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60145B1 - 카메라 모듈의 자동 포커싱 장치 - Google Patents

카메라 모듈의 자동 포커싱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60145B1
KR100660145B1 KR1020050048955A KR20050048955A KR100660145B1 KR 100660145 B1 KR100660145 B1 KR 100660145B1 KR 1020050048955 A KR1020050048955 A KR 1020050048955A KR 20050048955 A KR20050048955 A KR 20050048955A KR 100660145 B1 KR100660145 B1 KR 1006601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era module
focus
moving block
axis mov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489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128087A (ko
Inventor
김영건
강학철
신명선
이한진
Original Assignee
동양반도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양반도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동양반도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489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60145B1/ko
Publication of KR200601280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280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601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601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3/00Viewfinders; Focusing aids for cameras; Means for focusing for cameras; Autofocus systems for cameras
    • G03B13/32Means for focusing
    • G03B13/34Power focusing
    • G03B13/36Autofocus system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4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 G02B7/08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adapted to co-operate with a remote control mechanism

Abstract

본 발명은 카메라 모듈의 자동 포커싱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인덱스 테이블 위에 카메라 모듈을 안착시키고, 이를 소정 각도 회전시킨 상태에서 카메라 모듈의 포커스를 자동적으로 맞추는데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의한 해결 방법의 요지는 렌즈 조립체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카메라 모듈이 안착된 동시에, 소정 각도씩 회전하는 인덱스 테이블과, 상기 인덱스 테이블의 외주연에 설치된 동시에, 상기 카메라 모듈과 전기적으로 접속됨으로써, 상기 카메라 모듈의 포커스를 감지하는 포커스 감지부와, 상기 인덱스 테이블의 외주연에 설치된 동시에, 상기 카메라 모듈의 렌즈 조립체를 소정 각도로 회전시키며, 상기 포커스 감지부에 의해 감지된 포커스가 최적치로 판단되면 렌즈 조립체의 회전을 정지시키는 메인 포커스 조절부로 이루어진 카메라 모듈의 자동 포커싱 장치가 개시된다.
카메라 모듈, 렌즈 조립체, 인덱스 테이블, 포커스, 접사 렌즈

Description

카메라 모듈의 자동 포커싱 장치{Automatic focusing device of camera module}
도 1은 일반적인 카메라 모듈의 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a 내지 도 2e는 일반적인 카메라 모듈의 제조 방법을 도시한 순차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자동 포커싱 장치가 장착되는 카메라 모듈 테스트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자동 포커싱 장치가 장착되는 카메라 모듈 테스트 시스템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 포커싱 장치만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 포커싱 장치중 카메라 모듈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포커스 감지부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 포커싱 장치중 메인 포커스 조절부 및 보조 포커스 조절부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 포커싱 장치중 메인 포커스 조절부만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 포커싱 장치중 메인 포커스 조절부만을 도시한 일부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 포커싱 장치중 메인 포커스 조절부만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 포커싱 장치중 보조 포커스 조절부만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 포커싱 장치중 보조 포커스 조절부만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700; 본 발명에 의한 카메라 모듈의 자동 포커싱 장치
10; 카메라 모듈 11; 회로기판
12; 반도체 다이 13; 연결부재
14; 마운트 홀더 15; 렌즈 조립체
16; 접착제 17; 외부단자
200; 인덱스 테이블 201; 모터
202; 몸체 203; 방사팔
204; 안착블럭
701; 포커스 감지부 702; X축 이동 블록
703; Y축 이동 블록 704; Z축 이동 블록
705; 프로브 유닛 711; 메인 포커스 조절부
712; X축 이동 블록 713; Y축 이동 블록
714; Z축 이동 블록 715; 포커싱부
716; 포커싱 블록 717; 모터
718; 벨트 719; 회전체
720; 통공 721; 챠트
722; 보조 포커스 조절부 723; Z축 이동 블록
724; X축 이동 블록 725; Y축 이동 블록
726; 모터 727; 회전 블록
728; 접사 렌즈
본 발명은 카메라 모듈의 자동 포커싱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히는 인덱스 테이블 위에 카메라 모듈을 안착시키고, 이를 소정 각도 회전시킨 상태에서 카메라 모듈의 포커스를 자동적으로 맞출 수 있는 카메라 모듈의 자동 포커싱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일반적인 카메라 모듈의 한예가 단면도로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카메라 모듈(10)은 회로기판(11)과, 상기 회로기판(11)에 접착되어 외부의 영상 신호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반도체 다이(12)와, 상기 반도체 다이(12)와 회로기판(11)을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연결 부재(13)와, 상기 반도체 다이(12)의 외주연으로서 회로기판(11)에 고정되는 마운트 홀 더(14)와, 상기 마운트 홀더(14)에 고정되어 적절한 포커스를 가지며 외부 영상이 반도체 다이(12)에 전달되도록 하는 렌즈 조립체(15)와, 상기 마운트 홀더(14)와 렌즈 조립체(15)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렌즈 조립체(15)의 회전을 방지하는 접착제(16)와, 상기 회로기판(11)의 일측에 설치되어 외부 장치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외부단자(17)로 이루어져 있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 14a는 마운트 홀더(14)에 형성된 나사산이고, 15a는 렌즈 조립체(15)에 형성된 나사산이다.
여기서, 비록 도 1에는 상기 외부단자(17)가 회로기판(11)의 상면에 형성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회로기판(11)의 하면에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마운트 홀더(14)로부터 외부단자(17)까지의 회로기판(11)이 갖는 모양, 형태 및 길이는 다양하게 변경 가능하다.
계속해서, 도 2a 내지 도 2e를 참조하면, 일반적인 카메라 모듈의 제조 방법이 단면도로서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카메라 모듈(10)의 제조 방법은 회로기판 제공 단계와, 다이 본딩/와이어 본딩 단계와, 마운트 홀더 고정 단계와, 렌즈 조립체 결합 단계와, 접착제 디스펜싱 단계로 이루어져 있다. 이를 좀더 자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로기판 제공 단계에서는 일측에 외부단자(17)가 형성된 회로기판(11)을 제공한다. 여기서, 도면에서는 외부단자(17)가 회로기판(11)의 상면에 형성된 것을 예로 하였으나,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외부단자(17)는 회로기판(11)의 하면에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외부단자(17)는 회로기판(11)의 제공 단계가 아닌 이하의 다른 단계에서 형성될 수도 있다.
이어서,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이 본딩/와이어 본딩 단계에서는 상기 회로기판(11)의 소정 영역에 반도체 다이(12)를 접착하고, 이어서 반도체 다이(12)와 회로기판(11)을 적어도 하나의 연결부재(13)로 상호 본딩한다.
이어서,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운트 홀더 고정 단계에서는 상기 반도체 다이(12) 및 연결부재(13)의 외주연인 회로기판(11)의 상면에 속이 비어 있는 마운트 홀더(14)를 장착한다. 여기서, 상기 마운트 홀더(14)는 내경면에 다수의 나사산(14a)이 형성될 수 있다.
이어서, 도 2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렌즈 조립체 결합 단계에서는 외경면에 다수의 나사산(15a)이 형성된 렌즈 조립체(15)를 마운트 홀더(14)에 나사 결합한다. 이때, 상기 렌즈 조립체(15)는 나사 결합을 위한 소정 방향으로의 회전중, 포커스가 가장 잘 맞는 각도에서 그 회전을 정지시킨다. 또한, 이때 상기 카메라 모듈(10)이 전기적으로 정확히 작동하는지, 외부의 이미지를 정확히 인식하는지 확인하기 위해 오픈 쇼트 테스트 및 이미지 테스트도 수행한다.
이어서, 도 2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착제 디스펜싱 단계에서는, 포커싱, 오픈 쇼트 테스트, 이미지 테스트가 완료된 카메라 모듈(10)중 마운트 홀더(14)와 렌즈 조립체(15) 사이의 영역에, 상기 렌즈 조립체(15)가 더 이상 움직이지 않도록 접착제(16)를 디스펜싱한다. 즉, 렌즈 조립체(15)의 포커스 상태가 변하지 않도록 한다. 물론, 이러한 접착제(16)의 디스펜싱 후에는 그 접착제(16)의 경화를 위해 경화 공정을 수행한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렌즈 조립체 결합 단계와 접착제 디스펜싱 단계 사 이에는 카메라 모듈이 전기적으로 올바로 작동하는지의 여부를 테스트하는 전기적 오픈 쇼트 테스트 공정, 렌즈 조립체의 포커스 상태가 정확해지도록 하는 포커싱 공정, 반도체 다이가 외부의 영상을 제대로 감지하는지 테스트하는 이미지 테스트 공정이 더 포함된다. 더욱이, 상기 접착제 디스펜싱 후에는 디스펜싱된 접착제가 경화될 수 있도록 접착제 경화 공정이 더 수행된다.
그러나, 종래에는 이러한 전기적 오픈 쇼트 테스트, 포커싱, 이미지 테스트, 접착제 디스펜싱, 접착제 경화 공정(이를 테스트 공정으로 총칭한다.)이 별도의 장비에서 각각 수행됨으로써, 하나의 카메라 모듈을 테스트하는 시간이 오래 걸리고, 따라서 전체적인 카메라 모듈의 제조 수율이 낮고 또한 제조 비용은 높아지는 문제가 있다.
더욱이, 종래에는 상기 테스트 공정이 오퍼레이터에 의해 반자동 또는 수동으로 이루어짐으로써, 제조된 카메라 모듈의 성능이 떨어질 뿐만 아니라, 또한 카메라 모듈의 성능에 편차도 심한 문제가 있다. 특히, 상기 포커싱 공정중 카메라 모듈의 렌즈 조립체를 오퍼레이터가 반자동 또는 수동 방식으로 소정 방향으로 회전시키면서 조정하기 때문에, 그만큼 카메라 모듈의 포커싱 시간이 오래 걸리고 또한 포커싱 상태도 정확하지 않은 단점이 있다. 더불어, 미완성된 카메라 모듈 자체를 오퍼레이터가 직접 만지거나 함으로써, 카메라 모듈의 불량 확률도 그만큼 커지는 문제가 있다.
또한, 현재 시판되고 있는 카메라 모듈은 대표적으로 VGA급과, MEGA급이 있는데 이러한 VGA급과 MEGA급의 카메라 모듈은 그 포커스 거리가 서로 다르다. 예를 들면, MEGA급 카메라 모듈의 포커스 거리는 VGA급 카메라 모듈이 갖는 포커스 거리의 대략 3배이다. 따라서, VGA급의 카메라 모듈에 대한 포커싱 작업을 하다가, MAGA급의 카메라 모듈이 로딩되면 포커스를 맞추기 위한 챠트(포커스 상태를 확인하기 위한 그림판)의 위치를 그 MEAGA급 카메라 모듈로부터 상당히 먼 거리(대략 150cm 이상)로 이동시켜야 함으로써, 포커싱 작업이 대단히 어려워지는 문제가 있다. 물론, 이와 같이 챠트의 거리를 변경하고 또한 정확한 위치로 셋팅하는 시간도 오래 걸림으로써, 결국 카메라 모듈의 제조 수율이 낮아질 수 밖에 없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인덱스 테이블 위에 낱개의 카메라 모듈을 안착시키고, 이를 소정 각도 회전시킨 상태에서 카메라 모듈의 포커싱 상태를 자동적으로 맞출 수 있는 카메라 모듈의 자동 포커싱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포커스 거리가 상이한 카메라 모듈이 로딩되면 접사 렌즈를 투입함으로써, 챠트의 거리 변경없이 바로 카메라 모듈의 포커스를 맞출 수 있는 카메라 모듈의 자동 포커싱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의한 카메라 모듈의 자동 포커싱 장치는 렌즈 조립체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카메라 모듈이 안착된 동시에, 소정 각도씩 회전하는 인덱스 테이블과, 상기 인덱스 테이블의 외주연에 설치된 동시에, 상기 카메라 모듈과 전기적으로 접속됨으로써, 상기 카메라 모듈의 포커스를 감지 하는 포커스 감지부와, 상기 인덱스 테이블의 외주연에 설치된 동시에, 상기 카메라 모듈의 렌즈 조립체를 소정 각도로 회전시키며, 상기 포커스 감지부에 의해 감지된 포커스가 최적치로 판단되면 렌즈 조립체의 회전을 정지시키는 메인 포커스 조절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인덱스 테이블은 모터와, 상기 모터의 회전축에 결합되어 일정 각도씩 회전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둘레로부터 외부 방향으로 소정 길이 연장된 동시에, 상기 몸체의 둘레를 따라서 일정 피치를 갖고, 끝단에는 상기 카메라 모듈이 안착된 적어도 하나의 방사팔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방사팔에는 배큠홀이 형성되어 카메라 모듈을 강하게 흡착 및 고정하는 안착 블록이 더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포커스 감지부는 X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X축 이동 블록과, 상기 X축 이동 블록에 설치되어 Y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Y축 이동 블록과, 상기 Y축 이동 블록에 설치되어 Z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Z축 이동 블록과, 상기 Z축 이동 블록에 설치된 동시에, 상기 카메라 모듈에 전기적으로 접속됨으로써, 상기 카메라 모듈의 포커스를 감지하는 프로브 유닛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인 포커스 조절부는 X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X축 이동 블록과, 상기 X축 이동 블록에 설치되어 Y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Y축 이동 블록과, 상기 Y축 이동 블록에 설치되어 Z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Z축 이동 블록과, 상기 Z축 이동 블록에 설치된 동시에 상기 카메라 모듈의 렌즈 조립체에 결합됨으로써, 상기 렌즈 조립체를 소정 방향으로 회전시켜 포커스를 조절하는 포커싱부로 이루어 질 수 있다.
또한, 상기 포커싱부는 상기 Z축 이동 블록에 설치된 포커싱 블록과, 상기 포커싱 블록의 일측에 결합된 모터와, 상기 포커싱 블록의 타측에 결합된 동시에, 상기 모터에 벨트로 연결되고, 중앙에는 상기 렌즈 조립체에 결합될 수 있도록 통공이 형성된 회전체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최초로 로딩된 카메라 모듈로부터 포커스 감지부에 의해 현재의 포커스 값을 얻고, 이어서 메인 포커스 조절부의 동작에 의해 카메라 모듈의 최적 포커스에 대한 렌즈 조립체의 회전 각도를 누적 저장시킴으로써, 카메라 모듈에 대한 렌즈 조립체의 최적 회전 각도가 학습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메인 포커스 조절부의 상부에는 카메라 모듈이 소정 영상을 촬영할 수 있도록 소정 형태의 그림이 그려진 챠트가 더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덱스 테이블에 안착된 카메라 모듈은 VGA급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인덱스 테이블의 일측에는 MEGA급 카메라 모듈의 포커스 조절시 작동되는 보조 포커스 조절부가 더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조 포커스 조절부는 Z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Z축 이동 블록과, 상기 Z축 이동 블록에 설치되어 X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X축 이동 블록과, 상기 X축 이동 블록에 설치되어 Y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Y축 이동 블록과, 상기 Y축 이동 블록에 설치된 모터와, 상기 모터의 회전축에 결합되어 소정 각도 회전하는 회전 블록과, 상기 회전 블록에 설치되어 카메라 모듈의 포커스 거리를 단축시키는 접사 렌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보조 포커스 조절부의 회전 블록은 MEGA급 카메라 모듈의 포커스 조절시에만 소정 각도 회전하여 상기 카메라 모듈의 상부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하여 본 발명에 의한 카메라 모듈의 자동 포커싱 장치는 인덱스 테이블에 안착된 카메라 모듈에 포커스 감지부가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이 상태에서 메인 포커스 조절부가 렌즈 조립체를 최적의 포커스가 될 때까지 회전시킴으로써, 카메라 모듈의 포커스를 자동적으로 정확하고 신속하게 맞출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VGA급의 카메라 모듈뿐만 아니라, MEGA급의 카메라 모듈도 챠트의 거리 변경없이 바로 포커스 조절을 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MEGA급의 카메라 모듈이 로딩되면 별도의 보조 포커스 조절부가 동작함으로써, VGA급과 같이 포커스 거리가 대략 50cm 이내가 되도록 하여 챠트의 거리 변경이나 각종 설정치의 변경없이 바로 포커스 조절이 가능해 진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자동 포커싱 장치가 장착되는 카메라 모듈 테스트 시스템이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고,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자동 포커싱 장치가 장착되는 카메라 모듈 테스트 시스템의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카메라 모듈 테스트 시스템(S)은 다수의 카메라 모듈이 수 납된 트레이를 매거진으로부터 순차적으로 공급하는 로딩부(100)와, 상기 카메라 모듈이 안착된 채 소정 방향 및 각도로 회전하는 인덱스 테이블(200)과, 상기 로딩부(100)로부터 인덱스 테이블(200)로 카메라 모듈을 옮겨 놓는 픽엔플레이스부(300)와, 상기 인덱스 테이블(200) 위의 카메라 모듈에 대한 안착 위치를 체크하는 포지션 체크부(400)와, 상기 인덱스 테이블(200) 위의 카메라 모듈중 렌즈 조립체와 마운트 홀더 사이의 둘레에 접착제를 원주 형태로 디스펜싱하는 라운드 디스펜싱부(500)와, 상기 인덱스 테이블(200) 위의 카메라 모듈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오픈 쇼트 상태를 테스트하는 오픈 쇼트 테스트부(600)와, 상기 인덱스 테이블(200) 위의 카메라 모듈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동시에 렌즈 조립체를 소정 방향으로 회전시켜 포커스를 맞추는 자동 포커싱부(700)와, 상기 인덱스 테이블(200) 위의 카메라 모듈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동시에 카메라 모듈이 외부 이미지를 정상적으로 인식하는지의 여부를 테스트하는 이미지 테스트부(800)와, 상기 인덱스 테이블(200) 위의 카메라 모듈중 렌즈 조립체와 마운트 홀더 사이에 적어도 한 점을 접착제로 디스펜싱하는 포인트 디스펜싱부(900)와, 상기 인덱스 테이블(200) 위의 카메라 모듈중 접착제를 일정 시간 동안 경화하는 포인트 경화부(1000)와, 상기 카메라 모듈을 순차적으로 트레이에 모아서 일정 시간 동안 경화하는 메인 경화부(1100)와, 상기 메인 경화부(1100)로부터의 트레이를 매거진에 수납하는 언로딩부(1200)와, 상기 오픈 쇼트 테스트 및 이미지 테스트에 의해 불량으로 확인된 카메라 모듈을 별도의 트레이에 모으는 페일 소팅부(1300)를 포함한다.
이러한 카메라 모듈 테스트 시스템(S)의 구성 및 작동을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상기 로딩부(100)는 다수의 트레이(101)가 수납된 매거진(102)을 상부로 상승시킨 후, 최상부의 트레이를 매거진 밖으로 밀어낸다. 도면을 참조하면, 로딩부(100)는 트레이(101)를 우측 방향으로 밀어낸다.
이어서, 상기 인덱스 테이블(200)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몸체(202)와, 상기 몸체(202)의 둘레로부터 외부 방향으로 소정 길이 연장된 동시에, 소정 피치를 가지며 형성된 방사팔(203)로 이루어져 있다. 물론, 상기 방사팔(203)에는 카메라 모듈(10)이 안착되어 각종 테스트 등이 수행된다. 여기서, 상기 인덱스 테이블(200)은 반시계 방향으로도 회전할 수 있으며, 이러한 회전 방향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이어서, 상기 픽엔플레이스(300)는 상기 로딩부(100)로부터 즉, 매거진 밖으로 이송된 트레이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 모듈(10)을 픽업하여, 상기 인덱스 테이블(200)의 어느 한 방사팔(203) 위에 안착시킨다. 도면을 참조하면, 픽엔플레이스(300)는 6시 방향의 방사팔(203) 위에 카메라 모듈(10)을 안착시킨다. 이후, 상기 인덱스 테이블(200)은 시계 방향으로 대략 45° 회전하여, 카메라 모듈(10)이 포지션 체크부(400)에 위치하도록 한다.
이어서, 상기 포지션 체크부(400)는 상기 인덱스 테이블(200)의 방사팔(203)에 안착된 카메라 모듈(10)의 위치 정보를 확인하고, 이러한 위치 정보를 하기의 라운드 디스펜싱부(500), 오픈 쇼트 테스트부(600), 자동 포커싱부(700), 이미지 테스트부(800), 포인트 디스펜싱부(900), 포인트 경화부(1000) 등에 전송한다. 이후, 상기 인덱스 테이블(200)은 시계 방향으로 대략 90°회전하여, 카메라 모듈(10)이 라운드 디스펜싱부(500)에 위치하도록 하도록 한다.
이어서, 상기 라운드 디스펜싱부(500)는 상기 인덱스 테이블(200) 위의 카메라 모듈(10)중 렌즈 조립체와 마운트 홀더 사이의 전체 둘레에 접착제를 원주 형태로 디스펜싱한다. 물론, 상기 접착제는 액상이기 때문에, 이러한 접착제의 디스펜싱후에도 일정 시간 동안 상기 렌즈 조립체는 마운트 홀더의 내측에서 소정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다. 이와 같이 렌즈 조립체의 포커싱을 정확히 맞추기 전에 미리 접착제를 라운드 디스펜싱하게 되면, 차후 포커싱을 맞춘 후 접착제를 라운드 디스펜싱하는 것보다 유리한 점이 있다. 즉, 렌즈 조립체의 포커스를 맞춘 후 접착제를 디스펜싱하게 되면, 이러한 디스펜싱 공정중 렌즈 조립체의 포커스가 바뀔 수 있기 때문이다. 이후, 상기 인덱스 테이블(200)은 시계 방향으로 대략 135°회전하여, 카메라 모듈(10)이 오픈 쇼트 테스트부(600)에 위치하도록 한다.
이어서, 상기 오픈 쇼트 테스트부(600)는 상기 인덱스 테이블(200) 위의 카메라 모듈(10)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오픈 쇼트 상태를 테스트한다. 즉, 상기 카메라 모듈(10)에서 회로기판, 연결부재 또는 반도체 다이 상호간의 전기적 연결 상태가 제대로 되어 있는지를 테스트하게 된다. 이후 상기 인덱스 테이블(200)은 시계 방향으로 대략 180°회전하여, 카메라 모듈(10)이 자동 포커싱부(700)에 위치하도록 하도록 한다.
이어서, 상기 자동 포커싱부(700)는 상기 인덱스 테이블(200) 위의 카메라 모듈(10)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동시에, 상기 카메라 모듈(10)중 렌즈 조립체를 소정 방향으로 회전시키면서 포커스가 가장 잘 맞는 위치에서 그 회전을 정지한다. 물론, 이때 상기 인덱스 테이블(200) 위에는 카메라 모듈(10)의 포커스 조절을 위한 소정 모양의 챠트(도시되지 않음)가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자동 포커싱부(700)는 상기 카메라 모듈(10)이 상기 챠트를 촬영하도록 한다. 동시에, 상기 자동 포커싱부(700)는 렌즈 조립체를 소정 방향으로 회전시켜 포커스가 가장 잘 맞는 위치에서 그 렌즈 조립체의 회전을 정지시킴으로써, 카메라 모듈(10)의 포커스를 조정한다. 이러한 자동 포커싱부(700)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이후 상기 인덱스 테이블(200)은 시계 방향으로 대략 225°회전하여, 카메라 모듈(10)이 이미지 테스트부(800)에 위치하도록 하도록 한다.
이어서, 상기 이미지 테스트부(800)는 상기 인덱스 테이블(200) 위의 카메라 모듈(10)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동시에 카메라 모듈(10)이 외부 이미지를 정상적으로 인식하는지의 여부를 테스트한다. 이때, 상기 인덱스 테이블(200) 위에는 카메라 모듈(10)의 이미지 촬영을 위해 적색, 녹색, 청색 및 백색 이미지 부재(도시되지 않음)가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이미지 테스트부는 상기 카메라 모듈(10)이 상기 이미지 부재를 촬영하도록 한다. 동시에, 상기 이미지 테스트부(800)는 촬영된 값과, 원래의 이미지 모듈(20)이 갖는 기준값을 비교하여 카메라 모듈(10)이 외부의 이미지를 정확히 인식하는지 테스트한다. 이후, 상기 인덱스 테이블(200)은 시계 방향으로 대략 270°회전하여, 카메라 모듈(10)이 포인트 디스펜싱부(900)에 위치하도록 한다.
이어서, 상기 포인트 디스펜싱부(900)는 상기 인덱스 테이블(200) 위의 카메라 모듈(10)중 렌즈 조립체와 마운트 홀더 사이에 적어도 한 점을 접착제로 디스펜싱한다. 이와 같은 접착제의 디스펜싱 작업에 의해 상기 렌즈 조립체는 마운트 홀더로부터 거의 움직이지 않게 된다. 또한, 이와 같이 적어도 한 점을 접착제로 디스펜싱하는 이유는, 렌즈 조립체의 회전 현상을 최소화하기 위함이다. 즉, 상술한 라운드 디스펜싱부(500)에서와 같이 접착제를 라운드 디스펜싱하게 되면, 그 디스펜싱 부재와 렌즈 조립체와의 접촉에 의해 포커스 상태가 바뀔 수 있기 때문이다. 물론, 이후 상기 인덱스 테이블(200)은 시계 방향으로 315°회전하여, 카메라 모듈(10)이 포인트 경화부(1000)에 위치하도록 한다.
이어서, 상기 포인트 경화부(1000)는 상기 인덱스 테이블(200) 위의 카메라 모듈(10)중 접착제에 열 및/또는 자외선을 조사하여 일정 시간 동안 경화 작업을 수행한다. 이때, 상기 경화 작업은 뒤따르는 다른 카메라 모듈(10)의 테스트 공정에 방해가 되지 않도록 수초 내로 실시된다. 이후, 상기 인덱스 테이블(200)은 시계 방향으로 360°회전하게 되는데, 이때에는 이미 카메라 모듈(10)이 로딩부(100)와 메인 경화부(1100) 사이의 트레이(101)로 픽엔플레이스(300)에 의해 이송되거나, 또는 페일소팅부(1300)로 이송된 상태이기 때문에, 방사팔(203) 위에는 카메라 모듈(10)이 없는 상태가 된다.
이어서, 상기 메인 경화부(1100)는 상기 포인트 경화부(1000)로부터의 카메라 모듈(10)을 하나의 트레이에 모은 후, 이를 열 또는/및 자외선을 이용하여 소정 시간 동안 경화시킨다. 좀더 자세히 설명하면, 먼저 픽엔플레이스(300)가 상기 포 인트 경화부(1000)로터 카메라 모듈(10)을 로딩부(100)와 메인 경화부(1100) 사이의 비어 있는 트레이에 모은다. 그런 후, 로딩부(100)의 작동에 의해 상기 트레이가 메인 경화부(1100)로 이송됨으로써, 카메라 모듈(10)의 완전한 접착제 경화가 이루어진다. 이러한 메인 경화는 트레이에 다수의 카메라 모듈(10)을 모아서 한꺼번에 진행되기 때문에, 뒤따르는 카메라 모듈(10)의 검사 시간에 지장을 주지 않고, 따라서 비교적 오랜 시간동안 접착제를 경화하게 된다.
이어서, 상기 언로딩부(1200)는 상기 메인 경화부(1100)로부터의 트레이를 빈 매거진에 차례로 수납하고, 상기 페일 소팅부(1300)는 상기 오픈 쇼트 테스트부(600), 자동 포커싱부(700) 및 이미지 테스트부(800)에서 불량 처리된 카메라 모듈(10)을 포인트 디스펜싱부(900)로부터 별도의 빈 트레이에 차례대로 수납한다. 물론, 이러한 불량 처리된 카메라 모듈(10)에는 포인트 디스펜싱, 포인트 경화 및 메인 경화가 이루어지지 않는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자동 포커싱 장치의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인덱스 테이블(200)과, 상기 인덱스 테이블(200)의 외측에 설치된 포커스 감지부(701)와, 상기 포커스 감지부(701)의 일측에 설치된 메인 포커스 조절부(711)와, 상기 메인 포커스 조절부(711)의 일측에 설치된 보조 포커스 조절부(722)로 이루어져 있다.
여기서, 상기 인덱스 테이블(200)은 중앙에 모터(201)가 설치되어 있고, 상 기 모터(201)의 회전축에는 대략 원판 형태로 결합되어 소정 각도씩 회전하는 몸체(202)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몸체(202)의 둘레에는 외부 방향으로 소정 길이 연장된 동시에, 상기 몸체(202)의 둘레를 따라서 일정 피치를 갖고, 끝단에는 상기 카메라 모듈(10)이 안착된 다수의 방사팔(203)이 형성되어 있다. 더욱이, 상기 각 방사팔(203)의 끝단에는 실제로 카메라 모듈(10)이 안착되는 안착 블록(204)이 장착되어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자동 포커싱 장치중 카메라 모듈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포커스 감지부의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포커스 감지부(701)는 X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X축 이동 블록(702)과, 상기 X축 이동 블록(702)에 설치되어 Y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Y축 이동 블록(703)과, 상기 Y축 이동 블록(703)에 설치되어 Z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Z축 이동 블록(704)과, 상기 Z축 이동 블록(704)에 설치된 동시에, 상기 카메라 모듈(10)의 외부 단자에 전기적으로 접속됨으로써, 상기 카메라 모듈(10)의 포커스를 감지하는 프로브 유닛(705)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상기 포커스 감지부(701)는 카메라 모듈(10)에 전기적으로 접속됨으로써, 상기 카메라 모듈(10)의 포커스 상태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여 감지하게 된다. 더불어, 상기 카메라 모듈(10)은 상부뿐만 아니라 하부에서 전기적으로 접속하여야 하는 모델도 있다. 따라서, 포커스 감지부(701')는 인덱스 테이블(200)의 하부에 설치될 수도 있다. 이러한 인덱스 테이블(200)의 하부에 설치된 포커스 감지부(701')는 상기 포커스 감지 부(701)와 유사한 구조 및 작용을 하므로 여기서 그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자동 포커싱 장치중 메인 포커스 조절부 및 보조 포커스 조절부의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포커스 조절부(711)와 보조 포커스 조절부(722)는 도시되지 않은 카메라 모듈을 중심으로 소정 각도를 이루며 위치되어 있다. 실제로, 상기 보조 포커스 조절부(722)의 접사 렌즈(아래에서 더욱 상세히 설명함)는 MEGA급의 카메라 모듈에 대한 포커스 조절시에만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카메라 모듈 위에 위치된다. 즉, VGA급의 카메라 모듈에 대한 포커스 조절시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카메라 모듈 위에 위치하지 않는다.
도 8,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자동 포커싱 장치중 메인 포커스 조절부의 평면도, 일부 단면도 및 측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포커스 조절부(711)는 X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X축 이동 블록(712)과, 상기 X축 이동 블록(712)에 설치되어 Y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Y축 이동 블록(713)과, 상기 Y축 이동 블록(713)에 설치되어 Z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Z축 이동 블록(714)과, 상기 Z축 이동 블록(714)에 설치된 동시에 상기 카메라 모듈(10)의 렌즈 조립체(15)에 결합됨으로써, 상기 렌즈 조립체(15)를 소정 방향으로 회전시켜 포커스를 조절하는 포커싱부(715)로 이루어져 있다.
여기서, 상기 포커싱부(715)는 다시 상기 Z축 이동 블록(714)에 설치된 포커싱 블록(716)과, 상기 포커싱 블록(716)의 일측에 결합된 모터(717)와, 상기 포커싱 블록(716)의 타측에 결합된 동시에, 상기 모터(717)에 벨트(718)로 연결되고, 중앙에는 상기 렌즈 조립체(15)에 결합될 수 있도록 통공(720)이 형성된 회전체(719)로 이루어져 있다. 물론, 상기 모터(717)와 회전체(719)의 하단에는 풀리(717', 719')가 각각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두 개의 풀리(717', 719')는 벨트(718)로 연결되어 있다.
또한, 상기 포커싱부(715)의 상부에는 카메라 모듈(10)이 소정 영상을 촬영할 수 있도록 소정 그림 등이 인쇄된 챠트(721)가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챠트(721)는 상기 카메라 모듈(10)로부터 대략 50cm 내외의 거리를 유지한다.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자동 포커싱 장치중 보조 포커스 조절부의 평면도 및 측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보조 포커스 조절부(722)는 Z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Z축 이동 블록(723)과, 상기 Z축 이동 블록(723)에 설치되어 X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X축 이동 블록(724)과, 상기 X축 이동 블록(724)에 설치되어 Y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Y축 이동 블록(725)과, 상기 Y축 이동 블록(725)에 설치된 모터(726)와, 상기 모터(726)의 회전축에 결합되어 소정 각도 회전하는 회전 블록(727)과, 상기 회전 블록(727)에 설치되어 카메라 모듈(10)의 포커스 거리를 단축시키는 접사 렌즈(728)로 이루어져 있다.
여기서, 상기 회전 블록(727)은 MEGA급 카메라 모듈(10)의 포커스 조절시에만 소정 각도 회전하여 상기 카메라 모듈(10)의 상부에 위치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서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자동 포커싱 장치는 다음과 같이 작동된다.
먼저 카메라 모듈 테스트 시스템(S)중 픽엔플레이스(300)에 의해 로딩부(100)의 트레이(101)로부터 카메라 모듈(10)이 인덱스 테이블(200)의 방사팔(203) 위에 안착된다. 즉, 인덱스 테이블(200)중 방사팔(203)의 끝단에 설치된 안착블럭(204)에 카메라 모듈(10)이 위치된다.
이어서, 상기 인덱스 테이블(200)에 설치된 모터(201)의 작동에 의해 상기 인덱스 테이블(200)이 소정 각도씩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며 소정 공정이 진행된다. 즉, 인덱스 테이블(200)이 초기 위치로부터 시계 방향으로 대략 45°회전후 포지션 체크부(400)에서 카메라 모듈(10)의 위치 체크가 수행되고, 초기 위치로부터 대략 90°회전후 라운드 디스펜싱부(500)부에서 접착제의 라운드 디스펜싱이 수행되며, 초기 위치로부터 대략 135°회전후 오픈 쇼트 테스트부(600)에서 카메라 모듈(10)의 오픈 쇼트 테스트가 수행되고, 초기 위치로부터 대략 180°회전후 자동 포커싱부(700)로부터 자동 포커싱이 수행된다. 더욱이, 초기 위치로부터 대략 225°회전후 이미지 테스트부(800)에서 이미지 테스트가 수행되고, 초기 위치로부터 대략 270°회전후 포인트 디스펜싱부(900)에서 접착제의 포인트 디스펜싱이 수행되고, 다시 초기 위치로부터 315°회전후 포인트 경화부(1000)에서 포인트 경화가 수행된 다. 더불어, 상기 포인트 경화가 완료된 카메라 모듈(10)은 메인 경화부(1100)로 픽엔플레이스(300)에 의해 옮겨져 마지막 경화가 이루어지고, 이어서 언로딩부(1200)에서 언로딩된다. 물론, 오픈 쇼트 테스트, 자동 포커싱 및 이미지 테스트시 불량으로 판단된 카메라 모듈(10)은 페일 소팅부(1300)로 옮겨진다.
여기서, 상기 인덱스 테이블(200)이 대략 180°회전후 자동 포커싱 공정이 수행되는데 이것은 크게 2가지 방법으로 이루어진다. 즉, VGA급의 카메라 모듈일 경우에는 포커스 감지부(701) 및 메인 포커스 조절부(711)만이 동작하고, MEGA급의 카메라 모듈일 경우에는 보조 포커스 조절부(722)도 함께 동작한다.
먼저 VGA급의 카메라 모듈에 대해 포커스를 조절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인덱스 테이블(200)이 초기 위치로부터 180°회전후, 포커스 감지부(701)가 동작하여 카메라 모듈(10)의 포커스 상태를 감지한다. 즉, 포지션 체크부(400)로터 전달받은 데이터에 의해 X축 이동 블록(702), Y축 이동 블록(703) 및 Z축 이동 블록(704)이 적절히 움직여서 프로브 유닛(705)이 카메라 모듈(10)의 외부 단자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물론, 상기 카메라 모듈(10)중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영역이 하부를 향해 형성되어 있을 경우에는, 하부에 설치된 포커스 감지부(701')가 이와 같은 동작을 수행한다. 이와 같은 전기적 접속에 의해 상기 포커스 감지부(701)는 카메라 모듈(10)의 현재 포커스 상태를 감지한다.
이어서, 메인 포커스 조절부(711)가 동작한다. 즉, 상기 포지션 체크부(400)로부터 전달받은 데이터에 의해 X축 이동 블록(712), Y축 이동 블록(713) 및 Z축 이동 블록(714)이 적절히 움직여서 포커싱 블록(716)중 회전체(719)의 통공(720)이 카메라 모듈(10)의 렌즈 조립체(15)에 결합되도록 한다.
이어서, 상기 메인 포커스 조절부(711)중 포커싱 블록(716)에 설치된 모터(717)가 소정 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이것에 벨트(718)로 연결된 회전체(719)가 소정 각도 회전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회전체(719)가 회전하게 되면, 카메라 모듈(10)의 렌즈 조립체(15) 역시 소정 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카메라 모듈(10)의 포커스 상태가 변한다. 물론, 이와 같이 변하는 카메라 모듈(10)의 포커스는 포커스 감지부(701)에 의해 계속 감지되고 있는 상태이다. 더욱이, 상기 카메라 모듈(10)은 포커싱 블록(716)의 상부에 설치된 챠트(721)를 촬영하고 있는 상태이다.
상기와 같이 회전체(719)가 회전하는 도중, 포커스 감지부(701)로 감지된 포커스가 가장 좋은 위치가 되면, 상기 모터(717)의 작동은 정지한다.
더불어, 이와 같이 모터(717)의 동작이 정지하면, 다시 X축 이동 블록(712), Y축 이동 블럭(713) 및 Z축 이동 블럭(714)의 동작에 의해 메인 포커스 조절부(711)는 초기 위치로 되돌아 간다. 즉, 카메라 모듈(10)의 렌즈 조립체(15)로부터 회전체(719)가 분리된다.
여기서, 상기 메인 포커스 조절부(711)는 최초로 로딩된 카메라 모듈(10)로부터 포커스 감지부(701)에 의해 현재의 포커스 값을 얻고, 이어서 메인 포커스 조절부(711)의 동작에 의해 카메라 모듈의 최적 포커스에 대한 렌즈 조립체의 회전 각도를 누적시켜 저장함으로써, 상기 카메라 모듈(10)에 대한 렌즈 조립체(15)의 최적 회전 각도가 학습되도록 한다. 이러한 동작에 의해 상기 메인 포커스 조절부(711)는 다음의 카메라 모듈(10) 로딩시 상술한 학습된 값만큼만 모터(717)를 작동 시킴으로써, 포커싱 시간을 더욱 단축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MEGA급의 카메라 모듈이 로딩된 상태에서는 보조 포커스 조절부(722)가 동작한다. 즉, 상기 포지션 체크부(400)로부터 전달받은 데이터에 의해 Z축 이동 블록(723), X축 이동 블록(724) 및 Y축 이동 블록(725)이 적절히 움직이고, 또한 모터(726)가 작동함으로써, 회전 블록(727)이 소정 각도 움직이게 된다. 그러면, 상기 회전 블록(727)에 설치된 접사 렌즈(728)가 메인 포커스 조절부(711)중 회전체(719)의 상부에 위치된다. 물론, 카메라 모듈(10)은 상기 회전체(719)에 형성된 통공(720) 및 상기 접사 렌즈(728)를 통하여 그 상부의 챠트(721)를 촬영하게 된다.
이와 같은 접사 렌즈(728)에 의해 상기 챠트(721)의 거리는 카메라 모듈(10)로부터 더 멀어지지 않아도 된다. 즉, 상기 접사 렌즈(728)가 없다면 상기 챠트(721)는 대략 150cm 정도 상부로 상승하여야 하지만, 상기 접사 렌즈(728)가 있음으로써, 챠트(721)의 거리는 VGA급 카메라 모듈(10)을 검사할 때와 마찬가지로 50cm 내외의 거리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더불어, 이러한 보조 포커스 조절부(722)의 동작후 상기 포커스 감지부(701) 및 메인 포커스 조절부(711)의 동작은 위에서 설명한바와 동일하다.
상기와 같이 하여 본 발명에 의한 카메라 모듈의 자동 포커싱 장치는 인덱스 테이블에 안착된 카메라 모듈에 포커스 감지부가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이 상태에서 메인 포커스 조절부가 렌즈 조립체를 최적의 포커스가 될 때까지 회전시킴으로 써, 카메라 모듈의 포커스를 자동적으로 정확하고 신속하게 맞출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VGA급의 카메라 모듈뿐만 아니라, MEGA급의 카메라 모듈도 챠트의 거리 변경없이 바로 포커스 조절을 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MEGA급의 카메라 모듈이 로딩되면 별도의 보조 포커스 조절부가 동작함으로써, VGA급과 같이 포커스 거리가 대략 50cm 이내가 되도록 하여 챠트의 거리 변경이나 각종 설정치의 변경없이 바로 포커스 조절이 가능해 진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자동 포커싱 장치를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Claims (12)

  1. 렌즈 조립체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카메라 모듈이 안착된 동시에, 소정 각도씩 회전하는 인덱스 테이블;
    상기 인덱스 테이블의 외주연에 설치된 동시에, 상기 카메라 모듈과 전기적으로 접속됨으로써, 상기 카메라 모듈의 포커스를 감지하는 포커스 감지부; 및,
    상기 인덱스 테이블의 외주연에 설치된 동시에, 상기 카메라 모듈의 렌즈 조립체를 소정 각도로 회전시키며, 상기 포커스 감지부에 의해 감지된 포커스가 최적치로 판단되면 렌즈 조립체의 회전을 정지시키는 메인 포커스 조절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의 자동 포커싱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덱스 테이블은
    모터;
    상기 모터의 회전축에 결합되어 일정 각도씩 회전하는 몸체; 및,
    상기 몸체의 둘레로부터 외부 방향으로 소정 길이 연장된 동시에, 상기 몸체의 둘레를 따라서 일정 피치를 갖고, 끝단에는 상기 카메라 모듈이 안착된 적어도 하나의 방사팔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의 자동 포커싱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방사팔에는 배큠홀이 형성되어 카메라 모듈을 강하 게 흡착 및 고정하는 안착 블록이 더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의 자동 포커싱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포커스 감지부는
    X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X축 이동 블록;
    상기 X축 이동 블록에 설치되어 Y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Y축 이동 블록;
    상기 Y축 이동 블록에 설치되어 Z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Z축 이동 블록; 및,
    상기 Z축 이동 블록에 설치된 동시에, 상기 카메라 모듈에 전기적으로 접속됨으로써, 상기 카메라 모듈의 포커스를 감지하는 프로브 유닛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의 자동 포커싱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포커스 조절부는
    X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X축 이동 블록;
    상기 X축 이동 블록에 설치되어 Y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Y축 이동 블록;
    상기 Y축 이동 블록에 설치되어 Z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Z축 이동 블록; 및,
    상기 Z축 이동 블록에 설치된 동시에 상기 카메라 모듈의 렌즈 조립체에 결합됨으로써, 상기 렌즈 조립체를 소정 방향으로 회전시켜 포커스를 조절하는 포커싱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의 자동 포커싱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포커싱부는
    상기 Z축 이동 블록에 설치된 포커싱 블록;
    상기 포커싱 블록의 일측에 결합된 모터; 및,
    상기 포커싱 블록의 타측에 결합된 동시에, 상기 모터에 벨트로 연결되고, 중앙에는 상기 렌즈 조립체에 결합될 수 있도록 통공이 형성된 회전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의 자동 포커싱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최초로 로딩된 카메라 모듈로부터 포커스 감지부에 의해 현재의 포커스 값을 얻고, 이어서 메인 포커스 조절부의 동작에 의해 카메라 모듈의 최적 포커스에 대한 렌즈 조립체의 회전 각도를 누적 저장시킴으로써, 카메라 모듈에 대한 렌즈 조립체의 최적 회전 각도가 학습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의 자동 포커싱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포커스 조절부의 상부에는 카메라 모듈이 소정 영상을 촬영할 수 있도록 소정 형태의 그림이 그려진 챠트가 더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의 자동 포커싱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덱스 테이블에 안착된 카메라 모듈은 VGA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의 자동 포커싱 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덱스 테이블의 일측에는 MEGA급 카메라 모듈의 포커스 조절시 작동되는 보조 포커스 조절부가 더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의 자동 포커싱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포커스 조절부는
    Z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Z축 이동 블록;
    상기 Z축 이동 블록에 설치되어 X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X축 이동 블록;
    상기 X축 이동 블록에 설치되어 Y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Y축 이동 블록;
    상기 Y축 이동 블록에 설치된 모터;
    상기 모터의 회전축에 결합되어 소정 각도 회전하는 회전 블록; 및,
    상기 회전 블록에 설치되어 카메라 모듈의 포커스 거리를 단축시키는 접사 렌즈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의 자동 포커싱 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포커스 조절부의 회전 블록은 MEGA급 카메라 모듈의 포커스 조절시에만 소정 각도 회전하여 상기 카메라 모듈의 상부에 위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의 자동 포커싱 장치.
KR1020050048955A 2005-06-08 2005-06-08 카메라 모듈의 자동 포커싱 장치 KR1006601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8955A KR100660145B1 (ko) 2005-06-08 2005-06-08 카메라 모듈의 자동 포커싱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8955A KR100660145B1 (ko) 2005-06-08 2005-06-08 카메라 모듈의 자동 포커싱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28087A KR20060128087A (ko) 2006-12-14
KR100660145B1 true KR100660145B1 (ko) 2006-12-21

Family

ID=377308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48955A KR100660145B1 (ko) 2005-06-08 2005-06-08 카메라 모듈의 자동 포커싱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6014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8725B1 (ko) * 2013-10-04 2015-03-03 삼성중공업(주) 턴 테이블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28087A (ko) 2006-1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09991B1 (ko) 카메라 모듈 검사 장치
JP6161022B2 (ja) 吸着ノズル検査装置
KR101425613B1 (ko) 플립칩 본딩장치 및 플립칩 본딩방법
TWI504962B (zh) 光學構件搬送裝置
JP2004311599A (ja) ノズルストッカおよび電子回路部品装着機
JP2017107083A (ja) 塗布装置、レンズ駆動モジュール組み立て装置、塗布方法
KR102461013B1 (ko) 전자부품 테스트용 핸들러 및 그 티칭점 조정 방법
US7817263B2 (en) Mounting apparatus, inspecting apparatus, inspecting method, and mounting method
EP1628493A1 (en) Camera handling system
JP6378399B2 (ja) 吸着ノズル検査装置及びその方法
KR100660145B1 (ko) 카메라 모듈의 자동 포커싱 장치
KR102633105B1 (ko) 이송툴모듈 및 그를 가지는 소자핸들러
WO2021070782A1 (ja) 電子部品の処理装置
JP2007333697A (ja) 電子部品試験装置のキャリブレーション方法
KR100670601B1 (ko) 카메라 모듈의 오픈 쇼트 테스트 장치
KR100670602B1 (ko) 카메라 모듈의 페일소팅장치 및 이를 이용한 페일소팅방법
KR101076741B1 (ko) 테스트 핸들러의 반도체 소자 비전검사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202301B1 (ko) 카메라모듈 연속 검사 및 초점 조정 장치
JP2005347412A (ja) 吸着状態検査装置、表面実装機、及び、部品試験装置
JPWO2019064609A1 (ja) 部品装着機
TWI467197B (zh) An electronic component operating unit for an image capturing device, and a working device for its application
TWI765173B (zh) 檢查裝置及檢查方法
JP2005140597A (ja) 物品認識方法及び同装置、並びに同装置を備えた表面実装機、同部品試験装置、同ディスペンサ、同実装基板検査装置及び同印刷基板検査装置
JP2019110259A (ja) プローバ
JP6616981B2 (ja) ボール検査リペア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