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56883B1 - 세제 용기 - Google Patents

세제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56883B1
KR100656883B1 KR1020050076095A KR20050076095A KR100656883B1 KR 100656883 B1 KR100656883 B1 KR 100656883B1 KR 1020050076095 A KR1020050076095 A KR 1020050076095A KR 20050076095 A KR20050076095 A KR 20050076095A KR 100656883 B1 KR100656883 B1 KR 1006568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eaning ball
container
container body
detergent
in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760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어진경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to KR10200500760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5688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568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568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5/00Holders or dispensers for soap, toothpaste, or the like
    • A47K5/06Dispensers for soap
    • A47K5/12Dispensers for soap for liquid or pasty soap
    • A47K5/1201Dispensers for soap for liquid or pasty soap hand-carri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Detergent Composi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세제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세제 용기는 내부에 액체 상태의 세제를 담도록 일측에 입구가 형성된 용기 본체, 상기 입구에 회전 및 분리 가능하게 끼워지는 클리닝볼, 및 상기 용기 본체를 지지하는 지지대를 포함한다.
세제 용기, 물비누

Description

세제 용기{DETERGENT VESSEL}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제 용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세제 용기가 결합된 상태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세제 용기를 수직방향으로 자른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한 세제 용기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용기 본체 11 : 받침부
12 : 용기 결합부 20 : 클리닝볼
30 : 지지대 31 : 중앙부
32 : 지지 결합부 35 : 다리부
본 발명은 세제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액체 상태의 세제를 사용하기 편리하도록 보관하는 세제 용기에 관한 것이다.
세제 용기는 일반적으로 액체 상태의 세제를 저장하고 있다가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사용할 수 있게 하는 용기를 말한다.
그러나 물비누와 같은 액체 상태의 세제는 쉽게 거품을 낼 수 있어 편리한 반면, 용도가 제한적이고 액체 상태로 존재하기 때문에 사용하기가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다. 특히, 물비누의 용도가 세안 또는 목욕 등과 같이 사람을 대상으로 하는 경우, 물비누는 보관 및 사용 방법에 있어서 불편한 점이 많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액체 상태의 세제를 사용하기 편리하도록 보관하는 세제 용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세제 용기는 내부에 액체 상태의 세제를 담도록 일측에 입구가 형성된 용기 본체, 상기 입구에 회전 및 분리 가능하게 끼워지는 클리닝볼, 및 상기 용기 본체를 지지하는 지지대를 포함한다.
상기 클리닝볼의 일부는 상기 용기 본체 내부에 위치하고, 다른 일부는 상기 용기 본체 외부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지대는, 상기 용기 본체와 결합하는 중앙부와, 상기 중앙부에서 연장된 다수의 다리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지지대의 중앙부는 상기 용기 본체의 입구의 외측 가장자리에 결합되며, 상기 중앙부 및 상기 입구에는 각각 상호 결합되는 지지 결합부 및 용기 결합부가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중앙부에는 상기 클리닝볼을 일부 노출시키는 개구부가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개구부의 직경은 상기 클리닝볼의 직경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다리부는 4개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다수의 다리부는 서로 다른 길이를 갖는 다리부들을 포함하며, 상기 다수의 다리부는 각각의 단부가 동일한 평면상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용기 본체가 기울어진 상태로 지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다리부는 유선형으로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용기 본체의 입구의 내측면에서 상기 클리닝볼의 하측 외부면을 일부 감싸도록 연장 돌출된 받침부가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용기 본체의 입구 내측면은 상기 클리닝볼에 대향하여 오목한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클리닝볼을 지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클리닝볼의 표면은 흡습성 소재를 포함하여 만들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클리닝볼의 내부는 경질 소재를 포함하여 만들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액체 상태의 세제를 사용하기 편리하도록 보관할 수 있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제 용기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단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제 용기(100)의 분해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세제 용기(100)는 크게 용기 본체(10)와, 클리닝볼(20), 그리고 지지대(30)를 포함한다.
용기 본체(10)는 내부에 액체 상태의 세제, 예를 들면 물비누(90)(도 3에 도시)를 저장하고, 일측에 입구(11)를 형성한다. 여기서, 세제는 물비누 등을 포함하며, 몸이나 기구, 의류 등에 묻은 물질을 씻는데 쓰이는 모든 것을 의미한다. 용기 본체(10)의 입구(11)에는 클리닝볼(20)이 회전 가능하게 끼워져 결합된다. 이 때, 클리닝볼(20)의 일부는 용기 본체(10) 내부에 위치하여 용기 본체(10)에 수납된 물비누(90)(도 3에 도시)와 접하며, 다른 일부는 용기 본체(10) 외부에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클리닝볼(20)을 회전시키면, 용기 본체(10) 내부에서 물비누(90)(도 3에 도시)와 접하고 있던 클리닝볼(20)의 일부가 물비누(90)(도 3에 도시)를 머금은 채로 외부에 노출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손바닥을 클리닝볼(20)에 갖다대고 문지르는 등의 방법으로 용기 본체(20) 내부에 저장된 물비누(90)(도 3에 도시)를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지지대(30)는 용기 본체(10)와 결합하여 용기 본체(10)를 지지한다. 지지대(30)는 용기 본체(10)와 결합하는 중앙부(31)와 중앙부(31)에서 연장된 다수의 다리부(35)를 포함한다. 여기서, 지지대(30)는 유선형으로 형성된 4개의 다리부(35)를 가지므로, 용기 본체(10)를 더욱 안정적으로 지지함과 동시에 사용자가 다리부(35) 사이에 손을 넣어 쥐기 편하도록 형성된다. 중앙부(31)에는 용기 본체의 입 구에 끼워진 클리닝볼(20)을 노출시키는 개구부(33)가 형성된다.
도 2는 도 1의 세제 용기(100)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다.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대(30)는 서로 다른 길이를 다리부(35)들을 포함한다. 그리고 다리부(35)들은 각각의 단부가 동일한 평면(P)상에 위치하도록 형성된다. 이에, 지지대(30)에 의해 지지되는 용기 본체(10)는 일정한 각도로 기울어지게 된다. 즉, 도 2에 도시한 바를 기준으로 하여 살펴보면, 용기 본체(10)는 약간 우측으로 기울어지게 고정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세면대와 같은 곳에 세제 용기(100)를 올려놓고 사용할 때 더욱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도 3은 도 2의 세제 용기(100)를 수직 방향으로 자른 단면을 나타낸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대(30)의 중앙부(31)는 용기 본체(10)의 입구(11)의 외측 가장자리에 결합된다. 중앙부(31) 및 입구(11) 가장자리에는 각각 상호 결합되는 지지 결합부(32) 및 용기 결합부(12)가 형성된다. 이 지지 결합부(32) 및 용기 결합부(12)는 나사 결합 또는 끼움 결합으로 결합될 수 있으며,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다.
또한, 지지대(30)의 중앙부(31)는 용기 본체(10)의 입구(11)에 끼워진 클리닝볼(20)이 입구(11)에서 분리되어 외부로 떨어져나가는 것을 방지한다. 즉, 중앙부(31)에 형성된 개구부(33)의 직경을 클리닝볼(20)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한다. 따라서 지지대(30)를 용기 본체(10)로부터 분리하면, 클리닝볼(20)을 용기 본체(10)의 입구(11)에서 용이하게 빼낼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클리닝볼(20)을 입구(11)에서 분리시킨 후 용기 본체(10) 내부에 물비누(90)를 보충할 수 있다.
그리고 용기 본체(10)의 입구(11)에 끼워진 클리닝볼(20)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용기 본체(10)의 입구(11)의 내측면은 클리닝볼(20)에 대향하여 오목한 형태로 형성된다. 더욱이, 받침부(14)가 용기 본체(10)의 입구(11) 내측면에서 클리닝볼(20)의 하측 외부면을 일부 감싸도록 연장 돌출되어 형성된다. 받침부(14)는 입구(11)의 내측면을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원형을 이룰 수 있으며, 단속적으로 형성되어 방사상으로 배치될 수도 있다. 즉, 받침부(14)는 입구(11)에 끼워진 클리닝볼(20)이 용기 본체(10) 내부로 완전히 빠져버리는 것을 방지한다.
그리고 용기 본체(10)가 기울어지거나, 뒤집혀져도 그 입구(11)를 클리닝볼(20)이 어느 정도 차폐하므로, 용기 본체(10)에 담긴 물비누(90)가 외부로 쏟아지는 것을 방지한다.
클리닝볼(20)은 경질 소재로 만들어진 중심부(203)와 흡습성 소재로 만들어져 중심부(203)를 둘러싸는 표면부(201)를 포함한다. 클리닝볼(20)의 표면부(201)는 섬유 소재 등과 같이 물기를 잘 머금는 소재를 포함하여 만들어진다. 클리닝볼(20)의 표면부(201)는 스펀지나 섬유 소재 등으로 이루어지므로, 용기 본체(10) 내에 수납된 물비누를 묻히기가 편리하다. 또한, 클리닝볼(20) 중심부(203)의 경질 소재로는 수지 소재를 사용하여 클리닝볼(20)의 내구성을 확보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제 용기(100)의 작용 및 효과를 상세히 설명한다.
세제 용기(100)는 세면대와 같은 곳에 올려놓고 사용할 수 있으며,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손에 쥐고 사용할 수도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세제 용기(100)를 한 손에 쥐고 다른 손의 손바닥에 클리닝볼(20)을 문질러 비누칠을 하거나, 목욕할 때에는 직접 클리닝볼(20)을 몸에 대고 문질러 비누칠을 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클리닝볼(20)을 대고 문지르는 동작만으로 용기 본체(10) 내부에 담긴 물비누(90)(도 3에 도시)가 사용자가 원하는 곳에 자연스럽게 묻게 된다. 따라서 간단한 동작만으로 물비누(90)(도 3에 도시)를 사용하여 비누칠을 할 수 있으며, 또한 거품을 쉽게 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을 앞서 기재한 바에 따라 설명하였지만, 다음에 기재하는 특허청구범위의 개념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종사하는 자들은 쉽게 이해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액체 상태의 세제, 즉 물비누를 사용하기 편리하도록 보관하는 세제 용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세제 용기를 세면대와 같은 곳에 올려놓고 사용할 수도 있고, 세제 용기를 손에 쥐고 사용자가 원하는 곳에 문질러 비누칠을 할 수도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다양한 용도 및 방법으로 세제 용기 내부에 담긴 물비누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클리닝볼을 사용자가 비누칠하고자 하는 곳에 대고 문지르는 동작만으로 용기 본체 내부에 담긴 물비누가 자연스럽게 묻게 되어 사용이 매우 편리하다.
또한, 사용된 물비누를 간단하게 보충할 수 있다.

Claims (14)

  1. 내부에 액체 상태의 세제를 담도록 일측에 입구가 형성된 용기 본체,
    상기 입구에 회전 및 분리 가능하게 끼워지는 클리닝볼, 및
    상기 용기 본체를 지지하는 지지대
    를 포함하는 세제 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클리닝볼의 일부는 상기 용기 본체 내부에 위치하고, 다른 일부는 상기 용기 본체 외부에 위치하는 세제 용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는,
    상기 용기 본체와 결합하는 중앙부와,
    상기 중앙부에서 연장된 다수의 다리부
    를 포함하는 세제 용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의 중앙부는 상기 용기 본체의 입구의 외측 가장자리에 결합되며,
    상기 중앙부 및 상기 입구에는 각각 상호 결합되는 지지 결합부 및 용기 결합부가 형성된 세제 용기.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부에는 상기 클리닝볼을 일부 노출시키는 개구부가 형성된 세제 용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의 직경은 상기 클리닝볼의 직경보다 작은 세제 용기.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다리부는 4개인 세제 용기.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다리부는 서로 다른 길이를 갖는 다리부들을 포함하며,
    상기 다수의 다리부는 각각의 단부가 동일한 평면상에 위치하는 세제 용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 본체가 기울어진 상태로 지지되는 세제 용기.
  10.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다리부는 유선형으로 형성된 세제 용기.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 본체의 입구의 내측면에서 상기 클리닝볼의 하측 외부면을 일부 감싸도록 연장 돌출된 받침부가 형성된 세제 용기.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 본체의 입구 내측면은 상기 클리닝볼에 대향하여 오목한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클리닝볼을 지지하는 세제 용기.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클리닝볼의 표면은 흡습성 소재를 포함하여 만들어진 세제 용기.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클리닝볼의 내부는 경질 소재를 포함하여 만들어진 세제 용기.
KR1020050076095A 2005-08-19 2005-08-19 세제 용기 KR1006568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76095A KR100656883B1 (ko) 2005-08-19 2005-08-19 세제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76095A KR100656883B1 (ko) 2005-08-19 2005-08-19 세제 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56883B1 true KR100656883B1 (ko) 2006-12-13

Family

ID=377331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76095A KR100656883B1 (ko) 2005-08-19 2005-08-19 세제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56883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61919B2 (en) Sponge cleaning utensil with inner core for solid soap
CN105030119B (zh) 起泡器
KR830000846B1 (ko) 식물관리용 기구
KR100656883B1 (ko) 세제 용기
KR101802208B1 (ko) 발 세척 매트
JP2007056509A (ja) 水切り具
KR100900693B1 (ko) 개선된 비누 받침대
EP1190643A1 (en) Device for applying an active material to a surface and containing a single dosage of active material
KR20190030417A (ko) 메이크업 브러쉬 자동 세척, 건조 장치
TWI422325B (zh) Pet with foot device
KR101831622B1 (ko) 용기 뚜껑 구조
KR101658290B1 (ko) 다용도 일체형 거치대
JP2010023847A (ja) 容器
JP2012130407A (ja) 泡立て器具
JPH1014842A (ja) 洗剤液添加器
JP2006340815A (ja) 手洗い水飛散防止具
KR200239557Y1 (ko) 휴대용 좌욕기
JP5361642B2 (ja) バケツ状容器
KR101278876B1 (ko) 물안경 세척용액 용기
JPH0726457Y2 (ja) 浴室洗い場の構造
JPH0435858Y2 (ko)
JP3139149U (ja) 水切り具
KR20160057685A (ko) 세척솔이 달린 틀니세척기
KR200270072Y1 (ko) 수세미를 부착한 비누 받침대
JP3043009U (ja) まな板洗浄用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