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58829B1 - 플렉시블관의 제조장치및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플렉시블관의 제조장치및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58829B1
KR100658829B1 KR1020050124210A KR20050124210A KR100658829B1 KR 100658829 B1 KR100658829 B1 KR 100658829B1 KR 1020050124210 A KR1020050124210 A KR 1020050124210A KR 20050124210 A KR20050124210 A KR 20050124210A KR 100658829 B1 KR100658829 B1 KR 1006588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rkpiece
mold
movable parts
manufacturing
spir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242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영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동양플렉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동양플렉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동양플렉스
Priority to KR10200501242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5882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588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588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15/00Corrugating tubes
    • B21D15/04Corrugating tubes transversely, e.g. helically
    • B21D15/06Corrugating tubes transversely, e.g. helically annular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43/00Feeding, positioning or storing devices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apparatus for working or processing sheet metal, metal tubes or metal profiles; Associations therewith of cutting devices
    • B21D43/02Advancing work in relation to the stroke of the die or tool
    • B21D43/021Control or correction devices in association with moving stri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43/00Feeding, positioning or storing devices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apparatus for working or processing sheet metal, metal tubes or metal profiles; Associations therewith of cutting devices
    • B21D43/02Advancing work in relation to the stroke of the die or tool
    • B21D43/04Advancing work in relation to the stroke of the die or tool by means in mechanical engagement with the wor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haping Of Tube Ends By Bending Or Straighten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플렉시블관의 제조장치및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종래의 제조장치는 내외금형의 결합과 분리를 반복하면서 가공물에 주름부를 한 단계, 한 단계씩 반복 성형하여야 하므로 작업성이 나쁘고 시간이 오래 걸려 생산성이 떨어지는 등 원가 상승의 요인이 많은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외주면에 파형의 나선형 주름성형부(131)가 구비되고 회전척(110)에 일단이 물려 회전되는 스크류봉 형상의 내부금형(130); 상기 주름성형부(131)와 맞물리는 환형의 성형돌부(251)가 내부금형(130)에 끼워진 가공물(500)을 눌러 나선형 주름부(510)를 성형하는 외부금형(251a)(251b); 왕복대(200)상의 양쪽 고정레일부(210a)(210b)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외부금형(251a)(251b)을 동작시키는 가동부(220a)(220b); 상기 가동부(220a)(220b)간의 간격을 좁혀주거나 벌려주는 인장수단과 벌림수단; 을 구비하여 가공물(500)에 나선형 주름부(510)를 성형토록 한 것으로서, 플렉시블관의 제조가 신속 간편하여 대량생산이 가능하므로 원가절감의 효과가 크고 통과되는 기류가 나선형을 이루면서 통과하므로 열통과율이 뛰어난 것이다.
플렉시블관, 덕트, 연도관, 내부금형, 외부금형,

Description

플렉시블관의 제조장치및 제조방법{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e of flexible hose}
도 1a 는 종래의 제조장치로 가공물인 관체에 환형 주름부를 하나씩 만들어가는 과정을 보인 정면도
도 1b 는 종래의 환형 주름부에 의한 플렉시블관의 공기 흐름도를 보인 일부 단면도
도 2 는 본 발명이 실시된 플렉시블관 제조장치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일 실시예의 사시도
도 3a 내지 3d 는 본 발명의 플렉시블관 제조장치로 플렉시블관을 만드는 과정을 차례로 보인 평면도
도 4a 와 4b 는 본 발명의 제조장치에 의해 서로 다른 형태로 만든 플렉시블관을 보인 정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 회전척 120 : 스크류이송봉
130 : 내부금형 200 : 왕복대
210a,210b: 가동레일부 220a,220b: 가동부
250a,250b: 외부금형 251 : 성형돌부
310 : 벌림구 311 : 센서감지부
410,420: 센서 500 : 가공물
510 : 주름부
본 발명은 플렉시블관의 제조장치및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건물의 냉난방 공조용 덕트나 난방기기인 히터의 연도관 등에 주로 사용되는 구경이 큰 플렉시블관을 보다 신속 간편하게 대량 제조할 수 있도록 하므로서 생산성 향상에 의한 원가절감을 이루고 열통과율이 뛰어나 열손실을 줄일 수 있는 플렉시블관의 제조장치및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플렉시블관은 각종 기기의 배관라인을 통과하는 에어나 가스등의 기체, 액체, 기류 등의 진행방향을 소정 방향으로 바꾸어 통과시키고자 할 때 주로 사용하는 주름관으로서, 비교적 직경(구경)이 큰 형태의 것은 플렉시블튜브(Flexible tube)라 칭하고, 직경이 작은 것은 플렉시블호스(Flexible hose)라 칭한다.
이러한 플렉시블관은 원하는 방향으로 자유롭게 신축되면서 절곡이 가능하기 때문에 굴곡진 부위 등 진행방향을 바꾸려는 부위 여러 곳에 사용되고 있으며, 그 중 직경이 큰 플렉시블관은 대부분 건물의 냉난방용 공조기기의 덕트, 렌지후드의 배기덕트, 난방기기인 히터의 연도관 등을 구성할 때 주로 사용하고 있으며, 그 외에도 많은 사용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하지만, 종래에는 상기와 같이 구경이 큰 플렉시블관을 만들 때 그 파형 주름부를 연속 성형할 마땅한 장치가 없어서 대부분 한 구간씩 단계적으로 파형 주름부를 제조하는 방식을 채택하고 있는데 그 구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즉, 종래의 플렉시블관 제조장치로 개발된 국내 실용신안공고번호 1996-0004047호(파형주름관 제조장치)의 구성을 보면 내주면에 주름 성형용 홈이 구비된 외부금형과; 상기 주름 성형용 홈 부위를 향하여 고압의 유체를 공급하는 내부금형;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한 종래의 제조장치는 외부금형과 내부금형의 사이에 소재용 관체를 끼워 넣고 내부금형의 유체공급로를 통해 고압의 유체(수압)를 공급하면 상기 주름성형용 홈 부위에 위치한 소재용 관체의 일 부위가 외부금형 내주면의 주름 성형용 홈 속으로 부풀어 올라가면서 파형을 이루는 주름이 성형되는 것이다.
그 외에도 유체를 사용하는 내부금형 대신 성형고무를 사용하는 내부금형을 설치하여 유압으로 성형고무의 전/후 양면을 압축하면 성형고무의 외경이 외측으로 벌어지면서 소재용 관체의 일 부위를 외부로 강하게 밀어 줌에 따라 그 부위가 외부금형의 주름 성형용 홈 속으로 부풀어 올라가면서 파형 주름이 성형되는 타입의 제조장치도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제조장치들은 플렉시블관의 각 주름부를 한 단계 성형한 후에는 외부금형을 벌려서 소재용 관체를 일정구간 이동시킨 후 다시 외부금 형을 닫고 주름부를 성형하여야 하는 등 하나의 플렉시블관을 만들 때마다 매번 여러 단계로 나누어 주름부를 성형하여야 하므로 작업이 상당히 까다롭고 힘들며 번거롭다고 할 수 있다.
즉, 도 1a 는 종래 제조장치에 의해 관체 가공물에 주름부가 점차 성형되면서 플렉시블관으로 만들어지는 과정을 보인 측면도로서, 가공물(50)에 각 주름부(51)를 하나씩 반복하여 계속 성형하여야 하므로 작업성이 나쁘고 시간이 오래 걸려서 인력소모는 많은데 비해 생산성이 떨어지는 등 원가 상승의 요인이 많은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종래의 제조장치로 만들어지는 플렉시블관은 파형 주름부(51)가 하나의 환형을 이루는 낱개로 반복 성형되는 것이므로 열 통과율이 떨어져 연손실이 많은 문제점이 있다.
즉, 도 1b 와 같이 플렉시블관의 내부를 난방용 기기의 더운 열기가 통과할 때 그 더운 공기의 일부는 주름부(51)의 홈 속으로 들어갔다가 돌아 나오면서 직선으로 통과하려는 열기와 계속 부딪히게 되므로 열통과율이 현저히 떨어지게 되며, 이로 인해 플렉시블관 부위가 필요이상 과열되는 등 열손실이 많아지므로 연료비가 상승하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또한 냉방기기용 덕트에 설치될 때는 통과되는 냉기가 플렉시블관을 통과할 때 상기 낱개의 파형 주름부(51)를 연속 반복하여 통과하는 동안 냉기 손실이 많아지면서 플렉시블관 부위의 온도가 다른 배관 부위에 비해 상당히 냉각되므로 결로 현상에 의한 이슬 맺힘이 발생하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하기도 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제조장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개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냉난방용 공조기기의 덕트나 난방기기인 히터의 연도관 등에 주로 사용하는 구경이 큰 플렉시블관을 보다 신속 간편하게 제조할 수 있게 하여 대량 생산할 수 있도록 하므로서 원가절감을 이룰 수 있는 플렉시블관 제조장치및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와 같은 냉난방용 공조기기 및 난방기기의 연도관 등으로 사용할 때 열통과율이 뛰어나 열손실을 줄일 수 있는 플렉시블관의 제조장치및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바람직한 기술구성 및 작용을 실시예로 첨부한 별첨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 는 본 발명이 실시된 플렉시블관 제조장치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일 실시예의 사시도이고, 도 3a 내지 3d 는 본 발명의 플렉시블관 제조장치로 플렉시블관을 만드는 과정을 차례로 보인 평면도이며, 도 4a 와 4b 는 본 발명의 제조장치에 의해 서로 다른 형태로 만든 플렉시블관을 보인 정면도이다.
이에 도시한 본 발명은 플렉시블관 제조장치를 구성함에 있어서, 본체(100)의 가공물(500)이 물리는 회전척(110)과; 상기 회전척(110)을 향하여 전진과 후진 을 행하는 왕복대(200); 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외주면에 파형의 나선형 주름성형부(131)가 구비되고 상기 회전척(110)에 일단이 물려서 함께 회전되는 스크류봉 형상의 내부금형(130); 상기 주름성형부(131)와 맞물리는 환형의 성형돌부(251)가 내부금형(130)에 끼워진 가공물(500)을 눌러 나선형 주름부(510)를 성형하는 외부금형(251a)(251b); 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외부금형(251a)(251b)은 가공물(500)에 가해지는 힘을 분산시키기 위해 서로 대향된 위치에서 내부금형(130)에 끼워져 회전되는 가공물(500)의 양쪽을 눌러 주름부(510)를 성형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 일례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외부금형(251a)(251b)을 링 형상으로 하여 내부금형(130)에 끼워진 상태에서 상반되는 방향으로 동작되게 하였다.
그리고, 상기 내부금형(130)을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보게 왕복대(200) 상에 고정설치된 양쪽 고정레일부(210a)(210b)에서 내부금형(130)을 향하여 전후로 이동되는 양쪽 가동부(220a)(220b)와; 상기 양쪽 가동부(220a)(220b) 사이의 간격을 좁혀주거나 벌려주는 인장수단과 벌림수단; 상기 가동부(220a)(220b)와 함께 전후 이동되면서 일측에 장착된 상기 외부금형(251a)(251b)의 성형돌부(251)를 내부금형(130)의 주름성형부(131)에 밀착시키거나 떨어지게 하는 양쪽 지지부(230a)(230b); 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양쪽 가동부(220a)(220b)의 상기 인장수단으로는 스프링이나 고무줄 등의 인장부재(221) 장력에 의해 가동부(220a)(220b)의 간격이 좁혀지게 설치하고, 상기 가동부(220a)(220b)의 벌림수단으로는 양쪽 가동부(220a)(220b)의 마주하고 있는 선단(223) 사이에 실린더(300)로 전후진되는 쐐기형 벌림구(310)를 설치함을 특징으로 한다.
도면중 미설명부호 (222)는 벌림구(310)가 전후진될 때의 충격을 완화시키기 위해 가동부(220a)(220b)의 선단(223)에 설치하는 공회전용 롤러이다.
그리고, 상기 벌림구(310) 일측에는 센서감지부(311)를 설치하고, 왕복대(200) 상에는 그 벌림구(310)의 이동거리를 감지하는 센서(410)(420)를 설치한다. 그러면 벌림구(310)가 후진되었을 때 또는 전진하였을 때에 따라 센서감지부(311)의 위치가 센서에 의해 정확히 감지되면서 실린더(300)의 동작을 제어하므로 벌림구(310)가 정확하게 양쪽 가동부(220a)(220b)를 벌려주게 된다.
그리고, 상기의 양쪽 지지부(230a)(230b)는 핸들(240)을 돌리면 가동부(220a)(220b) 위에서 횡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같이 하면 병렬로 포개져 설치되는 양쪽 외부금형(251a)(251b) 사이의 간격을 성형제품의 파형 주름부(510) 크기에 따라 조절할 수 있기 때문이다.
여기서 상기 왕복대(200)를 전후로 왕복 이동시키는 스크류이송봉(120)은 콘트롤부(도면에 미도시)의 입력 정보에 따라 정/역회전되면서 자동으로 왕복대(200)를 전후진시키도록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핸들에 의한 수동방식으로 왕복대(200)가 전후진 이동되게 구성할 수도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구성중 상기 왕복대(200)의 이동수단으로는 스크류이송봉(120)을 사용하지 않고 실린더와 같이 왕복대(200)가 소정의 길이를 왕복 이동할 수 있는 수단이라면 어느 것이나 무방하다고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된 본 발명에 의해 플렉시블관을 제조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가공물 세팅단계)
도3a 에서와 같이 벌림구(310)는 후진된 위치에 있고, 양쪽 외부금형(251a)(251b)은 내주면이 내부금형(130)의 외주면과 이격된 상태에서 도3b 와 같이 본체(100)의 회전척(110)과 내부금형(130) 사이의 공간에 원통형 관체인 가공물(500)의 일단을 끼워서 회전척(110)과 내부금형(130) 및 가공물(500)이 함께 회전 가능하도록 세팅한다.
(외부금형의 가공물 밀착 세팅단계)
그 후 도3c 와 같이 양쪽 가동부(220a)(220b)가 고정레일부(210a)(210b)에서 뒤로 밀려나도록 벌림수단을 사용하여 사이를 벌려준다. 그러면 양쪽 가동부(220a)(220b) 상의 지지부(230a)(230b)도 가동부(220a)(220b)를 따라 함께 뒤로 밀려나게 되므로 그 지지부(230a)(230b)에 장착되어 내부금형(130)에 병렬로 함께 끼워져 있던 외부금형(251a)(251b)은 내부금형(130)을 사이에 두고 서로 반대방향으로 엇갈리게 당겨지면서 내주면의 환형 성형돌부(251)가 가공물(500)을 강하게 눌러 주게 된다.
이로 인해 가공물(500)의 일단은 도3c 와 같이 외부금형(251a)(251b)의 상반된 위치에서 눌러주는 성형돌부(251)에 눌려서 내부금형(130)의 나선형 주름성형부(131) 속으로 밀려 들어가 밀착된 상태로 세팅된다.
본 발명은 상기 가동부(220a)(220b)의 벌림수단 실시예로 도2 내지 도3 과 같이 양쪽 가동부(220a)(220b) 사이에 쐐기형 벌림구(310)를 설치하고 그 벌림구(310)는 실린더(300)에 의해 전후진되게 하였다.
즉, 벌림구(310)가 후진되어 얇고 뾰죽한 선단부위가 양쪽 가동부(220a)(220b) 사이에 위치되면 양쪽 가동부(220a)(220b)는 인장수단으로 당겨지므로 서로의 간격은 좁혀지고, 벌림구(310)가 전진되어 두꺼운 부분이 가동부(220a)(220b) 사이에 위치되면 서로 밀리면서 간격이 벌어진다.
이때 양쪽 가동부(220a)(220b)의 선단(223)에는 공회전되는 롤러(222)를 설치하여 벌림구(310)가 상기 롤러(222)와 접촉된 상태에서 전후진되게 하여 벌림구(310)의 진출입때의 충격을 완화시키도록 하였다. 그리고, 상기 벌림구(310)는 위에서 언급한 것처럼 일측에 설치된 센서감지부(311)를 양쪽의 센서(410)(420)가 감지하여 벌림구(310)의 이동거리를 제어하므로 그 전후진되는 범위가 일정하게 유지된다.
(나선형 주름부 성형단계)
상기와 같이 외부금형(251a)(251b)에 의해 가공물(500)의 일단이 내부금형(130)의 나선형 주름성형부(131)에 밀착된 상태에서 본체(100)의 회전척(110)을 회전시키면 그 회전척(110)에 장착된 내부금형(130)과 가공물(500)이 함께 회전되면서 가공물(500)에는 주름부(510)가 성형된다.
이때, 내부금형(130)의 주름성형부(131)는 나선형을 이루고 있고, 상기 외부금형(251a)(251b)이 설치된 왕복대(200)는 스크류이송봉(120)의 회전을 따라 일측 으로 점차 이동되므로(도3c 및 도3d 를 기준할 때 우측으로 이동) 가공물(500)에는 나선형 주름부(510)가 상당히 신속하게 성형된다.
이러한 본 발명은 가공물(500)에 원하는 길이의 나선형 주름부(510)가 성형되면 회전척(110)과 스크류이송봉(120)의 회전을 중단시킨 상태에서 쐐기형 벌림구(310)를 후진시킨다. 그러면 가동부(220a)(220b)는 인장수단에 의해 당겨져 그 간격이 신속히 좁혀지면서 양쪽 외부금형(251a)(251b)은 가공물(500) 표면으로부터 떨어진 상태가 된다.
본 발명은 이러한 상태에서 도 4b 와 같이 가공물(500)의 기 성형된 주름부(510)에서 일정 간격 떨어진 부위에 또 다시 주름부(510)를 성형하고자 할 경우에는 그만큼 외부금형(251a)(251b)을 이동시킨 상태에서 다시 상기 "외부금형(251a)(251b)의 가공물(500) 밀착 세팅단계"와 "나선형 주름부 성형단계"를 반복하여 행하면 되고, 주름부(510)를 다 성형하여 외부금형(251a)(251b)을 처음위치로 복귀시키고자 할 경우에는 아래의 복귀 단계를 수행하면 된다.
(외부금형의 원위치 복귀단계)
상기 단계에서 가공물(500)에 원하는 길이의 나선형 주름부(510)를 다 성형한 후에는 위에서 언급한 것처럼 회전척(110)과 스크류이송봉(120)의 회전을 중단시킨 상태에서 가동부(220a)(220b)를 벌리고 있던 쐐기형 벌림구(310)를 후진시킨다.
그러면 인장수단인 고무줄이나 스프링으로 당겨지고 있던 양쪽 가동부(220a)(220b)는 신속하게 간격이 좁혀지고, 이로 인해 지지부(230a)(230b)의 양쪽 외부금형(251a)(251b)은 가공물(500) 표면으로부터 떨어진 상태가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스크류이송봉(120)을 역회전시키면 가공물(500)이 내부금형(130)에 끼워져 있는 상태에서 가공물(500) 표면과 떨어진 상태에 있는 외부금형(251a)(251b)만이 원위치로 후진 이송되어 복귀된다.
(가공물의 탈거단계)
상기 외부금형(251a)(251b)의 원위치 복귀가 된 후 가공물(500)을 내부금형(130)에서 빼내 탈거시키면 그 가공물(500)은 도 4a 및 4b 와 같이 나선형의 주름부(510)와 그 양단에 주름지지 않은 결합부(520)가 구비된 플렉시블관이 되는 것이며, 필요에 따라 주름이 성형되지 않은 부위를 절단하면 전체가 나선형 주름부(510)만으로된 플렉시블관으로 만들 수도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냉난방 공조용 덕트나 난방기기인 히터의 연도관 등에 주로 사용되는 구경이 큰 플렉시블관을 제조할 때 종래의 제조장치에 비해 상당히 신속하면서도 간편하게 제조할 수 있어 작업성이 좋고 대량 생산이 가능하므로 원가절감의 효과가 매우 큰 것이다.
이와 같이 제조된 본 발명의 플렉시블관은 몸체에 나선형 주름부가 형성되는 것이므로 연도관 등의 배관으로 사용할 때 내부로 통과되는 기류가 지속적으로 나선형을 이루면서 통과되는 것이므로 그 열통과율이 뛰어나 열손실을 최대한 줄일 수 있는 효과도 있는 것이다.

Claims (7)

  1. 플렉시블관의 제조장치를 구성함에 있어서,
    회전척(110)에 가공물(500)이 물리는 본체(100);
    상기 회전척(110)을 향하여 전진과 후진을 행하는 왕복대(200);
    외주면에 파형의 나선형 주름성형부(131)가 구비되고 상기 회전척(110)에 일단이 물려서 외주면에 끼워지는 관체인 가공물(500)과 함께 회전되는 스크류봉 형상의 내부금형(130);
    상기 주름성형부(131)와 맞물리는 환형의 성형돌부(251)가 내부금형(130)에 끼워진 가공물(500)을 눌러 나선형 주름부(510)를 성형하는 외부금형(251a)(251b);
    상기 내부금형(130)을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보게 왕복대(200) 상에 고정설치된 양쪽 고정레일부(210a)(210b)를 따라 내부금형(130)을 향하여 전후 이동되는 양쪽 가동부(220a)(220b);
    상기 양쪽 가동부(220a)(220b) 사이의 간격을 좁혀주거나 벌려주는 인장수단과 벌림수단;
    상기 외부금형(251a)(251b)이 일측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가동부(220a)(220b)와 함께 전후 이동되는 양쪽 지지부(230a)(230b);
    를 구비하여 가공물(500)인 관체에 나선형 주름부(510)를 성형함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관의 제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외부금형(251a)(251b)을 동작시키는
    양쪽 가동부(220a)(220b)의 인장수단으로는 양쪽 가동부(220a)(220b)가 스프링이나 고무줄 등의 인장부재(221) 장력에 의해 간격이 좁혀지게 설치하고,
    양쪽 가동부(220a)(220b)의 벌림수단으로는 양쪽 가동부(220a)(220b)의 마주보고 있는 선단(223)의 롤러(222) 사이에 실린더(300)로 전후진되는 쐐기형 벌림구(310)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관의 제조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부(220a)(220b)의 인장수단인 인장부재(221)와, 벌림수단인 쇄기형 벌림구(310)에 의해 동작되는 외부금형(251a)(251b)을 링 형상으로 구성하여 내부금형(130)에 병렬로 끼워진 상태에서 동작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관의 제조장치.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벌림구(310)의 일측에는 센서감지부(311)를 설치하고,
    왕복대(200) 상에는 상기 센서감지부(311)의 이동거리를 감지하는 센서(410)(420)를 설치하여 쐐기형 벌림구(310)의 이동거리가 제어되게 한 것을 특징으 로 하는 플렉시블관의 제조장치.
  5. 제1항, 제2항,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부(220a)(220b)상의 지지부(230a)(230b)는 핸들(240)에 의해 가동부(220a)(220b)에서 횡방향으로 이동되게 설치하여 가공물(500)의 성형할 주름부(510) 간격에 따라 외부금형(251a)(251b) 간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관의 제조장치.
  6. 플렉시블관을 제조함에 있어서,
    외주면에 파형의 나선형 주름성형부가 구비된 스크류봉 형상의 내부금형 일단을 회전척에 물린 상태에서 원통형 관체인 가공물을 상기 내부금형에 끼워 함께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 세팅하는 가공물 장착 세팅단계;
    상기 주름성형부와 맞물리는 환형의 성형돌부가 구비된 외부금형이 내부금형의 가공물 일단을 눌러서 주름성형부에 밀착시키는 가공물 밀착 세팅단계;
    상기 내부금형과 가공물을 함께 회전시키면서 외부금형을 타단으로 이동시켜서 가공물에 나선형 주름부를 가공하는 주름부 성형단계;
    상기 주름부 성형이 완료되면 외부금형을 가공물에서 분리시킨 후 원위치로 후진시키는 외부금형의 원위치 복귀단계;
    상기 내부금형에서 주름부와 결합부가 형성된 가공물을 빼내는 가공물 탈거단계:
    로 이루어져 나선형 주름부를 성형함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관의 제조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금형을 한쌍으로 구비하여 그 외부금형간의 간격을 조절함에 따라 가공물에 형성되는 나선형 주름부의 간격이 조절되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관의 제조방법
KR1020050124210A 2005-12-15 2005-12-15 플렉시블관의 제조장치및 제조방법 KR1006588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24210A KR100658829B1 (ko) 2005-12-15 2005-12-15 플렉시블관의 제조장치및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24210A KR100658829B1 (ko) 2005-12-15 2005-12-15 플렉시블관의 제조장치및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58829B1 true KR100658829B1 (ko) 2006-12-19

Family

ID=378147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24210A KR100658829B1 (ko) 2005-12-15 2005-12-15 플렉시블관의 제조장치및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5882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27967B1 (ko) * 2021-07-30 2021-11-18 주식회사 뉴텍 나선 호스 제조장치
KR102327969B1 (ko) * 2021-07-30 2021-11-18 주식회사 뉴텍 나선 호스 제조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27967B1 (ko) * 2021-07-30 2021-11-18 주식회사 뉴텍 나선 호스 제조장치
KR102327969B1 (ko) * 2021-07-30 2021-11-18 주식회사 뉴텍 나선 호스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085970B2 (ja) ひだ付けされたろ過挿入体の製法並びにこの製法を実施する装置
RU2527783C2 (ru)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трубопровода с теплоизоляцией, трубопровод и установка для изготовления трубопровода
KR100658829B1 (ko) 플렉시블관의 제조장치및 제조방법
JP6835717B2 (ja) コルゲータのための改善された空気圧制御
RU2005131008A (ru) Способ непрерывного производства пластмассовых труб путем двухосного волочения и производственная линия для реализации этого способа
KR101328868B1 (ko) 엘보 확관성형장치
US7452319B2 (en) Apparatus for producing double-walled composite tubes
KR101390660B1 (ko) 파이프 확관 및 축관장치
EA028441B1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изгибания стеклянных листов путем пропускания их через валки
EP3235625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aking bell joints on plastic pipes
CN104475513A (zh) 一种气动折弯设备
CN208646086U (zh) 波纹管生产用模具
CN107891659A (zh) 一种快速冷却的烫印机
CN207930974U (zh) 一种压延机的冷却装置
GB781879A (en) Improvements in and relating to the manufacture of films
KR101661362B1 (ko) 원심형 송풍기의 케이싱 형성장치
CN112277301A (zh) 一种epe折叠垫压痕机
KR101471127B1 (ko) 핀튜브용 방열핀 제조장치
CN118024630B (en) Film heat setting roller set
CN218321847U (zh) 一种热风无纺布生产系统
CN213925495U (zh) 一种压纹机
CN106140913B (zh) 扁管加工设备以及扁管加工方法
CN221320363U (zh) 一种布料定型的辅助吹边机构
KR101385597B1 (ko) 파이프 벤딩 장치
CN210336884U (zh) 一种epe折叠垫压痕机的加热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3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1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1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1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5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