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61244B1 - 운동기구용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운동기구용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61244B1
KR100661244B1 KR1020040052287A KR20040052287A KR100661244B1 KR 100661244 B1 KR100661244 B1 KR 100661244B1 KR 1020040052287 A KR1020040052287 A KR 1020040052287A KR 20040052287 A KR20040052287 A KR 20040052287A KR 100661244 B1 KR100661244 B1 KR 1006612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floor
pipe
fixed
fastening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522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03411A (ko
Inventor
신광식
Original Assignee
현대체육산업(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체육산업(주) filed Critical 현대체육산업(주)
Priority to KR10200400522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61244B1/ko
Publication of KR200600034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034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612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612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2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for large-room or outdoor sporting games
    • A63B71/023Supports, e.g. pol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2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for large-room or outdoor sporting games
    • A63B71/023Supports, e.g. poles
    • A63B2071/024Supports, e.g. poles with screws or pins in the earth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Joining Of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운동기구용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며, 그 목적은 체육관의 마루바닥 손상을 최소화하고, 시공이 용이하며, 시공비를 절감할 수 있도록 구성된 운동기구용 고정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은 체육관에 마련되는 운동기구등을 지지하기 위해 마루바닥에 설치되는 고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마루바닥에 천공된 구멍을 통하여 마루바닥의 하부에 위치한 콘크리트바닥에 형성된 홀로 삽입되며, 서로 다른 직경을 갖는 3개의 상/중/하부 파이프가 결합되어 구성된 몸체와, 상기 몸체의 상부 파이프가 내부로 삽입되어 몸체와 결합되며, 마루바닥에 천공된 구멍에 끼움결합되어 몸체의 상단부를 고정하는 고정파이프와, 상기 몸체의 상부 파이프와 나사결합에 의해 고정되고, 상면 중앙부에 아이볼트가 체결되는 체결공이 형성되며, 이 체결공의 주위로 별도의 회전공구가 삽입되는 공구삽입홈이 형성된 고정블록으로 구성되어 콘크리트바닥에 형성된 홀에 에폭시수지가 주입된 상태에서 몸체의 하부 파이프가 홀로 삽입되어 에폭시수지의 경화에 의해 고정되도록 구성된 운동기구용 고정장치에 관한 것을 그 기술적 요지로 한다.
몸체, 고정파이프, 고정블록, 메움봉, 운동기구

Description

운동기구용 고정장치{Fixing Device for Sporting Goods}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고정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고정장치의 분해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고정블록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고정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고정블록을 회전시키기 위한 공구를 나타낸 예시도
도 6 은 본 발명의 고정구와 확장구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몸체 (11) : 상부 파이프
(12) : 중부 파이프 (13) : 하부 파이프
(14) : 암나사부 (15) : 절개홈
(20) : 고정블록 (21) : 체결부
(22) : 공구연결부 (23) : 설치공간
(24) : 스프링 (25) : 메움봉
(26) : 캡 (27) : 고정핀
(28) : 체결공 (29) : 공구삽입홈
(30) : 고정파이프 (40) : 공구
(50) : 마루바닥 (51) : 구멍
(60) : 콘크리트바닥 (61) : 홀
(70) : 고정구 (71) : 지지대
(80) : 나사봉 (90) : 확장구
본 발명은 운동기구용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체육관의 마루바닥에 설치되어 각종 운동기구를 지지하는 와이어를 고정하기 위한 아이볼트가 고정되는 고정장치를 마루바닥의 손상없이 손쉽게 시공할 수 있는 운동기구용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실내 체육관의 경우, 각종 운동기구들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장치가 마루바닥에 설치되어 있으며, 이러한 고정장치는 일반적으로 마루바닥의 시공시 함께 시공되고 있다.
그러나, 시공 후 부득이한 사정으로 인해 고정장치를 설치해야 하는 경우가 발생되며, 이러한 경우, 고정장치를 설치하고자 하는 장소에 구멍을 형성한 다음, 고정장치를 시공하고, 다시 구멍을 메우는 방식으로 시공하고 있었다.
한편, 기존의 고정장치는 그 구조적인 문제로 인해 고정장치의 크기에 비해 큰 크기의 구멍을 마루바닥에 형성한 후, 고정장치를 시공하고, 구멍을 다시 메우는 작업을 수행해야만 함으로써 마루바닥을 손상시키고, 시공이 어려우며, 시공기간 및 비용을 증가시키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안출되는 것으로, 그 목적은 체육관의 마루바닥 손상을 최소화하고, 시공이 용이하며, 시공비를 절감할 수 있도록 구성된 운동기구용 고정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고 종래의 결점을 제거하기 위한 과제를 수행하는 본 발명은 체육관에 마련되는 운동기구등을 지지하기 위해 마루바닥에 설치되는 고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마루바닥에 천공된 구멍을 통하여 마루바닥의 하부에 위치한 콘크리트바닥에 형성된 홀로 삽입되며, 서로 다른 직경을 갖는 3개의 상/중/하부 파이프가 결합되어 구성된 몸체;
상기 몸체의 상부 파이프가 내부로 삽입되어 몸체와 결합되며, 마루바닥에 천공된 구멍에 끼움결합되어 몸체의 상단부를 고정하는 고정파이프; 및
상기 몸체의 상부 파이프와 나사결합에 의해 고정되며, 상면 중앙부에 형성되어 아이볼트가 체결되는 체결공과, 상기 체결공의 주위에 형성되어 별도의 회전공구가 삽입되는 공구삽입홈과, 상기 체결공의 하부로부터 연장되게 형성된 설치공간과, 상기 설치공간에 설치된 스프링에 의해 탄력적으로 지지되며 체결공의 하부에 구속되는 걸림턱 및 걸림턱의 상부에서 체결공의 길이와 동일한 길이를 갖는 원형봉으로 구성되어 아이볼트의 미체결시 스프링의 반발력에 의해 체결공의 내부를 메우는 메움봉과, 상기 설치공간의 하단부에 위치하도록 고정핀에 의해 고정되어 메움봉 및 스프링의 이탈을 방지하는 캡을 구비하는 고정블록;으로 구성되어 콘크리트바닥에 형성된 홀에 에폭시수지가 주입된 상태에서 몸체의 하부 파이프가 홀로 삽입되어 에폭시수지의 경화에 의해 고정되도록 구성된 운동기구용 고정장치를 특징으로 한다.
삭제
또한, 상기 몸체의 하부 파이프 소정위치에 원주방향에 대하여 일정간격으로 다수개의 절개홈이 형성되고, 상방향으로 볼록하게 만곡된 형상으로 상기 절개홈의 위치에 대응하도록 원주방향에 대하여 상호 등간격을 갖는 다수의 지지대가 상부에 형성된 고정구가 하부 파이프의 하단부에 설치되는 한편, 상기 몸체의 내부에 설치되어 회전하는 나사봉에 상광하협의 테이퍼구조를 갖도록 형성된 확장구가 결합된 것으로 구성되어 나사봉의 회전시 확장구가 이동하며 지지대를 보다 더 굽어지도록 눌러줌으로써 지지대가 절개홈을 통해 돌출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도면과 연계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고정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를,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고정장치의 분해상태를 나타낸 단면도를,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고정블록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를,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고정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를 도시한 것으로, 본 발명은 각기 다른 직경을 구비된 3개의 상/중/하부 파이프(11,12,13)가 결합되어 이루어진 몸체(10)와, 상기 몸체(10)의 상부 파이프와 끼움결합되어 몸체(10)의 상단부를 마루바닥(50)에 천공된 구멍(51)에 고정시키는 고정파이프(30)와, 상기 몸체(10)의 상부 파이프(11)에 나사결합되어 아이볼트가 체결되는 고정블록(20)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하부 파이프(13)가 콘크리트바닥(60)에 형성된 홀(61)에 삽입되어 홀에 충진된 에폭시수지의 경화에 의해 고정되게 된다.
상기 몸체(10)는 제조 및 시공의 용이함을 위해 서로 다른 직경을 갖는 상/중/하부 파이프(11,12,13)가 상호 용접에 의해 상호 연결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상기 하부 파이프(13)는 콘크리트바닥(60)에 형성된 홀(61)에 삽입되어 고정되므로, 홀(61)의 직경에 비해 작은 직경을 갖는 파이프가 사용되어야만 하며, 상기 홀을 천공하는 함마드릴이 최대 Ø38 직경을 갖도록 제작되어 유통판매되고 있는 바, 상기 하부 파이프(13)는 에폭시수지의 충진공간을 고려하여 Ø33~35의 직경을 갖는 파이프가 사용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중부 파이프(12)는 하부 파이프(13)가 내부에 끼워지도록 하부 파이프(13)의 직경에 비해 보다 큰 직경을 갖는 파이프가 사용되고, 이 두개의 중/하부 파이프(12,13)는 끼움결합된 상태에서 두개의 파이프를 용접함으로써 두개의 파이프를 고정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중부 파이프(12)는 마루바닥(50)에 천공된 구멍(51)의 직경 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파이프가 사용되어 구멍을 통해 몸체를 쉽게 삽입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상부 파이프(11)는 중부 파이프(12)의 상단부에서 중부 파이프(12)와 동일한 중심선을 갖도록 용접고정되고, 중부 파이프(12)에 비해 직경이 작은 파이프로 이루어져 있으며, 내부에는 암나사부(14)가 형성되어 고정블록(20)과 나사결합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상부 파이프(11)는 시공의 용이함을 위해 마루마닥(50)에 천공된 구멍(51)에 비해 작은 직경의 파이프로 구성된 몸체(10)가 구멍(51)의 내부에서 움직이게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구멍(51)에 고정되는 고정파이프(30)의 내부에 끼움결합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고정파이프(30)는 그 외경이 천공된 구멍(51)에 억지끼워맞춤되도록 형성되고, 그 내부는 상부 파이프(11)가 끼움결합되는 구조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고정블록(20)은 몸체(10)의 상부 파이프(11)에 체결되는 체결부(21)와, 상기 체결부(21)의 상부에서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별도의 공구(40)가 연결되는 공구연결부(22)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고정블록(20)의 중심부에는 공구연결부로(22)부터 체결부(21)로 연장되는 체결공(28)이 형성되고, 이 체결공(28) 보다 큰 직경을 갖는 설치공간(23)이 체결공(28)의 하단부로부터 연장되어 체결부(21)의 저면에 연결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이와 같은 설치공간(23)에는 메움봉(25)과 스프링(24)이 순차적으로 삽입되는 한편, 이 메움봉(25)과 스프링(24)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캡(26)이 체결부(21)의 하단부에 고정핀(27)에 의해 고정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메움봉(25)은 아이볼트의 미체결시 체결공(28)의 내부를 메우도록 체결공(28)의 길이와 동일한 길이를 갖는 원형봉(25a)의 하단부에 걸림턱(25b)이 일체형으로 형성된 것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 메움봉(25)의 하단부에 스프링(24)이 설치되어 있어 아이볼트의 미체결시에는 스프링(24)이 메움봉(24)을 위로 밀어 걸림턱(25b)이 체결공(28)의 하단부에 걸려짐과 동시에 원형봉(25a)이 체결공(28)을 메우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고정블록(20)의 상부, 즉 공구연결부(22)의 상면에는 체결공(28)을 중심으로 원형배열된 다수의 공구삽입홈(29)이 형성되어 있어 상부 파이프(11)와 고정블록(20)의 체결시 도 5와 같이 구성된 공구(40)를 이용하여 고정블록(20)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몸체를 콘크리트 바닥의 홀에 보다 쉽고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도 6과 같이 몸체(10)의 소정위치에 다수의 절개홈(15)이 형성되고, 이 절개홈(15)으로 삽입되는 다수의 지지대(71)가 형성된 고정구(70)가 몸체(10)의 하단부에 설치되며, 상기 고정구(70)를 작동하기 위한 나사봉(80) 및 확장구(90)가 몸체(10)의 내부에 설치될 수도 있다.
상기 고정구(70)는 몸체(10)의 하부 파이프(13)의 하단부로 삽입되어 용접고정되고, 상방향으로 볼록하게 만곡된 형상의 다수의 지지대(71)가 원주방향에 대하여 상호 등간격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이 지지대(71)가 몸체(10)의 외부로 돌출되도록 하기 위한 다수의 절개홈(15)이 하부 파이프(13)의 소정위치에 형성되 어 있다.
한편, 상기 나사봉(80)은 몸체(10)의 내부에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며, 홀(61)에 삽입된 몸체(10)내의 나사봉(80)을 작업자가 회전시킬 수 있도록 나사봉의 최상단부에는 드라이버가 결합될 수 있는 홈이 형성되거나, 소켓렌치와 결합될 수 있도록 다각형의 평면형상을 갖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기 확장구(90)는 나사봉(80)과 나사결합되어 나사봉(80)의 회전방향에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설치되며, 그 외면이 상광하협의 테이퍼구조를 갖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고정구(70)와 나사봉(80) 및 확장구(90)는 몸체(10)가 콘크리트 홀(61)에 삽입된 상태에서 드라이버 또는 소켓렌치를 이용하여 나사봉(80)을 회전시키게 되면, 확장봉(90)은 하향이동하여 지지대(71)가 보다 더 굽어지도록 눌러주게 되고, 지지대(71)는 절개홈(15)을 통해 몸체 밖으로 돌출되어 홀(61)을 내면에 밀착 고정되므로서 에폭시수지의 충진 및 경화전에 몸체를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고정장치의 시공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체육관의 마루바닥(50)과 이 마루바닥(50)의 하부에 위치한 콘크리트바닥(60)에 함마드릴 및 홀커터를 이용하여 구멍(51) 및 홀(61)을 형성하게 된다.
이때, 마루바닥(50)에 천공되는 구멍(51)은 고정파이프(30)가 억지끼워맞춤될 수 있는 직경을 갖는 약 Ø48로 천공되며, 콘크리트바닥(60)에 형성되는 홀(61) 은 구멍(51)의 직경에 비해 작은 직경을 갖는 Ø38로 형성하게 된다. 여기서 Ø48로 천공된 상기 구멍(51)의 상단부에는 공구연결부(22)가 삽입되기 위해 Ø48보다 큰 직경을 갖는 홈이 형성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멍(51) 및 홀(61)이 형성되면, 홀(61)의 내부에 에폭시수지를 일정량 충진시키게 되며, 이후 상/중/하부 파이프(11,12,13)로 이루어진 몸체(10)를 구멍을 통해 삽입하여 하부 파이프(13)의 일부가 홀(61)에 삽입되도록 하게 된다.
한편, 하부 파이프(13)가 홀(61)에 삽입된 몸체(10)의 상단부 즉, 상부 파이프(11)는 마루바닥(50)에 천공된 구멍(51)의 내부에 위치하게 되며, 이 구멍(51)에 상부 파이프(11)를 견고하게 고정하기 위한 고정파이프(30)를 구멍(51)과 상부 파이프(11)에 끼움결합시킴으로써 몸체(10)를 견고하게 고정시키게 된다.
이후, 고정블록(20)을 구멍(51)을 통해 삽입하여 고정블록(20)의 체결부(21)와 몸체(10)의 상부파이프(11)를 체결시키되, 마루바닥과 고정블록(20)의 상면이 일치하도록 체결시킴으로서 시공을 완료하게 된다.
이와 같이 시공된 고정장치의 체결공(28)을 통해 아이볼트를 체결하여 체조기구를 지지하는 와이어를 고정시키게 되며, 이때 아이볼트가 체결됨에 따라 메움봉(25)은 스프링(24)을 압축하며 하강하게 되고, 이후 아이볼트의 제거시 스프링(24)의 반발력에 의해 상승하여 체결공(28)을 메워주게 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 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고장장치는 고정블록과 몸체 및 고정파이프로 분리되어 구성되고, 상기 고정파이프의 직경에 맞추어 마루바닥에 구멍을 천공함으로써 마루바닥의 손상을 최소화 할 수 있으며, 시공이 간편하고, 시공비 및 기간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삭제
  2. 체육관에 마련되는 운동기구등을 지지하기 위해 마루바닥에 설치되는 고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마루바닥(50)에 천공된 구멍(51)을 통하여 마루바닥(50)의 하부에 위치한 콘크리트바닥(60)에 형성된 홀(61)로 삽입되며, 서로 다른 직경을 갖는 3개의 상/중/하부 파이프(11,12,13)가 결합되어 구성된 몸체(10);
    상기 몸체(10)의 상부 파이프(11)가 내부로 삽입되어 몸체(10)와 결합되며, 마루바닥(50)에 천공된 구멍(51)에 끼움결합되어 몸체(10)의 상단부를 고정하는 고정파이프(30); 및
    상기 몸체(10)의 상부 파이프(11)와 나사결합에 의해 고정되며, 상면 중앙부에 형성되어 아이볼트가 체결되는 체결공(28)과, 상기 체결공(28)의 주위에 형성되어 별도의 회전공구(40)가 삽입되는 공구삽입홈(29)과, 상기 체결공(28)의 하부로부터 연장되게 형성된 설치공간(23)과, 상기 설치공간(23)에 설치된 스프링(24)에 의해 탄력적으로 지지되며 체결공(28)의 하부에 구속되는 걸림턱(25b) 및 걸림턱(25b)의 상부에서 체결공(28)의 길이와 동일한 길이를 갖는 원형봉(25a)으로 구성되어 아이볼트의 미체결시 스프링의 반발력에 의해 체결공(28)의 내부를 메우는 메움봉(25)과, 상기 설치공간(23)의 하단부에 위치하도록 고정핀(27)에 의해 고정되어 메움봉(25) 및 스프링(24)의 이탈을 방지하는 캡(26)을 구비하는 고정블록(20);으로 구성되어 콘크리트바닥에 형성된 홀에 에폭시수지가 주입된 상태에서 몸체의 하부 파이프가 홀로 삽입되어 에폭시수지의 경화에 의해 고정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기구용 고정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10)의 하부 파이프(13) 소정위치에 원주방향에 대하여 일정간격으로 다수개의 절개홈(15)이 형성되고, 상방향으로 볼록하게 만곡된 형상으로 상기 절개홈의 위치에 대응하도록 원주방향에 대하여 상호 등간격을 갖는 다수의 지지대(71)가 상부에 형성된 고정구(70)가 하부 파이프(13)의 하단부에 설치되는 한편,
    상기 몸체(10)의 내부에 설치되어 회전하는 나사봉(80)에 상광하협의 테이퍼구조를 갖도록 형성된 확장구(90)가 결합된 것으로 구성되어 나사봉(80)의 회전시 확장구(90)가 이동하며 지지대(71)를 보다 더 굽어지도록 눌러줌으로써 지지대(71)가 절개홈(15)을 통해 돌출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기구용 고정장치.
KR1020040052287A 2004-07-06 2004-07-06 운동기구용 고정장치 KR1006612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52287A KR100661244B1 (ko) 2004-07-06 2004-07-06 운동기구용 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52287A KR100661244B1 (ko) 2004-07-06 2004-07-06 운동기구용 고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03411A KR20060003411A (ko) 2006-01-11
KR100661244B1 true KR100661244B1 (ko) 2006-12-26

Family

ID=371058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52287A KR100661244B1 (ko) 2004-07-06 2004-07-06 운동기구용 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6124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217694B (zh) * 2019-06-17 2023-12-01 浙江安格鲁传动系统有限公司 一种用于皮带成型模具的吊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03411A (ko) 2006-0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511513B2 (ja) 接続ナットおよびホールダウン工法
JP2007107374A (ja) ワイヤロープアンカー
US11486430B2 (en) Radially expanding post extender
KR20030051002A (ko) 그라운드 앵커
KR200415836Y1 (ko) 데크 플레이트용 인서트 구조
KR100661244B1 (ko) 운동기구용 고정장치
KR101483632B1 (ko) 단열재용 유니버셜 인서트
KR101008146B1 (ko) 거푸집용 단열재 고정장치
KR200471167Y1 (ko) 관통슬리브 시공을 위한 클램프 구조체
KR101903699B1 (ko) 앵커 어셈블리
US7597505B2 (en) Roof bolt plate
US20140252292A1 (en) Balcony blockout insert
US20090293258A1 (en) Anchor insertion rod
KR20170135865A (ko) 관절식 분해가능한 모듈형 비계
KR20200006394A (ko) 전산볼트 체결이 용이한 배관용 파이프 행거
KR101062141B1 (ko) 스프링클러 헤드 유니트의 고정장치
KR101670472B1 (ko) 지주용 기초석 고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기초구조 시공방법
KR20040027856A (ko) 단열재용 인서트
KR100696583B1 (ko) 탄성링이 장착된 확경 지압형 앙카체 및 그 정착방법
KR200386937Y1 (ko) 클램프가 장착된 건축용 서포트
KR20080042445A (ko) 배관 고정형 스리브
KR102149173B1 (ko) 세트 앙카
KR101642803B1 (ko) 파일캡 구조체
KR200227274Y1 (ko) 울타리용 기초콘크리트의 지주 고정장치
JP2016538499A (ja) アンカ装置の設置方法およびかかる方法を実行するための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1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2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3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3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3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