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64355B1 - 탄성판 착탈지원장치 - Google Patents

탄성판 착탈지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64355B1
KR100664355B1 KR1020027009813A KR20027009813A KR100664355B1 KR 100664355 B1 KR100664355 B1 KR 100664355B1 KR 1020027009813 A KR1020027009813 A KR 1020027009813A KR 20027009813 A KR20027009813 A KR 20027009813A KR 100664355 B1 KR100664355 B1 KR 1006643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elastic plate
printing roller
drum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70098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07407A (ko
Inventor
나리히토 마사키
타카히로 아카이
Original Assignee
니혼샤신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0038754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1225447A/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1022514A external-priority patent/JP3448570B2/ja
Application filed by 니혼샤신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니혼샤신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300074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074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643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643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FPRINTING MACHINES OR PRESSES
    • B41F27/00Devices for attaching printing elements or formes to supports
    • B41F27/12Devices for attaching printing elements or formes to supports for attaching flexible printing form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FPRINTING MACHINES OR PRESSES
    • B41F27/00Devices for attaching printing elements or formes to supports
    • B41F27/12Devices for attaching printing elements or formes to supports for attaching flexible printing formes
    • B41F27/1206Feeding to or removing from the forme cylinder

Landscapes

  • Supply, Installation And Extraction Of Printed Sheets Or Plates (AREA)

Abstract

탄성판(1)의 제2판홀더(3)가 인쇄롤러(14)의 판드럼에 부착된 상태에서 제1판홀더(2)를 판드럼에 감아 장착거나 떼어낼 때 사용하여, 판드럼에 탄성판(1)을 감을 때는 탄성판(1)에 걸리는 장력이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하면서 탄성판 이동장치(11, 111, 800, 810, 900, 910, 1000, 1010)에 의해 인쇄롤러(14)가 탄성판이 감기는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과 대체로 동기해서 제1판홀더(2)를 보유지지하는 지지부(7, 107)를 판드럼으로 접근시켜 이 판드럼에 탄성판(1)이 감겨지도록 지원하는 한편, 판드럼에서 탄성판(1)을 벗길 때는 상기 탄성판 이동장치로 인쇄롤러(14)가 탄성판이 벗겨지는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과 대략 동기해서 지지부를 판드럼에서 떨어지게 하여 판드럼에서 탄성판이 떼어내어지게 지원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Description

탄성판 착탈지원장치 {Elastic plate winding and removing support device}
본 발명은 인쇄기에서 인력과 힘을 덜 들이고도 인쇄롤러의 판드럼(plate drum)에 중량이 크고 면적도 큰 대형의 탄성판(彈性版)을 감아 장착하고 떼어낼 수 있도록 하는 탄성판 착탈지원장치(着脫支援裝置)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도 액정배향막과 같은 전자부품에 쓰이는 고분자재료 또는 무기재료를 박막(薄膜) 또는 후막(厚膜)형태로 패턴상으로 형성시키는 장치로서, 예컨대 도 19에 도시된 것과 같이, 잉크셀을 가진 요판롤(16)과, 잉크셀 내에 잉크를 충전하는 잉크공급장치(20), 상기 요판롤러(16)의 잉크가 전이(轉移)되는 탄성판(1)이 판드럼에 감겨 부착된 인쇄롤러(14), 이 인쇄롤러(14)의 잉크가 전이되는 피인쇄체를 고정하는 인쇄테이블 및, 상기 요판롤(16)의 잉크셀 내에 잉크가 확실히 충전되도록 하기 위한 닥터블레이드(doctor blade; 19) 등으로 이루어진 막형성장치(膜形成裝置)가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막성형장치에서는, 탄성판(1)의 양쪽 끝에 제1판홀더(2) 및 제2판홀더(3)가 부착되고, 인쇄롤러(14)의 판드럼에는 상기 제1 및 제2판홀더(2, 3)의 구멍을 걸어 고정시키도록 2곳에 제1척부(150) 및 제2척부(151)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근래의 전자부품 대형화에 수반해서 상기 탄성판(1)도 필연적으로 대형화가 진행되어, 예컨대 탄성판의 크기가 감기는 방향이 약 100cm, 폭방향이 약 80cm이고, 총 중량이 약 3.4kg 이나 되는 것도 있게 되었다. 이와 같이 무거운 탄성판(1)을 인쇄롤러(14)의 판드럼에 감아 장착하거나 떼어낼 때는, 탄성판(1)의 제1판홀더(2)를 한 사람이 들어올리고 제2판홀더(3)는 다른 사람이 잡고서, 인쇄롤러(14)의 판드럼에 형성된 제2척부(15)에 걸어 고정함과 더불어 인쇄롤러(14)의 회전을 조작해야 할 필요가 있게 된다(이하에서는 이와 같은 불편을 생기게 하는 탄성판을 「대형탄성판」이라 부르기로 한다).
그 때문에, 상기와 같은 종래의 막형성장치에서 상기 대형탄성판(1)을 인쇄롤러(14)의 판드럼에다 감아 장착하는 경우에는, 적어도 2인 이상의 작업자(이하 제1작업자 및 제2작업자라 함)가 작업을 하도록 되어 있는 바, 이렇게 2인 이상의 작업자가 종래의 대형탄성판(1)을 감아 장착하거나 떼어내는 작업은 다음과 같았다.
먼저, 제1작업자가 막형성장치의 기대(機臺; 10) 위에 올라가 대형탄성판(1)에 부착된 제1판홀더(2)를 잡고 서서 제2판홀더(3)와 대형탄성판(1)을 중력으로 밑으로 늘어뜨려지도록 한다. 이렇게 밑으로 늘어뜨려진 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제1작업자가 제2판홀더(3)를 인쇄롤러(14)의 판드럼에 형성된 제2척부(15)에 가까워지도록 한 다음, 제2작업자가 제2판홀더(3)를 인쇄롤러(14)의 판드럼에 형성된 제2척 부(15)에 손으로 잡고서 걸어 고정시킨다. 이어, 고정이 완료된 것을 확인한 제2작업자는 모터(14M)를 구동해서 인쇄롤러(14)를 저속으로 회전시켜 대형탄성판(1)을 인쇄롤러(14)의 판드럼에다 서서히 감아 장착시킨다. 이때, 제1작업자는 대형탄성판(1)이 인쇄롤러(14)의 판드럼에 감기고 있는 도중 제1판홀더(2)와 대형탄성판(1)을 들어올린 채 대형탄성판(1)에 어느 정도의 일정한 장력이 유지되도록 팔에 힘을 넣어, 제1판홀더(2)가 인쇄롤러(14)의 판드럼에 형성된 제1척부(150)에 가까워질 때까지 허리를 앞으로 구부려 제1판홀더(2)와 대형탄성판(1)을 들어올린 상태를 유지하고 있어야 한다.
다음, 인쇄롤러(14)의 회전이 진행되어 제1판홀더(2)가 인쇄롤러(14)의 판드럼에 형성된 제1척부(150)에 가까워지면, 제2작업자는 인쇄롤러(14)의 회전을 멈추게 하고서 제1판홀더(2)를 인쇄롤러(14)의 판드럼에 형성된 제1척부(150)에다 손으로 잡고서 걸어 고정시킨다. 이렇게 하여 고정이 완료된 것을 확인한 제1작업자가 제1판홀더(2)를 놓으면 장착이 끝나게 된다.
또, 대형탄성판(1)을 인쇄롤러(14)의 판드럼에서 떼어내는 작업을 하는 경우에도 역시 적어도 2인 이상의 작업자가 필요하게 된다.
즉, 먼저 제1작업자가 막형성장치의 기대(10) 위에 올라 대형탄성판(1)에 부착된 제1판홀더(2)를 허리를 앞으로 굽혀 붙잡고, 제2작업자는 제1판홀더(2)를 인쇄롤러(14)의 판드럼에 형성된 제2척부(15)로부터 벗겨낸다. 다음, 벗겨진 것을 확인한 제2작업자는 인쇄롤러(14)를 상기 장착할 때와는 반대되는 방향으로 모터(14M)를 저속으로 회전시킨다. 이때, 제1작업자는 대형탄성판(1)이 중력으로 늘어뜨려져 막형성장치에 접촉하지 않도록 제1판홀더(2)를 잡고서 들어올린 채 앞으로 허리를 구부려, 대형탄성판(1) 전체가 인쇄롤러(14)의 판드럼에서 떨어질 때까지 제1판홀더(2)와 대형탄성판(1)을 계속 들고 있어야 한다. 다음, 대형탄성판(1) 전체가 인쇄롤러(14)의 판드럼에서 떨어지면, 제2작업자가 인쇄롤러(14)의 회전을 정지시키고 제2판홀더(3)를 인쇄롤러(14)의 판드럼에 형성된 제2척부(15)에서 손을 떼게 된다. 이렇게 되면 제1작업자는 대형탄성판(1)과 그 양쪽 끝의 판홀더(2, 3) 모두를 자기 혼자의 힘만으로 들고 있는 상태로 된다. 이와 같이 해서 떼어내는 것이 끝나게 된다.
그런데 이와 같은 종래의 기술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1) 대형탄성판(1)의 제1판홀더(2)를 잡고 막형성장치 위로 들어올리는 사람과, 제2판홀더(3)를 인쇄롤러(14)의 제2척부(15)에 걸어 고정시키는 것과 같은 작업을 하는 사람이 별도로 필요하기 때문에 품이 많이 들고 효율도 대단히 나쁘게 된다.
(2) 대형탄성판(1)이 완전히 감겨 장착될 때까지 대형탄성판(1)이 일렁이지 않도록 대형탄성판(1)에 일정한 장력으로 위로 당겨져야 할 필요가 있으나, 대형탄성판(1)과 제2탄성판(2)은 무게가 무겁기 때문에 대형탄성판(1)의 제1판홀더(2)를 잡고 막형성장치 위로 들어올리는데 사람이 갖는 중량적인 부담이 너무 커지게 된다. 또, 대형탄성판(1)은 면적이 넓고, 제1판홀더(2)도 길이가 길어, 대형탄성판(1)을 들어올리는 사람으로서는 팔을 넓게 벌려 제1판홀더(2)를 잡고 있어야 하므로, 이를 들고 있는 작업자에게는 대형탄성판(1)과 제1판홀더(2)의 중량 감이 한층 더 커지게 된다.
(a) 그 때문에, 소정의 작업지침서에 따라 신중하게 작업을 하지 않게 되면, 대형탄성판(1)을 인쇄롤러(14) 위에다 떨어뜨려 대형탄성판(1)과 막형성장치를 모두 파손할 위험이 있게 된다.
(b) 또, 제1판홀더(2)가 쉽게 흔들리기 쉬워 항상 제1판홀더(2)가 수평상태를 유지하도록 하기가 어려워, 인쇄롤러(14)의 판드럼에 대형탄성판(1)을 감아 장착시킬 때 대형탄성판(1)에 걸리는 장력이 전면에 균일하고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한 상태로, 대형탄성판(1)을 인쇄롤러(14)의 회전과 대체로 동기(同期)하여 하강시키기가 어렵게 된다. 따라서, 판드럼에 감겨 장착되는 대형탄성판(1)이 일렁거리기 쉽게 된다.
(3) 대형탄성판(1)이 인쇄롤러(14)의 판드럼(14)에 왼전히 감겨 장착될 때까지 작업자가 제1판홀더(2)를 시종 잡고 있어야 하기 때문에, 먼지나 기름, 땀이 묻은 손으로 대형탄성판(1)을 장시간 잡고 있으면, 먼지나 기름 같은 것이 대형탄성판(1)에 묻어 대형탄성판(1)이 더렵혀지기 쉽게 된다.
(4) 제1판홀더(2)를 잡고 제2판홀더(3)를 늘어뜨리는 제1작업자가 제2판홀더(3)를 늘어뜨린 채 대형탄성판(1)을 평행이동시켜 제2판홀더(3)를 제2척부(15)에 접근시키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중량이 큰 대형탄성판(1)과 제1판홀더(2) 및 제2판홀더(3) 전부의 중량을 부담하고서 평행이동시켜야 한다. 또, 인쇄롤러(14) 바로 위에서 제1판홀더(2)를 잡고 버텨야 하기 때문에 인쇄롤러(14)가 방해가 되어 안정되게 서 있을 수가 없게 된다. 이와 같이, 중량 물의 이동이나 발을 디디기가 어려워 제2판홀더(3)를 제2척부(15)의 정확한 위치로 이동시키기가 어렵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발명한 것으로, 인력과 힘을 덜 들이고도 인쇄롤러의 판드럼에 중량이 크고 면적도 큰 대형의 탄성판을 감아 장착하고 떼어낼 수 있도록 하는 탄성판 착탈지원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상과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탄성판 착탈지원장치는, 탄성판 한쪽 끝의 제1판홀더와 다른쪽 끝의 제2판홀더 중 이 제2판홀더가 인쇄롤러의 판드럼에 부착된 상태에서, 상기 탄성판의 제1판홀더를 상기 인쇄롤러의 판드럼에 부착하거나 떼어낼 때 쓰이는 탄성판 착탈지원장치에 있어서, 상기 탄성판의 상기 제1판홀더를 보유지지하는 지지부와, 상기 탄성판에 걸리는 장력이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하면서 상기 인쇄롤러가 탄성판이 권취방향으로 회전하는 것과 대략 동기해서 상기 지지부를 상기 인쇄롤러의 판드럼에 접근시키는 한편, 상기 인쇄롤러가 탄성판이 풀어지는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과 대략 동기해서 상기 지지부를 상기 인쇄롤러에서 떨어지도록 하는 탄성판 이동장치를 구비하고서, 상기 인쇄롤러의 판드럼에 상기 탄성판이 감기도록 할 때는, 상기 탄성판에 걸리는 장력이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하면서 상기 인쇄롤러의 탄성판이 감기는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과 대략 동기해서 상기 지지부를 상기 탄성판 이동장치에 의해 상기 인쇄롤러의 판드럼에 접근하도록 하여 이 인쇄롤러의 판드럼에 상기 탄성판이 감기도록 지원하는 한편, 상기 인쇄롤러의 판드럼에서 탄성판을 떼어낼 때는, 상기 인쇄롤러의 탄성판이 벗겨지는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과 대략 동기해서 상기 지지부를 상기 탄성판 이동장치에 의해 상기 인쇄롤러의 판드럼에서 떨어지도록 하여 상기 인쇄롤러의 판드럼에서 탄성판이 벗겨질 수 있게 지원하도록 되어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는, 상기 지지부에 옆으로 길게 연장되어 고정되고서 상하로 이동할 수 있도록 된 아암부가 갖춰지는 한편, 상기 탄성판 이동장치가 상하방향으로 배치된 레일을 따라 상기 아암부를 상하로 평행하게 이동시키는 구동부로 이루어져, 상기 인쇄롤러의 판드럼에 탄성판이 감겨 장착될 때는, 상기 구동부에 의해 상기 탄성판에 걸리는 장력이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하면서 상기 인쇄롤러가 탄성판이 감기는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과 대략 동기해서 상기 아암부를 하강시켜 상기 지지부가 상기 인쇄롤러의 상기 판드럼에 접근하도록 하여 상기 인쇄롤러의 상기 판드럼에 상기 탄성판이 감겨질 수 있게 지원하는 한편, 상기 인쇄롤러의 판드럼에서 탄성판을 벗길 때는, 상기 구동부에 의해 상기 인쇄롤러의 탄성판이 벗겨지는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과 대략 동기해서 상기 아암부를 상승시켜 상기 지지부를 인쇄롤러의 상기 판드럼에서 떨어지도록 하여 상기 인쇄롤러의 판드럼으로부터 탄성판이 벗겨질 수 있게 지원하도록 되어 있다.
또, 상하방향으로 배치된 상기 구동부의 레일에 상기 아암부가 상하방향으로 평행이동을 할 때 직진동작을 하도록 안내하는 직선안내부재가 더 갖춰지도록 되어 있다.
한편 상기 탄성체 이동장치에는, 에어실린더와, 상기 인쇄롤러를 회전시키는 모터의 회전수를 기초로 계산하게 되는 연산부, 이 연산부에서 계산된 체적의 공기를 상기 에어실린더 내의 가압실로부터 서서히 배기할 수 있도록 흡배기동작을 제어하게 되는 에어실린더 구동제어장치를 구비하여,
상기 연산부에서 계산된 체적의 공기가 상기 에어실린더 구동제어장치에 의해 상기 에어실린더 내의 가압실로부터 서서히 배기될 수 있도록 흡배기동작이 제어됨으로써, 상기 탄성판에 걸리는 장력이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하면서 상기 인쇄롤러가 탄성판이 감기는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과 대략 동기해서 상기 아암부를 하강시켜 상기 지지부가 상기 인쇄롤러의 판드럼에 접근하도록 하여, 상기 인쇄롤러의 판드럼에 탄성판이 감겨지도록 지원하는 한편, 상기 인쇄롤러의 판드럼에서 탄성판을 벗길 때는, 상기 구동부에서 계산된 체적의 공기가 상기 에어실린더 구동제어장치에 의해 상기 에어실린더 내의 가압실로 서서히 압입될 수 있게 흡배기동작을 제어함으로써, 상기 인쇄롤러의 탄성판이 벗겨지는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과 대략 동기해서 상기 아암부를 상승시켜 상기 지지부가 인쇄롤러의 상기 판드럼으로부터 떨어지도록 하여, 상기 인쇄롤러의 판드럼에서 탄성판이 벗겨질 수 있게 지원하도록 되어 있다.
또 다른 실시예의 탄성판 착탈지원장치는, 상기 인쇄롤러의 위쪽에 베이스판에 부착된 한쪽 끝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한편 다른쪽 끝에는 상기 지지부가 자유로이 회전할 수 있게 부착된 회전아암부가 갖춰지고서, 상기 탄성판 이동장치가 이 회전아암부의 회전을 제어하는 구동부를 이루어, 상기 인쇄롤러의 판드럼에 탄성판 을 감을 때는, 상기 탄성판에 걸리는 장력이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하면서 상기 구동부에 의해 상기 인쇄롤러가 탄성판이 감기는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과 대략 동기해서 상기 회전아암부의 다른쪽 끝이 회전하면서 하강하도록 하여 상기 인쇄롤러의 판드럼에 상기 지지부가 접근하도록 해서 상기 인쇄롤러의 상기 판드럼에 탄성판이 감겨지도록 지원하는 한편, 상기 인쇄롤러의 판드럼에서 탄성판을 벗길 때는, 상기 구동부에 의해 상기 인쇄롤러의 상기 탄성판이 벗겨지는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과 대략 동기해서 상기 회전아암부의 다른쪽 끝이 회전하면서 상승하도록 하여 상기 지지부가 인쇄롤러의 판드럼에서 떨어지도록 함으로써, 상기 인쇄롤러의 판드럼에서 탄성판이 벗겨질 수 있게 지원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제1판홀더의 중앙부 한곳에 배치되어 상기 지지부에 의해 걸려지는 지원장치 보유지지용 구멍을 갖고서, 상기 탄성판의 상기 지원장치 지지용 구멍을 상기 지지부에 걸려지게 해서 상기 탄성판이 진자모양으로 상기 지지부에 늘어뜨려지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판에서 뻗은 로드의 앞끝에 설치되어 상기 회전아암부가 회전하는 도중 탄성판이 상기 인쇄롤러의 판드럼에 감기는 부분에서 상기 판드럼의 접선방향을 따라서 상기 탄성판이 경사지게 되도록 하는 가동회전롤러가 더 갖춰지도록 되어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서는, 상기 탄성판 이동장치가, 에어실린더와, 상기 인쇄롤러를 회전시키는 모터의 회전수를 기초로 해서 계산하게 되는 연산부, 이 연산부에서 계산된 체적의 공기를 상기 에어실린더 내의 가압실로부터 서서히 배기할 수 있 도록 흡배기동작을 제어하는 에어실린더 구동제어장치를 구비하여, 상기 연산부에서 계산된 체적의 공기가 상기 에어실린더 구동제어장치에 의해 상기 에어실린더 내의 가압실에서 서서히 배기될 수 있도록 흡배기동작이 제어됨으로써, 상기 탄성판에 걸리는 장력이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하면서 상기 인쇄롤러가 탄성판이 감기는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과 대략 동기해서 상기 회전아암부의 다른쪽 끝을 회전하면서 하강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지지부가 상기 인쇄롤러의 판드럼에 접근하도록 하여, 상기 인쇄롤러의 판드럼에 탄성판을 감겨지도록 지원하는 한편, 상기 인쇄롤러의 판드럼에서 탄성판을 벗길 때는, 상기 연산부에서 계산된 체적의 공기가 상기 에어실린더 구동제어장치에 의해 상기 에어실린더 내의 가압실로 서서히 압입될 수 있게 흡배기동작이 제어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인쇄롤러의 탄성판이 벗겨지는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과 대략 동기해서 상기 아암부의 다른쪽 끝이 회전하면서 상승하도록 하여 상기 지지부가 상기 인쇄롤러의 판드럼에서 떨어지도록 해서, 상기 인쇄롤러의 판드럼에서 탄성판이 벗겨지게 지원하도록 되어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서는, 상기 탄성판 이동장치가, 상기 회전아암의 다른쪽 끝에 앞끝이 연결된 압출로드를 돌출시켜 상기 회전아암부의 다른쪽 끝을 위쪽에 위치하도록 항상 밀어붙이는 에어실린더로 이루어져, 상기 인쇄롤러의 상기 판드럼에 상기 탄성판을 감을 때는, 상기 인쇄롤러의 상기 탄성판감김방향으로의 회전력이 상기 탄성판을 매개로 전해짐으로써 상기 회전아암부가 회전하게 됨에 따라, 상기 실린더 내로 상기 압출로드가 압입됨으로써 상기 탄성판에 걸리는 장력이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하면서 상기 인쇄롤러가 상기 탄성판이 감기는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과 대략 동기해서 상기 회전아암부의 다른쪽 끝이 회전하면서 하강하도록 하여 상기 인쇄롤러의 판드럼에 상기 지지부가 접근하도록 해서 상기 인쇄롤러의 판드럼에 탄성판이 감겨질 수 있게 지원하도록 하는 한편, 상기 인쇄롤러의 판드럼에서 상기 탄성판을 벗길 때는, 상기 인쇄롤러의 탄성판이 벗겨지는 방향으로 회전하는데 수반되어 상기 탄성판에 작용하는 인장력이 저하되어 상기 회전아암부가 상기와는 반대로 회전함에 따라 상기 에어실린더 내로부터 압출로드가 돌출하게 됨으로써, 상기 인쇄롤러의 탄성판이 벗겨지는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과 동기해서 상기 아암부의 다른쪽 끝이 회전하면서 상승하도록 하여 상기 지지부가 상기 인쇄롤러의 판드럼에서 떨어지도록 해서, 상기 인쇄롤러의 판드럼에서 탄성판이 벗겨질 수 있게 지원하도록 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대형탄성판 착탈지원장치를 나타낸 일부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대형탄성판 착탈지원장치를 나타낸 일부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대형탄성판 착탈지원장치를 나타낸 일부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대형탄성판 착탈지원장치를 나타낸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대형탄성판 착탈지원장치를 나타낸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대형탄성판 착탈지원장치를 나타낸 정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대형탄성판 착탈지원장치를 나타낸 일부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대형탄성판 착탈지원장치를 나타낸 일부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대형탄성판 착탈지원장치를 나타낸 일부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제1변형예에 따른 대형탄성판 착탈지원장치를 나타낸 정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제1변형예에 따른 대형탄성판 착탈지원장치를 나타낸 정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제1변형예에 따른 대형탄성판 착탈지원장치를 나타낸 정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제1변형예에 따른 대형탄성판 착탈지원장치를 나타낸 정면도,
도1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제2변형예에 따른 대형탄성판 착탈지원장치를 나타낸 일부단면도,
도 1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제2변형예에 따른 대형탄성판 착탈지원장치를 나타낸 일부단면도,
도 16a, 도 16b, 도 16c는 각각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제2변형예에 따른 대형탄성판 착탈지원장치를 나타낸 정면도,
도 1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제3변형예에 따른 대형탄성판 착탈지원장치를 나타낸 정면도,
도 1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제3변형예에 따른 대형탄성판 착탈지원장치를 나타낸 정면도,
도 19는 종래의 대형탄성판을 권취 또는 해제하는 막형성장치를 나타낸 일부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설명을 계속함에 있어 첨부도면에서는 같은 부품에 대해서는 같은 참조부호를 붙이기로 한다.
(제1실시예)
이하 도 1 ~ 도 6을 참조로 해서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탄성판 착탈지원장치는 도 1~ 도 6에 도시된 것과 같이, 탄성판(1)의 한쪽 끝에 설치된 제1판홀더(2)와 다른쪽 끝에 설치된 제2판홀더(3) 중 제2판홀더(3)가 인쇄롤러(14)의 판드럼에 부착된 상태에서 상기 탄성판(1)의 제1판홀더(2)를 상기 인쇄롤러(14)의 판드럼에다 부착하거나 떼어낼 때 쓰이는 탄성판 착탈지원장치에 있어서, 상기 탄성판(1)의 제1판홀더(2)를 보유지지하는 지지부(7)와, 상기 탄성판(1)에 걸리는 장력을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하면서 상기 인쇄롤러(14)가 탄성판이 감기는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과 대략 동기해서 상기 지지부(7)를 상기 인쇄롤러(14)의 판드럼에 접근시키는 한편, 상기 인쇄롤러(14)가 탄성판이 풀어지는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과 대략 동기해서 상기 지지부(7)를 상기 인쇄롤러(14)에서 떨어지게 하는 탄성판 이동장치(800, 900, 1000)와, 상기 지지부(7)가 고정되도록 옆으로 길게 형성되고서 상하로 이동할 수 있게 설치된 아암부(6)를 갖춘 구조로 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탄성판 이동장치의 1예로는, 상하방향으로 배치된 적어도 1줄 이상의 레일(제1실시예에서는 2줄의 레일)을 따라 상기 아암부(6)를 상하로 평행이동시키는 구동부(800)로 구성되어, 상기 인쇄롤러(14)의 판드럼에 상기 탄성판(1)을 감을 때는, 상기 구동부(800)에 의해 상기 탄성판(1)에 걸리는 장력이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하면서 상기 인쇄롤러(14)가 탄성판의 감김방향으로의 회전과 대략 동기해서 상기 아암부(6)를 하강시켜 상기 지지부(7)가 상기 인쇄롤러(14)의 판드럼에 접근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인쇄롤러(14)의 판드럼에 상기 탄성판(1)이 감겨질 수 있도록 지원하는 한편, 상기 인쇄롤러(14)의 판드럼에서 탄성판(1)을 벗길 때는, 상기 구동부(800)에 의해 상기 인쇄롤러(14)가 탄성판이 벗겨지는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과 대략 동기해서 상기 아암부(6)를 상승시켜 상기 지지부(7)를 인쇄롤러(14)의 상기 판드럼에서 떨어지도록 함으로써, 상기 인쇄롤러(14)의 판드럼에서 탄성판(1)을 벗겨질 수 있도록 지원하게 된다.
(대형탄성판의 설명)
다음에는 상기 탄성판의 1예로서 대형탄성판(大型彈性版; 1)에 대해 설명한다.
대형탄성판(1)으로서는 고무나 나일론계통의 수지와 같은 것으로 된 연질의 판(版)으로서, 표면에 소망하는 패턴으로 철부(凸部; 17)가 형성된 이른바 탄성철판(彈性凸版)이 있다. 또, 표면에 패턴으로서 요부(凹部)가 형성된 탄성요판이어도 좋고, 평판(平版)이어도 좋다.
또한, 상기 대형탄성판(1)은 장방형을 하고서 감김방향의 길이가 약 1040cm, 폭방향이 약 795cm, 중량이 약 1.0kg 인 것(판홀더 2개를 합쳐 약 2.4kg)이나, 감김방향 길이 약 1158cm, 폭방향이 약 935cm, 중량이 약 1.3kg 인 것(판홀더 2개를 합쳐 약 2.8kg)도 있다.
상기 대형탄성판(1)의 양쪽 끝에는 옆으로 길게 형성된 판홀더가 부착되어 있는 바, 그 중 탄성판 착탈지원장치의 지지부(7)에 걸려 보유지지되는 쪽 판홀더를 제1판홀더(2)라 하고, 인쇄롤러(14)의 판드럼에 제2척부(15)의 1예로서 형성된 복수의 걸림돌기(15a)에 걸려 고정되는 쪽 판홀더를 제2판홀더(3)라 한다.
제1판홀더(2)로서는 2가지 종류의 구멍으로 형성된 것이 있다. 이들 2가지 종류의 구멍은, 탄성판 착탈지원장치의 지지부(7)에 의해 걸려지도록 하기 위한 4각형으로 된 복수의 지원장치지지용 구멍(4)과, 인쇄롤러(14)의 판드럼에 형성된 제1척부(150)의 1예로서의 복수의 걸림돌기(150a)에 걸려 고정되도록 하기 위한 원형으로 된 복수의 척구멍(5)으로 되어 있다. 이들 복수의 지원장치지지용 구멍(4) 과 복수의 척구멍(5)은, 도 4에서 볼 수 있듯이 각각 제1판홀더(2)의 길이방향으로 등간격(等間隔)으로 나란히 형성된 복수의 구멍으로 되어 있다. 그 중 상기 지원장치지지용 구멍(4)은, 도 10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1판홀더(2)의 중앙부(1) 1곳에만 형성되어도 좋고, 2곳 이상에 형성되어도 된다. 1곳에만 형성되는 경우에는 대형탄성판(1)이 진자모양으로 지지부(7)에 매달려져, 제1판홀더(2)의 자유로운 흔들림이 대형탄성판(1)에 발생하는 주름이나 일렁임을 흡수하면서 인쇄롤러(14)의 판드럼에 균형을 이루도록 감겨지도록 하는데 효과가 있게 된다. 한편, 제2판홀더(3)는 탄성판 착탈지원장치의 지지부(7)에 보유지지되는 것은 아니어서, 도 4에서 볼 수 있듯이 인쇄롤러(14)의 판드럼에 형성된 제2척부(15)의 복수의 걸림돌기(15a)에 걸려 고정되도록 하기 위한 원형으로 된 복수의 척구멍(5)이 길이방향으로 등간격으로 나란히 형성되어 있다.
또, 상기 대형탄성판(1)은 원주형으로 된 인쇄롤러(14)의 판드럼에 감겨져, 그에 형성된 상기 철부(17)의 꼭대기에 인쇄용 잉크가 부착됨으로써, 피인쇄체의 표면에 철부(17)가 접촉하게 되면 상기 철부(17)의 꼭대기로부터 피인쇄체의 표면으로 잉크가 전이되어 인쇄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대형탄성판(1)을 감아 장착하는 인쇄롤러(14)로는 막형성장치의 인쇄롤러를 예로 들 수 있는 바, 이 막형성장치는 액정배향막과 같은 전자부품에 쓰이는 고분자재료 또는 무기재료를 박막 또는 후막형태로 패턴상으로 형성시키는 장치로서, 이는 다수의 잉크셀을 가진 요판롤러와, 잉크셀 내에 잉크를 충전하는 잉크공급장치, 상기 요판인쇄롤러의 잉크가 전이되는 탄성판이 판드럼에 감겨져 부 착된 인쇄롤러, 이 인쇄롤러의 잉크가 전이되는 피인쇄체를 고정하는 인쇄테이블 및, 상기 요판인쇄롤러의 잉크셀 내에 잉크가 확실히 충전되도록 하기 위한 닥터블레이드 등으로 이루어진 막형성장치이다. 인쇄롤러(14)의 판드럼에 형성된 제2척부(15) 및 제1척부(150)에 제2판홀더(3)와 제1판홀더(2)를 고정시키는 데는 나사나 전자석, 철편끼움과 같은 고정수단을 쓰게 된다.
(아암부의 설명)
상기 아암부(6)는 옆으로 길게 형성되고서 상하로 평행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된 부재로서, 이렇게 옆으로 길게 형성된 것은 상기 대형탄성판(1)의 끝부분만 폭방향으로 지지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이 아암부(6)에는 상기 대형탄성판(1)의 제1판홀더(2)에 형성된 복수의 지원장치지지용 구멍(4)에 대응하는 곳에는 길이방향으로 여러 개의 지지부(7)가 등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지원장치지지용 구멍(4)은 제1판홀더(2)의 중앙부 1곳에만 형성되어도 좋다.
이렇게 아암부(6)가 상하로 평행이동할 수 있도록 한 것은, 인쇄롤러(14)의 판드럼에다 대형탄성판(1)을 감아 장착할 때 인쇄롤러용 모터(14M)에 의해 인쇄롤러(14)가 회전하는 것과 대략 동기해서 상승하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여기서, 상기 아암부(6) 상하로 이동할 때 2줄의 레일(9)에 끼워맞춰져 쉽게 이동할 수 있도록 아암부(6)의 양쪽 끝에 끼움구멍(도시되지 않음)이 형성되도록 하여도 좋다.
한편, 상기 아암부(6)의 폭으로는 대형탄성판(1)에 부착되는 제1판홀더(2)나 제2판홀더(3)의 폭과 같거나 그보다 조금 넓은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대형탄성판(1)의 전체면에 균일한 장력이 걸리기 쉽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또, 아 암부(6)의 재질로는 스테인레스나 알미늄과 같은 금속 또는 수지로 된 재료가 쓰이는데, 대형탄성판(1)의 면적과 중량을 지지하기 위한 강도와 아암부(6)까지 들어올리기 위한 경량성을 고려하면 알미늄이 가장 적합하다.
상기 아암부(6)는 길이방향을 축으로 하여 회전하면서 이동하거나 아암부(6)의 길이방향으로 직선적으로 미끄러져 이동하도록 된 것이어도 좋다.
(지지부의 설명)
상기 지지부(7)는 대형탄성판(1)의 제1판홀더(2)를 보유지지하기 위해 아암부(6)에 형성된 부재로서, 이는 예컨대 금속재로 된 갈고리모양의 훅크부나 봉형상부재의 앞끝에 절결부가 형성된 것 등이 있다. 이와 같이 갈고리모양을 하거나 절결부가 형성되도록 한 것은, 제1판홀더(2)의 지원장치지지용 구멍(4)이 잘못 형성되어 오차가 생기기 않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특히, 상기 훅크부는 부동식(不動式)이더라도 좋고, 에어실린더 등으로 움직여 제1판홀더(2)의 지원장치지지용 구멍(4)의 내벽을 조이게 되는 가동식으로 된 것이라도 좋다. 지지부(7)는 대형탄성판(1)이 좌우로 균형을 이루어 늘어뜨려지도록 아암부(6)에 같은 수가 좌우대칭으로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좋다. 또, 이 지지부(7)는 자력식(磁力式)이나 진공흡착식으로 된 것이라도 좋다. 또한 상기 지지부(7)는 복수개가 갖춰진 것이어도 좋고, 1곳에만 갖춰진 것이라도 좋다.
(구동부의 설명)
상기 구동부(800)는 2줄의 레일(9)을 따라 아암부(6)가 상하로 평행하게 이동하도록 하는 부재로서, 이는 대형탄성판(1)에 걸리는 장력을 일정하게 유지되도 록 하면서 아암부(6)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구동부(800)의 예로서는, 대체로 막형성장치의 기대(10)에 인쇄롤러(14)의 회전축 길이 정도로 간격이 벌어져 세워진 2줄의 레일(9)과, 이들 2줄의 레일(9) 중 한쪽 레일(9)의 근원(根元)에 고정된 에어실린더(11) 및, 이 에어실린더(11) 내의 피스톤을 경계로 구분된 2개의 체임버 중 위쪽의 가압실과 아래쪽의 가압실 각각의 흡배기동작을 제어해서 에어실린더(11)의 구동을 제어하는 에어실린더 구동제어장치(900)로 구성되어, 에어실린더(11)의 압출로드(12) 앞끝이 아암부(6)의 하면(18)에 닿도록 된 것을 들 수 있다(도 4 ~ 도 6 참조). 또, 상기 아암부(6)의 양쪽 끝은 그의 끼움구멍(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상기 2줄의 레일(9)에 이동할 수 있게 끼워맞춰지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에어실린더(11)의 압출로드(12)가 돌출하면 아암부(6)가 2줄의 레일(9)을 따라 밀어올려져 2줄의 레일(9)의 정상부근까지 상승하게 된다.
한편, 상기 에어실린더 구동제어장치(900)에 의해 에어실린더(11) 내의 아래쪽 가압실의 공기가 배출되면, 아암부(6)의 무게에 의해 아암부(6)가 다시 2줄의 레일(9)의 근원까지 하강하게 된다. 이 아암부(6)의 하강속도의 제어는 에어실린더 구동제어장치(900)로 에어실린더(11) 내의 가압실의 공기의 시간당 배기량을 제어함으로써 이루어지게 된다. 한편, 상기 구동부(800)의 에어실린더(11)를 대신할 수 있는 장치로는, 유압이나 수압 또는 모터로 아암부(6)를 이동시키는 구동장치로 되어도 좋다.
또, 2줄의 레일(9) 중 적어도 어느 한쪽 레일(9)에 상기 아암부(6)가 상하방향으로 평행이동할 때 직진동작을 할 수 있게 안내하는 직진안내부재(13)가 갖춰지 도록 하는 것도 좋다.
(아암부의 개략적인 승강동작)
아암부(6)가 인쇄롤러(14)의 판드럼에 대형탄성판(1)을 감아 장착할 때는, 대형탄성판(1)에 걸리는 장력이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하면서 인쇄롤러용 모터(14M)에 의한 인쇄롤러(14)의 회전과 대략 동기해서 하강하고, 인쇄롤러(14)의 판드럼에서 대형탄성판(1)을 떼어낼 때는 인쇄롤러용 모터(14M)의 회전과 대략 동기해서 상승할 수가 있게 된다.
대형탄성판(1)에 걸리는 장력을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하면서 인쇄롤러(14)의 회전에 대략 동기해서 하강하고 상승하도록 하는 기구(機構)는 다음과 같이 이루어지게 되는 바, 여기서는 상기와 같이 구동부(800)로서 에어실린더(11)를 사용하여 압출로드(12)의 앞끝이 아암부(6)의 하면(18)에 닿도록 한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아암부가 하강하는 경우)
에어실린더 구동제어장치(900)에 의해 에어실린더(11)의 압출로드(12a)가 돌출됨에 따라 밀어올려져 레일(9)의 정상부근까지 상승한 아암부(6)의 복수의 지지부(7)에 대형탄성판(1)의 제1판홀더(2)에 형성된 복수의 지원장치지지용 구멍(4)이 끼워져 보유지지되는 한편(도 4 참조), 대형탄성판(1)의 제2판홀더(3)가 인쇄롤러(14)의 판드럼의 제2척부(15)에 걸려져 고정된 상태로 된다.
그 후 대형탄성판(1)을 감기는 방향으로 인쇄롤러(14)를 모터(14M)로 저속으로 회전시키면 대형탄성판(1)이 아래로 당겨지게 되지만, 인쇄롤러(14)의 인쇄롤러 용 모터(14M)의 회전수 데이터에 기해 연산부(1000)에서 에어실린더(11) 내의 아래쪽 가압실로부터 배기해야 할 공기의 체적이 계산되고, 계산된 체적의 공기가 구동부(800)의 에어실린더 구동제어장치(900)에 의해 에어실린더(11) 내로부터 서서히 배기됨으로써, 대형탄성판(1)에 걸린 장력을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하면서 인쇄롤러(14)의 회전에 동기해서 아암부(6)가 적당한 속도로 하강하기 시작한다(도 5 참조).
이때, 상기 대형탄성판(1)에 걸리는 장력의 값으로는 예컨대 감겨지는 방향이 약 1040cm, 폭방향이 약 795cm, 중량이 약 1.0kg 인(판홀더가 2개이면 약 2.4kg) 제2판홀더(3)를 인쇄롤러(14)에다 고정시킨 상태에서, 이 제2판홀더(3)에 스프링저울의 앞끝을 걸어 매달고서 인쇄롤러(14)를 저속으로 회전시켜 측정하였더니 2 ~ 5kg 사이의 어떤 일정한 값이 됨을 알 수 있었다.
인쇄롤러(14)의 회전을 정지시키면 아암부(6)의 하강도 정지하게 된다. 에어실린더(11) 내의 아래쪽 가압실의 공기를 완전히 배기하면 아암부(6)가 소정의 위치까지 하강하게 된다(도 6 참조).
(아암부가 상승하는 경우)
대형탄성판(1)이 인쇄롤러(14)의 판드럼에 감아 제2판홀더(3)가 판드럼의 제2척부(15)에 고정되도록 한 채로 레일(9)의 근원에 위치하는 아암부(6)의 지지부(7)에 대형탄성판(1)의 제1판홀더(2)가 보유지지되도록 한다. 그 후, 인쇄롤러(14)를 인쇄롤러용 모터(14M)로 대형탄성판(1)을 떼어내는 방향으로 저속으로 회전시켜, 인쇄롤러(14)의 회전속도에 기해 계산된 량의 공기가 에어실린더 구동제 어장치(900)에 의해 구동부(800)의 에어실린더(11)의 아래쪽 가압실 내로 서서히 압입하게 되면, 인쇄롤러(14)의 회전에 동기해서 아암부(6)가 적당한 속도로 상승하기 시작한다. 그 때문에, 대형탄성판(1)이 막형성장치의 기대(10)에 대해 느슨해져서 떨어지거나 하지 않고 위쪽으로 들어올려지게 된다. 한편, 인쇄롤러(14)의 회전을 정지하면 아암부(6)의 상승도 그치게 된다. 이어, 에어실린더 구동제어장치(900)에 의해 에어실린더(11) 내로 공기가 다시 압입되도록 하면, 아암부(6)가 2줄의 레일(9)의 정상부근까지 상승하게 된다.
다음에는 상기와 같은 제1실시예에 따른 탄성판 착탈지원장치를 써서 1인의 제1작업자가 탄성판의 착탈작업을 하는 경우의 예를 설명한다.
(장착하는 경우)
제1작업자가 대형탄성판(1)의 제1판홀더(2)에 형성된 복수의 지원장치지지용 구멍(4)을 지원장치의 아암부(6)의 복수의 지지부(7)에 걸어 제2판홀더(3)를 자체의 무게로 늘어뜨려지게 한다(도 4 참조). 이렇게 늘어뜨려진 상태에서는 제2판홀더(3)가 인쇄롤러(14)의 판드럼에 형성된 제2척부(15)의 정면으로 오게 되는 바, 이는 소정의 면적을 가진 대형탄성판(1)을 늘어뜨리면 제1판홀더(3)가 자동적으로 아암부(6)의 높이가 되도록 조절해놓을 수가 있기 때문이다.
다음, 제1작업자는 제2판홀더(3)에 형성된 복수의 척구멍(5)을 인쇄롤러(14)의 판드럼에 형성된 제2척부(15)의 걸림돌기(15a)에다 손으로 걸어 고정시킨다. 이어 고정이 완료된 것을 확인한 제1작업자는 모터(14M)로 인쇄롤러(14)를 저속으로 회전시켜, 대형탄성판(1)을 인쇄롤러(14)의 판드럼에다 서서히 감아 장착시킨 다. 이 경우, 제1판홀더(2)가 보유지지되어 있는 아암부(6)는 인쇄롤러(14)의 회전수데이터에 기해 연산부(1000)에서 계산된 에어실린더(11)의 공기배출량에 기해, 에어실린더 구동제어장치(900)로 에어실린더(11)의 아래쪽 가압실로부터 배기되는 공기배출량을 제어하게 됨으로써, 자동적으로 적당한 장력이 유지되도록 하면서 대형탄성판(1)의 제1판홀더(2)가 인쇄롤러(14)의 판드럼에 형성된 제1척부(150)에 가까워질 때까지 하강을 계속하게 된다.
다음, 대형탄성판(1)의 제1판홀더(2)가 인쇄롤러(14)의 판드럼에 형성된 제1척부(150)에 가까워지면, 제1작업자는 모터(14M)를 정지시켜 인쇄롤러(14)의 회전이 정지되도록 해서, 지원장치의 복수의 지지부(7)에서 제1판홀더(2)의 복수의 지원장치지지용 구멍(4)을 뽑아내고, 제1판홀더(2)의 복수의 척구멍(5)을 인쇄롤러(14)의 판드럼에 형성된 제1척부재(150)의 복수의 걸림돌기(150a)에 손으로 걸어 고정시키면 인쇄롤러(14)의 판드럼에 대형탄성판(1)을 감아 장착하는 것이 끝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아암부(6)는 대형탄성판(1)이 떼어내어지는 것에 대비해서 막형성작업이 끝날 때까지 그 상태로 대기하고 있도록 하게 된다.
(탄성판을 떼어내는 경우)
제1작업자는 대형탄성판(1)의 제1판홀더(2)에 형성된 복수의 척구멍(5)을 인쇄롤러(14)의 판드럼에 형성된 제2척부(15)의 복수의 걸림돌기(15a)에서 벗겨, 제1판홀더(2)의 복수의 지원장치지지용 구멍(4)을 지원장치의 복수의 지지부(7)에다 걸려지도록 한다.
다음, 고정된 것을 확인한 제1작업자는 모터(14M)를 이용해서 인쇄롤러(14)를 상기 감김방향과는 반대방향으로 저속으로 회전시킨다. 이렇게 되면 제1판홀더(2)가 보유지지되어 있는 아암부(6)가, 인쇄롤러(14)의 회전수데이터에 기해 연산부(1000)에서 계산된 에어실린더(11) 내의 공기압입량에 기해, 에어실린더 구동제어장치(900)로 에어실린더(11)의 아래쪽 가압실로 압압되는 공기압입량을 제어하게 되어 자동적으로 적당한 장력을 유지하면서 상승을 계속하기 때문에, 대형탄성판(1)이 중력으로 늘어뜨려져 막형성장치에 닿아 접촉하는 일이 없게 된다.
다음, 대형탄성판(1)의 전부가 인쇄롤러(14)의 판드럼에서 벗어난 상태에서 제1작업자는 모터(14M)를 정지시켜 인쇄롤러(14)의 회전을 정지시키고 나서, 제2판홀더(3)의 복수의 척구멍(5)을 인쇄롤러(14)의 판드럼에 형성된 제2척부(15)의 복수의 걸림돌기(15a)에서 손으로 벗기면 인쇄롤러(14)의 판드럼에서 대형탄성판(1)을 떼어내는 작업이 끝나게 된다.
그 결과, 대형탄성판(1)은 지원장치에 의해 밑으로 매달린 상태로 되어, 아암부(6)의 복수의 지지부(7)에서 대형탄성판(1)의 복수의 지원장치지지용 구멍(4)을 뽑아낸 다음 다른 대형탄성판(1)과 교환하게 된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탄성판 착탈지원장치는 이상과 같이 구성됨으로써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게 된다.
(1) 인쇄롤러(14)의 판드럼에 대형탄성판(1)을 감아 장착하거나 떼어내는 도중에 탄성판 착탈지원장치에 의해 대형탄성판(1)이 보유지지되도록 할 수 있기 때문에, 막성형장치 위로 대형탄성판(1)을 들어올리는 데 있어 사람의 손이 필요하지 않아 작업효율이 무척 좋아지게 된다.
(2) 대형탄성판(1)과 판홀더(2, 3)가 무게가 무겁더라도, 탄성판 착탈지원장치에 의해 대형탄성판(1)이 보유지지될 수가 있어서 작업자에게 중량적인 부하가 걸리지 않게 된다.
(a) 그 때문에, 대형탄성판(1)이 인쇄롤러(14) 위로 떨어지는 일이 없어 대형탄성판(1)이나 막형성장치가 파손될 위험이 없게 된다.
(b) 또, 탄성판 착탈지원장치를 이용해서 제1판홀더(2)를 기계적으로 하강시키기 때문에, 대형탄성판(1)이 흔들리지 않아 항상 제1판홀더(2)가 수평상태로 유지될 수 있게 할 수 있어, 인쇄롤러(14)의 판드럼에 대형탄성판(1)을 감아 장착할 때 대형탄성판(1)에 걸려지는 장력이 전면적으로 균일하고 일정한 수치를 유지되도록 할 수가 있다. 따라서, 대형탄성판(1)이 일렁이는 상태로 판드럼에 감기거나 하지 않게 된다.
(3) 대형탄성판(1)이 인쇄롤러(14)의 판드럼에 왼전히 감겨 장착될 때까지 탄성판 착탈지원장치에 의해 대형탄성판(1)이 보유지지됨으로써 제1판홀더(2)를 사람의 손으로 시종 잡고 있을 필요가 없고, 그 때문에 먼지나 기름, 땀이 묻은 손으로 탄성판을 장시간 잡고 있지 않아도 된다. 따라서 먼지나 기름 또는 튀어진 땀이 탄성판에 묻어 쉽게 더렵혀지지 않게 된다.
(제2실시예)
다음에는 도 7 ~ 도 9 및 도 14를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탄성판 착탈지원장치는 도 7 ~ 도 18에 도시된 것과 같이, 탄성판(1) 한쪽 끝의 제1판홀더(2)와 다른쪽 끝의 제2판홀더(3) 중 상기 제2판홀더(3)가 인쇄롤러(14)의 판드럼에 부착된 상태에서 상기 탄성판(1)의 제1판홀더(2)를 상기 인쇄롤러(14)의 판드럼에 장착하거나 떼어낼 때 쓰여지는 탄성판 착탈지원장치에 있어서, 상기 탄성판(1)의 제1판홀더(2)를 보유지지하는 지지부(107)와, 상기 탄성판(1)에 걸리는 장력을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하면서 상기 인쇄롤러(14)의 탄성판이 감김방향으로 회전하는 것과 대략 동기해서 상기 지지부(107)를 상기 인쇄롤러(14)의 판드럼에 대해 접근시키는 한편, 상기 인쇄롤러(14)가 탄성판의 감김이 풀어지는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과 대략 동기해서 상기 지지부(107)를 상기 인쇄롤러(14)에서 떨어지게 하는 탄성판 이동장치(810, 910, 1010), 상기 인쇄롤러(104)의 위쪽에 위치하는 베이스판(109) 및, 이 베이스판(109)에 부착된 한쪽 끝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는 한편 다른쪽 끝에는 상기 지지부(107)가 자유로이 회전할 수 있게 부착된 회전아암부(106)를 구비한 구조로 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탄성판 이동장치(810, 901, 1010)의 예로는, 상기 회전아암부(106)의 회전을 제어하는 구동부(810)를 구비하고서, 상기 인쇄롤러(14)의 판드럼에 상기 탄성판(1)을 감아 장착할 때는, 상기 탄성판(1)에 걸리는 장력을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하면서 상기 구동부(810)에 의해 상기 인쇄롤러(14)의 탄성판이 감기는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에 대략 동기하여 상기 아암부(106)의 상기 다른쪽 끝이 회전하면서 하강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인쇄롤러(14)의 판드럼에 상기 지지부(107)를 접근시켜, 상기 인쇄롤러(14)의 판드럼에 상기 탄성판(1)을 감길 수 있도록 지원하는 한편, 상기 인쇄롤러(14)의 판드럼에서 상기 탄성판(1)을 떼어낼 때는, 상기 구동부(810)에 의해 상기 인쇄롤러(14)가 상기 탄성판이 벗겨지는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과 대략 동기해서 상기 회전아암부(106)의 다른쪽 끝이 회전하면서 상승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지지부(107)가 상기 인쇄롤러(14)의 판드럼에서 떨어지도록 해서, 상기 인쇄롤러(14)의 판드럼에서 상기 탄성판(1)을 떼어낼 수 있도록 지원하게 된다.
(대형탄성판의 설명)
제2실시예 이하의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대형탄성판(1)은 제1실예에서 사용하는 것과 같은 것이다.
즉, 이 대형탄성판(1)은 그 양쪽 끝에 옆으로 길게 형성된 판홀더가 부착된 구조로 되어 있는 바, 그 중 탄성판 착탈지원장치의 지지부(107)에 걸려 보유지지되는 쪽 판홀더를 제1판홀더(2)라 하고, 인쇄롤러(14)의 판드럼에 형성된 제2척부(15)에 형성된 복수의 걸림돌기(15a)에 걸려 고정되는 쪽 판홀더를 제2판홀더(3)라 한다.
제1판홀더(2)로는 2가지 종류의 구멍이 형성된 것이 있는데, 이들 2가지의 구멍은 탄성판 착탈지원장치의 지지부(107)에 의해 걸려지도록 하기 위한 사각형으로 된 복수의 지원장치지지용 구멍(4)과, 인쇄롤러(14)의 판드럼에 형성된 제1척부(150)에 형성된 복수의 걸림돌기(150a)에 걸려 고정되도록 원형으로 형성된 복수의 척구멍(5)으로 되어 있다. 이들 복수의 지원장치지지용 구멍(4)과 복수의 척구멍(5)은, 도 4에서 볼 수 있듯이 각각 제1판홀더(2)의 길이방향으로 등간격으로 나란히 형성된 복수의 구멍으로 되어 있다. 그 중 지원장치지지용 구멍(4)과 복수의 척구멍(5)은 제1판홀더(2)의 각각 제1판홀더(2)의 길이방향으로 여러 개가 나란히 등간격으로 형성된 구멍으로 되어 있다. 한편 지원장치지지용 구멍(4)은 제1판홀더(2)의 중앙에 1곳에만 형성되어도 좋다(도 10 참조). 이와 같이 1곳에만 형성되는 경우에는 대형탄성판(1)이 진자모양으로 지지부(107)에 매달려, 제1판홀더(2)가 자유롭게 흔들릴 수 있게 됨으로써 대형탄성판(1)에 발생하는 주름이나 일렁임을 흡수하면서 인쇄롤러(14)의 판드럼에 균형이 이루어지도록 감겨 장착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게 된다.
또, 상기 제2판홀더(3)는 탄성판 착탈지원장치의 지지부(107)에 보유지지되는 것은 아니므로, 인쇄롤러(14)의 판드럼에 형성된 제2척부(15)의 복수의 걸림돌기(15a)에 걸려 고정되기 위한 원형으로 된 복수의 척구멍(5)만 길이방향으로 나란히 등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다(도 10 참조).
또한, 상기 대형탄성판(1)은 원주형상을 한 인쇄롤러(14)의 판드럼에 감겨 상기 철부(17)의 꼭대기에 인쇄용 잉크가 부착됨으로써, 피인쇄체의 표면에 철부(17)가 접촉하게 되면 상기 철부(17)의 꼭대기에서 피인쇄체의 표면으로 잉크가 전이되도록 해서 인쇄가 이루어지도록 된 것이다.
(베이스판의 설명)
상기 베이스판(109)은 인쇄롤러(14)의 위쪽에 위치하도록 된 것으로, 이는 막형성장치를 설치하는 공장의 천정 들보에서 아래로 뻗어 내리도록 하거나, 또는 막형성장치와 떨어진 장소에 토대(土臺)를 설치해서 그로부터 인쇄롤러(14) 위쪽으로 뻗도록 해도 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제1변형예를 나타낸 것으로, 여기서는 베이스판(109)이 제1판홀더(2)의 길이방향 폭보다 넓은 간격으로 2개가 설치되도록 되어 있는 바, 이들 2개의 베이스판(109)에는 각각 회전아암부(106)가 부착되어 있다. 이 베이스판(109)의 재질은 알미늄 등으로 되어 있는 바, 이는 특히 상기 회전아암부(106)나 대형탄성판(1)과 제1판홀더(2) 및 제2판홀더(3)와 같은 중량이 큰 것을 지지해야 하므로 강성이 높은 것이 바람직하다.
(가동턴롤러의 설명)
상기 각 베이스판(109)에는 도 15에 도시된 것과 같이 회전아암부(106)가 회전하는 도중 대형탄성판(1)의 장력방향에 각도를 부여하기 위한, 즉 대형탄성판(1)이 인쇄롤러(14)의 판드럼에 감겨 부착된 부분에서 판드럼의 접선방향을 따라 대형탄성판(1)이 경사를 이루도록 하기 위한 가동턴롤러(可動 turn roller; 21)가 베이스판(109)에서 뻗은 로드(22)의 앞끝에 설치되도록 하여도 좋다. 이렇게 가동턴롤러(21)가 설치됨으로써 회전아암부(106)의 회전각도에 대응해서 회전아암부(106)의 앞끝에 해당하는 제1판홀더(2)로부터 가동턴롤러(21)에 이르기까지의 대형탄성판(1)의 장력방향과, 가동턴롤러(21)로부터 제2판롤(3)에 이르기까지의 대형탄성판(1)의 장력방향이 다르게 할 수가 있게 된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제2변형예를 나타낸 것으로, 여기서는 가동턴롤러(21)가 베이스판(109)에서 뻗은 로드(rod; 22)의 앞끝에 설치되고서 대형탄 성판(1)을 좌우쪽으로 밀어붙이도록 되어 있다.
도 16a , 도 16b, 도 16c의 일련의 과정에서는, 도 16a에서 도 16c에 이름에 따라 가동턴롤러(21)에 의해 대형탄성판(1)으로 밀려지는 힘을 에어실린더 등으로 조절함으로써, 가동턴롤러(21)의 회전상태에도 불구하고 가동아암부(6)와 대형탄성판(1)이 이루는 각도(θ1, θ2, θ3)가 항상 약 90°를 유지하도록 할 수가 있게 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대형탄성판(1)에 걸리는 장력(t1, t2, t3)이 항상 대체로 일정하게 할 수가 있고, 그 때문에 인쇄롤러(14)의 판드럼에 일정한 장력으로 대형탄성판(1)을 감아 장착할 수가 있는 장점이 있게 된다.
또, 상기 가동턴롤러(21)를 회전아암부(106)의 오른쪽 아래로 굽혀지도록 설치하면, 회전아암부(106)가 잘못해서 왼쪽으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게 된다.
(회전아암부의 설명)
상기 각 회전아암부(106)는 베이스판(109)에 부착된 회전축(113)을 중심으로 해서 회전할 수 있도록 된 것으로, 이들 각 회전아암부(106)의 재질은 알미늄과 같이 가볍고 강성이 높은 것이 바람직한 바, 이는 각 회전아암부(106)의 운동을 저출력의 구동원으로 이루어지게 할 수가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각 회전아암부(106)의 베이스판(109)에 대한 회전축(113)은, 회전아암부(106)의 길이방향과 폭방향 어느 곳에도 형성시킬 수가 있다. 이는 인쇄롤러(14)의 외경의 크기나 베이스판(109)의 길이와 같은 규격치수에 변동이 있 게 되는 경우도 있어서, 회전아암부(106)의 회전반경을 조절해서 형성되는 제1판홀더(2)의 원궤도(圓軌道)를 변동시킬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한편 상기 2줄의 회전아암부(106)의 회전은 자유회전이 아니라 2개의 에어실린더나 스프링에 의해 제어될 수 있도록 된 것이다. 이렇게 제어할 수 있도록 된 이유는, 인쇄롤러(14)의 판드럼에 주름이나 일렁임이 없이 감겨짐과 더불어, 대형탄성판(1)이 필요 이상으로 늘어져 인접하는 기계나 지면에 닿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대형탄성판(1)에 걸리는 장력을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하기 위해 제어할 수도 있다.
상기 회전아암부(106)는 회전운동을 하기 때문에 수직방향 뿐만 아니라 수평방향으로도 대형탄성판(1)을 이동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 때문에, 제2판홀더(3)를 제2척부(15)에 고정시킬 때 대형탄성판(1) 등의 중량이나 발판에 관해 신경을 쓰지 않고 안전하게 작업할 수가 있게 된다. 그리고, 제2판홀더(3)를 제2척부(15)의 사이까지 자동적으로 이동시킬 수가 있도록 되어 있어서, 사람의 손으로 제2판홀더(3)를 이동시키는 거리가 필요치 않던가 또는 필요하더라도 대단히 짧아도 되므로 효율이 좋아지게 된다.
또, 제1판홀더(2)를 제1척부(150)에 고정시킬 때 제1판홀더(2)를 제1척부(150)의 사이까지 이동시킬 수가 있어서, 사람의 손으로 제1판홀더(2)를 이동시키는 거리가 전혀 필요치 않던가 또는 필요하더라도 극히 짧아도 되므로 작업효율이 좋아지게 된다.
한편, 도 10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제1변형예에서는, 회전아암부(106)가 2개의 회전아암부 본체(61, 62)와 이들을 연결하는 연결부재(60)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2개의 회전아암부 본체(61, 62)는 각각 상기 2개의 베이스판(109) 각각에 회전할 수 있게 부착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연결부재(60)의 대략 중앙에는 뒤에 설명되는 지지부(107)가 연결부재(60)에 대해 자유로이 회전할 수 있게 부착되어 있다.
(지지부의 설명)
도 10에 도시된 지지부(107)는 대형탄성판(1)의 제1판홀더(2)를 보유지지하기 위한 연결부재(60)에 자유로이 회전할 수 있게 부착된 부재로서, 이는 예컨대 금속재로 된 갈고리모양의 걸림부(70)나 또는 봉형상부재의 앞끝에 절결부가 형성된 것 등으로 되어 있다. 갈고리모양을 하거나 절결부가 형성되도록 한 것은, 제1판홀더(2)의 지원장치지지용 구멍(4)이 잘못되어 오차가 생기기 않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훅크부는 부동식으로 되어도 좋고, 에어실린더 등으로 움직여 대형탄성판(1)의 제1판홀더(2)의 지원장치지지용 구멍(4)의 내벽을 조이는 가동식으로 된 것이라도 좋다. 또한 상기 지지부(107)는 대형탄성판(1)을 좌우가 균형을 이루어 늘어지도록 하기 위해 같은 숫자가 좌우대칭으로 아암(6)에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좋다. 또, 이 지지부(7)는 중앙에 1곳에만 형성되어도 되고, 간격을 벌려 2곳 이상의 곳에 형성되도록 하여도 좋다.
또, 상기 지지부(107)는 연결부재(60)에 대해 자유로이 회전할 수 있게 부착되어 있기 때문에, 회전아암부(106)의 회전각도에 관계없이 대형탄성판(1)과 제1판홀더(2)가 항상 평행을 이룰 수가 있게 된다(도 7, 도 8, 도 9 및 도 15 참조).
한편, 상기 지지부(107)에는 걸림부(70)를 2개 이상 부착하여도 좋으나, 도 10에 도시된 제2실시예의 제1변형예에서는 지지부(107)의 걸림부(70)가 2개의 회전아암부 본체(61, 62)를 연결하는 연결부재(60)의 중앙부 1곳에만 부착되도록 되어 있다. 이는, 지지부(107)가 1곳이 되도록 함으로써 대형탄성판(1)이 쉽게 흔들릴 수 있도록 하면, 대형탄성판(1)이 감길 때 비뚤어지는 것이 대형탄성판(1)의 자유로운 흔들림에 의해 흡수되어, 인쇄롤러(14)의 판드럼에 주름이 생기지 않도록 대형탄성판(1)을 감아 장착시킬 수가 있기 때문이다. 여기서, 상기 지지부(107)는 자력식이거나 진공흡착식으로 된 것이어도 좋다.
(구동부의 설명)
상기 구동부(810)는 회전아암부(106)의 회전을 제어하기 위한 것으로, 이는 대형탄성판(1)에 걸리는 장력을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하면서 회전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구동부(810)의 예로는, 2개의 에어실린더(111) 내의 피스톤을 경계로 구분된 2개의 체임버, 즉 회전축(113C) 쪽의 가압실과 회전축(113C) 쪽과는 반대되는 쪽의 가압실 각각의 흡배기동작을 제어해서 공기를 동기적으로 배기함으로써, 2개의 압출로드(112)를 동기해서 돌출시키거나 끌어들이는 작용을 하도록 된 것이다. 상기 2개의 회전아암부(106)의 회전속도의 제어는, 2개의 에어실린더(111)의 회전축(113C) 쪽의 가압실과 회전축(113C) 쪽과는 반대되는 쪽의 가압실 내의 각 공기의 시간당 배가량을 제어함으로써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다. 상기 구동부(810)는 유압이나 수압 또는 모터로 회전아암부(106)를 회전시키도록 된 것이어도 좋다.
도 11 ~ 도 13에 도시된 제2실시예의 제1변형예에서는, 2개의 회전아암부(106)의 제어가 2개의 에어실린더(111)에 의해 이루어지도록 된 것이다. 각 에어실린더(111)의 압출로드(112)의 앞끝이 각 회전아암부(106)의 역L자형상으로 되어 도 11에서의 왼쪽으로 돌출된 부분에 대해 자유로이 회전할 수 있도록 부착되어, 각 에어실린더(111)의 본체의 하단이 베이스판(109)에 대해 회전할 수 있도록 부착되어 있다.
즉, 제1판홀더(2)를 보유지지하는 지지부(107)가 상단위치에 위치해 있는 도 11에 도시된 것과 같이, 각 에어실린더(111)의 본체의 하단이 베이스판(109)에 회전할 수 있게 부착되는 회전축(113C)과, 각 회전아암부(106)의 하단이 베이스판(109)에 회전할 수 있게 부착된 회전축(113A)이 대략 좌우로 나란히 위치하고, 또 상기 각 회전아암부(106)의 길이방향과 에어실린더(111)의 길이방향이 대략 평행을 이루도록, 에어실린더(111)의 압출로드(112)의 앞끝이 회전아암부(106)의 역L자형상을 한 도 11에서 왼쪽으로 돌출된 부분에 회전축(113B)으로 회전할 수 있게 부착되어 있다. 이때, 2개의 압출로드(112)의 돌출량이 작을 때에는 2개의 회전아암부(106)가 연결부재(60)가 부착된 한쪽 끝이 위로 향해 위치하도록 한다(도 11 참조). 2개의 압출로드(112)의 돌출량을 크게 하면, 2개의 회전아암부(106)가 회전축(113)을 중심으로 해서 연결부재(60)가 부착된 한쪽 끝이 오른쪽으로 회전하게 된다(도 12 참조). 도 12의 시점에서 2개의 압출로드(112)의 돌출량은 대략 최대로 된다. 2개의 압출로드(112)의 돌출량을 대략 최대에서 작아지게 하면, 2개의 회전아암부(106)가 회전축(113)을 중심으로 해서 연결부재(60)가 부착된 한 쪽 끝이 다시 오른쪽으로 회전하게 된다(도 13 참조). 도 13에서는 도 11의 상태로부터 도 12의 상태를 지나 180°이상 회전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2개의 압출로드(112)의 돌출량을 일단 크게 하고서 점차 작아지도록 하면, 도 13의 상태에서 도 12의 상태를 지나 도 11의 상태로 되돌려지게 된다.
한편, 도 17 및 도 18에 도시된 제2실시예의 제3변형예에서는, 정면도는 도 10과 같게 되어 있으나 2개의 에어실린더(111)의 본체 하단과 2개의 베이스판(109)을 연결하는 회전축(113C)의 위치가, 도 11과 같은 좌우가 아니라 상하의 위치로 변경되어 있는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즉, 제1판홀더(2)를 보유지지하는 지지부(107)가 상단위치에 위치하고 있는 도 17에 도시된 것과 같이, 각 에어실린더(111)의 본체 하단이 베이스판(109)에 회전할 수 있게 부착되는 회전축(113C)의 위쪽에, 각 회전아암부(106)의 하단이 베이스판(109)에 회전할 수 있게 부착되는 회전축(113A)이 위치하고, 또 각 회전아암부(106)의 길이방향과 에어실린더(111)의 길이방향이 교차하도록 에어실린더(111)의 압출로드(112) 앞끝이 회전아암부(106)의 역L자형상으로 된 도 11에서 왼쪽으로 돌출된 부분에 회전축(112B)으로 회전할 수 있게 부착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이 제2실시예의 제3변형예에서는 특히 배기량 또는 압입량을 제어하지 않고, 2개의 에어실린더(111)의 2개의 압출로드(112)의 돌출량을 도 17과 같이 미리 크게 해놓고서, 인쇄롤러(14)의 회전력이 대형탄성판(1)을 매개로 전해지게 됨으로써 2개의 회전아암부(106)가 회전하게 됨에 따라, 2개의 에어실린더(111) 내의 회전축(113C) 쪽 가압실 내의 공기가 압축되면서 2개의 압출로드(112)의 돌출량 을 작아지도록 하여도 된다. 이 경우에는, 2개의 에어실린더(111)의 외부로부터 흡배기동작을 제어할 필요가 없어서 구조가 간단해지게 된다. 그와 같은 예로서는, 2개의 압출로드(112)의 돌출량이 클 때는 2개의 회전아암부(106)는 연결부재(60)가 부착된 한쪽 끝이 위를 향해 위치하게 된다(도 17 참조). 도 17의 상태에서 인쇄롤러(14)가 탄성판이 감기는 방향으로 회전하는 회전력에 의한 인장력이 대형탄성판(1)을 매개로 2개의 회전아암부(106)에 전해지면, 2개의 회전아암부(106)가 각각 회전축(113A)을 중심으로 해서 연결부재(60)가 부착된 각 한쪽 끝이 오른쪽의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어, 2개의 에어실린더(111) 내의 회전축(113C) 쪽 가압실 내의 공기가 압축되어 2개의 압출로드(112)의 돌출량이 작아지게 된다(도 18 참조).
도 18의 시점에서 2개의 압출로드(112)의 돌출량이 최소가 되는 바, 이러한 도 18의 상태로부터 인쇄롤러(14)가 탄성판이 이탈방향으로 회전하게 됨으로써 대형탄성판(1)에 작용하는 인장력이 저하되면, 2개의 에어실린더(111) 내에서 압축되어 있던 공기가 원래의 상태로 되돌려지게 되고, 그와 반대로 2개의 압출로드(112)의 돌출량이 계속 커지면 도 18의 상태에서 도 17의 상태로 되돌려지게 된다.
이와 같이 2개의 에어실린더(111)의 압출로드(112)의 돌출량은, 하등 외부로부터 제어동작이 없이 대형탄성판(1)을 매개로 전해진 인쇄롤러(14)의 회전력 및 2개의 에어실린더(111) 내의 회전축(113C) 쪽 가압실 내에서 압축된 공기의 복원력에 의해 변동하도록 할 수도 있고, 그와 반대로 인쇄롤러(14)의 회전력과는 독립해서 변동하도록 구동부(810)의 에어실린더 구동제어장치(910)에 의해 2개의 에어실 린더(111)의 급배기동작을 제어하도록 할 수도 있다. 도 17 및 도 18은 인쇄롤러(14)의 회전력이 없으면 자동적으로 도 11의 상태로 되돌려지도록 되어 있는 바, 이는 에어실린더(111)에는 압출로드(112)를 돌출시키는 방향으로 항상 힘이 걸려져 있기 때문이다.
도 11 ~ 도 14에 도시된 제2실시예의 제1변형예에서는, 에어실린더(111)의 압출로드(112) 앞끝의 돌출량이 대 →소 →대로 변화하지만, 도 17 및 도 18에 도시된 제2실시예의 제3변형예에서는 대 →소로 일방통행하도록 되어 있다.
(회전아암부의 회전동작)
회전아암부(106)가 인쇄롤러(14)의 판드럼에 대형탄성판(1)을 감아 장착할 때는, 대형탄성판(1)에 걸리는 장력을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하면서 인쇄롤러(14)의 회전에 대략 동기해서 회전하면서 하강하고, 인쇄롤러(14)의 판드럼에서 대형탄성판(1)을 떼어낼 때는 인쇄롤러(14)의 회전에 동기해서 회전하면서 상승할 수 있게 된다.
다음에는, 이와 같이 대형탄성판(1)에 걸리는 장력을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하면서 인쇄롤러(14)의 회전에 동기해서 회전하면서 하강하거나 상승하도록 해서, 작업자 한 사람이 대형탄성판의 착탈작업을 할 수 있는 예에 대해 설명한다.
(장착하는 경우)
작업자는 2개의 에어실린더(111)의 압출로드(112)의 돌출량을 조절하고서, 2개의 회전아암부(106)를 도 7에서의 12시위치(위쪽으로 바로 선 위치)에서 조금 오른쪽(시계방향)으로 동기해서 돌린 후 정지시킨다. 대형탄성판(1)의 제1판홀더(2) 의 지원장치지지용 구멍(4)을 회전아암부(106)의 지지부(107)의 걸림부(70)에 걸어 고정시키고 제2판홀더(3)를 밑으로 내려뜨린다(도 7 참조). 이렇게 2개의 회전아암부(106)를 도 7에서의 오른쪽(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각 회전아암부(106)의 지지부(107)가 도 7에서의 오른쪽 및 아래쪽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베이스판(109)에 대한 수직위치로부터 최대로 대략 각 회전아암부(106)의 길이만큼 좌우로 떨어진 위치에서, 더구나 대략 각 회전아암부(106)의 회전축(113)에서 최대 각 회전아암부(106)의 길이만큼 상하로 떨어진 위치에서 제1판홀더(2)를 회전아암부(106)에 걸어 매달리도록 할 수가 있기 때문에, 적은 힘으로 안전하고 확실하게 제2판홀더(3)를 제2척부(15)의 걸림돌기(15a)에 걸어 고정하거나 벗길 수가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지지부(107)가 연결부재(60)에 대해 자유로이 회전할 수 있게 부착되어 있어서, 회전아암부(106)가 어떻게 회전하더라도 제1판홀더(2)와 대형탄성판(1)이 무리하게 굽혀지는 일이 없이 대형탄성판(1)에 걸리는 장력의 방향에 따라 평행한 관계가 항상 유지되도록 할 수 있게 된다. 다시 말해, 인쇄롤러(14)의 판드럼의 접선방향을 따라 대형탄성판(1)에 장력을 작용시켰을 때, 상기 판드럼의 접선방향을 따라 대형탄성판(1)이 경사진 상태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게 된다.
다음, 제1판홀더(2)의 회전아암부(106)의 지지부(107)의 걸림부(70)에 대해 걸려진 것을 확인한 작업자는, 2개의 에어실린더(111)의 압출로드(112)의 돌출량을 조절하고서, 2개의 회전아암부(106)를 동기해서 도 7에서의 왼쪽(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밑으로 늘어뜨려진 제2판홀더(3)를 가로방향인 예컨대 수평방향으로 이 동시켜 인쇄롤러(14)의 제2척부(15)의 걸림돌기(15a)에 접근시키게 된다(도 14 참조). 따라서, 작업자는 제2판홀더(3)를 들어올린다거나 수평으로 이동시킬 필요 없이, 제2판홀더(3)의 척구멍(5)을 인쇄롤러(14)의 판드럼에 형성된 제2척부(15)의 걸림돌기(15a)에 손이나 자석 같은 것으로 당겨 고정시키기만 하면 된다.
다음에는 제2판홀더(3)의 제2척부(15)의 걸림돌기(15a)에 대한 고정이 완료된 것을 확인한 작업자는, 모터(14M)를 구동시켜 인쇄롤러(14)를 모터(14M)로 저속으로 회전시켜, 대형탄성판(1)을 인쇄롤러(14)의 판드럼에 서서히 감아 장착시킨다. 제1판홀더(2)가 보유지지되어 있는 2개의 회전아암부(106)는 인쇄롤러(14)의 모터(14M)의 회전수데이터에 기해 연산부(1010)에서 계산이 이루어지게 되고, 계산된 체적의 공기를 구동부(810)의 에어실린더 구동제어장치(910)로 2개의 에어실린더(111)의 회전축(113C) 쪽과는 반대되는 쪽 가압실 내로부터 서서히 배기되도록 하면, 자동적으로 적당한 장력이 유지되면서 대형탄성판(1)의 제1판홀더(2)가 인쇄롤러(14)의 판드럼에 형성된 제1척부(150)에 가까워질 때까지 회전하면서 하강을 계속하게 된다(도 8 및 도 14 참조).
한편, 대형탄성판(1)에 걸리는 장력의 값으로는, 예컨대 감기는 방향으로의 길이가 약 1040cm, 폭방향 길이가 약 795cm, 중량이 약 1.0kg 인 제2판홀더(3; 판홀더 2개는 2.4kg)를 인쇄롤러(14)에 고정시킨 상태에서, 제2판홀더(3)에 스프링저울의 앞끝을 걸어 밑으로 매달아 인쇄롤러(14)를 저속으로 회전시켜 측정하게 되면 2 ~ 5kg 중 일정한 값으로 된다. 또, 상기 인쇄롤러(14)의 모터(14M)의 회전을 정지시키면 회전아암부(106)의 하강도 그치게 된다.
다음, 2개의 회전아암부(106)의 회전이 진행되어 대형탄성판(1)의 제1판홀더(2)가 인쇄롤러(14)의 판드럼에 형성된 제1척부(150)에 가까워지면, 작업자가 인쇄롤러(14)의 모터(14M)의 회전을 정지시키고서 지원장치의 지지부(107)에서 제1판홀더(2)의 지원장치지지용 구멍을 벗겨내어, 제1판홀더(2)의 척구멍(5)을 인쇄롤러(14)의 판드럼에 형성된 제1척부(150)의 걸림돌기(150a)에 걸어 고정시킨다(도 9 참조). 한편 도 13에서는 회전아암부(106)의 지지부재(도시되지 않음)가 베이스판(109)의 바로 밑보다 조금 왼쪽까지 도달해 있게 된다. 이어 회전아암부(106)를 오른쪽으로 회전시키면 회전아암부(107)의 최대 길이만큼 베이스판(109)의 바로 위쪽 수직위치보다 조금 왼쪽으로 제1판홀더(2)를 이동시킬 수 있기 때문에, 적은 힘으로 안전하고 확실하게 걸어 고정시킬 수가 있게 된다.
이렇게 해서 대형탄성판(1)을 인쇄롤러(14)의 판드럼에 감아 장착하는 작업이 끝나게 된다.
(떼어내는 경우)
작업자는 대형탄성판(1)의 제1판홀더(2)의 척구멍(5)을 인쇄롤러(14)의 판드럼에 형성된 제1척부(150)의 걸림돌기(150a)에서 벗겨 제1판홀더(2)의 지원장치지지용 구멍(4)을 지원장치의 복수의 회전아암부(106)의 지지부(107)에 걸려지게 한다.
다음, 고정된 것을 확인한 작업자는 인쇄롤러(14)를 상기 감김방향으로 모터(14M)를 구동시켜 인쇄롤러(14)를 저속으로 회전시킨다. 이렇게 되면 제1판홀더(2)가 보유지지되어 있는 2개의 회전아암부(106)가, 인쇄롤러(14)의 모터(14M)의 회전수데이터에 기해 연산부(1010)에서 계산된 공기압입량에 기해, 에어실린더 구동제어장치(910)로 에어실린더(111)의 회전축(113C) 쪽과 반대되는 쪽 가압실에 압압되는 공기압입량을 제어하게 됨으로써 자동적으로 적당한 장력을 유지하면서 상승을 계속하기 때문에, 대형탄성판(1)이 중력으로 밑으로 늘어뜨려져 막형성장치나 지면에 닿지 않게 된다.
다음, 대형탄성판(1)의 전부가 인쇄롤러(14)의 판드럼에서 벗어난 상태에서 작업자는 인쇄롤(14)의 모터(14M)의 회전을 정지시키고, 제2판홀더(3)의 복수의 척구멍(5)을 인쇄롤러(14)의 판드럼에 형성된 제2척부(15)의 걸림돌기(15a)에서 벗기면 인쇄롤러(14)의 판드럼에서 대형탄성판(1)을 떼어내는 작업이 끝나게 된다.
그 결과, 대형탄성판(1)은 지원장치에 의해 밑으로 매달린 상태로 되어, 2개의 회전아암부(106)로 지지된 지지부(107)로부터 대형탄성판(1)의 지원장치지지용 구멍(4)을 뽑아내고 다른 대형탄성판(1)과 교환하게 된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탄성판 착탈지원장치는 이상과 같이 구성됨으로써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게 된다.
(1) 인쇄롤러(14)의 판드럼에 대형탄성판(1)을 감아 장착하거나 떼어낼 때, 탄성판 착탈지원장치에 의해 대형탄성판(1)이 보유지지될 수가 있기 때문에, 막성형장치 위로 대형탄성판(1)을 들어올리는 데 사람의 손이 필요하지 않아 작업효율이 대단히 좋아지게 된다.
(2) 대형탄성판(1)과 판홀더(2, 3)가 중량이 무겁더라도, 탄성판 착탈지원장치에 의해 대형탄성판(1)이 보유지지될 수가 있어서 작업자에게 중량적인 부하가 걸리지 않게 된다.
(a) 그 때문에, 대형탄성판(1)이 인쇄롤러(14) 위에 떨어지지 않아 대형탄성판(1)이나 막형성장치가 파손될 위험이 없게 된다.
(b) 또, 탄성판 착탈지원장치를 가지고 제1판홀더(2)를 기계적으로 하강시키기 때문에, 대형탄성판(1)에 흔들림이 생기지 않아 항상 제1판홀더(2)가 수평상태로 유지될 수 있어서, 인쇄롤러(14)의 판드럼에 대형탄성판(1)을 감아 장착할 때 대형탄성판(1)에 걸리는 장력이 전면적으로 균일하고 일정한 수치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대형탄성판(1)이 일렁이는 상태로 판드럼에 감기거나 하지 않게 된다.
(3) 대형탄성판(1)이 인쇄롤러(14)의 판드럼에 완전히 감겨 장착될 때까지 탄성판 착탈지원장치에 의해 대형탄성판(1)이 보유지지될 수 있어서, 사람의 손으로 시종 제1판홀더(2)를 잡고 있을 필요가 없기 때문에, 먼지나 기름, 땀이 묻은 손으로 탄성판을 장시간 잡고 있지 않아도 된다. 따라서, 먼지나 기름 또는 튄 땀이 탄성판에 묻어 탄성판이 쉽게 더렵혀지지 않게 된다.
(4) 회전아암부(106)를 쓰게 됨으로써 기계화가 이루어져, 대형탄성판(1)을 인쇄롤러(14)의 판드럼에 감아 장착할 때 제2판홀더(3)를 제2척부(15)의 정확한 위치로 이동시킬 수가 있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여러 가지 실시예 중 임의의 실시예를 적절히 조합함으로써 그들 각각이 갖는 효과가 발휘되도록 할 수가 있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탄성판 착탈지원장치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게 된다.
(1) 탄성판을 인쇄롤러의 판드럼에서 착탈시킬 때, 탄성판 착탈지원장치에 탄성판이 보유지지될 수가 있기 때문에, 막형성장치 위로 탄성판을 들어올리는 데 사람의 손이 필요하지 않아 작업효율이 대단히 좋아지게 된다.
(2) 탄성판과 판홀더가 중량이 무겁더라도, 탄성판 착탈지원장치에 의해 탄성판이 보유지지될 수가 있어서 작업자에게 중량적인 부하가 걸리지 않게 된다.
(a) 그 때문에, 탄성판이 인쇄롤러 위에 떨어지지 않아 탄성판이나 막형성장치가 파손될 위험이 없게 된다.
(b) 또, 탄성판 착탈지원장치로 판홀더를 기계적으로 하강시키기 때문에, 탄성판이 흔들리지 않아 항상 판홀더가 수평상태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어서, 인쇄롤러의 판드럼에 탄성판을 감아 부착시킬 때 탄성판에 걸리는 장력이 전면적으로 균일하고 일정한 수치를 유지하도록 할 수가 있게 된다. 따라서, 탄성판이 일렁이는 상태에서 판드럼에 감기거나 하지 않게 된다.
(3) 탄성판이 인쇄롤러의 판드럼(14)에 완전히 감겨 장착될 때까지 한쪽의 판홀더를 사람의 손으로 시종 잡고 있을 필요가 없기 때문에, 먼지나 기름, 땀이 묻은 손으로 탄성판을 장시간 잡고 있지 않아도 된다. 따라서 먼지나 기름 또는 튄 땀이 탄성판에 묻어 탄성판이 쉽게 더렵혀지지 않게 된다.
(4) 회전아암부를 써서 기계화하였기 때문에, 탄성판을 인쇄롤러의 판드럼에 말아 장착시킬 때 제2판홀더를 제2척부의 정확한 위치로 이동시킬 수가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해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충분히 기재되도록 하였으나, 이와 같은 기술에 숙련된 사람들로서는 여러 가지로 변형하거나 수정해서 실시할 수 있음은 명백하다 할 것인 바, 그와 같은 변형이나 수정은 첨부된 청구의 범위에 기한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 모두 그 중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9)

  1. 탄성판(1) 한쪽 끝에 부착된 제1판홀더(2)와 다른쪽 끝에 부착된 제2판홀더(3) 중 상기 제2판홀더(3)가 인쇄롤러(14)의 판드럼에 부착된 상태에서 상기 탄성판(1)의 제1판홀더(2)를 상기 인쇄롤러(14)의 판드럼에 장착하거나 떼어낼 때 쓰여지는 탄성판 착탈지원장치에 있어서,
    상기 탄성판(1)의 제1판홀더(2)를 보유지지하는 지지부(7, 107)와, 상기 탄성판(1)에 걸리는 장력이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하면서 상기 인쇄롤러(14)의 탄성판이 권취방향으로 회전하는 것과 대략 동기해서 상기 지지부(7, 107)를 상기 인쇄롤러(14)의 판드럼에 대해 접근시키는 한편, 상기 인쇄롤러(14)가 탄성판의 감김이 풀어지는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과 대략 동기해서 상기 지지부(7, 107)를 상기 인쇄롤러(14)에서 떨어지게 하는 탄성판 이동장치(11, 111, 800, 810, 900, 910, 1000, 1010)를 구비하고서,
    상기 인쇄롤러(14)가 상기 판드럼에 상기 탄성판(1)을 감기도록 할 때는, 상기 탄성판(1)에 걸리는 장력이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하면서 상기 인쇄롤러(14)의 상기 탄성판이 감기는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과 대략 동기해서 상기 지지부(7, 107)를 상기 탄성판 이동장치(11, 111, 800, 810, 900, 910, 1000, 1010) 에 의해 상기 인쇄롤러(14)의 판드럼에 접근시켜 이 인쇄롤러(14)의 판드럼에 상기 탄성판(1)이 감겨지도록 지원하는 한편, 상기 인쇄롤러(14)의 판드럼에서 탄성판(1)을 벗길 때는, 상기 인쇄롤러(14)의 탄성판이 벗겨지는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과 대략 동기해 서 상기 지지부(7, 107)를 상기 탄성판 이동장치(11, 111, 800, 810, 900, 910, 1000, 1010)로 상기 인쇄롤러(14)의 판드럼에서 떨어지도록 함으로써, 상기 인쇄롤러(14)의 판드럼에서 탄성판(1)이 벗겨지도록 지원하게 되는 탄성판 착탈지원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7)에는 옆으로 길게 연장되어 고정되고서 상하로 이동할 수 있도록 된 아암부(6)가 갖춰지고, 상기 탄성판 이동장치는 상하방향으로 배치된 레일(9)을 따라 상기 아암부(6)를 상하로 평행이동시키는 구동부(800)로 이루어져,
    상기 인쇄롤러(14)의 판드럼에 상기 탄성판(1)을 감을 때는, 상기 구동부(800)에 의해 상기 탄성판(1)에 걸리는 장력이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하면서 상기 인쇄롤러(14)가 탄성판이 감기는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과 대략 동기해서 상기 아암부(6)를 하강시켜 상기 지지부(7)를 상기 인쇄롤러(14)의 판드럼에 접근시킴으로써 상기 인쇄롤러(14)의 판드럼에 탄성판(1)이 감겨질 수 있도록 지원하는 한편, 상기 인쇄롤러(14)의 판드럼에서 탄성판(1)을 벗길 때는, 상기 구동부(800)에 의해 상기 인쇄롤러(14)가 상기 탄성판이 벗겨지는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과 대략 동기해서 상기 아암부(6)를 상승시켜 상기 지지부(7)가 인쇄롤러(14)의 상기 판드럼에서 떨어지도록 함으로써 상기 인쇄롤러(14)의 판드럼에서 탄성판(1)이 떼어내어질 수 있게 지원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판 착탈지원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하방향으로 배치된 상기 구동부(800)의 상기 레일(9)에, 상기 아암부(6)가 상하방향으로 평행이동을 할 때 직진동작을 하도록 안내하는 직선안내부재(13)가 더 갖춰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판 착탈지원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체 이동장치(800, 900,1000)가, 에어실린더(11)와, 상기 인쇄롤러(14)를 회전시키는 모터(14M)의 회전수에 기해 계산하게 되는 연산부(1000), 이 연산부(1000)에서 계산된 체적의 공기를 상기 에어실린더((11) 내의 가압실로부터 서서히 배기할 수 있도록 흡배기동작을 제어하는 에어실린더 구동제어장치(900)를 구비하여,
    이 에어실린더 구동제어장치(900)로 상기 연산부(1000)에서 계산된 체적의 공기가 상기 에어실린더(11) 내의 가압실로부터 서서히 배기될 수 있도록 흡배기동작을 제어함으로써, 상기 탄성판(1)에 걸리는 장력이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하면서 상기 인쇄롤러(14)가 탄성판이 감기는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과 대략 동기해서 상기 아암부(6)를 하강시켜 상기 지지부(7)를 상기 인쇄롤러(14)의 판드럼에 접근시킴으로써, 상기 인쇄롤러(14)의 판드럼에 탄성판(1)이 감겨질 수 있도록 지원하는 한편, 상기 인쇄롤러(14)의 판드럼에서 탄성판(1)을 벗길 때는, 상기 구동부(1000)에서 계산된 체적의 공기를 상기 에어실린더 구동제어장치(900)로 상기 에어실린더(11) 내의 가압실로 서서히 압입할 수 있도록 흡배기동작을 제어함으로 써, 상기 인쇄롤러(14)의 탄성판이 벗겨지는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과 대략 동기해서 상기 아암부(6)를 상승시켜 상기 지지부(7)를 인쇄롤러(14)의 상기 판드럼에서 떨어지도록 함으로써, 상기 인쇄롤러(14)의 판드럼에서 탄성판(1)을 벗길 수 있게 지원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판 착탈지원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롤러(14)의 위쪽에, 베이스판(109)에 부착된 한쪽 끝을 중심으로 해서 회전하는 한편 다른쪽 끝에는 상기 지지부(107)가 자유로이 회전할 수 있게 부착된 회전아암부(106)가 갖춰져, 상기 탄성판 이동장치(11, 111, 810, 910, 1010)가 이 회전아암부(106)의 회전을 제어하는 구동부(810)를 이루어,
    상기 인쇄롤러(14)의 판드럼에 탄성판(1)을 감을 때는, 상기 탄성판(1)에 걸리는 장력이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하면서 상기 구동부(810)에 의해 상기 인쇄롤러(14)가 탄성판이 감기는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과 대략 동기하여 상기 회전아암부(106)의 상기 다른쪽 끝을 회전하면서 하강하도록 해서 상기 인쇄롤러(14)의 판드럼에 상기 지지부(107)를 접근시킴으로써 상기 인쇄롤러(14)의 판드럼에 탄성판(1)이 감겨질 수 있도록 지원하는 한편, 상기 인쇄롤러(14)의 판드럼에서 탄성판(1)을 벗길 때는, 상기 구동부(810)에 의해 상기 인쇄롤러(14)가 탄성판이 벗겨지는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과 대략 동기하여 상기 회전아암부(106)의 다른쪽 끝을 회전하면서 상승하도록 해서 상기 지지부(107)를 인쇄롤러(14)의 상기 판드럼에서 떨어지도록 함으로써, 상기 인쇄롤러(14)의 상기 판드럼에서 상기 탄성판(1) 을 벗길 수 있게 지원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판 착탈지원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판홀더(2)에는 중앙부 1곳에 배치되어 상기 지지부(7, 107)에 의해 걸려지는 지원장치지지용 구멍(4)이 형성되어, 이 지원장치지지용 구멍(4)이 상기 지지부(7, 107)에 걸려지도록 함으로써 이 지지부(7, 107)에 상기 탄성판(1)이 진자모양으로 매달리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판 착탈지원장치.
  7.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판(109)에서 뻗은 로드(22)의 앞끝에 설치되어, 상기 회전아암부(106)가 회전하는 도중 상기 탄성판(1)이 상기 인쇄롤러(14)의 판드럼에 감기는 부분에서 상기 판드럼의 접선방향을 따라 상기 탄성판(1)이 경사지게 되도록 하는 가동회전롤러(21)가 더 갖춰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판 착탈지원장치.
  8.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체 이동장치(810, 910, 1010)가, 에어실린더(111)와, 상기 인쇄롤러(14)를 회전시키는 모터(14M)의 회전수에 기해 계산하게 되는 연산부(1010), 이 연산부(1010)에서 계산된 체적의 공기를 상기 에어실 린더(111) 내의 가압실에서 서서히 배기할 수 있도록 흡배기동작을 제어하는 에어실린더 구동제어장치(910)를 구비하여,
    상기 연산부(1010)에서 계산된 체적의 공기를 상기 에어실린더 구동제어장치(910)로 상기 에어실린더(111) 내의 가압실로부터 서서히 배기될 수 있도록 흡배기동작을 제어함으로써, 상기 탄성판(1)에 걸리는 장력이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하면서 상기 인쇄롤러(14)가 탄성판이 감기는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과 대략 동기하여 상기 회전아암부(106)의 다른쪽 끝을 회전하면서 하강하도록 해서 상기 지지부(107)를 상기 인쇄롤러(14)의 판드럼에 접근시킴으로써, 상기 인쇄롤러(14)의 판드럼에 탄성판(1)이 감겨질 수 있도록 지원하는 한편, 상기 인쇄롤러(14)의 판드럼에서 탄성판(1)을 벗길 때는, 상기 연산부(1010)에서 계산된 체적의 공기를 상기 에어실린더 구동제어장치(910)로 상기 에어실린더(111) 내의 가압실로 서서히 압입할 수 있도록 흡배기동작을 제어함으로써, 상기 인쇄롤러(14)의 상기 탄성판이 벗겨지는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과 대략 동기해서 상기 아암부(106)의 상기 다른쪽 끝을 회전하면서 상승하도록 하여 상기 지지부(107)가 상기 인쇄롤러(14)의 상기 판드럼에서 떨어지도록 함으로써, 상기 인쇄롤러(14)의 판드럼에서 탄성판(1)을 벗길 수 있게 지원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판 착탈지원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판 이동장치(11, 111, 810, 910, 1010)가, 상기 회전아암부(106)의 다른쪽 끝에 앞끝이 연결된 압출로드(112)를 돌출시켜 상기 회전아암부(106)의 상기 다른쪽 끝이 위쪽으로 위치하도록 항상 밀어붙이는 에어실린더(111)로 이루어져,
    상기 인쇄롤러(14)의 판드럼에 탄성판(1)을 감을 때는, 상기 인쇄롤러(14)가 탄성판이 감기는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는 회전력이 상기 탄성판(1)을 매개로 전해짐으로써 상기 회전아암부(106)가 회전하게 됨으로써 상기 실린더(11) 내에 상기 압출로드(112)가 압입되어, 상기 탄성판(1)에 걸리는 장력이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하면서 상기 인쇄롤러(14)가 탄성판이 감기는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과 대략 동기해서 상기 회전아암부(106)의 상기 다른쪽 끝을 회전하면서 하강하도록 하여 상기 인쇄롤러(14)의 판드럼에 상기 지지부(7)를 접근시킴으로써, 상기 인쇄롤러(14)의 판드럼에 탄성판(1)이 감겨지도록 지원하는 한편, 상기 인쇄롤러(14)의 판드럼에서 탄성판(1)을 벗겨낼 때는, 상기 인쇄롤러(14)의 상기 탄성판이 벗겨지는 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상기 탄성판(1)에 작용하는 인장력이 저하됨으로써 상기 회전아암부(106)가 상기와는 반대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상기 에어실린더(111) 내로부터 상기 압출로드(112)가 돌출하게 되어, 상기 인쇄롤러(14)의 상기 탄성판(1)이 벗겨지는 방향으로의 회전에 동기해서 상기 아암부(106)의 다른쪽 끝을 회전하면서 상승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지지부(7)를 상기 인쇄롤러(14)의 판드럼에서 떨어지도록 하여, 상기 인쇄롤러(14)의 상기 판드럼에서 탄성판(1)을 벗길 수 있게 지원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판 착탈지원장치.
KR1020027009813A 2000-02-16 2001-02-15 탄성판 착탈지원장치 KR10066435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0038754A JP2001225447A (ja) 2000-02-16 2000-02-16 大型弾性版巻付け取外し支援装置
JPJP-P-2000-00038754 2000-02-16
JP2001022514A JP3448570B2 (ja) 2001-01-30 2001-01-30 大型弾性版巻付け取外し支援装置
JPJP-P-2001-00022514 2001-01-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07407A KR20030007407A (ko) 2003-01-23
KR100664355B1 true KR100664355B1 (ko) 2007-01-02

Family

ID=265855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09813A KR100664355B1 (ko) 2000-02-16 2001-02-15 탄성판 착탈지원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0664355B1 (ko)
TW (1) TW503178B (ko)
WO (1) WO2001060618A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34960A (en) 1980-05-08 1982-02-25 Polygraph Leipzig Auxiliary device for lining block board
JPH04284252A (ja) * 1991-03-14 1992-10-08 Komori Corp 版胴への刷版装着装置
JPH0668835A (ja) * 1992-08-24 1994-03-11 Jeol Ltd トンネルスペクトロスコピー
JPH0760941A (ja) * 1993-08-30 1995-03-07 Mitsubishi Heavy Ind Ltd 刷版交換装置
JPH08258247A (ja) * 1995-03-07 1996-10-08 Heidelberger Druckmas Ag 輪転印刷機の版胴から取り外された版板を引き取り、保持するための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97630Y2 (ja) * 1993-03-15 1999-07-12 株式会社小森コーポレーション 印刷機の安全装置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34960A (en) 1980-05-08 1982-02-25 Polygraph Leipzig Auxiliary device for lining block board
JPH04284252A (ja) * 1991-03-14 1992-10-08 Komori Corp 版胴への刷版装着装置
JPH0668835A (ja) * 1992-08-24 1994-03-11 Jeol Ltd トンネルスペクトロスコピー
JPH0760941A (ja) * 1993-08-30 1995-03-07 Mitsubishi Heavy Ind Ltd 刷版交換装置
JPH08258247A (ja) * 1995-03-07 1996-10-08 Heidelberger Druckmas Ag 輪転印刷機の版胴から取り外された版板を引き取り、保持するための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1060618A1 (fr) 2001-08-23
TW503178B (en) 2002-09-21
KR20030007407A (ko) 2003-0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795219B (zh) 一种适用于纺织面料的印染设备的工作方法
CN217971399U (zh) 一种双面打标机
CN109795218B (zh) 一种适用于纺织面料的印染设备
JP2724668B2 (ja) 刷版配送装置
KR100664355B1 (ko) 탄성판 착탈지원장치
JP2000219344A (ja) 吸着装置
CN110342294B (zh) 一种升降换卷放布装置
JP2020000387A (ja) 縫製装置
EP0463258A1 (en) Silk-screen printing apparatus
CN216400889U (zh) 一种阀控电池丝网印刷装置
CN115283953A (zh) 发动机缸盖安装装置及控制方法
JP3115973B2 (ja) 実装機の部品供給部交換システム
CN114988095A (zh) 一种滚筒刷内芯鸟笼架组装设备
JP3448570B2 (ja) 大型弾性版巻付け取外し支援装置
CN110294182A (zh) 一种多功能吸标式贴标机及其贴标方法
CN117067761B (zh) 布料张力可调的涤纶布印花设备及印花方法
JP2001225447A (ja) 大型弾性版巻付け取外し支援装置
CN219328823U (zh) 一种电气检测装置
CN217867709U (zh) 一种钢结构吊装装置
CN213770705U (zh) 一种绒毛浆卷开卷架
CN114176371B (zh) 一种便捷型移动超市柜
CN220590594U (zh) 一种方便灵活调节的防水卷材涂布装置
CN217025230U (zh) 玻璃吊具
CN216095648U (zh) 一种扁钢生产用输送装置
CN216504984U (zh) 一种方便调节角度的机械设备维修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31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