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61932B1 - 신발 중창 - Google Patents

신발 중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61932B1
KR100661932B1 KR1020040086981A KR20040086981A KR100661932B1 KR 100661932 B1 KR100661932 B1 KR 100661932B1 KR 1020040086981 A KR1020040086981 A KR 1020040086981A KR 20040086981 A KR20040086981 A KR 20040086981A KR 100661932 B1 KR100661932 B1 KR 1006619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dsole
disc
sponge
thickness
iron co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869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37892A (ko
Inventor
김상백
신종열
Original Assignee
김상백
신종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상백, 신종열 filed Critical 김상백
Priority to KR10200400869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61932B1/ko
Publication of KR200600378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378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619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619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42Filling materials located between the insole and outer sole; Stiffening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02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02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A43B13/12Soles with several layers of different materials
    • A43B13/125Soles with several layers of different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midsole or middle laye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단일 원판-스펀지 복합체를 오려서 제조되는 중창과 상기 중창의 하면에 위치하는 철심 및 상기 철심의 하면에 위치하는 보강창을 포함하며, 상기 중창은 원판의 앞축단에서 중간 부위까지를 덮도록 스펀지층을 형성시키고, 상기 원판의 재질은 종이를 압축시킨 재질, 섬유를 압축시킨 재질 및 부직포 재질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것으로 구성되는 조립 신발 중창에 있어서, 상기 스펀지의 두께는 상기 원판의 앞축단에서 중간 부위에 못미치는 지점에서부터 점점 가늘어져 상기 중간 부위에는 그 두께가 없을 정도로 100℃ 내지 600℃의 온도를 가하고, 롤러를 이용하여 스펀지가 원판에 압착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신발, 중창, 스폰지

Description

신발 중창 {Inner sole}
도1은 종래 이중 원판-라텍스 복합체의 단면도이다.
도2는 본발명에 따른 신발 중창의 성형 전 단면도이다.
도3은 본발명에 따른 신발 중창의 성형 후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2, 14: 각각의 원판
16: 단일 원판
18: 스펀지층
본 발명은 신발나 운동화 같은 신발에 사용되는 중창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신발용 중창은 제지펄프를 적층시키고 압축하여 성형함으로서 사용자가 신발에 착용하여 이동할 때, 어느 정도의 충격력을 흡수할 수는 있었으나, 중창이 외부의 힘에 의해 꺾이게 되면 원래의 상태로 복원은 되나 한번 꺾인 부분이 계속 꺾이게 되므로 장시간 사용이 불가능하므로 중창의 수명을 단축시킬 뿐만 아니라, 이로 인해 경제성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중창이 이중 원판 구조를 갖게 되면 중창에 철심이 부착된 보강창을 접착제와 롤러를 이용하여 열을 가하여 부착시키는 공정절차가 많고, 상기 공정절차로 완성된 중창은 원판이 벌어지거나 틀어지고, 몰드에 의한 유압 성형 단계에서 압력의 영향으로 결합된 각각의 원판(12, 14)이 서로 반대쪽으로 밀려나는 현상이 발생하게 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공정절차를 단순화하고, 패턴의 변형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단일 원판(16)-스펀지 복합체를 스펀지의 두께가 상기 중간 부위에 못미치는 지점에서부터 점점 가늘어져 상기 중간 부위에는 그 두께가 없을 정도로 100℃ 내지 600℃의 온도를 가하고, 롤러를 이용하여 스펀지가 원판에 압착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중창을 제공함에 있다.
단일 원판(16)-스펀지 복합체를 오려서 제조되는 중창과 상기 중창의 하면에 위치하는 철심 및 상기 철심의 하면에 위치하는 보강창을 포함하며, 상기 중창은 원판의 앞축단에서 중간 부위까지를 덮도록 스펀지층(18)을 형성시키고, 상기 원판의 재질은 종이를 압축시킨 재질, 섬유를 압축시킨 재질 및 부직포 재질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것으로 구성되는 조립 신발 중창에 있어서,
상기 스펀지의 두께는 상기 원판의 앞축단에서 중간 부위에 못미치는 지점에서부터 점점 가늘어져 상기 중간 부위에는 그 두께가 없을 정도로 100℃ 내지 600℃의 온도를 가하고, 롤러를 이용하여 스펀지가 원판에 압착되도록 압력을 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2은 본발명에 따른 신발 중창의 성형 전 단면도이고,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신발 중창의 성형 후 단면도이다.
단일 원판(16)-스펀지 복합체를 오려서 제조되는 중창과 상기 중창은 원판의 앞축단에서 중간 부위까지를 덮도록 스펀지층(18)을 접착제를 이용하여 형성시킨다.
상기 스펀지층(18)은 상기 중창의 중간 부위에 못미치는 지점에서부터 100℃ 내지 600℃의 고온에 의해 녹이면서 롤러를 이용하여 압착하여 중창과 스펀지층(18)의 두께 차이가 없도록 압력을 가한다.
표1은 본발명을 시험속도:1Hz, 압축두께:1.5mm, 압축봉지름:25mm의 시험조건으로 종래 신발중창과 비교하여 반복압축시험을 한 결과이다.
시험항목 시험결과(%) 시험방법
종래 본발명
반복압축시험:두께변화율 50,000회 7 4 시험속도:1Hz, 압축두께:1.5mm 압축봉지름:25mm
100,000회 10 5
150,000회 10 5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로서 스펀지층(18)에 인솔(INSOIL), 라텍스, 우레탄을 형성시킨다. 상기 인솔(INSOIL)은 400℃ 내지 500℃의 온도를 가하고, 라텍스는 100℃ 내지 500℃의 온도를 가하며, 우레탄은 500℃ 내지 600℃의 온도를 가하여 고온에 의해 녹이면서 롤러를 이용하여 압착하여 중착과의 차이가 없도록 압력을 가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적인 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단일 원판(16)과 스펀지층(18)의 경계면을 고온과 롤러를 이용하여 압착하여 부드럽게 절곡되어, 절곡부분의 손상을 방지하고, 패턴의 변형이 이루어지지 않도록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단일 원판(16)-스펀지 복합체를 오려서 제조되는 중창과 상기 중창의 하면에 위치하는 철심 및 상기 철심의 하면에 위치하는 보강창을 포함하며, 상기 중창은 원판의 앞축단에서 중간 부위까지를 덮도록 스펀지층(18)을 형성시키고, 상기 원판의 재질은 종이를 압축시킨 재질, 섬유를 압축시킨 재질 및 부직포 재질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것으로 구성되는 조립 신발 중창에 있어서,
    상기 스펀지의 두께는 상기 원판의 앞축단에서 중간 부위에 못미치는 지점에서부터 점점 가늘어져 상기 중간 부위에는 그 두께가 없을 정도로 100℃ 내지 600℃의 온도를 가하고, 롤러를 이용하여 스펀지가 원판에 압착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중창.
KR1020040086981A 2004-10-29 2004-10-29 신발 중창 KR1006619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86981A KR100661932B1 (ko) 2004-10-29 2004-10-29 신발 중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86981A KR100661932B1 (ko) 2004-10-29 2004-10-29 신발 중창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30609U Division KR200374021Y1 (ko) 2004-10-29 2004-10-29 신발 중창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37892A KR20060037892A (ko) 2006-05-03
KR100661932B1 true KR100661932B1 (ko) 2007-01-03

Family

ID=371455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86981A KR100661932B1 (ko) 2004-10-29 2004-10-29 신발 중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6193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27505B1 (ko) 2019-07-11 2020-07-07 문신환 다공성 신발중창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다공성 신발중창
KR102263757B1 (ko) 2019-12-09 2021-06-11 문신환 다공성 신발중창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다공성 신발중창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27505B1 (ko) 2019-07-11 2020-07-07 문신환 다공성 신발중창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다공성 신발중창
KR102263757B1 (ko) 2019-12-09 2021-06-11 문신환 다공성 신발중창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다공성 신발중창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37892A (ko) 2006-05-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14673B1 (ko) 접착용 필름을 이용한 신발의 제조방법
KR101398179B1 (ko) 본드 접착 없는 신발 및 그 제조방법
KR102141587B1 (ko) 아웃솔 구조체 및 그 제조방법
KR101075172B1 (ko) 경도가 서로 다른 3조각의 판형 중창부재로 이루어진 신발중창
CN108454149A (zh) 一种制鞋方法及鞋
KR100661932B1 (ko) 신발 중창
KR101779378B1 (ko) 피혁과 실리콘이 중합된 신발용 인솔 제조방법
KR200374021Y1 (ko) 신발 중창
US1948390A (en) Rubber shoe sole and process of producing the same
CN204888886U (zh) 帆布鞋的鞋面复合构造
KR20170092063A (ko) 탄발성이 우수한 기능성 신발의 제조방법
KR101719159B1 (ko) 신발 안창의 제조방법
CN201782121U (zh) 一种鞋垫
KR102127505B1 (ko) 다공성 신발중창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다공성 신발중창
CN204908153U (zh) 新型复合鞋底的劳保鞋
KR200374023Y1 (ko) 중창 제조 장치
KR100824277B1 (ko) 구두중창의 제조방법 및 그 중창
CN208324289U (zh) 一种鞋
KR102247685B1 (ko) 신발용 내답판 및 그의 제조방법
KR20130075629A (ko) 접착용 필름의 조성물
EP1591031A1 (en) Method for making a shoe
KR20060037893A (ko) 중창 제조 장치 및 그를 이용한 제조 방법
EP3183983B1 (de) Innenschuh mit einem knöchelverstärkungselement aus kunststoff-material
US2199811A (en) Process of making a top lift slab
KR200314678Y1 (ko) 구두 중창용 단일 원판-우레탄 복합체 및 이를 이용하여제조되는 조립 구두 중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51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0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3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9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2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2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14

Year of fee payment: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