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58275B1 - 휴대용 표시장치의 커넥터 - Google Patents

휴대용 표시장치의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58275B1
KR100658275B1 KR1020050112572A KR20050112572A KR100658275B1 KR 100658275 B1 KR100658275 B1 KR 100658275B1 KR 1020050112572 A KR1020050112572 A KR 1020050112572A KR 20050112572 A KR20050112572 A KR 20050112572A KR 100658275 B1 KR100658275 B1 KR 1006582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pins
dummy
display device
p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125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환
배규한
한규섭
Original Assignee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1125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58275B1/ko
Priority to JP2006228985A priority patent/JP4343200B2/ja
Priority to DE602006002091T priority patent/DE602006002091D1/de
Priority to EP06124434A priority patent/EP1791219B1/en
Priority to US11/602,363 priority patent/US7591671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582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582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076Coupling devices for connection between PCB and component, e.g. displa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04Pins or blades for co-operation with sockets

Landscapes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크랙(Crack) 등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휴대용 표시장치의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휴대용 표시장치의 커넥터는 몸체와, 상기 몸체상에 형성되는 커넥터 핀들과, 상기 몸체상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더미 핀과, 상기 커넥터 핀들 및 더미 핀의 일부분을 덮도록 형성되는 보호층을 구비하며, 상기 보호층은 적어도 2개 이상의 커넥터 핀의 노출길이가 서로 다르도록 형성된다.

Description

휴대용 표시장치의 커넥터{Connecter for Portable Display Device}
도 1은 종래의 휴대용 표시장치의 커넥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휴대용 표시장치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휴대용 표시장치의 커넥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202 : 몸체 4,204 : 커넥터 핀
6,206 : 보호층 8,208 : 경계부분
10,210 : 휴대용 표시장치의 커넥터 102 : 바텀 섀시
104 : 몰드 프레임 106,108,112 : 인쇄회로기판
110 : 표시패널 114 : 집적회로
205a,205b : 더미 핀
본 발명은 휴대용 표시장치의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특히 크랙(Crack) 등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휴대용 표시장치의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음극선관(Cathode Ray Tube)의 단점인 무게와 부피를 줄일 수 있는 각종 평판 표시장치들이 개발되고 있다. 평판 표시장치로는 액정 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전계방출 표시장치(Field Emission Display), 플라즈마 표시패널(Plasma Display Panel) 및 발광 표시장치(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등이 있다.
여기서, 액정 표시장치 및 발광 표시장치는 소형화, 경량화 및 저전력 등의 이점을 가지고 있어서 기존의 음극선관의 단점을 극복할 수 있는 대체 수단으로서 점차 주목받아 왔고, 현재는 핸드폰 및 PDA(Portable digital assistance) 등의 휴대용 기기뿐만 아니라 중대형 제품인 모니터 및 TV등에도 장착되고 있다.
핸드폰 등의 휴대용 표시장치에는 2개의 표시패널이 장착된 듀얼 형태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여기서, 제 1표시패널은 액정 표시장치 등으로 선택되어 통화 정보등 비교적 많은 정보를 표시하고, 제 2표시패널은 액정 표시장치 또는 발광 표시장치 등으로 선택되어 시간 등의 비교적은 적은 양의 정보를 표시한다. 그리고, 제 1표시패널 및 제 2표시패널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인쇄회로기판이 설치되어 제 1표시패널 및 제 2표시패널에서 소정의 화상을 표시될 수 있도록 구동신호를 공급한다.
이와 같은 종래의 휴대용 표시장치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커넥터가 사용된다. 예를 들어, 제 1표시패널 및 제 2표시패널의 사이에 2개의 인쇄회로기판이 설치되고, 이 인쇄회로기판들을 접속시키기 위하여 커넥터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인쇄회로기판과 표시패널들 간의 접속을 위하여 커넥터가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휴대용 표시장치의 커넥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휴대용 표시장치의 커넥터(10)는 몸체(2)와, 몸체(2) 상에 도전 물질로 형성되는 커넥터 핀(4)과, 커넥터 핀(4)의 일부를 덮도록 형성되는 보호층(6)을 구비한다.
몸체(2)는 커넥터 핀(4) 및 보호층(6)이 형성될 수 있도록 소정의 지지력을 제공한다. 이와 같은 몸체(2)는 유동 가능한 물질로 형성되어 도시되지 않은 커넥터 삽입포인트에 삽입된다. 몸체(2)가 커넥터 삽입포인트에 삽입되면 커넥터 핀(4)이 커넥터 삽입포인트에 형성된 도전체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여기서, 몸체(2)는 커넥터 핀(4)들이 전기적으로 접속되지 않도록 부도체로 형성된다.
커넥터 핀(4)은 몸체(2)의 끝단에 노출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이와 같은 커넥터 핀(4)은 도전체로 형성되어 몸체(2)가 커넥터 삽입포인트에 삽입될 때 커넥터 삽입포인트에 형성된 도전체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보호층(6)은 몸체(2)의 끝단 부분을 제외한 부분에 형성된다. 다시 말하여, 보호층(6)은 몸체(2)의 끝단 부분에서만 커넥터 핀(4)이 노출되고, 그 외의 부분에서 노출되지 않도록 형성된다. 이와 같은 보호층(6)은 커넥터 삽입포인트에 삽입 되지 않은 부분에서 커넥터 핀(4)의 노출을 방지함으로써 커넥터 핀(4)의 파손을 방지한다.
하지만, 이와 같은 종래의 휴대용 표시장치의 커넥터(10)는 보호층(6)과 커넥터 핀(4)의 경계부분(8)에서 크랙(Crack)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실제로, 보호층(6)이 일자형태로 형성되기 때문에 경계부분(8)이 쉽게 구부러지고, 이에 따라 커넥터 핀(4)에 크랙이 발생되어 휴대용 표시장치에서 원하는 화상을 표시할 수 없다. 여기서, 몸체(2)의 가장자리 부분에 위치되는 커넥터 핀(4)에서 주로 크랙이 발생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크랙 등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휴대용 표시장치의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 1측면은 몸체와, 상기 몸체상에 형성되는 커넥터 핀들과, 상기 몸체상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더미 핀과, 상기 커넥터 핀들 및 더미 핀의 일부분을 덮도록 형성되는 보호층을 구비하며, 상기 보호층은 적어도 2개 이상의 커넥터 핀의 노출길이가 서로 다르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표시장치의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바람직하게, 상기 보호층은 물결무늬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더미 핀은 상 기 몸체의 양측 가장자리 각각에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된다. 상기 더미 핀은 상기 커넥터 핀들과 동일 물질로 형성된다. 상기 더미 핀은 전기적으로 격리된다.
본 발명의 제 2측면은 몸체와, 상기 몸체상에 형성되는 커넥터 핀들과, 상기 몸체의 양측 가장자리에 각각 형성되는 더미 핀들과, 상기 커넥터 핀들과 상기 더미 핀들의 일부분을 덮도록 물결무늬 형태로 형성되는 보호층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표시장치의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바람직하게, 상기 더미 핀들은 전기적으로 격리된다. 상기 더미 핀들은 상기 커넥터 핀들과 동일 물질로 형성된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 2 내지 도 3b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휴대용 표시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에서는 듀얼 표시장치를 도시하였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휴대용 표시장치의 구조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휴대용 표시장치는 바텀 섀시(102), 제 1인쇄회로기판(106), 제 2인쇄회로기판(108) 및 제 2표시패널(110)을 구비한다.
바텀 섀시(102)에는 도시되지 않은 제 1표시패널 및 백라이트 어셈블리 등이 수납된다. 실제로, 바텀 섀시(102)는 백라이트 어셈블리에 포함되는 몰드 프레임(104)과 결합된다. 제 1표시패널은 액정 표시패널로 설정되며, 자신에게 공급되는 구동신호에 대응하여 소정의 화상을 표시한다. 백라이트 어셈블리는 제 1표시패널에서 화상이 표시될 수 있도록 소정의 광을 제 1표시패널로 공급한다. 이를 위해, 백라이트 어셈블리에는 도시되지 않은 광원이 포함된다.
제 2인쇄회로기판(108)은 도시되지 않은 핸드폰측 구동회로로부터 구동신호를 공급받는다. 구동신호를 공급받은 제 2인쇄회로기판(108)은 자신에게 공급된 구동신호에 대응하여 다양한 제어신호들을 생성한다.
제 1인쇄회로기판(106)은 제 2인쇄회로기판(108)과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이와 같은 제 1인쇄회로기판(106)은 제 2인쇄회로기판(108)으로부터 공급되는 제어신호들에 대응하여 제 1바텀 섀시(102)에 수납된 액정 표시패널 및 광원을 구동시킨다.
제 2표시패널(110)은 제 3인쇄회로기판(112) 및 집적회로(114)에 접속된다. 제 3인쇄회로기판(112)은 제 1인쇄회로기판(106) 및/또는 제 2인쇄회로기판(108)과 접속되어 제어신호들을 집적회로(114)로 공급한다. 집적회로(114)는 자신에게 공급된 제어신호들에 대응하여 제 2표시패널(110)에서 소정의 화상을 표시되도록 한다. 여기서, 제 2표시패널(110)은 액정 표시패널 또는 발광 표시패널로 선택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휴대용 표시장치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커넥터가 설치된다. 예를 들어, 제 1인쇄회로기판(106)에 커넥터가 설치되고, 제 2인쇄회로기판(108)에 커넥터 삽입포인트가 설치됨으로써 제 1인쇄회로기판(106)과 제 2인쇄회로기판(108)이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다. 또한, 제 2인쇄회로기판(108)과 외부 구동부간의 접속, 인쇄회로기판들과 표시패널들 간의 접속을 위하여 커넥터가 설치될 수 있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휴대용 표시장치의 커넥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휴대용 표시장치의 커넥터(210)는 몸체(202)와, 몸체(202) 상에 도전 물질로 형성되는 커넥터 핀들(204)과, 몸체(202) 상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더미 핀(205a, 205b)과, 커넥터 핀(204)의 일부를 덮도록 형성되는 보호층(206)을 구비한다.
몸체(202)는 커넥터 핀들(204), 더미 핀(205a, 205b) 및 보호층(206)이 형성될 수 있도록 소정의 지지력을 제공한다. 이와 같은 몸체(202)는 유동 가능한 물질로 형성되어 도시되지 않은 커넥터 삽입포인트에 삽입된다. 몸체(202)가 커넥터 포인트에 삽입되면 커넥터 핀들(204)이 커넥터 삽입포인트에 형성된 도전체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여기서, 몸체(202)는 커넥터 핀들(204)이 전기적으로 접속되지 않도록 부도체로 형성된다.
커넥터 핀들(204)은 몸체(202) 상에 형성된다. 이와 같은 커넥터 핀들(204)은 도전체로 형성되어 몸체(202)가 커넥터 삽입포인트에 삽입될 때 커넥터 삽입포인트에 형성되는 도전체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더미 핀(205a, 205b)은 몸체(202) 상에 적어도 하나 형성된다. 실제로, 더미 핀(205a, 205b)은 몸체(202)의 양측 가장자리 각각에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된다. 이와 같은 더미 핀(205a, 205b)은 커넥터 핀들(204)과 동일 물질로 형성된다. 그리고, 더미 핀(205a, 205b)은 전기적으로 격리된다. 다시 말하여, 더미 핀(250a, 205b)은 몸체(202)가 커넥터 포인트에 삽입될 때 커넥터 삽입포인트에 형성된 도전체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지 않고 전기적으로 격리된다.
이와 같이, 몸체(202)의 양측 가장자리 각각에 더미 핀(205a, 205b)이 형성되면 가장자리에 위치된 커넥터 핀(204)에 크랙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시 말하여, 몸체(202)의 가장자리에서 주로 발생되는 크랙은 더미 핀(205a, 205b)에서 발생되고, 커넥터 핀(204)에서 발생되지 않는다.
보호층(206)은 몸체(202) 상에 형성된 커넥터 핀(204) 및 더미 핀(205a, 205b)의 일부분을 덮도록 형성된다. 실제로, 보호층(206)은 몸체(202)의 끝단부에서 커넥터 핀(204) 및 더미 핀(205a, 205b)이 노출되고, 그 외의 영역에서 노출되지 않도록 형성된다. 즉, 커넥터 핀(204)은 커넥터 삽입포인트에 삽입되는 않는 부분에서 커넥터 핀(204)이 노출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커넥터 핀(204)의 파손을 방지한다.
그리고, 보호층(206)은 보호층(206)과 커넥터 핀(204)의 경계부분(208)에서 물결무늬 형태로 형성된다. 다시 말하여, 보호층(206)은 적어도 2개 이상의 커넥터 핀(204)의 노출 부분의 길이가 서로 다르도록 형성된다. 예를 들어, 특정 커넥터 핀(204)의 노출 길이는 제 1길이(L1)로 형성되고, 다른 커넥터 핀(204)의 노출 길이는 제 1길이(L1)와 상이한 제 2길이(L2)로 형성된다.
이와 같이 보호층(206)이 물결무늬 형태로 커넥터 핀(204) 및 더미 핀(205a, 205b) 상에 도포되면 경계부분(208)에서 커넥터 핀(204)에 크랙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물결무늬 형태로 보호층(206)이 형성되면 커넥터 핀(204)이 삽입될 때 경계부분(208)에 가해지는 압력이 분산되고, 이에 따라 커넥터 핀(204)의 크랙을 방지할 수 있다. 실제로, 보호층(206)이 물결무늬 형태로 형성되면 경계부분(208)이 쉽게 구부러지지 않고, 이에 따라 커넥터 핀(204)의 크랙을 방지하여 휴대용 표시장치에서 원하는 화상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도면은 단지 본 발명의 예시적인 것으로서,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따라서,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하여 져야만 할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표시장치의 커넥터에 의하면 커넥터 핀 상에 물결무늬 형태로 보호층을 형성함으로써 커넥터 핀에 크랙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몸체의 양측 가장자리에 전기적으로 격리된 더미 핀을 추가로 형성함으로써 가장자리에 위치된 커넥터 핀에서 크랙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Claims (8)

  1. 몸체와,
    상기 몸체상에 형성되는 커넥터 핀들과,
    상기 몸체상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더미 핀과,
    상기 커넥터 핀들 및 더미 핀의 일부분을 덮도록 형성되는 보호층을 구비하며,
    상기 보호층은 적어도 2개 이상의 커넥터 핀의 노출길이가 서로 다르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표시장치의 커넥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층은 물결무늬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표시장치의 커넥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더미 핀은 상기 몸체의 양측 가장자리 각각에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표시장치의 커넥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더미 핀은 상기 커넥터 핀들과 동일 물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 는 휴대용 표시장치의 커넥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더미 핀은 전기적으로 격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표시장치의 커넥터.
  6. 몸체와,
    상기 몸체상에 형성되는 커넥터 핀들과,
    상기 몸체의 양측 가장자리에 각각 형성되는 더미 핀들과,
    상기 커넥터 핀들과 상기 더미 핀들의 일부분을 덮도록 물결무늬 형태로 형성되는 보호층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표시장치의 커넥터.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더미 핀들은 전기적으로 격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표시장치의 커넥터.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더미 핀들은 상기 커넥터 핀들과 동일 물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표시장치의 커넥터.
KR1020050112572A 2005-11-23 2005-11-23 휴대용 표시장치의 커넥터 KR1006582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12572A KR100658275B1 (ko) 2005-11-23 2005-11-23 휴대용 표시장치의 커넥터
JP2006228985A JP4343200B2 (ja) 2005-11-23 2006-08-25 携帯用表示装置のコネクタ
DE602006002091T DE602006002091D1 (de) 2005-11-23 2006-11-21 Stecker für Anzeigegerät
EP06124434A EP1791219B1 (en) 2005-11-23 2006-11-21 Connector for display device
US11/602,363 US7591671B2 (en) 2005-11-23 2006-11-21 Connector for display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12572A KR100658275B1 (ko) 2005-11-23 2005-11-23 휴대용 표시장치의 커넥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58275B1 true KR100658275B1 (ko) 2006-12-14

Family

ID=377335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12572A KR100658275B1 (ko) 2005-11-23 2005-11-23 휴대용 표시장치의 커넥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591671B2 (ko)
EP (1) EP1791219B1 (ko)
JP (1) JP4343200B2 (ko)
KR (1) KR100658275B1 (ko)
DE (1) DE602006002091D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308979B (en) * 2005-11-03 2009-04-21 Innolux Display Corp Dual panel display and method for improving display performance thereof
JP5741370B2 (ja) * 2011-10-25 2015-07-01 船井電機株式会社 表示装置およびテレビジョン装置
JP5863106B2 (ja) * 2012-01-27 2016-02-16 ミネベア株式会社 モーター制御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00964B1 (ko) * 1988-06-24 1992-01-31 가부시키가이샤 도시바 더미패턴을 이용한 전자 부품의 접속방법
JPH10134877A (ja) 1996-10-25 1998-05-22 Amp Japan Ltd コネクタ用端子保護カバー
JP2004207650A (ja) 2002-12-26 2004-07-22 Sumitomo Electric Printed Circuit Inc フレキシブルプリント配線用基板
KR20050120904A (ko) * 2004-06-21 2005-12-26 삼성전자주식회사 계단형 테스트 소켓용 리셉터클 소켓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91898A (en) * 1973-10-11 1975-06-24 Augat Inc Panel board mounting and interconnection system for electronic logic circuitry
US4004196A (en) * 1975-04-24 1977-01-18 Augat, Inc. Multi-layer panel board with single-in-line package for high speed switching logic
US4494172A (en) * 1982-01-28 1985-01-15 Mupac Corporation High-speed wire wrap board
JPS58132941A (ja) 1982-02-02 1983-08-08 Sharp Corp 部品搭載基板のリ−ド接続方法
US4881902A (en) * 1984-09-21 1989-11-21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Electrical terminator device
US4859190A (en) * 1988-02-29 1989-08-22 Solid State Devices Dual connector printed circuit board assembly and method
JP3143565B2 (ja) * 1994-02-28 2001-03-07 キヤノン株式会社 フレキシブルプリント配線、その接続装置、及び電気回路装置
JPH08180938A (ja) * 1994-12-27 1996-07-12 Sony Corp フレキシブルカード電線
JP2710593B2 (ja) 1995-09-18 1998-02-10 日本電気株式会社 フラットケーブル用コネクタ
JPH1174043A (ja) * 1997-08-29 1999-03-16 Molex Inc 平型柔軟ケーブル用コネクタとケーブルの接続構造 におけるロック構造
JP2000149668A (ja) * 1998-11-13 2000-05-30 Totoku Electric Co Ltd 端末保護フィルム貼付フラットケーブル
KR20050028627A (ko) 2003-09-19 2005-03-23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인쇄회로기판용 접촉식 커넥터구조
TW200537755A (en) * 2004-05-14 2005-11-16 P Two Ind Inc Structural improvement of flexible flat cabl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00964B1 (ko) * 1988-06-24 1992-01-31 가부시키가이샤 도시바 더미패턴을 이용한 전자 부품의 접속방법
JPH10134877A (ja) 1996-10-25 1998-05-22 Amp Japan Ltd コネクタ用端子保護カバー
JP2004207650A (ja) 2002-12-26 2004-07-22 Sumitomo Electric Printed Circuit Inc フレキシブルプリント配線用基板
KR20050120904A (ko) * 2004-06-21 2005-12-26 삼성전자주식회사 계단형 테스트 소켓용 리셉터클 소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70117432A1 (en) 2007-05-24
EP1791219A1 (en) 2007-05-30
DE602006002091D1 (de) 2008-09-18
US7591671B2 (en) 2009-09-22
JP2007140476A (ja) 2007-06-07
EP1791219B1 (en) 2008-08-06
JP4343200B2 (ja) 2009-10-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391493B2 (ja) 携帯用表示装置
KR101385231B1 (ko) 평판표시장치
US7630023B2 (en) Display device having chassis with bottom plate and having circuit board and grounding unit with protrusion on rear surface of bottom plate for grounding chassis to circuit board
US6970210B2 (en) Folder type multi display device
EP2651202B1 (en) Image displaying apparatus
KR100626056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JP4504947B2 (ja) 携帯用表示装置
KR20070113838A (ko) 평판표시장치용 인쇄회로기판 및 이를 구비한 평판표시장치
JP2006113589A (ja) 表示装置
US8118472B2 (en) Fixing structure for printed circuit board of backlight module
KR20080076309A (ko) 액정표시장치 및 이를 구비한 태블릿 컴퓨터
KR100658275B1 (ko) 휴대용 표시장치의 커넥터
KR20080067846A (ko) 액정 표시 장치
KR20070005806A (ko)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이용한 액정표시장치
KR100658274B1 (ko) 휴대용 표시장치의 커넥터
US7535700B2 (en) Plasma display device
KR100739301B1 (ko) 휴대용 표시장치의 커넥터
KR100745351B1 (ko) 휴대용 표시장치
US7429184B2 (en) Lamp holder, lamp assembly having the same, backlight assembly having the same,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KR100722105B1 (ko) 휴대용 표시장치
KR100671653B1 (ko) 휴대용 표시장치
KR20080043051A (ko) 표시 패널 및 이를 구비하는 표시 장치
KR20070068113A (ko) 백라이트 유닛 및 액정 표시 장치
US20070115620A1 (en) Portable display device
KR20070058182A (ko)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포함한 액정 표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9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6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2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