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61778B1 - 단자부가 큰 피치로 용이하게 배치되는 커넥터 - Google Patents

단자부가 큰 피치로 용이하게 배치되는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61778B1
KR100661778B1 KR1020050028891A KR20050028891A KR100661778B1 KR 100661778 B1 KR100661778 B1 KR 100661778B1 KR 1020050028891 A KR1020050028891 A KR 1020050028891A KR 20050028891 A KR20050028891 A KR 20050028891A KR 100661778 B1 KR100661778 B1 KR 1006617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ws
contacts
connector
contact
conta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288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45557A (ko
Inventor
도시오 마스모토
유이치 사이토
Original Assignee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0455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455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617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617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01R43/2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assembling or disassembling contact members with insulating base, case or slee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3/00Hand knives with fixed blades
    • B26B3/06Scout or similar sheath kn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9/00Blades for hand kniv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8High frequency shielding arrangements, e.g. against EMI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or EMP [Electro-Magnetic Pulse]
    • H01R13/6581Shield structure
    • H01R13/6582Shield structure with resilient means for engaging mating connec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복수의 접촉 부재가 절연체(11)에 의해 2열로 지지된다. 이 접촉 부재는 각각의 2열에 제 1 접촉자(13) 및 제 2 접촉자(14)를 포함한다. 각각의 제 1 및 제 2 접촉자는 대응 접촉자와 연결되는 접촉부(13a,14a) 및 연결 대상물에 연결된 단자부(13b,14b)를 가진다. 제 1 접촉자의 단자부는 규정된 열로 집합적으로 배치된다. 2열 중의 한 열에 배치된 제 2 접촉자와 다른 열에 배치된 제 2 접촉자는 위치가 서로 반전되어 있다. 2열 중의 한 열에 있는 제 2 접촉자의 단자부는 규정된 열의 일 측에 배치되며, 2열 중의 다른 열에 있는 제 2 접촉자의 단자부는 규정된 열의 타 측에 배치된다.

Description

단자부가 큰 피치로 용이하게 배치되는 커넥터{CONNECTOR IN WHICH TERMINAL PORTIONS CAN EASILY BE ARRANGED AT A LARGE PITCH}
도 1 은 본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커넥터의 사시도이다.
도 2 는 도 1 에 도시된 커넥터의 상부 평면도이다.
도 3 은 도 1 에 도시된 커넥터의 정면도이다.
도 4 는 도 1 에 도시된 커넥터의 하부 평면도이다.
도 5 는 도 1 에 도시된 커넥터의 측면도이다.
도 6 은 도 1 에 도시된 커넥터의 수직 확대 단면도이다.
도 7 은 도 1 에 도시된 커넥터가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다.
도 8A 는 도 1 에 도시된 커넥터의 접촉부의 구성을 나타낸다.
도 8B 는 도 1 에 도시된 커넥터의 단자부의 구성을 나타낸다.
도 9A 내지 9C 는 도 1 에 도시된 커넥터의 제 1 및 제 2 접촉자를 나타낸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설명*
10 커넥터
11 절연체
11a 기반부
13 제 1 접촉자
13a 접속부
13b 단자부
13c 홀딩부
14 제 2 접촉자
14a 접촉부
14b 단자부
16 쉘
16a 결합부
16b 쉘 접촉 스프링
16c 쉘 단자
16d 고정부
21,22,23 캐리어
본발명은 복수의 접촉 부재(contact member)를 포함하는 커넥터에 관한 것이며, 특히 접촉자(contact)의 접촉부(contacting portion)와 단자부(terminal portion)가 서로 다르게 배치된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통상의 커넥터는 절연체 및 절연체에 고정된 복수의 접촉 부재를 포함한다. 각각의 접촉 부재는 대응 접촉자(mating contact)와 연결되는 접촉부 및 연결 대상물인 기판에 연결되는 단자부를 갖는다. 상기 단자부는 예를들어 단자부를 기판에 납땜하거나 또는 단자부를 기판에 형성된 스루 홀(through hole)에 삽입함으로써 기판(board)에 연결된다. 이런 연결에서, 단자부는 접촉부에 비해서 큰 피치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자부의 피치 변환(pitch conversion)에 대한 다양한 기술이 예를들어, 일본 특허공개 공보 (JP-A) No. H8-162187, 2002-151187,및 2002-334748 에 개시되어 있다. 이런 기술들은 접촉자의 접촉부가 그리드형(grid-like pattern)으로 배치된 커넥터에서 효과적이다. 그러나 접촉부가 2열로 배치되고 이 2열 사이에 반 피치 변위된 경우, 즉 서로 엇갈린 패턴(staggered pattern)으로 배치된 경우에는 아무런 장점이 없다.
본발명의 목적은 접촉부가 서로 엇갈린 패턴으로 배치된 경우에도 단자부가 용이하게 배치되는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발명의 다른 목적은 2종의 접촉자를 사용하여 상기 목적을 달성하는 것이다.
본발명의 목적들은 이하의 설명으로 명확해질 것이다.
본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절연체 및 절연체에 2열로 지지된 복수의 접촉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접촉 부재는 상기 2열의 각각에 제 1 접촉자 및 제 2 접촉자를 포함하며, 제 1 및 제 2 접촉자 각각은 대응 접촉자에 연결되는 접촉부 및 연결 대상물에 연결되는 단자부를 가지며, 제 1 접촉자의 단자부는 규정된 열에 집합적으로 배치되고, 2열 중의 한 열에 배치된 제 2 접촉자와 다른 열에 배치된 제 2 접촉자는 위치가 서로 반전되어 있으며, 2열 중의 한 열에 있는 제 2 접촉자의 단자부는 규정된 열의 일 측에 배치되며, 2열 중의 다른 열에 있는 제 2 접촉자의 단자부는 규정된 열의 타 측에 배치된다.
본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르면, 양 단부에서 접촉부 및 단자부 각각을 갖는 복수의 접촉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접촉부는 평면의 양측면에서 2열로 배치되며, 단자부는 3열로 배치되고 3열중의 한 열은 상기 평면 상에 있고 나머지 열들은 이 평면의 양측에 있다.
도 1 에서 6 을 참조하여, 본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커넥터를 설명하도록 하겠다.
도면에 도시된 커넥터(10)는 리셉터클 커넥터(receptacle connector)이고 절연체(11) 및 절연체(11)에 의해 고정되는 복수의 전도성 접촉 부재를 포함한다. 접촉 부재는 제 1 접촉자(13) 및 제 2 접촉자(14)를 포함한다.
각각의 제 1 접촉자(13)는 대응 커넥터(도시되지 않음)의 대응 접촉자에 연결되는 접촉부(13a), 장치(도시되지 않음)에 장착된 연결 대상물인 기판에 연결되는 단자부(13a), 접촉부(13a) 및 단자부(13b) 사이에 배치되어 절연체(11)에 압입 되는 홀딩부(13c)를 갖는다. 각 단자부(13b 및 14b)는 예를들어, 납땜으로 기판의 스루 홀(through hole)을 통하여 그 기판과 연결된다.
접촉 부재는 2열 즉, 제 1 및 제 2 열로 배치되고, 이 각 열은 수평 방향인 제 1 방향(A1)으로 신장되어 있다. 각각의 제 1 및 제 2 열은 복수의 제 1 접촉자(13) 및 복수의 제 2 접촉자(14)를 가진다. 도 6 에 도시된 것처럼, 각각의 제 1 및 제 2 접촉자(13,14)는 통상적으로 수직 방향, 즉 제 2 방향(A2)으로 신장된다.
도 4 의 하부 평면도에 도시된 것처럼, 제 1 및 제 2 접촉자(13 및 14)의 단자부(13b 및 14b)는 제 1 방향(A1)으로 신장되는 3열로 배치되어 있다. 특히, 제 1 접촉자(13)의 단자부(13b)는 3열 중에 규정된 열 즉, 제 1 및 제 2 방향(A1,A2)에 수직으로 수평 방향인 제 3 방향(A3)의 중앙 열에 집합적으로 배치된다.
제 1 열 및 제 2 열에 있는 제 2 접촉자(14)는 서로 반전되어 있다. 결과적으로, 제 1 열 및 제 2 열의 제 2 접촉자(14)의 단자부(14b)는 중앙 열의 일 측 및 다른 측에 각각 배치되고, 중앙 열에 있는 단자부(13b)와 간격을 두어 주변 열(peripheral row)을 형성한다.
제 1 열 및 제 2 열에 있는 접촉 부재(제 1 접촉자(13)및 제 2 접촉자(14))의 접촉부(13a,14a)는 제 1 방향(A1)으로 신장되는 2열로 배치되고, 서로 간격을 두고 배치된다. 단자부(13b)의 상기 중앙 열은 접촉부(13a,14a)의 2열 사이의 중간위치에 대응된다. 각각의 제 1 및 제 2 열에는, 모든 2개의 제 2 접촉자(14)가 서로 인접하게 배치되어 있고, 각각의 제 1 접촉자(13)는 모든 2 개의 인접한 제 2 접촉자(14)와 서로 인접하게 배치된다.
또한 커넥터(10)는 접촉부(13a,14a)와 일정 간격을 유지하면서 그 접촉부를 감싸는 금속 쉘(shell,16)을 포함한다. 이 쉘(16)은 절연체(11)에 고정된 원통형 결합부(16a,cylindrical fitting portion), 이 결합부(16a)의 상단부에 근접하게 형성되고 안쪽으로 돌출된 쉘 접촉 스프링(16b), 결합부(16a)로부터 아래 방향으로 신장되고 절연체(11)의 아래로 돌출하는 한쌍의 쉘 단자(16c) 및 상기 결합부(16a)로부터 제 3 방향(A3)으로 신장되어 장치의 프레임에 고정된 고정부(16d)를 포함한다.
상기 절연체(11)는 기반부(11a), 기반부(11a)의 일 면 또는 상부면에 일체로 형성된 지지부(11b) 및 기반부(11a)의 반대 면 또는 하부 면에 형성된 위치 결정 보스(11c,positioning boss)를 포함한다. 지지부(11b)는 결합부(16a)에 결합되어 고정된다. 이 경우, 기반부(11a)는 결합부(16a)로부터 외측 반경 방향으로 돌출된다.
상기 위치 결정 보스(11c)는 기판의 스루 홀(도시되지 않음)에 삽입되어 기판에 대하여 커넥터(10)를 위치시킨다. 또한, 단자부(13b,14b) 및 쉘 단자(16c)는 기판의 스루 홀에 삽입된다. 결국, 상기 커넥터(10)는 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제부터는 다른 용어를 사용하여 커넥터(10)에 대하여 설명한다. 접촉부(13a,14a)는 제 1 및 제 2 방향(A1,A2)으로 신장되는 평면의 양측에 2열로 배열된다. 단자부(13a,14a)는 3열로 배열되어 있다. 3열중의 1열은 상기 평면상에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 1 접촉자(13)의 단자부(13b)는 상기 평면에 집합적으로 배치된다. 제 1 접촉자(13)의 접촉부(13a)는 상기 평면의 양측에 배치된 두 그룹으로 각각 분리된다. 제 2 접촉자(14)는 상기 평면의 양면에 배치된 두 그룹으로 각각 분리된다. 제 2 접촉자(14)의 접촉부(14a) 중 2개는 제 1 방향(A1)으로 서로 인접하여, 상기 평면의 각 측에서 한쌍을 이룬다. 제 1 접촉자(13)의 접촉부(13a) 중 1 개는 제 1 방향(A1)으로 평면의 각 측에 있는 상기 한쌍과 인접한다.
도 7 에 따르면, 커넥터(10)는 기판(17) 및 장치의 프레임(18)에 부착된다. 플러그 커넥터(19)는 리셉터클 커넥터인 커넥터(10)에 연결되어 있다.
도 8A 및 8B 를 참조하여, 접촉부(13a 및 14a)의 배치 및 단자부(13b 및 14b)의 배치 사이의 관계에 대해 추가적으로 설명하겠다.
도 8A 에서 도면 부호 1 내지 9 는 각각 접촉자의 단자부에 해당한다. 도 8B 에서 도면 부호 1 내지 9 는 각각 접촉자의 단자부에 해당한다. 여기서, 도 8A 및 8B 에서의 같은 도면 부호는 같은 접촉자를 나타낸다.
접촉자의 접촉부는 도 8A 의 도면 부호 1 내지 9 로 도시된 것처럼 제 1 방향(A1)으로 서로 엇갈리게 배치된다. 또한, 접촉자의 단자부는 도 8B 의 도면 부호 1 내지 9 로 도시된 것처럼 3열로 배치된다.
도 9A 내지 도 9C 를 참조하여, 제 1 및 제 2 접촉자(13,14)에 대해 추가 설명을 하겠다.
도 9A 는 제 1 열에서 제 2 접촉자(14)의 형성에 사용되는 중간부가 도시되어 있다. 이 중간부에는, 캐리어(21)가 제 2 접촉자(14)의 단자부(14b)에 인접하여 일체로 형성된다. 통상적으로, 중간부는 상기 캐리어(21)가 감긴 상태로 저장 되며, 이 캐리어(21)를 규정된 길이로 절단하여 사용한다.
캐리어(21)는 규정된 길이로 연속적으로 절단되므로, 절단 후 캐리어(21)에 지지되는 접촉자의 수는 소망하는 개수가 아닐 수 있다. 이 경우, 불필요한 접촉자(일점쇄선으로 도시된 부분)는 절단된다.
도 9B 는 제 2 열의 제 2 접촉자(14)를 형성에 사용되는 중간부를 도시한다. 이 중간부에는, 캐리어(22)가 제 2 접촉자(14)의 단자부(14b)에 인접하여 일체로 형성된다. 제 1 및 제 2 열의 제 2 접촉자(14)는 형태가 동일하므로, 도 9A 및 9B 의 중간부는 동일한 다이(die)를 사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 따라서, 제 1 및 제 2 열의 제 2 접촉자(14)는 동일한 중간부 즉, 도 9A 및 9B 의 중간부 중의 하나로부터 제조된다.
도 9C 는 제 1 접촉자(13)의 형성에 사용되는 중간부를 도시한다. 이 중간부에는 캐리어(23)가 제 1 접촉자(13)의 단자부(13b)에 인접하여 일체로 형성된다.
이제 커넥터(10)의 조립에 대하여 보다 자세히 설명할 것이다. 도 9A 내지 9C 의 중간부는 캐리어(21,22 및 23)가 유지된 채로 절연체(11)에 압입된다. 그 후, 상기 캐리어(21,22 및 23)는 제거된다(파단 또는 절단). 단자부(13b 및 14b)의 위치를 교정하는 부분 로케이터(part locator)가 절연체(11)에 압입된다. 또한, 상기 쉘(16)은 절연체(11)에 결합된다. 조립의 순서는 적절하게 바뀔 수 있다.
위에서 설명한 커넥터(10)에서, 단자부는 3열로 배치되는 반면, 결합부에 있는 접촉부는 서로 엇갈리게 2열로 배치된다. 따라서, 작은 크기의 커넥터에서도, 한정된 공간이 효과적으로 사용되고, 기판의 단자부는 충분히 넓은 피치와 열간격으로 배치된다.
또한, 단일 라인의 연결을 위해 모든 2개의 제 2 접촉자를 사용하고 또한 접지 연결을 위해 모든 하나의 제 1 접촉자를 사용함으로써, 세 접촉자의 삼각형 배열이 접촉부 측에서 뿐만 아니라 단자부 측에서도 실현될 수 있다.
따라서, 높은 전기적 성능이 달성된다.
전술한 것처럼, 상기 제 2 접촉자(14)는 위치가 반전된다. 또한, 제 1 접촉자(13) 도 위치가 반전될 수 있는데, 즉 제 1 및 제 2 접촉자 모두 위치가 반전될 수 있다.
본 발명이 전술된 실시예에 따라 지금까지 설명되었지만, 당업자라면 본발명을 다양한 방법으로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발명의 커넥터는 고차동 신호 전송 시스템에서 사용될 수 있다. 이 경우,각각의 제 2 접촉자가 신호 접촉자로 사용되는 반면, 각각의 제 1 접촉자는 접지 접촉자로 사용된다.
본발명의 커넥터를 사용하면, 작은 크기의 커넥터에서도, 한정된 공간이 효과적으로 사용되고 기판 측의 단자부는 충분히 넓은 피치와 충분히 넓은 열간격으로 배치된다. 또한, 단일 라인의 연결을 위해 모든 2개의 제 2 접촉자를 사용하고 또한 접지 연결을 위해 모든 하나의 제 1 접촉자를 사용함으로써, 세 접촉자의 삼각형 배열이 접촉부 측에서 뿐만 아니라 단자부 측에서도 실현될 수 있다. 따라서, 높은 전기적 성능이 달성된다.

Claims (14)

  1. 절연체 및 절연체에 2열로 지지된 복수의 접촉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접촉 부재는 상기 2열의 각각에 제 1 접촉자 및 제 2 접촉자를 포함하며,
    제 1 및 제 2 접촉자 각각은 대응 접촉자에 연결되는 접촉부 및 연결 대상물에 연결되는 단자부를 가지며,
    제 1 접촉자의 단자부는 규정된 열에 집합적으로 배치되고,
    2열 중의 한 열에 배치된 제 2 접촉자와 다른 열에 배치된 제 2 접촉자는 위치가 서로 반전되어 있으며,
    2열 중의 한 열에 있는 제 2 접촉자의 단자부는 규정된 열의 일 측에 배치되며,
    2열 중의 다른 열에 있는 제 2 접촉자의 단자부는 규정된 열의 타 측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2. 제 1 항에 있어서, 2열중의 한 열 및 다른 열에 있는 제 1 및 제 2 접촉자의 접촉부는 서로 간격을 두고 2열로 배치되어 있는 커넥터.
  3. 제 2 항에 있어서, 단자부의 규정된 열은 접촉부의 2열 사이의 중간 위치에 대응되게 배치되는 커넥터.
  4. 제 1 항에 있어서, 2열중의 각 열에서, 모든 2개의 제 2 접촉자는 서로 인접하고, 각각의 제 1 접촉자는 모든 인접한 2개의 제 2 접촉자와 인접하게 배치되는 커넥터.
  5. 제 1 항에 있어서, 접촉부를 일정 간격을 유지하면서 감싸는 금속 쉘을 더 포함하는 커넥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쉘은 절연체에 고정된 원통형 결합부를 갖는 커넥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체는 기반부, 상기 기반부의 일 표면에 일체로 형성된 지지부 및 상기 기반부의 다른 표면에 형성된 위치 결정 보스를 가지며, 상기 지지부는 결합부의 일 단부와 결합되는 커넥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기반부는 상기 결합부로부터 외측 반경 방향으로 돌출되는 커넥터.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쉘은 결합부의 다른 단부에 형성되어 쉘 안쪽으로 돌출된 쉘 접촉자 스프링을 더 구비하는 커넥터.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쉘은 결합부로부터 절연체를 넘어 신장되는 한쌍의 쉘 단자를 더 갖는 커넥터.
  11.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쉘은 결합부의 다른 단부로부터 신장되는 고정부를 더 갖는 커넥터.
  12. 양 단부에서 접촉부 및 단자부 각각을 갖는 복수의 접촉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접촉부는 평면의 양측면에서 2열로 배치되며, 단자부는 3열로 배치되고 3열중의 한 열은 상기 평면 상에 있고 나머지 열들은 이 평면의 양측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 부재는 제 1 접촉자 및 제 2 접촉자를 포함하고, 제 1 접촉자의 단자부는 상기 평면에 집합적으로 배치되며, 제 1 접촉자의 접촉부는 평면의 양측에 2 그룹으로 분리되어 배치되고 제 2 접촉자는 평면의 양측에 2 그룹으로 분리되어 배치되는 커넥터.
  14. 제 13 항에 있어서, 제 2 접촉자의 접촉부 중 2개는 평면의 각 측에서 한쌍을 이루고, 제 1 접촉자의 접촉부 중 하나는 상기 평면의 각 측에 있는 상기 쌍과 인접하는 커넥터.
KR1020050028891A 2004-04-09 2005-04-07 단자부가 큰 피치로 용이하게 배치되는 커넥터 KR10066177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4115665A JP4036376B2 (ja) 2004-04-09 2004-04-09 コネクタ
JPJP-P-2004-00115665 2004-04-0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45557A KR20060045557A (ko) 2006-05-17
KR100661778B1 true KR100661778B1 (ko) 2006-12-28

Family

ID=349749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28891A KR100661778B1 (ko) 2004-04-09 2005-04-07 단자부가 큰 피치로 용이하게 배치되는 커넥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7090540B2 (ko)
JP (1) JP4036376B2 (ko)
KR (1) KR100661778B1 (ko)
CN (1) CN100421307C (ko)
BE (1) BE1016484A3 (ko)
TW (1) TWI27815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190015B2 (ja) * 2005-11-02 2008-12-03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4216287B2 (ja) * 2006-02-20 2009-01-28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5211540B2 (ja) * 2006-08-23 2013-06-12 セントラル硝子株式会社 プレ防曇性物品及び防曇性物品並びに防曇性物品のための塗布液
WO2008152520A2 (en) 2007-05-10 2008-12-18 Fci Support for electrical connector
FR2915897B1 (fr) * 2007-05-11 2009-08-21 Lvmh Rech Composition cosmetique comprenant un extrait d'adenium obesum, son utilisation et une methode de soin cosmetique en comportant l'application.
CN201122731Y (zh) * 2007-10-25 2008-09-24 上海莫仕连接器有限公司 电连接器
TWM331787U (en) * 2007-11-09 2008-05-01 Advanced Connectek Inc Micro connector
US7661990B1 (en) * 2008-09-24 2010-02-16 Cheng Uei Precision Industry Co., Ltd. Electrical connector
CN201303149Y (zh) * 2008-10-15 2009-09-02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电连接器
US7727028B1 (en) * 2009-07-14 2010-06-01 Hon Hai Precision Ind. Co., Ltd. Electrical connector with contact terminals designed to improve impedance
CN102044801B (zh) * 2009-10-19 2013-05-08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电连接器及其组装方法
CN102290654B (zh) * 2010-06-21 2014-02-19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电连接器
CN202772376U (zh) * 2012-08-29 2013-03-06 泰科电子(上海)有限公司 连接器
WO2015081064A1 (en) 2013-11-27 2015-06-04 Fci Asia Pte. Ltd Electrical power connector
US9496651B2 (en) * 2015-03-03 2016-11-15 Lattice Semiconductor Corporation HDMI connector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62187A (ja) * 1994-10-05 1996-06-21 Sega Enterp Ltd コネクタと基板との接続構造並びこれに使用されるコネクタ
JP2002151187A (ja) 2000-11-10 2002-05-24 Tyco Electronics Amp Kk 可動型コネクタ
KR20020071477A (ko) * 2001-03-05 2002-09-12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특정 배열의 신호 콘택과 접지 콘택을 구비한 커넥터
US6464529B1 (en) 1993-03-12 2002-10-15 Cekan/Cdt A/S Connector element for high-speed data communications
KR20050016110A (ko) * 2003-08-06 2005-02-21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뛰어난 전송특성 및 뛰어난 emi 억제특성을 갖는 커넥터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77875A (ja) * 1986-01-31 1987-08-04 ケル株式会社 フラツトケ−ブルコネクタ
JPH0741109Y2 (ja) * 1990-09-17 1995-09-20 ヒロセ電機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構造
US5980325A (en) * 1998-07-30 1999-11-09 Berg Technology, Inc. Micro miniature electrical connector and method of manufacture
TW424969U (en) * 1999-12-23 2001-03-01 Hon Hai Prec Ind Co Ltd High-density electric connector
US6371771B1 (en) * 2000-12-28 2002-04-16 Hon Hai Precision Ind. Co., Ltd. Universal serial bus connector with power transmission function
CN2483850Y (zh) * 2001-05-04 2002-03-27 莫列斯公司 电连接器屏蔽装置
US6464541B1 (en) * 2001-05-23 2002-10-15 Avaya Technology Corp. Simultaneous near-end and far-end crosstalk compensation in a communication connector
US6447340B1 (en) * 2001-08-15 2002-09-10 Hon Hai Precision Ind. Co., Ltd. Electrical connector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464529B1 (en) 1993-03-12 2002-10-15 Cekan/Cdt A/S Connector element for high-speed data communications
JPH08162187A (ja) * 1994-10-05 1996-06-21 Sega Enterp Ltd コネクタと基板との接続構造並びこれに使用されるコネクタ
JP2002151187A (ja) 2000-11-10 2002-05-24 Tyco Electronics Amp Kk 可動型コネクタ
KR20020071477A (ko) * 2001-03-05 2002-09-12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특정 배열의 신호 콘택과 접지 콘택을 구비한 커넥터
KR20050016110A (ko) * 2003-08-06 2005-02-21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뛰어난 전송특성 및 뛰어난 emi 억제특성을 갖는 커넥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BE1016484A3 (fr) 2006-12-05
KR20060045557A (ko) 2006-05-17
TWI278156B (en) 2007-04-01
CN1681163A (zh) 2005-10-12
JP2005302481A (ja) 2005-10-27
US20050227543A1 (en) 2005-10-13
TW200541183A (en) 2005-12-16
JP4036376B2 (ja) 2008-01-23
US7090540B2 (en) 2006-08-15
CN100421307C (zh) 2008-09-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61778B1 (ko) 단자부가 큰 피치로 용이하게 배치되는 커넥터
US10847936B2 (en) Card edge connector with improved grounding member
US6764342B2 (en) Electrical connector for balanced transmission cables with module for positioning cables
JP3462077B2 (ja) 電気コネクタ及びこれに用いる接点の形成方法
CN107978902B (zh) 插座连接器
US7458829B2 (en) Electric connector having an excellent grounding function
US6884089B2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fixity members having similar shapes as contacts from which contact portions are omitted
EP0220210B1 (en) Electrical connector for an electrical cable
JP6635583B2 (ja) 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組立体
US9112302B2 (en) Electrical connector and assembly thereof
US9130322B2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with an adapter assembled thereof
JP2019071215A (ja) コネクタ
KR102257639B1 (ko) 플러그 커넥터 접촉 캐리어
US8894433B2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with enhanced blind mating features
US20130295796A1 (en) Multiple plug connector unit
US7341491B2 (en) Miniature audio jack connector with improved contact arrangement
US6638081B2 (en) Electrical connector
NZ202553A (en) Socket interfacing chip carrier with p.c.b.
US7547216B1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with alignment posts
JP6884164B2 (ja) レセプタクルコネクタ及びタブ端子
JP2008103122A (ja) コネクタ
JP2014212152A (ja) ブレッドボード
CN114597712A (zh) 芯片电连接器
KR20040029265A (ko) 접속력이 오래 유지되는 커넥터
EP0429554A1 (en) Electrical connec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3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4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9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2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