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63981B1 - 감귤 정유를 함유하는 여드름에 유효한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감귤 정유를 함유하는 여드름에 유효한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63981B1
KR100663981B1 KR1020030015867A KR20030015867A KR100663981B1 KR 100663981 B1 KR100663981 B1 KR 100663981B1 KR 1020030015867 A KR1020030015867 A KR 1020030015867A KR 20030015867 A KR20030015867 A KR 20030015867A KR 100663981 B1 KR100663981 B1 KR 1006639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ssential oil
citrus
acne
citrus essential
cosmetic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158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81533A (ko
Inventor
정시화
박병준
김준홍
한상근
조국영
Original Assignee
한국콜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콜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콜마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158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63981B1/ko
Publication of KR200400815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815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639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639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 A61K8/92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of vegetable orig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00Make-up preparations; Body powders; 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 A61Q1/14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7/00Barrier preparations; Preparations brought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skin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external influences, e.g. sunlight, X-rays or other harmful rays, corrosive materials, bacteria or insect stings
    • A61Q17/005Antimicrobial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감귤 정유를 함유하는 여드름에 유효한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여드름 등 피부 질환을 일으키는 주요 원인균인 프로피오니박테리움 아크네(Propionibacterium acnes)에 대한 항균활성을 갖는 정유성분을 감귤(Citrus unshiu)로부터 효율적으로 추출 분리하고 이를 화장료 조성물에 함유시켜 여드름질환 치료 및 예방에 유용하게 사용할 뿐 아니라 천연물로부터 분리한 성분으로 부작용이 없는 감귤 정유(Essential Oil)와 이를 포함하는 여드름에 유효한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감귤, 정유성분, d-리모넨(d-limonene), 여드름균(Propionibacterium acnes)

Description

감귤 정유를 함유하는 여드름에 유효한 화장료 조성물{Cosmetic product containing essential oil of Citrus unshiu fruit}
도 1은 가스 크로마토그래피(Gas Chromatography) 측정법에 의해 나타난 감귤 정유 추출물의 정량분석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생균수측정법에 의해 나타난 감귤 정유 추출물의 프로피오니박테리움 아크네에 대한 항균활성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은 감귤 정유를 함유하는 여드름에 유효한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여드름 등 피부 질환을 일으키는 주요 원인균인 프로피오니박테리움 아크네(Propionibacterium acnes)에 대한 항균활성을 갖는 정유성분을 감귤(Citrus unshiu)로부터 효율적으로 추출 분리하고 이를 화장료 조성물에 함유시켜 여드름질환 치료 및 예방에 유용하게 사용할 뿐 아니라 천연물로부터 분리한 성분으로 부작용 없는 감귤 정유(Essential Oil)와 이를 포함하는 여드름에 유효한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우리나라는 세계의 감귤류 재배지 중에서 가장 북부에 있으므로 제주도 및 남부 일부 지방에서만 재배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감귤의 재배 품종은 1911년 일본에서 도입된 추위에 잘 견디는 귤나무(조생온주밀감)가 주종을 이루고 있다. 제주산 감귤은 맛과 향이 좋고 각종 비타민을 함유하고 있으며 특히 비타민 A, C가 주를 이루고 있다. 이외에 펙틴(Pectin)질, 각종 정유성분, 헤스페리딘(Hesperidin) 등의 생리활성 성분이 많이 함유되어 있어 한국인에게 생식으로 가장 많이 이용되는 과일 중의 하나이며 약용으로도 예로부터 그 효과를 인정받아 두루 사용되어 오고 있다. 그러나 현재 과도한 생산과 이에 따른 수요의 불균형으로 감귤 생산 농가에 어려움이 있으며 이를 해결하기 위한 제주산 감귤에 대한 연구도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제주산 감귤의 새로운 용도 및 수요를 찾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Korean J. Food Sci. Technol Vol. 34, No. 1, pp 132-135. 2002]. 하지만 국내에서도 펙틴, 헤스페리딘, 나린진에 대해서는 연구는 되어 있으나 정유성분에 관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정유는 식물 내 함유되어 있는 방향성 성분으로서 최근 천연원료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면서 여러 정유성분에 대한 방향효과, 항균 및 방부효과에 대한 연구와 식품, 의약품 등의 첨가제로서의 활용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대한민국 공개특 허 제2002-57448호].
또한 감귤 정유는 감귤껍질 및 과육 중에 함유되어 있는 방향성 물질이며 이는 추출시 매우 적은 양만이 얻을 수 있으며 이러한 감귤 정유성분을 보다 효율적으로 얻기위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대한민국특허 제528호]. 또한 감귤 정유의 주성분 중 하나인 d-리모넨(d-limonene)은 인체 및 환경에 유해한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유용한 생리활성을 다양하게 가진 물질로 감귤을 포함한 씨트러스(Citrus) 계열의 과실 등에서 추출한 정유에 함유되어 있으며 선진국에서는 이를 이용하여 강력세정제로 사용하며['92. J. Hazard Mater] 또한 씨트러스 계열의 정유성분에는 살충성 및 항균성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아스페르질루스(Aspergillus) 속의 곰팡이류 등 다양한 곰팡이 병원균에 항균성을 나타낸다는 보고가 있다['76. Z. Lebensm- Unters-Forsch / '93. Z. Pflanzenkr Pflanzenschutz]. 또한 오렌지 추출물 및 여기에 함유된 d-리모넨을 이용한 다양한 연구들이 진행되고 있으며 그 일예로 탈취제 조성물[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990-1384호], 세제 조성물[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995-29341호/제1999-14389호], 방충제 조성물[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2-92774호], 감귤류 추출물을 이용한 보존제 제조방법 및 가공식품의 제조방법[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996-0000092호] 등이 있다.
한편, 여드름이란 체모의 여포 주위에 있는 표피파괴에 의해 생성되는 피부의 염증 현상으로서 그 원인으로는 호르몬, 과도한 혈청 및 박테리아 등을 들 수 있다. 이 중 박테리아에 의한 여드름의 발진은 아크네(Acne)균이라 불리우는 프로피오니박테리움 아크네(Propionibacterium acnes)에 의해서가 대표적이다. P. acnes은 피부 내 발생한 과도한 유지 및 혈청 등을 소화하기 위하여 지방분해 효소를 내며 이에 의해 발생한 소화물인 지방산과 세균 간의 항원 반응이 피부 내 염증을 촉진시켜 여드름이 발생되게 되며 피부의 손상을 가져온다. 이러한 여드름으로 인한 피부의 손상을 막기 위하여 P. acnes에 대하여 항균력이 뛰어난 에리트로마이신 등의 합성 항균물질을 사용하고 있으나 위장장애, 간 및 신장에 장해를 주는 등의 신체 부작용과 함께 체내 상재균들의 항균제에 대한 면역력만을 키워준다는 지적이 일고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감귤(Citrus unshiu)로부터 정유 성분을 효율적으로 추출 분리하고, 이의 여드름 원인균(P. acnes)에 대한 항균력을 측정하여 여드름 원인균에 대한 항균활성을 갖음을 알게되어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감귤로부터 추출 분리한 정유와 이를 화장료 조성물에 사용하여 여드름 등 피부 질환을 일으키는 주요 원인균인 프로피오니박테리움 아크네(Propionibacterium acnes)에 대한 항균활성을 가질 뿐 아니라 천연물로부터 분리한 성분이어서 부작용 없는 여드름에 유효한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프로피오니박테리움 아크네(Propionibacterium acnes)에 대한 항균활성을 갖는 감귤 정유를 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감귤 정유를 함유하는 여드름에 유효한 화장료 조성물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이와같은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감귤에서 추출 분리한 고농도의 정유(Essentail Oil)에 대한 여드름 원인균(P. acnes)에 대한 활성결과 및 이의 분리방법을 나타낸 것이며, 또한 이들 성분을 이용한 우수한 효과의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 여드름 원인균에 항균활성을 가진 감귤 정유를 얻는 방법은 용매에 의한 추출 방법과 압착 후 증류를 통해 얻는 증류법을 제시할 수 있다.
상기 용매에 의한 추출 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1 단계로 감귤을 정제하고 파쇄한 후, 2 단계로 상기 파쇄된 부분 중 고형물에 대하여 추출 용매로서 저급 알코올(메탄올, 에탄올), 에틸아세테이트, 벤젠, 클로로포름, 헥산, 아세톤과 1,3-부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글리세린 및 이들의 혼합액 중에서 선택된 것을 1 ∼ 15배의 양으로 가해 5 ∼ 25 ℃에서 1 ∼ 10일간 숙성시켜 유효 성분을 여과하여 추출한다. 그리고 나서, 3 단계로 상기 추출용액을 감압, 농축시켜 추출물을 분리하여 감귤 정유를 분리해 낸다. 이때, 상기 1 단계에 사용하는 감귤로는 제주산 감귤을 사용하는 것이 그 약효상 및 경제적으로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감귤 정유를 분리하는 또 다른 방법으로 압착 후 증류를 통해 얻는 증류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1 단계로 감귤을 정제하고 파쇄한 후, 2 단계로 상기 파쇄된 부분 중 착즙액을 5 ∼ 25 ℃에서 1 ∼ 10일간 숙성시킨 후 탈기, 여과, 살균 및 냉각 공정을 거쳐 감압 농축시킨다. 그리고 나서, 3 단계로 상기 2 단계의 농축과정에서 생성된 증류액은 환류 냉각 응축기에 의해 1차에서 4차에 걸쳐 회수하며, 이 중 2차 응축액에 감귤 정유 성분이 대다수 응축된다. 이를 다시 물 층과 분리하여 감귤정유 성분을 분리한다.
상기와 같은 방법에 의해 분리해낸 감귤 정유는 d-리모넨 등의 디터펜(diterpene)류가 함유되어 있어 여드름 등 피부 질환을 일으키는 주요 원인균인 프로피오니박테리움 아크네(Propionibacterium acnes)에 대한 항균활성을 갖는다.
따라서, 본 발명은 프로피오니박테리움 아크네(Propionibacterium acnes)에 대한 항균활성을 갖는 감귤 정유를 함유한 여드름질환 치료 및 예방용 화장료 조성물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화장료 조성물에 감귤 정유는 0.0001 ∼ 30 중량%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조성물은 유연화장수, 영양화장수, 에센스, 영양크림, 바디크림, 바디오일, 팩 및 클렌징크림 중에서 선택된 제형으로 제조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겠는바, 본 발명이 다음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선별된 제주산 감귤 1 kg을 깨끗한 물로 씻어 물기를 제거한 다음 압착기에 넣고 착즙한 후 고형물을 얻었다. 이렇게 생성된 고형물에 50% 에탄올을 1:10 비율로 넣고 가열추출한 후 380 메쉬 여과포로 여과하고, 5 ∼ 25 ℃에서 5일간 숙성시킨 후 와트만 2번 여과지로 여과하였다. 이 여과액을 냉각 콘덴서가 달린 증류장치에서 50 ℃로 감압 농축하여 증류된 추출액, 즉 감귤 정유를 얻었다.
실시예 2
선별된 제주산 감귤 1 kg을 깨끗한 물로 씻어 물기를 제거한 다음 압착기에 넣고 착즙한 후 고형물을 얻었다. 이렇게 생성된 고형물에 70% 에탄올을 1:10 비율로 넣고 가열추출한 후 380 메쉬 여과포로 여과하고, 5 ∼ 25 ℃에서 5일간 숙성시킨 후 와트만 2번 여과지로 여과하였다. 이 여과액을 냉각 콘덴서가 달린 증류장치에서 50 ℃로 감압 농축하여 증류된 추출액, 즉 감귤 정유를 얻었다.
실시예 3
선별된 제주산 감귤 1 kg을 깨끗한 물로 씻어 물기를 제거한 다음 압착기에 넣고 착즙한 후 고형물을 얻었다. 이렇게 생성된 고형물에 무수메탄올을 1:10 비율로 넣고 추출한 후 380 메쉬 여과포로 여과하고, 5 ∼ 25 ℃에서 5일간 숙성시킨 후 와트만 2번 여과지로 여과하였다. 이 여과액을 냉각 콘덴서가 달린 증류 장치에서 50 ℃로 감압 농축하여 증류된 추출액, 즉 감귤 정유를 얻었다.
실시예 4
선별된 제주산 감귤 1 kg을 깨끗한 물로 씻어 물기를 제거한 다음 압착기에 넣고 착즙한 후 고형물을 얻었다. 이렇게 생성된 고형물에 30% 1,3-부틸렌 글리콜을 1:10 비율로 넣고 추출한 후 380 메쉬 여과포로 여과하고, 5 ∼ 25 ℃에서 5일간 숙성시킨 후 와트만 2번 여과지로 여과하였다. 이 여과액을 냉각 콘덴서가 달린 증류장치에서 50 ℃로 감압 농축하여 증류된 추출액, 즉 감귤 정유를 얻었다.
실시예 5
선별된 제주산 감귤 1 kg을 깨끗한 물로 씻어 물기를 제거한 다음 압착기에 넣고 착즙한 후 착즙액을 얻었다. 압착 파쇄로 얻어진 착즙액은 5 ∼ 25 ℃에서 3일간 숙성 후 탈기, 여과하며 살균 및 냉각 공정을 거쳐 감압 농축을 거쳤다. 농축과정에서 생성된 증류액은 환류 냉각 응축기에 의해 1차에서 4차에 걸쳐 회수되었으며 이 중 2차 응축액에 감귤 정유 성분이 대다수 응축되었다. 이를 다시 물 층과 분리하여 감귤 정유 추출물을 얻었다.
실시예 6: 유효성분 확인
상기 실시예 1 ∼ 5 같은 방법으로 얻은 감귤 정유 성분의 유효성분을 알아 보기 위해, 가스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한 정량분석을 실시하였고, 정량분석은 다음과 같이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는 도 1에 나타내었다.
상기 실시예 1 ∼ 5 같은 방법으로 얻은 감귤 정유 성분을 GC에 의하여 분석하였으며 이 때 사용된 GC는 Shimadzu 사제 model GC 14B이다. 컬럼(Column)은 CBP20-M25-025(Polar, 25m×0.22mm×0.25㎛)을 사용하였으며, 오븐 온도는 초기온도 60 ℃에서 분간 20 ℃씩 5분간 승온하여 최종온도 250 ℃로 하였다. 주입구 온도는 220 ℃로 하였으며 유속 및 스플릿트 비(Split ratio)는 1.0ml/min, 60:1로 하여 질소를 운반 기체로 사용하였다. 검출기는 수소염이온화검출기를 사용하였으며 각각의 표준품을 사용하여 감귤 정유 성분과 비교 정량분석하였다.
시험예
상기 실시예 1에 따른 감귤 정유의 여드름 원인균인 프로피오니박테리움 아크네에 대한 항균활성을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다음 표 2에 나타내었다.
한국미생물보존센터로부터 분양받은 프로피오니박테리움 아크네(KCTC 3414)를 BHI(Brain Heart Infusion) Broth 배지에 37 ℃, CO2 10% 조건하에서 72시간 혐기배양하여 활성화시켰다. 이 때 활성화된 배양액 내 P. acnes의 균수는 생균수 측정법에 의해 측정한 결과 약 107 cfu/ml 이었으며 이 배양액을 감귤 정유(실시예 1)을 0.1% 함유한 것과 함유하지 않은 BHI broth에 각각 전체량의 1%씩 분주하 여 다시 5일간 동일 조건 하에서 혐기배양하였다. 이렇게 각각의 실험구에서 배양된 여드름균은 역시 희석도말에 의한 생균수 측정법에 의하여 HBI agar에 유동플레이트법(Pour plate method)를 이용하여 분주한 후 역시 동일 조건에서 72시간 혐기배양을 하였다. 이렇게 나타난 colony를 계수하였으며 이에 따라 감귤 정유 성분을 함유한 실험구에서 함유하지 않은 실험구보다 P. acnes의 균수가 약 103 cfu/ml 감소하는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도 2). 이에 얻은 결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위의 실험을 3회 반복 실험하였으며 역시 유사한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또한 감귤 정유성분의 여드름 원인균에 항균 활성을 추가입증하기 위하여 여드름 원인균에 대한 MIC(minimal inhibitory concentration, 최소저해농도) 측정을 실시하였다. 멸균된 BHI broth에 실험 원료들을 각 농도가 0.05%에서 5%가 되도록 제균여과하여 첨가하였으며 역시 활성화시킨 P. acnes 균주 배양액을 각각의 실험구에 1%씩 접종한 후 37℃, CO2 10% 조건 하에서 72시간 혐기배양하였다. 혐기배양 후 배지의 현탁도를 통하여 P. acnes균주의 성장여부를 확인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과(표 2)를 얻을 수가 있었다.
농도 시료 0.05% 0.1% 0.3% 0.5% 1% 3% 5% MIC
감귤정유 * * - - - - - 0.50%
* : P. acnes 생육 가능 농도 / - : P. acnes 생육 불능 농도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0.3% 이상을 포함한 실험구에서는 여드름 원인균주가 생육하지 못하였으며 이에 따라 P. acnes에 대한 최소저해농도는 0.3%로 나타 났다. 또한 이와 별도로 인체에 상재하며 피부트러블을 일으킬 수 있는 여러 가지 균주에 대하여도 이와 유사한 결과를 나타내었으며 이에 따라 화장료 조성시 천연 정유성분으로서 항여드름 효과 및 피부 트러블 방지를 기대할 수 있을 뿐 아니라 감귤 정유 특유의 상쾌한 향으로 인한 부가적 효과까지 얻을 것으로 사료되어 이에 감귤 정유성분을 함유한 화장품 제형을 제조, 실험하였다.
이하는 각 화장품 제형에 있어서 감귤 정유(Essential Oil)을 함유하여 제형하는 여드름 원인균 및 피부트러블을 일으킬 수 있는 다양한 균주에 대한 생육을 억제하여 피부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화장물 조성료의 예를 보여주며 처방예는 다음과 같다.
처방예 1
제주산 감귤 정유(실시예 1)를 함유한 화장료 중 유연화장수의 처방 예는 다음과 같다.
성분 함량(중량%)
감귤 정유 3.0
폴리옥시에칠렌경화피마자유 0.5
글리신 3.0
디포타슘글리시리제이트 0.1
1,3-부틸렌 글리콜 3.0
소듐히아루로네이트 0.1
에탄올 5.0
항산화제 0.1
트리에탄올아민 0.1
EDTA 0.1
방부제 적량
정제수 잔량
처방예 2
제주산 감귤 정유(실시예 1)를 함유한 화장료 중 영양화장수의 처방 예는 다음과 같다.
성분 함량(중량%)
감귤 정유 3.0
글리세린 7.0
소르비탄스테아레이트 슈크로오즈코코에이트 2.0
미네랄 오일 4.0
트리옥타노인 1.0
스테아릭에씨드 1.0
글리세릴 스테아레이트 0.5
소르비탄모노스테아레이트 1.0
디메치콘 0.5
항산화제 0.3
트리에탄올아민 0.1
카보머 0.2
EDTA 0.1
방부제 적량
정제수 잔량
처방예 3
제주산 감귤 정유(실시예 1)를 함유한 화장료 중 에센스의 처방예는 다음과 같다.
성분 함량(중량%)
감귤 정유 3.0
글리세린 5.0
1,3-부틸렌 글리콜 2.0
폴리에칠렌 글리콜 2.0
카보머 1.0
소듐히아루로네이트 0.1
글리신 3.0
폴리아크릴아마이드 2.0
히드록시에칠셀룰로이즈 0.2
에탄올 3.0
폴리옥시에칠렌경화피마자유 1.0
항산화제 0.3
트리에탄올아민 0.1
EDTA 0.1
방부제 적량
정제수 잔량
처방예 4
제주산 감귤 정유(실시예 1)를 함유한 화장료 중 영양크림의 처방예는 다음과 같다.
성분 함량(중량%)
감귤 정유 3.0
1,3-부틸렌글리콜 3.0
글리세린 3.0
하이드로제네이티드 레시친 1.0
옥틸도데카놀 3.0
트리옥타노인 2.0
스테아릭에씨드 1.5
세토스테아릴알콜 2.0
폴리솔베이트 60 1.5
소르비탄세스퀴올레이트 2.0
디메치콘 3.0
항산화제 0.3
산탄검 0.2
트리에탄올아민 0.1
EDTA 0.1
방부제 적량
정제수 잔량
처방예 5
제주산 감귤 정유(실시예 1)를 함유한 화장료 중 바디크림의 처방예는 다음과 같다.
성분 함량(중량%)
감귤 정유 3.0
1,3-부틸렌글리콜 6.0
글리세린 4.0
소듐세틸설페이트 0.1
판테놀 1.0
산탄검 1.0
카보머 0.1
비스왁스 0.3
세탄올 2.5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 2.5
소르비탄 스테아레이트 1.5
미네랄오일 5.0
스쿠알렌 2.0
항산화제 0.3
디메치콘 1.0
트리에탄올아민 0.1
EDTA 0.1
방부제 적량
정제수 잔량
처방예 6
제주산 감귤 정유(실시예 1)를 함유한 화장료 중 바디오일의 처방예는 다음과 같다.
성분 함량(중량%)
감귤 정유 3.0
사이클로메치콘 10.0
카프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 10.0
항산화제 0.1
방부제 적량
미네랄 오일 잔량
처방예 7
제주산 감귤 정유(실시예 1)를 함유한 화장료 중 팩의 처방예는 다음과 같다.
성분 함량(중량%)
감귤 정유 1.0
글리세린 7.0
1,3-부틸렌 글리콜 3.0
스쿠알렌 3.0
디메치콘 3.0
소듐히아루로네이트 0.1
글리신 2.0
폴리아크릴아마이드 5.0
항산화제 0.3
트리에탄올아민 0.1
EDTA 0.1
방부제 적량
정제수 잔량
처방예 8
제주산 감귤 정유(실시예 1)를 함유한 화장료 중 클렌징크림의 처방예는 다음과 같다.
성분 함량(중량%)
감귤 정유 5.0
프로필렌글리콜 5.0
소르비탄스테아레이트 1.0
폴리옥시에칠렌 소르비탄스테아레이트 3.5
카보머 0.5
비스왁스 0.5
바세린 4.0
미네랄오일 55.0
디메치콘 1.0
카프릴릭/카프릭에씨드 트리글리세라이드 1.0
항산화제 0.3
트리에탄올아민 0.1
EDTA 0.1
방부제 적량
정제수 잔량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감귤에서 추출 분리한 감귤 정유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은 여드름 원인균인 프로피오니박테리움 아크네에 대한 항 균활성이 우수하여 여드름 원인균의 억제 및 예방을 목적으로 하는 다양한 화장료 조성물에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Claims (6)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감귤을 정제, 파쇄하고,
    상기 파쇄된 부분 중 고형물에 대하여 저급 알코올(메탄올, 에탄올), 에틸아세테이트, 벤젠, 클로로포름, 헥산, 아세톤과 1,3-부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글리세린 및 이들의 혼합용매 중에서 선택된 추출 용매를 1 ~ 15배의 양으로 가해 5 ~ 25 ℃에서 1 ~ 10일간 숙성시켜 유효성분을 여과하여 추출한 다음,
    상기 추출용액을 감압, 농축시켜 분리되어 d-리모넨이 주성분으로 함유된 감귤 정유를 0.1 ~ 3 중량%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드름에 유효한 화장료 조성물.
  5. 삭제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는 유연화장수, 영양화장수, 에센스, 영양크림, 바디크림, 바디오일, 팩 및 클렌징크림 중에서 선택된 제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드름에 유효한 화장료 조성물.
KR1020030015867A 2003-03-13 2003-03-13 감귤 정유를 함유하는 여드름에 유효한 화장료 조성물 KR1006639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15867A KR100663981B1 (ko) 2003-03-13 2003-03-13 감귤 정유를 함유하는 여드름에 유효한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15867A KR100663981B1 (ko) 2003-03-13 2003-03-13 감귤 정유를 함유하는 여드름에 유효한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81533A KR20040081533A (ko) 2004-09-22
KR100663981B1 true KR100663981B1 (ko) 2007-01-03

Family

ID=373656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15867A KR100663981B1 (ko) 2003-03-13 2003-03-13 감귤 정유를 함유하는 여드름에 유효한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6398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9265B1 (ko) * 2009-09-16 2012-06-22 이종명 제주 천연 감귤향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화장료 조성물
KR101684433B1 (ko) * 2015-12-22 2016-12-08 주식회사 송이산업 산호와 송이를 이용한 타블렛 화장품 조성물의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04955B1 (ko) * 2016-07-15 2020-05-27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세토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132514B1 (ko) 2017-06-30 2020-08-05 배재대학교 산학협력단 여드름 원인 세균에 대한 특이적 항균 활성을 가지는 오이풀 열수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133074B1 (ko) 2017-06-30 2020-07-10 배재대학교 산학협력단 여드름 원인 세균에 대한 특이적 항균 활성을 가지는 오이풀 냉수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385293B1 (ko) * 2020-04-06 2022-04-11 주식회사 휴메어 해조 정유 및 식물 정유를 포함하는 탈취용 조성물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9265B1 (ko) * 2009-09-16 2012-06-22 이종명 제주 천연 감귤향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화장료 조성물
KR101684433B1 (ko) * 2015-12-22 2016-12-08 주식회사 송이산업 산호와 송이를 이용한 타블렛 화장품 조성물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81533A (ko) 2004-09-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68151B1 (ko) 항균 및 방부 활성을 갖는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및 이의 용도
KR20070055373A (ko) 아토피 피부염 개선제 조성물
CN102641225A (zh) 一种含有植物抑菌组合物的化妆品
CN103327960A (zh) 富含生物活性化合物的鳄梨提取物的抗微生物、抗菌及抑制芽孢萌发活性
KR100986249B1 (ko) 관중추출물 및 이를 이용한 천연 항균, 방부제 조성물.
KR101828584B1 (ko) 참여로, 가래나무, 도깨비 부채 및 모과나무의 복합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 또는 미백용 조성물
KR102348042B1 (ko) 산수국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
CN115088734A (zh) 皂苷和植物提取物的组合物
KR102001069B1 (ko) 상록성 목본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염증성 피부질환 개선용 조성물
KR102286991B1 (ko) 초피나무 열매 추출물 또는 이의 분리화합물을 함유하는 피부 미생물 조절용 화장료 조성물
KR101182209B1 (ko) 생달나무 추출 정유를 포함하는 항균성 조성물
US20030138511A1 (en) Antiallergic agents, drugs, foods, drinks or cosmetics containing them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KR100663981B1 (ko) 감귤 정유를 함유하는 여드름에 유효한 화장료 조성물
KR101876668B1 (ko) 신규한 사카로마이콥시스 피불리게라 및 이의 용도
KR101717020B1 (ko) 녹차씨로부터 유래된 사포닌류를 포함하는 항진균 및 항암 활성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936887B1 (ko) 황칠나무 추출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육모제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육모제
KR102154139B1 (ko) 고로쇠나무 수액의 발효액, 카카오닙스 추출물 및 석류피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KR102290424B1 (ko) 영실 추출물 또는 이의 분리화합물을 함유하는 피부 미생물 조절용 화장료 조성물
KR100553330B1 (ko) 무좀 원인균에 대한 항균활성을 갖는 감귤 정유와 이를 포함하는 무좀 예방용 화장료 조성물
KR20180103374A (ko) 황칠나무 발효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935751B1 (ko)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균 조성물
KR20050029448A (ko) 비듬 및 지루성 피부 질환 개선효과를 갖는 감귤 정유
KR101914568B1 (ko) 생물전환 추출물을 포함하는 아토피소양증개선용 화장료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070029309A (ko) 초피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초피 추출물을 함유한 항충치물질
KR102214621B1 (ko) 흑다시마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식품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0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0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5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5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1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9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