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62732B1 - 당뇨병 치료지침시스템 - Google Patents

당뇨병 치료지침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62732B1
KR100662732B1 KR1020040090370A KR20040090370A KR100662732B1 KR 100662732 B1 KR100662732 B1 KR 100662732B1 KR 1020040090370 A KR1020040090370 A KR 1020040090370A KR 20040090370 A KR20040090370 A KR 20040090370A KR 100662732 B1 KR100662732 B1 KR 1006627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blood glucose
blood sugar
treatment
insul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903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41018A (ko
Inventor
이혜정
Original Assignee
이혜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혜정 filed Critical 이혜정
Priority to KR10200400903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62732B1/ko
Publication of KR200600410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410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627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627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45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 A61B5/14532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for measuring glucose, e.g. by tissue impedance measure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4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 A61B5/7405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using soun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4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 A61B5/742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using visual display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patient-specific data, e.g. for electronic patient record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1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drugs or medications, e.g. for ensuring correct administration to patients
    • G16H20/17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drugs or medications, e.g. for ensuring correct administration to patients delivered via infusion or injection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7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references
    • G16H70/2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references relating to practices or guidelin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Surger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at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ethics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당뇨병 치료지침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의 혈당을 측정하는 혈당측정기구와, 상기 혈당측정기구로부터 측정된 혈당수치를 인식하고 인식한 혈당수치에 따라 해당하는 치료정보를 출력하는 마이콤과, 상기 마이콤으로부터 데이타를 수신하여 출력하는 출력장치 및, 시간측정기구, 사용자로부터 측정한 혈당수치에 대한 정보를 데이타로 저장하고 하루 중 측정시기에 대한 데이타를 저장하며 하루 내에 측정횟수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타 저장장치, 사용자가 스스로 수행한 치료내용을 상기 데이타 저장장치로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키입력부로 구성되어, 혈당측정시 혈당수치를 자동으로 인식하고 그 혈당수치에 해당하는 처방을 환자가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함으로써 의사의 처방과 더불어 환자 스스로 당뇨병의 치료와 관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된 것이다.
당뇨병, 혈당, 인슐린, 의료기구, 처방

Description

당뇨병 치료지침시스템{ A auto prescription system for a diabetes }
도 1은 단계별 당뇨병 치료과정을 나타낸 흐름도,
도 2는 당뇨병 치료단계 중 병합요법 단계를 나타낸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당뇨병 치료지침시스템을 나타낸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당뇨병 치료지침시스템의 인슐린치료단계를 나타낸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당뇨병 치료지침시스템의 인슐린치료 시작1단계를 나타낸 흐름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당뇨병 치료지침시스템의 인슐린치료 조정1단계를 나타낸 흐름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당뇨병 치료지침시스템의 인슐린치료 시작2단계를 나타낸 흐름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당뇨병 치료지침시스템의 인슐린치료 조정2단계를 나타낸 흐름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당뇨병 치료지침시스템의 인슐린치료 시작3단계를 나타낸 흐름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당뇨병 치료지침시스템의 인슐린치료 조정3단계를 나타낸 흐름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당뇨병 치료지침시스템의 인슐린치료 시작3A단계를 나타낸 흐름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당뇨병 치료지침시스템의 인슐린치료 조정3A단계를 나타낸 흐름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당뇨병 치료지침시스템의 인슐린치료 시작4단계를 나타낸 흐름도,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당뇨병 치료지침시스템의 인슐린치료 조정4단계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본 발명은 당뇨병 치료지침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인슐린 치료단계에서 혈당수치에 따라 환자에게 처방을 손쉽게 인지시킬 수 있는 당뇨병 치료지침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당뇨병은 체내에 인슐린량의 부족으로 혈액 중의 혈당(포도당)이 정상인보다 그 농도가 높아져서 소변에 포도당을 배출하는 만성질환으로, 수술이나 일회성의 처방으로 치료될 수 있는 병이 아니므로 단계별 치료와 관리 및 음식조절이 지속적으로 이루어는 것이 중요하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당뇨병의 치료단계는 임상 영양요법 단계와, 경구약제 단계, 병합요법 단계, 인슐린 단계로 구성되어 있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슐린 단계는 경구약제와 인슐린을 병합하는 요법을 시행해도 목표혈당을 유지할 수 없을 때 조건에 따라 시행하는 단계이다.
당뇨병과 같이 지속적인 치료가 요구되는 경우 의사의 진료를 받지 않고도 치료단계에 따라 환자 스스로 간단하게 처방할 수 있으므로, 증상과 치료단계별로 스스로 치료할 수 있는 지침서가 발간되어 활용되고 있다.
특히, 인슐린 치료단계의 경우 혈당수치에 따라 의사의 직접적인 진료 없이도 스스로 손쉽게 치료할 수 있으므로 널리 활용될 수 있다.
인슐린 치료단계에서 종래의 지침서는 환자가 혈당측정기구로 자신의 혈당을 측정하고 그 혈당수치를 읽은 후 지침서에서 해당하는 혈당수치를 찾고, 기재된 지침에 따라 치료를 해야 했다. 이 경우 지침서의 구성을 파악하여 혈당수치에 따라 지침을 찾아야 하고 처방내용을 이해해야 하므로 지침서의 활용 대상이 많지 않은 실정이다.
더불어, 현재 개시되어 있는 혈당측정시스템의 경우에는 환자의 혈당치 데이터가 서버에의 전송 내지 SMS문자 메시지 등의 방법으로 실시간으로 의사에게 전달되어 즉각적으로 의사가 이를 확인하여 처방을 내리는 것이 특징이라 할 수 있는데, 이러한 시스템은 의사가 환자의 정보를 받기 위해 항시 대기를 해야하거나 수입원이 되지 않기 때문에 의사가 이러한 시스템의 사용을 기피하여 실제는 수요는 있되 공급이 없어 시장원리에 맞지 않는다는 단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의 제반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혈당측정시 혈당수치를 자동으로 인식하고 그 혈당수치에 해당하는 처방을 환자가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함으로써 환자 스스로 당뇨병의 관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어 궁극적으로 의사의 처방을 간편하게 받을 수 있도록 하는 당뇨병 치료지침시스템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실시예는 사용자의 혈당을 측정하는 혈당측정기구와, 상기 혈당측정기구로부터 측정된 혈당수치를 인식하고 인식한 혈당수치에 따라 해당하는 치료정보를 출력하는 마이콤과, 상기 마이콤으로부터 데이타를 수신하여 출력하는 출력장치 및, 시간측정기구, 사용자로부터 측정한 혈당수치에 대한 정보를 데이타로 저장하고 하루 중 측정시기에 대한 데이타를 저장하며 하루 내에 측정횟수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타 저장장치, 사용자가 스스로 수행한 치료내용을 상기 데이타 저장장치로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키입력부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혈당측정기구는 혈당을 측정하여 수치화하고, 수치화한 데이타를 마이콤으로 출력하거나 데이타 저장장치로 출력한다.
상기 마이콤은 상기 혈당측정기구로부터 출력된 혈당수치를 인식하거나 데이 타 저장장치에 저장된 혈당수치를 인식하고 해당하는 혈당수치에 따른 치료정보를 출력한다.
상기 마이콤은 각각의 혈당수치에 해당하는 치료정보를 데이타로 저장하고 혈당측정기구나 데이타 저장장치로부터 전달받은 혈당수치에 대한 정보를 토대로 해당하는 치료정보를 출력한다.
상기 마이콤은 시간측정기구를 통해 혈당측정시각을 인식하여 하루 중 사용자가 혈당을 측정하는 시기에 따라 해당하는 치료정보를 출력장치로 출력하고, 출력한 치료정보와 혈당측정시각을 데이타 저장장치로 송출한다.
상기 출력장치는 스피커나 시각적 디스플레이장치이고, 상기 마이콤은 스피커를 통해 치료정보를 음성으로 출력시키거나 디스플레이패널을 통해 치료정보를 문자화하여 출력함으로써 사용자가 인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마이콤은 상기 혈당측정기구로부터 인식한 혈당수치에 따라 인슐린의 종류와 투여시기를 결정하여 출력하도록 프로그램되어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마이콤은 인슐린 단계1시작-인슐린 단계4조정까지의 단계를 사용자의 혈당을 측정함으로써 각 단계를 판단하여 지시어를 출력할 수 있고, 각 단계에서 사용자는 체중에 대한 정보를 키입력부를 통해 상기 데이타 저장장치로 입력함으로써 체중에 따른 인슐린의 투여량을 마이콤이 결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인슐린 투여량은 체중에 따라 달리 투여되어야 하므로 상기 마이콤은 사용자가 자신의 체중에 대한 정보를 입력하지 않는 경우 체중별로 투여량을 모두 디 스플레이하거나 체중에 따라 투여량을 계산하는 방법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고, 사용자가 체중치를 입력하는 경우에는 체중에 적합한 투여량을 산출하여 디스플레이하게 된다.
또한, 상기 마이콤은 사용자의 연령에 대한 정보를 통해 인슐린 투여량을 결정하게 되고, 사용자는 키입력부를 통해 자신의 연령을 입력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상기 마이콤은 입력정보가 없는 경우 연령별 투여량을 모두 디스플레이하거나 연령에 따라 투여량을 계산하는 방법을 디스플레이하게 된다.
예를 들어, 환자의 연령이 고연령이거나 본 발명에 따른 장치를 활용하는데 미숙한 사용자의 경우, 인슐린 용량의 조절 폭을 제한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예를 들어 인슐린 용량을 상향하는 폭을 미소량으로 제한하거나 원하는 혈당수치를 식후 2시간을 250mg/dl로 높여 잡든지 해서 저혈당의 위험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R, RA, N, LA는 인슐린의 종류를 나타낸다.
즉, R(regular insulin)은 약자로 RI라고도 하며, 속효성 인슐린이고,
RA(rapid acting insulin)는 초속효성 인슐린으로, lispro(humalog), aspart가 상품화되어 있으며,
N(NPH insulin)으로 지속성 인슐린이고,
LA(long acting insulin)는 가장 오래된 반감기를 가지고 있는 인슐린이다.
상기 마이콤은 인슐린의 종류를 4가지의 시간대별로 선택하여 명령기호로 디 스플레이할 수 있으며, 명령기호가 뜻하는 내용을 환자가 이해하기 쉬운 서술어로 풀어서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즉, (R)/N-0-0-0 로 표시된 것은 아침식전-점심식전-저녁식전-취침전의 4가지 시간을 표시한 것으로, 이 경우는 아침식전에 RI나 NPH를 피하에 주사하는 것을 표시하며, ()안에 R이 있는 경우는 R을 주사하는 경우도 있고 그렇지 않은 경우도 있다는 것을 나타낸다.
R/N-0-R/N-0는 아침식사 전에 RI와 NPH를 혼합하여 피하에 주사하고 저녁식사 전에 RI와 NPH를 혼합하여 주사한다는 것을 나타낸다.
상기 마이콤은 인식한 혈당수치와 측정시기에 따라 주사량을 명령기호로 디스플레이하거나 그 뜻을 서술어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즉, ↓는 주사량을 줄이라는 명령이고, 반대로 ↑는 주사량을 늘리라는 명령이다. 예를 들어 도 5-도 14를 보면, 공복이나 새벽3시(아침식전)에 측정한 혈당이 80mg/dl 미만인 경우는 저녁식사 전에 맞았던 NPH를 1-2단위 적게 투여하라는 표시로 화살표가 아래로 표시되어 있고 250mg/dl을 초과한 경우에는 반대로 2-4단위 많이 투여하라는 표시로 화살표가 위로 표시되어 있다.
물론, 환자가 이러한 단위 등에 대한 지식이 없는 경우가 대부분이기 때문에 구체적인 용어 등이 디스플레이 되는 것이 아니라, 예를 들어 출력장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에서 몇몇 단위를 더 투여하라는 정보를 "아까보다 2단위를 더 투여하세요." 내지 " 이전시간에서 1단위투여. 그러나, 지금은 3단위 투여가 바 람직합니다."라는 알기 쉬운 서술어로 디스플레이가 될 수 있다. 더불어, 인슐린의 종류 역시 단위와 더불어 동일한 방법으로 알기 쉬운 서술어로 디스플레이가 가능하다.
사용자는 마이콤의 프로그램에 맞게 정상적인 처방을 지시 받으려면 적어도 하루 4회 혈당을 측정해야 하고 병원에서와 같이 아침식전과 식후, 점심 식전과 식후, 저녁식전과 식후, 취침 전 7번을 측정해야 하나, 매번 혈당을 측정하지 못한 경우 직전의 측정 데이타를 기준으로 인슐린의 투여량이 출력된다. 즉, 상기 마이콤은 사용자의 측정시간을 기록하고 마지막으로 측정한 시기에서 정해진 시간 이내에 측정사실이 없는 경우 현재 측정 데이타를 무시하고 직전의 측정 데이타를 기준으로 인슐린 투여량을 결정하여 출력함으로써 치료의 연속성을 유지한다.
여기서, 혈당측정횟수는 자신의 생활패턴에 맞추어 시간을 지정하여 키입력부를 통해 데이타 저장장치에 입력하여 마이콤으로부터 정해진 시간에 명령을 수행하게 하는 것도 가능하다.
물론, 일상적으로 활용되는 시간대인 5시-7시, 7시-11시, 11시-12시, 12시-13시, 13시-17시, 17시-18시, 18시-22시, 22시-다음날 5시로 시간측정을 조절하는 것도 가능하고 이와 유사한 규칙성을 배열하여 측정하게 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시간측정기구에서는 소정의 규칙성(바람직하게는 상기 설명과 같은 하루 7회의 규칙성)을 가진 시간데이터가 저장되어 있어 상기 마이콤은 디스플레이장치를 통해 다음의 처방시간을 소정시간 간격을 두고 출력시켜 사용자가 인지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지금까지의 설명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당뇨병 치료지침시스템의 구성 및 작용을 상기 설명 및 도면에 표현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여 본 발명의 사상이 상기 설명 및 도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당뇨병 치료지침시스템에 의하면, 혈당측정 시 혈당수치를 자동으로 인식하고 그 혈당수치에 해당하는 처방을 환자가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함으로써 환자 스스로 당뇨병의 관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고, 측정한 혈당수치에 대한 데이타를 저장하여 활용할 수 있으며, 스스로 한 처방을 데이타로 저장하여 의사의 처방 자료로서 활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6)

  1. 당뇨병 치료 시스템으로서,
    사용자의 혈당을 측정하는 혈당측정기구;
    상기 혈당측정기구로부터 측정된 혈당수치를 인식하고 시간측정기구를 통해 하루 중 사용자가 혈당을 측정하는 시기를 판단함으로, 인식된 혈당수치 및 혈당측정시기에 따라 인슐린 종류 및 투여량을 결정하여 이를 화살표를 포함한 명령기호로 디스플레이하는 마이콤;
    사용자로부터 측정한 혈당수치에 대한 정보를 데이타로 저장하고, 하루 중 측정시기에 대한 데이타를 저장하며, 하루 내에 측정횟수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타 저장장치;
    사용자가 스스로 수행한 치료내용을 상기 데이타 저장장치로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키입력부;
    상기 마이콤으로부터 데이타를 수신하여 출력하는 출력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마이콤은 소정 시간 내에 사용자의 혈당측정 사실이 없는 경우 현재 측정 수치를 무시하고 직전의 측정 수치를 기준으로 인슐린 투여량을 결정하는 연속치료유지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당뇨병 치료지침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장치는 스피커나 시각적 디스플레이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당뇨병 치료지침시스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040090370A 2004-11-08 2004-11-08 당뇨병 치료지침시스템 KR1006627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90370A KR100662732B1 (ko) 2004-11-08 2004-11-08 당뇨병 치료지침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90370A KR100662732B1 (ko) 2004-11-08 2004-11-08 당뇨병 치료지침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41018A KR20060041018A (ko) 2006-05-11
KR100662732B1 true KR100662732B1 (ko) 2006-12-28

Family

ID=371477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90370A KR100662732B1 (ko) 2004-11-08 2004-11-08 당뇨병 치료지침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62732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41018A (ko) 2006-05-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826142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aking blood glucose measurements and recommending insulin doses
US20240108221A1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data management in integrated analyte monitoring and infusion system
US10448834B2 (en) Smart messages and alerts for an infusion delivery and management system
ES2693452T3 (es) Sistema para administración de fármaco adaptativa
JP2019213866A (ja) インスリン管理
US20100016700A1 (en) Analyte measurement and management device and associated methods
JP2017505696A (ja) インスリン管理
Howorka et al. Dealing with ceiling baseline treatment satisfaction level in patients with diabetes under flexible, functional insulin treatment: assessment of improvements in treatment satisfaction with a new insulin analogue
TWI787146B (zh) 包含數據管理單元之醫療裝置、操作該數據管理單元之方法及電腦程式,以及電腦程式產品
Peyrot et al. Patient reported outcomes in adults with type 2 diabetes on basal insulin randomized to addition of mealtime pramlintide or rapid-acting insulin analogs
Weissberg-Benchell et al. Impact of an automated bihormonal delivery system on psychosocial outcomes in adults with type 1 diabetes
Leahy Intensive insulin therapy in type 1 diabetes mellitus
KR100662732B1 (ko) 당뇨병 치료지침시스템
Li et al. Diabetes technologies–what the general physician needs to know
ES2880523T3 (es) Gestión del equilibrio glucémico de un paciente diabético
Pandya et al. Optimizing insulin delivery for patients with diabetes
D'Arcy Keep your patient safe during PCA
Sharma et al. Glycaemic management in patients with diabetes in hospital
Longo et al. Glucose monitoring in diabetes: A suggested algorithm to choice the best treatment option
KR20210074434A (ko) 마그네틱을 이용한 인슐린 주사장치
Sharma et al. Glycaemic management in patients with diabetes in hospital
Neupane et al. Modern strategies for management of glycaemia in type 1 diabetes
Crabtree et al. Insulin pumps and diabetes technologies in pregnancy: an overview for the obstetrician
Yun Management of Type 1 Diabetes Mellitus in Adults
JP2005013542A (ja) 看護支援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