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58652B1 - 복합 섬유 - Google Patents

복합 섬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58652B1
KR100658652B1 KR20060007992A KR20060007992A KR100658652B1 KR 100658652 B1 KR100658652 B1 KR 100658652B1 KR 20060007992 A KR20060007992 A KR 20060007992A KR 20060007992 A KR20060007992 A KR 20060007992A KR 100658652 B1 KR100658652 B1 KR 1006586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ber
composite fiber
photocatalyst
organic polymer
fiber compon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600079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옌-정 후
흐시-유 첸
치-흐시앙 린
Original Assignee
캉 나 흐시웅 엔터프라이즈 캄파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TW094127535A external-priority patent/TWI343833B/zh
Priority claimed from TW094127534A external-priority patent/TWI287054B/zh
Application filed by 캉 나 흐시웅 엔터프라이즈 캄파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캉 나 흐시웅 엔터프라이즈 캄파니, 리미티드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586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586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3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irradiation
    • C02F1/3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irradiation with ultraviolet light
    • C02F1/325Irradiation devices or lamp construction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DMECHANICAL METHODS OR APPARATU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 D01D5/00Formation of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 D01D5/28Formation of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while mixing different spinning solutions or melts during the spinning operation; Spinnerette packs therefor
    • D01D5/30Conjugate filaments; Spinnerette packs therefor
    • D01D5/32Side-by-side structure; Spinnerette pack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74General processes for purification of waste gases;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53/86Catalytic processes
    • B01D53/88Handling or mounting catalysts
    • B01D53/885Devices in general for catalytic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7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oxidation
    • C02F1/725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oxidation by catalytic oxidation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DMECHANICAL METHODS OR APPARATU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 D01D5/00Formation of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 D01D5/28Formation of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while mixing different spinning solutions or melts during the spinning operation; Spinnerette packs therefor
    • D01D5/30Conjugate filaments; Spinnerette packs therefor
    • D01D5/34Core-skin structure; Spinnerette packs therefor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FCHEMICAL FEATURE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 D01F1/00General methods for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 D01F1/02Addition of substances to the spinning solution or to the melt
    • D01F1/10Other agents for modifying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5/00Catalysts
    • B01D2255/80Type of catalytic reaction
    • B01D2255/802Photocatalytic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5/00Use of specific compounds during water treatment
    • C02F2305/10Photocatalys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30Wastewater or sewage treatment systems using renewable energies
    • Y02W10/37Wastewater or sewage treatment systems using renewable energies using solar energ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Toxic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atalysts (AREA)
  • Physical Water Treatments (AREA)
  • Treatment Of Water By Oxidation Or Reduction (AREA)
  • Multicomponent Fibers (AREA)
  • Exhaust Gas Treatment By Means Of Catalyst (AREA)

Abstract

복합 섬유(composite fiber;1,231)는 제1 유기 고분자로부터 만들어진 제1 섬유 성분(11) 및, 제2 유기 고분자와 이산화티탄과 같은 미립자 광촉매(particulate photocatalyst)로부터 만들어진 제2 섬유 성분(12)을 포함한다. 상기 제1 유기 고분자 및 상기 제2 유기 고분자는 폴리리에스테르,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아미드, 폴리올레핀, 폴리아크릴레이트, 폴리비닐 알코올, 폴리에틸렌 클로라이드, 폴리에틸렌 플루오라이드, 폴리스티렌, 및 이들의 조합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어진다.
복합 섬유, 유기 고분자, 광촉매, 섬유 다발, 유체-정화 장치

Description

복합 섬유{COMPOSITE FIBER}
본 발명의 다른 특징 및 이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하기의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명백하게 될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복합 섬유의 제1 바람직한 구현예의 단면도이고 ;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복합 섬유의 제2 바람직한 구현예의 단면도이고 ;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복합 섬유로부터 형성된 섬유 다발(fiber bundle)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복합 섬유로부터 형성된 텍스쳐가공된(texturized) 섬유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복합 섬유로부터 형성된 페브릭을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복합 섬유로부터 형성된 부직포(non-woven fabric)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복합 섬유로부터 형성된 브레이드된 직물(braided fabric)을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상기 복합 섬유를 사용한 유체-정화 장치(fluid-cleaning device)의 제1 바람직한 구현예의 개략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상기 복합 섬유로부터 형성된 상기 섬유 다발을 사용한 유체-정화 장치의 제2 바람직한 구현예의 개략도이고; 및
도 10은 도 9에서 X-X 선을 따라 광촉매-함유 섬유 유닛(photocatalyst-containing fiber unit)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복합 섬유(composite fier)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 미립자의 광촉매(particulate photocatalyst)를 가진 복합 섬유에 관한 것이다.
현재, 광촉매들의 항생물질적 기능, 오염방지 기능, 공기-정화(air-cleaning) 기능 및 탈취 기능에 주목을 받고 있다. 전술한 기능들은 자외선 또는 태양광에서 광촉매들을 노출시켜 발생된 전자 및 정공(holes)에 의해 실현된다. 이로써 형성된 상기 전자 및 정공은 인접한 산소 및 물과 반응하여 과산화 이온 및 하이드록시 라디칼를 발생시킨다. 유기물과 함께 반응시, 하이드록시 라디칼은 상기 유기물에서 산화반응을 초래할 것이고, 이로써 유기물의 분해가 생기게된다.
유기물을 분해하기 위한 그것들의 능력으로, 광촉매들은 다양한 분야, 예를 들어 유체-정화 시스템(fluid-cleaning systems)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유체-정화 시스템의 종래기술에서, 광촉매는 유체-정화 시스템의 벽 또는 좁은 층의 형태인 필터에 코팅된다. 예를 들어, 미국 특허 제5,790,934호 및 미국 특허 6,063,343호는 광촉매로 코팅된 다수의 날개부(fins)를 포함하는 반응기를 개시했다. 또한, 대만 특허 402162호는 광촉매로 코팅된 다수의 교반날개을 가진 교반 유닛(unit)을 포함한 자외선(UV)/티타늄옥시드 광-산화 장치(photo-oxidation device)를 개시했다. 게다가, 실제 필요조건에 따라, 광촉매들은 유리 구슬, 세라믹, 및 스테인레스강철(stainless steel) 구슬과 같은, 지지 구조(support structure)의 표면에 코팅될 수 있다. 그러나, 반응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다소의 문제점들, 예를 들어, 지지 구조로부터 코팅된 광촉매의 박리(peeling) 및 충분치 않은 자외선의 흡광도로인해 광촉매 효율이 감소하게 된다. 게다가, 코팅된 광촉매의 박리는 워터-정화 시스템(water-cleaning system)에서 훨씬 심각하다. 섬유 또는 페브릭과 같은, 가요성 지지체에 광촉매를 코팅하려는 시도가 있었으나, 상기 박리 문제는 아직도 존재한다. 그러므로, 지지 구조로부터 코팅된 광촉매가 박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요구된다.
다른 한편, 최적의 광촉매적 효과를 성취하기 위해서, 폐수속의 유기 물질을 분해하기 위해 워터-정화 장치안의 폐수 내로 광촉매 입자들을 직접적으로 부가하려고 해왔다. 예를 들어, 미국 특허 제 5,174,877호 및 미국 특허 제 5,294,315호는 오염된 유체의 처리를 위한 시스템을 개시한다. 상기 시스템은 상기 오염된 유체 및 광촉매 입자들을 받기위한 반응기 탱크를 포함한다. 시판된 광촉매들의 입자 지름은 수 십에서 수백 나노미터의 범위이기 때문에, 폐수에 광촉매작용 후, 필터를 사용하여 가공 처리한 폐수로부터 광촉매를 분리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러나, 광촉매 입자들은 여과하는 동안 상기 필터의 기공들을 막을수 있다. 그 결과로, 상기 반응은 새로운 필터를 교환하기 위해 멈출것을 요구되어 진다. 그 자체로, 제 조 비용은 상당히 증가되고, 정화 효율은 감소된다. 그러므로, 당해 기술분야에서 상기 광촉매 입자들에 의한 필터의 막힘 현상을 방지할 필요가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목적은 전술한 종래기술의 결점들을 극복할 수 있는 복합 섬유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에 따른, 복합 섬유는 제1 유기 고분자로부터 만들어진 제1 섬유 성분, 제2 유기 고분자와 미립자의 광촉매로부터 만들어진 제2 섬유 성분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복합 섬유(composite fiber)는 제1 유기 고분자로부터 만들어진 제1 섬유 성분, 및 제2 유기 고분자와 미립자의 광촉매(particulate photocatalyst)로부터 만들어진 제2 섬유 성분을 포함한다. 상기 미립자의 광촉매는 상기 제2 유기 고분자를 분산시킨다.
상기 제1 유기 고분자 및 상기 제2 유기 고분자는 폴리에스테르,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아미드, 폴리올레핀, 폴리아크릴레이트, 폴리비닐 알코올, 폴리에틸렌 클로라이드, 폴리에틸렌 플루오라이드, 폴리스티렌,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된다. 만약 좋은 빛 투과율(transmittance)을 가진 광학 고분자, 즉 플루오로폴리머,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 폴리카보네이트, 및 폴리스티렌이 상기 제1 유기 고분자 및 상기 제2 유기 고분자로 사용된다면, 상기 광촉매의 반응성을 촉진시킬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 유기 고분자 및 상기 제 2 유기 고분자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또는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MMA)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복합 섬유(1)의 제1 바람직한 구현예를 도시한다. 이 구현예에서, 상기 제1 섬유 성분(11) 및 상기 제2 섬유 성분(12)은 사이드-바이-사이드(side-by-side) 배열로 공압출된다(co-extruded). 상기 제1 섬유 성분(11)은 20 내지 80 부피% 범위의 양으로 표시되고, 상기 제2 섬유 성분(12)은 20 내지 80 부피% 범위의 양으로 표시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 섬유 성분(11) 및 상기 제2 섬유 성분(12)의 각각은 50 부피%의 양으로 표시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복합 섬유(1)의 제2 바람직한 구현예를 도시한다. 이 구현예에서, 상기 제1 섬유 성분(11) 및 상기 제2 섬유 성분(12)는 심초형(core-and-sheath) 배열로 공압출된다. 상기 제1 섬유 성분(11)는 상기 코어(core)부를 정의하고, 상기 제2 섬유 성분(12)는 상기 시스(sheath)부를 정의한다. 상기 제1 섬유 성분(11)은 40 내지 90 부피% 범위의 양으로 표시되고, 상기 제2 섬유 성분(12)은 10 내지 60 부피% 범위의 양으로 표시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 섬유 성분(11)은 70 내지 90 부피% 범위의 양으로 표시되고, 상기 제2 섬유 성분(12)은 10 내지 30 부피% 범위의 양으로 표시된다. 위에서 언급된 상기 범위는 예시적이고,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지 않는다. 특히, 상기 제2 섬유 성분(12)의 함유량은 상기 제1 섬유 성분(11)의 표면적를 완전히 덮기 위해 충분한 양이다.
나아가, 사용된 상기 광촉매는 이산화티탄(TiO2), 산화아연(ZnO), 산화주석 (SnO), 산화텅스텐(WO), 산화제이철(Fe2O3) 등과 같은, 제품으로 시판된다. 상기 미립자의 광촉매의 직경은 실제 필요조건에 따라 변화시킬 수 있다. 상기 제2 유기 고분자에 분산시킨 상기 광촉매는 아나타제 결정의 형태인 이산화티탄인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광촉매의 직경은 10 ㎚ 내지 900 ㎚, 바람직하게 10 ㎚ 내지 500 ㎚, 및 더 바람직하게 10 ㎚ 내지 200 ㎚, 가장 바람직하게 10 ㎚ 내지 100 ㎚의 범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복합 섬유(1)의 단면의 직경, 길이, 및 모양은 실제 필요조건따라 변화시킬 수 있다. 상기 복합 섬유(1)의 단면의 직경은 5 ㎛ 내지 2 ㎜, 및 바람직하게 10 내지 100 ㎛의 범위이다. 상기 섬유 복합(1)의 길이는 1 ㎜ 내지 80 ㎜의 범위이다.
도 3 내지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복합 섬유는 섬유 조립체(assemblies), 예컨대 섬유 다발(fiber bundle), 벌키형 섬유(bulky fibers), 페브릭, 부직포 및 브레이드된 직물(braided fabric)과 같은 것으로 더 가공되어질 수 있다.
섬유 다발은 상기 복합 섬유를 조립하는 단계, 고정 단계 및 절단 단계에 의해 형성되어진다. 벌키 섬유는 상기 복합 섬유를 권축하는 단계(crimping), 조립하는 단계, 고정하는 단계 및 절단 단계에 의해 생산되어진다. 부직포는 개구하는 단계(opening), 소면하는 단계(carding), 래핑하는 단계(lapping) 및 압밀(consolidation)하는 공정을 통해 제조되어진다. 도 6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이로 써 형성된 상기 부직포는, 예컨대 더 강한 부직포를 얻기위해 요구된 크기로 자르고 난 다음에 결합시켜서, 더 구조적으로 강화시킬 수 있다. 브레이드된 직물은 브레이드하는(braiding) 공정 및 절단 공정에 의해 생산되어진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유체-정화 장치(fluid-cleaning device), 즉 워터-정화 장치(water-cleaning device;2)의 제1 바람직한 구현예를 도시한다. 상기 워터-정화 장치는, 가공처리된 폐수를 수용하기 위한 반응기 유닛(unit;21); 상기 복합 섬유를 포함하고 가공처리된 폐수에 접촉시키기 위한 상기 반응기 유닛(21)에 배치된 광촉매 유닛(23); 및 상기 미립자의 광촉매를 활성화하기 위해 상기 광촉매 유닛(23)에 조사(照射)하는 광 유닛(22)를 포함한다.
상기 반응기 유닛(21)은 입구(211) 및 출구(212)를 포함한다. 상기 라이트(light) 유닛(22)은 자외선 램프(UV lamp;221)를 제공하게되고, 상기 반응기 유닛(21)의 두 대향하는 면에 각각 배치되어진다. 상기 광촉매 유닛(23)의 상기 복합 섬유(231)는 상기 반응기 유닛(21)에서 자유롭게 부유되어진다.
상기 워터-정화 장치(2)는 상기 반응기 유닛(21)에서 폐수를 교반하기 위한 상기 입구(211)에 가까운 교반 유닛(24)를 더 포함함으로써, 폐수와 상기 복합 섬유(231)의 사이의 접촉을 강화시키기 위함이다. 게다가, 상기 워터-정화 장치(2)는 상기 출구(212)를 통해 상기 처리된 물을 배출하기 전에 상기 가공 처리된 물로부터 상기 복합 섬유(231)를 분리하기 위한 필터(25)를 더 포함한다.
작동 중에, 정화된 폐수는 상기 광촉매 유닛(23)의 상기 복합 섬유(231)에 접촉시키기 위해 상기 입구(211)를 통해 상기 반응기 유닛(21) 내로 도입된다. 상 기 라이트 유닛(22)에 의해 발생된 자외선(UV light)은 상기 복합 섬유(231)에서 광촉매를 활성화하기 위해 상기 반응기 유닛(21)내로 인도된다. 반응 후, 상기 정화된 물은 상기 필터(25)에 의해 상기 복합 섬유(231)로부터 분리되고, 상기 출구(212)를 통해 반응기 유닛(21)으로부터 배출된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유체-정화 장치, 즉 워터-정화 장치(3)의 제2 바람직한 구현예를 도시한다. 상기 워터-정화 장치(3)는, 가공처리된 폐수를 수용하기 위한 반응기 유닛(31); 가공처리된 폐수에 접촉하기 위해 상기 반응기 유닛(31)에 배치되고 하기에 기술된 실시예 2로부터 얻게된 섬유 다발(331)(도 10을 본다)을 포함하는 광촉매-함유 섬유(photocatalyst-containing fiber) 유닛(33); 및 상기 미립자의 광촉매를 활성화하기 위한 상기 광촉매-함유 섬유 유닛(33)을 조사하는 광 유닛(32)를 포함한다.
상기 반응기 단위(31)는 입구(311) 및 출구(321)를 포함한다. 상기 광 유닛(32)은 상기 반응기 유닛(31)의 두 대향면에 배치된 자외선 램프(UV lamp;312)를 포함한다.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다수의 섬유 다발(331)은 평행하게 상기 반응기 유닛(21)에 배열되고 상기 섬유 다발(331)의 두 면에 수지를 사용해서 함께 뷴류되어진다. 상기 광촉매-함유 섬유 유닛(33)은 상기 광촉매-함유 섬유 유닛(33)의 상기 섬유 다발(331)내로 상기 광 유닛(32)의 상기 자외선 램프(321)로부터 조사된 빛을 인도하기 위해 섬유 다발(331)의 두 측면에 광 유도 표면(light guiding surface : 333)을 제공한다.
상기 워터-정화 장치(3)는 상기 반응기 유닛(31)에 폐수를 교반하기 위한 상 기 입구(311)의 가까이에 교반 유닛(34)를 더 포함한다.
광촉매을 가한 상기 복합 섬유는 공기 또는 물을 정화하게 하기 위해 사용된다. 본 발명에서, 물은 도시를 위한 실시예로서 사용된다.
(실시예 1)
제1 성분으로서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70 부피% 및 제2 성분으로서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및 산화 티타늄의 혼합물(99 : 1 중량%)의 30 부피%를 이성분 방사 공정에 투입하여 0.2 ㎜의 직경을 가진 복합 섬유를 얻었다. 이로써 형성된 상기 복합 섬유는 5 ㎜ 길이로 잘랐다.
이어서 상기 수득한 복합 섬유를 20 ml의 10 ppm 메틸렌 블루 용액에서 분산시겼고, 자외선을 조사하여 멜틸렌 블루 용액의 색깔이 변하는 것을 관찰하였다. 18시간의 반응 후, 상기 메틸렌 블루 용액의 색상은 파란색에서 무색으로 변화하였다. 이로써 상기 복합 섬유가 광촉매적 효과를 나타내는 것임이 명백하다.
(실시예 2)
제1 성분으로서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80 부피% 및 제2 성분으로서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와 산화티타늄의 혼합물(99 : 1 중량%)의 20 부피%를 이성분 방사 공정에 투입하여 0.2 ㎜의 직경을 가진 섬유 복합재료를 얻었다. 이로써 수득한 복합 섬유를 10 ㎝ 길이의 섬유 다발을 형성하기 위해 번들링(bundling) 공정 및 절단 공정에 필요하였다.
이어서 상기 수득한 복합 섬유를 20 ml, 10 ppm 메틸렌 블루 용액에서 분산시켰고, 자외선을 조사하여 메틸렌 블루 용액의 색상이 변하는 것을 관찰하였다. 20시간의 반응 후, 메틸렌 블루 용액의 색상은 파란색에서 무색으로 변화하였다. 이로써 상기 복합 섬유가 광촉매적 효과를 나타내는 것임이 명백하다.
본 발명의 상기 복합 섬유의 상기 제2 섬유 성분은 광촉매 및 제2 유기 고분자를 제1 혼합하는 단계에 의해 형성되고, 동시에 상기 혼합물을 압출시키는 것이므로, 폐수 처리동안 종래 기술분야에 관련된 전술한 박리 문제는 제거될 수 있다.
본 발명이 가장 실용적이고 바람직한 구현예로 간주된 것과 연결하여 기술되어지는 경우, 본 발명은 개시된 구현예들로 제한하고자 하는 것이 아니지만, 다양한 해석 및 균등한 배열의 내용 및 범위 내에 속한 다양한 배열을 보호하려 한다.

Claims (11)

  1. 복합 섬유(composite fiber;1,231)로서,
    제1 유기 고분자로부터 만들어진 제1 섬유 성분(11); 및
    제2 유기 고분자와 미립자 광촉매(particulate photocatalyst)로부터 만들어진 제2 섬유성분(12)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섬유.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립자 광촉매는 상기 제2 유기 고분자내에 분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섬유(1,231).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섬유 성분(11) 및 상기 제2 섬유 성분(12)은 사이드-바이-사이드(side-by-side) 배열로 공압출(co-extruded)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섬유(1,231).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섬유 성분 및 상기 제2 섬유 성분은 심초형(core-and-sheath) 배열로 공압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섬유(1,231).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유기 고분자 및 상기 제2 유기 고분자는 폴리에스테르,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아미드, 폴리올레핀, 폴리아크릴레이트, 폴리비닐 알코올, 폴리에틸렌 클로라이드, 폴리에틸렌 플루오라이드, 폴리스티렌,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섬유(1,231).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유기 고분자 및 상기 제2 유기 고분자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섬유(1,231).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유기 고분자 및 상기 제2 유기 고분자는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MMA)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섬유(1,231).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촉매는 상기 제2 섬유 성분(12)의 0.5 내지 8 중량% 범위의 양으로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섬유(1,231).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립자 광촉매는 이산화티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섬유(1,231).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립자 광촉매의 직경은 10 ㎚ 내지 100 ㎚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섬유(1,231).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 섬유(1,231)는 5㎛ 내지 2 ㎜ 범위인 직경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섬유(1,231).
KR20060007992A 2005-08-12 2006-01-25 복합 섬유 KR10065865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TW094127535A TWI343833B (en) 2005-08-12 2005-08-12 Short fibers containing photocatalyst, the prearation thereof and method for purifying contaminated fluid by using the same
TW094127534A TWI287054B (en) 2005-08-12 2005-08-12 Bicomponent fibers containing photocatalyst, preparation thereof and method for purifying contaminated fluid by using the same
TW094127534 2005-08-12
TW094127535 2005-08-1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58652B1 true KR100658652B1 (ko) 2006-12-15

Family

ID=377336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60007992A KR100658652B1 (ko) 2005-08-12 2006-01-25 복합 섬유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2) US20070037694A1 (ko)
JP (2) JP2007051404A (ko)
KR (1) KR100658652B1 (ko)
MY (1) MY143780A (ko)
SG (2) SG130081A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2448B1 (ko) * 2009-08-31 2012-03-13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복합섬유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165729B1 (ko) 2012-04-17 2012-07-18 주식회사 비 에스 지 고내구성의 항균소취 기능을 갖는 방적사, 이로 제조된 원단 및 이 원단 제조방법
KR101207457B1 (ko) * 2010-05-03 2012-12-03 주식회사 비 에스 지 감염 방지성이 우수한 병원 의복용 원단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240341B1 (ko) 2011-05-31 2013-03-07 웅진케미칼 주식회사 적외선 및 자외선 차폐성능이 우수한 저융점 재생 폴리에스테르 필라멘트 및 그 제조방법
KR101475649B1 (ko) * 2014-01-03 2014-12-22 한국섬유개발연구원 자외선차단성이 우수한 쉬쓰/코어형 나일론 6 복합필라멘트의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MY143780A (en) * 2005-08-12 2011-07-15 Kang Na Hsiung Entpr Co Ltd Fluid cleaning system and method for cleaning a fluid
CN102105403B (zh) * 2007-09-26 2013-07-24 公益财团法人北九州产业学术推进机构 具有氧化还原活性的水的生成方法和具有氧化还原活性的水的生成装置
KR101450261B1 (ko) * 2014-03-03 2014-10-23 (주) 한국환경진단연구소 광촉매 섬유볼 여과장치를 이용한 소규모 수처리 시설의 용수 순환시스템
KR101450262B1 (ko) * 2014-03-24 2014-10-23 (주) 한국환경진단연구소 카트리지형 광촉매 섬유볼 여과기를 이용한 소규모 수처리 시설의 용수 순환시스템
CN110078260A (zh) * 2019-05-17 2019-08-02 聊城鲁西聚碳酸酯有限公司 一种去除高盐废水中的双酚a的系统及方法和应用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74877A (en) * 1986-07-24 1992-12-29 Photo-Catalytics, Inc. Apparatus for photocatalytic treatment of liquids
JPS63126971A (ja) * 1986-11-17 1988-05-30 前田 信秀 遠赤外線放射性繊維構造物の製造方法
US5507814A (en) * 1994-03-30 1996-04-16 Northwestern University Orthopedic implant with self-reinforced mantle
TW297060B (ko) * 1995-02-15 1997-02-01 Takeda Pharm Industry Co Ltd
US5652051A (en) * 1995-02-27 1997-07-29 Kimberly-Clark Worldwide, Inc. Nonwoven fabric from polymers containing particular types of copolymers and having an aesthetically pleasing hand
US5700573A (en) * 1995-04-25 1997-12-23 Mccullough; Francis Patrick Flexible biregional carbonaceous fiber, articles made from biregional carbonaceous fibers, and method of manufacture
US5790934A (en) * 1996-10-25 1998-08-04 E. Heller & Company Apparatus for photocatalytic fluid purification
US7217754B2 (en) * 1997-02-26 2007-05-15 Integument Technologies, Inc. Polymer composites and methods for making and using same
CN1117630C (zh) * 1997-12-25 2003-08-13 工业技术院 用于环境净化的光催化粉末、含有所述粉末的聚合物组合物及其定型制品和生产方法
US7060643B2 (en) * 2000-12-28 2006-06-13 Showa Denko Kabushiki Kaisha Photo-functional powder and applications thereof
TW200605898A (en) * 2004-08-02 2006-02-16 China Textile Inst Methods of fabricating photo-catalytic antibiotic polyester grains and textiles
MY143780A (en) * 2005-08-12 2011-07-15 Kang Na Hsiung Entpr Co Ltd Fluid cleaning system and method for cleaning a fluid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2448B1 (ko) * 2009-08-31 2012-03-13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복합섬유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207457B1 (ko) * 2010-05-03 2012-12-03 주식회사 비 에스 지 감염 방지성이 우수한 병원 의복용 원단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240341B1 (ko) 2011-05-31 2013-03-07 웅진케미칼 주식회사 적외선 및 자외선 차폐성능이 우수한 저융점 재생 폴리에스테르 필라멘트 및 그 제조방법
KR101165729B1 (ko) 2012-04-17 2012-07-18 주식회사 비 에스 지 고내구성의 항균소취 기능을 갖는 방적사, 이로 제조된 원단 및 이 원단 제조방법
KR101475649B1 (ko) * 2014-01-03 2014-12-22 한국섬유개발연구원 자외선차단성이 우수한 쉬쓰/코어형 나일론 6 복합필라멘트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7050402A (ja) 2007-03-01
MY143780A (en) 2011-07-15
SG130081A1 (en) 2007-03-20
SG130082A1 (en) 2007-03-20
US20070034574A1 (en) 2007-02-15
US20070037694A1 (en) 2007-02-15
JP2007051404A (ja) 2007-03-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58652B1 (ko) 복합 섬유
US6902653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hotocatalytic purification and disinfection of fluids
US6238631B1 (en) Three-dimensional, photocatalytic filter apparatus
CN205014509U (zh) 光触媒球过滤器及利用其的空气净化系统
CN104010710B (zh) 采用光纤维的抗菌过滤器及包含其的空气净化器
US20130142692A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purification of air
JP2004528171A (ja) 水及び超純水の光触媒浄化及び殺菌のための装置並びに方法
CN1840225A (zh) 光催化增强装置
JPH11290695A (ja) 光触媒フィルタ
US2003021102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contaminating water or air by a photolytic and photocatalytic reaction
KR100737968B1 (ko) 유체 정화 시스템 및 유체 정화 방법
EP1798204B1 (en) Fluid cleaning system and method for cleaning a fluid
WO200801455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ffecting a chemical reaction
WO200811312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ffecting a predetermined transformation
EP1798317A1 (en) Composite fibre
KR102396524B1 (ko) 3d 프린터에 의해 제조되는 광촉매 필터 및 광촉매 필터를 포함하는 공기정화장치
JP2000015065A (ja) 触媒担持中空糸膜
WO2022065593A1 (ko) 광촉매 필터 및 광촉매 필터를 포함하는 공기정화장치
KR200340227Y1 (ko) 광촉매를 이용한 공기살균기
JPH11267419A (ja) シート構造体
KR102511801B1 (ko) 3d 프린터에 의해 제조되는 광촉매 필터를 포함하는 공기정화장치
JP2003103142A (ja) ガス浄化装置
KR102495732B1 (ko) 공기청정기용 필터
KR200318803Y1 (ko) 공기정화기
TWI343833B (en) Short fibers containing photocatalyst, the prearation thereof and method for purifying contaminated fluid by us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1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0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3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