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57195B1 - 채소 부산물의 분쇄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채소 부산물의 분쇄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57195B1
KR100657195B1 KR1020050098966A KR20050098966A KR100657195B1 KR 100657195 B1 KR100657195 B1 KR 100657195B1 KR 1020050098966 A KR1020050098966 A KR 1020050098966A KR 20050098966 A KR20050098966 A KR 20050098966A KR 100657195 B1 KR100657195 B1 KR 1006571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getable
grinding
products
motor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989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상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정도기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정도기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정도기연
Priority to KR10200500989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5719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571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571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6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 B02C18/16Details
    • B02C18/18Knives; Mounting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3/00Disintegrating by mills having rotary beater elements ; Hammer mills
    • B02C13/02Disintegrating by mills having rotary beater elements ; Hammer mills with horizontal rotor shaf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6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 B02C18/16Details
    • B02C18/22Feed or discharge means
    • B02C18/2216Discharge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6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 B02C18/16Details
    • B02C18/22Feed or discharge means
    • B02C18/2225Feed means
    • B02C18/2241Feed means of conveyor belt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rushing And Pulverization Proce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채소 부산물의 분쇄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채소 부산물의 분쇄시 미세하게 이루어짐은 물론, 탈수를 위해 벨트프레스로 분쇄된 부산물을 공급할 경우에 짧은 시간에 함수율이 매우 적은 케익을 얻을 수 있어서 많은 양의 채소 부산물을 처리할 수 있도록 된 채소 부산물의 분쇄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채소 부산물의 분쇄처리장치는, 공장등의 바닥에 세워진 프레임부(110)와, 상기 프레임부(110)의 상부에 고정된 호퍼(123)로 유입된 부산물이 모터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칼날이 회전하면서 분쇄가 이루어지는 1차채소분쇄수단(120)과, 상기 1차채소분쇄수단(120)에서 분쇄된 부산물이 하강하면서 여과부재(131)로 감싸여진 중앙에서 모터의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회전축(132)에 길이방향으로 설치된 다수개의 칼날(133)이 회전하면서 분쇄시키는 2차채소분쇄수단(130)과, 상기 프레임(110)에 설치되되 상기 2차채소분쇄수단(130)의 여과부재와 회전축 및 칼날을 수용하면서 분쇄된 부산물이 슬러지 형태로 배출될 수 있도록 설치된 슬러지 배출구(141)가 구비된 부산물배출처리부(1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채소, 부산물, 분쇄, 탈수, 벨트프레스, 케익, 함수율

Description

채소 부산물의 분쇄처리장치{CRUSHER OF A VEGETABLE BY-PRODUCT}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채소 부산물의 분쇄처리장치가 벨트프레스와 함께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채소 부산물의 분쇄처리장치의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채소 부산물의 분쇄처리장치가 도2의 좌측에서 바라본 것으로 2차채소분쇄수단은 일부 단면상태로 도시한 설명도,
도 4는 도 2의 상태에서 채소 부산물의 이송수단과 1,2차채소분쇄수단을 단면상태로 표시한 설명도,
도 5는 도 2의 평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채소 부산물의 분쇄처리장치 110 : 프레임부
111 : 보수용 문 120 : 1차채소분쇄수단
121 : 고속분쇄부 122 : 저속분쇄부
123 : 호퍼 130 : 2차채소분쇄수단
131 : 여과부재 132 : 회전축
133 : 칼날 134 : 분쇄용 모터
135 : 제3동력전달부 140 : 부산물배출처리부
141 : 슬러지 배출구 142 : 보수용 출입구
150 : 채소부산물이송공급수단 200 : 벨트프레스
본 발명은 채소 부산물의 분쇄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채소 부산물의 분쇄시 미세하게 이루어짐은 물론, 탈수를 위해 벨트프레스로 분쇄된 부산물을 공급할 경우에 짧은 시간에 함수율이 매우 적은 케익을 얻을 수 있어서 많은 양의 채소 부산물을 처리할 수 있도록 된 채소 부산물의 분쇄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채소류 즉, 배추, 무, 당근, 파, 양파 등의 외피나 이 파리 그리고 썩은 부위들을 김치공장이나 각 회사의 식당 등에서 대량으로 벗겨냄으로서 발생하게 되는 부산물의 처리는 단순히 수거한 후 매립 또는 부패시키는 방법으로 처리하였었다.
그러나, 이러한 부산물의 처리는 매립지로의 운송이 필요하게 되므로 수송비가 많이 소요되고 매립지의 확보에 따른 어려움과 부산물이 부패시에 발생하게 되는 악취 등에 의해 주위의 환경을 오염시키게 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따라서, 상기의 부산물들의 부피를 최소한으로 감축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과, 감축된 찌꺼기 등을, 매립하거나 부패시키지 않고 비료나 가축사료 등으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부산물 처리장치가 개발되고 있다.
종래의 부산물 처리장치는 대한민국 공개특허번호 제1996-0000306호에 부산물 감량장치가 있고, 상기의 감량장치는 2개의 분쇄로울러 사이에 채소류에서 발생하게 되는 부산물들을 공급하여 1차적으로 일정한 크기로 분쇄한 뒤 여러 개의 로울러들 사이를 2차로 통과시켜서 부산물들을 감량시키게 되지만, 상기 분쇄로울러는 유입된 부산물의 분쇄가 잘 이루어지지 않는 구조로 되어 감량시 부산물의 함수율이 높고, 이에 따라 부산물을 함수율이 적은 상태의 케익으로 처리하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되었다.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등을 해결 보완하기 위해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0192087호로 채소류의 부산물 분쇄장치가 공지되었는바, 상기의 분쇄장치는 2개의 분쇄로울러 사이에 채소류에서 발생하게 되는 부산물들을 공급하여 1차적으로 일정한 크기로 분쇄한 뒤 너어링부를 갖춘 회전로울러를 통과하여 착즙스크류에서 감량하게 되지만 , 이 또한 상기 분쇄로울러의 형상에 의존한 1차분쇄후 회전로울러를 통과하면서 분쇄 및 감량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착즙스크류를 통과하면서 재차 감량이 이루어지도록 되어 분쇄 입자가 크고 그에 따라 함수율이 높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속도비가 다르게 회전하는 고속분쇄부와 저속분쇄부에서 동시에 분쇄가 이루어지는 1차채소분쇄수단에서 분쇄된 부산물이 하강하면서 구멍된 망으로 감싸여진 중앙에서 다수개의 칼날이 회전하면서 분쇄시키는 2차채소분쇄수단에 의해 분쇄됨으로서 미세하게 분쇄되어 배출시킴으로서, 분쇄된 부산물을 슬러지를 벨트프레스에서 탈수시키게 되면 함수율이 낮은 케익을 얻을 수 있도록 된 채소 부산물의 분쇄처리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온/오프 조작에 의해 컨베이어식으로 작동하는 채소부산물이송수단에 의해 작업장의 바닥에서 부산물을 P아 부으면 1차채소분쇄수단으로 공급되도록 하여 부산물을 1차채소분쇄수단으로 공급하는 것이 용이하도록 된 채소 부산물의 분쇄처리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2차채소분쇄수단의 구멍된 망을 하부의 직경이 적은 원통형으로 하고 칼날을 경사지게 설치하여 부산물이 분쇄되면서 상부로 비산되어 분쇄시 반복적으로 이루어지도록 된 채소 부산물의 분쇄처리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채소 부산물의 분쇄처리장치는, 공장등의 바닥에 세워진 프레임부와, 상기 프레임부의 상부에 고정된 호퍼로 유입된 부산물이 모터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칼날이 회전하면서 분쇄가 이루어지는 1차채소분쇄수단과, 상기 1차채소분쇄수단에서 분쇄된 부산물이 하강하면서 여과부재로 감싸여진 중앙에서 모터의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회전축에 길이방향으로 설치된 다수개의 칼날이 회전하면서 분쇄시키는 2차채소분쇄수단과,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되 상기 2차채소분쇄수단의 여과부재와 회전축 및 칼날을 수용하면서 분쇄된 부산물이 슬러지 형태로 배출될 수 있도록 설치된 슬러지 배출구가 구비된 부산물배출처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채소 부산물의 분쇄처리장치는, 상기 1차채소분쇄수단은, 상기 프레임부의 상부 좌우측에 각각 속도비가 다르게 회전하는 고속분쇄부와 저속분쇄부가 구비되고, 상기 고속분쇄부는 상기 프레임부와 호퍼의 일측에 전원이 공급되도록 설치되는 고속모터와, 상기 호퍼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회전축에 등간격으로 다수개 설치된 칼날과, 상기 고속모터의 회전력을 상기 회전축에 전달하는 제1동력전달부로 구성되며, 상기 저속분쇄부는 상기 프레임부와 호퍼의 타측에 전원이 공급되도록 설치되는 감속모터와, 상기 호퍼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회전축에 등간격으로 다수개 설치된 칼날과, 상기 감속모터의 회전력을 상기 회전축에 전달하는 제2동력전달부로 구성되는 한편, 상기 제1동력전달부와 제2동력전달부의 외측에는 외부로 부터 작업자가 동력전달부에 상해를 입지 않도록 프레임부의 상부에 각각 안전커버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채소 부산물의 분쇄처리장치는, 상기 2차채소분쇄수단은, 상기 1차채소분쇄수단의 고속분쇄부와 저속분쇄부에서 분쇄된 부산물이 하강하면서 모아지도록 원통형으로 감싸여지면서 일정한 간격으로 구멍이 형성된 여과부재와, 상기 여과부재의 중앙에 회전가능하게 수직하게 설치된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에 길이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설치된 다수개의 칼날과, 상기 프레임부의 일측에 설치된 분쇄용 모터와, 상기 부산물배출처리부의 하부로 돌출된 회전축으로 분쇄용 모터의 회전력을 전달하도록 된 제3동력전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채소 부산물의 분쇄처리장치는, 상기 2차채소분쇄수단의 상기 칼 날은 각각의 열이 경사지게 회전축에 설치되고, 상기 부산물배출처리부는 상기 프레임부의 보수용문과 연통되도록 형성되되 보수용 문에 의해 밀폐되도록 보수용 출입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채소 부산물의 분쇄처리장치는, 상기 1차채소분쇄수단의 상부로 공장의 바닥면에서 부산물을 공급하는 채소부산물이송공급수단를 더 포함하되, 상기 채소부산물이송공급수단은, 공장의 바닥과 1차채소분쇄수단에 지지되어 설치된 이송프레임과, 이 이송프레임의 일측에 전원과 연결 설치된 조작스위치와, 이 조작스위치를 조작하게 되면 회전력을 발생하는 이송프레임에 설치된 모터와, 이 모터의 작동시 회전력이 전달되어 회송이송되되, 벨트면에 상부로 돌출된 돌기가 연속적으로 배열되어 부산물이 아래쪽으로 밀리지 않도록 된 컨베이어벨트와, 이 컨베이어벨트의 상부로 채소 부산물을 공급하고 부산물을 컨베이어벨트와 함께 이송되도록 안내하는 가이드를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채소 부산물의 분쇄처리장치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채소 부산물의 분쇄처리장치가 벨트프레스와 함께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채소 부산물의 분쇄처리장치의 정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채소 부산물의 분쇄처리장치가 도2의 좌측에서 바라본 것으로 2차채소분쇄수단은 일부 단면상태로 도시한 설명도이고, 도 4는 도 2의 상태에서 채소 부산물의 이송수단과 1,2차채소분쇄수단을 단면상태로 표시한 설명도이며, 도 5는 도 2의 평면도이다.
도면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채소 부산물의 분쇄처리장치(100)는, 공장등의 바닥에 세워진 프레임부(110)와, 이 프레임부(110)의 상부 좌우측에 각각 속도비가 다르게 회전하는 모터(121a,122a)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칼날(121b,122b)이 회전하면서 상부로 공급되는 부산물을 분쇄하는 고속분쇄부(121)와 저속분쇄부(122)에서 상기 프레임부(110)의 상부에 고정된 호퍼(123)로 유입된 부산물이 동시에 분쇄가 이루어지는 1차채소분쇄수단(120)과, 이 1차채소분쇄수단(120)에서 분쇄된 부산물이 하강하면서 일정한 간격으로 구멍된 망(131;여과부재)으로 감싸여진 중앙에서 회전하는 회전축(132)에 설치된 다수개의 칼날(133)이 회전하면서 분쇄시키는 2차채소분쇄수단(130)과, 상기 프레임(110)에 설치되되 상기 2차채소분쇄수단(130)의 망과 회전축 및 칼날을 수용하면서 분쇄된 부산물을 일측 방향으로 배출할 수 있으면서 타측으로는 상기 2차채소분쇄수단(130)을 유지 및 보수할 수 있도록 된 부산물배출처리부(14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프레임부(110)는 보수용 문(111)이 힌지되어 개폐되도록 일방향에 설치되어 있다. 즉, 상기 보수용 문(111)을 열고 부산물배출처리부(140)의 후술하는 출입구를 통해 2차채소분쇄수단(130)을 유지 및 보수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1차채소분쇄수단(120)의 고속분쇄부(121)와 저속분쇄부(122)에 대해 설명하면, 상기 고속분쇄부(121)는 상기 프레임부(110)와 호퍼(123)의 일측에 전원이 공급되도록 설치되는 고속모터(121a)와, 상기 호퍼(123)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회전축(121c)에 등간격으로 다수개 설치된 칼날(121b)과, 상기 고속모터(121a)의 회전력을 상기 회전축(121c)에 전달하는 제1동력전달부(121d)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제1동력전달부(121d)는 상기 모터와 회전축에 설치된 풀리와, 모터에 설치된 풀리에서 회전축에 설치된 풀리로 회전력을 전달하는 벨트로 이루어져 있으나, 스프로킷과 체인으로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상기 저속분쇄부(122)는 상기 프레임부(110)와 호퍼(123)의 타측에 전원이 공급되도록 설치되는 감속모터(122a)와, 상기 호퍼(123)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회전축(122c)에 등간격으로 다수개 설치된 칼날(122b)과, 상기 감속모터(122a)의 회전력을 상기 회전축(122c)에 전달하는 제2동력전달부(122d)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제2동력전달부(122d)는 상기 모터와 회전축에 설치된 스프로킷과, 모터에 설치된 스프로킷에서 회전축에 설치된 스프로킷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체인으로 이루어져 있으나, 제1동력전달부와 같이 풀리와 벨트 또는 기어와 기어로 이루어 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상기 제1동력전달부(121d)와 제2동력전달부(122d)의 외측에는 외부로 부터 작업자가 동력전달부에 상해를 입지 않도록 프레임부(110)의 상부에 각각 안전커버(121e,122e)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2차채소분쇄수단(130)은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1차채소분쇄수단(120)의 고속분쇄부(121)와 저속분쇄부(122)에서 분쇄된 부산물이 하강하면서 모아지도록 원통형으로 감싸여지면서 일정한 간격으로 구멍이 형성된 여과부재(구멍된 망;131)과, 상기 여과부재의 중앙에 회전가능하게 수직하게 설 치된 회전축(132)과, 상기 회전축(132)에 길이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설치된 다수개의 칼날(133)과, 상기 프레임부(110)의 일측에 설치된 분쇄용 모터(134)와, 상기 부산물배출처리부(140)의 하부로 돌출된 회전축(132)으로 분쇄용 모터(134)의 회전력을 전달하도록 된 제3동력전달부(135)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여과부재(131)는 하부의 직경이 상부의 직경보다 작은 원추형의 형태로 이루어져 있으나 하부와 상부가 같은 직경으로 구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또 상기 여과부재(131)의 구멍은 본 실시예에서 정육각형으로 구멍(131a)되어 있으나 원형 또는 철망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칼날(133)은 본 실시예에서 하부의 칼날은 길이가 짧고 상부의 칼날은 길이가 길게 구비되어 회전축에 일단을 끼워서 고정한 형태이나, 동일한 길이로 설치각도만 차이가 나게 설치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고정방법은 보울트와 핀 및 용접등의 공지 기술에 의해 다양하게 변경이 가능할 것이다.
한편 상기 칼날(133)은 각각의 열이 경사지게 회전축에 설치되어 있어서, 부산물이 분쇄되면서 상부로 비산하게 하는 효과를 갖게 되므로 재차 분쇄가 이루어지는 결과를 가져오게 되어 분쇄효과가 우수하게 된다. 따라서 최하부의 칼날과 최상부의 칼날이 회전하면서 분쇄된 채소 또는 채소 의 부산물을 상부로 비산시키면서 여러 차례의 분쇄를 실시하게 된다.
이때 여러 차례 분쇄되어 입자가 구멍보다 작게 된 부산물은 구멍을 통해서 상기 부산물배출처리부(140)로 배출된다.
또한 상기 부산물배출처리부(140)는 상기 프레임(110)에 설치되되 상기 2차 채소분쇄수단(130)의 여과부재과 회전축 및 칼날을 수용하면서 분쇄된 부산물을 상기 프레임부(110)의 보수용 문(111)이 설치된 반대쪽의 방향으로 바닥면으로부터 일정한 높이에 부산물이 슬러지 형태로 배출될 수 있도록 돌출되어 설치된 슬러지 배출구(141)와, 상기 프레임부(110)의 보수용문(111)과 연통되도록 형성되되 보수용 문(111)에 의해 밀폐되도록 보수용 출입구(142)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2차채소분쇄수단(130)의 여과부재(131)에 형성된 구멍을 통해 배출된 부산물이 상기 부산물배출처리부(140)의 바닥으로부터 차 올라오게 되면서 상기 슬러지 배출구(141)의 높이 보다 높게 쌓이게 되면 슬러지 배출구(141)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이렇게 배출된 슬러지 형태의 부산물은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벨트프레스와 같은 탈수장치를 이용할 수 있고, 이러한 벨트프레스(200)에 슬러지가 공급되어 탈수되므로 케익슈트를 통해 케익의 형태로 배출되게 되면 함수율이 매우 적은 케익을 만들어 부산물의 처리가 용이하고 짧은 시간에 많은 양의 부산물을 처리할 수 있게 된다. 도 1의 벨트프레스(200)는 부산물의 처리를 위해 공장의 상황에 맞도록 다양하게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1차채소분쇄수단(120)의 상부로 공장의 바닥면에서 부산물을 공급하는 채소부산물이송공급수단(150)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채소부산물이송공급수단(150)은 도 2와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공장의 바닥과 1차채소분쇄수단(120)에 지지되어 설치된 이송프레임(151)과, 이 이송프레임(151)의 일측에 전원과 연결 설치된 조작스위치(152)와, 이 조작스위치(152)를 조작하게 되면 회전력을 발생하는 이송프레임(151)에 설치된 모 터(153)와, 이 모터의 작동시 회전력이 전달되어 회송이송되는 컨베이어벨트(154)와, 이 컨베이어벨트의 상부로 채소 부산물을 공급하고 부산물을 컨베이어벨트와 함께 이송되도록 안내하는 가이드(155)를 갖춘 구조로 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조작스위치(152)는 온(ON)/오프(OFF)스위치이다.
또한 상기 컨베이어벨트(154)는 벨트면에 상부로 돌출된 돌기(154a)가 연속적으로 배열되어 부산물이 아래쪽으로 밀리지 않게 된다.
따라서 이하 본원 발명에 의한 채소 부산물의 분쇄처리장치(100)에 대해 작동상태를 알아보면, 본 발명의 상기 조작스위치(152)를 온으로 하면 모터(153)가 회전하게 되고, 이때 상기 컨베이어벨트(154)가 모터(153)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게 되며, 상기 가이드(155)에 채소나 채소등의 부산물을 집어 넣게 되면 컨베이어벨트(154)를 타고 돌기(154a)에 의해 부산물이 지지되면서 상부로 이송하여 상기 1차채소분쇄수단(120)의 호퍼(123)로 공급되게 된다.
이렇게 상기 호퍼(123)로 공급된 부산물은 상기 고속분쇄부(121)와 저속분쇄부(122)에 의해 분쇄가 이루어지게 된다. 즉, 상기 모터(121a,122a)의 회전이 이루어지게 되면 제1,2동력전달부(121d,122d)에 의해 회전축(121c,122c)에 전달되어 칼날(121b,122b)을 서로 다른 속도로 회전시키면서 호퍼(123)로 공급되는 부산물을 분쇄하면서 상기 부산물배출처리부(140)를 통해 2차채소분쇄수단(130)으로 공급되게 된다.
상기 2차채소분쇄수단(130)으로 상기 1차채소분쇄수단(120)에 의해 분쇄된 부산물이 공급되게 되면 상기 분쇄용 모터(134)의 회전력을 제3동력전달부(135)에 의해 전달받은 회전축(132)이 회전하면서 칼날(133)에 의해 상부에서 떨어지는 부산물을 분쇄하게 되고, 이때 부산물이 분쇄되면서 비산됨은 물론 본 발명에서와 같이 5열로 칼날이 배치되어 여러차례 분쇄가 이루어짐으로 부산물의 입자가 작게 되므로 상기 여과부재(131)의 구멍(131a)으로 슬러지 형태로 배출되게 된다.
상기 여과부재(131)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 부산물의 슬러지들은 상기 부산물배출처리부(140)의 하부로부터 쌓여서 상기 슬러지배출구(141)의 높이까지 올라오게 되면 상기 슬러지배출구(141)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한편 상기 슬러지배출구(141)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 부산물의 슬러지들은 도1의 벨트프레스(200)의 상.하부여과망(201,202)에 의해 압착되어 탈수됨으로서 케익의 형태로 케익슈트(203)를 통해 배출되므로 환경오염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프레임부의 상부에 고정된 1차채소분쇄수단에서 분쇄된 부산물이 하강하면서 2차채소분쇄수단의 여과부재와 회전축 및 칼날에 의해 재차 분쇄되어 부산물이 슬러지 형태의 입자가 적은 상태로 배출되어 탈수시에 함수율이 적고 분쇄처리가 짧은 시간동안에 많은 량의 부산물을 처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1차채소분쇄수단은, 프레임부의 상부 좌우측에 각각 속도비가 다르게 회전하는 고속분쇄부와 저속분쇄부가 구비되고, 이 고속분쇄부와 저속분쇄부를 감싸도록 프레임부의 상부에 각각 안전커버가 설치되어, 서로 다른 회전속도에 의해 분쇄가 잘 이루어지면서 위험이 감소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2차채소분쇄수단은, 1차채소분쇄수단의 고속분쇄부와 저속분쇄부에서 분쇄된 부산물이 하강하면서 모아지도록 원통형으로 감싸여지면서 일정한 간격으로 구멍이 형성된 여과부재의 중앙에 회전가능하게 수직하게 설치된 회전축에 길이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경사지게 설치된 다수개의 칼날에 의해 분쇄시 상부로 부산물이 비산하도록 하여 분쇄 효과를 향상시키게 되는 이점이 있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부산물배출처리부는 보수용 출입구가 형성되어 2차채소분쇄수단의 유지보수가 용이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1차채소분쇄수단의 상부로 공장의 바닥면에서 부산물을 채소부산물이송공급수단에 의해 용이하게 공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본 발명을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하여만 제한되고,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다양한 형태로 개량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될 것이다.

Claims (5)

  1. 공장등의 바닥에 세워진 프레임부(110)와,
    상기 프레임부(110)의 상부에 고정된 호퍼(123)로 유입된 부산물이 모터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칼날이 회전하면서 분쇄가 이루어지는 1차채소분쇄수단(120)과,
    상기 1차채소분쇄수단(120)에서 분쇄된 부산물이 하강하면서 여과부재(131)로 감싸여진 중앙에서 모터의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회전축(132)에 길이방향으로 설치된 다수개의 칼날(133)이 회전하면서 분쇄시키는 2차채소분쇄수단(130)과,
    상기 프레임(110)에 설치되되 상기 2차채소분쇄수단(130)의 여과부재와 회전축 및 칼날을 수용하면서 분쇄된 부산물이 슬러지 형태로 배출될 수 있도록 설치된 슬러지 배출구(141)가 구비된 부산물배출처리부(1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소 부산물의 분쇄처리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1차채소분쇄수단(120)은, 상기 프레임부(110)의 상부 좌우측에 각각 속도비가 다르게 회전하는 고속분쇄부(121)와 저속분쇄부(122)가 구비되고, 상기 고속분쇄부(121)는 상기 프레임부(110)와 호퍼(123)의 일측에 전원이 공급되도록 설치되는 고속모터(121a)와, 상기 호퍼(123)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회전축(121c)에 등간격으로 다수개 설치된 칼날(121b)과, 상기 고속모터(121a)의 회전력을 상기 회 전축(121c)에 전달하는 제1동력전달부(121d)로 구성되며, 상기 저속분쇄부(122)는 상기 프레임부(110)와 호퍼(123)의 타측에 전원이 공급되도록 설치되는 감속모터(122a)와, 상기 호퍼(123)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회전축(122c)에 등간격으로 다수개 설치된 칼날(122b)과, 상기 감속모터(122a)의 회전력을 상기 회전축(122c)에 전달하는 제2동력전달부(122d)로 구성되는 한편, 상기 제1동력전달부(121d)와 제2동력전달부(122d)의 외측에는 외부로 부터 작업자가 동력전달부에 상해를 입지 않도록 프레임부(110)의 상부에 각각 안전커버(121e,122e)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소 부산물의 분쇄처리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2차채소분쇄수단(130)은, 상기 1차채소분쇄수단(120)의 고속분쇄부(121)와 저속분쇄부(122)에서 분쇄된 부산물이 하강하면서 모아지도록 원통형으로 감싸여지면서 일정한 간격으로 구멍이 형성된 여과부재(131)와, 상기 여과부재의 중앙에 회전가능하게 수직하게 설치된 회전축(132)과, 상기 회전축(132)에 길이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설치된 다수개의 칼날(133)과, 상기 프레임부(110)의 일측에 설치된 분쇄용 모터(134)와, 상기 부산물배출처리부(140)의 하부로 돌출된 회전축(132)으로 분쇄용 모터(134)의 회전력을 전달하도록 된 제3동력전달부(13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소 부산물의 분쇄처리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2차채소분쇄수단(130)의 상기 칼날(133)은 각각의 열이 경사지게 회전축에 설치되고,
    상기 부산물배출처리부(140)는 상기 프레임부(110)의 보수용문(111)과 연통되도록 형성되되 보수용 문(111)에 의해 밀폐되도록 보수용 출입구(142)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소 부산물의 분쇄처리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1차채소분쇄수단(120)의 상부로 공장의 바닥면에서 부산물을 공급하는 채소부산물이송공급수단(150)를 더 포함하되,
    상기 채소부산물이송공급수단(150)은, 공장의 바닥과 1차채소분쇄수단(120)에 지지되어 설치된 이송프레임(151)과, 이 이송프레임(151)의 일측에 전원과 연결 설치된 온(ON)/오프(OFF) 조작스위치(152)와, 이 조작스위치(152)를 조작하게 되면 회전력을 발생하는 이송프레임(151)에 설치된 모터(153)와, 이 모터의 작동시 회전력이 전달되어 회송이송되되, 벨트면에 상부로 돌출된 돌기(154a)가 연속적으로 배열되어 부산물이 아래쪽으로 밀리지 않도록 된 컨베이어벨트(154)와, 이 컨베이어벨트의 상부로 채소 부산물을 공급하고 부산물을 컨베이어벨트와 함께 이송되도록 안내하는 가이드(155)를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소 부산물의 분쇄처리장치.
KR1020050098966A 2005-10-20 2005-10-20 채소 부산물의 분쇄처리장치 KR1006571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98966A KR100657195B1 (ko) 2005-10-20 2005-10-20 채소 부산물의 분쇄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98966A KR100657195B1 (ko) 2005-10-20 2005-10-20 채소 부산물의 분쇄처리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29789U Division KR200407352Y1 (ko) 2005-10-20 2005-10-20 채소 부산물의 분쇄처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57195B1 true KR100657195B1 (ko) 2007-04-16

Family

ID=381813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98966A KR100657195B1 (ko) 2005-10-20 2005-10-20 채소 부산물의 분쇄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57195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3369B1 (ko) 2007-09-12 2009-02-11 (주)김치라인 소채류 분쇄장치
KR100992566B1 (ko) * 2009-12-15 2010-11-08 선농식품(주) 채소부산물 분쇄장치의 회전축 결합구조
KR101337679B1 (ko) 2012-06-18 2013-12-06 유경화 슬러지 분쇄기
CN105881955A (zh) * 2014-10-11 2016-08-24 四川可士可果业股份有限公司 皮带式橙皮渣脱水机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9629A (ja) * 1997-07-01 1999-01-26 Hitachi Zosen Corp 生ごみ処理装置
KR19990014843U (ko) * 1997-10-06 1999-05-06 권수근 콩 분쇄기
KR200262492Y1 (ko) * 2001-10-05 2002-03-20 진윤식 고추 분쇄기
KR200319167Y1 (ko) * 2003-03-28 2003-07-10 류수착 폐 타일 분쇄 및 입도 분리 기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9629A (ja) * 1997-07-01 1999-01-26 Hitachi Zosen Corp 生ごみ処理装置
KR19990014843U (ko) * 1997-10-06 1999-05-06 권수근 콩 분쇄기
KR200262492Y1 (ko) * 2001-10-05 2002-03-20 진윤식 고추 분쇄기
KR200319167Y1 (ko) * 2003-03-28 2003-07-10 류수착 폐 타일 분쇄 및 입도 분리 기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3369B1 (ko) 2007-09-12 2009-02-11 (주)김치라인 소채류 분쇄장치
KR100992566B1 (ko) * 2009-12-15 2010-11-08 선농식품(주) 채소부산물 분쇄장치의 회전축 결합구조
KR101337679B1 (ko) 2012-06-18 2013-12-06 유경화 슬러지 분쇄기
CN105881955A (zh) * 2014-10-11 2016-08-24 四川可士可果业股份有限公司 皮带式橙皮渣脱水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31458B1 (ko) 음식물 쓰레기의 자동처리 및 사료제조장치
KR100657195B1 (ko) 채소 부산물의 분쇄처리장치
CN106423460A (zh) 一种废旧轮胎整胎二级破碎机
KR20110096926A (ko) 파쇄기
CN107199094A (zh) 一种厨余垃圾处理装置
KR101396740B1 (ko) 음식물쓰레기 분쇄 감량기
KR200407352Y1 (ko) 채소 부산물의 분쇄처리장치
CN111282701B (zh) 一种园林垃圾回收粉碎系统及处理方法
KR200432685Y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US3589627A (en) Reduction mill
CN107159427A (zh) 一种农用破碎设备
KR20070082135A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200436515Y1 (ko) 파쇄골재의 선별혼입이송장치
KR101952509B1 (ko) 유기성 폐기물 분쇄장치
KR100216871B1 (ko) 야채쓰레기 처리장치
CN207709166U (zh) 一种便于清理碎纸的办公用碎纸机器人
KR0144585B1 (ko) 음식 쓰레기 자동 처리장치
KR100235631B1 (ko) 압축/분쇄 및 건조방식에 의한 음식물쓰레기 처리설비
KR200382019Y1 (ko) 음식물 분쇄기
KR20030041752A (ko) 식물성 쓰레기 처리장치
KR100972429B1 (ko) 유기성 폐기물의 선별분배장치
CN214637154U (zh) 一种危废预破碎设备
KR100192087B1 (ko) 채소류의 부산물 파쇄장치
KR200246042Y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CN213644444U (zh) 一种饲料粉碎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11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18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