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64265B1 - 편파 다이버시티 기술을 적용한 방송수신 휴대단말기 및 그방법 - Google Patents

편파 다이버시티 기술을 적용한 방송수신 휴대단말기 및 그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64265B1
KR100664265B1 KR1020050129081A KR20050129081A KR100664265B1 KR 100664265 B1 KR100664265 B1 KR 100664265B1 KR 1020050129081 A KR1020050129081 A KR 1020050129081A KR 20050129081 A KR20050129081 A KR 20050129081A KR 100664265 B1 KR100664265 B1 KR 1006642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mobile terminal
polarization
diversity
out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290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명
신범재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1290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6426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642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642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10Polarisation diversity; Directional diversit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 H01Q1/24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 H01Q1/241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 H01Q1/24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 H01Q1/243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with built-in antenna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9/00Electrically-short antennas having dimensions not more than twice the operating wavelength and consisting of conductive active radiating elements
    • H01Q9/04Resonant antennas
    • H01Q9/0407Substantially flat resonant element parallel to ground plane, e.g. patch antenn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8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receiving station
    • H04B7/0837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receiving station using pre-detection combining
    • H04B7/0842Weighted combining
    • H04B7/0848Joint weighting
    • H04B7/0857Joint weighting using maximum ratio combining techniques, e.g. signal-to- interference ratio [SIR], received signal strenght indication [RS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04Peripherals receiving signals from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 H04N21/4126The peripheral being portable, e.g. PDAs or mobile pho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Radio Transmission System (AREA)
  • Variable-Direction Aerials And Aerial Arra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멀티미디어 방송에 대한 수신 감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편파 다이버시티(Polarization Diversity) 기술을 적용한 방송수신 휴대단말기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이와 같은 본 발명은, 두 개의 편파 특성을 갖는 하나의 패치형(patch type) 안테나로 방송신호를 수신함으로써 휴대단말기의 소형화에 기여할 수 있고, 이 두 개의 브랜치(branch)를 이용하여 다이버시티를 구현함으로써 시스템 잡음에 강하며 수신감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방송수신 휴대단말기를 구현한다.
휴대단말기, DMB, 지상파, 패치형 안테나, 편파 다이버시티

Description

편파 다이버시티 기술을 적용한 방송수신 휴대단말기 및 그 방법{BROADCASTING MOBILE TERMINAL APPLIED POLARIZATION DIVERSITY AND METHOD THEREFOR}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편파 다이버시티 기술을 적용한 방송수신 휴대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수신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패치형 안테나의 구조를 나타내는 구조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방송수신 휴대단말기에서의 편파 다이버시티 방법의 구현과정을 나타낸 순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방송수신 휴대단말기 110: 수신부
120: 출력부 130: 제어부
140: 저장부 210: 수신부
220, 240: 튜닝부 222, 242: 증폭기
224, 244: 제 1 필터 226, 246: 제 1 자동이득제어 증폭기
228, 248: 하향 변환기 230, 250: 제 2 필터
232, 252: 제 2 자동이득제어 증폭기 234, 254: 차동증폭기
260: 기저대역부 262: 비교기
264: 변환기 310, 320: 접지판
330, 340: 고유전체 기판 350: 지지대
360: 제 1 안테나 소자 370: 제 2 안테나 소자
본 발명은 방송수신 휴대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멀티미디어 방송에 대한 수신 감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편파 다이버시티 기술을 적용한 방송수신 휴대단말기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DMB폰(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Phone)과 같은 방송수신 휴대단말기는 디지털 방식으로 변조된 음성, 영상 등의 다양한 멀티미디어 신호를 수신하여 사용자가 언제 어디서든 원하는 방송을 시청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런 방송수신 휴대단말기는 작은 크기와 휴대성 때문에 손안의 TV라고도 불린다.
상기 방송수신 휴대단말기에서의 방송수신 기술은 디지털 라디오용 기술인 DAB(Digital Audio Broadcasting)에 바탕을 두고 있다. 종래 DAB용 수신기의 경우, 오디오 방송을 수신하는데 있어서 모노폴 안테나를 이용하였으며, 이 안테나의 수신 성능을 높이기 위해 넓은 접지판(ground plane)을 요구하였다. 따라서, 자석 등을 이용하여 안테나 밑단을 넓은 금속판에 붙여서 안테나 성능을 이용하게 하였는 데 이는 휴대단말기처럼 휴대성이 중시되는 소형기기에는 적용이 불가능하다. 또한, 종래 기술에서는 안테나 초단에 스위치를 구비하여 안테나 초단의 RF(Radio Frequency) 수신신호의 크기만을 비교하기 때문에 신호에 잡음(Noise) 성분이 얼마나 포함되어 있는지 알 수가 없었고, 이는 잡음 성분의 증가를 가져올 수도 있었다.
특히, 지상파 DMB와 같은 지상파 방송을 수신하는 휴대단말기의 경우, 휴대단말기에 장착된 안테나만으로 다중경로 패딩(multi-path padding) 환경을 통해서 들어오는 신호를 제대로 복원하는 것은 어려운 일이다. 더구나, 신호를 제대로 복원하더라도 그 수신환경에 따라서 수신품질 자체가 나빠질 수 있으며, 전계 세기가 강한 지역에서만 방송을 시청할 수 있는 한계가 있다.
상기와 같이, 종래 기술에 따른 방송 수신 방법은 다중경로 페이딩 극복이 어렵고 기지국과 단말기 간의 거리가 먼 경우 품질이 상당히 떨어지게 되어, 방송수신 휴대단말기, 특히, 지상파 방송수신 휴대단말기에 사용하기에 적합한 방송수신 방식이 아니며, 아직까지 방송수신 휴대단말기에 적용시킬 만큼 방송수신 감도를 향상시키는 방송수신 방식이 제안되지 않았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멀티미디어 방송에 대한 수신 감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편파 다이버시티(Polarization Diversity) 기술을 적용한 방송수신 휴대단말기 및 그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휴대단말기에서의 지상파 방송 수신에 적합한 편파 다이버시티 기술을 적용한 방송수신 휴대단말기 및 그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편파 다이버시티 기술을 적용한 방송수신 휴대단말기는, 방송신호를 수신하여 수평 편파특성 성분과 수직 편파특성 성분 각각에 대해 편파 다이버시티를 수행하고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수신부와; 영상 및 음성을 출력하는 출력부와; 상기 수신부에서의 편파 다이버시티 및 아날로그-디지털 신호 변환을 제어하고 변환된 디지털 신호를 복원하여 상기 출력부에서 출력하도록 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에 의해 방송신호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방송수신 휴대단말기에서의 편파 다이버시티 기술 적용방법은, 고주파수 대역의 수직 편파 신호와 수평 편파 신호를 분리하여 입력받는 과정과; 입력된 각각의 고주파 신호를 중간주파수 신호로 변환하는 과정과; 변환된 중간주파수 신호를 차동증폭하여 출력하는 과정과; 차동 증폭된 각 신호들의 신호대잡음비를 비교하여 좋은 신호를 구분하여 다이버시티를 하고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지상파 DMB와 같은 지상파 방송 시스템의 경우, 송신국에서 수직 편파와 수평 편파의 두 개 안테나를 사업자별로 달리 사용함에 따라 수신기에서 그 편파 특성에 맞게 수신하는 방법이 중요하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방송수신 휴대단말기에 편파 다이버시티 기술을 적용시킬 것을 제안한다.
일반적으로, 다이버시티 수신방식이란 전파(radio wave)의 전파(propagation) 도중에 일어나는 페이딩(fading)을 제거하고 항상 일정한 강도로 수신할 수 있게 하는 방식을 말하고, 편파 다이버시티란 상기 다이버시티 수신방식 중 하나로써, 직교하는 두 편파의 전파를 이용하는 방식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된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편파 다이버시티 기술을 적용한 방송수신 휴대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단말기(100)는 방송신호를 수신하여 수평 편파특성 성분과 수직 편파특성 성분 각각에 대해 편파 다이버시티를 수행하고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수신부(110)와; 영상 및 음성을 출력하는 출력부(120)와; 상기 수신부(110)에서의 편파 다이버시티 및 아날로그-디지털 신호 변환을 제어하고 변환된 디지털 신호를 복원하여 상기 출력부(120)에서 출력하도록 하는 제어부(130)와; 상기 제어부(130)에 의해 방송신호를 저장하는 저장부(14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수신부(110)는 수직 편파특성과 수평 편파특성을 갖는 하나의 패치형 안테나와; 상기 안테나로 수신되는 방송신호의 수평 편파특성 성분과 수직 편파특성 성분 각각에 대해 편파 다이버시티를 수행하는 튜닝부 및 기저대역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는데, 이는 도 2에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출력부(120)는 디스플레이 패널이나 스피커와 같은 영상이나 음성 출력수단일 수 있으며, 텔레비전이나 모니터와 같은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와 체결되어 영상신호를 출력할 수 있도록 하는 영상 출력 단자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출력부(120)는 앰프 및 대형 스피커와 같은 외부 오디오 장치와 연결되어 음성 신호를 출력할 수 있도록 하는 음성 출력 단자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 밖에도 적외선 신호나 블루투스 신호와 같은 근거리 무선통신신호 등 다양한 신호를 출력하는 출력 단자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휴대단말기(100)는 키패드나 마이크로폰 혹은 터치스크린과 같은 입력 수단을 포함할 수 있으며, 키보드와 같은 외부 입력 수단과 체결되어 신호를 입력받을 수 있도록 하는 입력 단자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상기 수신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구성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상기 패치형 안테나의 구조를 나타내는 구조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신부(110)는 수직 편파특성과 수평 편파특성을 갖는 패치형 안테나(210)와; 상기 안테나로 수신되는 방송신호의 수평 편파특성 성분과 수직 편파특성 성분 각각에 대해 증폭, 필터링, 주파수 변환 및 차동 증폭을 통해 튜닝을 수행하여 는 두 개의 튜닝부(220, 240)와; 상기 각각의 튜닝부(220, 240)에서 출력되는 차동증폭된 신호들(IF_P1, IF_N1, IF_P2, IF_N2)의 신호대잡음(Signal to Noise: S/N)비를 비교하여 좋은 신호를 구분하여 다이버시티를 수행하고 아날로그에서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기저대역부(2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패치형 안테나(210)는 한 면에는 수직 편파특성을 갖는 안테나 소자를 구비하고 다른 한 면에는 수평 편파 특성을 갖는 안테나 소자를 상기 수직 편파특성을 갖는 안테나 소자와 직교하도록 구비하는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대(350)에 의해 소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두 개의 접지판(310,320)과; 상기 두 개의 접지판(310,320)의 외측 표면 각각에 하나씩 부착되는 고유전체 기판(330,340)과; 상기 두 개의 고유전체 기판 중 하나의 고유전체 기판(330)의 외측 표면에 부착되는 제 1 안테나 소자(360)와, 다른 하나의 고유전체 기판(340)의 외측 표면에 부착되는 제 2 안테나 소자(37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 1 안테나 소자(360)와 제 2 안테나 소자(370)는 서로 직교하도록 배치되는데, 예를 들어, 상기 제 1 안테나 소자(360)는 상하 방향으로, 상기 제 2 안테나 소자(360)는 좌우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지 제 1 안테나 소자(360)는 수직 편파 특성을 갖고 제 2 안테나 소자(370)는 수평 편파 특성을 갖는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통해 상기 패치형 안테나(210)는 한 면에는 수직 편파 특성을 갖고 다른 한 면에는 수평 편파 특성을 갖게 되어, 송신국에서 수직 편파와 수평 편파의 두 개 안테나를 사업자별로 달리 사용하는 지상파 방송의 특성에 맞게 방송을 수신할 수 있게 된다.
다시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두 개의 튜닝부(220, 240)는 각각 고 주파 신호를 증폭하는 증폭기(222, 242)와; 상기 증폭기(222, 242)에 의해 증폭된 고주파 신호에 포함된 방해 신호를 차단하는 제 1 필터(224, 244)와; 상기 제 1 필터(224, 244)에서 출력된 신호의 진폭을 일정하게 조절하여 출력하는 제 1 자동이득제어 증폭기(226, 246)와; 상기 제 1 자동이득제어 증폭기(226, 246)에 의해 일정하게 조정된 고주파 신호를 중간 주파수 대역의 신호로 하향변환하는 하향변환기(228, 248)와; 상기 변환된 중간 주파수 대역의 신호에 포함된 방해 신호를 차단하는 제 2 필터(230, 250)와; 상기 제 2 필터에서 출력된 신호의 진폭을 일정하게 조절하여 출력하는 제 2 자동이득제어 증폭기(232, 252)와; 상기 제 2 자동이득제어 증폭기(232, 252)에 의해 일정하게 조절된 중간주파수 신호를 차동증폭하여 서로 위상이 다른 두 개씩의 신호로 출력하는 차동증폭기(234, 25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증폭기(222, 242)와 제 1 필터(223, 244), 제 1 자동이득제어 증폭기(226, 246)는 하나의 트래킹 필터로써 구성되어 트래킹을 수행할 수 있으며, 상기 하향변환기(228, 248)와 제 2 필터(230, 250), 제 2 자동이득제어 증폭기(232, 252)는 하나의 IF 필터로써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기저대역부(260)는 상기 각각의 튜닝부(220, 240)에서 출력되는 차동증폭된 신호들(IF_P1, IF_N1, IF_P2, IF_N2)의 신호대잡음(Signal to Noise: S/N) 비를 비교하여 좋은 신호를 구분하여 다이버시티를 수행하는 비교기(262)와; 상기 비교기(262)로부터 출력되는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변환기(26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한편 상기 패치형 안테나(210)는 폴더타입(folder type) 휴대단말기의 경우 폴더부(덮개부)에 삽입될 수 있고, 바(bar) 타입이나 슬라이드(slide) 타입의 경우 단말기의 뒷면에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휴대단말기(100)가 일반적인 형태로 고정된 채로 방송을 수신할 경우 상기 패치형 안테나(210)와 대지면과의 각도가 45도 정도로 이루어져 수직 및 수평 편파 특성이 90도가 되어 편파 다이버시티 성능을 우수하게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방송수신 휴대단말기에서의 편파 다이버시티 방법의 구현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방송수신 휴대단말기에서의 편파 다이버시티 방법은, 고주파수 대역의 방송신호에 대해 수직 편파 신호와 수평 편파 신호를 분리하여 입력받는 과정과(S410); 입력된 각각의 RF 신호를 IF 신호로 변환하는 과정과(S420); 변환된 IF 신호를 차동증폭하여 출력하는 과정과(S430); 차동 증폭된 각 신호들의 S/N비를 비교하여 좋은 신호를 구분하여 다이버시티를 하고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과정(S440)을 포함하여 수행함으로써 구현된다.
상기 과정들을 도 2와 결부시켜 더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패치형 안테나(210)로 고주파(RF) 대역의 방송신호의 수직 편파 특성성분과 수평 편파 특성성분을 각각 입력받는다(S410).
상기 수직 편파 특성성분과 수평 편파 특성성분의 신호 각각에 대해 저잡음 증폭기와 같은 증폭기(222, 242)로 증폭한 후 로우패스필터(Low Pass Filter)와 같 은 제 1 필터(224, 244)를 통해 이 고주파 신호에 포함된 방해 신호를 차단하고 제 1 자동이득제어 증폭기(226, 246)로 상기 제 1 필터(224, 244)에서 출력된 신호의 진폭을 일정하게 조절하여 출력한다. 이후, 하향변환기(228, 248)로 중간 주파수 대역의 신호로 하향 변환한 후, 제 2 필터(230, 250)로 상기 변환된 중간 주파수 대역의 신호에 포함된 방해 신호를 차단하고, 제 2 자동이득제어 증폭기(232, 252)로 상기 제 2 필터(230, 250)에서 출력된 신호의 진폭을 일정하게 조절하여 출력한다(S420).
이후 차동증폭기(234, 254)로 상기 제 2 자동이득제어 증폭기(232, 252)에 의해 일정하게 조절된 중간주파수 신호를 각각 차동증폭하여 서로 위상이 다른 두 개씩의 신호, 즉, 총 4개의 신호로 출력한다(S430).
그러면 비교기(262)에서 상기 차동 증폭된 각 신호들의 S/N비를 비교하여 좋은 신호를 구분하여 다이버시티를 하고 변환기(264)에서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한다(S440).
그리고,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편파 다이버시티 기술을 적용한 방송수신 휴대단말기 및 그 방법은, 하나의 패치형 안테나에 두 개의 편파 특성을 갖도록 함으로써 송신국에서 수직 편파와 수평 편파의 두 개 안테나를 사업자별로 달리 사용하는 지상파 방송을 수신하는데 최적화된 성능을 구현하며, 휴대단말기의 소형화에 기여할 수 있고, 이 두 개의 브랜치를 이용하여 다이버시티를 구현함으로써 수신감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안테나 급전선 이후 시스템 초단에 스위칭 소자를 사용하지 않으므로 신호 잡음이나 손실을 줄일 수 있고, 두 개의 튜닝부를 사용하여 각 브랜치의 고주파 신호를 중간주파수 신호로 변환하기 때문에 다른 시스템 잡음에 강하며, 차동증폭된 출력의 각 중간주파수 신호의 신호대잡음비를 비교한 후 정확하게 어느 신호가 더 좋은 신호인지를 확실히 구분하여 다이버시티하기 때문에 수신 품질을 우수하게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3)

  1. 방송신호를 수신하여 수평 편파특성 성분과 수직 편파특성 성분 각각에 대해 편파 다이버시티를 수행하고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수신부와;
    영상 및 음성을 출력하는 출력부와;
    상기 수신부에서의 편파 다이버시티 및 아날로그-디지털 신호 변환을 제어하고 변환된 디지털 신호를 복원하여 상기 출력부에서 출력하도록 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에 의해 방송신호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파 다이버시티 기술을 적용한 방송수신 휴대단말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부는
    수신부는 수직 편파특성과 수평 편파특성을 갖는 패치형 안테나와;
    상기 안테나로 수신되는 방송신호의 수평 편파특성 성분과 수직 편파특성 성분 각각에 대해 증폭, 필터링, 주파수 변환 및 차동 증폭을 통해 튜닝을 수행하여 는 두 개의 튜닝부와;
    상기 각각의 튜닝부에서 출력되는 차동증폭된 신호들의 신호대잡음비를 비교하여 좋은 신호를 구분하여 다이버시티를 수행하고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기저대역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파 다이버시티 기술을 적용한 방송수신 휴대단말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패치형 안테나는
    한 면에는 수직 편파특성을 갖는 안테나 소자를 구비하고 다른 한 면에는 수평 편파 특성을 갖는 안테나 소자를 상기 수직 편파특성을 갖는 안테나 소자와 직교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파 다이버시티 기술을 적용한 방송수신 휴대단말기.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패치형 안테나는
    지지대에 의해 소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두 개의 접지판과; 상기 두 개의 접지판의 외측 표면 각각에 하나씩 부착되는 고유전체 기판과; 상기 두 개의 고유전체 기판 중 하나의 고유전체 기판의 외측 표면에 부착되는 제 1 안테나 소자와, 다른 하나의 고유전체 기판의 외측 표면에 부착되는 제 2 안테나 소자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파 다이버시티 기술을 적용한 방송수신 휴대단말기.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안테나 소자는
    수직 편파 특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파 다이버시티 기술을 적용한 방송수신 휴대단말기.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안테나 소자는
    수평 편파 특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파 다이버시티 기술을 적용한 방송수신 휴대단말기.
  7.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두 개의 튜닝부는 각각
    고주파 신호를 증폭하는 증폭기와;
    상기 증폭기에 의해 증폭된 고주파 신호에 포함된 방해 신호를 차단하는 제 1 필터와;
    상기 제 1 필터에서 출력된 신호의 진폭을 일정하게 조절하여 출력하는 제 1 자동이득제어 증폭기와;
    상기 제 1 자동이득제어 증폭기에 의해 일정하게 조정된 고주파 신호를 중간 주파수 대역의 신호로 하향변환하는 하향 변환기와;
    상기 변환된 중간 주파수 대역의 신호에 포함된 방해 신호를 차단하는 제 2 필터와;
    상기 제 2 필터에서 출력된 신호의 진폭을 일정하게 조절하여 출력하는 제 2 자동이득제어 증폭기와;
    상기 제 2 자동이득제어 증폭기에 의해 일정하게 조절된 중간주파수 신호를 차동증폭하여 서로 위상이 다른 두 개의 신호로 출력하는 차동증폭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파 다이버시티 기술을 적용한 방송수신 휴대단말기.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증폭기와 제 1 필터, 제 1 자동제어 증폭기는
    하나의 트래킹 필터로써 구성되어 트래킹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파 다이버시티 기술을 적용한 방송수신 휴대단말기.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하향 변환기와 제 2 필터, 제 2 자동이득제어 증폭기는 하나의 IF 필터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파 다이버시티 기술을 적용한 방송수신 휴대단말기.
  10.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기저대역부는
    상기 각각의 튜닝부에서 출력되는 차동증폭된 신호들의 신호대잡음비를 비교하여 좋은 신호를 구분하여 다이버시티를 수행하는 비교기와;
    상기 비교기로부터 출력되는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변환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파 다이버시티 기술을 적용한 방송수신 휴대단말기.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부는
    영상이나 음성 출력수단으로써, 외부 장치와 체결되어 신호를 출력할 수 있도록 하는 출력 단자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파 다이버시티 기술을 적용한 방송수신 휴대단말기.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단말기는
    외부 입력 수단과 체결되어 신호를 입력받을 수 있도록 하는 입력 단자를 포함하는 입력 수단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파 다이버시티 기술을 적용한 방송수신 휴대단말기.
  13. 고주파수 대역의 방송신호에서 수직 편파 신호와 수평 편파 신호를 분리하여 입력받는 단계와;
    입력된 각각의 RF 신호를 IF 신호로 변환하는 단계와;
    변환된 IF 신호를 차동증폭하여 출력하는 단계와;
    차동 증폭된 각 신호들의 S/N비를 비교하여 좋은 신호를 구분하여 다이버시티를 하고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수신 휴대단말기에서의 편파 다이버시티 방법.
KR1020050129081A 2005-12-23 2005-12-23 편파 다이버시티 기술을 적용한 방송수신 휴대단말기 및 그방법 KR1006642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29081A KR100664265B1 (ko) 2005-12-23 2005-12-23 편파 다이버시티 기술을 적용한 방송수신 휴대단말기 및 그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29081A KR100664265B1 (ko) 2005-12-23 2005-12-23 편파 다이버시티 기술을 적용한 방송수신 휴대단말기 및 그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64265B1 true KR100664265B1 (ko) 2007-01-04

Family

ID=378668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29081A KR100664265B1 (ko) 2005-12-23 2005-12-23 편파 다이버시티 기술을 적용한 방송수신 휴대단말기 및 그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64265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93936B2 (en) Flexible multi-channel wireless audio receiver system
US4369520A (en) Instantaneously acquiring sector antenna combining system
US7454180B2 (en) Vehicle-mounted receiving apparatus for reducing distortion, improving reception sensitivity, and saving power
US2007017328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ducing combiner loss in a multi-sector, omni-base station
EP1906538A2 (en) Method and system for communicating information in a multi-antenna system
US20040168193A1 (en) Satellite digital radio broadcast receiver
CN101447796A (zh) 双通道广播接收器和具有该接收器的移动终端
KR100664265B1 (ko) 편파 다이버시티 기술을 적용한 방송수신 휴대단말기 및 그방법
EP2211485A1 (en) Hybrid switched-phased diversity system and method
KR100723151B1 (ko) 모바일 복합 디지탈 tv 수신 모듈
JP2748829B2 (ja) 衛星放送受信装置
JP2008060907A (ja) アダプティブアンテナ装置及び無線通信装置
JPH06303171A (ja) ダイバーシチ受信方式
JPS61278223A (ja) アンテナ装置
KR100664256B1 (ko)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의 수신 감도 개선을 위한 장치
US11463119B2 (en) High frequency radio including an adjustable-bandwidth tunable bandpass filter for improved detection of incoming calls and methods for processing incoming calls
KR20060064359A (ko) 위성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신호 수신 장치 및 이를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
KR20150063721A (ko) 다이버시티 안테나 시스템의 fm 및 rds 간 적응형 데이터 처리 장치 및 방법
JP2005311536A (ja) 無線装置
JP2008236414A (ja) デジタル信号受信機
JP2874468B2 (ja) 携帯無線電話機
KR20080047219A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다수의 방송 서비스 채널들을 동시수신하는 방송 방법 및 방송 장치
JP3463359B2 (ja) アンテナ制御装置
JP6874291B2 (ja) 受信機、アンテナシステム、受信機の受信フロントエンド、無線信号の受信方法
KR20070010856A (ko) 휴대단말기의 수신감도 증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4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