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61700B1 - 헤어스프레이 조성물 - Google Patents

헤어스프레이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61700B1
KR100661700B1 KR1020000027697A KR20000027697A KR100661700B1 KR 100661700 B1 KR100661700 B1 KR 100661700B1 KR 1020000027697 A KR1020000027697 A KR 1020000027697A KR 20000027697 A KR20000027697 A KR 20000027697A KR 100661700 B1 KR100661700 B1 KR 1006617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ymer
hair
setting
cationic surfactant
active ingredi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276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106753A (ko
Inventor
손성길
최화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to KR10200000276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61700B1/ko
Publication of KR200101067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1067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617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61700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A61K8/41Amines
    • A61K8/416Quaternary ammonium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90Block copolym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61Q5/06Preparations for styling the hair, e.g. by temporary shaping or colour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4Polymers characterized by specific structures/properties
    • A61K2800/542Polymers characterized by specific structures/properties characterized by the charge
    • A61K2800/5422Polymers characterized by specific structures/properties characterized by the charge nonionic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4Polymers characterized by specific structures/properties
    • A61K2800/542Polymers characterized by specific structures/properties characterized by the charge
    • A61K2800/5428Polymers characterized by specific structures/properties characterized by the charge amphoteric or zwitterionic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9Mixtures
    • A61K2800/596Mixtures of surface active compound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셋팅용 폴리머, 용제, 가소제, 보습제 및 향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일반적인 두발용 헤어스프레이 조성물에서 양이온성 계면활성제 성분을 일정량 함유시켜 셋팅용 폴리머의 특성을 개질시키므로써 두발에 형성되는 폴리머 필름에 유연성 및 탄력성을 높여 주어 사용 후 모발이 부드럽고 유연하게 느껴지도록 하면서도 셋팅된 상태를 오래 유지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어스프레이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전체 조성물에 대하여 비이온성 또는 양쪽성 셋팅용 폴리머를 활성성분 함량으로 0.1 내지 10중량%, 양이온성 계면활성제를 상기 셋팅용 폴리머의 활성성분 함량에 대하여 1 내지 40중량% 및 잔량으로서 용제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따라서, 셋팅용 폴리머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헤어스프레이 조성물에 양이온성 계면활성제를 포함시켜 셋팅용 폴리머가 모발에 적용되어 형성되는 필름에 유연성과 탄력성을 향상시키면서 동시에 컨디셔닝 효과를 부여할 수 있는 보다 개선된 형태의 헤어스프레이 조성물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헤어스프레이, 가소제, 양이온성 계면활성제, 셋팅용 폴리머, 수동 압축펌프

Description

헤어스프레이 조성물 {Hair spray composition for hair setting}
본 발명은 두발을 정결하게 하기 위하여 두발에 직접 분무되어 두발을 고정시키는 두발용 헤어스프레이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셋팅용 폴리머, 용제, 가소제, 보습제 및 향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일반적인 두발용 헤어스프레이 조성물에서 양이온성 계면활성제 성분을 일정량 함유시켜 셋팅용 폴리머의 특성을 개질시키므로써 두발에 형성되는 폴리머 필름에 유연성 및 탄력성을 높여 주어 사용 후 모발이 부드럽고 유연하게 느껴지도록 하면서도 셋팅된 상태를 오래 유지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어스프레이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인간은 모발을 다양한 형태로 유지하고 싶어하는 욕구를 가지고 있으며, 이러한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하여 모발에 다양한 변화를 시도하고 있다. 이러한 변화로는 영구적인 형태 변화와 일시적인 형태 변화로 대별될 수 있다.
모발의 영구적인 형태 변화로서 퍼머넨트 제제(Permanent agent)나 염색제와 같이 화학 반응을 통하여 모발의 형태를 영구적으로 또는 반영구적으로 변화시키거나 모발의 색상을 변화시키고, 아이롱 퍼머 등과 같이 열의 물리적인 특성을 이용한 방법들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영구적인 형태 변화는 단백질의 변성작용을 통하여 이루어진다. 즉, 화학적인 변화에서는 단백질의 시스테인 결합(단백질을 구성하는 분자 중에 포함되는 황원자 간의 결합)을 일시적으로 절단하여 원하는 형태를 만든 후, 절단된 부분을 다시 시스테인 결합으로 결합시켜 변형된 형태를 그대로 유지토록 하는 것을 예로 들 수 있으며, 열의 물리적인 특성을 이용하는 물리적인 변화에서는 단백질의 열에 의한 변성을 이용하는 것으로서, 가열에 의하여 단백질이 변성되는 과정에서 모발의 형태를 원하는 형태로 만든 후, 실온으로의 자연적인 냉각에 의하여 변형된 상태를 그대로 유지토록 하는 것을 예로 들 수 있다. 그러나, 상기한 방법은 모두 원하는 형태로 모발을 변형시킨 후, 이를 장기간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으나, 단백질을 구성하는 시스테인 결합의 절단 및 재연결 등이나 열에 의한 변성 모두 모발에 심한 손상을 가져올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수시로 모발의 형태를 자유로이 변형시키기에는 상당한 제약이 있다는 불편점도 있었다.
이에 비해 모발의 일시적인 형태 변화는 헤어스프레이, 헤어무스, 헤어젤과 같은 모발 셋팅 제품을 사용하거나, 또는 드라이의 약한 열을 이용하는 물리적인 방법들이 사용되고 있다.
일반적인 압축펌프 헤어스프레이 조성물은 셋팅용 폴리머, 용제, 가소제, 보습제 및 향 등으로 구성되며, 이들 내용물은 손으로 누르는 압력을 이용한 통상의 압축 미스트 펌프에 의해 미세한 입자의 형태로 모발에 분사됨으로써 그 작용을 나타내게 된다. 가장 중요한 구성성분의 하나인 셋팅용 폴리머는 모발에 분사된 후에 에 탄올이나 물과 같은 용제가 증발함에 따라서 모발 표면에 필름을 형성하고, 그 필름의 강도에 의해서 모발을 고정시켜 주는 목적으로 사용된다. 또한, 용제로는 에탄올이 주로 사용되고 있으나, 경우에 따라서는 물을 함유하기도 하며, 가소제로는 주로 실리콘 화합물 또는 2-아미노-2-메틸-1-프로판올(2-amino-2-methyl-1-propanol)이, 보습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propylene glycol) 등이 주로 사용된다. 그러나, 이 경우 가소제, 중화제 및 보습제 등을 사용하지 않고 셋팅용 폴리머를 단독으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폴리머 필름이 너무 딱딱하고 폴리머 필름 자체의 탄력성 및 유연성이 나빠 사용 후 모발이 부자연스럽게 느껴지고, 외부의 물리적 충격에 의해 폴리머 필름이 쉽게 부서짐에 따라서 셋팅한 상태를 오래 유지시켜 주지 못하는 단점을 나타내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현상의 방지를 위하여 중화제, 보습제 및 가소제 등의 첨가에 의하여 모발에 형성되는 폴리머의 필름을 유연하게 하고, 사용 후 모발의 느낌을 개선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가소제들의 첨가는 폴리머 필름을 유연하게 하는 효과는 있으나, 가소제에 의하여 역으로 셋팅력이 저하되고 셋팅이 유지되는 시간이 감소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기존의 가소제들이 갖는 셋팅력 저하 및 셋팅 상태 유지 효과 감소 등의 역기능을 최소화하면서도 폴리머 필름에 유연성과 탄력성을 제공하여 사용 후 모발에 자연스러운 느낌을 제공하기 위한 다양한 방법들에 대하여 탐색하던 중, 통상 헤어샴푸, 린스 등에 모발 컨디셔닝 효과를 제공할 목적으로 양이온성 계면활성제를 일정량 첨가하는 점에 착안하여 연구 검토한 결과, 헤어스프레이 조 성물에 양이온성 계면활성제를 일정량 함유시키는 것에 의하여 기존의 가소제 함유에 의해서 야기되는 셋팅력의 저하와 셋팅 유지시간 단축의 문제점을 최소화 하면서 폴리머 필름에 유연성과 탄력성을 갖게 하고, 동시에 양이온성 계면활성제의 모발 컨디셔닝 효과를 활용하여 모발에 윤기와 매끄러움을 부여할 수 있는 압축펌프 헤어스프레이 조성물을 얻을 수 있음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분사제를 사용하지 않는 일반적인 압축펌프 형태의 헤어스프레이 조성물에서 양이온성 계면활성제를 포함하여 스프레이 제품에 보다 개선된 사용감을 줄 수 있는 헤어스프레이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셋팅 폴리머의 유연성과 탄력성을 부여하면서도 셋팅력의 향상 및 셋팅유지시간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헤어스프레이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양이온성 계면활성제의 모발에 대한 컨디셔닝 효과를 부여할 수 있는 헤어스프레이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헤어스프레이 조성물은, 전체 조성물에 대하여 비이온성 또는 양쪽성 셋팅용 폴리머를 활성성분 함량으로 0.1 내지 10중량%, 양이온성 계면활성제를 상기 셋팅용 폴리머의 활성성분 함량에 대하여 1 내지 40중량% 및 잔량으로서 용제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셋팅용 폴리머는 폴리비닐피롤리돈(Polyvinylpyrrolidone), 피브이피/브이에 이 공중합체(PVP/VA copolymer), 피브이피/디메틸아미노에틸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PVP/dimethylaminoethylmethacrylate copolymer) 등의 비이온성 폴리머 또는 메타크릴로일에틸베타인/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Methacryloylethyl betaine/methacrylate copolymer), 옥틸아크릴아미드/아크릴레이트/부틸아미노에틸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Octylacrylamide/acrylates/butylaminoethyl methacrylate copolymer) 등의 양쪽성 폴리머 또는 이들 중 2이상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것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양이온성 계면활성제는 알킬부분의 탄소수가 16 내지 22인 알킬트리메틸암모늄할라이드(Alkyltrimethyl ammonium halide), 알킬부분의 탄소수가 16 내지 22인 알킬디메틸암모늄할라이드(Alkyldimethyl ammonium halide), 알킬부분의 탄소수가 16 내지 22인 트리알킬메틸암모늄할라이드(Trialkylmethyl ammonium halide) 또는 이들 중 2이상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그룹 중에서 선택된 것이 사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헤어스프레이 조성물은, 셋팅용 폴리머에 양이온성 계면활성제를 포함시켜 폴리머에 의하여 형성되는 필름의 유연성과 탄력성을 부여하면서도 동시에 모발에 대하여 컨디셔닝 효과를 부여할 수 있도록 한 점에 특징이 있다.
상기 셋팅용 폴리머는 모발에의 분사시 용제의 제거에 의하여 모발의 표면에 필름을 형성하여 모발을 셋팅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셋팅용 폴리머는 비이온성 또는 양쪽성 폴리머로서, 전체 조성물에 대하여 활성성분 함량으로 0.1 내지 10중량%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셋팅용 폴리머의 함량이 0.1중량% 미만으로 되는 경우에는 모발의 셋팅력을 형성하는 폴리머의 양이 너무 적어 유효한 필름을 형성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으며, 반대로 10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폴리머가 과량으로 포함되어 압축펌핑에 의하여도 충분히 분사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다. 상기 셋팅용 폴리머로는 폴리비닐피롤리돈(Polyvinylpyrrolidone), 피브이피/브이에이 공중합체(PVP/VA copolymer), 피브이피/디메틸아미노에틸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PVP/dimethylaminoethylmethacrylate copolymer) 등의 비이온성 폴리머 또는 메타크릴로일에틸베타인/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Methacryloylethyl betaine/methacrylate copolymer), 옥틸아크릴아미드/아크릴레이트/부틸아미노에틸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Octylacrylamide/acrylates/butylaminoethyl methacrylate copolymer) 등의 양쪽성 폴리머 또는 이들 중 2이상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것이 사용될 수 있다. 브이에이/크로토네이트/비닐네오데카노에이트 공중합체(VA/crotonates/vinyl neodecanoate copolymer)와 같은 음이온성 폴리머의 경우 그에 혼합되는 양이온성 계면활성제와의 이온성과 관련하여 사용이 제한될 수 있으며, 폴리쿼터늄-11(Polyquaternium-11)과 같은 양이온성 폴리머의 경우 통상적으로 셋팅력이 낮아 헤어무스, 헤어젤 제품 등의 셋팅용 폴리머로는 사용되고 있으나, 헤어스프레이로의 적용에는 한계가 있어 역시 제품화에 문제가 있을 수 있다.
상기 셋팅용 폴리머의 유연성 및 탄력성을 증대시키기 위하여 종래의 헤어스프레이에서의 가소제를 대체하여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양이온성 계면활성제는 상기 셋팅용 폴리머의 활성성분 함량에 대하여 1 내지 40중량%의 양으로 전체 조성물에 포함 될 수 있다. 상기 양이온성 계면활성제는 셋팅용 폴리머에 유연성과 탄력성을 향상시켜 셋팅력의 저하를 방지하고, 셋팅유지시간을 증대시키는 것에 더해 모발에 컨디셔닝 효과를 부여할 수 있다. 상기 양이온성 계면활성제는 알킬부분의 탄소수가 16 내지 22인 알킬트리메틸암모늄할라이드(Alkyltrimethyl ammonium halide), 알킬부분의 탄소수가 16 내지 22인 알킬디메틸암모늄할라이드(Alkyldimethyl ammonium halide), 알킬부분의 탄소수가 16 내지 22인 트리알킬메틸암모늄할라이드(Trialkylmethyl ammonium halide) 또는 이들 중 2이상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그룹 중에서 선택된 것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양이온성 계면활성제가 상기 셋팅용 폴리머의 활성성분 함량에 대하여 1중량% 미만으로 포함되는 경우에는 셋팅용 폴리머에 의하여 모발의 표면에 형성되는 필름에 탄력성 및 유연성 효과를 충분히 나타내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으며, 반대로 40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도 오히려 셋팅력의 감소 및 셋팅유지시간의 단축, 분사 후 스프레이 된 부분에 일시적인 미세 기포 현상의 발생 등을 유발하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다.
상기 셋팅용 폴리머와 양이온성 계면활성제들은 잔량으로서의 용제에 용해되어 수동 압축펌프를 구비한 용기에 투입된다. 상기 용제는 상기 셋팅용 폴리머를 유동상태로 유지하다가 수동 압축펌프에 의하여 펌핑되어 모발에 적용된 후에는 쉽게 증발되고, 휘발성이 없는 셋팅용 폴리머만이 모발의 표면에 잔류하여 필름을 형성하게 된다. 이 모발의 표면에 잔류하는 필름이 모발을 지탱하고, 고정시켜 모발의 셋팅력을 나타내게 된다. 이때 역시 비휘발성의 양이온성 계면활성제들이 상기 셋 팅용 폴리머에 혼합되어 셋팅용 폴리머와 함께 모발의 표면에 잔류하면서 상기 셋팅용 폴리머에 유연성과 탄력성을 향상시키면서 또한 모발에 컨디셔닝 효과를 부여한다. 상기 용제로는 바람직하게는 에탄올과 같은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알코올이 주로 사용될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에탄올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헤어스프레이 조성물에는 상기한 셋팅용 폴리머, 양이온성 계면활성제 및 용제에 더해 통상의 헤어스프레이와 같이 사용자의 사용감을 증대시키기 위한 향료, 필요에 따라 중화제 및 광택 등을 위한 실리콘 화합물들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당업자에게는 이러한 부가적인 성분들의 첨가는 용이하게 이해될 수 있을 정도로 공지된 것이다.
또한, 프로판, 부탄, 디메틸에테르(DME) 등 통상적인 에어로졸 분사제의 사용도 고려할 수는 있으나, 통상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상기 양이온성 계면활성제 성분들의 이들 분사제에 대한 용해성이 매우 낮기 때문에 제품의 유통, 보관 중 침전물을 형성할 수 있고, 그에 따라 적절한 필름의 형성이 곤란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및 비교예들이 기술되어질 것이다.
이하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예증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범위를 국한시키는 것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실시예 1 내지 6 및 비교예 1 및 2
하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은 성분 및 비율로 혼합하여 헤어스프레이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구 분 셋팅용폴리머 양이온성계면활성제 용제 가소제 보습제
PVP/VA CTA STA DCDA DSDA EA CM PG
실시예 1 12.0 1.2 - - - 86.0 - 0.5 0.3 100.0
실시예 2 12.0 - 1.2 - - 86.0 - 0.5 0.3 100.0
실시예 3 12.0 - - 1.2 - 86.0 - 0.5 0.3 100.0
실시예 4 12.0 - - - 1.2 86.0 - 0.5 0.3 100.0
실시예 5 12.0 3.0 - - - 84.2 - 0.5 0.3 100.0
실시예 6 12.0 0.6 - - 0.6 86.0 - 0.5 0.3 100.0
비교예 1 12.0 - - - - 87.2 - 0.5 0.3 100.0
비교예 2 12.0 - - - - 86.0 1.2 0.5 0.3 100.0
단위 ; 중량% PVP/VA ; 피브이피/브이에이 공중합체(활성성분함량 50%), CTA ; 염화세틸트리메틸암모늄, STA ; 염화스테아릴트리메틸암모늄, DCDA ; 염화디세틸디메틸암모늄, DSDA ; 염화디스테아릴디메틸암모늄, EA ; 에탄올 CM ; 사이크로메치콘 PG ; 프로필렌글리콜
상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비교예 1은 일반적인 헤어스프레이 조성물 중 비이온성 셋팅용 폴리머로서 활성성분 50%인 피브이피/브이에이 공중합체를 함유하면서 양이온성 계면활성제를 함유하지 않은 조성물로 제조하였다.
비교예 2는 비교예 1에 통상의 필름 유연화 및 가소제로 사용되는 사이크로메치콘을 폴리머 활성성분 함량에 대하여 20중량%를 포함시켜 제조하였다.
실시예 1은 비교예 1에 알킬트리메틸암모늄할라이드 계열의 양이온성 계면활성제 중 알킬기의 탄소수가 16인 염화세틸트리메틸암모늄을 셋팅용 폴리머의 활성성분 함량에 대하여 20중량%를 포함시켜 제조하였다.
실시예 2는 비교예 1에 알킬트리메틸암모늄할라이드 계열의 양이온성 계면활성제 중 알킬기의 탄소수가 18인 염화스테아릴트리메틸암모늄을 셋팅용 폴리머의 활성성분 함량에 대하여 20중량%를 포함시켜 제조하였다.
실시예 3은 비교예 1에 디알킬디메틸암모늄할라이드 계열의 양이온성 계면활성제 중 알킬기의 탄소수가 16인 염화디세틸디메틸암모늄을 셋팅용 폴리머의 활성성분 함량에 대하여 20중량%를 포함시켜 제조하였다.
실시예 4는 비교예 1에 디알킬디메틸암모늄할라이드 계열의 양이온성 계면활성제 중 알킬기의 탄소수가 18인 염화디스테아릴디메틸암모늄을 셋팅용 폴리머의 활성성분 함량에 대하여 20중량%를 포함시켜 제조하였다.
실시예 5는 비교예 1에 알킬트리메틸암모늄할라이드 계열의 양이온성 계면활성제 중 알킬기의 탄소수가 16인 염화세틸트리메틸암모늄을 셋팅용 폴리머의 활성성분 함량에 대하여 50중량%를 포함시켜 제조하였다.
실시예 6은 비교예 1에 알킬트리메틸암모늄할라이드 계열의 양이온성 계면활성제 중 알킬기의 탄소수가 16인 염화세틸트리메틸암모늄과 디알킬다미텔암모늄할라이드 계열의 양이온성 계면활성제 중 알킬기의 탄소수가 18인 염화디스테아릴디메틸암모늄을 셋팅용 폴리머의 활성성분 함량에 대하여 20중량%를 포함시켜 제조하였다.
실시예 7 내지 12 및 비교예 3 및 4
하기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은 성분 및 비율로 혼합하여 헤어스프레이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구 분 셋팅용폴리머 양이온성계면활성제 용제 가소제 보습제
MEB/MA CTA STA DCDA DSDA EA CM PG
실시예 7 12.0 1.2 - - - 86.0 - 0.5 0.3 100.0
실시예 8 12.0 - 1.2 - - 86.0 - 0.5 0.3 100.0
실시예 9 12.0 - - 1.2 - 86.0 - 0.5 0.3 100.0
실시예 10 12.0 - - - 1.2 86.0 - 0.5 0.3 100.0
실시예 11 12.0 3.0 - - - 84.2 - 0.5 0.3 100.0
실시예 12 12.0 0.6 - - 0.6 86.0 - 0.5 0.3 100.0
비교예 3 12.0 - - - - 87.2 - 0.5 0.3 100.0
비교예 4 12.0 - - - - 86.0 1.2 0.5 0.3 100.0
단위 ; 중량% MEB/MA ; 메타크릴로일에틸베타인/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활성성분함량 50%), CTA ; 염화세틸트리메틸암모늄, STA ; 염화스테아릴트리메틸암모늄, DCDA ; 염화디세틸디메틸암모늄, DSDA ; 염화디스테아릴디메틸암모늄, EA ; 에탄올 CM ; 사이크로메치콘 PG ; 프로필렌글리콜
상기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비교예 3은 일반적인 헤어스프레이 조성물 중 양쪽성 셋팅용 폴리머로서 활성성분 50%인 메타크릴로일에틸베타인/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를 함유하면서 양이온성 계면활성제를 함유하지 않은 조성물로 제조하였다.
비교예 4는 비교예 3에 통상의 필름 유연화 및 가소제로 사용되는 사이크로메치콘을 폴리머 활성성분 함량에 대하여 20중량%를 포함시켜 제조하였다.
실시예 7은 비교예 3에 알킬트리메틸암모늄할라이드 계열의 양이온성 계면활성제 중 알킬기의 탄소수가 16인 염화세틸트리메틸암모늄을 셋팅용 폴리머의 활성성분 함량에 대하여 20중량%를 포함시켜 제조하였다.
실시예 8은 비교예 3에 알킬트리메틸암모늄할라이드 계열의 양이온성 계면활성제 중 알킬기의 탄소수가 18인 염화스테아릴트리메틸암모늄을 셋팅용 폴리머의 활성성분 함량에 대하여 20중량%를 포함시켜 제조하였다.
실시예 9는 비교예 3에 디알킬디메틸암모늄할라이드 계열의 양이온성 계면활성제 중 알킬기의 탄소수가 16인 염화디세틸디메틸암모늄을 셋팅용 폴리머의 활성성분 함량에 대하여 20중량%를 포함시켜 제조하였다.
실시예 10은 비교예 3에 디알킬디메틸암모늄할라이드 계열의 양이온성 계면활성제 중 알킬기의 탄소수가 18인 염화디스테아릴디메틸암모늄을 셋팅용 폴리머의 활성성분 함량에 대하여 20중량%를 포함시켜 제조하였다.
실시예 11은 비교예 3에 알킬트리메틸암모늄할라이드 계열의 양이온성 계면활성제 중 알킬기의 탄소수가 16인 염화세틸트리메틸암모늄을 셋팅용 폴리머의 활성성분 함량에 대하여 50중량%를 포함시켜 제조하였다.
실시예 12는 비교예 3에 알킬트리메틸암모늄할라이드 계열의 양이온성 계면활성제 중 알킬기의 탄소수가 16인 염화세틸트리메틸암모늄과 디알킬디메틸암모늄할라이드 계열의 양이온성 계면활성제 중 알킬기의 탄소수가 18인 염화디스테아릴디메틸암모늄을 셋팅용 폴리머의 활성성분 함량에 대하여 20중량%를 포함시켜 제조하였다.
셋팅효과시험예
시험견본의 제조
비교예 1 및 3의 경우, 에탄올에 피브이피/브이에이 공중합체 또는 메타크릴로일에틸베타인/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를 투입하여 완전히 용해될 때까지 교반하면서 용해시키고, 이 용액에 프로필렌글리콜, 향을 순차적으로 투입하여 원액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2 및 4의 경우, 에탄올에 피브이피/브이에이 공중합체 또는 메타크릴로일에틸베타인/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를 투입하여 완전히 용해될 때까지 교반하면서 용해시키고, 이 용액에 사이크로메치콘, 프로필렌글리콜, 향을 순차적으로 투입하 여 원액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 내지 12의 경우, 에탄올에 먼저 염화세틸트리메틸암모늄, 염화스테아릴트리메틸암모늄, 염화디세틸디메틸암모늄, 염화디스테아릴디메틸암모늄과 같은 해당 양이온성 계면활성제를 정량 투입하여 교반하고, 이들 성분이 완전히 용해된 후, 이 용액에 피브이피/브이에이 공중합체 또는 메타크릴로일에틸베타인/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를 투입하여 완전히 용해될 때까지 교반하면서 용해시키고, 이 용액에 프로필렌글리콜, 향을 순차적으로 투입하여 원액을 제조하였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제조된 비교예들 및 실시예들의 원액을 통상의 수동 압축펌프를 구비한 용기에 투입하여 제품으로 제조하였다.
셋팅효과시험
상기한 바와 같이 준비된 비교예들 및 실시예들의 제품에 의한 셋팅효과시험을 다음과 같이 수행하였다. 우선, 헤어스프레이 원액을 모발에 고르게 도포하였다. 계속해서 원액이 도포된 모발을 나선형의 스파이럴(spiral)에 감아 건조시키고, 건조된 상태의 모발을 스파이럴에서 분리하여 항온항습기(25℃, 90RH%)에 넣어 시간의 경과에 따라 컬(Curl)이 늘어지는 정도를 비교하는 방법인 통상의 컬-리텐션(Curl retention)법으로 셋팅효과를 상대 비교하는 방법(J. Soc. Cosmetic. Dec 9, 1968 참조)으로 측정하였으며, 컬-리텐션률(%)은 하기 수학식 1에 따라 계산하였다.
Crr(%) = {(Lo - Lt) / (Lo - Ls)} * 100
상기 식에서,
Crr(%)는 컬-리텐션율,
Lo는 실험에 사용한 모발의 길이,
Lt는 t시간 후의 모발의 길이,
Ls는 나선형으로 감아 컬이 형성된 모발의 최초 길이(t=0)이다.
비교예 1 내지 4 및 실시예 1 내지 12에 대한 셋팅용 폴리머 필름의 유연성 및 탄력성 비교 시험의 경우, 모발과 그 특성이 유사한 동일 크기의 울(wool) 섬유에 상기 원액을 고루 묻혀 건조시키고, 굽힘력 시험기(Bending tester)를 이용하여 굽힘력(Bending force)와 히스테리시스(Hysteresis ; 이력현상)를 각각 측정, 비교하였다.
시험 결과의 판단은 셋팅효과시험의 경우, 상기한 컬-리텐션율의 값이 클수록 높은 셋팅력을 갖는 것으로 판단하였고, 유연성의 경우, 굽힘력 시험기로 측정된 굽힘력의 값이 적을수록 딱딱한 정도가 약한 것, 즉 유연한 것으로 판단하였으며, 탄력성의 경우, 굽힘력 시험기로 측정된 히스테리시스의 값이 적을수록 필름이 보다 탄력적이고 유연한 것으로 판단하였다.
상기한 바와 같은 시험 방법에 의하여 컬-리텐션율, 굽힘력 및 히스테리시스의 3가지 시험결과를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컬-리텐션율 (%) 굽힘력 (gfㆍ㎝2/㎝) 히스테리시스 (gfㆍ㎝2/㎝)
실시예 1 83.5 0.38 0.88
실시예 2 83.1 0.35 0.86
실시예 3 85.2 0.32 0.82
실시예 4 84.1 0.37 0.83
실시예 5 77.2 0.18 0.63
실시예 6 84.3 0.40 0.87
실시예 7 91.5 0.46 1.16
실시예 8 92.0 0.2 1.13
실시예 9 91.8 0.46 1.18
실시예 10 92.5 0.45 1.15
실시예 11 84.7 0.22 0.72
실시예 12 91.9 0.46 1.17
비교예 1 85.3 0.61 1.58
비교예 2 75.1 0.42 0.87
비교예 3 92.6 0.72 1.70
비교예 4 82.6 0.45 1.02
상기 비교예 1 및 3의 경우와 같이 가소제로 프로필렌글리콜 만을 단독으로 소량 사용한 경우에는 셋팅력은 강하지만 유연성과 탄력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반대로 비교예 2 및 4와 같이 일반적인 헤어스프레이의 가소제로 사용되는 사이크로메치콘을 폴리머 활성성분 함량에 대하여 20중량%가 되도록 사용한 결과, 탄력성과 유연성은 개선되는 반면에 셋팅력이 크게 저하되는 현상을 나타내었다. 이에 비하여, 실시예 1 내지 4와 실시예 7 내지 10의 경우와 같이 셋팅용 폴리머로 비이온성의 피브이피/브이에이 공중합체 또는 양쪽성의 메타크릴로일에틸베타인/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를 사용하면서 양이온성 계면활성제를 폴리머 활성성분 함량에 대하여 20중량%가 되도록 사용한 경우, 각각의 폴리머만을 사용한 경우와 유사한 정도의 셋팅력 수준을 나타내면서도, 탄력성 및 유연성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경우에도 실시예 5 및 11과 같이 양이온성 계면활성제를 폴리머 활성성분 함량에 대하여 50중량%가 되도록 과량으로 함유하는 경우에 있어서는 탄력성과 유연성 은 증가하는 반면에 셋팅력은 크게 저하되는 현상을 나타내었다. 또한, 실시예 6 및 12에서와 같이 염화알킬트리메틸암모늄류와 염화디알킬디메틸암모늄류의 양이온성 계면활성제 성분을 혼합 사용하여 폴리머 활성성분 함량에 대하여 20중량%가 되도록 혼합 사용한 경우에도 각각을 단독으로 사용한 경우와 동일하게 폴리머만을 사용한 경우와 유사한 정도의 셋팅력 수준을 나타내면서도 탄력성 및 유연성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탄력성 및 유연성 개선 효과는 원액 중 폴리머의 소수부분과 양이온성 계면활성제의 소수부분 간의 친화성에 의해 폴리머의 소수부분에 양이온성 계면활성제의 혼합 미셀(mixed micelle) 구조를 형성하여 폴리머 사슬의 배향을 보다 평행한 구조로 변화시킴에 따라서 폴리머 자체의 고정력은 변하지 않지만, 필름을 보다 유연하고 탄력적으로 변화시키는 것으로 고려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셋팅용 폴리머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헤어스프레이 조성물에 양이온성 계면활성제를 포함시켜 셋팅용 폴리머가 모발에 적용되어 형성되는 필름에 유연성과 탄력성을 향상시키면서 동시에 컨디셔닝 효과를 부여할 수 있는 보다 개선된 형태의 헤어스프레이 조성물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Claims (3)

  1. 전체 조성물에 대하여 비이온성 또는 양쪽성 셋팅용 폴리머를 활성성분 함량으로 0.1 내지 10중량%;
    알킬부분의 탄소수가 16 내지 22인 알킬트리메틸암모늄할라이드(Alkyltrimethyl ammonium halide), 알킬부분의 탄소수가 16 내지 22인 알킬디메틸암모늄할라이드(Alkyldimethyl ammonium halide), 알킬부분의 탄소수가 16 내지 22인 트리알킬메틸암모늄할라이드(Trialkylmethyl ammonium halide) 또는 이들의 2이상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그룹 중에서 선택되는 양이온성 계면활성제를 상기 셋팅용 폴리머의 활성성분 함량에 대하여 1 내지 40중량%; 및
    잔량으로서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 알코올을 포함하는 헤어스프레이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셋팅용 폴리머가 폴리비닐피롤리돈(Polyvinylpyrrolidone), 피브이피/브이에이 공중합체(PVP/VA copolymer), 피브이피/디메틸아미노에틸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PVP/dimethylaminoethylmethacrylate copolymer) 등의 비이온성 폴리머 또는 메타크릴로일에틸베타인/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Methacryloylethyl betaine/methacrylate copolymer), 옥틸아크릴아미드/아크릴레이트/부틸아미노에틸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Octylacrylamide/acrylates/butylaminoethyl methacrylate copolymer) 등의 양쪽성 폴리머 또는 이들 중 2이상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그룹 중에서 선택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헤어스프레이 조성물.
  3. 삭제
KR1020000027697A 2000-05-23 2000-05-23 헤어스프레이 조성물 KR1006617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27697A KR100661700B1 (ko) 2000-05-23 2000-05-23 헤어스프레이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27697A KR100661700B1 (ko) 2000-05-23 2000-05-23 헤어스프레이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106753A KR20010106753A (ko) 2001-12-07
KR100661700B1 true KR100661700B1 (ko) 2006-12-26

Family

ID=196697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27697A KR100661700B1 (ko) 2000-05-23 2000-05-23 헤어스프레이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6170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7948B1 (ko) * 2005-12-28 2012-03-23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헤어 롤 메이커 조성물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89252A (en) * 1982-01-15 1992-02-18 L'oreal Cosmetic composition for treating keratin fibres, and process for treating the latter
KR950016687A (ko) * 1993-12-23 1995-07-20 최근선 에어로졸 제품
JPH07258039A (ja) * 1994-03-22 1995-10-09 Sunstar Inc 泡沫状毛髪化粧料
KR19980028100A (ko) * 1996-10-21 1998-07-15 성재갑 일시 모발 착색용 칼라 헤어무스 조성물
KR20000027697A (ko) * 1998-10-29 2000-05-15 윤종용 아이엠티 2000기지국의 관리 장치에서 관리자 인터페이스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89252A (en) * 1982-01-15 1992-02-18 L'oreal Cosmetic composition for treating keratin fibres, and process for treating the latter
KR950016687A (ko) * 1993-12-23 1995-07-20 최근선 에어로졸 제품
JPH07258039A (ja) * 1994-03-22 1995-10-09 Sunstar Inc 泡沫状毛髪化粧料
KR19980028100A (ko) * 1996-10-21 1998-07-15 성재갑 일시 모발 착색용 칼라 헤어무스 조성물
KR20000027697A (ko) * 1998-10-29 2000-05-15 윤종용 아이엠티 2000기지국의 관리 장치에서 관리자 인터페이스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1020000027697 - 695719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106753A (ko) 2001-1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165367A (en) Hair preparations containing vinyl pyrrolidone copolymer
US4897262A (en) Non-aerosol hair spray composition
US7481996B2 (en) Aerosol cosmetic composition
US4175572A (en) Hair conditioning waving and straightening compositions and methods
JP3942622B2 (ja) 水性ヘアースタイリング組成物
US6056946A (en) Heat-mediated conditioning from leave-on hair care compositions containing silicone
KR100622353B1 (ko) 각질을 처리하기 위한 분지형/블록형 공중합체
RU2200534C2 (ru) Композиция для укладки волос, содержащая полимер с особыми характеристиками и неионный полимер
CA2071243A1 (en) Aqueous hair styling aid
US5658558A (en) Hair styling compositions and method of enhancing the performance of hair fixative resins
JPH0780747B2 (ja) 整髪ム−ス
US6696052B2 (en) Hair care compositions with diquaternary silicone polymers
JPH0834712A (ja) ヘアセット剤組成物
US4007005A (en) Hair setting compositions which display high resistance to high humidity
JP4074607B2 (ja) エアゾール化粧料
CZ347797A3 (cs) Kosmetická látka obsahující akrylový aniontový polymer a oxyalkylenový silikon
US5663261A (en) Film-forming resin and hair care cosmetic containing the same
JP3253023B2 (ja) 整髪剤
KR20160104098A (ko) 2종의 아크릴레이트 실리콘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수성 모발 스타일링 조성물
KR100661700B1 (ko) 헤어스프레이 조성물
PL183519B1 (pl) Kompozycja kosmetyczna nie myjąca
JPH05112437A (ja) 頭髪セツト剤組成物
US4044121A (en) Hair spray containing fluorocarbon compounds as additives
KR101747869B1 (ko) 신규 왁스폴리머를 함유하는 스타일링제 조성물
JP2000256139A (ja) 毛髪化粧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