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59508B1 - 연마기 - Google Patents

연마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59508B1
KR100659508B1 KR1020060023159A KR20060023159A KR100659508B1 KR 100659508 B1 KR100659508 B1 KR 100659508B1 KR 1020060023159 A KR1020060023159 A KR 1020060023159A KR 20060023159 A KR20060023159 A KR 20060023159A KR 100659508 B1 KR100659508 B1 KR 1006595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ishing
wheel
polishing wheel
case
du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231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종일
Original Assignee
(주)한보월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한보월드 filed Critical (주)한보월드
Priority to KR10200600231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5950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595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595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7/00Machines or devices designed for grinding plane surfaces on work, including polishing plane glass surfaces; Accessories therefor
    • B24B7/10Single-purpose machines or devices
    • B24B7/18Single-purpose machines or devices for grinding floorings, walls, ceilings or the like
    • B24B7/186Single-purpose machines or devices for grinding floorings, walls, ceilings or the like with disc-type too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23/00Portable grinding machines, e.g. hand-guided; Accessories therefor
    • B24B23/02Portable grinding machines, e.g. hand-guided; Accessories therefor with rotating grinding tools; Accessorie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27/00Other grinding machines or devices
    • B24B27/0007Movable mach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27/00Other grinding machines or devices
    • B24B27/0076Other grinding machines or devices grinding machines comprising two or more grinding too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55/00Safety devices for grinding or polishing machines; Accessories fitted to grinding or polishing machines for keeping tools or parts of the machine in good working condition
    • B24B55/06Dust extraction equipment on grinding or polishing mach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rinding-Machine Dressing And Accessory Apparatuses (AREA)
  • Finish Polishing, Edge Sharpening, And Grinding By Specific Grind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연마기에 관한 것으로 그 주요 구성은 케이스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모터의 구동에 따라 구동되어 연마하고자 하는 연마면과 면접촉을 이루면서 상기 연마면을 연마하는 제1연마휠;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상기 제1연마휠과 이격져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모터의 구동에 따라 구동을 하되, 상기 제1연마휠의 회전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을 하면서 연마하고자 하는 연마면과 면접촉을 하여 상기 연마면을 연마하도록 하는 제2연마휠; 상기 케이스의 일측에 부착되는 지지대; 상기 제1연마휠과 제2연마휠이 연마면을 연마함에 따라서 발생되는 분진이 흡입되는 흡입구를 제1연마휠과 제2연마휠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케이스의 일측에 구비하는 집진파이프; 및 상기 집진파이프의 배출구에 연결되어 상기 집진파이프의 흡입구로부터 집진되는 분진을 집진시키기 위한 집진통;으로 이루어지며, 위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넓은 면적을 갖는 평판의 표면을 신속하게 연마작업을 행할 수 있으면서도 연마 작업시 발생하는 분진을 효과적으로 집진 처리하여 분진의 발생을 최소화할 수가 있다.
연마기, 연마휠, 집진파이프, 집진통, 선박

Description

연마기{Grinder}
도 1은 종래의 연마기의 외관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연마기의 외관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연마기에서 케이스와 모터를 제거한 상태의 외관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연마기의 주요 구성부분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1: 케이스 22: 모터
23: 집진파이프 24: 집진통
25: 지지대 28: 바퀴
30: 제1연마휠 31: 제1연마휠구동기어
40: 제2연마휠 41: 제2연마휠구동기어
42: 아이들기어
본 발명은 연마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선박의 갑판 등과 같은 넓은 면적을 갖는 평판의 표면을 연마하는 연마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박을 건조 및 보수할 시에는 최종적으로 넓은 면적을 갖는 갑판 등을 연마한 후에 도장작업을 행하게 되는데, 상기와 같은 갑판 등을 연마하기 위한 연마기로는 통상적으로 핸드 그라인더에 연마용 숫돌이나 부러쉬를 결합하여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위와 같은 방법은 인건비 등의 지출이 많으면서도 작업성이 저조하며, 작업자의 경우도 앉아서 장시간 작업하여야 하는 어려움이 있고, 또 연마시 발생하는 분진에 그대로 노출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위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등록실용신안 20-0302558의 연마기에서는 선박 등과 같은 넓은 면적을 갖는 평판의 표면을 연마하기 위한 연마기로서,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부에 손잡이(3)가 형성되고 전후방에 이동바퀴(9)(9')가 설치되어 있는 메인프레임(2) 하측으로 사방이 밀폐되며 하단에 고무판(18)이 부착된 연마실(4)과 집진실(5)을 형성하되, 상기 이동바퀴(9)(9') 중 메인프레임(2)의 후방에 위치하는 이동바퀴(9')는 가이드로울러(10a)가 마련된 승강판(10)에 고정하고, 승강판(10)은 유압잭(11)에 의해 작동하도록 메인프레임(2)에 고정 설치되어 있는 실린더(12)의 작동로드(12a)에 고정하며, 상기 연마실(4)에는 구동모터(6)로 구동되는 연마휠(8)을 결합하고, 집진실(5)에는 메인프레임(2) 상부에 고정된 집진포대(16)와 관체(17)로 연결된 블로워(15)의 흡입구를 연결하며, 상기 연마실(4)에는 축직각 방향으로 투시창(13)을 피스(14)로 결합하고, 투시창(13)의 하측에는 회동판(19)을 결합하되, 상기 회동판(19)의 결합은 집진실(5)측이 고정나사(20)에 의해 고정되며, 반대측은 호형의 결합장공(19a)을 형성하여 투시창(13)과 고정나사 (20)로 결합하여 이동바퀴(9')의 위치 변화에 따라 회동판(19)이 자중에 의해 회동토록 하는 연마기를 제안하고 있다.
따라서, 위의 연마기는 이동할 수 있는 바퀴(9)(9')가 구비된 메인프레임(2) 상에 모터(6)로 구동되는 연마휠(8)을 설치하여 신속한 연마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면서도 연마 작업시 발생하는 분진을 집진 처리할 수 있도록 하였지만, 위의 연마기는 모터(6)로 구동되는 연마휠(8)이 연마면과 선접촉을 이루면서 연마를 하게 되므로 연마 작업시 발생하는 분진이 외부로 비산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메인프레임(2) 하측으로 고무판(18)과 같은 밀폐수단을 부착하여 연마실(4)과 집진실(5)의 주변을 밀폐시켜야 하므로 그 구조가 복잡해지게 되고, 또 연마작업을 일정시간 행하게 되면 연마휠(8)이 마모되게 되므로 이러한 연마휠(8)의 마모를 보상하기 위하여 메인프레임(2) 상에 고정 설치되어 있는 유압잭(11)을 작동시켜 연마기의 후방에 위치하는 이동바퀴(9')를 승강시키고, 이동바퀴(9')의 승강에 따라 투시창(13)하단에 부착되어 있는 회동판(19)이 회동되도록 하여 연마휠(8)이 연마면과 계속적으로 선접촉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연마보상장치가 필요하게 되므로 이러한 연마보상장치는 결과적으로 연마기 전체의 중량이 많이 나가도록 함으로써, 연마기를 들고서 운반하여야 하는 경우 즉 계단을 이용하여 선박의 좁은 공간 속으로 진입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연마기가 너무 무거워서 연마기를 운반하기가 어려워서 연마기의 사용을 꺼리는 문제점이 있게 되고, 또한, 연마기가 너무 무겁게 되면, 연마기를 뒤집어서 연마기의 저면에서 육안으로 연마휠(8)의 마모 정도를 확인하기가 어렵게 되므로 연마휠(8)의 마모상태를 확인하기 위한 별도의 확인수단 즉 투시창(13)과 같은 것이 필요하게 되고, 또 연마휠(8)의 교환을 위한 연마휠(8)의 교환수단 즉, 투시창(13)에 피스(14)를 설치하는 것과 같은 것이 요구되어 연마기 전체의 구조가 지나치게 복잡해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선박의 갑판 등과 같은 넓은 면적을 갖는 평판의 표면을 신속하게 연마작업을 행할 수 있으면서도 연마 작업시 발생하는 분진을 효과적으로 집진 처리하여 분진의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 연마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구조를 간단히 하여 전체 중량을 가볍게 함으로써 휴대나 운반하기가 용이한 연마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연마기는 내부에 수용공간이 구비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일측에 구비되는 모터; 상기 케이스의 내부 수용공간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모터의 구동에 따라 구동되어 연마하고자 하는 연마면과 면접촉을 이루면서 상기 연마면을 연마하는 제1연마휠; 상기 케이스의 내부 수용공간에 상기 제1연마휠과 이격져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모터의 구동에 따라 구동을 하되, 상기 제1연마휠의 회전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을 하면서 연마하고자 하는 연마면과 면접촉을 하여 상기 연마면을 연마하도록 하는 제2연마휠; 상기 케이스의 일측에 부착되는 지지대; 상기 제1연마휠과 제2연마휠이 연마면을 연마함에 따라서 발생되는 분진이 흡입되는 흡입구를 제1연마휠과 제2연마휠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케이스의 일측에 구비하는 집진파이프; 상기 지지대의 일측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집진파이프의 배출구에 연결되어 상기 집진파이프의 흡입구로부터 집진되는 분진을 집진시키기 위한 집진통; 및 상기 케이스의 일측에 부착되는 바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연마기를 첨부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연마기는 도 2 및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내부에 수용공간이 구비되는 케이스(21)와, 상기 케이스(21)의 일측에 구비되는 모터(22)와, 상기 케이스(21)의 내부 수용공간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연마휠(30)과, 상기 케이스(21)의 내부 수용공간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연마휠(40)과, 상기 케이스(21)의 일측에 부착되는 지지대(25)와, 상기 제1연마휠(30)과 제2연마휠(40)이 연마면을 연마함에 따라서 발생되는 분진이 흡입되는 흡입구(23a)를 상기 케이스(21)의 일측에 구비하는 집진파이프(23)와, 상기 지지대(25)의 일측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집진파이프(23)의 배출구에 연결되어 상기 집진파이프(23)로부터 집진되는 분진을 집진시키기 위한 집진통(24)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케이스(21)는 내부에 후술하는 제1연마휠(30)과 제2연마휠(40)을 수용하기 위한 수용공간이 구비되고, 그 상측에는 모터(22)가 구비된다.
상기 제1연마휠(30)은 상기 케이스(21)의 내부 수용공간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모터(22)의 구동에 따라 구동되어 연마하고자 하는 연마면과 면접촉을 이루면서 상기 연마면을 연마하게 된다. 상기 제1연마휠(30)은 모터(22)의 구동 축(미도시)에 끼워져 있는 구동기어(22a)와 치형결합되는 제1연마휠구동기어(31)의 구동축에 결합되어 회전되게 된다
상기 제2연마휠(40)은 상기 케이스(21)의 내부 수용공간에 상기 제1연마휠(30)과 이격져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모터(22)의 구동에 따라 구동을 하되, 상기 제1연마휠(30)의 회전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을 하면서 연마하고자 하는 연마면과 면접촉을 하여 상기 연마면을 연마하게 된다. 상기 제2연마휠(40)은 모터(22)의 구동축에 끼워져 있는 구동기어(22a)와 치형결합되는 아이들기어(42)와, 상기 아이들기어(42)와 치형결합되는 제2연마휠구동기어(41)를 개재하여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되게 된다.
상기 지지대(25)는 상기 케이스(21)의 일측에 부착되어 상기 케이스를 이동시키거나 휴대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 브라켓(26)(27)을 개재하여 상기 케이스에 결합된다. 미설명 부호 25a는 지지대의 손잡이이고, 27a, 27b는 나사구멍이다.
상기 집진파이프(23)는 상기 제1연마휠(30)과 제2연마휠(40)이 연마면을 연마함에 따라서 발생되는 분진이 흡입되는 흡입구(23a)를 제1연마휠(30)과 제2연마휠(40)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케이스(21)의 일측에 구비한다.
상기 집진통(24)은 상기 지지대(25)의 일측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집진파이프(23)의 배출구에 연결되어 상기 집진파이프(23)로부터 집진되는 분진을 집진시키게 된다.
한편, 상기 케이스(21)의 일측에는 연마기의 이동이 용이하도록 하기 위하여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브라켓(29)을 개재하여 바퀴(28)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 하다. 상기 브라켓(29)은 나사구멍(29a)에 나사(미도시)를 끼워 케이스(21)에 고정 결합될 수 있다.
위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따른 연마기는 케이스(21)의 상측에 설치된 모터(22)를 구동시키면, 모터(22)의 구동에 따라서 모터축(미도시)에 끼워져 있는 구동기어(22a)가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회전되게 되고, 상기 구동기어(22a)가 회전되게 되면, 제1연마휠구동기어(31)가 회전하게 됨에 따라서, 상기 제1연마휠구동기어(31)에 연결설치되어 있는 제1연마휠(30)도 회전되게 되고, 그와 동시에 제2연마휠구동기어(41)도 상기 구동기어(22a)로부터의 회전력을 아이들기어(42)를 거쳐 전달받게 되므로 상기 제2연마휠구동기어(41)도 회전되게 되며, 따라서, 상기 제2연마휠구동기어(41)에 연결설치되어 있는 제2연마휠(40)도 회전되게 된다.
그런데, 상기 제1연마휠(30)과 제2연마휠(40)의 회전 방향은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되게 되므로 상기 제1연마휠(30)과 제2연마휠(40)이 각각 연마면과 면접촉하게 됨에 따라서 발생되는 분진은 상기 제1연마휠(30)과 제2연마휠(40)의 가운데 부분으로 모이게 되고, 상기 가운데 부분에는 집진파이프(23)의 흡입구(23a)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가운데 부분에 모여진 분진은 자연스럽게 집진파이프(23)를 통해서 집진통(24)으로 모여지게 되므로 분진의 비산을 간단한 구조에 의해서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가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연마기의 제1연마휠(30)이나 제2연마휠(40)은 연마하고자 하는 연마면과 면접촉을 하면서 연마를 하게 되므로 제1연마휠(30)이나 제2연 마휠(40)이 연마하고자 하는 연마면과 접촉하지 않게 되어 연마를 못하게 되거나 또는 별도의 연마휠 보상장치가 필요하지 않게 되므로 그 구조를 간단하게 할 수가 있고, 또 제1연마휠(30)이나 제2연마휠(40)을 교환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연마기를 거꾸로 한 상태에서 연마휠을 연마휠구동기어로부터 이탈시켜 간단하게 교환할 수가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연마기를 이동시키고자 하는 경우에는 케이스(21)의 일측에 바퀴(28)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연마기를 이동시키기 위해서는 상기 바퀴(28)를 지면에 접촉시킨 상태에서 지지대(25)의 손잡이(25a)를 잡고 비스듬하게 밀게 되면 연마기를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가 있게 되고, 또 계단과 같은 단턱진 곳을 지나가고자 하는 경우에는 지지대(25)의 상측에 형성된 손잡이(25a)를 잡고 연마기를 상측으로 가볍게 들 수 있으므로 연마기를 들어서 운반하기가 용이하여 선박과 같은 곳에서 좁은 통로를 지나가야 하는 경우라도 본 발명에 따른 연마기를 간단하게 이동시킬 수가 있게 되므로 그 활용 범위를 다양하게 할 수가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연마기는 선박의 갑판 등과 같은 넓은 면적을 갖는 평판의 표면을 신속하게 연마작업을 행할 수 있으면서도, 연마 작업시 발생하는 분진을 효과적으로 집진 처리하여 분진의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고, 또 구조가 간단하므로 전체 중량이 가볍게 되어 휴대나 운반하기가 용이하게 된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들을 기준하여 설명되어 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이라 할 수 있고,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예 들을 생각해 낼 수 있으므로 이러한 균등한 실시예 들 또한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 내에 포함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Claims (2)

  1. 삭제
  2. 내부에 수용공간이 구비되는 케이스(21);
    상기 케이스(21)의 일측에 구비되는 모터(22);
    상기 케이스(21)의 내부 수용공간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모터(22)의 구동에 따라 구동되어 연마하고자 하는 연마면과 면접촉을 이루면서 상기 연마면을 연마하는 제1연마휠(30);
    상기 케이스(21)의 내부 수용공간에 상기 제1연마휠(30)과 이격져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모터(22)의 구동에 따라 구동을 하되, 상기 제1연마휠(30)의 회전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을 하면서 연마하고자 하는 연마면과 면접촉을 하여 상기 연마면을 연마하도록 하는 제2연마휠(40);
    상기 케이스(21)의 일측에 부착되는 지지대(25);
    상기 제1연마휠(30)과 제2연마휠(40)이 연마면을 연마함에 따라서 발생되는 분진이 흡입되는 흡입구(23a)를 제1연마휠(30)과 제2연마휠(40)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케이스(21)의 일측에 구비하는 집진파이프(23);
    상기 지지대(25)의 일측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집진파이프(23)의 배출구에 연결되어 상기 집진파이프(23)의 흡입구(23a)로부터 집진되는 분진을 집진시키기 위한 집진통(24); 및
    상기 케이스(21)의 일측에 부착되는 바퀴(28);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마기.
KR1020060023159A 2006-03-13 2006-03-13 연마기 KR1006595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23159A KR100659508B1 (ko) 2006-03-13 2006-03-13 연마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23159A KR100659508B1 (ko) 2006-03-13 2006-03-13 연마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59508B1 true KR100659508B1 (ko) 2006-12-20

Family

ID=378149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23159A KR100659508B1 (ko) 2006-03-13 2006-03-13 연마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5950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2223B1 (ko) * 2007-03-13 2008-12-05 박종현 자체 집진이 가능한 휴대용 입식 그라인더
CN110524346A (zh) * 2019-08-27 2019-12-03 江苏三叶智能装备股份有限公司 一种图书侧边研磨机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30251A (en) * 1976-01-30 1977-06-21 Boettcher William A Brush accessory for floor sanders
EP0261658A1 (de) 1986-09-24 1988-03-30 Leo Lustig Parkettschleifmaschine
EP0931501A2 (en) 1998-01-23 1999-07-28 Numatic International Limited Attachment for a floor maintenance machine
KR20020065648A (ko) * 2001-02-07 2002-08-14 손경춘 대리석 연마장치
KR20030095794A (ko) * 2002-06-14 2003-12-24 유옥경 콘크리트 연삭기
KR200383965Y1 (ko) 2005-02-28 2005-05-10 이석재 산업용설비의 표면처리용 연마기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30251A (en) * 1976-01-30 1977-06-21 Boettcher William A Brush accessory for floor sanders
EP0261658A1 (de) 1986-09-24 1988-03-30 Leo Lustig Parkettschleifmaschine
EP0931501A2 (en) 1998-01-23 1999-07-28 Numatic International Limited Attachment for a floor maintenance machine
KR20020065648A (ko) * 2001-02-07 2002-08-14 손경춘 대리석 연마장치
KR20030095794A (ko) * 2002-06-14 2003-12-24 유옥경 콘크리트 연삭기
KR200383965Y1 (ko) 2005-02-28 2005-05-10 이석재 산업용설비의 표면처리용 연마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2223B1 (ko) * 2007-03-13 2008-12-05 박종현 자체 집진이 가능한 휴대용 입식 그라인더
CN110524346A (zh) * 2019-08-27 2019-12-03 江苏三叶智能装备股份有限公司 一种图书侧边研磨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08010B1 (ko) 칼갈이 장치
CN211136626U (zh) 一种球阀生产用打磨装置
US20110104996A1 (en) Finishing machine
CN108838778A (zh) 一种建设装修墙面打磨装置
CN105033797A (zh) 一种水泥地坪打磨机
KR100659508B1 (ko) 연마기
CN212635333U (zh) 一种装饰装修用带吸尘装置的墙面打磨机
CN211867336U (zh) 一种用于手机钢化膜的扫光机
KR100831038B1 (ko) 표면처리용 연마장치
CN110238726B (zh) 一种用于车载导航的玻璃边角打磨的打磨器
CN207840906U (zh) 一种建筑用打磨机
CN215942361U (zh) 一种装修用墙面清除机
KR200302558Y1 (ko) 연마기
CN115635404A (zh) 一种千斤顶底座表面打磨工装
CN207616273U (zh) 一种轮胎磨面机
CN208005368U (zh) 一种除粉尘的打磨装置
KR200419012Y1 (ko) 연마기
CN212095613U (zh) 一种建筑施工用的墙面磨平装置
CN213351804U (zh) 具有排尘结构的墙体打磨装置
CN108747742A (zh) 一种工业机械用打磨机
CN220680262U (zh) 一种装饰装修墙面打磨设备
CN214519246U (zh) 一种用于地坪的打磨施工装置
CN214559851U (zh) 一种建筑工程用钢材打磨装置
CN215760275U (zh) 一种便于维修的环氧地坪打磨机
CN217224856U (zh) 一种手孔盖磨边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5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3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07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