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59185B1 - 전열선 자동 봉착기 - Google Patents

전열선 자동 봉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59185B1
KR100659185B1 KR1020050040096A KR20050040096A KR100659185B1 KR 100659185 B1 KR100659185 B1 KR 100659185B1 KR 1020050040096 A KR1020050040096 A KR 1020050040096A KR 20050040096 A KR20050040096 A KR 20050040096A KR 100659185 B1 KR100659185 B1 KR 1006591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ing wire
upper plate
sealing machine
groove
lower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400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117654A (ko
Inventor
길종진
조춘영
Original Assignee
길종진
조춘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길종진, 조춘영 filed Critical 길종진
Priority to KR10200500400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59185B1/ko
Publication of KR200601176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176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591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591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40Heating elements having the shape of rods or tubes
    • H05B3/54Heating elements having the shape of rods or tubes flexible
    • H05B3/56Heating cabl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10Heat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materials or by the arrangement of the conductor
    • H05B3/16Heat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materials or by the arrangement of the conductor the conductor being mounted on an insulating bas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20Heating elements having extended surface area substantially in a two-dimensional plane, e.g. plate-heater
    • H05B3/34Heating elements having extended surface area substantially in a two-dimensional plane, e.g. plate-heater flexible, e.g. heating nets or webs
    • H05B3/342Heating elements having extended surface area substantially in a two-dimensional plane, e.g. plate-heater flexible, e.g. heating nets or webs heaters used in textil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2203/00Aspects relating to Ohmic resistive heating covered by group H05B3/00
    • H05B2203/017Manufacturing methods or apparatus for hea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Treatment Of Fiber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장판, 전기요, 전기매트, 전기카페트, 온열 찜질기 등에 사용되는 전열선을 부직포와 같은 내측의 면체에 물결형상으로 자동봉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전열선 자동 봉착기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구성은, 상하로 이동 가능한 상판 및 상기 상판의 하측에 대응되게 위치하는 하판을 구비하고, 상기 상판과 하판 사이에 부직포와 같은 면체를 위치시키고 상기 상판을 하강시켜 상기 상판과 하판 사이에 면체가 압착되도록 하는 전열선 봉착기에 있어서, 상기 상판 및 하판에는 압착돌부가 상호 맞물리는 위치에 마주보도록 구비되어 상기 면체가 상기 압착돌부에 의해 일정한 형상으로 굴곡되도록 하며, 상기 압착돌부에는 절개홈이 형성되고, 상기 절개홈의 내측에는 상기 압착돌부의 외측으로 이동하여 돌출되도록 하는 관통체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장형의 바늘관이 필요 없는 전열선 자동 봉착기를 제공하여, 봉착기 설치 공간을 절약하여 협소한 공간에서도 봉착기를 설치, 사용할 수 있게 하는 효과를 갖는다.

Description

전열선 자동 봉착기 { Automatic Heating Wire Sewing Machine }
도 1은 전열선 봉착을 위한 종래의 수동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장치 사이에 부직포를 끼운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와 같이 부직포를 끼운 상태에서 수동으로 봉착하는 방식을 측방에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는 전열선 봉착을 위한 종래의 자동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장치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4의 장치 사이에 부직포를 위치시키고 동작시키기 전의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7은 도 4의 장치 사이에 부직포를 위치시키고 동작시키는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 및 확대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봉착기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봉착기 사이에 부직포를 위치시키고 상판 및 하판을 밀착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0은 부직포에 구멍을 형성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1은 도 10과 같이 부직포에 구멍을 형성한 후 롤러가 유턴장치에 안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2는 도 11과 같은 상태에서 굴곡되어 위치된 부직포 사이사이를 전열선이 관통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 압착돌부의 형상 및 동작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 압착돌부의 동작에 따른 평면도, 측단면도 및 저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유턴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유턴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 및 정면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유턴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자동 봉착기에 의해 전열선이 끼워진 부직포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하판 12 : 압착돌부
13 : 홀 14 : 관통체
16 : 연결봉 18 : 샤프트
20 : 상판 40 : 롤러
50 : 유턴장치 54 : 가이더
110 : 하판 112 : 홈부
114 : 돌출부 115 : 관통홈
116 : 유턴돌출부 117 : 유턴홈
118 : 개구부 120 : 상판
121 : 개구 122 : 홈부
123 : 전단압박부 123a : 홈
124 : 돌출부 129 : 후단압박부
210 : 하판 211 : 압착돌편
212 : 지지대 220 : 상판
221 : 롤러 222 : 아암
223 : 롤러구동부 224 : 압착돌편
230 : 바늘관이송대 231 : 바늘관
232 : 롤러홈 233 : 안내봉
본 발명은 전기장판, 전기요, 전기매트, 전기카페트, 온열 찜질기 등에 사용되는 전열선을 부직포와 같은 내측의 면체에 물결형상으로 자동봉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전열선 자동 봉착기에 대한 것이다.
전기장판 등의 전열, 온열기구 내에는 부직포가 삽입되며, 부직포에는 전열선이 물결 또는 파동 형상으로 상면, 하면에 교차적으로 노출되며 끼워지게 된다. 종래에는 이러한 작업을 직접 손으로 할 수밖에 없었다.
도 1 내지 도 3은 전열선을 손으로 직접 끼우기 위한 장치에 대한 것으로, 도 1은 전열선 봉착을 위한 종래의 수동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 의 장치 사이에 부직포를 끼운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와 같이 부직포를 끼운 상태에서 수동으로 봉착하는 방식을 측방에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부직포 등의 면체(f)를 물결 형상으로 압착시키기 위한 상판(120) 및 하판(110)을 구비한다. 상판(120) 및 하판(110)에는 상호 맞물리도록 돌출 또는 삽입 형성되는 돌출부(114, 124)와 홈부(112, 122)가 교차로 형성된다. 즉 하판(110)의 홈부(112)에는 상판(120)의 돌출부(124)가 맞물려 끼워지며, 상판(120)의 홈부(122)에는 하판(110)의 돌출부(114)가 맞물려 끼워진다. 따라서 상판(120)과 하판(110)의 사이에 부직포 등의 면체(f)를 위치시킨후 상하방에서 수직으로 압착시키면, 면체는 위 아래 방향으로 압착되는 부분의 형상을 따라 물결 형상으로 위치된다.
돌출부(114, 124)에는 상호 일직선이 되도록 관통홈(115)이 형성되고, 관통홈(115)은 양 단부 측에서 유턴돌출부(116)에 형성된 유턴홈(117)과 이어지게 된다. 상판(120)과 하판(110)이 면체(f)를 압박한 후에는 장형의 바늘(미도시)을 사용하여, 홈(123a)을 따라 삽입하며, 삽입된 바늘은 면체(f)를 관통하며 관통홈(115)을 지나게 된다. 단부측으로 노출되는 바늘은 전단 압박부(123) 또는 후단압박부(129) 쪽으로 나오게 되며, 작업자는 그 다음 홈으로 바늘을 유턴시켜 삽입하게 된다.
도 3을 참조하면, 면체(f)는 물결 형상으로 굴곡된 상태로 압착되어 있으며, 그 중간 부분으로 전열선(C)이 연결된 바늘(N)이 관통하여 지나가게 된다. 바늘(N)이 면체(f)를 관통하면서, 전열선(C)은 면체(f)의 상, 하면에 교차로 노출되며 끼 워진다.
이러한 종래의 방식은 작업자가 직접 손으로 바늘(N)을 밀고 끼우고, 유턴시키는 방식이므로 생산성이 떨어지고, 작업 균일도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대량생산을 하면서도 균일한 품질의 제품을 생산하기 위해서는, 봉착 작업을 자동화할 필요가 있었다.
도 4 내지 도 7은 전열선을 면체에 자동을 끼워 봉착시키기 위한 장치에 대한 것으로, 도 4는 전열선 봉착을 위한 종래의 자동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장치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4의 장치 사이에 부직포를 위치시키고 동작시키기 전의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며, 도 7은 도 4의 장치 사이에 부직포를 위치시키고 동작시키는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 및 확대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하판(210)의 상측으로는 상판(220)이 압착되도록 구성되며, 하판(210) 및 상판(220)에는 상호 교차되면서 일렬로 위치하는 압착돌편(211)(224)이 구비된다. 상판(220)의 양 단부측에는 일렬로 다수의 롤러(221)가 배치되는 롤러구동부(223)가 위치하며, 롤러구동부(223)는 상측이 아암(222)에 의해 상판(220)과 연결되어 상하방향으로 수직 운동을 하게 된다.
상판(220)이 수직방향으로 압착되는 하판(210)에는 압착돌편(211)이 구비되며, 양 측방으로는 중앙의 하판(210) 쪽을 향하는 장형의 바늘관(231)이 일렬로 배치되는 바늘관이송대(230)가 위치한다. 바늘관이송대(230)는 하판(210) 쪽으로 접근하거나 멀어지며 바늘관(231)을 밀어 넣거나 빼는 역할을 하게 되며, 다수의 롤 러홈(232)을 구비하여, 롤러구동부(223)에 구비된 롤러(221)가 삽입되도록 한다. 하판(210)에는 바늘관이송대(230)에 대응되도록 장형으로 지지대(212)가 구비되며, 지지대(212)는 바늘관(231)의 이동 방향을 지지해주는 역할을 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상판(220)의 압착돌편(224)과 하판(210)의 압착돌편(211)은 상호 교차하며 일렬로 배열되며 상판(220)의 압착돌편(224)은 하방이, 하판(210)의 압착돌편(211)은 상방이 절개되어 수직 방향으로 개방되어 있다. 바늘관이송대(232)는 안내봉(233)에 의해 지지되며 하판(210) 쪽으로 양쪽에서 접근하면서, 바늘관(231)이 지지대(212)와 압착돌편(211)(224)에 의해 형성되는 경로를 따라 삽입된다. 그 후에는 아암(222)과 안내봉(225)에 의해 롤러구동부(223)가 하방으로 이동하면, 롤러(221)는 바늘관이송대(230)에 형성된 롤러홈(232)에 삽입된다.
도 6을 참조하면, 상판(220)과 하판(210) 사이에 부직포 등의 면체(f)를 끼우고 상판(220)을 하방 압착시키기 전의 상태를 나타낸다. 압착 작업 전에는 상판(220)과 하판(210) 사이에 바늘관(231)이 위치되지 않아야 하므로, 양 측방으로 바늘관(231)의 길이만큼 바늘관이송대(230)를 길게 꺼내 놓아야 한다. 폭이 2m 정도 되는 전기장판에 사용되도록 봉착시키기 위해서는 하판(210)의 폭이 2m 정도이어야 하며, 바늘관(231)의 길이도 각각 1m 가까이 되므로, 총 4m 이상의 공간 폭이 필요하다.
도 7을 참조하면, 면체(f)를 사이에 두고, 상방에서 상판(220)을 압착시켜, 상판(220)과 하판(210) 사이에서 압착돌편(211)(224)에 의해 면체(f)를 지그재그 형상이 되도록 한다. 그 후에는 바늘관이송대(230)를 중앙쪽으로 밀어 바늘관(231) 이 면체(f)를 관통하도록 한다. 바늘관(231)이 면체(f)를 관통한 후에는 원통형의 바늘관(231) 내부를 따라 장형의 바늘(미도시)과 전열선(미도시)이 롤러(221)의 회동에 의해 양방으로 이동되는 동시에 단부에서 유턴되며, S자 형태로 봉착시키게 된다.
이러한 종래의 봉착기의 경우, 자동으로 봉착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는 개선점이 있으나, 장형의 바늘관(231)을 통해 면체(f)에 구멍과 경로를 형성하는 방식이므로, 봉착기가 바늘관(231)의 길이만큼 측방으로 길게 형성되어야 한다. 이는 공간을 많이 차지하여 한정된 공간에 설치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으며, 장형의 바늘관(231)이 이동 도중 중간 부분에서 압착돌편(211)(224)의 경계 부분에서 걸리거나 경로를 이탈하는 경우도 발생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한정된 공간에서도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는 전열선 자동 봉착기의 필요성이 대두되게 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좁은 공간에도 설치가 가능한 전열선 자동 봉착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장형의 바늘관 없이도 면체에 구멍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하여, 장형의 바늘관의 정교한 이동을 고려할 필요가 없는 전열선 자동 봉착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은, 상하로 이동 가능한 상판 및 상기 상판의 하측에 대응되게 위치하는 하판을 구비하고, 상기 상판과 하판 사이에 부직포와 같은 면체를 위치시키고 상기 상판을 하강시켜 상기 상판과 하판 사이에 면체가 압착되도록 하는 전열선 봉착기에 있어서, 상기 상판 및 하판에는 압착돌부가 상호 맞물리는 위치에 마주보도록 구비되어 상기 면체가 상기 압착돌부에 의해 일정한 형상으로 굴곡되도록 하며, 상기 압착돌부에는 절개홈이 형성되고, 상기 절개홈의 내측에는 상기 압착돌부의 외측으로 이동하여 돌출되도록 하는 관통체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압착돌부는 상기 절개홈이 중앙에 형성되고, 상기 절개홈을 따라 양 단부에는 홀이 형성되는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절개홈은 상기 절개홈 내에 위치한 관통체가 수직 방향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절개 부분 단부를 근접 위치시키는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
상기 관통체는 수직 방향으로 절개된 원통 형상이며, 상기 절개홈을 따라 상기 압착돌부의 일단측 홀의 외측으로 일정 길이만큼 돌출 가능하도록 수평 운동되는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
상기 관통체는 상기 상판 또는 상기 하판의 바깥면에 위치하는 샤프트와 연결되고, 상기 샤프트의 이동에 따라 상기 관통체는 상기 압착돌부의 외측으로 돌출되거나 다시 삽입되는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판 또는 상기 하판의 측방에는 내측에 유턴홈이 형성된 유턴장치가 구비되고, 상기 유턴홈의 내측에는 상방 또는 하방으로부터 롤러가 삽입, 안착되 며, 상기 유턴장치는 수평 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만큼 이동이 가능한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
상기 유턴장치는 상기 상판 또는 상기 하판 쪽으로 소정 길이만큼 돌출되는 가이더를 구비하고, 상기 가이더에 형성되는 통공은 상기 유턴홈과 연결되며, 상기 가이더의 측방은 장형으로 절개되는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이더는 상기 롤러와 유턴홈이 형성하는 경로를 따라 한 쌍씩 다수 개 배치되며, 상기 한 쌍의 가이더는 상호 마주보는 측방에 절개홈이 형성되는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
상기 유턴장치에는 상기 유턴홈의 외측 방향에 위치되는 보조 롤러가 더 구비되는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 구성의 일 실시례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봉착기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상판(20)과 하판(10)의 사이에는 면체(f)가 위치되며, 면체(f)가 위치하는 방향 쪽으로 압착돌부(12)가 마주보고 있다. 종래와 마찬가지로 압착돌부(12)는 맞물리면서 일렬로 위치된다. 압착돌부(12)의 내측에는 관통체(14)가 위치하며, 관통체(14)는 압착돌부(12)의 외측으로 돌출되거나 내측으로 삽입되는 수평 운동을 한다.
상판(20)의 양 측방에는 롤러(40)가 구비되며, 하판(10)의 양 측방으로는 유턴장치(50)가 구비된다. 롤러(40) 및 유턴장치(50)의 위치, 결합부위 및 구조는 선 택에 따라 바뀔 수 있다.
관통체(14)는 내측으로 형성된 연결봉(16)에 의해 샤프트(18)와 연결되며, 외부에서 샤프트(18)를 조작하면 관통체(14)가 이동하게 된다. 관통체(14)는 원통관의 형상이며, 외측으로 노출되는 부분은 비스듬하게 형성하여 면체(f)를 관통하기 쉽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유턴장치(50)는 측방으로 수평 이동 가능하도록 하며, 안쪽 측방으로 돌출되는 가이더(53)(54)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유턴장치(50)에는 상방으로부터 롤러(40)가 삽입되어 관통체(14)를 지나 이동하는 바늘(미도시)을 유턴시키며, 이를 보조하기 위한 보조롤러(56)를 롤러(40)와 맞물려 돌아갈 수 있도록 유턴장치(50) 내에 더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9는 본 발명의 봉착기 사이에 부직포를 위치시키고 상판 및 하판을 밀착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면체(f)는 파형을 이루며 압착돌부(12)에 밀착된다. 마주보며 맞물리는 압착돌부(12) 사이사이의 틈을 적게 하여 상호 밀착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압착돌부(12)의 비스듬한 면은 중간의 면체(f)를 면접촉하며 압착하게 된다.
도 10은 부직포에 구멍을 형성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도 9의 상태에서 샤프트(18)를 좌측으로 이동시켜 압착돌부(12) 내에 위치하던 관통체(14)가 좌측으로 이동되면서 단부가 면체(f)를 관통시키는 상태를 나타낸다. 하판(10)의 관통체(14)는 압착돌부(12)의 좌측으로 돌출 이동되면서, 좌측에 밀착 위치한 상판(20)의 압착돌부(12)의 우측 홀 내로 단부가 삽입된다. 양 측방의 유턴장치(50)를 안쪽으로 접근시키면, 유턴장치(50)의 가이더(45)도 면체(f)를 관통하며 압착돌부(12)의 우측 홀 내로 삽입된다. 이 상태에서 관통체(14), 압착돌부(12)의 내부 홀, 가이더(53)(54)는 일렬로 관로를 형성하며, 그 내부로 바늘(미도시)이 지나갈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게 된다.
도 11은 도 10과 같이 부직포에 구멍을 형성한 후 롤러가 유턴장치에 안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양측의 유턴장치(50)가 중앙쪽으로 이동된 후에, 상방으로부터 롤러(40)가 삽입된 상태를 나타낸다. 롤러(40)는 모터(미도시)와 연결되어 관통체(14)를 관통하는 플렉시블하고, 긴 형상의 바늘(미도시)을 이동시키고 유턴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바늘의 끝부분에는 전열선(미도시)을 연결하고, 바늘의 길이를 하판(10) 폭의 길이 내지는 그보다 길게 형성하면, 바늘은 적어도 한 개의 롤러(40)와는 항상 접촉하여 구동력을 전달받게 되므로, 스스로 관통체(14)의 내부로 이동 경로를 따라 사이사이를 이동할 수 있게 된다.
도 12는 도 11과 같은 상태에서 굴곡되어 위치된 부직포 사이사이를 전열선이 관통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물결 형상으로 배치된 면체(f)의 중앙으로 관통되는 경로를 따라 전열선(C)이 지나가게 된다. 상판(20), 하판(10) 및 롤러(40)를 분리한 후 면체(f)를 평평하게 펴면, 전열선(C)은 상방, 하방에 교차적으로 노출되며 봉착이 완료된다.
도 13은 본 발명 압착돌부의 형상 및 동작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4는 본 발명 압착돌부의 동작에 따른 평면도, 측단면도 및 저면도이다.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면, 압착돌부(12)의 상단면은 절개되는 절개홈(12a)이 형성되며, 양 측방에는 비스듬하게 경사면(12b)이 형성된다.
절개홈(12a)의 하측에는 원통형 홀(13)이 형성되며, 홀(13) 내에는 관통체(14)가 위치한다. 관통체(14)는 중공 원통형이며 상단부가 절개홈(12a)과 일치되는 방향으로 절개(14a)되어 있다. 관통체(14)는 홀(13)을 따라 수평 방향으로 이동되며 돌출 가능하게 구성된다. 도 13의 (a) 및 (b)는 관통체(14)가 내측에 위치된 상태와 외측으로 돌출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의 (a) 및 (b)도 관통체(14)가 내측에 위치된 상태와 외측으로 돌출된 상태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관통체(14)는 하방으로 연결봉(16)에 의해 샤프트(18)와 연결되고, 샤프트(18)는 작업자에 의해 관통체(14)의 이동을 조작하는데 사용하게 된다.
홀(13)은 압착돌부(12)를 관통하며, 상단부는 홀(13)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단면적으로 절개되는 절개홈(12a)이 형성된다. 압착돌부(12)의 절개홈(12a)과 관통체(14)의 절개홈(14a)은 전열선이 압착돌부(12)와 관통체(14)를 관통하여 끼워진 상태에서, 상판(20)과 하판(10)이 분리될 때, 전열선이 빠져나오게 되는 통로가 된다.
도 15는 본 발명의 유턴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6은 본 발명의 유턴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 및 정면도이다. 도 15 및 도 16을 참조하면, 유턴장치(50)는 본체(52)에 롤러(40)가 상방 또는 하방에서 삽입될 수 있도록 홀(52a)을 형성하고, 홀(52a)의 내측에는 가이더(54)의 중공과 연결되는 유턴홈(미도시)이 형성되어 바늘은 유턴홈을 따라 방향을 180도 회전시키게 된다. 유턴홈의 내측으로는 롤러(40)가 삽입되어 바늘과 밀착되어 회동력을 전달한다.
가이더(54)에는 측방으로 절개홈(54a)을 형성하여, 전열선이 관통된 후, 롤러(40)와 유턴장치(50)를 분리할 때 전열선은 절개홈(54a)을 관통하여 제 위치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본체(52)의 외측으로는 롤러(40)와 맞물려 돌아갈 수 있는 보조롤러(56)가 위치되도록 하고, 그 사이에는 홀(h)을 형성하여 바늘이 롤러(40)와 접촉되는 동시에 보조롤러(56)와 접촉되어 원활한 유턴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7은 본 발명의 유턴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7을 참조하면, 가이더(54)의 통공은 유턴홈(52b)과 연결되며, 유턴홈(52b)은 롤러(40)와 보조롤러(56)에 동시에 접촉될 수 있다. 일측의 가이더(54)를 통해 우측으로 이동된 바늘은 유턴홈(52b)에서 롤러(40)에 의해 회동력을 전달받으며 유턴되어 좌측을 향해 가이더(54)를 통해 배출된다. 이러한 유턴장치의 회동력 전달을 통해 유턴된 바늘은 도 18과 같이 면체(f)에 균일하게 전열선(C)이 봉착되도록 한다.
도 18은 본 발명의 자동 봉착기에 의해 전열선이 끼워진 부직포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8을 참조하면, 면체(f)에는 전열선(C)이 봉착되며, A부분은 유턴장치(50) 내에 위치하던 전열선 부분이며, B부분은 압착돌부(12)가 위치하던 부분이다.
본 발명은 장형의 바늘관이 필요 없는 전열선 자동 봉착기를 제공하여, 봉착기 설치 공간을 절약하여 협소한 공간에서도 봉착기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별도의 바늘관이 필요 없으므로, 바늘관이 경로를 따라 정교하게 위치되도록 노력할 필요가 없이 단순히 샤프트의 이동만으로 면체에 통공을 형성하고 전열선을 용이하게 관통시킬 수 있도록 하여, 작업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Claims (9)

  1. 상하로 이동 가능한 상판 및 상기 상판의 하측에 대응되게 위치하는 하판을 구비하고, 상기 상판과 하판 사이에 부직포와 같은 면체를 위치시키고 상기 상판을 하강시켜 상기 상판과 하판 사이에 면체가 압착되도록 하는 전열선 봉착기에 있어서,
    상기 상판 및 하판에는 압착돌부가 상호 맞물리는 위치에 마주보도록 구비되어 상기 면체가 상기 압착돌부에 의해 일정한 형상으로 굴곡되도록 하며,
    상기 압착돌부에는 절개홈이 형성되고,
    상기 절개홈의 내측에는 상기 압착돌부의 외측으로 이동하여 돌출되도록 하는 관통체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열선 자동 봉착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압착돌부는:
    상기 절개홈이 중앙에 형성되고,
    상기 절개홈을 따라 양 단부에는 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열선 자동 봉착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절개홈은:
    상기 절개홈 내에 위치한 관통체가 수직 방향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절개 부분 단부를 근접 위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열선 자동 봉착기.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체는:
    수직 방향으로 절개된 원통 형상이며,
    상기 절개홈을 따라 상기 압착돌부의 일단측 홀의 외측으로 일정 길이만큼 돌출 가능하도록 수평 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열선 자동 봉착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체는 상기 상판 또는 상기 하판의 바깥면에 위치하는 샤프트와 연결되고,
    상기 샤프트의 이동에 따라 상기 관통체는 상기 압착돌부의 외측으로 돌출되거나 다시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열선 자동 봉착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판 또는 상기 하판의 측방에는 내측에 유턴홈이 형성된 유턴장치가 구비되고,
    상기 유턴홈의 내측에는 상방 또는 하방으로부터 롤러가 삽입, 안착되며,
    상기 유턴장치는 수평 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만큼 이동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열선 자동 봉착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유턴장치는:
    상기 상판 또는 상기 하판 쪽으로 소정 길이만큼 돌출되는 가이더를 구비하고,
    상기 가이더에 형성되는 통공은 상기 유턴홈과 연결되며,
    상기 가이더의 측방은 장형으로 절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열선 자동 봉착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더는 상기 롤러와 유턴홈이 형성하는 경로를 따라 한 쌍씩 다수 개 배치되며,
    상기 한 쌍의 가이더는 상호 마주보는 측방에 절개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열선 자동 봉착기.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유턴장치에는 상기 유턴홈의 외측 방향에 위치되는 보조 롤러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열선 자동 봉착기.
KR1020050040096A 2005-05-13 2005-05-13 전열선 자동 봉착기 KR1006591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0096A KR100659185B1 (ko) 2005-05-13 2005-05-13 전열선 자동 봉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0096A KR100659185B1 (ko) 2005-05-13 2005-05-13 전열선 자동 봉착기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13538U Division KR200391994Y1 (ko) 2005-05-13 2005-05-13 전열선 자동 봉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17654A KR20060117654A (ko) 2006-11-17
KR100659185B1 true KR100659185B1 (ko) 2006-12-20

Family

ID=377050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40096A KR100659185B1 (ko) 2005-05-13 2005-05-13 전열선 자동 봉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59185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167392A (ja) * 1990-10-30 1992-06-15 Sharp Corp 面状発熱装置における配線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167392A (ja) * 1990-10-30 1992-06-15 Sharp Corp 面状発熱装置における配線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17654A (ko) 2006-1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02682B1 (ko) 플렉시블 관 컷팅기
KR100659185B1 (ko) 전열선 자동 봉착기
KR200391994Y1 (ko) 전열선 자동 봉착기
JP3568900B2 (ja) からみ織物を製造するための織機
KR101188366B1 (ko) 전단보강근 벤딩 방법 및 장치
CN202533006U (zh) 全自动打孔插引机
DE10036821A1 (de) Vorrichtung zum Nadeln einer gemusterten Filzbahn
KR100596627B1 (ko) 매트리스용 링구 용접장치
US2173730A (en) Perforating machine
CN113862908B (zh) 一种鞋面料之字形自动缝花机
KR20160115092A (ko) 비닐롤백 제조장치
CN101752116A (zh) 三层复合电触点的制造设备
KR200171768Y1 (ko) 전열매트용 전열선 봉착기
JP2003064571A (ja) ニードルパンチ機における多針ヘッド
KR200275639Y1 (ko) 전열선 자동봉착기
KR200254998Y1 (ko) 전기장판용 열선 봉착장치
CN112205717A (zh) 一种鞋带袢打孔对折机及鞋带袢加工设备
KR100274336B1 (ko) 스팽글 타발부착장치
KR200427207Y1 (ko) 전열선 봉착기
CN111844147B (zh) 一种服装下摆修边的机械化设备
KR20010026616A (ko) 전열매트용 전열선 봉착기
US1211821A (en) Machine for interlacing curled hair.
KR20130013363A (ko) 도어 프레임의 패킹채널 절곡장치
KR101369439B1 (ko) 전기매트용 열선 자동 정렬 공급장치
CN213587585U (zh) 一种鞋带袢打孔对折机及鞋带袢加工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904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