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57242B1 - 디스크 기록/재생 장치의 디스크 장착 방법 및 이에 적합한 편심 보정 장치 - Google Patents

디스크 기록/재생 장치의 디스크 장착 방법 및 이에 적합한 편심 보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57242B1
KR100657242B1 KR1019990040032A KR19990040032A KR100657242B1 KR 100657242 B1 KR100657242 B1 KR 100657242B1 KR 1019990040032 A KR1019990040032 A KR 1019990040032A KR 19990040032 A KR19990040032 A KR 19990040032A KR 100657242 B1 KR100657242 B1 KR 1006572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k
disc
eccentricity
eccentricity correction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400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27998A (ko
Inventor
연철성
정수열
이호철
이철우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900400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57242B1/ko
Publication of KR200100279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279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572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572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08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 G11B7/09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with provision for moving the light beam or focus plane for the purpose of maintaining alignment of the light beam relative to the record carrier during transducing operation, e.g. to compensate for surface irregularities of the latter or for track following
    • G11B7/095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with provision for moving the light beam or focus plane for the purpose of maintaining alignment of the light beam relative to the record carrier during transducing operation, e.g. to compensate for surface irregularities of the latter or for track following specially adapted for discs, e.g. for compensation of eccentricity or wobble
    • G11B7/0953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with provision for moving the light beam or focus plane for the purpose of maintaining alignment of the light beam relative to the record carrier during transducing operation, e.g. to compensate for surface irregularities of the latter or for track following specially adapted for discs, e.g. for compensation of eccentricity or wobble to compensate for eccentricity of the disc or disc track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9/00Driving, starting, stopp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Driving both disc and head
    • G11B19/20Driving; Starting; Stopping; Control thereof
    • G11B19/2009Turntables, hubs and motors for disk drives; Mounting of motors in the drive
    • G11B19/2045Hub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12Heads, e.g. forming of the optical beam spot or modulation of the optical beam
    • G11B7/13Optical detectors therefor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24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physical properties, or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 G11B7/24018Laminated discs
    • G11B7/24021Laminated discs provided with a special shape or structure for centering or eccentricity prevention, e.g. alignment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20Disc-shaped record carriers
    • G11B2220/25Disc-shaped 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in that the disc is based on a specific recording technology
    • G11B2220/2537Optical disc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Optical Recording Or Reproduction (AREA)

Abstract

디스크 기록/재생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편심 보정을 위한 디스크 장착 방법, 편심 보정 장치, 그리고 이에 적합한 디스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크 장착 방법은 광디스크 기록/재생 장치의 디스크 장착 방법에 있어서, 디스크를 스핀들 모터의 허브에 장착함에 있어 장착된 디스크가 래디얼 방향으로 밀어주는 힘에 의해 유동가능한 정도로 느슨하게 장착하는 제1디스크 장착 과정; 장착된 디스크를 회전시키면서 디스크의 1회전시 발생하는 트랙 크로스 횟수를 계수함에 의해 디스크 편심량을 측정하하고, 디스크의 1회전시 광검출기에서 발생하는 차신호의 위상이 합신호의 위상보다 90도 앞서기 시작하는 위치를 편심 보정 위치로 결정하는 편심 측정 과정; 측정된 편심 보정 위치에서 측정된 편심량을 상쇄하는 방향으로 디스크를 스핀들 모터의 회전축 방향으로 편심량만큼 밀어주는 편심 보정 과정; 및 느슨하게 장착되었던 디스크를 디스크의 회전 혹은 래디얼 방향으로 밀어주는 힘에 의해 움직이는 것을 방지하도록 견고하게 장착하는 제2디스크 장착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크 장착 방법은 장착된 디스크의 편심을 측정하고 이를 보상하도록 디스크를 재장착시킴으로서 디스크의 편심을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Description

디스크 기록/재생 장치의 디스크 장착 방법 및 이에 적합한 편심 보정 장치{Disc clamping method and correcting apparatus of partial dispositiontherefor for disc recording/reproducing devic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크 장착 방법을 보이는 흐름도이다.
도 2는 디스크 편심에 의한 영향을 나타내는 개념적으로 보이기 위해 도시된 것이다.
도 3은 디스크의 회전에 따른 편심량의 변화를 보이는 그래프이다.
도 4a 내지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편심 보정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이는 블록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편심 보정 제어부의 상세한 구성을 보이는 블록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장치의 동작을 보이는 파형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크들을 보이는 것이다.
도 8은 종래의 디스크들을 보이는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크 조립 방법을 보이는 흐름도이다.
본 발명은 디스크 기록/재생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편심 보정을 위한 디스크 장착 방법, 편심 보정 장치, 그리고 이에 적합한 디스크에 관한 것이다.
디스크의 기록밀도 증가에 따른 트랙 밀도 증가로 인한 편심의 영향이 커지고 있다. 편심(partial disposition)은 디스크의 중심축이 실제의 중심축과 다르거나, 디스크의 중심축과 회전축이 일치하지 않음으로 인하여 발생한다.
도 8은 종래의 디스크들을 보이는 것으로서, 도 8의 (a)에 도시된 것은 광디스크 혹은 광자기 디스크의 트랙 구조를 보이는 것이고, 도 8의 (b)에 도시된 것은 자기 디스크의 샘플 서보 마크(sample servo mark)가 형성된 구조를 보이는 것이다. 광디스크 드라이브 혹은 광자기 디스크 드라이브는 디스크 착탈식이며, 디스크에는 동심원 혹은 나선형의 V(또는 U)홈이 미리 가공되어 있다. 도 8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은 종래의 디스크는 저밀도, 저용량으로 트랙 피치가 크고, 디스크 회전수가 작았기 때문에 어느 정도의 편심이 있더라도 헤드가 기록된 신호를 검출하기 위한 포커싱 서보, 트랙킹 서보 동작 등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었다.
도 8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은 HDD(Hard Disc Driver) 등의 자기 디스크는 디스크에 미리 트랙을 형성하지 않고 스핀들 모터 허브(spindle moter hub)에 디스크를 장착,고정한 후 서보-라이터(servo writer)라는 장치를 이용하여 트랙을 형성하고, 디스크 상에 일정 간격으로 샘플 서보 마크(어드레스 마크, 동기 신호, 트랙 식별 번호, 서보 버스트 신호 등)을 기록하며, 이러한 샘플 서보 마크에 의해 검출 되는 신호로 트랙킹 서보(서보 버스트 신호를 이용), 트랙 탐색(트랙 ID신호를 이용)에 사용하였다. 그러므로 HDD에는 기본적으로 편심이 존재하지 않는다.
최근에는 근접장 기록(Near Field Recording)을 이용한 광자기 방식의 기록/재생 장치가 소개되어 있다. 근접장 기록은 대물렌즈의 개구율(NA)를 종래의 0.4 내지 0.6에서 1.0이상으로 높인 것으로서 이에 따라 대물렌즈의 워킹 디스턴스(working distance)가 HDD에 필적하는 수십㎚수준의 근접장으로 제한된다. 이러한 근접장 기록을 사용하는 장치는 개구율의 증대에 의해 광스폿의 크기가 작아지게 되므로 사용되는 디스크의 트랙피치도 0.2∼0.4㎛이하로 작아지게 된다. 이러한 디스크의 그루브(groove)가공을 위해서는 현재의 레이저 빔 마스터링(laser beam mastering) 장비로는 한계에 이르렀고 새로운 이온 빔 매스터링(ion beam mastering) 장비를 이용해야 한다. 또한 디스크 사출시 사출 공차에 의해 그루브 형상에 오차가 발생하여 재생시 신호 잡음이 발생하는 원인이 된다.
이러한 문제의 해결 방안으로 그루브 트랙을 없애고 HDD 디스크와 같이 디스크를 스핀들 모터에 장착한 후에 서보-라이터를 이용하여 서보 정보를 기록할 수도 있지만 대량 생산을 위하여 미리 가공이 된 형태(pre-pit)로 디스크를 제작하는 것이 유리하게 된다.
따라서, 미리 가공된 형태의 자기디스크를 스핀들 모터에 일단 느슨하게 장착한 후 디스크의 편심을 보정한 후에 디스크를 스핀들 모터에 견고하게 장착하는 방법을 사용하는 것이 유리하게 된다.
본 발명은 스핀들 모터에 디스크를 장착함에 있어서 디스크 편심을 보정하여 장착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의 방법에 적합한 편심 보정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의 장치에 적합한 디스크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응 상기의 디스크 장착 방법을 이용한 디스크 조립 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크 장착 방법은 광디스크 기록/재생 장치의 디스크 장착 방법에 있어서, 디스크를 스핀들 모터의 허브에 장착함에 있어 장착된 디스크가 래디얼 방향으로 밀어주는 힘에 의해 유동가능한 정도로 느슨하게 장착하는 제1디스크 장착 과정; 장착된 디스크를 회전시키면서 편심량 및 편심 보정 위치를 검출하는 편심 측정 과정; 측정된 편심 보정 위치에서 측정된 편심량을 상쇄하는 방향으로 디스크를 스핀들 모터의 회전축 방향으로 편심량만큼 밀어주는 편심 보정 과정; 및 느슨하게 장착되었던 디스크를 디스크의 회전 혹은 래디얼 방향으로 밀어주는 힘에 의해 움직이는 것을 방지하도록 견고하게 장착하는 제2디스크 장착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다른 목적을 달성하는 본 발명에 따른 편심 보정 장치는 스핀들 모터에 장착되는 디스크의 편심을 보정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디스크에 레이저광을 조사하는 레이저 다이오드와 디스크로부터 반사되는 레이저광을 수광하는 광검출기 를 구비하는 광학부; 상기 스핀들 모터의 회전을 제어하고, 상기 광학부에서 발생된 수광신호들에 의해 편심량 및 편심 보정 위치를 결정하며, 이에 상응하는 편심 보정 신호를 발생하는 편심 보정 제어부; 디스크의 외주면과 접촉하여 편심 보정 신호에 의해 설정되는 편심 보정량만큼 디스크를 스핀들 모터의 회전축 방향으로 밀어주는 롤러; 및 상기 편심 보정 제어부에서 제공되는 편심 보정 신호에 의해 상기 롤러를 구동하는 기구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또 다른 목적을 달성하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크는 편심 검출에 적합한 디스크에 있어서, 디스크상의 외주 영역에 디스크의 편심 검출을 위한 다수 개의 트랙이 미리 형성되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또 다른 목적을 달성하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크 조립 방법은
MODD(Magnatic Optical Disc Dirve)와 같은 양면 디스크 혹은 다중 디스크를 만들기 위하여 두개의 디스크를 본딩하여 결합시키는 방법에 있어서, (a) 제1단면 디스크를 기준축을 중심으로 편심 조정하여 장착시키는 과정; (b) 제2단면 디스크를 기준축을 중심으로 편심 조정하여 장착시키는 과정; 및 (c) 상기 제1단면 디스크 및 제2단면 디스크를 본딩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 및 동작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크 장착 방법을 보이는 흐름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방법은 제1디스크 장착 과정(S102), 편심 측정 과정(S104), 편심 보정 과정(S106), 그리고 제2디스크 장착 과정(S108)을 포함한다.
제1디스크 장착 과정(S102)에서는 디스크를 스핀들 모터의 허브에 장착함에 있어 장착된 디스크가 래디얼 방향으로 밀어주는 힘에 의해 유동가능한 정도로 느슨하게 장착한다.
편심 측정 과정(S104))에서는 장착된 디스크를 회전시키면서 편심량 및 편심 보정 위치를 검출한다. 여기서, 디스크를 회전시키는 것은 편심의 크기 및 편심 보정 위치를 검출하기 위한 것이므로 정규의 속도로 회전시킬 필요는 없다.
도 2는 디스크 편심에 의한 영향을 나타내는 개념적으로 보이기 위해 도시된 것이다. 도 2에 있어서 실선으로 도시된 원은 오프트랙 상태에서의 대물렌즈의 이동궤적이고, 점선으로 도시된 원들은 트랙의 이동 궤적을 나타낸다. 도 2에 있어서 최내측위치(a)는 트랙의 최내측 이동 궤적이 대물렌즈의 이동궤적과 가장 가까워지는 위치이고, 최외측 위치(b)는 트랙의 최외측 이동궤적이 대물렌즈의 이동궤적과 가장 가까워지는 위치이다. 실질적으로 최내측위치(a)와 최외측위치(b)는 편심이 가장 많이 나타나는 위치로서 최내측위치(a)를 중심으로 +방향의 편심이, 최외측위치(b)를 중심으로 -방향의 편심이 나타난다.
편심량을 측정하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오프 트랙 상태 즉, 트랙킹 제어 루프가 개방된 상태에서 디스크의 편심량을 측정한다. 편심량은 편심에 의해 크로스(cross)되는 최대트랙수로서 나타내어진다. 도 2에 있어서, 편심이 없을 경우의 트랙 이동궤적은 대물렌즈의 이동궤적과 일치하기 때문에 트랙의 이동궤적이 대물렌즈의 이동궤적과 크로스되는 경우는 발생하지 않는다. 그러나, 편심이 있을 경우의 트랙 이동궤적은 대물렌즈의 이동궤적과 일치하지 않기 때문에 트랙의 이동궤적과 대물렌즈의 이동궤적이 크로스된다. 또한, 디스크의 1회전동안 발생되는 트 랙 크로스 횟수는 편심량에 비례한다. 실제로 편심량은 디스크의 1회전 동안에 발생되는 트랙 크로스 횟수를 4로 나눈 것에 트랙피치를 곱한 양으로 표현된다. 이는 편심의 영향으로 인하여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랙크로스가 0에서 +방향의 최대 편심량쪽으로 증가하는 구간, +방향의 최대 편심량으로부터 0로 감소하는 구간, 0에서 -방향의 최대 편심량쪽으로 증가하는 구간, -방향의 최대 편심량으로부터 0로 감소하는 구간의 4개 구간이 있으며 각 구간에서의 트랙 크로수 횟수는 동일하기 때문이다.
편심 보정 위치를 결정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대물렌즈가 트랙을 래디얼 방향으로 횡절할 때 즉, 편심이 있을 때 디스크의 래디얼 방향으로 2분할된 수광소자들에서 발생된 수광신호들의 합신호 및 차신호는 90도의 위상차를 보이며, 최내측 위치(a)에서 시작하여 최외측 위치(b)까지의 1/2회전 동안에는 차신호가 합신호에 대해 90도 앞서게 되지만, 최외측 위치(b)에서 최내측 위치(a)까지의 1/2회전 동안에는 차신호가 합신호에 대해 90도 뒤지게 되는 위상관계를 갖는다.
따라서, 차신호가 합신호에대해 90도만큼 위상이 앞서기 시작하는 위치는 +방향의 편심이 최대로 되는 지점에 해당하며, 이 지점에서 디스크를 스핀들 모터의 회전축 방향으로 편심량만큼 밀어주면 편심을 보정할 수 있게 된다.
편심 보정 과정(S104)에서는 측정된 편심 보정 위치에서 측정된 편심량을 상쇄하는 방향으로 디스크를 스핀들 모터의 회전축 방향으로 편심량만큼 밀어준다.
필요하다면 편심 측정 과정(S104)과 편심 보정 과정(S106)를 반복하여 편심 량이 최소가 되게 한다.
제2디스크 장착 과정(S108)에서는 느슨하게 장착되었던 디스크를 디스크의 회전 혹은 래디얼 방향으로 밀어주는 힘에 의해 움직이는 것을 방지하도록 견고하게 장착한다.
도 4a 내지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편심 보정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이는 블록도이다. 도 4a에 도시된 장치는 광학부(402), 편심 보정 제어부(404), 기구 구동부(406), 그리고 롤러(408)를 구비한다.
도 4b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광학부(402), 롤러(408), 기구 구동부(406)는 디스크의 래디얼 방향으로 일직선상에 배치된다. 이는 롤러(408)가 디스크를 래디얼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데 기여한다.
광학부(402)는 통상의 광픽업에 해당하는 것으로서 디스크에 레이저광을 조사하고, 디스크로부터 반사되는 레이저광을 수광한다. 이러한 광학부(402)는 통상의 디스크 기록/재생 재생장치에 구비된 광픽업을 사용하지만 별도의 광학계를 사용할 수도 있다.
광학부(402)는 레이저 다이오드(402a, 편광판(402b), 반사판(402c), 대물렌즈(402d), 그리고 2분할 광검출기(402e)로 구성된다.
2분할 광검출기(402e)는 디스크의 래디얼 방향으로 2분할된 광검출기이다. 통상의 4분할 광검출기, 8분할 광검출기가 사용될 수 있다. 이 경우 4분할 광검출기 또는 8분할 광검출기의 좌우 반분면에서 발생된 수광신호들을 사용한다.
편심 보정 제어부(404)는 스핀들 모터(410)의 회전을 제어하고, 광학부(402) 에서 발생된 수광신호들에 의해 편심량 및 편심 보정 위치를 결정하며, 기구 동작부(406)를 통하여 롤러(408)의 운동을 제어하는 편심 보정 신호를 발생한다.
기구 구동부(406)는 솔레노이드(solenoid)로 구현되며 편심 보정 제어부(404)에서 제공되는 편심 보정 신호에 의해 롤러(408)를 구동한다. 편심 보정 신호는 펄스폭 제어 신호(pulse width control signal)이며, 롤러(408)의 이동 시점은 펄스폭 제어 신호의 기립 시점에 의해 결정되고, 이동량은 펄스폭 제어 신호의 펄스폭에 의해 결정된다.
롤러(408)는 디스크의 외주면과 접촉하여 펄스폭 제어 신호에 의해 설정되는 이동량만큼 디스크를 스핀들 모터(410)의 회전축 방향으로 밀어주게 된다.
도 5는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편심 보정 제어부의 상세한 구성을 보이는 블록도이다. 도 5에 도시된 장치는 차신호 발생부(502), 합신호 발생부(504), 비교기(508 ∼512), 캐패시터(506), D플립플롭(514), 마이크로프로세서(516)를 구비한다.
차신호 발생부(502)는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2분할 광검출기(402e)의 좌우 수광소자들에서 발생된 신호를 각각 A, B라 할 때 (A-B)에 해당하는 신호를 발생한다.
합신호 발생부(504)는 (A+B)에 해당하는 신호를 발생한다.
차신호 ①는 제1비교기(508)를 통하여, 합신호 ②는 제2비교기(510) 및 제3비교기(512)를 통하여 이치화된다.
제1비교기(508) 및 제2비교기(512)는 각각 차신호와 합신호를 소정의 문턱값 과 비교하여 이치화한다. 이때, 제2비교기(510)에 입력되는 합신호는 일단 캐패시터(506)를 통하여 ac커플링된다. 캐패시터(506)를 통하여 ac커플링하는 이유는 합신호 ②는 차신호 ①에 비해 dc성분을 더 포함하므로 합신호 ②에 포함된 dc성분을 제거하여 이치화를 용이하게 하기 위함이다.
제3비교기(512)는 합신호 ②를 소정의 문턱값과 비교하여 디스크 회전의 기준이 되는 마크신호를 검출한다. 이러한 마크 신호는 디스크의 회전 동기를 위하여 디스크상에 형성된 것으로서 마크가 형성된 영역은 디스크상의 다른 영역에 비해 반사율이 현저하게 차이가 나게 된다.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디스크의 경우에는 낮은 반사율로 마크를 형성한 것으로서 이 영역에서의 합신호 ②는 거의 0인 레벨을 갖는다.
따라서, 제3비교기(512)는 합신호가 소정값 이하로 되는 지를 검사하여 마크 영역을 나타내는 마크 신호 ③를 발생한다.
제1비교기(508)에서 발생된 이치화된 차신호 ④는 D플립플롭(514)의 D입력 단자(D) 및 마이크로 프로세서(516)에 제공된다. 또한, 제2비교기(510)에서 발생된 이치화된 합신호 ⑤는 D플립플롭(514)의 클록 입력 단자(CLK)에 제공되며, D플립플롭(514)에서 발생된 출력 단자(Q)에서 발생된 신호는 마이크로 프로세서(516)에 제공된다.
한편, 제3비교기(512)에서 발생된 신호 ③는 마이크로 프로세서(516)에 제공된다.
마이크로 프로세서(516)는 제3비교기(512)에서 제공되는 마크 신호 ③에 의 해 디스크의 1회전을 인식하고, 디스크의 1회전 동안에 제1비교기(508)에서 제공되는 이치화된 차신호 ④를 계수함에 의해 편심량을 계산한다.
또한, 편심 보정 신호로서 D플립플롭(514)에서 제공되는 신호 ⑤의 기립 시점에서 시작되며 계산된 편심량에 비례하는 펄스폭을 가지는 펄스폭 제어 신호 ⑦를 발생하여 기구구동부(406)에 제공한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장치의 동작을 보이는 파형도이다. 도 6의 (a)는 디스크의 1회전동안에 발생하는 차신호 ①와 합신호 ②의 위상 관계를 보이는 파형도이고, 도 6의 (b)는 제3비교기(506)에서 발생된 마크 신호 ③를 보이는 파형도이고, 도 6의 (c)는 제1비교기(508)에서 발생된 이치화된 차신호 ④를 보이는 파형도이고, 도 6의 (d)는 제2비교기(510)에서 발생된 이치화된 합신호 ⑤를 보이는 파형도이고, 도 6의 (e)는 D플립플롭(514)에서 발생된 신호 ⑥를 보이는 파형도이고, 도 6의 (f)는 마이크로 프로세서(516)에서 발생된 펄스폭 제어 신호를 보이는 파형도이다.
차신호 ①와 합신호 ②는 도 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90도의 위상차를 보이며, 최내측 위치(a)에서 시작하여 최외측 위치(b)까지의 1/2회전 동안에는 차신호 ①이 합신호 ② 대해 90도 앞서게 되지만, 최외측 위치(b)에서 최내측 위치(a)까지의 1/2회전 동안에는 차신호 ①이 합신호 ② 대해 90도 뒤지게 되는 위상관계를 갖는다.
D플립플롭(514)은 D입력 단자(D)에 하이 레벨이 인가되는 동안 클록 신호가 하이 레벨이 되면 Q출력이 하이 레벨을 유지하므로 도 6의 (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내측 위치(a)에서 시작하여 최외측 위치(b)까지의 1/2회전 동안에만 하이 레벨을 유지하는 Q출력을 발생한다.
D플립플롭(514)의 Q출력은 도 2에 도시된 바에 있어서 편심이 +방향으로 최대가 되는 최내측 위치(a)에서 기립하는 신호이다. 따라서, D플립플롭(514)의 도 6의 (e)에 도시된 Q출력이 기립하는 시점에서 기구구동부(406)에 편심량에 상응하는 펄스폭을 가지는 펄스폭 제어 신호를 출력하면 디스크의 편심을 보정하게 된다.
도 5에 도시된 마이크로 프로세서(516)는 마크 신호에 의해 디스크의 1회전을 검출한다. 이러한 마크 신호는 디스크상의 다른 부분에 비해 반사율이 현저히 다른 마크 영역에서 발생된 신호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크들을 보이는 것이다. 도 7의 (a)는 종래의 광디스크 혹은 광자기 디스크에 마크 영역을 형성한 것을 보이는 것이고, 도 7의 (b)는 자기 디스크에 마크 영역을 형성한 것을 보이는 것이다.
도 7의 (a) 및 도 7의 (b)에서는 디스크의 최외주 영역에 다수개의 트랙들이 형성되어져 있는 것이 보여진다. 이러한 트랙들은 편심 보정용을 위하여 형성된 것으로서 발생 가능한 최대 편심량에 상응하는 개수만큼 설정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장치에 있어서 마이크로 프로세서(516)는 다른 신호에 의해서도 디스크의 회전을 검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스핀들 모터의 1회전은 디스크의 1회전에 해당하므로 스핀들 모터에서 발생하는 FG(Frequency Generator) 신호에 의해서 디스크의 1회전을 검출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마크 영역이 형성된 디스크에서도 편심 보정을 수행할 수 있다.
MODD(Magnatic Optical Disc Drive)와 같은 양면 디스크의 경우 먼저 각 단면을 스탬퍼(stamper)로 사출하고 각 단면을 배향시켜 기구적 조립공차(통상 50㎛이내)로 본딩(bonding)한다. 이러한 기구적 공차는 현재의 MODD에서는 허용되지만 고밀도 협트랙이 되거나 또는 기구적 공차가 수 ㎛이내로 요구되는 경우에는 대응할 수 없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디스크 장착 방법을 이용하여 본딩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크 조립 방법을 보이는 흐름도이다. 도 9에 도시된 방법은 제1단면 디스크 장착 과정(S902), 제2단면 디스크 장착 과정(S904), 그리고 본딩 과정(S906)을 포함한다.
제1단면 디스크 장착 과정(S902)은 양면 디스크를 구성하는 두 개의 단면 디스크 중에서 한쪽을 고정시킨다. 이때 단면 디스크는 도 1에 도시된 방법 혹은 도 5에 도시된 장치에 의해 기준축을 중심으로 편심조정되어 고정된다.
제2단면 디스크 장착 과정(S904)은 양면 디스크를 구성하는 두 개의 단면 디스크 중에서 다른 한쪽을 고정시킨다. 이때 단면 디스크는 도 1에 도시된 방법 혹은 도 5에 도시된 장치에 의해 기준축을 중심으로 편심조정되어 고정된다.
본딩 과정(S906)는 편심조정된 두개의 단면 디스크를 본딩하는 과정이다.
즉, 도 9에 도시된 방법은 기준축을 중심으로 먼저 한 단면을 편심조정하여 고정시키고, 다시 다른 단면을 편심조정하여 본딩함으로써 양면 디스크를 제작한다.
도 9에 도시된 방법은 양면 디스크뿐만 아니라 다중 디스크에도 적용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디스크 장착 방법은 장착된 디스크의 편심을 측정하고 이를 보상하도록 디스크를 재장착시킴으로서 디스크의 편심을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Claims (14)

  1. 광디스크 기록/재생 장치의 디스크 장착 방법에 있어서,
    디스크를 스핀들 모터의 허브에 장착함에 있어 장착된 디스크가 래디얼 방향으로 밀어주는 힘에 의해 유동가능한 정도로 느슨하게 장착하는 제1디스크 장착 과정;
    장착된 디스크를 회전시키면서 디스크의 1회전시 발생하는 트랙 크로스 횟수를 계수함에 의해 디스크 편심량을 측정하하고, 디스크의 1회전시 광검출기에서 발생하는 차신호의 위상이 합신호의 위상보다 90도 앞서기 시작하는 위치를 편심 보정 위치로 결정하는 편심 측정 과정;
    측정된 편심 보정 위치에서 측정된 편심량을 상쇄하는 방향으로 디스크를 스핀들 모터의 회전축 방향으로 편심량만큼 밀어주는 편심 보정 과정; 및
    느슨하게 장착되었던 디스크를 디스크의 회전 혹은 래디얼 방향으로 밀어주는 힘에 의해 움직이는 것을 방지하도록 견고하게 장착하는 제2디스크 장착 과정을 포함하는 디스크 장착 방법.
  2. 삭제
  3. 스핀들 모터에 장착되는 디스크의 편심을 보정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디스크에 레이저광을 조사하는 레이저 다이오드와 디스크로부터 반사되는 레이저광을 수광하는 광검출기를 구비하는 광학부;
    상기 스핀들 모터의 회전을 제어하고, 디스크의 1회전시 발생하는 트랙 크로스 횟수를 계수함에 의해 디스크 편심량을 측정하고, 디스크의 1회전시 상기 광검출기에서 발생된 수광신호들의 차신호의 위상이 합신호의 위상보다 90도 앞서기 시작하는 위치를 편심 보정 위치로 결정하며, 이에 상응하는 편심 보정 신호를 발생하는 편심 보정 제어부;
    디스크의 외주면과 접촉하여 편심 보정 신호에 의해 설정되는 편심 보정량만큼 디스크를 스핀들 모터의 회전축 방향으로 밀어주는 롤러; 및
    상기 편심 보정 제어부에서 제공되는 편심 보정 신호에 의해 상기 롤러를 구동하는 기구 구동부를 포함하는 편심 보정 장치.
  4. 삭제
  5. 삭제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편심 보정 제어부는
    편심 보정 신호로서 측정된 편심 보정 위치에서 기립되고, 측정된 편심량에 상응하는 펄스폭을 가지는 펄스폭 제어 신호를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심 보정 장치.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편심 보정 제어부는
    상기 광검출기의 좌우 수광소자들에서 발생된 신호를 각각 A, B라 할 때 (A-B)에 해당하는 차신호를 발생하는 차신호 발생부;
    (A+B)에 해당하는 합신호를 발생하는 합신호 발생부;
    상기 차신호를 이치화하는 제1비교기;
    상기 합신호를 이치화하는 제2비교기;
    상기 제1비교기의 출력을 D입력 단자로 유입하고, 상기 제2비교기의 출력을 클록 입력 단자로 유입하는 D플립플롭; 및
    상기 제1비교기의 출력, 상기 D플립플롭의 Q출력을 유입하며, 디스크의 1회전동안 상기 제1비교기의 출력을 계수하여 편심량을 측정하고 상기 Q출력의 기립시점에 의해 편심 보정 위치를 측정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편심 보정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비교기의 전단에 상기 합신호를 ac커플링하는 캐패시터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심 보정 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크는 회전 동기를 위해 다른 영역과 다른 반사율을 가지는 마크 영역을 가지며,
    상기 합신호로부터 상기 마크 영역을 나타내는 마크 신호를 검출하는 제3비교기를 더 구비하고,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는 상기 마크 신호에 의해 디스크의 회전을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심 보정 장치.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는 상기 스핀들 모터에서 발생되는 FG신호에 의해 디스크의 회전을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심 보정 장치.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KR1019990040032A 1999-09-17 1999-09-17 디스크 기록/재생 장치의 디스크 장착 방법 및 이에 적합한 편심 보정 장치 KR1006572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40032A KR100657242B1 (ko) 1999-09-17 1999-09-17 디스크 기록/재생 장치의 디스크 장착 방법 및 이에 적합한 편심 보정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40032A KR100657242B1 (ko) 1999-09-17 1999-09-17 디스크 기록/재생 장치의 디스크 장착 방법 및 이에 적합한 편심 보정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27998A KR20010027998A (ko) 2001-04-06
KR100657242B1 true KR100657242B1 (ko) 2006-12-14

Family

ID=196119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40032A KR100657242B1 (ko) 1999-09-17 1999-09-17 디스크 기록/재생 장치의 디스크 장착 방법 및 이에 적합한 편심 보정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5724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94387B1 (ko) 2002-11-19 2005-06-13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크 기록장치 및 그 기록방법
US7450483B2 (en) * 2003-04-28 2008-11-11 Panasonic Corporation Information carrier apparatus and information carrier eccentricity correction method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241261A (ja) * 1991-01-10 1992-08-28 Dainippon Printing Co Ltd 光ディスク再生装置
JPH05135488A (ja) * 1991-11-15 1993-06-01 Toshiba Corp 磁気デイスクをスピンドルハブに組み込む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241261A (ja) * 1991-01-10 1992-08-28 Dainippon Printing Co Ltd 光ディスク再生装置
JPH05135488A (ja) * 1991-11-15 1993-06-01 Toshiba Corp 磁気デイスクをスピンドルハブに組み込む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27998A (ko) 2001-04-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268883A (en) Track access device and tracking control device
US6868052B2 (en) Optical disc playback apparatus and method of judging disc type
JP3542761B2 (ja) 光記録媒体の非記録領域検出方法並びに装置
US7158452B2 (en) Focus control for optical disk unit
JP2633417B2 (ja) 光記録媒体駆動装置
JP3455298B2 (ja) 光ビームの移動検出方法および光ディスク再生装置
US6381201B1 (en) Optical disk apparatus with address polarity determination and confirmation
KR19980033067A (ko) 광정보 장치
KR100657242B1 (ko) 디스크 기록/재생 장치의 디스크 장착 방법 및 이에 적합한 편심 보정 장치
US5646919A (en) Dynamic tracking control in an optical recording system by sensing mark formation
US20020064104A1 (en) Apparatus for controlling eccentricity in photo-record play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5859830A (en) Dynamic tracking control in an optical recording system by diffraction-based mark formation detection
EP0736864B1 (en) Optical track seeking method and apparatus
JP2633196B2 (ja) 光情報処理装置
EP0974958A1 (en) Optical disc device
US20060158978A1 (en) Optical disk apparatus
JP2633194B2 (ja) 光情報処理装置
KR100237333B1 (ko) 그루브/피트 영역 판단 회로를 가진 광디스크 장치
JPH0896368A (ja) 光ディスク装置
KR20010057845A (ko) 광 기록 매체의 기록재생방법
JPH03173980A (ja) 情報記録ディスク演奏装置
JP2633197B2 (ja) 光情報処理装置
JP2771845B2 (ja) 光学的記録再生装置
KR100662265B1 (ko) 광 기록매체의 비기록 영역 검출 방법 및 이를 이용한 기록재생 방법 및 그 장치
JP2633195B2 (ja) 光情報処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7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