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63901B1 - 축산분뇨 부패 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축산분뇨 부패 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63901B1
KR100663901B1 KR1020050035420A KR20050035420A KR100663901B1 KR 100663901 B1 KR100663901 B1 KR 100663901B1 KR 1020050035420 A KR1020050035420 A KR 1020050035420A KR 20050035420 A KR20050035420 A KR 20050035420A KR 100663901 B1 KR100663901 B1 KR 1006639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aerobic
aerobic
livestock manure
tank
dec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354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112795A (ko
Inventor
염승열
Original Assignee
염승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염승열 filed Critical 염승열
Priority to KR10200500354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63901B1/ko
Publication of KR200601127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127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639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639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BPREPARING GRAIN FOR MILLING; REFINING GRANULAR FRUIT TO COMMERCIAL PRODUCTS BY WORKING THE SURFACE
    • B02B3/00Hulling; Husking; Decorticating; Polishing; Removing the awns; Degerming
    • B02B3/04Hulling; Husking; Decorticating; Polishing; Removing the awns; Degerming by means of 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BPREPARING GRAIN FOR MILLING; REFINING GRANULAR FRUIT TO COMMERCIAL PRODUCTS BY WORKING THE SURFACE
    • B02B7/00Auxiliary devices
    • B02B7/02Feeding or discharging devices

Abstract

본 발명은 축산분뇨 부패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축산 분뇨를 저장하여 혐기 및 호기성 미생물들에 의한 생물학적 부패 반응을 수행시키기 위한 혐기-호기 반응 단일 부패조와, 호기 공정시 이용하기 위해 혐기-호기 반응 단일 부패조 내에 공기를 선택적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설치된 공기공급기와, 혐기 공정시 이용하기 위해 혐기-호기 반응 단일 부패조내에 설치된 교반기와, 혐기-호기 반응 단일 부패조에 저장된 처리대상 축산분뇨가 혐기 및 호기성 미생물들 의해 분해되고 영양염류가 제거될 수 있도록 공기공급기를 구동하는 호기공정과 공기공급기의 가동을 중단하고 교반기를 구동시키는 혐기공정을 교번적으로 수행할 때 미생물들에 의한 유기물 분해 및 탈질반응시 발생되는 발열에 의한 온도상승을 저감시켜 미생물들의 활성도를 높일 수 있도록 혐기-호기 반응 단일 부패조내의 축산분뇨의 온도가 35 내지 39도 범위내에서 유지되도록 부패조의 축산분뇨를 유입받아 냉각시킨 다음 혐기-호기 반응 단일 부패조로 재 송출할 수 있도록 설치된 냉각시스템을 구비한다. 이러한 축산 분뇨 부패 처리 장치에 의하면, 혐기-호기 반응 단일 부패조에 저장된 축산분뇨의 유기물 분해 및 영양염류 제거를 위한 부패반응시 발열에 의한 온도상승을 냉각시스템을 이용하여 낮춤으로써 부패진행 효율을 높일 수 있어 부패처리기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축산분뇨 부패 처리장치{livestock waste disposal system}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축산분뇨 부패 처리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 보인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 혐기-호기 반응 단일 부패조 20: 냉각시스템
30: 냉각부
본 발명은 축산 분뇨 부패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축산분뇨의 미생물에 의한 유기물 분해 및 영양염류의 제거 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된 축산 분뇨 부패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유기물을 미생물에 의해 부패시킨 다음 후속공정을 통해 고형분리시켜 슬러지는 퇴비로 사용하고 액체는 방류하거나 액비로 이용하는 방안이 다양하게 알려져 있다.
이러한 유기물 중 음식물 쓰레기의 경우에는 고온 호기성 미생물을 이용하여 40도 이상의 고온에서 발효 및 부패가 잘 이루어지고 있음이 알려져 있다.
한편, 축산분뇨에 대해서도 미생물에 의해 부패시킨 다음 후속공정을 통해 고액 분리시켜 슬러지는 퇴비로 이용하고 액체는 방류하거나 액비로 이용하는 방안이 이용되고 있다.
축산분뇨를 부패화시키기 위한 종래의 방법은 부패조에 저장된 축산분뇨가 혐기 및 호기성 미생물에 의해 충분히 부패되기까지 일정기간 방치하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그런데 이 경우 부패조에서 축산분뇨가 충분히 부패되기까지에 소요되는 시간이 너무 장기화 되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부패기간의 장기화는 축산분뇨가 혐기 또는 호기성 미생물에 의한 유기물 분해 및 탈질시 자가발열에 의해 부패조 내부의 온도가 45 내지 49도시까지 상승하게 되는데, 축산분뇨의 부패에 관여하는 혐기 또는 호기성 미생물은 음식물 쓰레기에 적용되는 미생물과는 다르게 고온에서 성장 및 분해 활동이 떨어지는데 기인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축산 분뇨의 유기물 분해 및 영양염류의 제거를 위한 미생물의 부패반응 효율을 높일 수 있는 축산 분뇨 부패 처리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분뇨 부패 처리장치는 축산 분뇨를 저장하여 혐기 및 호기성 미생물들에 의한 생물학적 부패 반응을 수행시키기 위한 혐기-호기 반응 단일 부패조와; 호기 공정시 이용하기 위해 상기 혐기-호 기 반응 단일 부패조 내에 공기를 선택적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설치된 공기공급기와; 혐기 공정시 이용하기 위해 상기 혐기-호기 반응 단일 부패조내에 설치된 교반기와; 상기 혐기-호기 반응 단일 부패조에 저장된 처리대상 상기 축산분뇨가 상기 혐기 및 호기성 미생물들 의해 분해되고 영양염류가 제거될 수 있도록 상기 공기공급기를 구동하는 호기공정과 상기 공기공급기의 가동을 중단하고 상기 교반기를 구동시키는 혐기공정을 교번적으로 수행할 때 상기 미생물들에 의한 유기물 분해 및 탈질반응시 발생되는 발열에 의한 온도상승을 저감시켜 상기 미생물들의 활성도를 높일 수 있도록 상기 혐기-호기 반응 단일 부패조내의 상기 축산분뇨의 온도가 35 내지 39도 범위내에서 유지되도록 상기 부패조의 축산분뇨를 유입받아 냉각시킨 다음 상기 혐기-호기 반응 단일 부패조로 재 송출할 수 있도록 설치된 냉각시스템;을 구비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냉각시스템은 상기 혐기-호기 반응 단일 부패조로부터 유입된 축산분뇨와 열교환에 의해 상기 축산분뇨의 온도를 낮출 수 있도록 된 냉각부와; 상기 혐기-호기 반응 단일 부패조에 저수된 상기 축산분뇨를 유입받아 상기 축산분뇨가 냉각되게 상기 냉각부를 경유하여 상기 혐기-호기 반응 단일 부패조로 토출할 수 있도록 설치된 분뇨 이송관과; 상기 축산분뇨를 상기 분뇨이송관으로 이송하는 제1펌프와; 상기 혐기-호기 반응 단일 부패조 내의 온도를 검출하는 온도검출기와; 상기 온도검출기에서 출력되는 온도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펌프 및 상기 냉각부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기;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냉각부는 상기 분뇨이송관 내를 일정길이 관통되어 삽입되게 설치되며 냉각수가 내부유로를 통해 이송될 수 있게 된 열교환관;을 구비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어기는 설정된 혐기공정 및 호기공정 수행 사이클에 따라 상기 공기공급기 및 상기 교반기를 선택적으로 구동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축산 분뇨 부패 처리장치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축산 분뇨 부패 처리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 보인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축산 분뇨 부패 처리장치(10)는 혐기-호기 반응 단일 부패조(11)와, 냉각시스템(20)을 구비한다.
혐기-호기 반응 단일 부패조(11)는 처리대상 축산 분뇨를 담을 수 있는 저장구조를 갖는 것이 적용되면 된다. 참조부호 13은 처리대상 축산 분뇨를 혐기-호기 반응 단일 부패조(11)로 유입시키는 분뇨 유입관이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혐기-호기 반응 단일 부패조(11)에서 부패처리가 완료된 축산분뇨를 고액분리와 같은 후속공정으로 이송하기 위한 배관이 혐기-호기 반응 단일 부패조(11)에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공기 공급기는 혐기-호기 반응 단일 부패조(11)내로 호기모드시 산소를 공급하기 위해 마련되었다.
공기공급기는 혐기-호기 반응 단일 부패조(11)내까지 연장되게 설치되어 공기 또는 산소를 토출하는 에어토출기(15b)와, 에어토출기(15b)에 공기 또는 산소를 공급하는 에어 공급원을 구비하고 도시된 예에서는 에어공급원으로 에어펌프(15a)가 적용되었다.
도시된 예와 다르게 산소를 공급하는 경우 에어공급원으로서 산소공급기(미도시)가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공기공급기는 도시된 예와 다른 공지된 다양한 구조의 것이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혐기-호기 반응 단일 부패조(11)내에는 교반기(17)가 설치되어 있다.
교반기(17)는 혐기 공정시 이용하기 위한 것이다.
냉각시스템(20)은 혐기-호기 반응 단일 부패조(11)에 저장된 처리대상 축산분뇨가 호기성 미생물의 반응에 의해 유기물을 분해하고, 혐기성 미생물에 의해 탈질화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열에 의해 의해 발열될 때 혐기-호기 반응 단일 부패조(11)내의 온도가 미생물의 성장 및 활동에 적합한 35 내지 39도 범위내로 유지될 수 있도록 혐기-호기 반응 단일 부패조(11) 내의 축산분뇨를 유입받아 냉각시킨 다음 혐기-호기 반응 단일 부패조(11)로 재 송출할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있다.
냉각시스템(20)은 분뇨 이송관(21), 제1펌프(23), 온도검출기(27), 냉각부(30) 및 제어기(50)를 구비한다.
분뇨 이송관(21)은 혐기-호기 반응 단일 부패조(11)에 저수된 축산분뇨를 흡입하여 냉각부(30)와 열교환이 이루어질 수 있는 경로를 거쳐 혐기-호기 반응 단일 부패조(11)로 다시 토출할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있다.
분뇨 이송관(21)은 분뇨 흡입관(21a)과, 확장관(21b) 및 토출관(21c)으로 구 분할 수 있다.
분뇨 흡입관(21a)은 혐기-호기 반응 단일 부패조(11)에 저수된 분뇨를 확장관(21b)으로 이송하는 부분이다.
확장관(21b)은 분뇨 흡입관(21a) 보다 확장된 통형으로 형성된 부분으로 냉각부(30)의 열교환관(33)이 내부를 경유할 수 있게 형성되어 있다.
토출관(21c)은 확장관(21b)을 거친 분뇨를 혐기-호기 반응 단일 부패조(11)로 다시 송출할 수 있도록 확장관(21b)으로부터 혐기-호기 반응 단일 부패조(11)까지 연장되게 설치되어 있다.
제1펌프(23)는 혐기-호기 반응 단일 부패조(11)에 저장된 축산분뇨를 분뇨흡입관(21a)을 통해 이송할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있다.
온도 검출기(27)는 혐기-호기 반응 단일 부패조(11) 내의 온도를 검출하여 제어기(50)에 출력한다.
냉각부(30)는 분뇨이송관(21)을 통해 이송되는 축산분뇨의 온도를 열교환에 의해 설정된 범위내로 낮출 수 있도록 구성되면 된다.
냉각부(30)의 냉각 방식은 냉매를 적용하는 방식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냉매는 지하수, 수돗물과 같은 물과, 물 이외의 프레온계 등 공지된 다양한 것이 적용될 수 있다.
도시된 예에서는 냉매로서 지하수 또는 수돗물을 냉각수로 이용하는 경우의 냉각부(30)가 적용되었다.
냉각부(30)는 냉각수 공급관(31), 냉각수 이송관(32), 열교환관(33), 냉각수 배출관(34), 임시저장조(35), 순환연결관(36), 제2펌프(37), 제3펌프(38)를 구비한다.
냉각수 공급관(31)은 지하수원 또는 상수원과 같은 냉각수 공급원(45)으로부터 냉각수를 유입받아 냉각수 이송관(32)으로 이송할 수 있도록 된 부분이다.
냉각수 이송관(32)은 냉각수 공급관(31) 또는 순환연결관(36)으로부터 공급되는 냉각수를 열교환관(33)으로 이송하기 위한 부분이다.
열교환관(33)은 분뇨 이송관(21)의 확장관(21b) 내를 경유하게 설치되어 있는 부분으로 확장관(21b) 내에 있는 축산폐수와 열교환이 이루어진다.
임시저장조(35)는 냉각수 배출관(34)으로부터 배출되는 냉각수를 저수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임시저장조(35)는 저장된 냉각수를 필요에 따라 재활용할 수 있도록 순환연결관(36)을 통해 냉각수 이송관(32)과 연결되어 있다.
제2펌프(37)는 냉각수 공급원(45)으로부터 냉각수를 펌핑하여 냉각수 공급관(31)을 통해 냉각수를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 냉각수 공급원(45)이 수압이 높은 수돗물이 적용되는 경우 생략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제3펌프(38)는 임시 저장조(35)에 저수된 냉각수를 순환연결관(36)을 통해 냉각수 이송관(32)으로 공급하고자 할 때 이용하기 위한 것이다.
참조부호 39는 냉각수 이송관(32)과 냉각수 공급관(31) 사이에 설치된 제1개폐밸브이고, 참조부호 40는 순환연결관(36) 상에 설치된 제2개폐밸브이다.
제어기(50)는 온도검출기(27)로부터 출력된 온도정보를 이용하여 혐기-호기 반응 단일 부패조(11)내의 온도가 35 내지 39도가 유지되도록 제1펌프(23)와 냉각부(30)를 제어한다.
또한, 제어기(50)는 설정된 혐기공정 및 호기공정 운전 수행 사이클에 따라 공기공급기의 에어펌프(15a) 및 교반기(17)를 선택적으로 구동한다. 혐기공정과 호기공정의 교번적인 수행시간은 통상 2내지 3시간을 주기로 적용하나 이러한 운전조건은 적용되는 축산분뇨의 특성 및 처리용량 및 시설구조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제어기(50)는 혐기공정에서는 교반기(17)를 구동하고, 호기공정에서는 교반기는 중단하고, 에어펌프(15a)를 가동한다.
이러한 호기 및 혐기의 교번적인 공정수행시 호기공정에서는 축산분뇨에 자생하고 있는 호기성 미생물에 의해 유기물의 분해가 이루어지고, 혐기공정에서는 혐기성 미생물에 의해 탈질이 이루어진다.
이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혐기-호기 반응 단일 부패조(11)내에 유입된 고농도의 유기오수인 축산분뇨내에는 자생된 질산화균, BOD산화균 및 탈질소균이 충분히 증식되어 있어, 무산소 조건하에서 교반하면 액 중의 산화태 질소는 탈질소균의 작용으로 산화질소(N2O) 또는 질소가스(N2)로 환원되어 대기중에 방산된다. 여기서 아질산성질소(NO2-N) 또는 질산성 질소(NO3-N)를 질소가스로 환원시키는 탈질소균은 혐기성균임과 동시에 타영양성균(Hererotrophic Bacteria) 이므로 탈질소균이 아질산성질소 또는 질산성질소를 환원하기 위해서 필요한 유기탄소원은 별도의 외부공급원이 없이 축산분뇨에 포함된 BOD물질을 이용한다.
이러한 혐기-호기 공정에 의한 부패 과정 중에 혐기-호기 반응 단일 부패조(11)에 저장된 축산분뇨에 대해 온도검출기(27)에서 출력되는 온도정보가 39도를 초과하면, 혐기-호기 반응 단일 부패조(11)에 저장된 축산분뇨가 냉각시스템(20)의 구동에 의해 혐기-호기 반응 단일 부패조(11) 내의 온도가 35도까지 낮추어지도록 제어기(45)는 제1펌프(23)와 냉각부(30)를 구동한다.
이러한 냉각시스템(20)은 냉각부(30) 구동시 제2개폐밸브(40)를 닫고 제1개폐밸브(39)를 개방한 상태에서 냉각수를 제2펌프(37)의 구동에 의해 펌핑하여 열교환관(33)으로 이송시키고, 열교환과정을 거친 냉각수를 임시저장조(35)에 배출하여 저장하거나, 임시저장조(35)에 저수된 냉각수량이 순환시키기에 충분하고 온도가 낮은 경우 제1개폐밸브(39)를 닫고 제2개폐밸브(40)를 연상태에서 제2펌프(38)를 구동하여 임시저장조(35)에 저장된 냉각수를 열교환관(33)을 통해 순환시키는 방법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적용하면 된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임시 저장조(35)에 저수된 냉각수의 온도를 검출하여 제어기(45)에 출력하는 온도검출센서가 더 구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물 이외의 냉매를 적용하여 압축, 응축, 팽창 및 증발 과정을 수행할 수 있도록 공지된 냉각 구조를 적용하여 분뇨 이송관(21)과 열교환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냉각부를 구축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실험에 의하면 혐기-호기 반응 단일 부패조(11)내에서 혐기 및 호기성 미생물의 반응에 의해 부패가 진행될 때 발열에 의해 혐기-호기 반응 단일 부패조(11) 내부의 온도가 45 내지 49도 까지 상승하게 되는데 이러한 온도 상승시 그대로 방 치하게 되면 부패진행이 중단되지만, 본 냉각시스템(20)을 구동하여 혐기-호기 반응 단일 부패조(11) 내부의 온도를 35 내지 39도로 유지시킬 때 부패반응이 연속적으로 진행되어 유기물 분해 및 영양염류를 제거시키는 부패처리기간이 단축됨을 확인하였다.
지금까지 설명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축산분뇨 부패처리장치에 의하면, 혐기-호기 반응 단일 부패조에 저장된 축산분뇨의 유기물 분해 및 영양염류 제거를 위한 부패반응시 발열에 의한 온도상승을 냉각시스템을 이용하여 낮춤으로써 부패진행 효율을 높일 수 있어 부패처리기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한다.

Claims (4)

  1. 삭제
  2. 축산 분뇨를 저장하여 혐기 및 호기성 미생물들에 의한 생물학적 부패 반응을 수행시키기 위한 혐기-호기 반응 단일 부패조와;
    호기 공정시 이용하기 위해 상기 혐기-호기 반응 단일 부패조 내에 공기를 선택적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설치된 공기공급기와;
    혐기 공정시 이용하기 위해 상기 혐기-호기 반응 단일 부패조내에 설치된 교반기와;
    상기 혐기-호기 반응 단일 부패조에 저장된 처리대상 상기 축산분뇨가 상기 혐기 및 호기성 미생물들 의해 분해되고 영양염류가 제거될 수 있도록 상기 공기공급기를 구동하는 호기공정과 상기 공기공급기의 가동을 중단하고 상기 교반기를 구동시키는 혐기공정을 교번적으로 수행할 때 상기 미생물들에 의한 유기물 분해 및 탈질반응시 발생되는 발열에 의한 온도상승을 저감시켜 상기 미생물들의 활성도를 높일 수 있도록 상기 혐기-호기 반응 단일 부패조내의 상기 축산분뇨의 온도가 35 내지 39도 범위내에서 유지되도록 상기 부패조의 축산분뇨를 유입받아 냉각시킨 다음 상기 혐기-호기 반응 단일 부패조로 재 송출할 수 있도록 설치된 냉각시스템;을 구비하고,
    상기 냉각시스템은
    상기 혐기-호기 반응 단일 부패조로부터 유입된 축산분뇨와 열교환에 의해 상기 축산분뇨의 온도를 낮출 수 있도록 된 냉각부와;
    상기 혐기-호기 반응 단일 부패조에 저수된 상기 축산분뇨를 유입받아 상기 축산분뇨가 냉각되게 상기 냉각부를 경유하여 상기 혐기-호기 반응 단일 부패조로 토출할 수 있도록 설치된 분뇨 이송관과;
    상기 축산분뇨를 상기 분뇨이송관으로 이송하는 제1펌프와;
    상기 혐기-호기 반응 단일 부패조 내의 온도를 검출하는 온도검출기와;
    상기 온도검출기에서 출력되는 온도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펌프 및 상기 냉각부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산 분뇨 부패 처리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부는
    상기 분뇨이송관 내를 일정길이 관통되어 삽입되게 설치되며 냉각수가 내부유로를 통해 이송될 수 있게 된 열교환관;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산 분뇨 부패 처리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설정된 혐기공정 및 호기공정 수행 사이클에 따라 상기 공기공급기 및 상기 교반기를 선택적으로 구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산분뇨 부패 처리장치.
KR1020050035420A 2005-04-28 2005-04-28 축산분뇨 부패 처리장치 KR1006639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5420A KR100663901B1 (ko) 2005-04-28 2005-04-28 축산분뇨 부패 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5420A KR100663901B1 (ko) 2005-04-28 2005-04-28 축산분뇨 부패 처리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11877U Division KR200389492Y1 (ko) 2005-04-28 2005-04-28 축산분뇨 부패 처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12795A KR20060112795A (ko) 2006-11-02
KR100663901B1 true KR100663901B1 (ko) 2007-01-02

Family

ID=376512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35420A KR100663901B1 (ko) 2005-04-28 2005-04-28 축산분뇨 부패 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6390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6520B1 (ko) 2009-02-20 2011-04-01 이진석 축산분뇨를 이용한 순환식 액비화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75424A (ko) * 1998-09-29 2001-08-09 캐써린 메리 스프링에트 ; 앤드류 존 론스 ; 앤드류 존 스완슨 전기화학 셀
JP2001276871A (ja) * 2000-03-30 2001-10-09 Shinto Eco Techno:Kk 糞尿液の発酵処理方法、及びこれに用いる糞尿液の発酵処理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75424A (ko) * 1998-09-29 2001-08-09 캐써린 메리 스프링에트 ; 앤드류 존 론스 ; 앤드류 존 스완슨 전기화학 셀
JP2001276871A (ja) * 2000-03-30 2001-10-09 Shinto Eco Techno:Kk 糞尿液の発酵処理方法、及びこれに用いる糞尿液の発酵処理装置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13276871
2001754240000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6520B1 (ko) 2009-02-20 2011-04-01 이진석 축산분뇨를 이용한 순환식 액비화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12795A (ko) 2006-1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0546925C (zh) 利用流化床工艺处理污水的方法及其生物亲和性填料以及填料的制备方法
CN106673192A (zh) 厌氧氨氧化去除垃圾渗滤液中总氮的工艺及专用装置
JP2007105631A (ja) 有機性排水の処理方法及び装置
US11685677B2 (en) Nitrite-oxidizing bacteria activity inhibitor and method
KR101240539B1 (ko) 호기조 내부의 폐수 온도를 조절할 수 있는 폐수처리 시스템
CN1326786C (zh) 有机废水的处理方法及其装置
JP2007105630A (ja) 有機性排水の処理方法
CN104150729B (zh) 一种高效资源化和低污染排放的污泥处理系统及方法
KR100663901B1 (ko) 축산분뇨 부패 처리장치
KR200389492Y1 (ko) 축산분뇨 부패 처리장치
EP2526067B1 (en) A process for the thermophilic aerobic treatment of concentrated organic waste water and the related plant
JP4576845B2 (ja) 窒素含有廃液処理方法
KR100612973B1 (ko) 축산분뇨 부패 처리장치
KR200412172Y1 (ko) 축산분뇨 부패 처리장치
KR101581291B1 (ko) 인공 빛을 이용한 하폐수 고도처리 시스템
JP4329359B2 (ja) 脱窒方法
JP4451991B2 (ja) 曝気装置
JP4631162B2 (ja) 有機性廃棄物の処理方法
KR102289717B1 (ko) 유기성 질소폐수 처리 시스템
CN107129044A (zh) 载人航天器尿液高效回用处理方法
JP6993156B2 (ja) メタン発酵システム
CN111675450A (zh) 一种曝气生物滤池与紫外消毒设备一体化系统
JP2003334589A (ja) 廃水処理方法及び装置
JP2010000444A (ja) 排水処理方法及び装置
CN204174053U (zh) 一种高效资源化和低污染排放的污泥处理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1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26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