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58745B1 -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및 그 구동 방법 - Google Patents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및 그 구동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58745B1
KR100658745B1 KR1020040102240A KR20040102240A KR100658745B1 KR 100658745 B1 KR100658745 B1 KR 100658745B1 KR 1020040102240 A KR1020040102240 A KR 1020040102240A KR 20040102240 A KR20040102240 A KR 20040102240A KR 100658745 B1 KR100658745 B1 KR 1006587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strate
electrode
partition member
discharge
electrod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1022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63144A (ko
Inventor
신승록
허민
최영도
Original Assignee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1022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58745B1/ko
Priority to US11/294,378 priority patent/US20060119545A1/en
Publication of KR200600631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631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587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587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11/00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alternating current induction of the discharge, e.g. alternating current plasma display panels [AC-PDP]; 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out any main electrode inside the vessel; 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at least one main electrode outside the vessel
    • H01J11/20Constructional details
    • H01J11/22Electrodes, e.g. special shape, material or configuration
    • H01J11/24Sustain electrodes or scan electrod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2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luminous gas-discharge panels, e.g. plasma panels
    • G09G3/28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luminous gas-discharge panels, e.g. plasma panels using AC panels
    • G09G3/291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luminous gas-discharge panels, e.g. plasma panels using AC panels controlling the gas discharge to control a cell condition, e.g. by means of specific pulse shapes
    • G09G3/293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luminous gas-discharge panels, e.g. plasma panels using AC panels controlling the gas discharge to control a cell condition, e.g. by means of specific pulse shapes for address discharg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2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luminous gas-discharge panels, e.g. plasma panels
    • G09G3/28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luminous gas-discharge panels, e.g. plasma panels using AC panels
    • G09G3/291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luminous gas-discharge panels, e.g. plasma panels using AC panels controlling the gas discharge to control a cell condition, e.g. by means of specific pulse shapes
    • G09G3/29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luminous gas-discharge panels, e.g. plasma panels using AC panels controlling the gas discharge to control a cell condition, e.g. by means of specific pulse shapes for lighting or sustain discharg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2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luminous gas-discharge panels, e.g. plasma panels
    • G09G3/28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luminous gas-discharge panels, e.g. plasma panels using AC panels
    • G09G3/29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luminous gas-discharge panels, e.g. plasma panels using AC panels using surface discharge panels
    • G09G3/299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luminous gas-discharge panels, e.g. plasma panels using AC panels using surface discharge panels using alternate lighting of surface-type pane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11/00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alternating current induction of the discharge, e.g. alternating current plasma display panels [AC-PDP]; 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out any main electrode inside the vessel; 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at least one main electrode outside the vessel
    • H01J11/10AC-PDPs with at least one main electrode being out of contact with the plasma
    • H01J11/16AC-PDPs with at least one main electrode being out of contact with the plasma with main electrodes provided inside or on the side face of the spac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11/00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alternating current induction of the discharge, e.g. alternating current plasma display panels [AC-PDP]; 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out any main electrode inside the vessel; 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at least one main electrode outside the vessel
    • H01J11/20Constructional details
    • H01J11/22Electrodes, e.g. special shape, material or configuration
    • H01J11/26Address electr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11/00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alternating current induction of the discharge, e.g. alternating current plasma display panels [AC-PDP]; 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out any main electrode inside the vessel; 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at least one main electrode outside the vessel
    • H01J11/20Constructional details
    • H01J11/34Vessels, containers or parts thereof, e.g. substrates
    • H01J11/42Fluorescent laye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10/00Command of the display device
    • G09G2310/02Addressing, scanning or driving the display screen or processing steps related thereto
    • G09G2310/0202Addressing of scan or signal lines
    • G09G2310/0218Addressing of scan or signal lines with collection of electrodes in groups for n-dimensional addressing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10/00Command of the display device
    • G09G2310/02Addressing, scanning or driving the display screen or processing steps related thereto
    • G09G2310/0224Details of interlacing
    • G09G2310/0227Details of interlacing related to multiple interlacing, i.e. involving more fields than just one odd field and one even fiel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211/00Plasma display panels with alternate current induction of the discharge, e.g. AC-PDPs
    • H01J2211/20Constructional details
    • H01J2211/22Electrodes
    • H01J2211/24Sustain electrodes or scan electrodes
    • H01J2211/245Shape, e.g. cross section or patter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211/00Plasma display panels with alternate current induction of the discharge, e.g. AC-PDPs
    • H01J2211/20Constructional details
    • H01J2211/22Electrodes
    • H01J2211/26Address electrodes
    • H01J2211/265Shape, e.g. cross section or patter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lasma & Fusio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Gas-Filled Discharge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방전개시전압을 낮추면서 발광효율을 향상시키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은, 서로 대향 배치되는 제1 기판 및 제2 기판과, 상기 제1 기판과 제2 기판의 사이에서 다수의 방전셀을 구획하는 격벽을 포함한다. 격벽은 일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제1 격벽부재와, 상기 제1 격벽부재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배치되는 제2 격벽부재와, 상기 한 쌍의 제2 격벽부재 사이에서 상기 제1 기판에 인접하여 배치되며 상기 제2 격벽부재와 나란하게 형성되는 제3 격벽부재와, 상기 제3 격벽부재와 대응하는 형상으로 상기 제2 기판에 인접하여 형성되는 제4 격벽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각 방전셀 내에 형광체층이 형성된다. 상기 제1 기판과 제2 기판의 사이에서 상기 제1 격벽부재와 나란한 방향을 따라 나란히 어드레스전극들이 형성된다. 상기 제1 기판과 제2 기판의 사이에서 상기 어드레스전극과 전기적으로 절연되면서 이와 교차하는 방향을 따라 상기 제2 격벽부재들에 대응하면서 상기 기판들의 전면에서 볼 때 실질적으로 균일한 선폭을 갖는 제1 전극과 제2 전극을 포함하는 유지전극들이 형성된다. 상기 제1 기판과 제2 기판의 사이에서 상기 방전셀을 관통하여 상기 유지전극들 사이에 이들과 나란하게 배치되면서, 상기 기판들의 전면에서 볼 때 실질적으로 균일한 선폭을 갖는 스캔전극들이 형성된다.
이 때, 상기 어드레스전극에는 상기 방전셀의 중심을 향해 상기 유지전극과 스캔전극의 사이로 돌출되는 돌출부가 형성된다.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스캔전극, 유지전극, 전극군

Description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및 그 구동 방법{PLASMA DISPLAY PANEL AND DRIVING METHOD THEREOF}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을 도시한 부분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을 결합한 상태에서 Ⅱ-Ⅱ 선을 따라 잘라서 본 부분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에서 전극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부분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에서 전극과 방전셀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부분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 방법을 나타내는 구동 파형도이다.
도 6은 제1 실시예에 따른 구동 방법을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 방법을 나타내는 구동 파형도이다.
도 8은 제2 실시예에 따른 구동 방법을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은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방전개시전압을 낮추면서 발광효율을 향상시키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에 관한 것이다.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lasma display panel, 이하 'PDP'라 한다)은 기체방전을 통하여 얻어진 플라즈마로부터 방사되는 진공자외선(vacuum ultraviolet, VUV)이 형광체를 여기시킴으로써 발생되는 가시광을 이용하여 영상을 구현하는 디스플레이 소자이다.
현재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는 PDP 구조는 3전극 면방전형 구조이다. 이 3전극 면방전형 PDP는 동일면상에 위치하는 유지전극과 주사전극이 형성되는 기판과, 이로부터 일정 거리를 두고 이격되며 상기 유지전극 및 주사전극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어지는 어드레스전극이 형성되는 다른 기판으로 이루어지며, 그 사이에 방전가스가 봉입되어 있다. 이 PDP에서 방전의 유무는 각 라인에 연결되어 독립적으로 제어되는 주사전극과 어드레스전극의 방전에 의해 결정되고, 화면을 표시하는 유지방전은 동일 면상에 위치한 유지전극과 주사전극에 의해 이루어진다.
PDP는 글로우 방전(glow discharge)을 이용하여 가시광을 발광하며, PDP 에서는 이 글로우 방전에 의해 가시광을 생성하여 사람의 눈에 도달하기까지 몇 단계를 거치게 된다. 즉 글로우 방전이 발생하며 전자와 기체들의 충돌에 의해 여기된 기체가 생성되고, 이렇게 여기된 기체로부터 진공자외선이 발생된다. 이 자외선이 방전셀 내의 형광체에 충돌하여 가시광을 생성하고, 이 가시광은 전면의 투명기판을 통과하여 사람의 눈에 도달된다. 이와 같은 단계를 거치면서 어드레스전극, 유지전극 및 주사전극에 인가된 입력 에너지(input power)는 상당량 손실된다.
이 글로우 방전은 방전개시전압 이상의 전압을 두 전극 사이에 인가함으로써 일어난다. 일반적으로 방전이 개시되지 위해서는 상당히 높은 전압이 필요하다. 일단 방전이 일어나면 음극과 양극 주변의 유전층에 생성되는 공간 전하 효과(space charge effect)에 의해서 음극과 양극 사이의 전압 분포는 왜곡된 형태로 나타난다. 즉, 두 전극 각각의 주변에 형성되는 캐소드 쉬스(cathode sheath) 영역과, 애노드 쉬스(anode sheath) 영역에서 전압의 대부분이 소비되고, 이 두 영역 사이에 형성되는 파지티브 칼럼(positive column) 영역에서는 소비되는 전압의 양이 미미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형광체에 충돌되어 가시광을 방출하는 진공자외선은 여기상태(excitation state)의 제논(Xe) 기체가 안정상태(ground state)로 전이될 때 발생하며, 제논(Xe)의 여기 상태는 제논(Xe) 기체와 전자 사이의 충돌에 의하여 생성된다. 따라서 입력 에너지 중 가시광을 생성하는 비율(즉, 발광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제논(Xe) 기체와 전자의 충돌을 증가시키도록 전자가열효율(electron heating efficiency)을 증가시켜야 한다.
캐소드 쉬스 영역에서는 입력 에너지의 대부분이 소비되지만 전자가열효율이 낮고, 파지티브 칼럼 영역에서는 입력 에너지의 소비가 적으면서도 전자가열효율이 매우 높다. 따라서 높은 발광효율은 파지티브 칼럼 영역(방전 갭)을 증가시킴으로 써 가능하다.
또한, 방전 갭(파지티브 칼럼 영역) 사이에 걸린 전기장(E)과 기체밀도(n)의 비(E/n)의 변화에 따른 전체 전자 중에서 소비되는 전자의 비율을 보면, 동일 비(E/n)에서 전자 소비 비율은 제논 여기(Xe*), 제논 이온(Xe+), 네온 여기(Ne*), 네온 이온(Ne+)의 순서로 커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동일 비(E/n)에서, 제논(Xe) 분압이 증가할수록 전자 에너지(electron energy)가 감소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즉, 이 전자 에너지가 감소하면, 제논(Xe)의 분압이 증가하고, 제논(Xe)의 분압이 증가하면, 상기한 제논 여기(Xe*), 제논 이온(Xe+), 네온 여기(Ne*), 네온 이온(Ne+)에서 소비되는 전자 중에서, 다른 부분에 비하여 제논(Xe)의 여기에 소비되는 전자 비율이 커지고, 이로 인하여 발광효율이 향상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파지티브 칼럼 영역의 증가는 전자가열효율을 증가시킨다. 그리고 제논(Xe) 분압의 증가는 전자 중 제논 여기(Xe*)를 위하여 소비되는 전자 가열 비율을 증가시킨다. 따라서 양자 모두 전자가열효율을 증가시켜 발광효율을 향상시키게 된다.
그러나, 파지티브 칼럼 영역의 증가 또는 제논(Xe) 분압의 증가는 모두 방전개시전압(gas breakdown voltage)을 증가시키고, PDP의 제작비용을 증가시키는 문제점을 가진다.
따라서, 발광효율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파지티브 칼럼 영역의 증가와 제논 (Xe) 분압의 증가를 낮은 방전개시전압 하에서 구현하는 것이 요구된다. 알려진 바에 따르면, 방전 갭의 거리 및 압력이 동일한 경우, 면방전 구조에 필요한 방전개시전압보다 대향방전 구조에 필요한 방전개시전압이 더 낮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에 착안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대향방전 구조를 적용하여 방전개시전압을 저감시키면서도 발광 효율을 향상할 수 있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대향방전 구조를 적용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에서 해상도를 증가할 수 있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은, 서로 대향 배치되는 제1 기판 및 제2 기판과, 상기 제1 기판과 제2 기판의 사이에서 다수의 방전셀을 구획하는 격벽을 포함한다. 격벽은 일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제1 격벽부재와, 상기 제1 격벽부재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배치되는 제2 격벽부재와, 상기 한 쌍의 제2 격벽부재 사이에서 상기 제1 기판에 인접하여 배치되며 상기 제2 격벽부재와 나란하게 형성되는 제3 격벽부재와, 상기 제3 격벽부재와 대응하는 형상으로 상기 제2 기판에 인접하여 형성되는 제4 격벽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각 방전셀 내에 형광체층이 형성된다. 상기 제1 기판과 제2 기판의 사이에서 상기 제1 격벽부재와 나란한 방향을 따라 나란히 어드레스전극들이 형성된다. 상기 제1 기판과 제2 기판의 사이에서 상기 어드레스전극과 전기적으로 절연되 면서 이와 교차하는 방향을 따라 상기 제2 격벽부재들에 대응하면서 상기 기판들의 전면에서 볼 때 실질적으로 균일한 선폭을 갖는 제1 전극과 제2 전극을 포함하는 유지전극들이 형성된다. 상기 제1 기판과 제2 기판의 사이에서 상기 방전셀을 관통하여 상기 유지전극 사이에 이들과 나란하게 배치되면서, 상기 기판들의 전면에서 볼 때 실질적으로 균일한 선폭을 갖는 스캔전극들이 형성된다.
이 때, 상기 어드레스전극에는 상기 방전셀의 중심을 향해 상기 유지전극과 스캔전극의 사이로 돌출되는 돌출부가 형성된다.
상기 제1 전극과 제2 전극은 상기 제2 격벽부재 각각에 하나씩 교번하여 대응될 수 있다. 상기 유지전극은, 상기 제1 전극들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면서 이루어지는 제1 유지전극군과, 상기 제2 전극들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면서 이루어지는 제2 유지전극군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캔전극은 상기 제3 격벽부재와 제4 격벽부재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유지전극에는 상기 각 방전셀의 양측에 대응되는 부분에서 상기 제1 기판면에 실질적으로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확장부가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스캔전극에는 상기 각 방전셀의 중앙에 대응되는 부분에서 상기 제1 기판면에 실질적으로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확장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유지전극 및 스캔전극은 금속 전극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유지전극, 스캔전극 및 어드레스전극을 감싸면서 유전층이 절연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격벽부재와 제2 격벽부재는 상기 제1 기판에 인접하여 상기 제2 기판면을 향해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제1 격벽부재와 대응하는 형상으로 상기 제2 기판에 인접하여 상기 제1 기판면을 향해 돌출되어 형성되는 제5 격벽부재와, 상기 제2 격벽부재와 대응하는 형상으로 상기 제2 기판에 인접하여 상기 제1 기판면을 향해 돌출되어 형성되는 제6 격벽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유지전극은 상기 제2 격벽부재와 상기 제6 격벽부재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3 격벽부재 및 제4 격벽부재에 의해 상기 각 방전셀은 두 개의 방전공간으로 분리될 수 있다.
상기 형광층은, 상기 제1 격벽부재, 제2 격벽부재 및 제3 격벽부재에 의하여 구획되어 상기 제1 기판에 인접한 방전셀 내에 형성되는 제1 형광체층과, 상기 제4 격벽부재, 제5 격벽부재 및 제6 격벽부재에 의하여 구획되어 상기 제2 기판에 인접한 방전셀 내에 형성되는 제2 형광체층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 방법은, 대향 배치되는 제1 기판 및 제2 기판, 상기 제1 기판과 제2 기판의 사이 공간에서 일 방향을 따라 나란히 형성되며 방전셀 중심을 향해 돌출부가 형성되는 어드레스전극들, 상기 제1 기판과 제2 기판의 사이에서 상기 어드레스전극과 전기적으로 절연되면서 이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1 전극과 제2 전극을 포함하는 유지전극들과, 상기 제1 기판과 제2 기판의 사이에서 상기 방전셀을 관통하여 상기 유지전극 사이에 이들과 나란하게 배치되는 스캔전극들을 포함하고, 상기 각 방전셀은 상기 제1 전극과 스캔전극에 의해 형성되는 방전공간과 상기 제2 전극과 스캔 전극에 의해 형성되는 방전공간으로 분리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동하는 방법이다. 이 때, (a) 단계에서는, 어드레스 구간에서, 상기 제1 전극과 제2 전극들 각각에 제1 전압 및 상기 제1 전압보다 낮은 제2 전압을 바이어스한 상태에서, 상기 스캔전극들에 순차적으로 상기 제1 전압보다 낮은 제3 전압을 인가하고 (b) 단계에서는, 어드레스 구간에서, 상기 제1 전극과 제2 전극들 각각에 상기 제2 전압 및 상기 제1 전압을 바이어스한 상태에서, 상기 스캔전극들에 순차적으로 상기 제3 전압을 인가한다.
이 때, 제1 기판과 제2 기판의 사이에서 일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제1 격벽부재와, 상기 제1 격벽부재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배치되는 제2 격벽부재와, 상기 한 쌍의 제2 격벽부재 사이에서 상기 제1 기판에 인접하여 배치되며 상기 제2 격벽부재와 나란하게 형성되는 제3 격벽부재와, 상기 제3 격벽부재와 대응하는 형상으로 상기 제2 기판에 인접하여 형성되는 제4 격벽부재를 포함하여 다수의 방전셀을 구획하는 격벽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전극과 제2 전극들은, 상기 각 방전셀을 구성하는 제2 격벽부재에 대응하면서 이와 나란한 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상기 제2 격벽부재 각각에 하나씩 교번하여 대응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동할 수 있다.
상기 (a) 단계에서 상기 스캔전극에 제3 전압이 인가되는 동안 상기 어드레스전극들에 상기 제3 전압보다 높은 제4 전압을 인가하여 상기 제1 전극과 상기 스캔전극들에 의해 형성되는 상기 방전공간을 선택하며, 상기 (b) 단계에서 상기 스캔전극에 제3 전압이 인가되는 동안에 상기 어드레스전극들에 상기 제4 전압을 인 가하여 상기 제2 전극과 스캔전극들에 의해 형성되는 상기 방전공간을 선택할 수 있다.
상기 (b) 단계 후, 상기 스캔전극들과 상기 제1, 제2 전극들에 유지방전을 일으키기 위한 전압을 인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a) 단계 후에, 상기 스캔전극들과 상기 제1 전극들에 유지방전을 일으키기 위한 전압을 인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b) 단계 후에, 상기 스캔전극들과 상기 제2 전극들에 유지방전을 일으키기 위한 전압을 인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전극들에 공통의 전압이 인가되며, 상기 제2 전극들에 공통의 전압이 인가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을 도시한 부분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을 결합한 상태에서 Ⅱ-Ⅱ 선을 따라 잘라서 본 부분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에서 전극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부분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PDP는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서로 대향 배치되는 제1 기판(10)(이하 '배면기판'이라 한다)과 제2 기판(20)(이하 '전면기판'이 한다)을 포함하고, 이 배면기판(10)과 전면기판(20)의 사이에는 제1 격벽층(16)(이하 '배면판 격벽'이라 한다)과 제2 격벽층(26)(이하 '전면판 격벽'이라 한다)이 배치되어 다수의 방전셀(38)을 구획한다. 방전셀(38)의 내에는 진공자외선을 흡수하여 가시광을 방출하는 적색, 녹색 및 청색의 형광체층(19, 29)이 형성되고, 플라즈마 방전으로 진공자외선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방전가스(일례로 제논(Xe)과 네온(Ne) 등을 포함하는 혼합 가스)가 충전된다.
이 때, 배면판 격벽(16)은 배면기판(10)에 인접하여 전면기판(20)을 향해 돌출 형성되며, 전면판 격벽(26)은 전면기판(20)에 인접하면서 배면판 격벽(16)에 대응하여 배면기판(10)을 향해 돌출 형성된다. 이 배면판 격벽(16)과 전면판 격벽(26)은 방전셀(38)을 사각형 또는 육각형과 같이 다양한 형상으로 구획할 수 있으며, 본 실시예는 사각형으로 형성되는 방전셀(38)을 예시하고 있다.
배면판 격벽(16)은 배면기판(10)에 인접하여 형성되며, 일방향(도면의 y축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제1 격벽부재(16a)와, 이러한 제1 격벽부재(16a)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형성되면서 각각의 방전셀(18)을 독립적인 방전 공간으로 구획하는 제2 격벽부재(16b), 및 한 쌍의 제2 격벽부재(16b)들 사이에서 이와 나란한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3 격벽부재(16c)를 포함한다.
그리고, 전면판 격벽(26)은 전면기판(20)에 인접하여 형성되며, 상기 제3 격벽부재(16c)와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4 격벽부재(26a), 상기 제1 격벽부재(16a)와 대응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제5 격벽부재(26b), 및 제2 격벽부재(16b)와 대응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제6 격벽부재(26c)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제5 격벽부재(26b)와 제6 격벽부재(26c)는 서로 교차하는 방향으로 형성되면서 상기 각 방전셀(18)에 대응하는 방전셀(28)을 전면기판(20)에 형성한다.
이와 같이 배면기판(10) 측의 방전셀(18)과 전면기판(20) 측의 방전셀(28)이 실질적으로 하나의 방전셀(38)을 이룬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제1 격벽부재(16a)와 제2 격벽부재(16b)에 의해 배면기판(10) 측으로 형성된 방전셀(18)과 제5 격벽부재(26b)와 제6 격벽부재(26c)에 의해 전면기판(10) 측으로 형성된 방전셀(28) 각각을, 상기 제3 격벽부재(16c)와 제4 격벽부재(26a)가 두 개의 방전 공간으로 구획하여 각 방전셀(38)은 두 개의 방전 공간(38a, 38b)으로 구획한다.
이와 같이 배면기판(10)측 방전셀(18)과 전면기판(20)측 방전셀(28) 내에는 제1 형광체층(19)과 제2 형광체층(29)이 각각 형성된다. 즉, 제1 형광체층(19)은 배면판 격벽(16)을 이루는 격벽부재(16a, 16b, 16c)의 측면과, 그 사이에서 배면기판(10)과 인접한 바닥면에 형성되고, 제2 형광체층(29)은 전면판 격벽(26)을 이루는 격벽부재(16a, 16b, 16c)의 측면과 그 사이에서 전면기판(20)과 인접한 바닥면에 형성될 수 있다.
배면판 격벽(16)에 의하여 형성되는 방전셀(18)과 이에 대향하여 전면판 격벽(26)에 의하여 형성되는 방전셀(28)은 실질적으로 하나의 방전셀(38)이므로, 이 들의 내부 각각에 형성되는 제1 형광체층(19)과 제2 형광체층(29)은 기체방전으로 발생되는 진공자외선의 충돌에 의하여 같은 색의 가시광을 발광시키도록 동일한 색을 갖는 형광체층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실질적으로 하나인 방전셀(38)의 양측에 가시광을 발생시킬 수 있는 형광체층이 형성되므로 휘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배면기판(10)측으로 형성되는 방전셀(18) 내에 형성되는 제1 형광체층(19)은 배면기판(10) 위에 유전층(미도시)을 형성하고 배면판 격벽(16)을 형성한 다음 상기 유전층 위에 형광체를 도포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고, 또한 선택적으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전층을 배면기판(10)에 형성하지 않고 배면기판(10) 위에 배면판 격벽(16)을 형성하고 형광체를 도포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전면기판(20) 측으로 형성되는 방전셀(28) 내에 형성되는 제2 형광체층(29)은 전면기판(20) 위에 유전층(미도시)을 형성하고 전면판 격벽(26)을 형성한 다음 상기 유전층 위에 형광체를 도포함으로써 형성될 수도 있고, 또한 선택적으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전층을 전면기판(20)에 형성하지 않고 전면기판(20) 위에 전면판 격벽(26)을 형성하고 형광체를 도포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더 나아가, 배면기판(10) 및 전면기판(20) 각각을 각 방전공간(38a, 38b)과 방전셀(38)의 형상에 상응하도록 식각한 다음, 그 위에 형광체를 도포하여 제1 형광체층(19)과 제2 형광체층(29)을 각각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때, 배면판 격벽(16)과 배면기판(10)이 동일한 재료의 일체 구조로 이루어지게 되고, 전면판 격벽(26)과 전면기판(20)이 동일한 재료의 일체 구조로 이루어진다.
상기에서, 유지 방전 후 제1 및 제2 형광체층(19, 29) 각각은 배면기판(10)측 방전셀(18) 및 전면기판(20)측 방전셀(28) 내부에서 진공자외선을 흡수하여 전면기판(20)쪽으로 향하는 가시광을 발생시킨다. 이 때, 제2 형광체층(29)은 이 가시광을 투과시키게 되므로, 진공자외선의 손실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제2 형광체층(29)을 제1 형광체층(19)보다 더 얇게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배면기판(10)과 전면기판(20)의 사이에는, 각 방전셀(38)에 대응하 는 어드레스전극(12), 유지전극(31A, 31B) 및 스캔전극(32)이 구비된다. 이러한 유지전극(31A, 31B), 스캔전극(32) 및 어드레스전극(12)은 통전성이 우수한 금속 전극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어드레스전극(12)은 배면판 격벽(16)과 전면판 격벽(26) 사이에서 제1 격벽부재(16a)와 대응하여 제1 격벽부재(16a)와 나란한 방향(도면의 y축 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즉, 어드레스전극(12)은 제1 격벽부재(16a) 및 제5 격벽부재(26b)에 사이에 위치하며, 이와 교차하는 방향(도면의 x축 방향)으로 이웃하는 한 쌍의 방전셀(38)에 공유된다. 이 어드레스전극(12)들은 이웃한 것끼리 소정의 간격을 유지한다.
유지전극(31A, 31B)은 제1 전극(31A)과 제2 전극(31B)을 포함할 수 있고, 제1 전극(31A)과 제2 전극(31B)은 어드레스전극(12)과 전기적으로 절연되면서 이와 교차하는 방향(도면의 x축 방향)을 따라 길게 이어지면서 제2 격벽부재들(16b)에 대응하여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1 전극(31A)과 제2 전극(31B)은 제2 격벽부재(16b)와 제6 격벽부재(26c)의 사이에 하나씩 배치되므로, 어드레스전극(12)의 길이 방향(도면의 y축 방향)으로 이웃하는 방전셀(38)을 구분하는 기준이 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1 전극(31A)과 제2 전극(31B)은 제2 격벽부재(16b) 위에서 어드레스전극(12)과 나란한 방향(도면의 y축 방향)을 따라 이웃한 한 쌍의 방전셀에 공유되고, 제2 격벽부재(16b) 각각에 하나씩 교번하면서 대응된다.
그리고, 배면기판(10)과 전면기판(20)의 사이에서 방전셀(38)을 관통하면서 한 쌍의 제1 전극(31A)과 제2 전극(31B) 사이에 스캔전극(32)이 배치된다. 이 때, 스캔전극(32)은 제3 격벽부재(16c)와 제4 격벽부재(26a)의 사이에서 위치한다.
이 때, 스캔 전극(32)은 어드레스전극(12)과 함께 스캔구간에서 어드레스방전에 관여하여 켜질 방전셀(38) 선택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제1 및 제2 전극(31A, 31B)은 스캔전극(32)과 함께 유지구간에서 유지방전에 관여하여 소정의 휘도를 구현하는 역할을 한다. 그러나, 각 전극들은 인가되는 신호전압에 따라 그 역할을 달리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어드레스전극(12)은 이와 교차하는 방향(도면의 x축 방향)으로 이웃하는 한 쌍의 방전셀(38)에서 공유되므로 켜질 방전셀(38)을 선택하기 위해서 한 쪽 방전셀(38)의 중심을 향하여 돌출 형성되는 돌출부(121)가 형성된다. 그리고, 이러한 어드레스전극(12)의 돌출부(121)는 어드레스전극(12)에 인가되는 스캔펄스를 방전셀(38) 내로 인가시키는 것으로, 방전셀(38)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스캔전극(32)과의 방전갭을 숏 갭(short gap)으로 형성하여 어드레스방전 전압을 낮출 수 있게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하나의 방전셀(38) 내에서 제1 전극(31A)과 스캔전극(32) 사이에 형성되는 방전 공간(38a) 및 제2 전극(31B)과 스캔전극(32) 사이에 형성되는 방전공간(38b) 각각에서 어드레스방전을 일으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하여, 어드레스전극(12)의 돌출부(121)는 하나의 방전셀(38) 내에서 적어도 2 이상 형성될 수 있다. 즉, 이 돌출부(121)들은 제1 전극(31A)과 스캔전극(32)의 사이 및 제2 전극(31B)과 스캔전극(32)의 사이에 각각 구비되어, 스캔전극(32)의 양측에서 어드레스방전을 일으킬 수 있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유지방전에 관여하는 제1 및 제2 전극(31A, 31B)과, 스캔전극(32)이 서로 대향하도록 형성되어 유지방전을 대향방전으로 유도함으로써 방전개시전압을 낮출 수 있다.
제1 및 제2 전극(31A, 31B)과 스캔전극(32)은 유지방전을 보다 넓은 면적의 대향방전으로 유도하기 위하여, 각 방전셀(38)에 대응되는 부분에 배면기판(10)에 수직한 방향(도면의 z축 방향)으로 확장되는 확장부(31A1, 31B1, 321)를 각각 구비한다. 이 확장부(31A1, 31B1, 321)는 상기 전극의 길이방향(도면의 x축 방향)과 수직하는 면으로 자른 단면 구조에서, 수직 방향의 길이(hv)가 이의 수평 방향의 길이(hh)보다 긴 단면 구조를 가진다. 이 확장부(31A1, 31B1, 321)에서 넓게 형성되는 대향 방전은 강한 진공자외선을 생성하고, 이 강한 진공자외선은 방전셀(38) 내부의 넓은 면적에 걸쳐 형광체층(19, 29)에 충돌되어 발생되는 가시광의 광량을 증대시킨다.
그리고, 제1 및 제2 전극(31A, 31B)과 스캔전극(32)은 상기 기판(10, 20)의 전면에서 볼 때 균일한 선폭을 가지며 형성된다. 도 3을 참조하면, 제1 및 제2 전극(31A, 31B)과 스캔전극(32)은 균일한 선폭을 가지면서 확장부(31A1, 31B1, 321)를 구비하여, 돌출부(121)를 갖는 어드레스전극(12)과의 간섭 없이 전기적으로 절연되면서 원활하게 교차될 수 있다.
또한, 어드레스전극(12)의 돌출부(121)와 배면기판(10) 사이의 거리(h1)는 제1 및 제2 전극(31A, 31B)과 배면기판(10) 사이의 거리(h2) 및 스캔전극(32)과 배 면기판(10) 사이의 거리(h3)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이로 인하여, 스캔전극(32)의 양측에서 스캔전극(32)과 어드레스전극(12)의 돌출부(121)가 대향방전될 수 있다. 또한, 배면기판(10) 및 전면기판(20)의 수직 방향(도면의 y축 방향)으로 형성되는 어드레스전극(12)의 두께(t3)는 제1 및 제2 전극(31A, 31B)의 두께(t4) 및 스캔전극(32)의 두께(t5)보다 작게 형성되어, 어드레스전극(12)에 의하여 유지방전을 방해하지 않도록 형성된다.
이 제1 전극(31A), 제2 전극(31B), 스캔전극(32) 및 어드레스전극(12)을 감싸면서 유전층(34, 35)이 절연구조로 형성된다. 이들은 TFCS(Thick Film Ceramic Sheet)법으로 제작이 가능하다. 즉 제1 전극(31A), 제2 전극(31B), 스캔전극(32) 및 어드레스전극(12)을 포함하는 전극부를 따로 제작한 다음, 배면판 격벽(16)이 형성되어 있는 배면기판(10)에 결합하여 제작할 수 있다.
이러한 유전층(34, 35)은 각 전극들을 절연하는 동시에 방전에 의한 벽전하를 축적하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예에서 어드레스전극(12)은 동일한 유전율을 가지는 유전층(35)으로 둘러싸이므로 적색(R), 녹색(G), 청색(B) 사이에서 동일한 방전개시전압을 가지게 하여, 높은 전압 마진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이 제1 전극(31A), 제2 전극(31B), 스캔전극(32) 및 어드레스전극(12)을 각각 덮고 있는 유전층(34, 35)의 표면에는 MgO 보호막(36)이 형성될 수 있다. 특히 MgO 보호막(36)은 방전셀(38) 내부의 방전공간에서 일어나는 플라즈마 방전에 노출되는 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1 전극(31A), 제2 전극(31B), 스캔 전극(32) 및 어드레스전극(12)은 양 기판(10, 20) 사이에서 실질적으로 표시에 기여하는 정도가 작은 부분에 위치하므로, 이들을 덮는 유전층(34, 35)에 도포되는 MgO 보호막(36)은 가시광 비투과성의 특성을 갖는 MgO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가시광 비투과성 MgO는 가시광 투과성 MgO에 비하여 훨씬 높은 이차전자 방출계수(secondary electron emission coefficient) 값을 가지며, 따라서 방전개시전압을 더욱 낮출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에서 전극과 방전셀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부분 평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스캔전극(32)과 제3 격벽부재(16c), 제4 격벽부재(26a)에 의하여 각 방전셀(38)은 두 개의 방전공간(38a, 38b)으로 나뉘어 지며, 방전유지구간에는 이들 각각의 방전공간(38a, 38b)에서 상기 제1 전극(31A)과 스캔전극(32)간, 또는 제2 전극(31B)과 스캔전극(32)간에 유지방전이 일어나게 된다. 즉 방전셀(38)을 가로지르는 스캔전극(32)과 그 양쪽으로 배치된 제1 전극(31A)과 제2 전극(31B)들 사이에서 방전을 일으키는 것이므로, 방전유지에 관여하는 전극들이 방전셀 가장자리에 각각 인접하는 경우보다 방전을 일으키는 두 전극 사이의 방전갭이 절반 가까이 줄어들게 되고, 따라서 낮은 방전개시전압으로도 구동이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유지전극이 제1 전극(31A)들이 전기적으로 연결되면서 이루어지는 제1 유지전극군(X1)과 제2 전극(31B)들이 전기적으로 연결되면서 이루어지는 제2 유지전극군(X2)으로 이루어지고, 각 유지전극군(X1, X2)은 단자 영역에서 하나의 전극으로 단락되어 공통의 전압이 인가된다.
이하에서는 상기에서 설명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동하는 구동 방법에 대해서 알아본다. 특히, 각 방전셀(38)이 두 개의 방전 공간(38a, 38b)으로 나뉘어진 경우 이 두 개의 방전 공간을 어드레스 구간에서 선택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본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 방법을 나타내는 구동 파형도이며, 도 6은 제1 실시예에 따른 구동 방법을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에서 도면의 좌측으로 쓰여진 숫자는 각 방전셀의 방전 공간으로 형성되는 라인을 나타낸 것으로, 홀수 라인(본 발명에서 각 방전셀(38)의 일 방전공간(38a)에 대응되는 라인)과 짝수 라인(본 발명에서 각 방전셀(38)의 다른 방전공간(38b)에 대응되는 라인)의 방전공간이 합쳐져 각각의 방전셀을 이루게 된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구동 방법의 각 서브필드는 리셋 구간, 어드레스 구간 및 방전유지 구간을 포함한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동 방법은 스캔전극에 각 방전셀(38)이 두 개의 방전 공간으로 나누어져 지는 경우 제1 유지전극군(X1)에 인접하여 형성되는 방전 공간을 선택하는 구간(I)과 제2 유지전극군(X2)에 인접하여 형성되는 방전 공간을 선택하는 구간(II)으로 이루어진다.
먼저, 리셋 구간에서는 모든 스캔전극(Y)에 완만하게 상승하는 전압 및 완만하게 하강하는 전압을 인가한다. 이를 통해, 리셋 구간은 이전의 유지 방전의 벽전하 상태를 소거하고, 다음의 어드레스 방전을 안정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벽전하를 셋업(setup)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스캔전극(Y)에 완만하게 하강하는 램프 전압을 인가하는 동안에 제1 유지전극군(X1)들 및 제2 유지전극군(X2)들로부터 스캔전극(Y)으로 미약한 방전을 발생시키기 위해 전압(Ve)을 바이어스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동 방법의 어드레스 구간은 제1 구간(I)과 제2 구간(II)으로 나뉘어진다.
어드레스 구간의 제1 구간(I)에서 공통으로 묶여있는 제1 유지전극군(X1)을 전압(Ve)으로 바이어스한 상태에서 순차적으로 스캔전극(Y1..Yn)에 스캔펄스 전압(Vsc)을 인가하며, 제2 유지전극군(X2)에는 전압(Ve)을 바이어스하지 않는다. 이때, 선택하고자 하는 셀의 어드레스 전극(A)에 어드레스 전압(Va)을 인가하여 셀을 선택한다. 도 6을 참조하면, 어드레스 구간의 제1 구간(I)에서는 제1 유지전극군(X1)들에 인접하는 방전 공간들만이 어드레싱(선택)된다. 즉, 제1 유지전극군(X1)에만 전압(Ve)이 인가되므로 제1 유지전극군(X1)에 인접하는 방전 공간들에서만 어드레스 방전이 발생하여 어드레싱 된다.
일반적으로 제1 유지전극군 또는 제2 유지전극군에 인가되는 전압(Ve)은 어드레스 방전시 초기에는 제1 유지전극군 또는 제2 유지전극군과 스캔전극(Y)사이에 방전을 발생시키는 역할을 하며 그 후에는 어드레스 방전에서 발생되는 음(-)의 벽전하를 제1 유지전극군 또는 제2 유지전극군으로 당기는 역할을 하므로, 어드레스 구간의 제1 구간(I)과 같이 제1 유지전극군(X1)들만을 전압(Ve)으로 바이어스하는 경우 제1 유지전극군(X1)들에 인접하는 셀들만이 어드레싱된다. 따라서,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구간(I)에는 제1 유지전극군(X1)들에 인접하는 방전 공간 라 인(1, 4, 5, 8, 9 라인...)만이 어드레싱된다.
어드레스 구간의 제2 구간(II)에서는 공통으로 묶여있는 제2 유지전극군(X2)만을 전압(Ve)으로 바이어스한 상태에서 순차적으로 스캔전극(Y1..Yn)에 스캔펄스 전압(Vsc)을 인가하며, 제1 유지전극군(X1)에는 전압(Ve)을 바이어스하지 않는다. 이 때, 선택하고자 하는 셀의 어드레스 전극(A)에 어드레스 전압(Va)을 인가하여 셀을 선택한다. 도 6을 참조하면, 어드레스 구간의 제2 구간(II)에서는 제2 유지전극군(X2)들에 인접하는 셀들만이 어드레싱(선택)된다. 즉, 제2 유지전극군(X2)들에만 전압(Ve)이 인가되므로 제2 유지전극군(X2)들에 인접하는 방전 공간의 라인(2, 3, 6, 7 라인..)에서 어드레스 방전이 발생하여 어드레싱 된다.
이와 같은 어드레스 구간의 제1 및 제2 구간(I, II)에 의해, 두 방전공간으로 이루어지는 각 방전셀(38)의 방전 공간들이 모두 어드레스 구간에서 선택되어 진다.
한편, 어드레스 구간 후의 방전유지 구간에서는 스캔전극(Y)과 제1 및 제2 유지전극군(X1, X2)에 유지 방전 전압(Vs)을 교대로 인가하여, 어드레스 구간에서 어드레싱 된 방전 공간에 실제로 화상을 표시한다. 이 때, 방전유지 구간에서는 제1 유지전극군(X1)과 제2 유지전극군(X2) 각각에는 같은 전압(Vs 또는 0V)이 인가되어도 유지 방전이 발생하므로 같은 전압(Vs 또는 0V)을 동시에 인가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 방법을 나타내는 구동 파형도이며, 도 8은 제2 실시예에 따른 구동 방법을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에서 도면의 좌측으로 쓰여진 숫자는 각 방전셀의 방전 공 간으로 형성되는 라인을 나타낸 것으로, 홀수 라인(본 발명에서 각 방전셀(38)의 일 방전공간(38a)에 대응되는 라인)과 짝수 라인(본 발명에서 각 방전셀(38)의 다른 방전공간(38b)에 대응되는 라인)의 방전공간이 합쳐져 각각의 방전셀을 이루게 된다.
도 7 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구동 파형도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와 거의 유사하나, 어드레스 구간의 제1 구간(I)에서 제1 유지전극군(X1)들에 인접한 셀을 선택한 후 방전유지구간의 제1 구간(I)이 위치하고 어드레스 구간의 제2 구간(II)에서 제2 유지전극군(X2)들에 인접한 셀을 선택한 후 방전유지구간의 제2 구간(II)이 위치한다. 즉, 제1 실시예와 달리 제2 실시예에서는 방전유지 구간이 두 구간(I, II)으로 나뉘어진다.
어드레스 구간의 제1 구간(I)에서는 제1 실시예와 동일하게 제1 유지전극군(X1)만을 전압(Ve)으로 바이어스한 상태에서, 스캔전극에 순차적(Y1, Y2, ...Yn)으로 스캔 펄스 전압(Vsc)을 인가한다. 그러면, 제1 유지전극군(X1)에 인접한 방전 공간만이 어드레싱된다. 다음으로, 방전유지 구간의 제1 구간(I)이 위치하여 스캔전극(Y)과 제1 유지전극군(X1)에 교대로 유지방전 펄스전압(Vs)을 인가하여, 제1 유지전극군(X1)들에 인접한 방전 공간만이 유지방전된다.
다음으로, 어드레스 구간의 제2 구간(II)에서는 제2 유지전극군(X2)만을 전압(Ve)으로 바이어스한 상태에서, 스캔전극에 순차적(Y1, Y2,.....Yn)으로 스캔 펄스 전압(Vsc)을 인가한다. 그러면, 제2 유지전극군(X2)에 인접한 방전 공간만이 어드레싱 된다. 다음으로, 방전유지 구간의 제2 구간(II)이 위치하여 스캔전극(Y)과 제2 유지전극군(X2)들에 교대로 유지방전 펄스 전압(Vs)을 인가하여, 제2 유지전극군(X2)에 인접한 방전 공간만이 유지방전된다.
여기서, 방전유지 구간의 제1 구간(I) 및 제2 구간(II)에 인가되는 유지 방전 펄스의 개수는 서브필드의 가중치에 의해 할당되는 개수로서 서로 동일하다. 또한, 도 7에서 방전유지 구간의 제1 구간(I)에서는 제2 유지전극군(X2)에 유지방전 펄스전압(Vs)을 인가하지 않고 방전유기 구간의 제2 구간(II)에서는 제1 유지전극군(X1)에 유지방전 펄스전압(Vs)을 인가하지 않았으나, 유지방전 펄스전압(Vs)을 인가할 수 있다. 왜냐하면, 어드레스 구간의 제1 구간(I)에서는 X1 유지전극군(X1)에 인접한 방전 공간만이 선택되어지므로 제2 유지전극군(X2)에 유지방전 펄스전압(Vs)을 인가하여도 유지방전이 발생하지 않기 때문이다.
이상을 통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 또는 변경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에 의하면, 배면기판과 전면기판 사이에 전극들을 구비하면서 스캔전극과 유지전극을 대향하는 구조로 배치하여 어드레스방전과 유지방전을 대향방전으로 일으킬 수 있다. 또한, 형광체층을 배면기판과 전면기판 측에 각각 구비하고, 각 방전셀을 두 개의 방전공간으로 분리하고 유지전극을 제1 유지전극군과 제2 유지전극군으로 분할하여 구동 함으로써 수직해상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결과적으로, 플라즈마 디스프레이 패널의 효율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에 의하면, 주사전극을 사이에 두고 그 양측에 어드레스전극의 돌출부를 대향방전 구조로 배치하여, 이 어드레스전극의 돌출부와 주사전극 사이에 숏 갭에 의한 어드레스방전을 유도하여, 어드레스방전 전압을 더욱 낮추는 효과가 있다.

Claims (19)

  1. 서로 대향 배치되는 제1 기판 및 제2 기판;
    상기 제1 기판과 제2 기판의 사이에서 일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제1 격벽부재와, 상기 제1 격벽부재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배치되는 제2 격벽부재와, 상기 한 쌍의 제2 격벽부재 사이에서 상기 제1 기판에 인접하여 배치되며 상기 제2 격벽부재와 나란하게 형성되는 제3 격벽부재와, 상기 제3 격벽부재와 대응하는 형상으로 상기 제2 기판에 인접하여 형성되는 제4 격벽부재를 포함하여 다수의 방전셀을 구획하는 격벽;
    상기 각 방전셀 내에 형성되는 형광체층;
    상기 제1 기판과 제2 기판의 사이에서 상기 제1 격벽부재와 나란한 방향을 따라 나란히 형성되는 어드레스전극들;
    상기 제1 기판과 제2 기판의 사이에서 상기 제2 격벽부재들에 각각 대응하여 위치하며 상기 어드레스전극과 교차하는 방향을 따라 전기적으로 절연되게 형성되고, 상기 기판들의 전면에서 볼 때 균일한 선폭을 갖는 제1 전극과 제2 전극을 포함하는 유지전극들; 및
    상기 제1 기판과 제2 기판의 사이에서 상기 방전셀을 관통하여 상기 유지전극들 사이에 이들과 나란하게 배치되면서, 상기 기판들의 전면에서 볼 때 균일한 선폭을 갖는 스캔전극들을 포함하고,
    상기 어드레스전극은 상기 방전셀의 중심을 향해 상기 유지전극과 스캔전극의 사이로 돌출되는 돌출부를 갖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극과 제2 전극은 상기 제2 격벽부재 각각에 하나씩 교번하여 대응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전극은, 상기 제1 전극들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면서 이루어지는 제1 유지전극군과, 상기 제2 전극들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면서 이루어지는 제2 유지전극군을 포함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캔전극은 상기 제3 격벽부재와 제4 격벽부재의 사이에 위치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전극에는 상기 각 방전셀의 양측에 대응되는 부분에서 상기 제1 기판면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확장부가 형성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캔전극에는 상기 각 방전셀의 중앙에 대응되는 부분에서 상기 제1 기판면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확장부가 형성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전극 및 스캔전극은 금속 전극으로 이루어지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전극, 스캔전극 및 어드레스전극을 감싸면서 유전층이 절연 구조로 형성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격벽부재와 제2 격벽부재는 상기 제1 기판에 인접하여 상기 제2 기판면을 향해 돌출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격벽부재와 대응하는 형상으로 상기 제2 기판에 인접하여 상기 제1 기판면을 향해 돌출되어 형성되는 제5 격벽부재와, 상기 제2 격벽부재와 대응하는 형상으로 상기 제2 기판에 인접하여 상기 제1 기판면을 향해 돌출되어 형성되는 제6 격벽부재를 포함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전극은 상기 제2 격벽부재와 상기 제6 격벽부재의 사이에 위치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격벽부재 및 제4 격벽부재에 의해 상기 각 방전셀은 두 개의 방전공간으로 분리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13.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형광층은, 상기 제1 격벽부재, 제2 격벽부재 및 제3 격벽부재에 의하여 구획되어 상기 제1 기판에 인접한 방전셀 내에 형성되는 제1 형광체층과, 상기 제4 격벽부재, 제5 격벽부재 및 제6 격벽부재에 의하여 구획되어 상기 제2 기판에 인접한 방전셀 내에 형성되는 제2 형광체층을 포함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14. 대향 배치되는 제1 기판 및 제2 기판; 상기 제1 기판과 제2 기판의 사이에서 일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제1 격벽부재와, 상기 제1 격벽부재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배치되는 제2 격벽부재를 포함하여 다수의 방전셀을 구획하는 격벽; 상기 제1 기판과 제2 기판의 사이 공간에서 상기 제1 격벽부재와 나란한 방향을 따라 형성되며 방전셀 중심을 향해 돌출부가 형성되는 어드레스전극들; 상기 제1 기판과 제2 기판의 사이에서 상기 제2 격벽부재들에 각각 대응하여 위치하며 상기 어드레스전극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전기적으로 절연되게 형성되는 제1 전극과 제2 전극을 포함하는 유지전극들과; 상기 제1 기판과 제2 기판의 사이에서 상기 방전셀을 관통하여 상기 유지전극 사이에 이들과 나란하게 배치되는 스캔전극들을 포함하고,
    상기 각 방전셀은 상기 제1 전극과 스캔전극에 의해 형성되는 방전공간과 상기 제2 전극과 스캔전극에 의해 형성되는 방전공간으로 분리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동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어드레스 구간에서, 상기 제1 전극과 제2 전극들 각각에 제1 전압 및 상기 제1 전압보다 낮은 제2 전압을 바이어스한 상태에서, 상기 스캔전극들에 순차적으로 상기 제1 전압보다 낮은 제3 전압을 인가하는 단계; 및
    (b) 어드레스 구간에서, 상기 제1 전극과 제2 전극들 각각에 상기 제2 전압 및 상기 제1 전압을 바이어스한 상태에서, 상기 스캔전극들에 순차적으로 상기 제3 전압을 인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 방법.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은, 제1 기판과 제2 기판의 사이에서 일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제1 격벽부재와, 상기 제1 격벽부재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배치되는 제2 격벽부재와, 상기 한 쌍의 제2 격벽부재 사이에서 상기 제1 기판에 인접하여 배치되며 상기 제2 격벽부재와 나란하게 형성되는 제3 격벽부재와, 상기 제3 격벽부재와 대응하는 형상으로 상기 제2 기판에 인접하여 형성되는 제4 격벽부재를 포함하여 다수의 방전셀을 구획하는 격벽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전극과 제2 전극들은, 상기 각 방전셀을 구성하는 제2 격벽부재에 대응하면서 이와 나란한 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상기 제2 격벽부재 각각에 하나씩 교번하여 대응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 방법.
  16. 제 14 항 또는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에서 상기 스캔전극에 제3 전압이 인가되는 동안 상기 어드레스전극들에 상기 제3 전압보다 높은 제4 전압을 인가하여 상기 제1 전극과 상기 스캔전극들에 의해 형성되는 상기 방전공간을 선택하며,
    상기 (b) 단계에서 상기 스캔전극에 제3 전압이 인가되는 동안에 상기 어드레스전극들에 상기 제4 전압을 인가하여 상기 제2 전극과 스캔전극들에 의해 형성되는 상기 방전공간을 선택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 방법.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 후, 상기 스캔전극들과 상기 제1, 제2 전극들에 유지방전을 일으키기 위한 전압을 인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 방법.
  18.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 후에, 상기 스캔전극들과 상기 제1 전극들에 유지방전을 일으 키기 위한 전압을 인가하는 단계;
    상기 (b) 단계 후에, 상기 스캔전극들과 상기 제2 전극들에 유지방전을 일으키기 위한 전압을 인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 방법.
  19. 제 14 항 또는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극들에 공통의 전압이 인가되며, 상기 제2 전극들에 공통의 전압이 인가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 방법.
KR1020040102240A 2004-12-07 2004-12-07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및 그 구동 방법 KR1006587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02240A KR100658745B1 (ko) 2004-12-07 2004-12-07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및 그 구동 방법
US11/294,378 US20060119545A1 (en) 2004-12-07 2005-12-06 Plasma display panel and driving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02240A KR100658745B1 (ko) 2004-12-07 2004-12-07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및 그 구동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63144A KR20060063144A (ko) 2006-06-12
KR100658745B1 true KR100658745B1 (ko) 2006-12-15

Family

ID=365735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102240A KR100658745B1 (ko) 2004-12-07 2004-12-07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및 그 구동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060119545A1 (ko)
KR (1) KR100658745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36029A (ja) * 1995-02-28 1996-09-13 Mitsubishi Materials Corp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
JPH10214569A (ja) 1997-01-31 1998-08-11 Hitachi Ltd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装置
KR19990062632A (ko) * 1997-12-01 1999-07-26 가나이 쓰토무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및 그것을 사용한 화상표시장치
KR20020079374A (ko) * 2001-04-09 2002-10-19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세이사쿠쇼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및 화상 표시 장치
KR20060001544A (ko) * 2004-06-30 2006-01-06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2149289A1 (en) * 1994-07-07 1996-01-08 Yoshifumi Amano Discharge display apparatus
JP3705914B2 (ja) * 1998-01-27 2005-10-12 三菱電機株式会社 面放電型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及びその製造方法
US6956546B1 (en) * 2000-10-10 2005-10-18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Method of driving AC plasma display panel, plasma display device and AC plasma display panel
JP3753171B2 (ja) * 2002-03-18 2006-03-08 株式会社日立プラズマパテントライセンシング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3940899B2 (ja) * 2002-03-28 2007-07-04 富士通日立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株式会社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
TWI220052B (en) * 2002-11-25 2004-08-01 Au Optronics Corp Plasma display panel having shared data electrodes
KR100589331B1 (ko) * 2003-02-21 2006-06-14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36029A (ja) * 1995-02-28 1996-09-13 Mitsubishi Materials Corp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
JPH10214569A (ja) 1997-01-31 1998-08-11 Hitachi Ltd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装置
KR19990062632A (ko) * 1997-12-01 1999-07-26 가나이 쓰토무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및 그것을 사용한 화상표시장치
KR20020079374A (ko) * 2001-04-09 2002-10-19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세이사쿠쇼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및 화상 표시 장치
KR20060001544A (ko) * 2004-06-30 2006-01-06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60119545A1 (en) 2006-06-08
KR20060063144A (ko) 2006-06-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99630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658745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및 그 구동 방법
KR100684782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및 그 구동 방법
KR100578936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및 그 구동방법
KR100599627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637466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578983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669423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612288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및 그 구동방법
KR100637465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669465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및 그 구동방법
KR100612394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20060098936A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536244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및 그 구동 방법
KR100536243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및 그 구동 방법
KR100590095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684723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및 그 구동방법
KR100560528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및 그 구동방법
KR100599626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및 그 구동방법
KR100649230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927713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및 그 구동방법
KR100684844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669334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및 그 구동방법
KR100667940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및 이의 구동방법
KR20060088219A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및 그 구동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113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