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58935B1 - 통신 디바이스의 채널 선택 방법 - Google Patents

통신 디바이스의 채널 선택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58935B1
KR100658935B1 KR1020060017927A KR20060017927A KR100658935B1 KR 100658935 B1 KR100658935 B1 KR 100658935B1 KR 1020060017927 A KR1020060017927 A KR 1020060017927A KR 20060017927 A KR20060017927 A KR 20060017927A KR 100658935 B1 KR100658935 B1 KR 1006589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nnel
ffi
tfi
channels
m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179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동운
원종필
김구봉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179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5893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589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589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5/00Constructions of non-optical parts
    • G02C5/14Side-members
    • G02C5/143Side-members having special ear piece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5/00Constructions of non-optical parts
    • G02C5/14Side-members
    • G02C5/16Side-members resilient or with resilient part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5/00Constructions of non-optical parts
    • G02C5/14Side-members
    • G02C5/18Side-members reinforced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TFI채널을 사용하고 있지 않은 밴드 그룹을 찾고, 그 밴드 그룹에서 사용되지 않은 FFI채널을 찾아 통신할 채널로 선택하고, TFI채널과 FFI채널이 모두 사용되고 있는 경우엔, 비콘 슬롯이 남아 있는 채널을 찾고, 그 채널들 중에서 비할당된 타임슬롯의 수가 가장 많은 채널을 통신할 채널로 선택하여, 간섭을 최소화할 수 있는 채널을 선택할 수 있다.
TFI, FFI, 채널, 선택, 밴드, 그룹, 비콘, 슬롯

Description

통신 디바이스의 채널 선택 방법{Method for selecting channel of communication device}
도 1은 본 발명에 사용된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
도 2a와 도 2b는 본 발명에 사용되는 채널을 좀 더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TFI모드에서의 통신 디바이스의 채널 선택 방법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FFI모드에서의 통신 디바이스의 채널 선택 방법을 도시한 도면.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UWB 기기
210 ~ 240 : 주변 기기
본 발명은 무선랜 특히, WiMedia 물리 계층 규격1.1(PHY Specification 1.1)의 무선랜에서 사용할 수 있는 채널들 중에서, 최초 파워 온시나 혹은 채널 이동시 에 간섭을 최소화할 수 있는 채널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통신 디바이스의 채널 선택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무선랜으로 WiMedia 물리 계층 규격1.1(PHY Specification 1.1)의 무선랜이 사용될 경우, 그 규격을 따르는 9번부터 46번까지의 채널을 사용할 수 있다.
그 9번부터 46번까지의 채널 범위에는 TFI(Time Frequency Interleaving)채널과 FFI(Fixed Frequency Interleaving)채널이 포함된다.
여기서, TFI채널은 물리 채널1에 속하는 9 ~ 12이고, 물리 채널2에 속하는 17 ~ 20이며, 물리 채널 3에 속하는 25 ~ 28, 물리 채널 4에 속하는 33 ~ 36 번이다.
그리고, 나머지는 FFI채널이다.
각 TFI채널과 FFI채널은 3개의 주파수 밴드로 구성되며, 그 3개의 주파수 밴드의 주파수 호핑 패턴에 따라 정해진다.
예를 들어, TFI채널은 3개의 주파수 밴드를 1, 2, 3의 밴드 ID로 정할 경우 물리 채널1에 속하는 9 ~ 12 번의 TFI채널 각각은 순차적으로 123123, 132132, 112233, 113322의 주파수 호핑 패턴을 가진다.
그리고, FFI채널은 111111, 222222, 333333의 주파수 호핑 패턴을 가진다.
그래서, 소정의 물리 채널에 123123, 132132, 112233, 113322, 111111, 222222, 333333의 7개의 주파수 호핑 패턴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주파수 호핑 패턴을 살펴보게 되면, 주파수 호핑 패턴이 2개 이상 사 용될 경우, 동일한 채널을 같이 사용하게 된다.
예를 들면, "123123", "132132"가 사용될 경우, 첫 번째와 네 번째의 채널인 "1" 채널을 같이 사용하게 된다.
그로 인해, 채널 상호간의 간섭으로 인한 충돌이 불가피하게 발생된다.
본 발명은 바로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으로, 채널 간섭이 불가피하게 발생될 경우, 간섭을 최소화할 수 있는 채널을 선택하기 위한 통신 디바이스의 채널 선택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에 따른 본 발명은,
소정의 기기가 주변의 기기들에 의한 소정 채널의 사용 여부를 고려해 적합한 어느 하나의 채널을 선택하는 것이다.
먼저, 초기의 파워 온시, TFI모드와 FFI모드 중 어느 하나의 인터리빙 모드를 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인터리빙 모드가 FFI모드이면서, 밴드 그룹 내의 TFI채널과 FFI채널이 모두 사용되고 있지 않은 경우엔, 사용되고 있지 않은 FFI채널 중에서 임의의 FFI채널을 통신할 채널로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때, 투과력이 좋은 가장 낮은 주파수의 FFI채널을 선택할 수 있다.
반면에, 인터리빙 모드가 FFI모드이면서, 밴드그룹 내의 TFI채널이 사용되고 있지 않고, FFI채널은 모두 사용되고 있는 경우엔, 할당되지 않은 비콘 슬롯이 가 장 많은 FFI채널을 통신할 채널로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모든 FFI채널에 비콘 슬롯이 남아 있지 않는 경우에는, 최초 동작인 경우엔 실패 처리하고, 채널의 이동 시도 중일 경우엔 채널의 이동을 수행하지 않도록 한다.
한편, 인터리빙 모드가 TFI모드이면서, 밴드그룹 내의 TFI채널이 모두 사용되고 있지 않은 경우엔, 밴드 그룹 내의 TFI 채널 중에서 임의의 TFI채널을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때, 투과력이 좋은 가장 낮은 주파수의 FFI채널을 선택할 수 있다.
반면에, 인터리빙 모드가 TFI모드인 경우, 밴드그룹 내의 TFI채널이 하나라도 사용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면, 밴드 그룹 내의 FFI 채널 중에서 할당되지 않은 비콘 슬롯이 가장 많은 FFI채널을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모든 FFI채널에 비콘 슬롯이 남아 있지 않는 경우에는, 최초 동작인 경우엔 실패 처리하고, 채널의 이동 시도 중일 경우엔 채널의 이동을 수행하지 않도록 한다.
상기 각 채널의 사용 여부에 대한 확인은 사용 가능하도록 미리 설정된 밴드그룹에 속하는 채널만의 사용 여부를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밴드그룹이 다수개인 경우엔, 주파수 대역이 낮은 밴드그룹부터 순차적으로 밴드 그룹내의 TFI채널과 FFI채널의 사용 여부를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좀 더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된 시스템은 본 발명이 적용된 시스템의 일예로 크게, UWB기기(100)와, 소정의 채널을 사용하고 있는 주변의 기기들(210 ~ 240)로 이루어진다.
이렇게 이루어진 시스템은 UWB기기(100)가 다수의 채널 중에서, 주변의 기기들(210 ~ 240)에 의한 소정 채널의 사용 여부를 고려해 적합한 어느 하나의 채널을 선택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다음과 같다.
먼저, TFI모드와 FFI모드 등의 인터리빙 모드가 UWB기기(100) 내에 미리 다수개 설정된 상태에서, UWB기기(100)는 소정의 모드 선택 명령에 따라 어느 하나의 인터리빙 모드를 선택한다.
상기 모드 선택 명령은 사용자 명령 혹은 디폴트 명령일 수 있다.
외부로부터 입력된 사용자 명령에 따라 밴드그룹 내의 채널을 스캐닝해 그의 사용 여부를 확인한다.
밴드그룹이 다수개인 경우, 투과력이 좋은 낮은 주파수 대역을 밴드 그룹내의 채널부터 순차적으로 스캐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밴드그룹이 1번부터 5번까지를 사용하는 WiMedia 물리 계층 규격1.1(PHY Specification 1.1)이 사용될 경우, 밴드 그룹 1번부터 순차적으로 스캐닝할 수 있다.
소정의 밴드 그룹 내의 채널의 사용 여부는 비콘 패킷 혹은 MMC 패킷의 수신 여부에 따라 판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정의 채널을 스캐닝하여 그 채널로 패킷이 예컨대, 비콘 패킷 이나 MMC 패킷 등이 수신된 경우, 그 채널이 사용되고 있는 것으로 판별한다.
반면에, 소정의 채널을 스캐닝하여 그 채널로 패킷이 예컨대, 비콘 패킷이나 MMC 패킷 등이 수신되지 않은 경우, 그 채널이 사용되고 있지 않은 것으로 판별한다.
상기 스캐닝되는 채널은 TFI채널이거나 FFI채널이 된다.
상기 TFI채널은 3개의 주파수 밴드로 구성되며, 그 3개의 주파수 밴드의 주파수 호핑 패턴에 따라 밴드 그룹 내에서 여러 개가 정해진다.
예를 들어, 3개의 주파수 밴드를 1, 2, 3의 밴드 ID로 정할 경우, 밴드 그룹1에 속하는 9 ~ 12 번의 TFI채널 각각은 순차적으로 123123, 132132, 112233, 113322의 주파수 호핑 패턴을 가지는 것으로 정해진다.
상기 FFI채널은 역시 3개의 주파수 밴드로 구성되며, 그 3개의 주파수 밴드의 주파수 호핑 패턴에 따라 정해진다.
예를 들어, 3개의 주파수 밴드를 1, 2, 3의 밴드 ID로 정할 경우, 밴드 그룹1에 속하는 13 ~ 15번의 FFI채널은 111111, 222222, 333333의 주파수 호핑 패턴을 가지는 것으로 정해진다.
한편, UWB기기는 사용 가능한 채널을 미리 설정하여, 그 사용 가능하도록 설정된 채널만을 스캐닝하여 그의 사용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통상적으로, WiMedia 물리 계층 규격1.1(PHY Specification 1.1)에 따르면, UWB 기기가 지원할 수 있는 밴드 그룹은 1번부터 5번까지인데, 현재까지는 밴드 그 룹 1번은 반드시 지원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나머지의 밴드 그룹은 선택적으로 지원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바에 따라, 밴드 그룹 1번을 제외한 나머지의 밴드 그룹이 지원되도록 할 경우, 해당 UWB기기 내의 메모리에 그 정보가 기록되도록 한다.
그러한 정보는 즉, 밴드 그룹 1번을 제외한 나머지 밴드 그룹들의 지원 여부에 관한 정보는 해당 UWB 기기 내의 메모리에 저장된 MIB(Management Information Base)데이터에 기록될 수 있다.
참고로, 상기 MIB데이터는 무선 랜에서 채널 레이트나 디바이스의 각종 파라미터 정보 등이 기록되어 있는 데이터이다.
다음, 이렇게 밴드 그룹들에 속해 있는 채널을 스캐닝하여 즉, TFI채널과 FFI채널을 스캐닝하여 각각의 사용 여부를 확인하면, 그 확인한 정보와 상기 선택한 인터리빙 모드에 따라 적합한 소정의 채널을 선택한다.
먼저, 인터리빙 모드가 FFI모드인 경우이다.
상기 밴드 그룹들에 속해 있는 TFI채널과 FFI채널의 사용 여부를 확인한 결과, TFI채널과 FFI채널이 모두 사용되고 있지 않은 경우, 사용되고 있지 않은 FFI채널 중에서 어느 하나를 선택한다.
이 때, 투과력이 좋은 FFI채널 즉, 가장 낮은 주파수의 FFI채널을 선택할 수 있다.
반면에, 밴드 그룹들에 속해 있는 TFI채널과 FFI채널의 사용 여부를 확인한 결과, TFI채널이 사용되고 있지 않으면서, FFI채널이 모두 사용되고 있는 경우, 할 당되지 않은 비콘 슬롯이 가장 많은 FFI채널을 선택한다.
즉, FFI채널의 스캐닝 시, 각 FFI채널의 비콘 인터벌(beacon interval) 시간 동안 할당되지 않고 남아 있는 비콘 슬롯의 수를 계수한다.
그리고, 계수한 결과, 할당되지 않은 비콘 슬롯이 가장 많은 FFI채널을 선택한다.
그 결과, 할당되지 않은 비콘 슬롯이 가장 많은 FFI채널을 선택해 사용하게 되므로, 비록 그 FFI채널이 공유되어 사용되더라도, 다른 채널에 비해서는 상대적으로 좀 더 많은 대역폭이 확보되는 것이다.
한편, 비콘 슬롯이 남아 있는게 없는 경우에는, 최초 동작의 경우엔 실패 처리하고, 이동 동작 중일 경우엔 채널을 이동하지 않도록 한다.
다음, 인터리빙 모드가 TFI모드인 경우이다.
상기 밴드 그룹들에 속해 있는 채널의 사용 여부를 확인한 결과, TFI채널이 모두 사용되고 있지 않은 경우, TFI 채널들 중에서 임의의 TFI채널을 선택한다.
반면에, 밴드 그룹들에 속해 있는 채널의 사용 여부를 확인한 결과, TFI채널이 하나라도 사용되고 있는 경우, FFI채널 중에서 할당되지 않은 비콘 슬롯이 가장 많은 FFI채널을 선택한다.
즉, FFI채널의 스캐닝 시, 각 FFI채널의 비콘 인터벌 시간 동안 할당되지 않고 남아 있는 비콘 슬롯의 수를 계수한다.
그리고, 계수한 결과, 사용되지 않고 있는 비콘 슬롯의 수가 가장 많은 FFI채널을 선택한다.
그 결과, 상기한 바와 같이, 할당되지 않은 비콘 슬롯이 가장 많은 FFI채널을 선택해 사용하게 되므로, 비록 그 FFI채널이 공유되어 사용되더라도, 다른 채널에 비해서는 상대적으로 좀 더 많은 대역폭이 확보되는 것이다.
한편, 모든 FFI채널에 비콘 슬롯이 남아 있지 않는 경우에는, 최초 동작인 경우엔 실패 처리하고, 채널의 이동 시도 중일 경우엔 채널의 이동을 수행하지 않도록 한다.
도 2a는 본 발명에 사용되는 채널을 설명하기 위해 마련된 것이다.
본 발명은 WiMedia 물리 계층 규격1.1(PHY Specification 1.1)이 사용될 경우, 사용되는 채널은 그 규격을 따르는 9번부터 46번까지의 채널들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9번부터 46번까지의 채널 범위에는 TFI채널과 FFI채널이 포함된다.
여기서, TFI채널은 물리 채널1에 속하는 9 ~ 12, 물리 채널2에 속하는 17 ~ 20, 물리 채널 3에 속하는 25 ~ 28, 물리 채널 4에 속하는 33 ~ 36 번이다.
각 TFI채널은 3개의 주파수 밴드로 구성되며, 그 3개의 주파수 밴드의 주파수 호핑 패턴에 따라 정해진다.
예를 들어, 3개의 주파수 밴드를 1, 2, 3의 밴드 ID로 정할 경우 물리 채널1에 속하는 9 ~ 12 번의 TFI채널 각각은 순차적으로 123123, 132132, 112233, 113322의 주파수 호핑 패턴을 가진다.
다음, FFI채널은 물리 채널1에 속하는 13 ~ 15, 물리 채널2에 속하는 21 ~ 23, 물리 채널 3에 속하는 29 ~ 31, 물리 채널4에 속하는 37 ~ 39, 물리 채널5에 속하는 45, 46 번이다.
각 FFI채널은 3개의 주파수 밴드로 구성되며, 그 3개의 주파수 밴드의 주파수 호핑 패턴에 따라 정해진다.
예를 들어, 3개의 주파수 밴드를 1, 2, 3의 밴드 ID로 정할 경우 물리 채널1에 속하는 13 ~ 15번의 FFI채널은 111111, 222222, 333333의 주파수 호핑 패턴을 가진다.
본 발명은 바로 이러한 TFI채널과 FFI채널을 스캐닝하여 상기한 방식에 따라 적합한 어느 하나를 선택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스캐닝할 TFI채널과 FFI채널이 다수 개인 경우, 주파수 대역이 낮은 채널 순서로 스캐닝할 수 있다. 즉, 채널 9번부터 순차적으로 스캐닝할 수 있다.
도 2b는 도 2a의 물리 채널과 그의 주파수 밴드를 설명하기 위해 마련된 것이다.
본 발명은 WiMedia 물리 계층 규격1.1(PHY Specification 1.1)이 사용될 경우, 사용되는 물리 채널은 그 규격을 따르는 1번부터 5번까지의 물리 채널들을 사용할 수 있다.
1번부터 4번까지의 물리 채널은 3개의 주파수 밴드로 구성되며, 5번의 물리 채널은 2개의 주파수 밴드로 구성된다.
각 주파수 밴드는 밴드 ID로 식별되며, 하한 주파수와 상한 주파수를 가진다.
예를 들어, 물리 채널1을 구성하는 3개의 주파수 밴드 각각은 밴드 ID 1, 2, 3으로 식별되며, 밴드 ID가 1인 주파수 밴드의 하한 주파수는 3168MHz이고, 상한 주파수는 3432MHz이다.
도 3에 도시된 채널 선택 방법은 본 발명에 따른 채널 선택 방법의 일예로, UWB기기가 다수의 채널 중에서, 주변의 기기들에 의한 소정의 채널의 사용 여부에 따라 적합한 어느 하나의 채널을 선택하는 것이다.
특히, FFI모드를 사용하여 채널을 선택하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채널 선택 방법은 먼저, 외부로부터 입력된 사용자 명령에 따라 밴드그룹 내의 채널을 스캐닝해 그의 사용 여부를 확인한다.
밴드그룹이 다수개인 경우, 투과력이 좋은 낮은 주파수 대역을 밴드 그룹 내의 채널부터 선택하여(S300) 순차적으로 스캐닝할 수 있다(S305, S310).
예를 들어, 밴드그룹이 1번부터 5번까지를 사용하는 WiMedia 물리 계층 규격1.1(PHY Specification 1.1)이 사용될 경우, 밴드 그룹 1번부터 순차적으로 스캐닝할 수 있다.
소정의 밴그 그룹 내의 채널의 사용 여부는 비콘 패킷 혹은 MMC 패킷의 수신 여부에 따라 판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정의 채널을 스캐닝하여 그 채널로 패킷이 예컨대, 비콘 패킷 이나 MMC 패킷 등이 수신된 경우, 그 채널이 사용되고 있는 것으로 판별한다.
반면에, 소정의 채널을 스캐닝하여 그 채널로 패킷이 예컨대, 비콘 패킷이나 MMC 패킷 등이 수신되지 않은 경우, 그 채널이 사용되고 있지 않은 것으로 판별한 다.
상기 스캐닝되는 채널은 TFI채널이거나 FFI채널이 된다.
상기 TFI채널은 3개의 주파수 밴드로 구성되며, 그 3개의 주파수 밴드의 주파수 호핑 패턴에 따라 밴드 그룹 내에서 여러 개가 정해진다.
예를 들어, 3개의 주파수 밴드를 1, 2, 3의 밴드 ID로 정할 경우, 밴드 그룹1에 속하는 9 ~ 12 번의 TFI채널 각각은 순차적으로 123123, 132132, 112233, 113322의 주파수 호핑 패턴을 가지는 것으로 정해진다.
상기 FFI채널은 역시 3개의 주파수 밴드로 구성되며, 그 3개의 주파수 밴드의 주파수 호핑 패턴에 따라 정해진다.
예를 들어, 3개의 주파수 밴드를 1, 2, 3의 밴드 ID로 정할 경우, 밴드 그룹1에 속하는 13 ~ 15번의 FFI채널은 111111, 222222, 333333의 주파수 호핑 패턴을 가지는 것으로 정해진다.
한편, UWB기기는 사용 가능한 채널을 미리 설정하여, 그 사용 가능하도록 설정된 채널만을 스캐닝하여(S301) 그의 사용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S302).
통상적으로, WiMedia 물리 계층 규격1.1(PHY Specification 1.1)에 따르면, UWB 기기가 지원할 수 있는 밴드 그룹은 1번부터 5번까지인데, 현재까지는 밴드 그룹 1번은 반드시 지원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나머지의 밴드 그룹은 선택적으로 지원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바에 따라, 밴드 그룹 1번을 제외한 나머지의 밴드 그룹이 지원되도록 할 경우, 해당 UWB기기 내의 메모리에 그 정보가 기록되도록 한다.
그러한 정보는 즉, 밴드 그룹 1번을 제외한 나머지 밴드 그룹들의 지원 여부에 관한 정보는 해당 UWB 기기 내의 메모리에 저장된 MIB(Management Information Base)데이터에 기록될 수 있다.
참고로, 상기 MIB데이터는 무선 랜에서 채널 레이트나 디바이스의 각종 파라미터 정보 등이 기록되어 있는 데이터이다.
다음, 이렇게 밴드 그룹들에 속해 있는 채널을 스캐닝하여 즉, TFI채널과 FFI채널을 스캐닝하여 각각의 사용 여부를 확인하면, 그 확인한 정보에 따라 적합한 소정의 채널을 선택한다.
구체적으로는 다음과 같다.
밴드 그룹들에 속해 있는 TFI채널과 FFI채널의 사용 여부를 확인한 결과(S303, S304), TFI채널과 FFI채널이 모두 사용되고 있지 않은 경우, 사용되고 있지 않은 FFI채널 중에서 어느 하나를 선택한다(S308).
이 때, 투과력이 좋은 FFI채널 즉, 가장 낮은 주파수의 FFI채널을 선택할 수 있다.
반면에, 밴드 그룹들에 속해 있는 TFI채널과 FFI채널의 사용 여부를 확인한 결과(S303, S304), TFI채널이 사용되고 있지 않으면서, FFI채널이 모두 사용되고 있는 경우, 할당되지 않은 비콘 슬롯이 가장 많은 FFI채널을 선택한다(S306 ~ S307).
즉, FFI채널의 스캐닝 시, 각 FFI채널의 비콘 인터벌(beacon interval) 시간 동안 할당되지 않고 남아 있는 비콘 슬롯의 수를 계수한다.
그리고, 계수한 결과, 할당되지 않은 비콘 슬롯이 가장 많은 FFI채널을 선택한다.
그 결과, 할당되지 않은 비콘 슬롯이 가장 많은 FFI채널을 선택해 사용하게 되므로, 비록 그 FFI채널이 공유되어 사용되더라도, 다른 채널에 비해서는 상대적으로 좀 더 많은 대역폭이 확보되는 것이다.
한편, 비콘 슬롯이 남아 있는게 없는 경우에는, 최초 동작의 경우엔 실패 처리하고(S309), 이동 동작 중일 경우엔 채널을 이동하지 않도록 한다.
도 4에 도시된 채널 선택 방법은 본 발명에 따른 채널 선택 방법의 일예로, UWB기기가 TFI모드를 사용하여 채널을 선택하는 것이다.
먼저, 외부로부터 입력된 사용자 명령에 따라 밴드 그룹 내의 채널을 스캐닝해 그의 사용 여부를 확인한다.
상기 밴드 그룹이 다수개인 경우, 투과력이 좋은 낮은 주파수 대역을 가진 밴드 그룹을 선택해(S400) 그 선택한 밴드 그룹부터 순차적으로 스캐닝할 수 있다(S402, S404, S408).
예를 들어, 밴드 그룹 1번부터 밴드 그룹 5번까지를 사용하는 WiMedia 물리 계층 규격1.1(PHY Specification 1.1)이 사용될 경우, 밴드 그룹 1번부터 순차적으로 스캐닝할 수 있다.
소정 채널의 사용 여부는 패킷의 수신 여부에 따라 판별한다.
예컨대, 소정의 채널을 스캐닝하여 그 채널로 비콘 패킷 혹은 MMC 패킷 등이 수신된 경우, 그 채널이 사용되고 있는 것으로 판별한다.
반면에, 소정의 채널을 스캐닝하여 그 채널로 비콘 패킷 혹은 MMC 패킷 등이 수신되지 않은 경우, 그 채널이 사용되고 있지 않은 것으로 판별한다.
한편, UWB기기는 사용 가능한 밴드 그룹을 미리 설정하여, 그 사용 가능하도록 설정된 밴드 그룹 내의 채널만을 스캐닝하여(S401) 그의 사용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밴드 그룹의 사용 여부에 관한 정보는 해당 UWB기기 내의 메모리에 저장된 MIB데이터에 기록될 수 있다.
다음, 이렇게 밴드 그룹들에 속해 있는 채널을 즉, TFI채널과 FFI채널을 스캐닝하여 그의 사용 여부를 확인하면, 그 확인한 정보에 따라 소정의 채널을 선택한다.
구체적으로는 다음과 같다.
밴드 그룹들에 속해 있는 채널의 사용 여부를 확인한 결과(S403), TFI채널이 모두 사용되고 있지 않은 경우, TFI 채널들 중에서 임의의 TFI채널을 선택한다(S407).
반면에, 밴드 그룹들에 속해 있는 채널의 사용 여부를 확인한 결과(S403), TFI채널이 하나라도 사용되고 있는 경우, FFI채널 중에서 할당되지 않은 비콘 슬롯이 가장 많은 FFI채널을 선택한다(S405, S406).
즉, FFI채널의 스캐닝 시, 각 FFI채널의 비콘 인터벌(beacon interval) 시간 동안 할당되지 않고 남아 있는 비콘 슬롯의 수를 계수한다.
그리고, 계수한 결과, 사용되지 않고 있는 비콘 슬롯의 수가 가장 많은 FFI 채널을 선택한다.
그 결과, 상기한 바와 같이, 할당되지 않은 비콘 슬롯이 가장 많은 FFI채널을 선택해 사용하게 되므로, 비록 그 FFI채널이 공유되어 사용되더라도, 다른 채널에 비해서는 상대적으로 좀 더 많은 대역폭이 확보되는 것이다.
한편, 모든 FFI채널에 비콘 슬롯이 남아 있지 않는 경우에는, 최초 동작인 경우엔 실패 처리하고(S409), 채널의 이동 시도 중일 경우엔 채널의 이동을 수행하지 않도록 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통신 디바이스의 채널 선택 방법은 채널 간섭이 불가피하게 발생될 경우, 간섭을 최소화할 수 있는 채널을 선택을 할 수 있다.

Claims (7)

  1. 인터리빙 모드인 TFI(Time Frequency Interleaving)모드와 FFI(Fixed Frequency Interleaving)모드를 미리 설정하고, 소정의 모드 선택 명령에 따라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단계;
    외부의 채널 선택 명령에 따라 밴드그룹 내의 TFI채널과 FFI채널의 사용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선택한 인터리빙 모드와 상기 확인한 결과에 따라 밴드그룹 내의 TFI채널 또는 FFI채널을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통신 디바이스의 채널 선택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한 인터리빙 모드가 FFI모드이고, 상기 확인한 결과, 밴드그룹 내의 TFI채널과 FFI채널이 모두 사용되고 있지 않은 경우, 사용되고 있지 않은 FFI채널 중에서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통신 디바이스의 채널 선택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한 인터리빙 모드가 TFI모드이고, 상기 확인한 결과, 밴드그룹 내의 TFI채널이 사용되고 있지 않고, FFI채널이 모두 사용되고 있는 경우, 할당되지 않은 비콘 슬롯이 가장 많은 FFI채널을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디바이스의 채널 선택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한 인터리빙 모드가 TFI모드이고, 상기 확인한 결과, 밴드그룹 내의 TFI채널이 모두 사용되고 있지 않은 경우, 밴드 그룹 내의 TFI 채널 중에서 어느 하나의 TFI채널을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통신 디바이스의 채널 선택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한 인터리빙 모드가 TFI모드이고, 상기 확인한 결과, 밴드그룹 내의 TFI채널이 하나라도 사용되고 있는 경우, 밴드 그룹 내의 FFI 채널 중에서 할당되지 않은 비콘 슬롯이 가장 많은 FFI채널을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통신 디바이스의 채널 선택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확인하는 단계는;
    사용 가능하도록 미리 설정된 밴드그룹 내 채널만의 사용 여부를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디바이스의 채널 선택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밴드그룹이 다수개인 경우,
    주파수 대역이 낮은 밴드그룹의 순서로 밴드 그룹내의 TFI채널과 FFI채널의 사용 여부를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디바이스의 채널 선택 방법.
KR1020060017927A 2006-02-23 2006-02-23 통신 디바이스의 채널 선택 방법 KR1006589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17927A KR100658935B1 (ko) 2006-02-23 2006-02-23 통신 디바이스의 채널 선택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17927A KR100658935B1 (ko) 2006-02-23 2006-02-23 통신 디바이스의 채널 선택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58935B1 true KR100658935B1 (ko) 2006-12-15

Family

ID=377336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17927A KR100658935B1 (ko) 2006-02-23 2006-02-23 통신 디바이스의 채널 선택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58935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152327A1 (en) 2003-12-02 2005-07-14 Infineon Technologies Ag Interleaving circuit for a multiband OFDM transceiver
US20050195765A1 (en) 2004-03-08 2005-09-08 Infineon Technologies Ag Dual carrier modulator for a multiband OFDM transceiver
US20050232139A1 (en) 2004-04-20 2005-10-20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Dual length block codes for multi-band OFDM
US20050237923A1 (en) 2004-04-26 2005-10-27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Multi-bank OFDM high data rate extensions
US20050265220A1 (en) 2004-05-10 2005-12-01 Infineon Technologies Ag Preamble generator for a multiband OFDM transceiver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152327A1 (en) 2003-12-02 2005-07-14 Infineon Technologies Ag Interleaving circuit for a multiband OFDM transceiver
US20050195765A1 (en) 2004-03-08 2005-09-08 Infineon Technologies Ag Dual carrier modulator for a multiband OFDM transceiver
US20050232139A1 (en) 2004-04-20 2005-10-20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Dual length block codes for multi-band OFDM
US20050237923A1 (en) 2004-04-26 2005-10-27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Multi-bank OFDM high data rate extensions
US20050265220A1 (en) 2004-05-10 2005-12-01 Infineon Technologies Ag Preamble generator for a multiband OFDM transceiv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51733B2 (en) Methods of optimizing scanning parameters for a plurality of channels in a wireless band
JP4950249B2 (ja) 無線通信システム及び基準信号を用いる方法
CN103155443B (zh) 无线通信装置以及无线通信方法
EP1257093B1 (en) Wireless network system comprising access points
Xu et al. Optimal bandwidth selection in multi-channel cognitive radio networks: How much is too much?
US9088987B2 (en) Communication channel determination method and a determination apparatus
JP5159714B2 (ja) 制御装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WO2004086667A2 (en) Self-configuring, self-optimizing wireless local area network system
WO2002089351A9 (en) Reducing mutual channel interference in frequency-hopping spread spectrum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such as bluetooth systems
CN101558606A (zh) 用于为无线局域网的服务设置优先级的方法和设备
JP2002217918A (ja) 無線基地局及び無線基地局の利用周波数設定方法
KR20030011599A (ko) 다이내믹 tdma 프레임 내의 채널 할당 스케줄링 장치및 방법
EP1626514B1 (en) Method for managing uplink scrambling codes in WCDMA
JP2014179699A (ja) 無線通信装置
KR100658935B1 (ko) 통신 디바이스의 채널 선택 방법
CN102113391B (zh) 用于使得能够实现超宽带设备的兼容性的技术
EP3534544A1 (en) Frequency hopping communication method and device thereof
EP1217851A1 (en) Channel selection procedure for mobile communication devices
US7720033B2 (en) Wireless communication apparatus and wireless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for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10660107B2 (en) Method of avoiding Wi-Fi interference using channel structure characteristics and Bluetooth apparatus using same
US7656962B2 (en) Method for transmitting signals in a radio communication system
JP2018133657A (ja) 無線通信装置、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WO2009093687A2 (ja) 無線制御装置および無線送信タイミング決定方法
JP2986341B2 (ja) 無線チャネル割当制御方法及び装置
JP5388129B2 (ja) 無線通信ネットワークの周波数チャネル選択方法及び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92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