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60560B1 - 플라이 릴의 스풀 - Google Patents

플라이 릴의 스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60560B1
KR100660560B1 KR1020050040270A KR20050040270A KR100660560B1 KR 100660560 B1 KR100660560 B1 KR 100660560B1 KR 1020050040270 A KR1020050040270 A KR 1020050040270A KR 20050040270 A KR20050040270 A KR 20050040270A KR 100660560 B1 KR100660560 B1 KR 1006605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ool
screw
frame
fly reel
c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402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117749A (ko
Inventor
이재구
김진구
Original Assignee
(주)주호상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주호상사 filed Critical (주)주호상사
Priority to KR10200500402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60560B1/ko
Publication of KR200601177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177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605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605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5Reels with a rotary drum, i.e. with a rotating spool
    • A01K89/016Fly reels, i.e. with a stub shaft suppor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3/00Fishing, trapping, and vermin destroy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플라이 릴의 스풀에 관한 것으로 그 주요 구성은 중앙에 축공이 형성된 허브를 가지고 상기 축공의 일측 선단에는 나사부가 형성되며 일측에는 낚시줄을 감거나 풀기 위한 손잡이가 부착되어 있는 스풀하우징과, 상기 스풀하우징을 플라이 릴의 프레임에 결합 또는 분리되도록 하기 위한 스풀캡으로 이루어지는 플라이 릴의 스풀에 있어서, 상기 스풀캡은, 외주에는 상기 축공의 선단에 형성한 나사부와 나사결합되는 제1나사체결부와 상기 제1나사체결부와 인접형성되어 상기 나사부의 내경보다 작은 외경을 가지는 외경부를 구비하고, 내주에는 상기 프레임의 중앙에 고정된 중심축의 선단에 형성한 나사부와 나사결합되는 제2나사체결부와 상기 제2나사체결부와 인접형성되어 상기 중심축의 선단에 형성한 나사부의 외경보다 큰 내경을 가지는 내경부를 구비하여 상기 축공내에서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는 중공원통부; 및 상기 중공원통부의 일측에 돌출 형성된 손잡이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위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플라이릴의 프레임으로부터 스풀(spool)을 용이하게 장,탈착시킬 수가 있다.
플라이 릴, 스풀, 스풀하우징, 프레임, 스풀캡

Description

플라이 릴의 스풀{Spool in Fly Reel}
도 1은 종래의 스풀 장탈착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고,
도 2는 종래의 스풀 장탈착장치의 개략적인 평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플라이 릴의 전체적인 외관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플라이 릴의 스플과 프레임을 분해한 상태의 외관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플라이 릴의 스플의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플라이 릴의 스플을 프레임에 장착하여 스풀캡을 조이기 전의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플라이 릴의 스플을 프레임에 장착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프레임 2a: 중심축
3: 스풀하우징 3a: 축공
3b: 나사부 3c: 허브
4: 손잡이 10: 스풀캡
11: 중공원통부 11a: 제1나사체결부
13a: 제2나사체결부
본 발명은 플라이 릴의 스풀에 관한 것으로, 특히 플라이릴의 프레임으로부터 스풀(spool)을 용이하게 장,탈착시킬 수 있는 플라이릴의 스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플라이릴은 낚시대의 클램프에 고정하기 위한 베이스 및 중앙에 중심축을 지닌 프레임과, 낚싯줄이 감기는 허브와 허브의 양측에 이룬 플랜지 및 핸들로 이루어진 스풀로 구성되고, 프레임의 내면이나 스풀의 측면에는 스풀의 회전음 및 드랙음의 발생과 차단장치와, 드랙 장치 및 왼손잡이를 위하여 드랙이 작용하는 스풀회전의 방향을 바꾸는 장치들이 설치된다
따라서, 위와 같은 다양한 장치들의 설치나 조정 및 기능전환 뿐만 아니라 최적의 낚시조건에 해당하는 종류의 낚싯줄과 낚시바늘을 지니는 스풀로의 교체 등을 위하여서는 프레임으로부터 스풀의 빈번한 장,탈착이 요구되므로 스풀은 프레임에 대해 회전가능하게 조립되는 것은 물론이고 프레임으로부터 용이한 장,탈착을 이루는 조립구조를 지녀야 하며, 이를 감안한 종래의 스풀 장,탈착장치의 일예가 도 1 및 도 2에 도시되어 있다.
위의 스풀 장,탈착장치(6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에 통공(62b)을 형성하며 양단에 절곡편(62a)(62c)을 이룬 록플레이트(62)를 구비하여 상기 록플레이트(62)가 스프링(64)에 지지되는 설치 구조를 이룬다.
따라서, 스프링(64)에 밀려난 록플레이트(62)의 중앙 통공(62b)은 스풀(16)의 축공(16a')과 불일치를 이루게 되고 록플레이트(62)의 통공(62b) 내주면이 프레임 중심축(20)의 요홈(22)에 삽입되어져, 스풀(16)이 프레임에 대해 장착을 이루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스풀의 플랜지(16b)상으로 돌출되어진 록플레이트의 절곡편(62)을 S방향으로 밀게 되면, 록플레이트(62)는 스프링(64)력을 극복하면서 이동되어 중앙통공(62b)이 스풀축공(16a')과 일치를 이루게 되고 샤프트(20)는 록플레이트(62)와의 결합으로부터 벗어날 수 있는 상태에 있게 됨으로써 스풀(16)을 프레임으로부터 탈착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위와 같은 종래의 스풀 장,탈착장치는 장,탈착을 이루게 하는 록플레이트의 절곡편 등이 외부 노출상태에 놓이게 되어 안정성과 미적 감각을 저해시키게 되며, 돌출되어 노출된 절곡편의 작동은 밀어 넣게 하거나 그외에 선회시키게 하는 등의 재래식 방법으로 사용자에게 불편을 주게 된다. 또한 위에서 예시된 록플레이트와는 달리 푸시버턴식으로 할 경우에는 원형스프링의 스풀에의 고정수단, 푸시버턴의 상하이동과 안내 및 고정수단 등 그 구조가 복잡해질 뿐만 아니라 조립상으로도 많은 공정을 요구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외부에 조정간 등이 노출되지 않게 하며, 스풀의 장,탈착을 용이하고도 정확히 이룰 수 있으며, 또한, 구조를 단순화시키고 제조공정을 감소시킬 수 있는 플라이 릴의 스풀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플라이 릴의 스풀은 중앙에 축공이 형성된 허브를 가지고 상기 축공의 일측 선단에는 나사부가 형성되며 일측에는 낚시줄을 감거나 풀기 위한 손잡이가 부착되어 있는 스풀하우징과, 상기 스풀하우징을 플라이 릴의 프레임에 결합 또는 분리되도록 하기 위한 스풀캡으로 이루어지는 플라이 릴의 스풀에 있어서, 상기 스풀캡은, 외주에는 상기 축공의 선단에 형성한 나사부와 나사결합되는 제1나사체결부와 상기 제1나사체결부와 인접형성되어 상기 나사부의 내경보다 작은 외경을 가지는 외경부를 구비하고, 내주에는 상기 프레임의 중앙에 고정된 중심축의 선단에 형성한 나사부와 나사결합되는 제2나사체결부와 상기 제2나사체결부와 인접형성되어 상기 중심축의 선단에 형성한 나사부의 외경보다 큰 내경을 가지는 내경부를 구비하여 상기 축공내에서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는 중공원통부; 및 상기 중공원통부의 일측에 돌출 형성된 손잡이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플라이 릴의 스풀을 첨부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플라이 릴의 스풀의 도면으로서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플라이 릴의 전체적인 외관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플라이 릴의 스플과 프레임을 분해한 상태의 외관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플라이 릴의 스플의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플라이 릴의 스플을 프레임에 장착하여 스풀캡을 조이기 전의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플라이 릴의 스플을 프레임에 장착한 상태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플라이 릴의 스풀은 도 3 내지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프레임(2)의 중앙에 고정된 중심축(2a)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는 스풀하우징(3)과, 상기 스풀하우징(3)을 프레임(2)에 결합 또는 분리하도록 하기 위한 스풀캡(10)으로 구성된다.
상기 스풀하우징(3)은 중앙에 축공(3a)이 형성된 허브(3c)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축공(3a)에는 그 선단 일측에 나사부(3b)가 형성되어 있으며, 일측에는 낚시줄을 감거나 풀기 위한 손잡이(4)가 부착되어 있다.
상기 스풀캡(10)은 스풀하우징(3)을 플라이 릴의 프레임(2)에 결합 또는 분리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허브(3c)의 중앙에 형성한 축공(3a)내에서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는 중공원통부(11)와, 상기 중공원통부(11)의 일측에 돌출 형성되는 손잡이부(12)로 이루어진다. 미설명 부호 13은 와셔이다.
상기 중공원통부(11)의 외주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축공(3a)의 선단에 형성한 나사부(3b)와 나사결합되는 제1나사체결부(11a)와, 상기 제1나사체결부(11a)와 인접형성되어 상기 나사부(3b)의 내경보다 작은 외경을 가지는 외경부(11b)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중공원통부(11)의 내부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나사체결부(13a)와 내경부(13b)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나사체결부(13a)는 도 4에 도시된 상기 프레임(2)의 중앙에 고정된 중심축(2a)의 선단에 형성한 나사부(2c)와 나사결합되며, 상기 내경부(13b)는 상기 제2나사체결부(13a)와 인접형성되어 상기 중심축(2a)의 선단에 형성한 나사부(2c)의 외경보다 큰 내경을 가진다.
위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따른 플라이 릴의 스풀을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프레임(2)에 고정 결합하기 위해서는 스풀캡(10)을 스풀하우징(3)에 장착하는 제1단계(도 5)와, 스풀하우징(3)을 프레임(2)의 중심축(2a)에 끼우는 제2단계(도 6)와, 스풀캡(10)을 회전시켜 스풀과 프레임(2)을 서로 결합토록 하는 제3단계(도 7)를 거쳐 이루어진다.
상기 스풀캡(10)을 스풀하우징(3)에 장착하는 제1단계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풀하우징(3)과 스풀캡(10)으로 분리되어 있는 상태에서 스풀캡(10)의 제1나사체결부(11a)와 스풀하우징(3)의 나사부(3b)를 일직선으로 정렬하고, 스풀캡(10)의 손잡이부(12)를 돌리면서 스풀하우징(3)의 나사부(3b)쪽으로 전진시키면, 스풀캡(10)의 제1나사체결부(11a)가 스풀하우징(3)의 나사부(3b)와 나사결합되면서 축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계속해서 손잡이부(12)를 돌리게 되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풀캡(10)의 제1나사체결부(11a)가 스풀하우징(3)의 나사부(3b)를 통과하게 되고, 이러한 상태에서는 스풀캡(10)은 스풀하우징(3)의 축공(3a) 내에서 축방향으로 도 5의 d로 표시한 거리 만큼 자유롭게 이동가능하지만 외부로는 스풀캡(10)의 제1나사체결부(11a)가 스풀하우징(3)의 나사부(3b)에 걸리게 되어 이탈하지 않는 상태가 되고, 만일 스풀캡(10)을 스풀하우징(3)으로부터 다시 분리하려고 하는 경우에는 스풀캡(10)의 손잡이부(12)를 회전시켜서 스풀캡(10)의 제1나사체결부(11a)가 스풀하우징(3)의 나사부(3b)를 통과한 이후에 이탈되게 되므로 스풀캡(10)은 스풀하우징(3)의 외부로는 쉽게 이탈하지 않게 된다.
상기 제2단계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풀하우징(3)을 프레임(2)의 중심축(2a)에 끼우는 단계로서, 이러한 상태에서는 스풀하우징(3)의 손잡이부(4, 도 3참조)를 돌리게 되면, 스풀하우징(3)의 회전력이 돌출핀(3d)에 의해서 프레임(2)의 하우징(2b)에 전달되게 되어 프레임(2)도 회전되게 되고, 이러한 상태의 스풀캡(10)은 아직까지는 스풀하우징(3)의 축공(3a) 내에서 자유롭게 축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한 상태로서 프레임(2)의 중심축(2a)과 스풀캡(10)의 제2나사체결부(13a)가 체결되기 전이므로 스풀하우징(3)은 프레임(2)의 중심축(2a)에 고정되지는 않은 채 단지 끼워져만 있는 상태에 있다.
상기 제3단계는 스풀캡(10)을 회전시켜 스풀과 프레임(2)을 서로 결합토록 하는 단계로서 스풀캡(10)을 프레임(2)이 위치하는 축방향으로 전진시키면,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스풀캡(10)의 제2나사체결부(13a)가 프레임(2)의 중앙에 고정된 중심축(2a) 선단에 형성한 나사부(2c)와 맞닿게 되고, 이러한 상태에서 스풀캡(10)을 회전시키면, 스풀캡(10)의 제2나사체결부(13a)가 프레임(2)의 중앙에 고정된 중심축(2a) 선단에 형성한 나사부(2c)와 나사결합되면서 프레임(2)에 스풀이 고정 결합되게 된다.
한편, 스풀을 프레임(2)으로부터 분리토록 하기 위해서는 위의 과정과는 반대로 먼저 스풀캡(10)을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스풀캡(10)의 제2나사체결부(13a)와 프레임(2)의 중앙에 고정된 중심축(2a) 선단에 형성한 나사부(2c)의 나사결합이 해제되게 되므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풀캡(10)은 스풀하우징(3)으로부터 이탈되지는 않으면서 축방향으로는 이동이 가능한 상태로 되고, 이때에는 프 레임(2)으로부터 스풀을 분리시킬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스풀캡(10)을 스풀하우징(3)으로부터 분리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스풀캡(10)을 잡아 당긴 상태에서 회전시키게 되면, 스풀캡(10)의 제1나사체결부(11a)와 스풀하우징(3)의 선단에 형성한 나사부(3b)와의 나사결합이 해제되면서 스풀캡(10)이 스풀하우징(3)으로부터 분리되게 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플라이 릴의 스풀은 외부에 조정간 등이 노출되지 않으면서도 스풀의 장,탈착을 용이하고도 정확히 이룰 수 있으며, 또한, 구조를 단순화시키고 제조공정을 감소시킬 수가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플라이 릴의 스풀에 의하면, 스풀을 프레임에 결합시키려고 하는 경우에 스풀캡을 조이기만 하면 간단하게 스풀을 프레임에 결합시킬 수가 있고, 또 스풀캡을 프레임으로부터 분리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스풀캡을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스풀을 프레임으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으면서도 스풀캡은 스풀하우징에 그대로 부착되어 있으므로 스풀캡의 분실에 따른 제반 사고를 방지할 수가 있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들을 기준하여 설명되어 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이라 할 수 있고,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예들을 생각해 낼 수 있으므로 이러한 균등한 실시예들 또한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 내에 포함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Claims (1)

  1. 중앙에 축공이 형성된 허브를 가지고 상기 축공의 일측 선단에는 나사부가 형성되며 일측에는 낚시줄을 감거나 풀기 위한 손잡이가 부착되어 있는 스풀하우징과, 상기 스풀하우징을 플라이 릴의 프레임에 결합 또는 분리되도록 하기 위한 스풀캡으로 이루어지는 플라이 릴의 스풀에 있어서,
    상기 스풀캡은,
    외주에는 상기 축공의 선단에 형성한 나사부와 나사결합되는 제1나사체결부와 상기 제1나사체결부와 인접형성되어 상기 나사부의 내경보다 작은 외경을 가지는 외경부를 구비하고, 내주에는 상기 프레임의 중앙에 고정된 중심축의 선단에 형성한 나사부와 나사결합되는 제2나사체결부와 상기 제2나사체결부와 인접형성되어 상기 중심축의 선단에 형성한 나사부의 외경보다 큰 내경을 가지는 내경부를 구비하여 상기 축공내에서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는 중공원통부; 및
    상기 중공원통부의 일측에 돌출 형성된 손잡이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이 릴의 스풀.
KR1020050040270A 2005-05-13 2005-05-13 플라이 릴의 스풀 KR1006605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0270A KR100660560B1 (ko) 2005-05-13 2005-05-13 플라이 릴의 스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0270A KR100660560B1 (ko) 2005-05-13 2005-05-13 플라이 릴의 스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17749A KR20060117749A (ko) 2006-11-17
KR100660560B1 true KR100660560B1 (ko) 2006-12-22

Family

ID=377051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40270A KR100660560B1 (ko) 2005-05-13 2005-05-13 플라이 릴의 스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60560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73540A (ja) * 1989-08-14 1991-03-28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ヘテロ接合バイポーラトランジスタ及びその製造方法
US5590847A (en) 1995-08-24 1997-01-07 Ament; Weston H. Fly reel with adjustable brake assembly
KR200186666Y1 (ko) 1999-12-29 2000-06-15 협진정밀공업주식회사 플라이 릴의 원 웨이 클러치 디스크 드래그 장치
JP2001017038A (ja) 1999-07-01 2001-01-23 Ryobi Ltd 魚釣用リール
KR20020074819A (ko) * 2001-03-22 2002-10-04 홍종원 플라이 낚시 릴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73540A (ja) * 1989-08-14 1991-03-28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ヘテロ接合バイポーラトランジスタ及びその製造方法
US5590847A (en) 1995-08-24 1997-01-07 Ament; Weston H. Fly reel with adjustable brake assembly
JP2001017038A (ja) 1999-07-01 2001-01-23 Ryobi Ltd 魚釣用リール
KR200186666Y1 (ko) 1999-12-29 2000-06-15 협진정밀공업주식회사 플라이 릴의 원 웨이 클러치 디스크 드래그 장치
KR20020074819A (ko) * 2001-03-22 2002-10-04 홍종원 플라이 낚시 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17749A (ko) 2006-1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09444B1 (ko) 플라이 릴
US20060102771A1 (en) Spining reel
JP2007006710A (ja) 両軸受リール
TWI298620B (en) Handle assembly for a spinning reel
KR100660560B1 (ko) 플라이 릴의 스풀
KR101153255B1 (ko) 듀얼 베어링 릴의 드래그 기구
KR100745549B1 (ko) 플라이 릴
US6078001A (en) Machine head for guitars
US20090250540A1 (en) Bail release mechanism for spinning reels
KR102188172B1 (ko) 낚시용 릴
US7198218B2 (en) Brake operation structure for fishing reel spool
US5518194A (en) Fishing reel with sound generator
US6446894B1 (en) Planetary gear assembly for fishing reel
JP4381885B2 (ja) 釣り用リールのスプールの制動操作構造
KR102118292B1 (ko) 낚시릴의 풀림 방지용 핸들손잡이 고정장치
JPH05165461A (ja) 楽器の調弦装置及びその装着方法
JP2005218446A (ja) 糸巻
KR100647231B1 (ko) 낚시용 릴
KR200375048Y1 (ko) 보빈의 풀림 방지구
KR20140018094A (ko) 낚시용 릴의 스풀 착탈 기구
US11013223B2 (en) Fishing reel for easy distance adjustment of tension nut
US4103843A (en) Fishing reel
KR100987100B1 (ko) 낚시용 릴의 나사 조작 구조
JPS596702Y2 (ja) リ−ルの釣竿への取付構造
KR200299168Y1 (ko) 투포원 연사기의 크레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1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13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3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2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