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59952B1 - 공작기계용 공구홀더 - Google Patents

공작기계용 공구홀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59952B1
KR100659952B1 KR1020050055578A KR20050055578A KR100659952B1 KR 100659952 B1 KR100659952 B1 KR 100659952B1 KR 1020050055578 A KR1020050055578 A KR 1020050055578A KR 20050055578 A KR20050055578 A KR 20050055578A KR 100659952 B1 KR100659952 B1 KR 1006599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ol
coupling
coupled
body member
cutting o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555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일근
Original Assignee
(주)로커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로커스 filed Critical (주)로커스
Priority to KR10200500555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5995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599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599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11/00Accessories fitted to machine tools for keeping tools or parts of the machine in good working condition or for cooling work; Safety devices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chine tools
    • B23Q11/10Arrangements for cooling or lubricating tools or w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11/00Accessories fitted to machine tools for keeping tools or parts of the machine in good working condition or for cooling work; Safety devices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chine tools
    • B23Q11/10Arrangements for cooling or lubricating tools or work
    • B23Q11/1015Arrangements for cooling or lubricating tools or work by supplying a cutting liquid through the spindle
    • B23Q11/103Rotary joints specially adapted for feeding the cutting liquid to the spind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11/00Accessories fitted to machine tools for keeping tools or parts of the machine in good working condition or for cooling work; Safety devices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chine tools
    • B23Q11/12Arrangements for cooling or lubricating parts of the machi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2231/00Details of chucks, toolholder shanks or tool shanks
    • B23B2231/24Cooling or lubrication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2250/00Compensating adverse effects during turning, boring or drilling
    • B23B2250/12Cooling and lubric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CMILLING
    • B23C2250/00Compensating adverse effects during milling
    • B23C2250/12Cooling and lubri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xiliary Devices For Machine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구의 동심도와 비틀림각이 조절됨으로써 공구의 편심운동이 제거되며, 또한 공작물의 가공지역으로 절삭유가 원활하게 공급되도록 하는 공작기계용 공구홀더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공작기계용 공구홀더는, 공작기계의 슬리브에 결합되며, 공구를 지지해 주는 제 1몸체부재 및 상기 제 1몸체부재에 결합되며, 동심도조절홀이 구비되며, 공구가 결합되는 제 2몸체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제 1몸체부재는, 공작기계의 슬리브에 결합되며, 일정한 외경과 일정한 길이를 가지는 원형단면형상의 고정결합부와, 상기 고정결합부에 결합되며, 상기 고정결합부보다 큰 외경과 일정한 두께를 가지는 원형단면형상이며, 중심으로부터 일정한 반경을 가지는 원주상에 볼트가 결합되는 복수개의 제 1볼트결합홀이 구비되는 제 1결합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 2몸체부재는, 일정한 외경과 일정한 두께를 가지는 원형단면형상이며, 상기 제 1몸체부재의 제 1결합부에 구비되어 있는 제 1볼트결합홀과 대응되는 위치에 복수개의 제 2볼트결합홀이 구비되며, 상기 제 1몸체부재의 제 1결합부에 볼트로 결합되며, 상기 제 2볼트결합홀이 위치되는 원주보다 큰 원주상에는 공구의 동심도와 비틀림각을 조절하는 동심도조절볼트가 결합되는 복수개의 동심도조절홀이 구비되며, 중심에는 공구가 결합되는 공구결합홀이 구비되는 제 2결합부와 상기 제 2결합부에 결합되며, 상기 제 2결합부보다 작은 외경과 일정한 길이를 가지는 원형단면형상이며, 중심에는 제 2결합부에 구비되어 있는 공구결합홀과 연통되는 공구결합홀이 구비되며, 외주면에는 상기 공구결합홀과 수직방향으로 연통 되는 공구고정볼트가 결합되는 복수개의 공구고정홀이 길이방향을 따라 구비되는 공구결합부를 구비하며, 또한 상기 제 1몸체부재는, 길이방향을 따라 절삭유 공급홀이 더 구비되는 고정결합부와, 상기 제 1볼트결합홀이 위치되는 원주보다 작은 원주상에 상기 고정결합부의 절삭유 공급홀과 연통되는 복수개의 절삭유 공급홀이 더 구비되는 제 1결합부를 구비하며, 제 2몸체부재는, 상기 제 1몸체부재의 제 1결합부에 결합되는 후단면의 중심에는 상기 제 2볼트결합홀과 이격되는 일정한 내경과 일정한 깊이로 파여진 절삭유 공급홈이 더 구비되며, 상기 절삭유 공급홈의 내주면에는 상기 제 1몸체부재의 제 1결합부와 씰링이 되도록 오일링이 더 구비되는 제 2결합부를 구비하며, 아울러 상기 제 2몸체부재는, 상기 제 2결합부에 구비되어 있는 공구결합홀의 중심으로부터 일정한 반경을 가지되 상기 제 2결합부에 구비되어 있는 절삭유 공급홈 내부에 위치되는 원주상에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개의 절삭유 공급홀이 더 구비된다.

Description

공작기계용 공구홀더{TOOL HOLDER FOR A MACHINE TOOLS}
도 1은 종래의 절삭유 분사장치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공작기계용 공구홀더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공작기계용 공구홀더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공작기계용 공구홀더의 공차 발생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b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공작기계용 공구홀더의 동심도 및 꺽임각 조절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에 따른 공작기계용 공구홀더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a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에 따른 공작기계용 공구홀더의 제 2 몸체부재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에 따른 공작기계용 공구홀더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a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에 따른 공작기계용 공구홀더의 제 2 몸체부 재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 예에 따른 공작기계용 공구홀더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8a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 예에 따른 공작기계용 공구홀더의 공차 발생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8b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 예에 따른 공작기계용 공구홀더의 동심도 및 꺽임각 조절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 예에 따른 공작기계용 공구홀더를 나타낸 분해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고정결합부 20 : 제 1결합부
30 : 제 1몸체부재 40 : 제 2결합부
50 : 공구고정부 60 : 제 2몸체부재
본 발명은 공작기계용 공구홀더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공구의 동심도와 비틀림각이 조절됨으로써 공구의 편심운동이 제거되며, 또한 공작물 가공시 공급되는 절삭유가 공구의 외주면을 통해 가공지역에 원활하게 공급되도록 하는 공작기계용 공구홀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작기계에서는 절삭조건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가공지역에 액체상태의 절삭유를 공급하게 된다.
절삭유는 절삭조건에 영향을 주는 중요한 인자의 하나로서 그 역할은 절삭지역에서의 온도의 감소에 따른 공구수명의 향상, 공작물의 가공 표면의 향상 등이 있으며, 특히 절삭유는 공구와 공작물 사이에서 마찰을 감소시키는 냉각 및 윤할 작용을 하며, 또한 가공지역에서 발생되는 절삭칩을 제거하는 작용을 하게 된다.
따라서, 공작물과 공구 사이에 어떠한 방법으로 절삭유를 공급하느냐에 따라 절삭조건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절삭유 분사장치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종래의 절삭유 분사장치는, 공작기계의 척(1)에 고정되어 고속으로 회전하는 공작물(3)을 절삭가공하기 위해서, 절삭공구(5)가 구비되며, 상기 절삭공구(5)로 공작물(3)을 절삭가공할 시 발생되는 고온의 마찰열을 냉각시키는 절삭유를 분출하기 위한 절삭유 분사수단을 구비하는 것으로서, 상기 절삭유 분사수단은 급유파이프(9)와 그 선단에 마련된 분사노즐(7)을 구비하여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종래의 절삭유 분사장치는, 회전하는 공작물(3)과 이를 절삭가공하는 절삭공구(5)가 접촉되는 부위를 향하여 급유파이프(9) 및 분사노즐(7)을 위치 조정한 뒤 절삭유를 분출시키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절삭유 분사장치는, 공작물(3)과 절삭공구(5)와의 접촉부위에 급유파이프(9) 및 분사노즐(7)을 위치 고정한 뒤, 절삭공구(5)의 절삭가 공 이송거리에 따라 매번 분사노즐(7) 및 급유파이프(9)의 위치를 수동으로 조절해야 하는 불편함이 따를 뿐만 아니라, 이러한 변경작업으로 인해 공작기계의 정지시간이 길어지게 되어 가공생산성이 저하되고, 공작물(3)의 원통내면 절삭가공시에는 공작물(3)을 절삭가공하는 절삭공구(5)가 상기 공작물(3)의 내면에 위치함으로써 분사노즐(7)을 통하여 분출되는 절삭유가 상기 절삭공구(5)와 공작물(3)의 접촉부위에 다다르지 못하게 된다.
이와 같이 절삭가공 부위에 절삭유 공급이 원활히 이루어지지 못함으로써, 상기 절삭공구(5)와 공작물(3) 사이에서 마찰을 감소시키는 냉각 및 윤할 작용을 못하게 되어 절삭공구(5)의 온도가 상승하여 공구수명이 저하되고, 공작물(3)의 가공절삭 표면이 매끄럽지 못하게 가공절삭 되며, 또한 가공지역에서 발생되는 절삭칩을 원활하게 제거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으며, 아울러 모든 공작기계의 기계부품에는 공차가 존재하며, 절삭공구(5) 자체도 공차가 존재한다.
이와 같은 공차가 절삭가공에 사용되는 공작기계와 절삭공구(5)에 존재하게 되면, 공작기계와 절삭공구(5) 사이에는 동심도와 비틀림각이 발생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공구홀더에는 동심도와 비틀림각을 조절할 수 있는 방법이 없었다.
이와 같이, 절삭가공에 이용되는 절삭공구(5)의 축심이, 상기 절삭공구(5)가 결합되어 있는 공구홀더가 결합된 공작기계의 슬리브의 기준축심으로부터 벗어나면 절삭공구(5)가 편심운동을 하게 되어 높은 회전 정밀도나 고속회전이 요구되는 가공물을 절삭하게 될 때에 지장을 초래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써, 공작기계의 슬리브에 결합되며, 공구를 지지해 주는 제 1몸체부재 및 상기 제 1몸체부재에 결합되며, 동심도조절홀이 구비되며, 공구가 결합되는 제 2몸체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제 1몸체부재는, 공작기계의 슬리브에 결합되며, 일정한 외경과 일정한 길이를 가지는 원형단면형상의 고정결합부와, 상기 고정결합부에 결합되며, 상기 고정결합부보다 큰 외경과 일정한 두께를 가지는 원형단면형상이며, 중심으로부터 일정한 반경을 가지는 원주상에 볼트가 결합되는 복수개의 제 1볼트결합홀이 구비되는 제 1결합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 2몸체부재는, 일정한 외경과 일정한 두께를 가지는 원형단면형상이며, 상기 제 1몸체부재의 제 1결합부에 구비되어 있는 제 1볼트결합홀과 대응되는 위치에 복수개의 제 2볼트결합홀이 구비되며, 상기 제 1몸체부재의 제 1결합부에 볼트로 결합되며, 상기 제 2볼트결합홀이 위치되는 원주보다 큰 원주상에는 공구의 동심도와 비틀림각을 조절하는 동심도조절볼트가 결합되는 복수개의 동심도조절홀이 구비되며, 중심에는 공구가 결합되는 공구결합홀이 구비되는 제 2결합부와 상기 제 2결합부에 결합되며, 상기 제 2결합부보다 작은 외경과 일정한 길이를 가지는 원형단면형상이며, 중심에는 제 2결합부에 구비되어 있는 공구결합홀과 연통되는 공구결합홀이 구비되며, 외주면에는 상기 공구결합홀과 수직방향으로 연통되는 공구고정볼트가 결합되는 복수개의 공구고정홀이 길이방향을 따라 구비되는 공구결합부를 구비하며, 또한 상기 제 1몸체부재는, 길이방향을 따라 절삭유 공급홀이 더 구비되는 고정결합부와, 상기 제 1볼트결합홀이 위치되는 원주보다 작은 원주상에 상기 고정결합부의 절삭유 공급홀과 연통되는 복수개의 절삭유 공급홀이 더 구비되는 제 1결합부를 구비하며, 제 2몸체부재는, 상기 제 1몸체부재의 제 1결합부에 결합되는 후단면의 중심에는 상기 제 2볼트결합홀과 이격되는 일정한 내경과 일정한 깊이로 파여진 절삭유 공급홈이 더 구비되며, 상기 절삭유 공급홈의 내주면에는 상기 제 1몸체부재의 제 1결합부와 씰링이 되도록 오일링이 더 구비되는 제 2결합부를 구비하며, 아울러 상기 제 2몸체부재는, 제 2결합부에 구비되어 있는 공구결합홀의 중심으로부터 일정한 반경을 가지되 상기 제 2결합부에 구비되어 있는 절삭유 공급홈 내부에 위치되는 원주상에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개의 절삭유 공급홀이 더 구비되는 공작기계용 공구홀더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구성은, 공작기계의 슬리브에 결합되며, 공구를 지지해 주는 제 1몸체부재; 및
상기 제 1몸체부재에 결합되며, 동심도조절홀이 구비되며, 공구가 결합되는 제 2몸체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제 1몸체부재는, 공작기계의 슬리브에 결합되며, 일정한 외경과 일정한 길이를 가지는 원형단면형상의 고정결합부; 상기 고정결합부에 결합되며, 상기 고정결합부보다 큰 외경과 일정한 두께를 가지는 원형단면형상이며, 중심으로부터 일정한 반경을 가지는 원주상에 볼트가 결합되는 복수개의 제 1볼트결합홀이 구비되는 제 1결합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 2몸체부재는, 일정한 외경과 일정한 두께를 가지는 원형단면형상이 며, 상기 제 1몸체부재의 제 1결합부에 구비되어 있는 제 1볼트결합홀과 대응되는 위치에 복수개의 제 2볼트결합홀이 구비되며, 상기 제 1몸체부재의 제 1결합부에 볼트로 결합되며, 상기 제 2볼트결합홀이 위치되는 원주보다 큰 원주상에는 공구의 동심도와 비틀림각을 조절하는 동심도조절볼트가 결합되는 복수개의 동심도조절홀이 구비되며, 중심에는 공구가 결합되는 공구결합홀이 구비되는 제 2결합부; 상기 제 2결합부에 결합되며, 상기 제 2결합부보다 작은 외경과 일정한 길이를 가지는 원형단면형상이며, 중심에는 제 2결합부에 구비되어 있는 공구결합홀과 연통되는 공구결합홀이 구비되며, 외주면에는 상기 공구결합홀과 수직방향으로 연통되는 공구고정볼트가 결합되는 복수개의 공구고정홀이 길이방향을 따라 구비되는 공구결합부;를 구비한다.
또한, 공작기계의 슬리브에 결합되며, 내부에는 절삭유 공급홀이 구비되며, 공구를 지지해 주는 제 1몸체부재: 및
상기 제 1몸체부재에 결합되며, 절삭유 공급홈이 구비되며, 동심도조절홀이 구비되며, 공구가 결합되는 제 2몸체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제 1몸체부재는, 공작기계의 슬리브에 결합되며, 일정한 외경과 일정한 길이를 가지는 원형단면형상이며, 길이방향을 따라 절삭유 공급홀이 구비되는 고정결합부; 상기 고정결합부에 결합되며, 상기 고정결합부보다 큰 외경과 일정한 두께를 가지는 원형단면형상이며, 중심으로부터 일정한 반경을 가지는 원주상에 볼트가 결합되는 복수개의 제 1볼트결합홀이 구비되며, 상기 제 1볼트결합홀이 위치되는 원주보다 작은 원주상에는 상기 고정결합부의 절삭유 공급홀과 연통되는 복수개의 절삭유 공급홀이 구비되는 제 1결합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 2몸체부재는, 일정한 외경과 일정한 두께를 가지는 원형단면형상이며, 상기 제 1몸체부재의 제 1결합부에 후단면이 결합되며, 상기 제 1몸체부재의 제 1결합부에 구비되어 있는 제 1볼트결합홀과 대응되는 위치에 복수개의 제 2볼트결합홀이 구비되며, 상기 제 2볼트결합홀이 위치되는 원주보다 큰 원주상에는 공구의 동심도와 비틀림각을 조절하는 동심도조절볼트가 결합되는 복수개의 동심도조절홀이 구비되며, 상기 후단면의 중심에는 상기 제 2볼트결합홀과 이격되는 일정한 내경과 일정한 깊이로 파여진 절삭유 공급홈이 구비되며, 상기 절삭유 공급홈의 중심에는 공구가 결합되는 공구결합홀이 구비되며, 상기 절삭유 공급홈의 내주면에는 상기 제 1몸체부재의 제 1결합부와 씰링이 되도록 오일링이 구비되는 제 2결합부; 상기 제 2결합부의 전단면에 결합되며, 상기 제 2결합부보다 작은 외경과 일정한 길이를 가지는 원형단면형상이며, 중심에는 제 2결합부에 구비되어 있는 공구결합홀과 연통되는 공구결합홀이 구비되며, 외주면에는 상기 공구결합홀과 수직방향으로 연통되는 공구고정볼트가 결합되는 복수개의 공구고정홀이 길이방향을 따라 구비되는 공구결합부;를 구비한다.
이하,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이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이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 발명의 목적, 작용, 효과를 포함하여 기타 다른 목적들, 특징점들, 그리고 동작상의 이점들이 바람직한 실시예의 설명에 의해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참고로, 여기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는 여러가지 실시가능한 예중에서 당업자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선정하여 제시한 것일 뿐, 이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화와 부가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 균등한 타의 실시예가 가능함을 밝혀 둔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공작기계용 공구홀더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공작기계용 공구홀더의 구성은,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공작기계의 슬리브(200)에 결합되며, 공구(150)를 지지해 주는 제 1몸체부재(30); 및 상기 제 1몸체부재(30)에 결합되며, 동심도조절홀(45)이 구비되며, 공구(150)가 결합되는 제 2몸체부재(60);를 포함하되,
상기 제 1몸체부재(30)는, 공작기계의 슬리브(200)에 결합되며, 일정한 외경과 일정한 길이를 가지는 원형단면형상의 고정결합부(10); 상기 고정결합부(10)에 결합되며, 상기 고정결합부(10)보다 큰 외경과 일정한 두께를 가지는 원형단면형상이며, 중심으로부터 일정한 반경을 가지는 원주상에 볼트(110)가 결합되는 복수개의 제 1볼트결합홀(24)이 구비되는 제 1결합부(20);를 구비하며,
상기 제 2몸체부재(60)는, 일정한 외경과 일정한 두께를 가지는 원형단면형상이며, 상기 제 1몸체부재(30)의 제 1결합부(20)에 구비되어 있는 제 1볼트결합홀(24)과 대응되는 위치에 복수개의 제 2볼트결합홀(44)이 구비되며, 상기 제 1몸체부재(30)의 제 1결합부(20)에 볼트(110)로 결합되며, 상기 제 2볼트결합홀(44)이 위치되는 원주보다 큰 원주상에는 공구(150)의 동심도와 비틀림각을 조절하는 동심 도조절볼트(120)가 결합되는 복수개의 동심도조절홀(45)이 구비되며, 중심에는 공구(150)가 결합되는 공구결합홀(47)이 구비되는 제 2결합부(40); 상기 제 2결합부(40)에 결합되며, 상기 제 2결합부(40)보다 작은 외경과 일정한 길이를 가지는 원형단면형상이며, 중심에는 제 2결합부(40)에 구비되어 있는 공구결합홀(47)과 연통되는 공구결합홀(57)이 구비되며, 외주면에는 상기 공구결합홀(57)과 수직방향으로 연통되는 공구고정볼트(130)가 결합되는 복수개의 공구고정홀(56)이 길이방향을 따라 구비되는 공구결합부(50);를 구비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공작기계용 공구홀더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공작기계용 공구홀더의 또 다른 구성은,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공작기계의 슬리브(200a)에 결합되며, 내부에는 절삭유 공급홀(11a)이 구비되며, 공구(160a)를 지지해 주는 제 1몸체부재(30a): 및 상기 제 1몸체부재(30a)에 결합되며, 절삭유 공급홈(43a)이 구비되며, 동심도조절홀(45a)이 구비되며, 공구(160a)가 결합되는 제 2몸체부재(60a);를 포함하되,
상기 제 1몸체부재(30a)는, 공작기계의 슬리브(200a)에 결합되며, 일정한 외경과 일정한 길이를 가지는 원형단면형상이며, 길이방향을 따라 절삭유 공급홀(11a)이 구비되는 고정결합부(10a); 상기 고정결합부(10a)에 결합되며, 상기 고정결합부(10a)보다 큰 외경과 일정한 두께를 가지는 원형단면형상이며, 중심으로부터 일정한 반경을 가지는 원주상에 볼트(110a)가 결합되는 복수개의 제 1볼트결합홀(24a)이 구비되며, 상기 제 1볼트결합홀(24a)이 위치되는 원주보다 작은 원주상에 는 상기 고정결합부(10a)의 절삭유 공급홀(11a)과 연통되는 복수개의 절삭유 공급홀(21a)이 구비되는 제 1결합부(20a);를 구비하며,
상기 제 2몸체부재(60a)는, 일정한 외경과 일정한 두께를 가지는 원형단면형상이며, 상기 제 1몸체부재(30a)의 제 1결합부(20a)에 후단면이 결합되며, 상기 제 1몸체부재(30a)의 제 1결합부(20a)에 구비되어 있는 제 1볼트결합홀(24a)과 대응되는 위치에 복수개의 제 2볼트결합홀(44a) 구비되며, 상기 제 2볼트결합홀(44a)이 위치되는 원주보다 큰 원주상에는 공구(1600a)의 동심도와 비틀림각을 조절하는 동심도조절볼트(120a)가 결합되는 복수개의 동심도조절홀(45a)이 구비되며, 상기 후단면의 중심에는 상기 제 2볼트결합홀(44a)과 이격되는 일정한 내경과 일정한 깊이로 파여진 절삭유 공급홈(43a)이 구비되며, 상기 절삭유 공급홈(43a)의 중심에는 공구(160a)가 결합되는 공구결합홀(47a)이 구비되며, 상기 절삭유 공급홈(43a)의 내주면에는 상기 제 1몸체부재(30a)의 제 1결합부(20a)와 씰링이 되도록 오일링(42a)이 구비되는 제 2결합부(40a); 상기 제 2결합부(40a)의 전단면에 결합되며, 상기 제 2결합부(40a)보다 작은 외경과 일정한 길이를 가지는 원형단면형상이며, 중심에는 제 2결합부(40a)에 구비되어 있는 공구결합홀(47a)과 연통되는 공구결합홀(57a)이 구비되며, 외주면에는 상기 공구결합홀(57a)과 수직방향으로 연통되는 공구고정볼트(130a)가 결합되는 복수개의 공구고정홀(56a)이 길이방향을 따라 구비되는 공구결합부(50a);를 구비한다.
상기 제 1결합부(20a)에 구비되어 있는 절삭유 공급홀(21a)은, 상기 고정결합부(10a)에 구비되어 있는 절삭유 공급홀(11a)과 40°내지 45°의 각으로 경사지 게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에 따른 공작기계용 공구홀더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5a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에 따른 공작기계용 공구홀더의 제 2 몸체부재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에 따른 공작기계용 공구홀더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6a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에 따른 공작기계용 공구홀더의 제 2 몸체부재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상기 제 2몸체부재(60a)는, 도 5 내지 도 6a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제 2결합부(40b)에 구비되어 있는 공구결합홀(47b)의 중심으로부터 일정한 반경을 가지되 상기 제 2결합부(40b)에 구비되어 있는 절삭유 공급홈(47b) 내부에 위치되는 원주상에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개의 절삭유 공급홀(41b,51b)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 예에 따른 공작기계용 공구홀더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상기 제 2몸체부재(60b)의 공구결합부(50b)의 전단면에는, 도 7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일정한 외경과 일정한 두께를 가지는 원형단면형상이며, 후단면의 중심에는 일정한 내경과 일정한 깊이로 파여진 절삭유 공급홈(73c)이 형성되며, 상기 절삭유 공급홈(73c)의 중심에는 공구(180c)가 결합되는 공구결합홀(77c)이 구비되는 캡부재(70c)의 후단면이 결합되되, 상기 캡부재(70c)는 상기 절삭유 공급홈(73c)의 내경보다 큰 원주상에 볼트(140c)가 결합되는 복수개의 볼트고정홀(78c)이 구비되고, 상기 제 2몸체부재(60c)의 공구결합부(50c)의 전단면에는 상기 캡부재 (70c)의 볼트 고정홀(78c)과 대응되는 위치에 볼트 고정홈(59c)이 구비되어 볼트(140c)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캡부재(70c)에 구비되어 있는 절삭유 공급홈(73c)의 내부는, 상기 제 2몸체부재(60c)에 구비되어 있는 복수개의 절삭유 공급홀(41c,51c)에서 분출되는 절삭유가 상기 캡부재(70c)에 구비되어 있는 공구결합홀(77c)로 모아질 수 있도록 테이퍼부(300c)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공작기계용 공구홀더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도 3에 도시된 도면을 가지고 설명을 하면, 일정한 외경과 일정한 길이를 가지는 원형단면형상의 고정결합부(10a)의 일단면에 상기 고정결합부(10a)보다 큰 외경과 일정한 두께를 가지는 원형단면형상의 제 1결합부(20a)가 결합되어 제 1몸체부재(30a)를 이룬다.
상기 고정결합부(10a)는 외주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한 두께만큼 절단된 절단면(310a)이 구비되고, 내부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절삭유 공급홀(11a)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고정결합부(10a)에 구비되어 있는 절단면(310a)은 상기 고정결합부(10a)가 공작기계의 슬리브(200a)에 결합되면 상기 슬리브(200a)에 구비되어 있는 홀(220a)에 무두렌치볼트(210a)가 결합되어 상기 무두렌치볼트(210a)의 인위적인 압력에 의해 상기 슬리브(200a)에 고정결합되는 부분이다.
상기 고정결합부(10a)의 타단면에 결합되는 절삭유공급모터(미도시)의 작동 에 의해 분출되는 절삭유를 공급시키는 절삭유공급부재(230a)에 의해 상기 절삭유가 상기 고정결합부(10a)에 구비되어 있는 절삭유 공급홀(11a)로 공급되게 된다.
상기 제 1결합부(20a)는 중심으로부터 일정한 반경을 가지는 원주상에 볼트(110a)가 결합되는 복수개의 제 1볼트결합홀(24a)이 구비되며, 상기 제 1볼트결합홀(24a)이 위치되는 원주보다 작은 원주상에는 상기 고정결합부(10a)에 구비되어 있는 절삭유 공급홀(11a)과 연통되는 복수개의 절삭유 공급홀(21a)이 구비된다.
상기 제 1결합부(20a)에 구비되어 있는 절삭유 공급홀(21a)은 상기 고정결합부(10a)에 구비되어 있는 절삭유 공급홀(11a)을 통해 공급되는 절삭유가 내압이 형성되어 강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40°내지 45°의 각으로 경사지게 연통된다.
일정한 외경과 일정한 두께를 가지는 원형단면형상의 제 2결합부(40a)의 전단면에 상기 제 2결합부(40a)보다 작은 외경과 일정한 길이를 가지는 원형단면형상의 공구결합부(50a)가 결합되어 제 2몸체부재(60a)를 이룬다.
상기 제 2볼트결합홀(44a)이 위치되는 원주보다 큰 원주상에는 공구(160a)의 동심도와 비틀림각을 조절하는 동심도조절볼트(120a)가 결합되는 복수개의 동심도조절홀(45a)이 구비된다.
상기 제 2결합부(40a)의 후단면의 중심에는 상기 제 2볼트결합홀(44a)과 이격되는 일정한 내경과 일정한 깊이로 파여진 절삭유 공급홈(43a)이 구비된다.
상기 제 2결합부(40a)에 구비되어 있는 절삭유 공급홈(43a)은 상기 제 1결합부(20a)에 구비되어 있는 복수개의 절삭유 공급홀(21a)에서 분출되는 절삭유가 내포될 수 있는 내경을 가진다.
상기 절삭유 공급홈(43a)의 중심에는 공구(160a)가 결합되는 공구결합홀(47a)이 구비된다.
상기 절삭유 공급홈(43a)의 내주면에는 상기 제 1몸체부재(30a)의 제 1결합부(20a)와 씰링이 되도록 오일링(42a)이 구비된다.
상기 제 1결합부(20a)와 제 2결합부(40a)에는 상기 제 2결합부(40a)에 구비되어 있는 절삭유 공급홈(43a)의 내경보다 큰 원주상에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복수개의 볼트 고정홀(24a,44a)이 구비되어 볼트(110a)로 결합된다.
상기 제 1결합부(20a)에 제 2결합부(40a)가 결합되면 상기 제 1결합부(20a)의 전단면에 상기 오일링(42a)이 접촉됨으로써 상기 제 2결합부(40a)에 구비되어 있는 절삭유 공급홈(43a)의 내부에 모이는 절삭유가 외부로 누출되는 것이 방지된다.
상기 공구결합부(50a)의 중심에는 상기 제 2결합부(40a)에 구비되어 있는 공구결합홀(47a)과 연통되는 공구결합홀(57a)이 구비된다.
절삭가공에 사용되는 공구(160a)는 상기 제 2몸체부재(60a)에 구비되어 있는 공구결합홀(47a,57a)을 통과하여 상기 제 1몸체부재(30a)의 제 1결합부(20a)의 단면에 접촉 지지되어 결합된다.
상기 공구결합부(50a)의 외주면에는 상기 공구결합부(50a)에 구비되어 있는 공구결합홀(57a)과 수직방향으로 연통되는 공구고정볼트(130a)가 결합되는 복수개의 공구고정홀(56a)이 길이방향을 따라 구비된다.
상기 공구결합부(50a)에 구비되어 있는 공구고정홀(57a)에는 공구고정볼트 (130a)가 결합되어 공구결합홀(57a)을 통해 결합되는 공구(160a)가 절삭가공시 회전하지 못하도록 상기 공구(160a)를 고정시킨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공작기계용 공구홀더(100a)는 먼저 가공하고자 하는 공작물(250a)을 척(270a)에 고정시킨 후 상기 공작기계용 공구홀더(100a)에 고정된 공구(160a)를 이동하여 척(270a)에 고정되어 회전하고 있는 공작물(250a)의 내주면에 접촉시키어 공작물(250a)의 내경을 가공하게 된다.
공작물(250a)의 절삭가공이 시작되면 절삭유공급모터(미도시)의 작동에 의해 절삭유를 공급시키는 절삭유공급부재(230a)로부터 절삭유가 공급되기 시작하여, 상기 절삭유공급부재(230a)가 결합되어 있는 고정결합부(10a)의 절삭유 공급홀(11a)로 상기 절삭유가 유입이되고, 이렇게 유입된 절삭유는 상기 절삭유 공급홀(11a)과 경사지게 연통되어 있는 제 1결합부(20a)의 절삭유 공급홀(21a)로 공급된다.
이와 같이 고정결합부(10a)에 구비되어 있는 절삭유 공급홀(11a)로 공급되는 절삭유는 상기 제 1결합부(20a)에 구비되어 있는 절삭유 공급홀(21a)을 통해 상기 제 1몸체부재(30a)의 제 1결합부(20a)와 결합되는 제 2몸체부재(60a)의 제 2결합부(40a)의 후단면에 구비되어 있는 절삭유 공급홈(43a)의 내부로 분사된다.
상기 제 2결합부(40a)에 구비되어 있는 절삭유 공급홈(43a)의 내부로 분사되어 모이는 절삭유는 상기 절삭유 공급홈(43a)의 내주면에 구비되어 있는 오일링(42a)에 의해 상기 제 1결합부(20a)와 제 2결합부(40a)가 씰링이 됨으로써 상기 절삭유는 외부로 유출되지 않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제 2결합부(40a)에 구비되어 있는 절삭유 공급홈(43a)의 내 부에 모이게 되는 절삭유는 공구(160a) 자체에 구비되어 있는 절삭유 공급유로(161a)를 통해 공작물(250a) 가공지역으로 공급이 되게 된다.
그러나 모든 공작기계의 기계부품에는 공차가 존재하며, 공구(160a) 자체도 공차가 존재한다.
도 4a와 도 4b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공작기계의 슬리브(200a)와 공구(160a)의 공차가 확인되면 제 2몸체부재(60a)의 제 2결합부(40a)에 상하, 좌우에 구비되어 있는 동심도조절홀(45a)에 동심도조절볼트(120a)를 결합한 후 상기 동심도조절볼트(120a)를 이용하여 공차를 줄여간다.
상기 동심도조절볼트(120a)는 제 1몸체부재(30a)의 제 1결합부(20a)의 단면에 상하, 좌우로 각각이 상이하게 접촉됨으로써 공차가 줄어들게 된다.
이와 같이 동심도조절홀(45a)에 결합되어 있는 동심도조절볼트(120a)에 의해 상기 슬리브(200a)와 공구(160a)의 공차가 줄어들어 공구(160a)의 동심도와 비틀림각이 조절된다.
이와 같이, 공작기계의 슬리브(200a)와 공구(160a)의 공차가 상기 동심도조절홀(45a)에 결합되어 있는 동심도조절볼트(120a)에 의해 줄어들면, 상기 공구(160a)의 동심도와 비틀림각이 조절되어 편심운동이 발생되지 않음으로써 높은 회전 정밀도나 고속회전이 요구되는 가공물(250a)을 절삭하게 되더라도 보다 정밀한 가공이 가능해진다.
또 다른 실시 예로, 도 7과 도 9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절삭가공시 자체 내부에 절삭유 공급유로가 없는 공구(180c)가 사용되더라도 절삭유의 원활한 공급이 가능하도록 상기 제 2몸체부재(60c)는 상기 제 2몸체부재(60)의 제 2결합부(40c)에 구비되어 있는 공구결합홀(47c)의 중심으로부터 일정한 반경을 가지되 상기 제 2결합부(40c)에 구비되어 있는 절삭유 공급홈(43c) 내부에 위치되는 원주상에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개의 절삭유 공급홀(41c,51c)이 더 구비된다.
또한, 일정한 외경과 일정한 두께를 가지는 원형단면형상이며, 후단면의 중심에는 일정한 내경과 일정한 깊이로 파여진 절삭유 공급홈(73c)이 형성되며, 상기 절삭유 공급홈(73c)의 중심에는 공구(180c)가 결합되는 공구결합홀(77c)이 구비되는 캡부재(70c)가 더 구비된다.
상기 캡부재(70c)에 구비되어 있는 절삭유 공급홈(73c))은 상기 제 2몸체부재(60c)에 구비되어 있는 복수개의 절삭유 공급홀(41c,51c))에서 분출되는 절삭유가 내포될 수 있는 내경으로 한다.
상기 캡부재(70c)는 상기 절삭유 공급홈(73c)의 내경보다 큰 원주상에 볼트(140c)가 결합되는 복수개의 볼트고정홀(78c)이 구비되고, 상기 재 2몸체부재(60c)의 공구결합부(50c)의 전단면에는 상기 캡부재(70c)에 구비되어 있는 볼트고정홀(78c)과 대응되는 위치에 볼트고정홈(59c)이 구비되어 있어 상기 캡부재(70c)의 후단면이 상기 공구결합부(50c)의 전단면에 볼트(140c)로 결합된다.
상기 캡부재(70c)에 구비되어 있는 절삭유 공급홈(73c)의 내부는 상기 제 2몸체부재(60c)에 구비되어 있는 복수개의 절삭유 공급홀(41c,51c)에서 분출되는 절삭유가 상기 캡부재(70c)에 구비되어 있는 공구결합홀(77c)로 모아질 수 있도록 테이퍼부(300c)가 형성된다.
상기 제 2몸체부재(60c)에 구비되어 있는 절삭유 공급홀(77c)은 상기 제 1몸체부재(30c)의 제 1결합부(20c)에 구비되어 있는 절삭유 공급홀(21c)에서 분출되는 절삭유가 상기 제 2몸체부재(60c)의 제 2결합부(40c)에 구비되어 있는 절삭유 공급홈(43c)의 내부에 모이게 되어 압이 발생되면 상기 절삭유가 외부로 원활하게 배출되도록 복수개 이상이 구비된다.
상기 제 2몸체부재(60c)의 공구결합부(50c)에 구비되어 있는 공구고정홀(56c)은 상기 제 2몸체부재(60c)에 구비되어 있는 절삭유 공급홀(51c)과는 수직방향으로 연통되지 않도록 구비된다.
상기 제 2몸체부재(60c)에 구비되어 있는 공구결합홀(47c,57c)과 상기 캡부재(70c)에 구비되어 있는 공구결합홀(77c)은 공구(180c)의 외경에 따라 상기 제 2몸체부재(60c)와 상기 캡부재(70c)에 구비되어 있는 공구결합홀(47c,57c,77c)의 내경이 달라지게 된다.
상기 공구(180c)의 외경이 커지면 도 6과 도 6a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제 2몸체부재(60b)에 구비되어 있는 공구결합홀(47b,57b)은 상기 제 2몸체부재(60b)에 구비되어 있는 절삭유 공급홀(41b,51b)의 일부를 포함한 상태로 구비된다.
이와 같이 제 2몸체부재(60c)에 절삭유 공급홀(41c,51c)이 더 구비되고, 캡부재(70c)가 더 구비되는 공작기계용 공구홀더(100c)는 제 1몸체부재(30c)의 제 1결합부(20c)에 구비되어 있는 절삭유 공급홀(21c)에서 분출되는 절삭유가 상기 제 1몸체부재(30c)의 제 1결합부(20c)와 결합되는 제 2몸체부재(60c)의 제 2결합부 (40c)의 후단면에 형성되어 있는 절삭유 공급홈(43c)의 내부에 모이게 된다.
상기 제 2몸체부재(60c)의 제 2결합부(40c)에 구비되어 있는 절삭유 공급홈(43c)의 내부로 모인 절삭유는 상기 절삭유 공급홈(43c)의 내부에 구비되어 있는 공구결합홀(47c,57c)과 절삭유 공급홀(41c,51c)로 공급된다.
또한, 상기 공구결합홀(47c,57c)에는 공구(180c)가 삽입되어 있음으로써 상기 절삭유는 상기 공구(180c)의 외주면을 따라서 공작물(250c) 가공지역으로 공급이 된다.
상기 제 2몸체부재(60c)에 구비되어 있는 공구결합홀(47c,57c))과 절삭유 공급홀(41c,51c) 및 상기 공구결합홀(47c,57c)에 결합되어 있는 공구(180c)를 통해 유입된 절삭유는 캡부재(70c)의 후단면에 구비되어 있는 절삭유 공급홈(73c)의 내부에 모이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캡부재(70c)에 구비되어 있는 절삭유 공급홈(73c)의 내부에 모인 절삭유는 상기 절삭유 공급홈(73c)의 내부에 형성되어 있는 테이퍼부(300c)에 의해 공구(180c)의 외주면과 상기 공구(180c)가 결합되어 있는 캡부재(70c)의 공구결합홀(77c)을 통해서 공작물(250c) 가공지역으로 상기 절삭유가 충분히 분출될 뿐만 아니라 상기 공작물(250c)의 내주면을 향해서 원활히 분출되게 된다.
따라서, 공작물(250c)의 가공지역으로 공급되는 절삭유는 가공지역에서 절삭온도를 감소시킴으로써 절삭가공의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고 공구(180c) 수명을 연장할 수 있으며, 또한 절삭가공시에 공작물(250c)에서 나오는 절삭칩의 제거도 용이해진다.
아울러 도 8a 도 8b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공작기계의 슬리브(200c)와 공구(180c)의 공차가 확인되면 제 2몸체부재(60c)의 제 2결합부(40c)에 상하, 좌우에 구비되어 있는 동심도조절홀(45c)에 동심도조절볼트(120c)를 결합한 후 상기 동심도조절볼트(120c)를 이용하여 공차를 줄여 상기 공구(180c)의 동심도와 비틀림각을 조절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작기계용 공구홀더는 공구의 동심도와 비틀림각을 조절하기 위한 동심도조절홀을 제 2몸체부재의 제 2결합부에 상하, 좌우에 구비하여 상기 동심도조절홀에 동심도조절볼트를 결합한 후 상기 동심도조절볼트의 조작으로 공차를 줄임으로써 공구의 동심도와 비틀림각이 조절되어 공구의 편심운동이 제거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또한 공작기계용 공구홀더의 내부에 절삭유 공급유로를 형성하여 공작물의 가공지역으로 절삭유를 원활하게 공급함으로써, 공작물 가공지역의 절삭온도가 감소되어 절삭가공의 정밀도가 향상되고, 공구수명이 연장되며, 또한 절삭가공시에 공작물에서 배출되는 절삭칩의 제거도 용이해지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Claims (6)

  1. 공작기계의 슬리브에 결합되며, 공구를 지지해 주는 제 1몸체부재; 및
    상기 제 1몸체부재에 결합되며, 동심도조절홀이 구비되며, 공구가 결합되는 제 2몸체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제 1몸체부재는,
    공작기계의 슬리브에 결합되며, 일정한 외경과 일정한 길이를 가지는 원형단면형상의 고정결합부;
    상기 고정결합부에 결합되며, 상기 고정결합부보다 큰 외경과 일정한 두께를 가지는 원형단면형상이며, 중심으로부터 일정한 반경을 가지는 원주상에 볼트가 결합되는 복수개의 제 1볼트결합홀이 구비되는 제 1결합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 2몸체부재는,
    일정한 외경과 일정한 두께를 가지는 원형단면형상이며, 상기 제 1몸체부재의 제 1결합부에 구비되어 있는 제 1볼트결합홀과 대응되는 위치에 복수개의 제 2볼트결합홀이 구비되며, 상기 제 1몸체부재의 제 1결합부에 볼트로 결합되며, 상기 제 2볼트결합홀이 위치되는 원주보다 큰 원주상에는 공구의 동심도와 비틀림각을 조절하는 동심도조절볼트가 결합되는 복수개의 동심도조절홀이 구비되며, 중심에는 공구가 결합되는 공구결합홀이 구비되는 제 2결합부;
    상기 제 2결합부에 결합되며, 상기 제 2결합부보다 작은 외경과 일정한 길이를 가지는 원형단면형상이며, 중심에는 제 2결합부에 구비되어 있는 공구결합홀과 연통되는 공구결합홀이 구비되며, 외주면에는 상기 공구결합홀과 수직방향으로 연통되는 공구고정볼트가 결합되는 복수개의 공구고정홀이 길이방향을 따라 구비되는 공구결합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작기계용 공구홀더.
  2. 공작기계의 슬리브에 결합되며, 내부에는 절삭유 공급홀이 구비되며, 공구를 지지해 주는 제 1몸체부재: 및
    상기 제 1몸체부재에 결합되며, 절삭유 공급홈이 구비되며, 동심도조절홀이 구비되며, 공구가 결합되는 제 2몸체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제 1몸체부재는,
    공작기계의 슬리브에 결합되며, 일정한 외경과 일정한 길이를 가지는 원형단면형상이며, 길이방향을 따라 절삭유 공급홀이 구비되는 고정결합부;
    상기 고정결합부에 결합되며, 상기 고정결합부보다 큰 외경과 일정한 두께를 가지는 원형단면형상이며, 중심으로부터 일정한 반경을 가지는 원주상에 볼트가 결합되는 복수개의 제 1볼트결합홀이 구비되며, 상기 제 1볼트결합홀이 위치되는 원주보다 작은 원주상에는 상기 고정결합부의 절삭유 공급홀과 연통되는 복수개의 절삭유 공급홀이 구비되는 제 1결합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 2몸체부재는,
    일정한 외경과 일정한 두께를 가지는 원형단면형상이며, 상기 제 1몸체부재의 제 1결합부에 후단면이 결합되며, 상기 제 1몸체부재의 제 1결합부에 구비되어 있는 제 1볼트결합홀과 대응되는 위치에 복수개의 제 2볼트결합홀이 구비되며, 상 기 제 2볼트결합홀이 위치되는 원주보다 큰 원주상에는 공구의 동심도와 비틀림각을 조절하는 동심도조절볼트가 결합되는 복수개의 동심도조절홀이 구비되며, 상기 후단면의 중심에는 상기 제 2볼트결합홀과 이격되는 일정한 내경과 일정한 깊이로 파여진 절삭유 공급홈이 구비되며, 상기 절삭유 공급홈의 중심에는 공구가 결합되는 공구결합홀이 구비되며, 상기 절삭유 공급홈의 내주면에는 상기 제 1몸체부재의 제 1결합부와 씰링이 되도록 오일링이 구비되는 제 2결합부;
    상기 제 2결합부의 전단면에 결합되며, 상기 제 2결합부보다 작은 외경과 일정한 길이를 가지는 원형단면형상이며, 중심에는 제 2결합부에 구비되어 있는 공구결합홀과 연통되는 공구결합홀이 구비되며, 외주면에는 상기 공구결합홀과 수직방향으로 연통되는 공구고정볼트가 결합되는 복수개의 공구고정홀이 길이방향을 따라 구비되는 공구결합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작기계용 공구홀더.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결합부에 구비되어 있는 절삭유 공급홀은,
    상기 고정결합부에 구비되어 있는 절삭유 공급홀과 40°내지 45°의 각으로 경사지게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작기계용 공구홀더.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 2몸체부재는,
    제 2결합부에 구비되어 있는 공구결합홀의 중심으로부터 일정한 반경을 가지 되 상기 제 2결합부에 구비되어 있는 절삭유 공급홈 내부에 위치되는 원주상에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개의 절삭유 공급홀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작기계용 공구홀더.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 2몸체부재의 공구결합부의 전단면에는,
    일정한 외경과 일정한 두께를 가지는 원형단면형상이며, 후단면의 중심에는 일정한 내경과 일정한 깊이로 파여진 절삭유 공급홈이 형성되며, 상기 절삭유 공급홈의 중심에는 공구가 결합되는 공구결합홀이 구비되는 캡부재의 후단면이 결합되되,
    상기 캡부재는 상기 절삭유 공급홈의 내경보다 큰 원주상에 볼트가 결합되는 복수개의 볼트고정홀이 구비되고, 상기 제 2몸체부재의 공구결합부의 전단면에는 상기 캡부재의 볼트 고정홀과 대응되는 위치에 볼트 고정홈이 구비되어 볼트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작기계용 공구홀더.
  6. 제 4항과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캡부재에 구비되어 있는 절삭유 공급홈의 내부는,
    상기 제 2몸체부재에 구비되어 있는 복수개의 절삭유 공급홀에서 분출되는 절삭유가 상기 캡부재에 구비되어 있는 공구결합홀로 모아질 수 있도록 테이퍼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작기계용 공구홀더.
KR1020050055578A 2005-06-27 2005-06-27 공작기계용 공구홀더 KR1006599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55578A KR100659952B1 (ko) 2005-06-27 2005-06-27 공작기계용 공구홀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55578A KR100659952B1 (ko) 2005-06-27 2005-06-27 공작기계용 공구홀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59952B1 true KR100659952B1 (ko) 2006-12-22

Family

ID=378150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55578A KR100659952B1 (ko) 2005-06-27 2005-06-27 공작기계용 공구홀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59952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0955B1 (ko) * 2010-09-13 2011-06-16 김흥섭 터렛용 공구홀더
KR101050411B1 (ko) * 2010-09-13 2011-07-19 김흥섭 터렛용 공구홀더
WO2012036404A2 (ko) * 2010-09-13 2012-03-22 Kim Hung Sub 터렛용 공구홀더
CN103286335A (zh) * 2013-06-27 2013-09-11 湖南长重机器股份有限公司 一种车床卡盘用卡件位置方向调整装置
KR200477967Y1 (ko) 2013-09-03 2015-08-11 굿-텍 컴퍼니 리미티드 진동 방지 성능 및 윤활 기능이 있는 기계가공 공구 고정구
CN112757025A (zh) * 2021-01-27 2021-05-07 玉环图远机电有限公司 一种机床多头动力装置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0955B1 (ko) * 2010-09-13 2011-06-16 김흥섭 터렛용 공구홀더
KR101050411B1 (ko) * 2010-09-13 2011-07-19 김흥섭 터렛용 공구홀더
WO2012036404A2 (ko) * 2010-09-13 2012-03-22 Kim Hung Sub 터렛용 공구홀더
WO2012036404A3 (ko) * 2010-09-13 2012-05-31 Kim Hung Sub 터렛용 공구홀더
CN103286335A (zh) * 2013-06-27 2013-09-11 湖南长重机器股份有限公司 一种车床卡盘用卡件位置方向调整装置
CN103286335B (zh) * 2013-06-27 2016-01-20 湖南长重机器股份有限公司 一种车床卡盘用卡件位置方向调整装置
KR200477967Y1 (ko) 2013-09-03 2015-08-11 굿-텍 컴퍼니 리미티드 진동 방지 성능 및 윤활 기능이 있는 기계가공 공구 고정구
CN112757025A (zh) * 2021-01-27 2021-05-07 玉环图远机电有限公司 一种机床多头动力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59952B1 (ko) 공작기계용 공구홀더
KR200145569Y1 (ko) 공구에의 유체공급장치
JP5519616B2 (ja) 回転切削用インサートアセンブリ及びその使用方法
US3874808A (en) Drill bushing
CN1193861C (zh) 机床的主轴装置
JP3842300B2 (ja) 雌ネジ切り工具
JP3549194B2 (ja) 工作加工方法およびそれに用いる霧状体供給装置
US7290965B2 (en) Tool, method, and apparatus for removing burrs from bores
RU2102194C1 (ru) Узел резцедержателя
KR101361023B1 (ko) 샤프트 공구와 연결편 사이의 인터페이스
JPWO2019186658A1 (ja) 摩擦攪拌接合用工具及び摩擦攪拌接合装置
US5775853A (en) Machining method and multi-function tool
JPH10225814A (ja) 切削加工方法
JP2010142889A (ja) 工具保持具、工具保持具用切削液供給プレート及び切削加工方法
US4475853A (en) Rotary tool and guide
JP2008221400A (ja) 切削加工装置
US7357607B2 (en) Tool holder
GB2266676A (en) Tool-holder with coolant groove
KR102217335B1 (ko) 건드릴 머신의 숏드릴 연결구조
JP2005034964A (ja) 工具ホルダ
JP4335343B2 (ja) 主軸台移動形自動旋盤用ガイドブッシュ潤滑装置
JPH0751905A (ja) 丸チップ回転バイト
JP2007000976A (ja) 複合工具
TW200936278A (en) Cutting tool
CN218694452U (zh) 一种小口径身管高精度膛线拉削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1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1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12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