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12172Y1 - 축산분뇨 부패 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축산분뇨 부패 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12172Y1
KR200412172Y1 KR2020060001040U KR20060001040U KR200412172Y1 KR 200412172 Y1 KR200412172 Y1 KR 200412172Y1 KR 2020060001040 U KR2020060001040 U KR 2020060001040U KR 20060001040 U KR20060001040 U KR 20060001040U KR 200412172 Y1 KR200412172 Y1 KR 20041217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aerobic
aerobic
manure
air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0104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염승열
Original Assignee
염승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염승열 filed Critical 염승열
Priority to KR202006000104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1217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1217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1217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30Aerobic and anaerobic process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3/00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 C02F2103/20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from animal husbandry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9/00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 C02F2209/02Temperatur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1/00General aspects of water treatment
    • C02F2301/10Temperature conditions for biological treatment
    • C02F2301/103Psychrophilic treatment

Abstract

본 고안은 축산분뇨 부패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축산 분뇨를 저장하여 혐기 및 호기성 미생물들에 의한 생물학적 부패 반응을 수행시키기 위한 혐기-호기 반응 단일 부패조와, 호기 공정시 이용하기 위해 혐기-호기 반응 단일 부패조 내에 공기를 선택적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설치된 공기공급기와, 혐기 공정시 이용하기 위해 혐기-호기 반응 단일 부패조 내에 설치된 교반기와, 혐기-호기 반응 단일 부패조에 저장된 처리대상 축산분뇨가 혐기 및 호기성 미생물들에 의해 분해되고 영양염류가 제거될 수 있도록 공기 공급기를 구동하는 호기공정과 공기공급기의 가동을 중단하고 교반기를 구동시키는 혐기공정을 교번적으로 수행할 때 미생물들에 의한 유기물 분해 및 탈질반응시 발생되는 발열에 의한 온도상승을 저감시켜 미생물들의 활성도를 높일 수 있도록 혐기-호기 반응 단일 부패조 내의 축산분뇨의 온도가 35 내지 39도 범위 내에서 유지되도록 공기 공급기에서 송출되는 공기를 냉각시켜 혐기-호기 반응 단일 부패조로 투입할 수 있게 된 공기 냉각 시스템을 구비한다. 이러한 축산분뇨 부패처리장치에 의하면, 혐기-호기 반응 단일 부패조에 저장된 축산분뇨의 유기물 분해 및 영양염류 제거를 위한 부패반응시 발열에 의한 온도상승을 공급되는 공기에 의해 낮춤으로써 부패진행 효율을 높일 수 있어 부패처리기간을 단축할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축산분뇨 부패 처리장치{livestock waste disposal system}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축산분뇨 부패 처리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 보인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공기 냉각기의 일 예를 나타내 보인 도면이고,
도 3은 도 1의 공기 냉각기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내 보인 도면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축산분뇨 부패 처리장치를 나타내 보인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 혐기-호기 반응 단일 부패조 20: 공기 냉각기
40: 제어기
본 고안은 축산 분뇨 부패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축산분뇨의 미생물에 의한 유기물 분해 및 영양염류의 제거 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온도를 조절하는 축산 분뇨 부패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유기물을 미생물에 의해 부패시킨 다음 후속공정을 통해 고형분리시켜 슬러 지는 퇴비로 사용하고 액체는 방류하거나 액비로 이용하는 방안이 다양하게 알려져 있다.
이러한 유기물 중 음식물 쓰레기의 경우에는 고온 호기성 미생물을 이용하여 40도 이상의 고온에서 발효 및 부패가 잘 이루어지고 있음이 알려져 있다.
한편, 축산분뇨에 대해서도 미생물에 의해 부패시킨 다음 후속공정을 통해 고액 분리시켜 슬러지는 퇴비로 이용하고 액체는 방류하거나 액비로 이용하는 방안이 이용되고 있다.
축산분뇨를 부패화시키기 위한 종래의 방법은 부패조에 저장된 축산분뇨가 혐기 및 호기성 미생물에 의해 충분히 부패되기까지 일정기간 방치하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그런데 이 경우 부패조에서 축산분뇨가 충분히 부패되기까지에 소요되는 시간이 너무 장기화 되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부패기간의 장기화는 축산분뇨가 혐기 또는 호기성 미생물에 의한 유기물 분해 및 탈질시 자가발열에 의해 부패조 내부의 온도가 45 내지 49도시까지 상승하게 되는데, 축산분뇨의 부패에 관여하는 혐기 또는 호기성 미생물은 음식물 쓰레기에 적용되는 미생물과는 다르게 고온에서 성장 및 분해 활동이 떨어지는데 기인한다.
또한, 호기성 미생물의 활성도를 높이기 위해 축산분뇨가 저장된 부패조 내에 공기를 공급하는데, 하우징 또는 기계실 내에 설치된 에어펌프로부터 관로를 통해 공급되는 압축 공기의 온도가 통상 60℃ 이상의 고온이기 때문에 호기성 미생물의 활성도를 떨어뜨리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축산 분뇨의 유기물 분해 및 영양염류의 제거를 위한 미생물의 부패반응 효율을 높일 수 있는 축산 분뇨 부패 처리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분뇨 부패 처리장치는 축산 분뇨를 저장하여 혐기 및 호기성 미생물들에 의한 생물학적 부패 반응을 수행시키기 위한 혐기-호기 반응 단일 부패조와; 호기 공정시 이용하기 위해 상기 혐기-호기 반응 단일 부패조 내에 공기를 선택적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설치된 공기공급기와; 혐기 공정시 이용하기 위해 상기 혐기-호기 반응 단일 부패조 내에 설치된 교반기와; 상기 혐기-호기 반응 단일 부패조에 저장된 처리대상 상기 축산분뇨가 상기 혐기 및 호기성 미생물들에 의해 분해되고 영양염류가 제거될 수 있도록 상기 공기공급기를 구동하는 호기공정과 상기 공기공급기의 가동을 중단하고 상기 교반기를 구동시키는 혐기공정을 교번적으로 수행할 때 상기 미생물들에 의한 유기물 분해 및 탈질반응시 발생되는 발열에 의한 온도상승을 저감시켜 상기 미생물들의 활성도를 높일 수 있도록 상기 혐기-호기 반응 단일 부패조내의 상기 축산분뇨의 온도가 35 내지 39도 범위 내에서 유지되도록 상기 공기 공급기에서 송출되는 공기를 냉각시켜 상기 혐기-호기 반응 단일 부패조로 투입할 수 있게 된 공기 냉각 시스템;을 구비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공기 냉각시스템은 상기 공기 공급기로부터 송출되는 공 기와 열교환에 의해 상기 공기의 온도를 낮출 수 있도록 된 공기 냉각기와; 상기 혐기-호기 반응 단일 부패조 내의 온도를 검출하는 제1온도검출기와; 상기 제1온도검출기에서 출력되는 온도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공기 냉각기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기;를 구비한다.
상기 제어기는 설정된 혐기공정 및 호기공정 수행 사이클에 따라 상기 공기공급기 및 상기 교반기를 선택적으로 구동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혐기-호기 반응 단일 부패조의 축산분뇨를 유입받아 냉각시킨 다음 상기 혐기-호기 반응 단일 부패조로 재 송출할 수 있도록 설치된 분뇨 냉각시스템;을 더 구비한다.
상기 분뇨 냉각시스템은 상기 혐기-호기 반응 단일 부패조로부터 유입된 축산분뇨와 열교환에 의해 상기 축산분뇨의 온도를 낮출 수 있도록 된 분뇨 냉각부와; 상기 혐기-호기 반응 단일 부패조에 저수된 상기 축산분뇨를 유입받아 상기 축산분뇨가 냉각되게 상기 분뇨 냉각부를 경유하여 상기 혐기-호기 반응 단일 부패조로 토출할 수 있도록 설치된 분뇨 이송관과; 상기 축산분뇨를 상기 분뇨이송관으로 이송하는 제1펌프;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분뇨 냉각부는 상기 분뇨이송관 내를 일정길이 관통되어 삽입되게 설치되며 냉각수가 내부유로를 통해 이송될 수 있게 된 열교환관;을 구비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축산 분뇨 부패 처리장치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축산 분뇨 부패 처리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 보인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축산 분뇨 부패 처리장치(10)는 혐기-호기 반응 단일 부패조(11)와, 공기 냉각시스템을 구비한다.
혐기-호기 반응 단일 부패조(11)는 처리대상 축산 분뇨를 담을 수 있는 저장구조를 갖는 것이 적용되면 된다. 여기서 축산분뇨는 축산 분뇨 뿐만 아니라 축산폐수도 포함한다.
참조부호 13은 처리대상 축산 분뇨를 혐기-호기 반응 단일 부패조(11)로 유입시키는 분뇨 유입관이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혐기-호기 반응 단일 부패조(11)에서 부패처리가 완료된 축산분뇨를 고액분리와 같은 후속공정으로 이송하기 위한 배관이 혐기-호기 반응 단일 부패조(11)에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혐기-호기 반응 단일 부패조(11)내에는 교반기(17)가 설치되어 있다.
교반기(17)는 혐기 공정시 이용하기 위한 것이다.
공기 공급기는 혐기-호기 반응 단일 부패조(11)내로 호기모드시 산소를 공급하기 위해 마련되었다.
공기공급기는 혐기-호기 반응 단일 부패조(11)내까지 연장되게 설치되어 공기 또는 산소를 토출하는 에어토출기(15b)와, 에어토출기(15b)에 공기 또는 산소를 공급하는 에어 공급원을 구비하고 도시된 예에서는 에어공급원으로 에어펌프(15a)가 적용되었다. 참조부호 14는 에어펌프(15a)가 설치된 기계실 또는 비 또는 눈 등으로부터 기기를 보호하기 위해 설치된 하우징이다.
도시된 예와 다르게 산소를 공급하는 경우 에어공급원으로서 산소공급기(미도시)가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공기공급기는 도시된 예와 다른 공지된 다양한 구조의 것이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공기 냉각 시스템은 에어펌프(15a)에서 에어공급관(16)을 통해 송출되는 공기를 냉각시켜 혐기-호기 반응 단일 부패조(11)로 투입할 수 있게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공기 냉각 시스템은 혐기-호기 반응 단일 부패조(11)에 저장된 처리대상 축산분뇨가 호기성 미생물의 반응에 의해 유기물을 분해하고, 혐기성 미생물에 의해 탈질화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열에 의해 발열될 때 혐기-호기 반응 단일 부패조(11) 내의 온도가 미생물의 성장 및 활동에 적합한 35 내지 39도 범위내로 유지될 수 있도록 공급공기의 온도를 조절한다.
공기 냉각 시스템은 공기 냉각기(20), 제1온도검출기(27), 제2온도검출기(28) 및 제어기(40)를 구비한다.
공기 냉각기(20)는 에어펌프(15a)로부터 송출되는 압축공기와 열교환에 의해 압축공기의 온도를 낮출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있다.
공기 냉각기는 냉매를 압축, 응축, 팽창 및 증발 과정을 거치도록 하면서 증발과정에서 냉각대상 압축공기와 열교환이 이루어지도록 구축할 수 있다.
이러한 공기 냉각기의 일 예가 도 2에 도시되어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공기 냉각기는 압축기(21), 응축기(22), 팽창변(24) 및 열교환기(25)를 구비한다.
압축기(21)는 냉매를 압축하여 압력과 온도를 높여주고, 응축기(22)는 팬(23)의 구동에 의해 압축기(21)를 통과한 고온 고압의 냉매로부터 열을 빼앗아 냉매를 중온 고압의 액상으로 변환시키고, 팽창변(24)은 액상의 냉매가 높은 온도에서 쉽게 증발되도록 압력을 낮추어 저온 저압의 액상으로 변환시킨다.
열교환기(25)는 팽창변(24)을 통과한 저온 저압의 냉매와 에어펌프(15a)로부터 송출된 압축공기가 상호 분리상태를 유지하면서도 열교환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형성되면 된다.
도시된 예에서는 열교환기(25)를 도식적으로 표기하였으나, 바람직하게는 열교환기(25)는 냉매가 순환되는 관로(26)와 압축공기가 이송되는 관로 중 어느 하나가 내측에 위치되는 이중관 구조로 형성하여 압축공기와 냉매가 상호 열교환이 원할하게 될 수 있게 형성한다. 열교환기(25)의 구조는 앞서 설명된 방식 이외에도 다양한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한편, 도시된 구조와 다르게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열전소자(30)를 이용한 공기 냉각기가 적용될 수 있다.
이 경우 다수의 열전소자가 적용되는 경우 열전소자(30)들을 열전도율이 높은 소재로 형성된 열교환판(31)에 설치하고, 에어공급관(16)이 열교환판(31)을 경유하여 열교환이 이루어지도록 구축하면 된다.
열전소자(30)는 인가된 전압에 따라 한 측은 발열하고, 타측은 흡열하는 특성이 있기 때문에 에어펌프(15a)부터 공급되는 공기의 온도보다 온도를 올리고자 하는 경우에는 전극에 인가하는 전압을 바꾸면 되는 장점도 있다.
제어기(40)는 혐기-호기 반응 단일 부패조(11) 내의 온도를 검출하도록 설치된 제1온도검출기(27)에서 출력되는 온도정보를 이용하여 공기 냉각기(20)의 구동을 제어한다.
제2온도검출기(28)가 공기 냉각기(20)를 거친 에어공급관(16) 상에 설치되어 제어기(40)에 온도정보를 제공하도록 구축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기(40)는 호기성 미생물들이 상온의 공기에 대해 보다 활성도가 높아지는 점을 고려하여 제1 및 제2 온도 검출기(27)(28)의 온도 정보를 이용하여 부패조(11) 내의 축산분뇨의 온도가 35 도 내지 39도 범위 내로 유지되는 범위에서 에어 토출관(15b)을 통해 배출되는 공기의 온도가 20 내지 25℃ 가 되게 공기 냉각기(20)를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혐기-호기 반응 단일 부패조(11)에 저장된 처리대상 축산분뇨를 외부 온도 변화가 큰 환경에서도 미생물의 성장 및 활동에 적합한 35 내지 39℃ 범위 내로 보다 용이하게 조절하기 위해 분뇨 냉각시스템이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를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앞서 도시된 도면에서와 동일 기능을 하는 요소는 동일 참조부호로 표기한다.
분뇨 냉각시스템(120)은 혐기-호기 반응 단일 부패조(11) 내의 축산분뇨를 유입 받아 냉각시킨 다음 혐기-호기 반응 단일 부패조(11)로 재 송출할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있다.
분뇨 냉각시스템(120)은 분뇨 이송관(121), 제1펌프(123), 분뇨냉각부(130)를 구비한다.
분뇨 이송관(121)은 혐기-호기 반응 단일 부패조(11)에 저수된 축산분뇨를 흡입하여 분뇨 냉각부(130)와 열교환이 이루어질 수 있는 경로를 거쳐 혐기-호기 반응 단일 부패조(11)로 다시 토출할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있다.
분뇨 이송관(121)은 분뇨 흡입관(121a)과, 확장관(121b) 및 토출관(121c)으로 구분할 수 있다.
분뇨 흡입관(121a)은 혐기-호기 반응 단일 부패조(11)에 저수된 분뇨를 확장관(121b)으로 이송하는 부분이다.
확장관(121b)은 분뇨 흡입관(121a) 보다 확장된 통형으로 형성된 부분으로 분뇨 냉각부(130)의 열교환관(133)이 내부를 경유할 수 있게 형성되어 있다.
토출관(121c)은 확장관(121b)을 거친 분뇨를 혐기-호기 반응 단일 부패조(11)로 다시 송출할 수 있도록 확장관(121b)으로부터 혐기-호기 반응 단일 부패조(11)까지 연장되게 설치되어 있다.
제1펌프(123)는 혐기-호기 반응 단일 부패조(11)에 저장된 축산분뇨를 분뇨흡입관(121a)을 통해 이송할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있다.
분뇨 냉각부(130)는 분뇨이송관(121)을 통해 이송되는 축산분뇨의 온도를 열교환(133)에 의해 설정된 범위내로 낮출 수 있도록 구성되면 된다.
분뇨 냉각부(130)의 냉각 방식은 냉매를 적용하는 방식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냉매는 지하수, 수돗물과 같은 물과, 물 이외의 프레온계 등 공지된 다양한 것이 적용될 수 있다.
도시된 예에서는 냉매로서 지하수 또는 수돗물을 냉각수로 이용하는 경우의 분뇨 냉각부(130)가 적용되었다.
분뇨 냉각부(130)는 냉각수 공급관(131), 냉각수 이송관(132), 열교환관(133), 냉각수 배출관(134), 임시저장조(135), 순환연결관(136), 제2펌프(137), 제3펌프(138)를 구비한다.
냉각수 공급관(131)은 지하수원 또는 상수원과 같은 냉각수 공급원(145)으로부터 냉각수를 유입받아 냉각수 이송관(132)으로 이송할 수 있도록 된 부분이다.
냉각수 이송관(132)은 냉각수 공급관(131) 또는 순환연결관(136)으로부터 공급되는 냉각수를 열교환관(133)으로 이송하기 위한 부분이다.
열교환관(133)은 분뇨 이송관(121)의 확장관(121b) 내를 경유하게 설치되어 있는 부분으로 확장관(121b) 내에 있는 축산폐수와 열교환이 이루어진다.
임시저장조(135)는 냉각수 배출관(134)으로부터 배출되는 냉각수를 저수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임시저장조(135)는 저장된 냉각수를 필요에 따라 재활용할 수 있도록 순환연결관(136)을 통해 냉각수 이송관(132)과 연결되어 있다.
제2펌프(137)는 냉각수 공급원(145)으로부터 냉각수를 펌핑하여 냉각수 공급관(131)을 통해 냉각수를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 냉각수 공급원(145)이 수압이 높은 수돗물이 적용되는 경우 생략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제3펌프(138)는 임시 저장조(135)에 저수된 냉각수를 순환연결관(136)을 통해 냉각수 이송관(132)으로 공급하고자 할 때 이용하기 위한 것이다.
참조부호 139는 냉각수 이송관(132)과 냉각수 공급관(131) 사이에 설치된 제 1개폐밸브이고, 참조부호 140는 순환연결관(136) 상에 설치된 제2개폐밸브이다.
이러한 분뇨냉각시스템이 적용되는 경우 제어기(40)는 제1온도검출기(27)로부터 출력된 온도정보를 이용하여 혐기-호기 반응 단일 부패조(11)내의 온도가 35 내지 39도가 유지되도록 제1펌프(23)와 분뇨 냉각부(30)를 제어하고, 제2온도검출기(28)의 온도정보를 이용하여 공기 냉각기(20)를 거쳐 배출되는 공기는 20 내지 25도가 되게 공기 냉각기(20)를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어기(40)는 설정된 혐기공정 및 호기공정 운전 수행 사이클에 따라 에어펌프(15a) 및 교반기(17)를 선택적으로 구동한다. 혐기공정과 호기공정의 교번적인 수행시간은 통상 2내지 3시간을 주기로 적용하나 이러한 운전조건은 적용되는 축산분뇨의 특성 및 처리용량 및 시설구조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제어기(40)는 혐기공정에서는 교반기(17)를 구동하고, 호기공정에서는 교반기(17)는 중단하고, 에어펌프(15a)를 가동한다.
이러한 호기 및 혐기의 교번적인 공정수행시 호기공정에서는 축산분뇨에 자생하고 있는 호기성 미생물에 의해 유기물의 분해가 이루어지고, 혐기공정에서는 혐기성 미생물에 의해 탈질이 이루어진다.
이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혐기-호기 반응 단일 부패조(11)내에 유입된 고농도의 유기오수인 축산분뇨내에는 자생된 질산화균, BOD산화균 및 탈질소균이 충분히 증식되어 있어, 무산소 조건하에서 교반하면 액 중의 산화태 질소는 탈질소균의 작용으로 산화질소(N2O) 또는 질소가스(N2)로 환원되어 대기중에 방산된다. 여 기서 아질산성질소(NO2-N) 또는 질산성 질소(NO3-N)를 질소가스로 환원시키는 탈질소균은 혐기성균임과 동시에 타영양성균(Hererotrophic Bacteria) 이므로 탈질소균이 아질산성질소 또는 질산성질소를 환원하기 위해서 필요한 유기탄소원은 별도의 외부공급원이 없이 축산분뇨에 포함된 BOD물질을 이용한다.
이러한 혐기-호기 공정에 의한 부패 과정 중에 혐기-호기 반응 단일 부패조(11)에 저장된 축산분뇨에 대해 제1온도검출기(27)에서 출력되는 온도정보가 39도를 초과하지 않도록 공기 냉각기(20)를 호기 공정시에 구동하되, 부패조(11) 내의 온도가 39도에 근접하면 35도까지 낮추어지도록 제어기(40)는 제1펌프(23)와 분뇨 냉각부(30)를 보조적으로 구동한다.
이러한 분뇨 냉각시스템(120)은 분뇨 냉각부(130) 구동시 제2개폐밸브(140)를 닫고 제1개폐밸브(139)를 개방한 상태에서 냉각수를 제2펌프(137)의 구동에 의해 펌핑하여 열교환관(133)으로 이송시키고, 열교환과정을 거친 냉각수를 임시저장조(135)에 배출하여 저장하거나, 임시저장조(135)에 저수된 냉각수량이 순환시키기에 충분하고 온도가 낮은 경우 제1개폐밸브(139)를 닫고 제2개폐밸브(140)를 연상태에서 제2펌프(138)를 구동하여 임시저장조(135)에 저장된 냉각수를 열교환관(133)을 통해 순환시키는 방법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적용하면 된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임시 저장조(135)에 저수된 냉각수의 온도를 검출하여 제어기(40)에 출력하는 온도검출센서가 더 구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물 이외의 냉매를 적용하여 압축, 응축, 팽창 및 증발 과정을 수행할 수 있도록 공지된 냉각 구조를 적용하여 분뇨 이송관(121)과 열교환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냉각부를 구축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실험에 의하면 혐기-호기 반응 단일 부패조(11)내에서 혐기 및 호기성 미생물의 반응에 의해 부패가 진행될 때 발열에 의해 혐기-호기 반응 단일 부패조(11) 내부의 온도가 45 내지 49도 까지 상승하게 되는데 이러한 온도 상승시 그대로 방치하게 되면 부패진행이 중단되지만, 공기 냉각기(20) 또는 분뇨 냉각시스템(120)을 구동하여 혐기-호기 반응 단일 부패조(11) 내부의 온도를 35 내지 39도로 유지시킬 때 부패반응이 연속적으로 진행되어 유기물 분해 및 영양염류를 제거시키는 부패처리기간이 단축됨을 확인하였다.
지금까지 설명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축산분뇨 부패처리장치에 의하면, 혐기-호기 반응 단일 부패조에 저장된 축산분뇨의 유기물 분해 및 영양염류 제거를 위한 부패반응시 발열에 의한 온도상승을 공급되는 공기에 의해 낮춤으로써 부패진행 효율을 높일 수 있어 부패처리기간을 단축할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한다.

Claims (6)

  1. 축산 분뇨를 저장하여 혐기 및 호기성 미생물들에 의한 생물학적 부패 반응을 수행시키기 위한 혐기-호기 반응 단일 부패조와;
    호기 공정시 이용하기 위해 상기 혐기-호기 반응 단일 부패조 내에 공기를 선택적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설치된 공기공급기와;
    혐기 공정시 이용하기 위해 상기 혐기-호기 반응 단일 부패조 내에 설치된 교반기와;
    상기 혐기-호기 반응 단일 부패조에 저장된 처리대상 상기 축산분뇨가 상기 혐기 및 호기성 미생물들에 의해 분해되고 영양염류가 제거될 수 있도록 상기 공기공급기를 구동하는 호기공정과 상기 공기공급기의 가동을 중단하고 상기 교반기를 구동시키는 혐기공정을 교번적으로 수행할 때 상기 미생물들에 의한 유기물 분해 및 탈질반응시 발생되는 발열에 의한 온도상승을 저감시켜 상기 미생물들의 활성도를 높일 수 있도록 상기 혐기-호기 반응 단일 부패조내의 상기 축산분뇨의 온도가 35 내지 39도 범위 내에서 유지되도록 상기 공기 공급기에서 송출되는 공기를 냉각시켜 상기 혐기-호기 반응 단일 부패조로 투입할 수 있게 된 공기 냉각 시스템;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산 분뇨 부패 처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냉각시스템은
    상기 공기 공급기로부터 송출되는 공기와 열교환에 의해 상기 공기의 온도를 낮출 수 있도록 된 공기 냉각기와;
    상기 혐기-호기 반응 단일 부패조 내의 온도를 검출하는 제1온도검출기와;
    상기 제1온도검출기에서 출력되는 온도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공기 냉각기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산 분뇨 부패 처리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설정된 혐기공정 및 호기공정 수행 사이클에 따라 상기 공기공급기 및 상기 교반기를 선택적으로 구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산분뇨 부패 처리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혐기-호기 반응 단일 부패조의 축산분뇨를 유입받아 냉각시킨 다음 상기 혐기-호기 반응 단일 부패조로 재 송출할 수 있도록 설치된 분뇨 냉각시스템;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산 분뇨 부패 처리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분뇨 냉각시스템은
    상기 혐기-호기 반응 단일 부패조로부터 유입된 축산분뇨와 열교환에 의해 상기 축산분뇨의 온도를 낮출 수 있도록 된 분뇨 냉각부와;
    상기 혐기-호기 반응 단일 부패조에 저수된 상기 축산분뇨를 유입받아 상기 축산분뇨가 냉각되게 상기 분뇨 냉각부를 경유하여 상기 혐기-호기 반응 단일 부패 조로 토출할 수 있도록 설치된 분뇨 이송관과;
    상기 축산분뇨를 상기 분뇨이송관으로 이송하는 제1펌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산 분뇨 부패 처리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분뇨 냉각부는
    상기 분뇨이송관 내를 일정길이 관통되어 삽입되게 설치되며 냉각수가 내부유로를 통해 이송될 수 있게 된 열교환관;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산 분뇨 부패 처리장치.
KR2020060001040U 2006-01-12 2006-01-12 축산분뇨 부패 처리장치 KR20041217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1040U KR200412172Y1 (ko) 2006-01-12 2006-01-12 축산분뇨 부패 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1040U KR200412172Y1 (ko) 2006-01-12 2006-01-12 축산분뇨 부패 처리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03608A Division KR100612973B1 (ko) 2006-01-12 2006-01-12 축산분뇨 부패 처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12172Y1 true KR200412172Y1 (ko) 2006-03-23

Family

ID=417624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01040U KR200412172Y1 (ko) 2006-01-12 2006-01-12 축산분뇨 부패 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12172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739096A (zh) * 2017-11-24 2018-02-27 广州益方田园环保股份有限公司 工业废水节能恒温生化处理设备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739096A (zh) * 2017-11-24 2018-02-27 广州益方田园环保股份有限公司 工业废水节能恒温生化处理设备
CN107739096B (zh) * 2017-11-24 2023-10-03 广州益方田园环保股份有限公司 工业废水节能恒温生化处理设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25229A (en) Process and apparatus for anaerobic digestion
US6500340B1 (en) Pasteurizing sludge to exceptional quality
US20180230033A1 (en) Rapid startup of facilities and removal of organics and nutrients from wastewater
CN100546925C (zh) 利用流化床工艺处理污水的方法及其生物亲和性填料以及填料的制备方法
KR101534889B1 (ko) 유기성 폐기물의 처리방법 및 처리장치와 열에너지 이용방법
BR112013019750B1 (pt) Método para realização de um processo microbiológico em um material a granel e dispositivo sob forma de uma biocélula
KR101240539B1 (ko) 호기조 내부의 폐수 온도를 조절할 수 있는 폐수처리 시스템
CN107759032A (zh) 用于农村生活污水脱氮除磷的处理方法及装置
KR200412172Y1 (ko) 축산분뇨 부패 처리장치
KR100612973B1 (ko) 축산분뇨 부패 처리장치
CN105152359A (zh) 一种培养并存储污水处理活性菌群的设备及方法
JPS63270598A (ja) 汚泥の処理装置
KR200389492Y1 (ko) 축산분뇨 부패 처리장치
KR100663901B1 (ko) 축산분뇨 부패 처리장치
CN104150729A (zh) 一种高效资源化和低污染排放的污泥处理系统及方法
TW201733917A (zh) 甲烷醱酵系統
CN103086496B (zh) 一种内置蒸发脱氮的超临界水氧化系统
JP4451991B2 (ja) 曝気装置
CN107129044A (zh) 载人航天器尿液高效回用处理方法
AU2014200009B2 (en) Anaerobic gas lift reactor for treatment of organic waste
CN205011480U (zh) 一种培养并存储污水处理活性菌群的设备
CN105355951A (zh) 一种变温变压且气氛可调的微生物电池及其产电和电解方法
Hogan et al. Composting of solid waste during extended human travel and habitation in space
JP2007098229A (ja) 有機性廃棄物の処理方法および処理装置
CN204174053U (zh) 一种高效资源化和低污染排放的污泥处理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