오 신호는 상기한 바와 같이 메모리 카드(40B)에 기록되는 한편, 암호화 처리는 없다. 따라서, 보안 블록(3)의 스위치(3c)는 오디오 신호가 CPU(2)로 가는 도중에 암호화 블록(3a)을 우회하도록 한다.
광케이블과 접속된 단자(10)를 통해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를 수용하는 입력 흐름에는 ATRAC3 인코더(78)가 포함된다.
ATRAC3 인코더(78)는 ADPCM 방법보다 높은 품질로 그리고 보다 효율적으로 디지털 오디오 신호들을 압축하는 낮은 비트율 코딩 방법을 채택한다.
ATRAC3이라 불리는 낮은 비트율 코딩 방법은 미니-디스크 시스템에 의해 사용된 ATRAC(적응 변환 음향 코딩)에 비해 개선된 것이다. ATRAC3 하에, 44.1kHz로 샘플링된 1샘플당 16비트의 오디오 데이터가 처리된다. ATRAC3 하에서 오디오 데이터 처리시 최소 데이터 증분(increment)을 사운드 유니트(SU)라 부른다. 약 2.3ms의 지속 시간을 갖는 한 사운드 유니트는 수백 바이트의 데이터로 압축된 1,024 샘플의 데이터(1,024 x 16비트 x 2 채널)로 구성된다. ATRAC3에 따라, 오디오 데이터는 이들의 원래 부피의 약 1/10으로 압축된다. 데이터 압축 또는 압축 해제 처리로 인한 음질의 저하는 거의 없다.
ATRAC3 인코더(78)에 의해 압축된 오디오 신호는 보안 블록(3)에 공급된다. 보안 블록(3)에서, 오디오 신호는 CPU(2)로 전송되기 전에 암호화 블록(3a)에 의해 암호화된다.
USB 커넥터로서 작동하는 단자(9)를 통해 수용된 입력 데이터는 예를 들어 상기한 바와 같이 개인용 컴퓨터로부터 공급된 음악과 같은 디지털 오디오 신호를 포함한다. 그러한 디지털 오디오 신호들은 ATRAC3 압축 및 암호화를 겪게 된다.
개인용 컴퓨터는 레코더(1)의 시스템과의 호환성을 보장하는 소프트웨어를 가지고 있다. 이 소프트웨어는 ATRAC3-압축 및 암호화된 오디오 데이터를 레코더(1)에 전송하여 메모리 카드(40A)에 기록되게 한다. 이는 소망하는 콘텐츠의 오디오 데이터가 예를 들어 복사될 수 있게 하거나 또는 메모리 카드에 고품질로 재배치되게 한다.
그러한 경우에, 인코더/디코더(7)는 ATRAC3 압축 처리를 수행할 필요가 없거나 또는 보안 블록(3)은 암호화 처리를 수행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단자(9)를 통한 입력 데이터는 스위치(75)의 단자 "b"를 통해 보안 블록(3)에 공급된다. 보안 블록(3)의 스위치(3c)는 입력 데이터가 CPU(2)로 가는 도중에 암호화 블록(3a)을 우회하도록 한다.
단자(9)와 연관된 입력 흐름에는 ATRAC3 디코더(72) 및 D/A 변환기(73)가 포함된다. ATRAC3 디코더(72)는 ATRAC3-처리된 데이터의 해독 및 압축 해제 처리를 수행한다. 이와 같이 디코딩된 데이터는 D/A 변환기(73)에 의해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로 변환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외부의 개인용 컴퓨터 등으로부터 공급된 ATRAC3-압축 및 암호화된 오디오 데이터는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가 되어 스위치(74)의 단자 "d"로 전송된다.
스위치(74)가 단자 "d"에 접속될 때,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는 A/D 변환기(77)에 의해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된다. 이어서, 디지털 데이터는 ADPCM 인코더(76)에 의해 ADPCM 압축을 받게 된다.
스위치(74 및 75)는 CPU(2)로부터 제어 신호 SS에 따라 전환되는 접속 단자를 갖는다.
데이터 출력 흐름은 ATRAC3 디코더(83), ADPCM 디코더(79), 스위치(80 및 81), 및 D/A 변환기(82)로 구성된다. 이 출력 흐름은 메모리 카드(40A)(또는 40B)에서 재생되고 보안 블록(3)을 통해 CPU(2)로부터 전송된 신호들을 처리한다.
보안 블록(3)에서, CPU(2)로부터 나오는 데이터는 데이터가 암호화되었는지 여부에 따라 2가지 방식 중 하나로 라우트된다. 즉, 스위치(3d)는 해독 블록(3b)을 통해 데이터를 공급하거나 데이터가 해독 블록(3b)을 우회하도록 작동한다.
이 예에서, 메모리 카드(40A)에 유지된 암호화된 데이터는 ATRAC3을 통해 인코딩되었다. CPU(2)에 의해 재생 및 전송될 때, 그러한 데이터는 ATRAC3 디코더(83)로 전송되기 전에 해독 블록(3b)에 의해 해독된다.
도 4에 이산적으로 도시되었더라도, ATRAC3 디코더(72) 및 ATRAC3 디코더(83)는 적분 소자로 구성될 수 있다.
ATRAC3 디코더(83)는 44.1kHz로 샘플링된 1샘플당 16비트의 오디오 신호를 생성한다. 이러한 오디오 신호는 스위치(80)를 통해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로서 출력하는 단자(12)에 전송된다.
대안으로, ATRAC3 디코더(83)로부터 44.1kHz로 샘플링된 1샘플당 16비트의 오디오 신호는 스위치(81)를 통해 D/A 변환기(82)로 전송되어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로 변환된다. 변환 후,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는 단자(12)를 통해 외부 장치로 출력된다.
메모리 카드(40B)에 유지된 데이터는 암호화되지 않았다. 이후 기재하는 바와 같이, 메모리 카드(40A)에 기록될 데이터는 몇몇 경우에는 암호화되지 않을 수 있다. 이와 같이 암호화되지 않은 데이터가 재생되는 경우, CPU(2)로부터 전송된 데이터는 스위치(3d)를 통해 ADPCM 디코더(79)로 전송된다.
ADPCM 디코더(79)는 수신된 데이터를 44.1kHz으로 샘플링된 1샘플당 16비트의 오디오 신호로 되게 한다. 이러한 오디오 신호는 스위치(80)를 통해 외부 디바이스로 출력하는 단자(12)로 전송된다.
대안으로, ADPCM 디코더(79)로부터 44.1kHz로 샘플링된 1샘플당 16비트의 오디오 신호는 스위치(81)를 통해 D/A 변환기(82)에 전송되어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로 변환된다. 변환 후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는 단자(12)를 통해 외부 디바이스로 출력된다.
상기 설명은 인코더/디코더(7)가 전형적으로 어떻게 구성되어 있는지를 나타냈다. 단자(8, 9 또는 10)를 통해 도입된 오디오 신호가 메모리 카드에 기록되어야 할 때, CPU(2)는 입력 모드와 상술한 바와 같이 판단된 삽입된 메모리 카드 유형에 따라서 도 5에 개략한 바와 같이 스위치(74 및 75)를 제어한다.
예시 목적으로, 다음 설명은 단자(8 및 9)를 통해 입력이 어떻게 이루어지는지에 중점을 둘 것이다. 단자(10)를 통한 입력은 이후 간단히 기재할 것이다.
기록 시점에서, CPU(2)는 다음과 같이 작동한다. 즉, 도 5의 단계(F101)에서, CPU(2)의 모드 판단 기능(2a)은 모드 스위치(18)를 동작에 의해 설정된 모드를 판단한다.
마이크로폰 입력 모드가 모드 스위치(18)에 의해 설정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즉, 구술 기록을 위한 것), 단계(F102)는 CPU(2)가 스위치(74)를 단자 "c"에 접속시키고 스위치(75)를 단자 "a"에 접속시키는 경우에 도달하게 된다. 이점에서, 스위치(3c)는 보안 블록(3)에서 작동하여 데이터의 흐름이 암호화 블록(3a)을 우회하도록 한다.
상기 스위치 설정은 마이크로폰에 의해 픽업된 오디오 신호가 마이크로폰 증폭기(71), A/D 변환기(77) 및 ADPCM 인코더(76) 순서로 통과한 후 단자(8)로부터 CPU(2)로 전송되는 입력 흐름으로 끝난다. 따라서, 마이크로폰 입력 오디오 신호는 단계(F105)에서 ADPCM 모드로 기록된다. 즉, 신호는 ADPCM 압축을 받지만, 메모리 카드에 기록되기 전에 암호화가 실행되지는 않는다.
상기 경우에, 메모리 카드(40B)가 일반적으로 사용되어야 하지만, 메모리 카드(40A) 역시 구술 기록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즉, 데이터는 사용자가 부주의로(또는 고의로, 말하자면 메모리 카드(40B)를 소유하고 있지 않을 때) 메모리 카드(40A)를 삽입한 경우라도 여전히 기록된다.
마이크로폰 입력 모드가 실시될 때, 스위치(74 및 75)의 설정은 단자(9)를 통해 데이터의 기록을 디스에이블한다. 즉, 저작권 보호를 필요로 하는 음악 데이터는 단자(9)를 통해 수용되지 못하고 삽입된 메모리 카드에 마이크로폰 입력 모드로 기록된다.
단계(F101)에서, 라인 입력 모드가 실행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즉, 사용자가 개인용 컴퓨터로부터 데이터 복사 또는 재배치를 통해 음악을 기록하고자 하는 경우, CPU(2)는 단계(F103)로 간다. 단계(F103)에서, 카드 판단 기능(2b)은 삽입된 메모리 카드의 유형을 판단한다.
삽입된 메모리 카드가 저작권-준수 메모리 카드(40A)로 판단되는 경우, 단계(F106)에 도달하게 된다. 단계(F106)에서, 스위치(75)는 단자 "b"에 접속된다.
스위치(75)의 설정은 USB 커넥터로서 작용하는 단자(9)를 통해 들어오는 오디오 신호(즉, 그 신호는 ATRAC3 인코딩 및 암호화를 겪은 오디오 데이터로 이루어짐)가 CPU(2)로 전송되는 입력 흐름으로 끝난다. 개인용 컴퓨터 등에 의해 공급된 오디오 데이터는 단계(F107)에서 ATRAC3 모드로 기록된다. 즉, ATRAC3 인코딩 및 암호화를 겪은 오디오 데이터는 메모리 카드(40A)에 기록된다.
개인용 컴퓨터로부터 음악 데이터를 복사하고 이동시키려는 목적으로 라인 입력 모드가 설정될 때, 사용자는 부주의로 저작권-비준수 메모리 카드(40B)를 삽입할 수 있다. 그러한 경우, 데이터를 복사하거나 또는 이동시키는 시도는 레코더(1)와 메모리 카드(40B) 간의 인증 처리를 디스에이블시킬 것이고, 때때로 저작권 침해를 야기시킬 수 있다. 반면에, 데이터 기록의 완전 금지는 선의의 사용자에게 해를 끼칠 것이다.
그러한 상황을 고려하여, 삽입된 메모리 카드가 단계(F103)에서 저작권-비준수 메모리 카드(40B)인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CPU(2)는 단계(F104)로 간다. 단계(F104)에서, CPU(2)는 스위치(74)를 단자 "d"에 접속시키고, 스위치(75)를 단자 "a"에 접속시킨다.
상기 스위치 설정은 USB 커넥터로서 작용하는 단자(9)를 통해 들어온 오디오 신호(즉, 이 신호는 ATRAC3 인코딩 및 암호화를 겪은 오디오 데이터로 이루어짐)가 ATRAC3 디코더(72), D/A 변환기(73), A/D 변환기(77) 및 ADPCM 인코더(76) 순서로 통과한 후 CPU(2)에 전송되는 입력 흐름으로 끝난다.
다시 말하면, ATRAC3 인코딩되고 암호화된 오디오 데이터는 디지털 데이터로 다시 변환되기 전에 일시적으로 아날로그 신호로 되돌아간다. 이어서, 디지털 데이터는 ADPCM을 통해 인코딩된다.
상기 입력 흐름을 통해, 데이터는 단계(F105)에서 ADPCM 모드로 기록된다. 즉, ATRAC3-인코딩 및 암호화된 오디오 데이터는 ADPCM 압축을 받지만 암호화되지 않는 아날로그 신호로 다시 변환된다. ADPCM-압축된 데이터는 메모리 카드에 기록된다.
상기 처리는 데이터가 저하된 품질로 메모리 카드(40B)에 기록됨을 의미한다. 계획적으로 저하된 신호 품질로 기록된 데이터는 사용자의 사적 용도에는 충분하지만 저작권의 고의적인 침해와는 관련이 없다. 저하된 품질의 데이터는 제 3자에게 최종 배포될 때에는 그 값이 더 낮아져, 메모리 카드(40B)의 남용으로 인한 저작권 침해가 방지된다.
상기 고찰한 기록 동작은 도 6의 표에 요약된다.
마이크로폰 입력 모드(구술 기록을 위함)에서, 단자(8)를 통해 들어온 마이크로폰 입력 오디오 신호는 삽입된 메모리 카드의 유형과 무관하게 ADPCM 모드로 기록된다.
라인 입력 모드(음악 기록을 위함)에서, 저작권-준수 메모리 카드(40A)가 삽입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단자(9)를 통해 수용되는 USB 데이터 전송은 ATRAC3 모드로 즉, 고품질로 기록된다. 저작권-비준수 메모리 카드(40B)가 삽입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단자(9)를 통해 입력된 USB 데이터 전송은 ADPCM 모드로 즉 저품질 데이터로 변환된 후 기록된다.
단자(10)를 통해 들어온 디지털 오디오 신호는 예를 들어 도 4의 파선으로 나타낸 스위치(90)를 통해 전송된다. 스위치(90)를 적절히 설정하여 USB 입력의 경우에서처럼 삽입된 메모리 카드의 판단된 유형에 따라 데이터의 기록을 허용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메모리 카드(40A)가 삽입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단자(10)를 통해 들어온 디지털 오디오 신호는 ATRAC3 인코더(78)에 의해 ATRAC3 압축되게 되며, 이어서 보안 블록(3)의 암호화 블록(3a)에 의해 암호화되게 된다. 이와 같이 처리된 신호는 메모리 카드(40A)에 기록된다.
메모리 카드(40B)가 삽입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단자(10)를 통해 입력된 디지털 오디오 신호는 D/A 변환기(73)에 의해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된다. 아날로그 신호는 A/D 변환기(77)에 전송되어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되고, 이어서 ADPCM 압축을 위해 ADPCM 인코더(76)에 전송된다. 이어서 압축된 데이터는 암호화 없이 메모리 카드(40B)에 기록된다.
대안으로, 단자(10)를 통해 들어온 디지털 오디오 신호는 메모리 카드(40A) 이외에 아무것도 삽입되지 않은 경우, 예를 들면, 메모리 카드(40B)의 존재가 인증이나 암호화 처리를 방해하는 경우 기록되는 것을 막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예에서, ATRAC3은 고품질 신호 압축 방법으로서 채택되고, ADPCM은 저품질 신호 압축 방법으로서 채택된다. 대안으로, 다른 방법들은 MPEG, TWIN-VQ, EPAC, AAC(개량된 음향 코딩), 리얼 오디오, MS-오디오 또는 AC-3과 같은 고품질 데이터 압축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대안적인 저품질 데이터 압축 방법은 DPCM나 적절히 저하된 그의 압축률을 갖는 상술된 방식들 중 임의의 한 방식일 수 있다.
더욱이, 상기 설명은 오디오 신호들의 압축에 주로 중점을 두었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정지 화상 및 동화상을 처리할 수 있다.
정지 화상 또는 동화상 데이터가 포함되는 경우, BMP(비트 맵) 또는 HD(고-해상도)가 고품질 압축을 위한 방법으로서 채택될 수 있고, GIF, JPEG 또는 SD(표준 해상도)가 저품질 압축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도 4의 구성예에는, 고품질 ATRAC3 신호를 저품질 ADPCM 신호로 변환하는 것을 도시하고 있다. 대안으로, 신호 변환의 순서는 반대가 될 수 있다.
상기 처리예에서는, 저작권-준수 메모리 카드(40A) 및 저작권-비준수 메모리 카드(40B)가 삽입되는지 여부에 따라 타겟 데이터 압축률을 변경시켜 기록된 데이터의 품질을 변화시키는 것을 도시하고 있다.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스테레오 오디오 신호는 저작권-준수 메모리 카드(40A)에 기록될 수 있는 한편, 모노럴 오디오 신호는 저작권-비준수 메모리 카드(40B)에 기록된다.
스테레오 및 모노럴 오디오 신호들이 어떻게 상이한 메모리 카드들에 기록되는지를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이하 기재할 것이다.
도 7은 대안적인 처리예에서 채택된 전형적인 인코더/디코더(7)의 구조를 나타낸다. 도 7에서, 도 4에 이미 나타낸 것과 기능적으로 동일하거나 등가인 부분들에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가하였으며, 그러한 부분들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된다.
단자(8)를 통한 마이크로폰 입력 흐름은 마이크로폰 증폭기(71), A/D 변환기(91) 및 ADPCM 인코더(76)를 갖는다.
마이크로폰 입력으로서 오디오 신호는 A/D 변환기(91)에 의해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되기 전에 마이크로폰 증폭기(71)에 의해 증폭된다. 변환 후, 디지털 데이터는 ADPCM 인코더(76)에 의해 ADPCM 압축을 받게 된다. ADPCM-압축된 오디오 신호는 스위치(93)의 단자 "c"를 통해 보안 블록(3)으로 전송된다.
통상적으로, 마이크로폰 입력 오디오 신호는 상기한 바와 같이 메모리 카드(40B)에 기록되지만 암호화 처리는 없다. 따라서, 보안 블록(3)의 스위치(3c)는 오디오 신호가 CPU(2)로 가는 도중에 암호화 블록(3a)을 우회하도록 작동한다.
광케이블과 접속된 단자(10)를 통해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를 수용하는 입력 흐름은 ATRAC3 인코더(78)를 포함한다. ATRAC3 인코더(78)에 의해 압축된 오디오 신호는 보안 블록(3)에 공급된다. 보안 블록(3)에서, 오디오 신호는 도 4의 구조에서와 같이, CPU(2)로 전송되기 전에 암호화 블록(3a)에 의해 암호화된다.
USB 커넥터 단자(90)를 통해 수용된 입력 데이터는 예를 들어 상기한 바와 같이 개인용 컴퓨터로부터 공급된 음악과 같은 디지털 오디오 신호들을 포함한다. 그러한 디지털 오디오 신호들은 ATRAC3 압축 및 암호화를 겪게 된다.
그런 경우, 인코더/디코더(7)는 ATRAC3 압축 처리를 수행할 필요가 없으며, 보안 블록(3)은 암호화 처리를 수행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단자(9)를 통해 입력된 데이터는 스위치(93)의 단자 "b"를 통해 보안 블록(3)에 공급된다. 보안 블록(3)에서 스위치(3c)는 입력 데이터가 CPU(2)로 가는 도중에 암호화 블록(3a)을 우회하도록 작동한다.
단자(9)와 연관된 입력 흐름은 또한 스테레오/모노럴 변환기(92)를 포함하는 것에 주의해야 한다.
단자(9)를 통해 도입된 ATRAC3-처리된 디지털 오디오 신호는 시분할 기준으로 대안으로 다중화된 우측- 및 좌측-채널 데이터에 수반된다. 스테레오/모노럴 변환기(92)는 모노럴 신호로의 변환을 위해 시분할 다중화된 스테레오 데이터로부터 우측- 및 좌측-채널 데이터를 솎아낸다.
스위치(93)의 단자 "a"가 접속되는 한, 모노럴 오디오 데이터는 기록될 데이터로서 CPU(2)에 공급된다.
인코더/디코더(7)의 데이터 출력 흐름은 도 4의 구조에서와 같이 ATRAC3 디코드(83), ADPCM 디코더(79), 스위치(80 및 81), 및 D/A 변환기(82)로 구성된다.
오디오 신호들이 삽입된 메모리 카드에 기록하기 위해 상기 인코더/디코더(7)의 단자(8 또는 9)를 통해 수용될 때, CPU(2)는 메모리 카드의 유형 및 확립된 모드에 따라 스위치(93)를 제어한다. 스위치(93)를 제어하는 전형적인 단계들은 도 8에 나타낸다.
기록 시점에서, CPU(2)는 먼저 도 8의 단계(F201)에 도달한다. 단계(F201)에서, CPU(2)의 모드 판단 기능(2a)은 모드 스위치(18)를 동작시켜 설정된 모드를 판단한다.
마이크로폰 입력 모드가 모드 스위치(18)에 의해 설정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즉, 구술 기록을 위해), CPU(2)는 스위치(93)를 그의 단자 "c"에 접속시키도록 단계(F202)에 도달한다.
보안 블록(3)에서, 스위치(3c)는 데이터의 흐름에 의해 우회되는 암호화 블록(3a)을 갖도록 작동된다.
상기 스위치 설정은 마이크로폰에 의해 픽업된 오디오 신호가 마이크로폰 증폭기(71), A/D 변환기(91) 및 ADPCM 인코더(76) 순서로 통과한 후 단자(8)로부터 CPU(2)로 이동하는 입력 스트림으로 끝난다.
따라서, 마이크로폰 입력 오디오 신호는 단계(F203)에서 ADPCM 모드로 기록된다. 즉, 신호는 ADPCM 압축을 경험하지만, 메모리 카드에 기록되기 전에 암호화에 적용되지 않는다. 접속된 마이크로폰이 스테레오 입력과 호환성인 경우, 픽업 된 데이터는 스테리오 오디오 신호로서 기록된다.
상기 경우에, 메모리 카드(40B)가 일반적으로 사용되어야 하지만, 메모리 카드(40A) 역시 구술 기록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즉, 데이터는 사용자가 부주의로(또는 고의로, 말하자면 메모리 카드(40B)를 소유하고 있지 않을 때) 메모리 카드(40A)를 삽입한 경우조차 여전히 기록된다.
마이크로폰 입력 모드가 실시될 때, 단자 "c"에 접속된 스위치(93)는 단자(9)를 통해 데이터의 기록을 디스에이블시킨다. 즉, 저작권 보호를 요하는 음악 데이터는 마이크로폰 입력 모드로 삽입된 메모리 카드에 기록하기 위해 단자(9)를 통해 수용되지 않을 것이다.
단계(F201)에서, 라인 입력 모드가 유효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즉, 사용자가 개인용 컴퓨터로부터 데이터 복사 또는 재배치를 통해 음악을 기록하고자 하는 경우, CPU(2)는 단계(F204)로 간다. 단계(F204)에서, 카드 판단 기능(2b)은 삽입된 메모리 카드의 유형을 판단한다.
삽입된 메모리 카드가 저작권-준수 메모리 카드(40A)로 판단되는 경우, 단계(F207)에 도달한다. 단계(F207)에서, 스위치(93)는 그의 단자 "b"에 접속된다.
스위치(93)의 설정은 USB 커넥터 단자(9)를 통해 도입된 오디오 신호(즉, 이 신호는 ATRAC3 인코딩 및 암호화를 경험하는 오디오 데이터로 이루어짐)가 CPU(2)로 진행되는 입력 흐름으로 끝난다. 개인용 컴퓨터 등에 의해 공급된 오디오 데이터는 단계(F208)에서 ATRAC3 모드로 기록된다. 즉, ATRAC3 인코딩 및 암호화를 경험하는 오디오 데이터는 메모리 카드(40A)에 기록된다.
단계(F204)에서 삽입된 메모리 카드가 저작권-비준수 메모리 카드(40B)인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CPU(2)는 단계(F205)로 진행된다. 단계(F205)에서, 스위치(93)는 그의 단자 "a"에 접속된다.
상기 스위치(93)의 설정은 USB 커넥터 단자(9)를 통해 도입된 오디오 신호(즉, 이 신호는 ATRAC3 인코딩 및 암호화를 경험하는 오디오 데이터로 이루어짐)가 스테레오/모노럴 변환기(92)를 통해 통과한 후 CPU(2)로 진행되는 입력 흐름으로 끝난다.
그러한 입력 흐름은 ATRAC3 인코딩 및 암호화를 통해 처리된 스테레오 오디오 데이터를 모노럴 데이터로 변환시킨다. 단계(F206)에서, 처리된 데이터는 ATRAC3 모노럴 모드로 기록된다.
다시 말해, ATRAC3-인코딩 및 암호화된 오디오 데이터는 스테레오로부터 모노럴 포맷으로의 변환을 통해 신호 품질이 저하된다. 메모리 카드(40B)는 이와 같이 처리된 모노럴 데이터를 기록한다.
고의적으로 오염된 신호 품질에 의해, 기록된 데이터는 사용자의 사적인 용도에 대해 충분하지만 저작권의 고의적인 침해에 관계가 없다.
상기 고찰한 기록 오퍼레이션은 도 9의 표에 요약된다.
마이크로폰 입력 모드(구술 기록을 위함)에서, 단자(8)를 통해 도입된 마이크로폰 입력 오디오 신호는 삽입된 메모리 카드의 유형과 무관하게 ADPCM 모드로 기록된다.
라인 입력 모드(음악 기록을 위함)에서, 저작권-준수 메모리 카드(40A)가 삽입될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단자(9)를 통해 수용되는 USB 데이터 전송은 ATRAC3 스테레오 모드로, 즉 높은 품질로 기록된다. 저작권-비준수 메모리 카드(40B)가 삽입될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단자(9)를 통해 입력된 USB 데이터 전송은 ATRAC3 모노럴 모드로, 즉 하위 품질 데이터로 변환된 후 기록된다.
단자(10)를 통해 도입된 디지털 오디오 신호는 메모리 카드(40A) 이외의 무엇이 삽입된 것으로 밝혀진 경우, 예를 들면, 메모리 카드(40B)의 존재가 허가 또는 암호화 프로세스를 중지시키는 경우에 기록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배열될 수 있다.
대안으로, 메모리 카드(40B)가 삽입되는 경우, 도 4의 파선으로 나타낸 셋업은 삽입된 메모리 카드로의 기록을 위해 입력 데이터를 모노럴 포맷으로 변환시키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다른 대안에서, 저작권-준수 메모리 카드(40A)가 삽입되는 경우, 단자(9)를 통해 입력된 데이터는 고품질 압축을 경험하는 스테레오 오디오 신호로서 카드에 기록될 수 있고; 저작권-비준수 메모리 카드(40B)가 삽입되는 경우, 데이터는 저품질 압축을 경험하는 모노럴 오디오 신호로서 기록될 수 있다.
특정 실시예들을 상기한 바와 같이 기재하였지만, 이것들이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본 발명은 음악, 음성 및 기타 오디오 데이터를 다루기 위한 레코더 등의 휴대용 단말 장치뿐만 아니라 텍스트 데이터, 동화상 데이터, 정지 화상 데이터 및 컴퓨터-전용 데이터(프로그램, 파일 등)를 다루는 휴대용 단말 장치에 역시 적용된다.
저작권 보호에 관하여 예시적으로, 텍스트 데이터는 2개의 카테고리: 즉, 저작권 보호에 적용되는 공개된 텍스트 데이터, 및 저작권 보호에 적용되지 않는 다이어리 또는 타이핑된 문장 등의 사적인 텍스트 데이터에 속한다.
저작권 보호에 적용되는 텍스트 데이터는 상기한 바의 메모리 카드(40A) 및 레코더(1)로 구성된 것 등의 보안 블록-장착 시스템에 의해 기록 또는 재생될 필요가 있다. 저작권 보호에 적용되지 않는 텍스트 데이터는 상기 메모리 카드(40B) 및 레코더(1)로 구성된 것 등과 같이 보안 블록이 없는 시스템에 의해 기록 또는 재생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류의 텍스트 데이터를 다루는 휴대용 단말 장치로서 실시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마찬가지 방식으로 동화상 데이터, 정지 화상 데이터, 컴퓨터-전용 데이터 등에 적용되기도 한다.
상기 실시예에서, 플래쉬 메모리에 의해 예시되는 비휘발성 메모리는 메모리 카드로서 사용될 것으로 도시되었다. 대안으로 메모리 카드 또는 광학적 메모리 카드로서 작용하도록 배터리로 백업되는 휘발성 메모리가 이용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제 1 처리예에서, ATRAC는 고품질 데이터 압축 방법으로서 채택되고, ADPCM은 저품질 데이터 압축 방법으로서 채택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대안으로, 동일한 압축 방법이 고품질 및 저품질 데이터 압축 모두에 대해 채택될 수 있고, 단, 복수개의 비트 속도중 하나가 증진되거나 도는 저하된 신호 품질을 제공하도록 선택된다.
본 발명의 제 2 처리예에서, 라인 입력으로서 도입된 스테레오 신호는 저작권-비준수 메모리 카드가 삽입되고 라인 입력 모드가 선택된 경우에 모노럴 신호를 변환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대안으로, m-채널 오디오 신호("m"은 적어도 2이상의 정수임)가 라인 입력 단자로 입력되는 경우, 입력 신호는 n-채널 오디오 신호("n"은 "m"보다 크지 않은 정수임)를 제공하도록 솎아질 수 있다.
본 발명은 본 출원인이 제안한 저작권-준수/비준수 메모리 카드인 메모리 스틱(등록 상표)에 뿐만 아니라, 시큐어드 멀티 미디어 카드(독일, 인파네온 테크놀로지스 에이지의 등록 상표), 산 디스크 및 히다찌 리미티드가 제안한 저작권-준수/비준수 메모리 카드; 산 디스크, 도시바 및 마쓰시타가 제안한 SD 카드(독일 인피네온 테크놀로지스 AG의 등록 상표); 및 산 디스크가 제안한 컴팩트 플래쉬 메모리 카드(등록 상표) 등의 다양한 플래쉬 메모리와 함께 사용하는 메모리 카드 기록 및 재생 장치에 적용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저작권-준수 메모리에 의해 로드될 때, 본 발명에 따른 하나의 휴대용 단말 장치는 메모리가 제 1 압축 프로세스를 경험하는 입력 신호를 기록하게 한다. 저작권-비준수 메모리에 의해 로드될 때, 진보적인 휴대용 단말 장치는 메모리가 제 1 압축 프로세스보다 하위 데이터 품질을 보장하는 제 2 압축 프로세스를 경험하는 입력 신호를 기록하게 한다. 즉, 저작권-비준수 메모리가 로드될 때마다. 라인 입력 신호는 감소된 품질 레벨로 기록된다. 이는 부도덕한 제 3자가 저작권을 침해할 수 없게 하는 한편, 사용자들이 사적인 이용을 위해 기록을 가능케 한다. 부적절한 유형의 메모리 카드가 삽입되는 경우, 사용자는 저작권 보호를 위해 하위 데이터 품질 레벨로 메모리에 데이터를 여전히 기록할 수 있게 하는 한편, 필요한 데이터를 기록하는 데 있어서 철저한 기계적 고장 또는 시스템 결함으로 착각하는 불량 작동 등의 혼동 또는 불편을 피하게 된다.
저작권-준수 메모리에 의해 로드될 때, 본 발명에 따른 다른 휴대용 단말 장치는 메모리가 제 1 압축 프로세스에 적용된 입력 디지털 오디오 신호(라인 입력 신호)를 기록하게 하고; 저작권-비준수 메모리를 구비할 때, 진보적인 휴대용 단말 장치는 메모리가 제 1 프로세스보다 하위 데이터 품질을 보장하는 제 2 압축 프로세스를 경험하는 오디오 신호를 기록하게 한다. 휴대용 단말 장치는 메모리에 신호를 기록하기 전에 제 2 압축 프로세스에 마이크로폰 입력 신호를 적용하기도 한다. 그러한 설비는 저작권을 보호하면서 잘못된 메모리 카드의 부주의한 삽입에 의해 유발되는 사용자의 불편을 제거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휴대용 단말 장치는 삽입된 메모리의 유형과 무관하게 저장될 수 있는 마이크로폰 입력을 기록하는 데 유리하게 사용된다.
저작권-준수 메모리에 의해 로드될 때,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휴대용 단말 장치는 메모리가 제 1 압축 프로세스를 경험한 입력 스테레오 신호를 기록하게 하고; 저작권-비준수 메모리를 구비할 때, 진보적인 휴대용 단말 장치는 메모리에 신호를 기록하기 전에 스테레오 신호를 모노럴 신호로 변환시킨다(즉, 라인 입력 신호의 품질을 오염시킨다). 이러한 설비는 저작권을 보호하면서 부적절한 메모리 카드의 부적절한 삽입에 의해 유발되는 사용자의 불편을 제거할 수 있게 한다.
라인 입력 모드가 실시되는 경우, 저작권-준수 메모리에 의해 로드되는 본 발명에 따른 추가의 휴대용 단말 장치는 메모리가 변형되지 않은 입력 디지털 오디오 신호(즉, 라인 입력 스테레오 신호)를 기록하게 한다. 저작권-비준수 메모리를 구비할 때, 진보적인 휴대용 단말 장치는 신호를 메모리에 기록하기 전에 입력 디지털 오디오 신호를 모노럴 신호로 변환시킨다. 마이크로폰 입력 모드가 실시되는 경우, 마이크로폰 입력 신호가 메모리에 기록된다. 이와 같은 설비는 저작권을 보호하면서 부적절한 메모리 카드의 부적절한 삽입에 의해 우발된 사용자의 불편을 제거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이러한 휴대용 단말 장치는 삽입된 메모리의 유형과 무관하게 저장될 수 있는 마이크로폰 입력을 기록하는 데 유리하게 사용되기도 한다.
본 발명의 많은 외관상으로 상이한 실시예들이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은 첨부된 특허 청구의 범위에 제한된 것을 제외하고 그의 특정 실시예들로만 제한되지 않음을 이해해야 한다.

Claims (19)

  1. 제 1 및 제 2 메모리 카드 중 어느 하나가 선택적으로 삽입되는 단말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 1 메모리 카드는 저작권 보호용의 신호 처리 회로를 가지며, 상기 제 2 메모리 카드는 저작권 보호용의 신호 처리 회로를 가지고 있지 않는, 상기 단말 장치는,
    제 1 압축 처리가 수행된 입력 신호에 대해 제 1 압축 처리와 상이한 제 2 압축 처리를 행하는 압축 처리 수단과;
    상기 제 1 압축 처리가 수행된 상기 제 1 압축 신호 또는 상기 압축 처리 수단에 의해 제공된 제 2 압축 신호를 선택하는 선택 수단과;
    상기 단말 장치에 삽입된 메모리 카드가 상기 제 1 메모리 카드인지 또는 상기 제 2 메모리 카드인지를 판단하는 판단 수단과;
    상기 판단 수단에 의해 행해진 판단에 따라 상기 선택 수단을 제어하는 제어 수단; 및
    상기 제어 수단에 의해 선택된 압축 신호를 상기 삽입된 메모리 카드에 기록하는 기록 수단을 구비하는, 단말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압축 처리는 ATRAC로 알려진 적응 변환 음향 부호 처리(adaptive transform acoustic coding process)이고, 상기 제 2 압축 처리는 ADPCM으로 알려진 적응 차동 펄스 부호 변조 처리(adaptive differential pulse code modulation process)인, 단말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압축 처리는 압축 효율면에서 상기 제 2 압축 처리보다 우수한, 단말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메모리 카드 및 상기 제 2 메모리 카드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형상인, 단말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저작권 보호를 받는 기록될 콘텐츠에는 저작권 소유자들에 의해 제공된 음악, 비디오 및 게임들이 포함되는, 단말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된 메모리 카드가 상기 판단 수단에 의해 상기 제 1 메모리 카드로 판단되면,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제 1 압축 신호를 선택하고, 선택된 신호를 상기 삽입된 제 1 메모리 카드에 기록하는, 단말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된 메모리 카드가 상기 판단 수단에 의해 상기 제 2 메모리 카드로 판단되면,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제 2 압축 신호를 선택하고, 선택된 신호를 상기 삽입된 제 2 메모리 카드에 기록하는, 단말 장치.
  8. 제 1 및 제 2 메모리 카드 중 어느 하나가 선택적으로 삽입되는 단말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 1 메모리 카드는 저작권 보호용의 신호 처리 회로를 가지며, 상기 제 2 메모리 카드는 저작권 보호용의 신호 처리 회로를 가지고 있지 않는, 상기 단말 장치는,
    마이크로폰에 의해 픽업된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가 입력되는 제 1 입력 단자와;
    제 1 압축 처리가 수행된 디지털 오디오 압축 신호가 입력되는 제 2 입력 단자와;
    상기 제 2 입력 단자를 통해 입력된 디지털 오디오 압축 신호를 압축 해제하는 압축 해제 수단과;
    상기 압축 해제 수단에서 압축 해제된 디지털 오디오 신호를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로 변환하는 D/A 변환 수단과;
    상기 마이크로폰에 의해 픽업되어, 상기 제 1 입력 단자를 통해 입력된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 또는 상기 D/A 변환 수단에서 변환된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를 선택하는 제 1 스위칭 수단과;
    상기 제 1 스위칭 수단에서 선택된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를 디지털 오디오 신호로 변환하는 A/D 변환 수단과;
    상기 A/D 변환 수단에서 변환된 디지털 오디오 신호에 상기 제 1 압축 처리와 상이한 제 2 압축 처리를 행하는 압축 처리 수단과;
    상기 제 1 압축 처리가 수행되어, 상기 제 2 입력 단자를 통해 입력된 디지털 오디오 압축 신호, 또는 상기 제 2 압축 처리가 수행되어, 상기 압축 처리 수단에서 출력된 디지털 오디오 압축 신호를 선택하는 제 2 스위칭 수단과;
    상기 단말 장치에 삽입된 메모리 카드가 상기 제 1 메모리 카드인지 또는 상기 제 2 메모리 카드인지를 판단하는 판단 수단과;
    상기 판단 수단에 의해 행해진 판단에 따라 상기 제 1 및 상기 제 2 스위칭 수단을 제어하는 제어 수단; 및
    상기 제 2 스위칭 수단에 의해 선택된 디지털 오디오 압축 신호를 상기 삽입된 메모리 카드에 기록하는 기록 수단을 구비하는, 단말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폰으로부터 입력된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가 상기 삽입된 메모리 카드에 기록되는 마이크로폰 입력 모드, 또는 상기 제 1 압축 처리가 수행되고 상기 제 2 입력 단자를 통해 입력된 디지털 오디오 압축 신호가 상기 삽입된 메모리 카드에 기록되는 라인 입력 모드를 선택적으로 설정하는 모드 동작 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모드 동작 수단이 상기 마이크로폰 입력 모드를 선택하면,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제 1 스위칭 수단이 상기 마이크로폰에 의해 픽업된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를 선택하여 상기 제 1 입력 단자를 통해 입력되게 하며, 상기 제 2 스위칭 수단이 상기 제 2 압축 처리가 수행된 디지털 오디오 압축 신호를 선택하여 상기 압축 처리 수단으로부터 출력되게 하는, 단말 장치.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폰으로부터 입력된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가 상기 삽입된 메모리 카드에 기록되는 마이크로폰 입력 모드, 또는 상기 제 1 압축 처리가 수행되고 상기 제 2 입력 단자를 통해 입력되는 디지털 오디오 압축 신호가 상기 삽입된 메모리 카드에 기록되는 라인 입력 모드를 선택적으로 설정하는 모드 동작 수단을 더 구비하며,
    상기 모드 동작 수단이 상기 라인 입력 모드를 선택하고 상기 판단 수단이 상기 삽입된 메모리 카드를 상기 제 1 메모리 카드로 판단하면,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제 1 압축 처리가 수행되고 상기 제 2 입력 단자를 통해 입력되는 디지털 오디오 압축 신호가 선택되게 하는, 단말 장치.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폰으로부터 입력된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가 상기 삽입된 메모리 카드에 기록되는 마이크로폰 입력 모드, 또는 상기 제 1 압축 처리가 수행되고 상기 제 2 입력 단자를 통해 입력되는 디지털 오디오 압축 신호가 상기 삽입된 메모리 카드에 기록되는 라인 입력 모드를 선택적으로 설정하는 모드 동작 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모드 동작 수단이 상기 라인 입력 모드를 선택하고 상기 판단 수단이 상기 삽입된 메모리 카드를 상기 제 2 메모리 카드로 판단하면,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제 2 스위칭 수단이 상기 제 2 압축 처리가 수행되고 상기 압축 처리 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디지털 오디오 압축 신호를 선택하게 하는, 단말 장치.
  12. 제 1 및 제 2 메모리 카드 중 어느 하나가 선택적으로 삽입되는 단말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 1 메모리 카드는 저작권 보호용의 신호 처리 회로를 가지며, 상기 제 2 메모리 카드는 저작권 보호용의 신호 처리 회로를 가지고 있지 않는, 상기 단말 장치는,
    m-채널 오디오 신호(m은 적어도 2이상의 정수임)를 n-채널 오디오 신호(n은 m보다 크지 않은 양의 정수임)로 변환하는 변환 수단과;
    상기 변환 수단으로부터 변환된 n-채널 오디오 신호 또는 입력된 m-채널 오디오 신호를 선택하는 선택 수단과;
    상기 단말 장치로 삽입된 메모리 카드가 상기 제 1 메모리 카드 또는 상기 제 2 메모리 카드인지를 판단하는 판단 수단과;
    상기 판단 수단에 의해 행해진 판단에 따라 상기 선택 수단을 제어하는 제어 수단; 및
    상기 제어 수단에 의해 선택된 오디오 신호를 상기 삽입된 메모리 카드에 기록하는 기록 수단을 구비하는, 단말 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메모리 카드 및 상기 제 2 메모리 카드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형상인, 단말 장치.
  14. 제 12 항에 있어서, 저작권 보호를 받는 기록될 콘텐츠에는 저작권 소유자들에 의해 제공되는 음악, 비디오 및 게임들이 포함되는, 단말 장치.
  15.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된 메모리 카드가 상기 판단 수단에 의해 상기 제 1 메모리 카드로 판단되면,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m-채널 오디오 신호를 선택하고 선택된 신호를 상기 삽입된 제 1 메모리 카드에 기록하는, 단말 장치.
  16.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된 메모리 카드가 상기 판단 수단에 의해 상기 제 2 메모리 카드로 판단되면,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n-채널 오디오 신호를 선택하고, 선택된 신호를 상기 삽입된 제 2 메모리 카드에 기록하는, 단말 장치.
  17. 제 1 및 제 2 메모리 카드중 어느 하나가 선택적으로 삽입되는 단말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 1 메모리 카드는 저작권 보호용의 신호 처리 회로를 가지며, 상기 제 2 메모리 카드는 저작권 보호용의 신호 처리 회로를 가지고 있지 않는, 상기 단말 장치는,
    마이크로폰에 의해 픽업된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를 입력하는 마이크로폰 입력 수단과;
    라인 입력된 m-채널 디지털 오디오 신호(m은 적어도 2이상의 정수임)를 n-채널 디지털 오디오 신호(n은 m보다 크지 않은 양의 정수임)로 변환하는 변환 수단과;
    상기 변환 수단으로부터 변환된 n-채널 디지털 오디오 신호 또는 라인 입력된 m-채널 디지털 오디오 신호를 선택하는 선택 수단과;
    상기 라인 입력된 m-채널 디지털 오디오 신호를 기록할 디지털 오디오 신호 기록 모드, 또는 상기 마이크로폰 입력 수단에 의해 입력된 상기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를 기록할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 기록 모드를 설정하는 동작 수단과;
    상기 단말 장치로 삽입된 메모리 카드가 상기 제 1 메모리 카드인지 또는 상기 제 2 메모리 카드인지를 판단하는 판단 수단과;
    상기 판단 수단에 의해 행해진 판단과 상기 동작 수단에 의해 설정된 모드에 따라 상기 선택 수단을 제어하는 제어 수단; 및
    상기 제어 수단에 의해 선택된 오디오 신호를 상기 삽입된 메모리 카드에 기록하는 기록 수단을 구비하는, 단말 장치.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 수단이 상기 라인 입력된 m-채널 디지털 오디오 신호를 기록할 디지털 오디오 신호 기록 모드를 선택하고 상기 판단 수단이 상기 삽입된 메모리 카드를 상기 제 1 메모리 카드로 판단하면,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라인 입력된 m-채널 디지털 오디오 신호가 선택되게 하는, 단말 장치.
  19.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 수단이 상기 라인 입력된 m-채널 디지털 오디오 신호를 기록할 디지털 오디오 신호 기록 모드를 선택하고 상기 판단 수단이 상기 삽입된 메모리 카드를 상기 제 2 메모리 카드로 판단하면,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변환 수단으로부터 출력된 상기 n-채널 디지털 오디오 신호가 선택되게 하는, 단말 장치.
KR1020000048893A 1999-08-24 2000-08-23 단말 장치 KR10066445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3679799A JP4300644B2 (ja) 1999-08-24 1999-08-24 携帯端末
JP99-236797 1999-08-2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50171A KR20010050171A (ko) 2001-06-15
KR100664453B1 true KR100664453B1 (ko) 2007-01-04

Family

ID=170059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48893A KR100664453B1 (ko) 1999-08-24 2000-08-23 단말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6983281B1 (ko)
JP (1) JP4300644B2 (ko)
KR (1) KR100664453B1 (ko)
CN (1) CN1229805C (ko)
DE (1) DE10040808B4 (ko)
GB (1) GB235760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934923B2 (ja) * 2001-08-09 2012-05-23 ソニー株式会社 情報記録装置、情報再生装置、および情報記録方法、情報再生方法、並びに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US20030046565A1 (en) * 2001-08-31 2003-03-06 Toshiba Tec Kabushiki Kaisha Method for encrypting and decrypting contents data distributed through network, and system and user terminal using that method
CA2464102C (en) * 2001-10-22 2021-04-13 Apple Computer, Inc. Intelligent synchronization for a media player
US8639091B2 (en) * 2002-06-13 2014-01-28 Thomson Licensing Advertisement bidding for data recording devices
TWI312468B (en) * 2003-10-31 2009-07-21 Ind Tech Res Inst Method for data transmitting between an input-out card, and add-on memory card and a host system
US8639946B2 (en) * 2005-06-24 2014-01-28 Sigmatel, Inc. System and method of using a protected non-volatile memory
TW200930126A (en) * 2007-12-25 2009-07-01 Princeton Technology Corp Audio signal hybrid controlling device
US11037042B2 (en) * 2016-12-29 2021-06-15 Samsung Electronics Co., Ltd.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cards and communication systems including the same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25069A (ja) * 1992-02-17 1993-09-03 Fujitsu Ltd 情報の読出規制方法
JPH07231441A (ja) * 1994-02-17 1995-08-29 Hitachi Ltd 情報圧縮伝送装置
JPH07249262A (ja) * 1994-03-10 1995-09-2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記録再生装置
JPH07296508A (ja) * 1994-04-28 1995-11-10 Toshiba Corp メディア情報配送システム
JPH0865652A (ja) * 1994-08-26 1996-03-08 Hitachi Ltd 信号処理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情報記録再生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07231A (en) * 1987-05-06 1990-03-06 Fuji Photo Film Co., Ltd. Memory cartridge-connectable electronic device such as electronic still video camera
US5717818A (en) * 1992-08-18 1998-02-10 Hitachi, Ltd. Audio signal storing apparatus having a function for converting speech speed
JP3186315B2 (ja) * 1993-02-27 2001-07-11 ソニー株式会社 信号圧縮装置、信号伸張装置、信号送信装置、信号受信装置及び信号送受信装置
JPH0962584A (ja) * 1995-08-24 1997-03-07 Mitsubishi Electric Corp データ処理装置
DE69702709T2 (de) * 1996-04-01 2001-04-05 Macrovision Corp Verfahren zur steuerung von kopierschutzmassnahmen in digitalen fernsehnetzwerken
US6160953A (en) * 1997-04-21 2000-12-12 Victor Company Of Japan, Ltd. DVD-compatible optical recording disk conveying audio signals encoded both as PCM data and as single bit stream data generated by sigma-delta modulation, and encoder apparatus and decoder apparatus for same
DE19742369A1 (de) * 1997-09-25 1999-04-01 Siemens Ag Digitales Audio-Aufnahme- und Wiedergabegerät
US5990955A (en) * 1997-10-03 1999-11-23 Innovacom Inc. Dual encoding/compression method and system for picture quality/data density enhancement
DE19757652B4 (de) * 1997-12-15 2005-03-17 Francotyp-Postalia Ag & Co. Kg Frankiermaschine mit einer Chipkarten-Schreib-/Leseeinheit
JP4320817B2 (ja) * 1998-02-09 2009-08-26 ソニー株式会社 記録再生装置、記録再生システム、記録再生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6438235B2 (en) * 1998-08-05 2002-08-20 Hewlett-Packard Company Media content protection utilizing public key cryptography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25069A (ja) * 1992-02-17 1993-09-03 Fujitsu Ltd 情報の読出規制方法
JPH07231441A (ja) * 1994-02-17 1995-08-29 Hitachi Ltd 情報圧縮伝送装置
JPH07249262A (ja) * 1994-03-10 1995-09-2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記録再生装置
JPH07296508A (ja) * 1994-04-28 1995-11-10 Toshiba Corp メディア情報配送システム
JPH0865652A (ja) * 1994-08-26 1996-03-08 Hitachi Ltd 信号処理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情報記録再生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0040808A1 (de) 2001-03-01
GB2357606B (en) 2004-01-21
US6983281B1 (en) 2006-01-03
JP2001060171A (ja) 2001-03-06
JP4300644B2 (ja) 2009-07-22
CN1285593A (zh) 2001-02-28
KR20010050171A (ko) 2001-06-15
GB0020328D0 (en) 2000-10-04
CN1229805C (zh) 2005-11-30
DE10040808B4 (de) 2013-10-17
GB2357606A (en) 2001-06-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30903B1 (ko) 향상된 호환성을 갖춘 보안형 메모리 장치
EP1043729B1 (en) Memory and data processing units, and data processing methods
KR100856617B1 (ko) 데이터 전송 시스템, 데이터 전송 장치, 데이터 기록장치, 데이터 전송 방법, 및 기록 매체
KR20030060981A (ko) 비휘발성 메모리 카드, 콤팩트 디스크 또는 다른매체로부터 기록된 오디오, 비디오 또는 다른 컨텐츠를재생하기 위한 시스템, 방법 및, 장치
KR20000029105A (ko) 디지털 저작물인 콘텐트를 처리하는 저작물 보호시스템
WO2002007161A1 (fr) Procede et dispositif servant a enregistrer et/ou reproduire des donnees et support d'enregistrement
WO2001095206A1 (en) Recording medium, license management apparatus, and recording and playback apparatus
MXPA00012916A (es) Tarjeta de memoria semiconductora y aparato lector de datos.
MXPA02003640A (es) Metodo y aparato para controlar la distribucion y el uso de trabajos digitales.
EP1179240A1 (en) Audio data playback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with editing apparatus and recording medium
JPH11177924A (ja) 信号再生装置、信号記録装置、信号記録システム、信号再生方法、並びに、信号記録方法
US6732275B1 (en) Securing encrypted files in a PC and PC peripheral environment
KR100664453B1 (ko) 단말 장치
JP4352523B2 (ja) 携帯端末
JP3882460B2 (ja) メモリ装置、データ処理装置、データ処理システムおよびデータ処理方法
JP3882459B2 (ja) メモリ装置、データ処理装置、データ処理システムおよびデータ処理方法
US7467305B2 (en) Method of and system for recording and reproducing information data
JP4300643B2 (ja) 著作権対応携帯端末、著作権非対応携帯端末
JP2001060172A (ja) 携帯端末
JP2005080218A (ja) 記録再生システム及び再生システム
JP2006229277A (ja) 記録再生システム
GB2396231A (en) Inhibiting recording/reproduction of copyright contents to non-copyright memory card.
MXPA99009392A (en) Production protection system to take control of the contents that are a digi production
WO2006098136A1 (ja) 情報記録再生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1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2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19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