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56622B1 - 차량용 라벨 적재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라벨 적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56622B1
KR100656622B1 KR1020050064379A KR20050064379A KR100656622B1 KR 100656622 B1 KR100656622 B1 KR 100656622B1 KR 1020050064379 A KR1020050064379 A KR 1020050064379A KR 20050064379 A KR20050064379 A KR 20050064379A KR 100656622 B1 KR100656622 B1 KR 1006566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bel
horizontal
film paper
movable
bra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643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선규
Original Assignee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643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5662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566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566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9/00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G49/05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ragile or damageable materials or articles
    • B65G49/06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ragile or damageable materials or articles for fragile sheets, e.g. glass
    • B65G49/061Lifting, gripping, or carrying means, for one or more sheets forming independent means of transport, e.g. suction cups, transport fram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CLABELLING OR TAGGING MACHINES, APPARATUS, OR PROCESSES
    • B65C9/00Details of labelling machines or apparatus
    • B65C9/08Label feeding
    • B65C9/18Label feeding from strips, e.g. from rolls
    • B65C9/1803Label feeding from strips, e.g. from rolls the labels being cut from a strip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57/00Stacking of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CLABELLING OR TAGGING MACHINES, APPARATUS, OR PROCESSES
    • B65C9/00Details of labelling machines or apparatus
    • B65C9/0015Preparing the labels or articles, e.g. smoothing, removing air bubbles
    • B65C2009/0018Preparing the labels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라벨 적재장치에 관한 것으로, 레이저 마킹기를 통해 제작이 완료된 라벨(L/B)이 조립라인으로 투입된 차량의 순서에 맞게 박스함내에 순차적으로 적재되어 짐으로써, 이후 차량의 부착공정시 작업의 편의성 향상과 작업시간의 단축을 이룩할 수 있게 되고, 이로 인해 차량의 생산성 증대에도 크게 기여할 수 있도록 된 것이다.

Description

차량용 라벨 적재장치{label loading device for vehicl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라벨 적재장치가 라벨 제작장치와 함께 일체로 구성된 상태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라벨 제작장치에서 필름지 이송기와 전방측 필름지 고정기 및 후방측 필름지 고정기만을 도시한 부분확대도,
도 3과 도 4는 도 1의 라벨 제작장치에서 필름지 이송기를 상세하게 도시한 확대사시도,
도 5는 도 1의 라벨 제작장치에서 필름지 절단기와 후방측 필름지 고정기만을 도시한 부분확대도,
도 6은 도 5에서 필름지 절단기를 상세하게 도시한 확대사시도,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라벨 적재장치에서 수평랙바와 수평이동체와 종단브라켓트 및 복동실린더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라벨 적재장치에서 라벨집게수단과 라벨집게작동기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11과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라벨 적재장치에서 라벨적재함과 라벨적재기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6 - 필름지 절단기 9 - 콘트롤러
39 - 하부고정체 110 - 수평랙바
120 - 수평이동체 130 - 종단브라켓트
140 - 복동실린더 150 - 라벨집게수단
160 - 라벨집게작동기 170 - 라벨적재함
180 - 라벨적재기 L/B - 라벨
본 발명은 레이저 마킹기를 이용하여 제작된 차량용 라벨을 순차적으로 적재할 수 있도록 하는 라벨 적재장치에 관한 기술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 관리법에는 차대번호, 도색번호, 생산일자, 내장색, 축하중(軸荷重), 제원관리번호, 경고문구 등을 마킹한 라벨을 차량에 부착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라벨의 부착위치는 "소비자의 눈에 띄는 곳에 쉽게 부착할 것"이라는 법의 취지에 따라 프런트 에이프런패널의 측면부나 또는 B-필러의 하단에 부착하는 것이 보편화되어 있다.
기존의 라벨은 알루미늄 플레이트에 각종 문구를 타각함으로써 제작되었는데, 이러한 기존의 타각방식으로는 자기인증제도의 도입에 따라 차량에 관련된 다양한 정보(문자,문구)를 포함시키기가 불가능한 관계로 인해, 요즘에는 레이저 마 킹기를 이용하여 다양한 정보(문자,문구)를 마킹한 신규 라벨을 채택하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레이저 마킹기를 이용하여 다량으로 제작된 각각의 라벨들은 조립라인으로 투입된 차량의 순서에 맞게 순차적으로 적재되어야만, 이후 라벨의 부착공정에서 작업자의 편의성 및 작업능률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게 된다.
즉, 제작이 완료된 다량의 라벨이 흐트러진 상태로서 쌓여있게 되면 이후 작업자는 이들을 순서대로 정렬시키는 작업을 별도로 수행해야 하기 때문에, 작업의 편의성 감소 및 불필요하게 작업시간이 낭비되는 단점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제작이 완료된 다량의 라벨을 적재함에 쌓아서 보관할 때 먼저 제작된 라벨이 적재함의 하단에 위치하도록 쌓여지게 되면, 작업자는 먼저 제작된 적재함 하단의 라벨부터 조립라인으로 투입된 차량에 부착시켜야 하는 바, 이때에는 작업자가 적재함에 쌓여진 다수의 라벨을 적재함으로부터 꺼낸 뒤 이들을 뒤집어서 육안으로 확인한 후, 차량의 적재적소에 부착시키게 된다.
그러나, 다수의 라벨을 적재함으로부터 꺼낼 때나 이들을 뒤집을 때 작업자가 실수를 하게 되면 이들이 서로 섞여버리게 됨으로써, 이후 차량의 부착공정시 작업의 편의성 감소 및 불필요하게 작업시간이 낭비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다량으로 제작된 라벨을 조립라인으로 투입된 차량의 순서에 맞게 순차적으로 적재시키는 것도 차량의 중요 기술중 하나라 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은, 라벨 제작장치를 이용하여 제작이 완료된 다수의 라벨을 조 립라인으로 투입된 차량의 순서에 맞게 순차적으로 적재시킬 수 있도록 하여, 이후 라벨의 부착공정에서 작업자의 편의성 및 작업능률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하는 차량용 라벨 적재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라벨 적재장치는, 필름지 절단기를 구성하는 하부고정체의 전면 좌우측부에서 라벨이 배출되는 전방으로 평행하게 배치되도록 설치되면서 서로 마주 대하는 안쪽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기어홈이 형성된 한 쌍의 수평랙바와, 상기 수평랙바내에 위치하고 양측면이 수평랙바와 치합을 이루면서 수평랙바를 따라서 직선왕복 이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수평이동체와, 상기 수평이동체의 직선이동을 제한하도록 상기 수평랙바의 종단에 가로질러 일체로 결합되는 종단브라켓트와, 일측이 상기 하부고정체의 전면에 고정되도록 설치되고 타측에 해당하는 피스톤의 선단이 상기 수평이동체에 연결되도록 설치되는 복동실린더와, 상기 수평이동체의 윗면 양측부에서 수직상방으로 설치되어 상기 필름지 절단기를 통과한 라벨을 선택적으로 잡을 수 있도록 하는 구성되는 라벨집게수단과, 상기 수평이동체에 설치되어 상기 라벨집게수단의 일부를 승하강 작동시키도록 하는 라벨집게작동기와, 상기 종단브라켓트와 근접한 수평랙바의 구간내에 위치하면서 상기 라벨집게수단보다 높은 위치의 설치물에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라벨의 순차적인 적재가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라벨적재함과, 상기 종단브라켓트를 향하는 라벨적재함의 전면에 고정되도록 설치되면서 공압의 힘에 의해 승하강 작동을 하여 라벨집게수단에 의해 이송되어 온 라벨을 상기 라벨적재함으로 적재시키는 라벨적재기와, 상기 복동실린더와 상기 라벨집게작동기 및 상기 라벨적재기의 동작이 순차적으로 진행될 수 있게 이들의 구동을 제어하는 콘트롤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라벨 적재장치가 라벨 제작장치와 함께 일체로 구성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먼저, 차량용 라벨 제작장치에 대한 구성을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차량용 라벨 제작장치는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라벨의 원재료에 해당하는 필름지(1)가 감겨지고 회전축(2a)을 중심으로 제1서보모터(2)에 의해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는 롤마운터(3)와, 상기 롤마운터(3)로부터 필름지(1)를 풀어서 일방으로 자동 이송시키는 필름지 이송기(4)와, 상기 필름지 이송기(4)의 종단에 설치되어 레이저 마킹기(5)를 통해 차량 정보의 마킹이 완료된 구간만큼 필름지(1)를 절단하는 필름지 절단기(6)와, 상기 롤마운터(3)로부터 필름지(1)가 진입하는 필름지 이송기(4)의 입구부에 설치되어 레이저 마킹기(5)를 통한 차량의 정보 마킹시 필름지(1)의 유동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필름지(1)를 일시적으로 눌러주도록 작동하는 전방측 필름지 고정기(7)와, 상기 필름지 절단기(6)에서 롤마운터(3)를 향해 일정간격 이격된 필름지 이송기(4)내에 설치되어 레이저 마킹기(5)를 통한 차량 정보 마킹시 필름지(1)의 열변형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필름지(1)를 일시적으로 눌러주도록 작동하는 후방측 필름지 고정기(8)와, 상기 제1서보모터(2)와 상기 필름지 이송 기(4) 상기 레이저 마킹기(5) 상기 필름지 절단기(6) 상기 전방측 필름지 고정기(7) 상기 후방측 필름지 고정기(8)의 동작이 순차적으로 진행될 수 있게 이들의 구동을 제어하는 콘트롤러(9)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필름지(1)는 기존과 같이 알루미늄 플레이트를 이용하지 않고 레이저를 이용한 마킹에 적합하도록 FET(Field Effect Transistor) 필름 종이를 사용하도록 한다.
한편, 상기 필름지 이송기(4)는, 상기 필름지(1)의 폭에 맞도록 평행하게 이격 설치됨과 더불어 서로 마주 대하는 안쪽면에는 필름지(1)의 이동을 안내하도록 길이방향을 따라 안내홈(10a)이 형성된 한 쌍의 가이드바(10)와, 상기 가이드바(10)에서 일직선으로 배치되도록 설치되는 좌,우측의 가이드패널(11)과, 상기 콘트롤러(9)의 제어를 받는 전원공급부(12)의 구동에 따라 상기 가이드바(10)내에 위치한 필름지(1)를 선택적으로 잡을 수 있도록 작동함과 더불어 상기 가이드바(10)를 따라서 직선왕복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그립퍼수단(13)과, 상기 콘트롤러(9)의 제어신호에 따라 구동하면서 상기 그립퍼수단(13)의 직선왕복 이동을 가능케 하는 그립퍼이동수단(14)과, 상기 그립퍼이동수단(14)의 측부에 설치되어 상기 그립퍼수단(13)의 직선왕복 이동시 이를 안내하는 그립퍼이동안내수단(15)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안내홈(10a)은 가이드바(10)의 안쪽면에서 서로 마주 대하는 방향을 향해 개구된 디귿(ㄷ)자의 모양을 갖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가이드패널(11)의 상단부에는 서로 마주 대하는 안쪽방향으로 절곡면부(11a)가 형성되고, 이 절곡면부(11a)에 의해 상기 필름지(1)의 양측 상단면 이 감싸여지도록 설치된다.
상기 그립퍼수단(13)은, 상기 가이드바(10)의 하부에서 가이드바(10)의 길이방향에 대해 직교되는 방향으로 필름지(1)의 폭을 가로지르도록 설치되는 베이스부재(16)와, 상기 필름지(1)의 폭을 벗어난 베이스부재(16)의 양단측 윗면에 각각 고정되도록 설치되는 베이스고정체(17)와, 상기 베이스고정체(17)내에서 가이드바(10)의 길이방향으로 서로 이격되면서 수직한 방향으로 고정 설치되는 한 쌍의 지지브라켓트(18)와, 상기 지지브라켓트(18)내에 위치되면서 수직한 방향으로 이격되어 지지브라켓트(18)에 고정되도록 설치되는 상부고정편(19) 및 하부고정편(20)과, 상기 상,하부고정편(19,20)사이에서 수직한 방향으로 적층되도록 위치하면서 연결봉(21,22)을 통해 상기 상,하부고정편(19,20)에 고정되도록 설치되는 상부전자석(23) 및 하부전자석(24)과, 상기 상,하부전자석(23,24)의 선단에서 필름지(2)가 있는 안쪽으로 이격되어 일단은 상기 지지브라켓트(18)의 상,하단부를 가이드바(10)의 길이방향을 따라 관통하는 힌지축(25)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타단은 상기 상,하부전자석(23,24)의 선단과 마주 대하도록 설치되는 상부금속막대(26) 및 하부금속막대(27)와, 일단은 상기 힌지축(25)이 관통하는 상부금속막대(26)의 상부 및 하부금속막대(27)의 하부와 일체로 결합되고 타단은 상,하부금속막대(26,27)와 함께 회전할 때 상기 가이드바(10)내에 위치한 필름지(1)의 윗면과 아랫면에 동시에 같은 구간으로 접촉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상부누름집게(28) 및 하부누름집게(29)와, 일단은 상기 상,하부고정편(19,20)에 연결되고 수직한 방향으로 설치된 타단은 상기 상,하부누름집게(28,29)에 연결되어 상기 상,하부누름집게(28,29)의 회동에 탄 성복원력을 부여하는 인장스프링(30,31)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상,하부누름집게(28,29)의 끝단부에는 필름지(1)와의 마찰력을 증대시키기 위한 고무재질의 패드부재가 일체로 결합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그립퍼이동수단(14)은, 상기 베이스고정체(17)를 가이드바(10)의 길이방향을 따라 관통하도록 설치되는 스핀들레일(32)과, 상기 스핀들레일(32)의 일단을 지지하도록 설치되는 고정브라켓트(33)와, 상기 스핀들레일(32)의 타단에 결합된 워엄기어(34)와, 상기 워엄기어(34)와 치합되는 워엄(35)과, 상기 워엄(35)과 모터축을 통해 결합되면서 상기 콘트롤러(9)의 제어신호에 따라 구동되는 제2서보모터(36)로 구성된다.
상기 그립퍼이동안내수단(15)은, 상기 스핀들레일(32)로부터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베이스부재(16)를 가이드바(10)의 길이방향을 따라 관통하도록 설치되는 한 쌍의 가이드축(37)과, 상기 가이드축(37)의 양단을 지지하도록 설치되는 고정브라켓트(38)로 구성된다.
상기 필름지 절단기(6)는, 상기 가이드패널(11)의 종단에 일면이 맞닿으면서 필름지(1)의 폭을 가로지르도록 설치되는 하부고정체(39)와, 상기 필름지(1)의 폭을 벗어난 하부고정체(39)의 양단측 윗면에 각각 수직한 방향으로 고정 설치되는 지지축부재(40)와, 상기 지지축부재(40)를 따라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이 가능하도록 양단이 상기 지지축부재(40)에 의해 관통되어 설치되는 상부이동체(41)와, 상기 상부이동체(41)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지지축부재(40)의 끝에 나사결합되는 너트부재(42)와, 상기 상부이동체(41)와 수직상방으로 배치된 피스톤(43)을 통 해 연결되도록 설치되면서 상기 콘트롤러(9)의 제어에 따라 상부이동체(41)의 승하강 작동을 위해 구동되는 제1실린더(44)와, 상기 하부고정체(39)에 하단이 고정되도록 설치되고 절단면에 해당하는 상단면은 차량 정보의 마킹 후 상기 가이드패널(11)을 통과하도록 이송된 필름지(1)의 밑면과 접촉되도록 설치되는 하부커터(45)와, 상기 상부이동체(41)에 상단이 고정되도록 설치되고 절단면에 해당하는 하단면은 상부이동체(41)의 하강작동에 따라 필름지(1)의 윗면과 접촉하면서 상기 하부커터(45)와 함께 필름지(1)를 절단하여 라벨제작을 완료하는 상부커터(46)로 구성된다.
상기 전방측 필름지 고정기(7)는, 상기 롤마운터(3)를 향하는 가이드바(10)의 전면과 일체로 결합되어 필름지(1)의 폭을 가로지르도록 설치되면서 그 윗면은 롤마운터(3)로부터 풀려진 필름지(1)의 밑면과 접촉하도록 설치되는 전방측 하부고정판(47)과, 상기 전방측 하부고정판(47)상에 덧대여지면서 필름지(1)의 윗면과 접촉하도록 설치되는 전방측 상부이동판(48)과, 상기 필름지(1)의 폭을 벗어난 전방측 상부이동판(48)의 양단과 수직 하방으로 배치된 피스톤(49)을 통해 연결되도록 설치되면서 상기 콘트롤러(9)의 제어에 따라 전방측 상부이동판(48)의 승하강 작동을 위해 구동되는 제2실린더(50)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전방측 하부고정판(47)은 그 윗면이 상기 가이드바(10)에 형성된 안내홈(10a)의 바닥면(10b)과 동일평면상에 존재하도록 설치된다.
상기 후방측 필름지 고정기(8)는, 상기 필름지 절단기(6)에서 롤마운터(3)를 향하는 방향으로 이격되어 상기 가이드패널(11)에 양단이 일체로 결합됨과 더불어 필름지(1)의 폭을 가로지르도록 설치되면서 그 윗면은 가이드패널(11)내에 위치한 필름지(1)의 밑면과 접촉하도록 설치되는 후방측 하부고정판(51)과, 상기 후방측 하부고정판(51)상에 덧대여지면서 필름지(1)의 윗면과 접촉하도록 설치되는 후방측 상부이동판(52)과, 상기 필름지(1)의 폭을 벗어난 후방측 상부이동판(52)의 양단과 수직 하방으로 배치된 피스톤(53)을 통해 연결되도록 설치되면서 상기 콘트롤러(9)의 제어에 따라 후방측 상부이동판(52)의 승하강 작동을 위해 구동되는 제3실린더(54)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필름지 이송기(4)에 의해 상기 가이드바(10)의 안내홈(10a)을 통과한 필름지(1)는 상기 가이드패널(11)에 형성된 절곡면부(11a)와 상기 후방측 하부고정판(51)의 윗면사이에 형성된 공간을 통해 계속해서 이동이 안내되도록 구성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라벨 적재장치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라벨 적재장치는 전술한 라벨 제작장치에 의해 제작이 완료된 라벨을 조립라인으로 투입된 차량의 순서에 맞게 순차적으로 적재시킬 수 있도록 하는 장치이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라벨 적재장치는 도 1과 도 7 내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필름지 절단기(6)를 구성하는 하부고정체(39)의 전면 좌우측부에서 라벨(L/B)이 배출되는 전방으로 평행하게 배치되도록 설치되면서 서로 마주 대하는 안쪽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기어홈(111)이 형성된 한 쌍의 수평랙바(110)와, 상기 수평랙바(110)내에 위치하고 양측면이 수평랙바(110)와 치합을 이루면서 수평 랙바(110)를 따라서 직선왕복 이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수평이동체(120)와, 상기 수평이동체(120)의 직선이동을 제한하도록 상기 수평랙바(110)의 종단에 가로질러 일체로 결합되는 종단브라켓트(130)와, 일측이 상기 하부고정체(39)의 전면에 고정되도록 설치되고 타측에 해당하는 피스톤(141)의 선단이 상기 수평이동체(120)에 연결되도록 설치되는 복동실린더(140)와, 상기 수평이동체(120)의 윗면 양측부에서 수직상방으로 설치되어 상기 필름지 절단기(6)를 통과한 라벨(L/B)을 선택적으로 잡을 수 있도록 하는 구성되는 라벨집게수단(150)과, 상기 수평이동체(120)에 설치되어 상기 라벨집게수단(150)의 일부를 승하강 작동시키도록 하는 라벨집게작동기(160)와, 상기 종단브라켓트(130)와 근접한 수평랙바(110)의 구간내에 위치하면서 상기 라벨집게수단(150)보다 높은 위치의 설치물에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라벨(L/B)의 순차적인 적재가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라벨적재함(170)과, 상기 종단브라켓트(130)를 향하는 라벨적재함(170)의 전면에 고정되도록 설치되면서 공압의 힘에 의해 승하강 작동을 하여 라벨집게수단(150)에 의해 이송되어 온 라벨(L/B)을 상기 라벨적재함(170)으로 적재시키는 라벨적재기(180)와, 상기 복동실린더(140)와 상기 라벨집게작동기(160) 및 상기 라벨적재기(180)의 동작이 순차적으로 진행될 수 있게 이들의 구동을 제어하는 콘트롤러(9)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콘트롤러(9)는 전술한 라벨 제작장치에서 사용하는 콘트롤러와 동일한 것을 사용해도 무방하므로, 본 발명에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병기하도록 하겠다.
그리고, 상기 라벨(L/B)은 FET(Field Effect Transistor) 필름 종이를 사용 하여 제작된 것이므로, 외력에 대해 탄력적으로 휘어지는 변형이 가능한 제품이다.
한편, 상기 수평이동체(120)는, 상기 수평랙바(110)내에 위치하면서 상기 하부고정체(39)를 향하는 일면의 중앙부위가 복동실린더(140)의 피스톤(141)의 선단과 일체로 결합되도록 설치되는 직육면체 형상의 몸통부(121a) 및 상기 몸통부(121a)의 윗면에서 바깥면이 곡면을 갖도록 돌출 형성된 둔턱부(121b)로 이루어진 이동브라켓트(121)와, 중심축(122)과 베어링(123)을 매개로 상기 몸통부(121a)에 대해 자유회전이 가능하도록 결합되면서 외주면의 일부가 상기 몸통부(121a)의 양측면으로 돌출되어 상기 수평랙바(110)의 기어홈(111)과 치합을 이루도록 설치되는 한 쌍의 브라켓트피니언기어(124)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이동브라켓트(121)는 상기 수평랙바(110)와 평행하게 배치된 복수개의 안내봉(127)에 의해 몸통부(121a)가 관통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안내봉(127)은 그 양단이 상기 하부고정체(39)와 상기 종단브라켓트(130)에 각각 고정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복동실린더(140)의 작동시 상기 이동브라켓트(121)는 수평랙바(110)와 함께 안내봉(127)을 따라 직선왕복 이동하도록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라벨집게수단(150)은, 상기 라벨(L/B)의 폭보다 약간 작은 치수의 간격으로 서로 이격되면서 상기 이동브라켓트(121)의 몸통부(121a)상에 수직상방으로 배치되게 그 하단이 고정 결합되는 한편 상기 필름지 절단기(6)를 향하는 일면에 수직방향의 안내홈(151a-1)이 형성된 고정수직바부재(151a) 및 상기 고정수직바부재(151a)에서 필름지 절단기(6)를 향하는 방향으로 선단이 돌출된 고정수평바부재(151b)의 결합체로 이루어진 고정집게(151)와, 상기 고정수직바부재(151a)의 안내홈(151a-1)으로 끼워지는 안내돌기(153a-1)가 배면에 형성되고 이의 반대면에는 상기 레벨집게작동기(160)의 일부와 치합을 이루는 기어홈(153a-2)이 길이방향을 따라서 형성된 이동수직바부재(153a) 및 상기 이동수직바부재(153a)에서 상기 고정수직바부재(151a)와 평행하도록 돌출된 이동수평바부재(153b)의 결합체로 이루어진 이동집게(153)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고정수평바부재(151b)의 아랫면과 상기 이동수평바부재(153b)의 윗면은 필름지 절단기(6)를 통과한 라벨(L/B)의 상하면을 잡는 부분으로서, 라벨(L/B)과의 마찰력을 증대시키기 위한 방편으로 고무재질로 된 패드부재를 덧대여서 사용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라벨집게작동기(160)는, 상기 이동브라켓트(121)의 몸통부(121a)내에서 수직한 방향으로 고정되도록 설치되면서 상기 콘트롤러(9)에 의해 구동이 제어되는 제3서보모터(161)와, 상기 제3서보모터(161)의 축에 결합되는 모터축기어(162)와, 상기 이동수직바부재(153a)에 대해 직교되는 방향으로 상기 이동브라켓트(121)의 둔턱부(121b)를 관통하면서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동력전달봉(163)과, 상기 제3서보모터(161)의 동력으로 상기 동력전달봉(163)이 회전운동을 할 수 있도록 상기 동력전달봉(163)에 결합되어 상기 모터축기어(162)와 치합을 이루는 동력전달봉베벨기어(164)와, 상기 동력전달봉(163)의 양단에 일체로 결합되면서 상기 이동수직바부재(153a)의 기어홈(153a-2)과 치합을 이루도록 설치되는 동력전달봉피니언기어(165)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라벨적재함(170)은, 필름지 절단기(6)를 향하는 전판(171)과 양쪽의 측판(172) 및 종단브라켓트(130)를 향하는 후판(173)이 사각 박스형태로서 결합되어 구성되는데, 상기 후판(173)은 상기 바닥판(174)으로부터 일정 구간의 높이로서 절개되어 상기 측판(172)과 일체로 결합되고, 상기 전판(171) 및 상기 측판(172)의 밑면에는 상기 라벨적재기(180)에 의해 승강된 라벨(L/B)이 상기 전판(171)과 측판(172)사이의 공간으로 진입했을 때 상기 라벨(L/B)의 테두리측 밑면을 지지하여 자유낙하를 방지하는 플랜지(171a,172a)가 내측의 공간을 향해 직교되는 방향으로 각각 절곡 형성된다.
또한, 상기 라벨적재기(180)는, 상기 라벨적재함(170)의 후판(173)에서 종단브라켓트(130)를 향하는 면에 일체로 결합되는 고정블록(181)과, 상기 고정블록(181)내에서 서로 이격되어 고정 설치되는 한편 그 내부에서 직선 왕복운동을 하도록 설치된 피스톤(182a)에 의해 내부의 공간이 기밀을 유지하는 상,하측챔버를 갖도록 형성되는 한 쌍의 제4실린더(182)와, 상기 제4실린더(182)를 수직방향으로 관통하여 상기 피스톤(182a)과 함께 직선 왕복운동을 하도록 설치되는 한편 하방으로 돌출된 부위는 상기 라벨적재함(170)의 전판(171)을 향해 절곡된 후 재차 상방을 향해 절곡된 구조를 갖도록 형성된 리프터로드(183)와, 상기 리프터로드(183)의 상측 끝단 상에 밑면이 일체로 결합되어 상기 고정블록(181)과 함께 리프터로드(183)의 하방 이동을 제한하는 상단블록(184)과, 상기 리프터로드(183)의 하측 끝단 상에 밑면이 일체로 결합되면서 상기 라벨집게수단(150)으로부터 라벨(L/B)을 인계받아 상기 리프터로드(183)와 함께 승강하여 상기 라벨적재함(170)의 내부공간으로 라벨(L/B)을 순차적으로 적재시키도록 하는 평판플레이트(185)와, 상기 제4실린더 (182)의 측방으로 이격되어 고정블록(181)내에 고정 설치되는 한편 상기 제4실린더(182)의 상,하측챔버와는 각각 내부파이프(186a,186b)를 통해 연결되고 상기 고정블록(181)을 관통하여 외부에 존재하는 공기탱크와는 공기파이프(186c)와 연결되면서 상기 콘트롤러(9)의 제어에 따라 제4실린더(182)로 공급되는 공압의 공급경로를 단속하는 솔레노이드밸브(186)로 구성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라벨 제작장치와 차량용 라벨 제작장치의 작용 및 효과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차량용 라벨 제작장치에 대해서는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1서보모터(2)의 구동에 의해 롤마운터(3)에 감겨진 필름지(1)가 풀려져서 그 선단이 전방측 상부이동판(48)과 전방측 하부고정판(48)사이로 끼워지고, 계속해서 가이드바(10)의 안내홈(10a)을 따라 이동하여 상부누름집게(28)와 하부누름집게(29)사이로 끼워지게 되면, 콘트롤러(9)의 제어에 따라 상,하부전자석(23,24)이 자화되고, 동시에 상,하부금속막대(26,27)의 일단은 각각의 힌지(28)를 중심으로 상,하부전자석(23,24)에 달라붙는 방향으로 회동을 하게 된다.
이 결과, 상,하부금속막대(26,27)와 일체로 결합된 상,하부누름집게(28,29)는 인장스프링(30,31)의 힘을 이기고서 그 선단이 오므라들면서 가이드바(10)내에 존재하는 필름지(1)의 상하면을 동시에 잡게 된다.
상,하부누름집게(28,29)에 의해 필름지(1)가 잡혀지면 상기 콘트롤러(9)는 제어신호를 보내 제2서보모터(36)를 구동시키게 되고, 베이스부재(16)는 스핀들레 일(32)의 회전동력에 의해 가이드축(37)을 따라 전방측 필름지 고정기(8)가 있는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며, 상기 상,하부누름집게(28,29)에 의해 잡혀진 상태의 필름지(1)는 베이스부재(16)가 이동하는 거리만큼 동일방향으로 가이드바(10)의 안내홈(10a)을 따라 이송되어 진다.
베이스부재(16)가 전방측 필름지 고정기(8)가 있는 방향으로 완전히 이동되어지면, 상기 콘트롤러(9)는 재차 제어신호를 보내 상,하부전자석(23,24)으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시키게 된다.
따라서, 상,하부전자석(23,24)은 자성을 잃게 되고, 상,하부누름집게(28,29)는 인장스프링(30,31)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그 선단이 벌어지면서 최초의 상태로 되돌아가 잡고 있던 필름지(1)를 놓아주게 된다.
이와 같이, 필름지(1)의 한번 이송 후 상,하부누름집게(28,29)가 필름지(1)를 놓아주게 되면, 상기 콘트롤러(9)는 제어신호를 보내 제2서보모터(36)를 역방향으로 구동시키게 되고, 베이스부재(16)는 가이드축(37)을 따라 롤마운터(3)가 있는 최초의 위치로 되돌아가서 다음번의 동작을 준비하게 된다.
상기의 반복동작에 따라 필름지(1)의 선단이 후방측 상부이동판(52)과 후방측 하부고정판(51)사이를 통과하여 필름지 절단기(6)까지 이송되어오면, 상기 콘트롤러(9)는 제2,3실린더(50,54)로 공압이 공급되게 이들을 동작을 제어하게 된다.
상기 제2,3실린더(50,54)로 공압이 공급되면 피스톤(49,53)이 하강함에 따라 전,후방측 상부이동판(48,52)이 하강하여 전,후방측 하부고정판(47,51)의 지지력을 통해 필름지(1)의 윗면을 눌러주게 된다.
상기 전방측 상부이동판(48)이 필름지(1)의 윗면을 눌러주는 것은 롤마운터(3)에서 풀려진 필름지(1)가 잔류 인장력에 의해 유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고, 상기 후방측 상부이동판(52)이 필름지(1)의 윗면을 눌러주는 것은 레이저 마킹기(5)가 필름지(1)에 차량의 정보를 마킹할 때 레이저 마킹기(5)에서 발생하는 열에 의해 필름지(1)가 열변형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이와 같이, 전,후방측 필름지 고정기(7,8)가 필름지(1)를 눌러준 상태가 되면 콘트롤러(9)에 의해 레이저 마킹기(5)가 작동을 시작하게 되고, 상기 레이저 마킹기(5)는 기 입력된 데이터에 따라 후방측 필름지 고정기(8)와 필름지 절단기(6)사이의 구간(차량 정보 마킹 구간)에 위치한 필름지(1)의 표면을 레이저를 이용해 태워서 차량에 대한 다양한 정보를 마킹하게 된다.
차량에 대한 정보 마킹이 종료되면 상기 전,후방측 필름지 고정기(7,8)는 재차 콘트롤러(9)의 제어신호를 받게 되며, 이에 따라 필름지(1)의 윗면을 눌러주고 있던 전,후방측 상부이동판(48,52)은 원래의 위치로 상승이동을 하게 됨으로써 상기 필름지(1)는 전,후방측 상부이동판(48,52)으로부터 구속이 해제되어져 자유로운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전,후방측 상부이동판(48,52)의 상승이동이 종료된 후에는 제1서보모터(2)의 구동에 의해 롤마운터(3)에 감겨진 필름지(1)가 풀려지게 되고, 동시에 롤마운터(3)에서 풀려진 필름지(1)는 필름지 이송기(4)의 작동에 의해 가이드바(10)의 안내홈(10a)을 따라 필름지 절단기(6)의 방향으로 재차 이송되어지게 된다.
이 결과, 후방측 필름지 고정기(8)와 필름지 절단기(6)사이의 구간(차량 정 보 마킹 구간)에서 레이저 마킹기(5)에 의해 차량의 정보가 마킹된 필름지(1)의 마킹 구간은 필름지 절단기(6)를 통과한 상태가 된다.
한편, 필름지 절단기(6)를 통과한 필름지(1)의 선단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집게(151)와 이동집게(153)사이의 공간으로 삽입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상기 이동집게(153)의 동작에 의해 상기의 필름지(1)는 고정집게(151)와 이동집게(153)에 의해 물려진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 고정집게(151)와 이동집게(153)가 필름지(1)를 고정시키는 작동과정에 대해서는 후술하는 차량용 라벨 적재장치의 작용설명시 보다 자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이와 같이, 필름지(1)에 마킹 종료 후 필름지 절단기(6)를 통과한 필름지(1)의 마킹 구간이 고정집게(151)와 이동집게(153)에 의해 잡혀져 움직임이 구속되고 나면, 콘트롤러(9)의 제어에 따라 제1실린더(44)로 공압이 공급됨으로써 상부이동체(41)는 지지축부재(40)를 따라 하강이동을 하게 되고, 이 결과 상부커터(46)와 하부커터(45)에 의해 마킹 구간에 해당하는 필름지(1)가 절단되어져,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완제품의 라벨(L/B)이 제작되어 진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라벨 적재장치의 작용 및 효과에 대해서는 도 1과 도 7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라벨집게수단(150)을 구성하는 고정집게(151) 및 이동집게(153)가 필름지 절단기(6)를 통과한 필름지(1)를 잡아서 움직임을 구속하는 과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즉, 레이저 마킹기(5)에 의해 필름지(3)에 차량 정보에 대한 마킹이 종료되고 난 후, 필름지 절단기(6)를 통과한 필름지(1)의 선단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집게(151)와 이동집게(153)사이의 공간으로 삽입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콘트롤러(9)의 제어에 따라 제3서보모터(161)가 구동하여 모터축기어(162)가 일방으로 회전을 하게되면, 상기 제3서보모터(161)의 동력은 동력전달봉베벨기어(164)와 동력전달봉(163) 및 동력전달봉피니언기어(165)를 통해 이동수직바부재(153a)로 전달되어지며, 상기 이동수직바부재(153a)는 안내돌기(153a-1)와 안내홈(151a-1)에 의해 수직 상승하는 이동을 하게 된다.
상기 이동수직바부재(153a)의 수직 상승이동에 의해 이동수평바부재(153b)도 동반 상승이동을 하게 됨으로써, 고정집게(151)와 이동집게(153)사이의 공간으로 삽입된 필름지(1)는 그 상하면이 고정집게(151)와 이동집게(153)에 의해 잡혀져서 움직임이 구속되어지게 된다.
이와 같이, 고정집게(151)와 이동집게(153)에 의해 필름지 절단기(6)를 통과한 필름지(1)가 잡혀지게 되면, 콘트롤러(9)의 제어에 따라 상부이동체(41)와 상부커터(46)가 하강작동을 하여 하부커터(45)와의 상호 작용에 의해 필름지 절단기(6)를 통과한 마킹 구간에 해당하는 필름지(1)를 절단하게 되고, 이로 인해 완제품의 라벨(L/B)이 제작되어지게 된다.
그리고, 상부커터(46)와 하부커터(45)의 상호 작용에 의해 제작되어 고정집게(151)와 이동집게(153)에 의해 잡혀진 상태의 라벨(L/B)은 복동실린더(140)의 작동에 의해 종단브라켓트(130)가 있는 방향으로 직선이동을 하게 된다.
즉, 콘트롤러(9)의 제어에 따라 복동실린더(140)로 공압이 공급되어 피스톤(141)이 돌출되면, 상기 피스톤(141)과 결합된 수평이동체(120)의 몸통부(121a)는 수평랙바(110)의 기어홈(111)과 치합되어 중심축(122)을 기준으로 자유회전을 하는 브라켓트피니언기어(124)에 의해 종단브라켓트(130)가 있는 방향으로 일정거리만큼 직선이동을 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수평이동체(120)의 이동거리는 고정집게(151)와 이동집게(153)에 의해 잡혀진 라벨(L/B)의 윗면이 라벨적재함(170)과 수직방향으로 일치하는 위치까지 이동되는 것을 기준으로 하며, 이때 라벨(L/B)의 아래쪽에는 하강상태를 유지하는 리프터로드(183)에 의해 평판플레이트(185)가 수직방향으로 일치하도록 존재하게 된다.
이와 같이, 종단브라켓트(130)의 방향으로 수평이동체(120)의 직선이동이 종료되고 나면, 콘트롤러(9)의 제어를 받는 솔레노이드밸브(186)의 작동에 의해 제4실린더(182)의 하측챔버로 공압이 공급되고, 하강상태를 유지하고 있던 리프터로드(183)는 상승이동을 하게 되며, 평판플레이트(185)는 고정집게(151)와 이동집게(153)에 의해 잡혀진 상태의 라벨(L/B)의 밑면을 받쳐주게 된다.
상기 평판플레이트(185)가 라벨(L/B)의 밑면을 받쳐주게 되면 상기 이동집게(153)는 콘틀롤러(9)의 제어를 받는 라벨집게작동기(16)의 동작에 의해 하강이동을 하에 원래의 위치로 복귀되어지며, 이로 인해 상기 라벨(L/B)은 고정집게(151)와 이동집게(153)로부터 구속이 해제되게 된다.
그리고, 이동집게(153)의 하강종료 후 상기 수평이동체(120)의 몸통부(121a) 는 복동실린더(140)의 계속적인 동작에 의해 종단브라켓트(130)가 있는 방향으로 재차 직선이동을 하게 된다.
이때, 상기 수평이동체(120)가 종단브라켓트(130)의 방향으로 재차 이동하는 거리는 상기 평판플레이트(185)상에 놓여진 라벨(L/B)로부터 고정집게(151)와 이동집게(153)가 완전히 벗어나는 위치까지 이동함을 기준으로 한다.
상기 수평이동체(120)의 2차 이동이 종료되면 리프터로드(183)의 승강작동이 계속해서 진행되게 되고, 이로 인해 평판플레이트(185)상에 놓여진 라벨(L/B)은 라벨적재함(170)의 내부공간으로 진입되면서 순차적으로 적재되게 된다.
한편, 평판플레이트(185)상에 놓여진 라벨(L/B)이 라벨적재함(170)의 내부공간으로 진입할 때, 상기 라벨(L/B)의 테두리부가 전판(171)과 측판(172)의 플랜지(171a,172a)에 접촉하면서 걸려지게 되지만, 상기 라벨(L/B)은 전술한 바와 같이 FET(Field Effect Transistor) 필름 종이를 사용하여 제작되는 관계로 인해 어느 정도의 탄성력을 갖고 있기 때문에, 플랜지(171a,172a)를 쉽게 통과하면서 라벨적재함(170)의 내부공간으로 순차적으로 적재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리고, 평판플레이트(185)상에 놓여진 라벨(L/B)이 라벨적재함(170)으로 적재되는 시간동안, 종단브라켓트(130)의 방향으로 이동된 후 정지하고 있던 수평이동체(120)의 몸통부(121a)는 복동실린더(140)의 동작에 의해 하부고정체(39)의 방향으로 직선이동을 하여 원래의 위치로 복귀되어져, 다음번의 동작을 준비하게 된다.
또한, 평판플레이트(185)상에 놓여진 라벨(L/B)이 라벨적재함(170)으로 적재 된 후에는 리프터로드(183)의 하강작동이 진행됨으로써 상기 평판플레이트(185)는 다음번의 동작을 준비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제작이 완료된 라벨(L/B)을 본 발명에 따른 적재장치를 이용하여 박스함에 순차적으로 적재시키게 되면, 이후 차량의 부착공정시 작업의 편의성 향상과 작업시간의 단축을 이룩할 수 있게 됨으로써, 차량의 생산성 증대에도 크게 기여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적재장치는 먼저 제작된 라벨(L/B)이 박스함의 상측에 존재하도록 적재하게 됨으로써, 조립라인으로 투입된 차량의 순서에 맞게 순차적인 적재가 가능해지는 잇점도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제작이 완료된 라벨이 조립라인으로 투입된 차량의 순서에 맞게 박스함내에 순차적으로 적재되어 짐으로써, 이후 차량의 부착공정시 작업의 편의성 향상과 작업시간의 단축을 이룩할 수 있게 되고, 이로 인해 차량의 생산성 증대에도 크게 기여할 수 있는 효과가 있게 된다.

Claims (7)

  1. 필름지 절단기(6)를 구성하는 하부고정체(39)의 전면 좌우측부에서 라벨(L/B)이 배출되는 전방으로 평행하게 배치되도록 설치되면서 서로 마주 대하는 안쪽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기어홈(111)이 형성된 한 쌍의 수평랙바(110)와;
    상기 수평랙바(110)내에 위치하고 양측면이 수평랙바(110)와 치합을 이루면서 수평랙바(110)를 따라서 직선왕복 이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수평이동체(120)와;
    상기 수평이동체(120)의 직선이동을 제한하도록 상기 수평랙바(110)의 종단에 가로질러 일체로 결합되는 종단브라켓트(130)와;
    일측이 상기 하부고정체(39)의 전면에 고정되도록 설치되고 타측에 해당하는 피스톤(141)의 선단이 상기 수평이동체(120)에 연결되도록 설치되는 복동실린더(140)와;
    상기 수평이동체(120)의 윗면 양측부에서 수직상방으로 설치되어 상기 필름지 절단기(6)를 통과한 라벨(L/B)을 선택적으로 잡을 수 있도록 하는 구성되는 라벨집게수단(150)과;
    상기 수평이동체(120)에 설치되어 상기 라벨집게수단(150)의 일부를 승하강 작동시키도록 하는 라벨집게작동기(160)와;
    상기 종단브라켓트(130)와 근접한 수평랙바(110)의 구간내에 위치하면서 상기 라벨집게수단(150)보다 높은 위치의 설치물에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라 벨(L/B)의 순차적인 적재가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라벨적재함(170)과;
    상기 종단브라켓트(130)를 향하는 라벨적재함(170)의 전면에 고정되도록 설치되면서 공압의 힘에 의해 승하강 작동을 하여 라벨집게수단(150)에 의해 이송되어 온 라벨(L/B)을 상기 라벨적재함(170)으로 적재시키는 라벨적재기(180)와;
    상기 복동실린더(140)와 상기 라벨집게작동기(160) 및 상기 라벨적재기(180)의 동작이 순차적으로 진행될 수 있게 이들의 구동을 제어하는 콘트롤러(9);
    로 구성된 차량용 라벨 적재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이동체(120)는,
    상기 수평랙바(110)내에 위치하면서 상기 하부고정체(39)를 향하는 일면의 중앙부위가 복동실린더(140)의 피스톤(141)의 선단과 일체로 결합되도록 설치되는 직육면체 형상의 몸통부(121a) 및, 상기 몸통부(121a)의 윗면에서 바깥면이 곡면을 갖도록 돌출 형성된 둔턱부(121b)로 이루어진 이동브라켓트(121)와;
    중심축(122)과 베어링(123)을 매개로 상기 몸통부(121a)에 대해 자유회전이 가능하도록 결합되면서 외주면의 일부가 상기 몸통부(121a)의 양측면으로 돌출되어 상기 수평랙바(110)의 기어홈(111)과 치합을 이루도록 설치되는 한 쌍의 브라켓트피니언기어(124);
    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라벨 적재작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브라켓트(121)는 상기 수평랙바(110)와 평행하게 배치된 복수개의 안내봉(127)에 의해 몸통부(121a)가 관통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안내봉(127)은 그 양단이 상기 하부고정체(39)와 상기 종단브라켓트(130)에 각각 고정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복동실린더(140)의 작동시 상기 이동브라켓트(121)는 수평랙바(110)와 함께 안내봉(127)을 따라 직선왕복 이동하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라벨 적재장치.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라벨집게수단(150)은,
    상기 라벨(L/B)의 폭보다 약간 작은 치수의 간격으로 서로 이격되면서 상기 이동브라켓트(121)의 몸통부(121a)상에 수직상방으로 배치되게 그 하단이 고정 결합되는 한편 상기 필름지 절단기(6)를 향하는 일면에 수직방향의 안내홈(151a-1)이 형성된 고정수직바부재(151a) 및, 상기 고정수직바부재(151a)에서 필름지 절단기(6)를 향하는 방향으로 선단이 돌출된 고정수평바부재(151b)의 결합체로 이루어진 고정집게(151)와;
    상기 고정수직바부재(151a)의 안내홈(151a-1)으로 끼워지는 안내돌기(153a-1)가 배면에 형성되고 이의 반대면에는 상기 레벨집게작동기(160)의 일부와 치합을 이루는 기어홈(153a-2)이 길이방향을 따라서 형성된 이동수직바부재(153a) 및, 상기 이동수직바부재(153a)에서 상기 고정수직바부재(151a)와 평행하도록 돌출된 이동수평바부재(153b)의 결합체로 이루어진 이동집게(153);
    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라벨 적재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라벨집게작동기(160)는,
    상기 이동브라켓트(121)의 몸통부(121a)내에서 수직한 방향으로 고정되도록 설치되면서 상기 콘트롤러(9)에 의해 구동이 제어되는 제3서보모터(161)와;
    상기 제3서보모터(161)의 축에 결합되는 모터축기어(162)와;
    상기 이동수직바부재(153a)에 대해 직교되는 방향으로 상기 이동브라켓트(121)의 둔턱부(121b)를 관통하면서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동력전달봉(163)과;
    상기 제3서보모터(161)의 동력으로 상기 동력전달봉(163)이 회전운동을 할 수 있도록 상기 동력전달봉(163)에 결합되어 상기 모터축기어(162)와 치합을 이루는 동력전달봉베벨기어(164)와;
    상기 동력전달봉(163)의 양단에 일체로 결합되면서 상기 이동수직바부재(153a)의 기어홈(153a-2)과 치합을 이루도록 설치되는 동력전달봉피니언기어(165);
    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라벨 적재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라벨적재함(170)은,
    필름지 절단기(6)를 향하는 전판(171)과 양쪽의 측판(172) 및 종단브라켓트(130)를 향하는 후판(173)이 사각 박스형태로서 결합되어 구성되는데,
    상기 후판(173)은 상기 바닥판(174)으로부터 일정 구간의 높이로서 절개되어 상기 측판(172)과 일체로 결합되고,
    상기 전판(171) 및 상기 측판(172)의 밑면에는 상기 라벨적재기(180)에 의해 승강된 라벨(L/B)이 상기 전판(171)과 측판(172)사이의 공간으로 진입했을 때 상기 라벨(L/B)의 테두리측 밑면을 지지하여 자유낙하를 방지하는 플랜지(171a,172a)가 내측의 공간을 향해 직교되는 방향으로 각각 절곡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라벨 적재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라벨적재기(180)는,
    상기 라벨적재함(170)의 후판(173)에서 종단브라켓트(130)를 향하는 면에 일체로 결합되는 고정블록(181)과;
    상기 고정블록(181)내에서 서로 이격되어 고정 설치되는 한편 그 내부에서 직선 왕복운동을 하도록 설치된 피스톤(182a)에 의해 내부의 공간이 기밀을 유지하는 상,하측챔버를 갖도록 형성되는 한 쌍의 제4실린더(182)와;
    상기 제4실린더(182)를 수직방향으로 관통하여 상기 피스톤(182a)과 함께 직선 왕복운동을 하도록 설치되는 한편 하방으로 돌출된 부위는 상기 라벨적재함(170)의 전판(171)을 향해 절곡된 후 재차 상방을 향해 절곡된 구조를 갖도록 형성된 리프터로드(183)와;
    상기 리프터로드(183)의 상측 끝단 상에 밑면이 일체로 결합되어 상기 고정블록(181)과 함께 리프터로드(183)의 하방 이동을 제한하는 상단블록(184)과;
    상기 리프터로드(183)의 하측 끝단 상에 밑면이 일체로 결합되면서 상기 라벨집게수단(150)으로부터 라벨(L/B)을 인계받아 상기 리프터로드(183)와 함께 승강하여 상기 라벨적재함(170)의 내부공간으로 라벨(L/B)을 순차적으로 적재시키도록 하는 평판플레이트(185)와;
    상기 제4실린더(182)의 측방으로 이격되어 고정블록(181)내에 고정 설치되는 한편 상기 제4실린더(182)의 상,하측챔버와는 각각 내부파이프(186a,186b)를 통해 연결되고 상기 고정블록(181)을 관통하여 외부에 존재하는 공기탱크와는 공기파이프(186c)와 연결되면서 상기 콘트롤러(9)의 제어에 따라 제4실린더(182)로 공급되는 공압의 공급경로를 단속하는 솔레노이드밸브(186);
    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라벨 적재장치.
KR1020050064379A 2005-07-15 2005-07-15 차량용 라벨 적재장치 KR1006566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64379A KR100656622B1 (ko) 2005-07-15 2005-07-15 차량용 라벨 적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64379A KR100656622B1 (ko) 2005-07-15 2005-07-15 차량용 라벨 적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56622B1 true KR100656622B1 (ko) 2006-12-11

Family

ID=377330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64379A KR100656622B1 (ko) 2005-07-15 2005-07-15 차량용 라벨 적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5662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0906B1 (ko) 2012-10-08 2014-01-24 한국성전(주) 터치스크린패널용 투명도전성 필름 적재 장치 및 방법
CN114735273A (zh) * 2021-12-28 2022-07-12 无锡三吉精工有限公司 一种铝盖加工设备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77434A (en) 1978-11-27 1980-06-11 Nissan Motor Co Ltd Car assembly control system
JPH0680303A (ja) * 1992-08-31 1994-03-22 Toppan Moore Co Ltd 丁合封入封緘方法
KR20020045468A (ko) * 2000-12-11 2002-06-19 이계안 차량용 에미션 라벨 작업 지시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391460B1 (ko) 2001-04-26 2003-07-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아이디 알루미늄 플레이트 및 라벨의 레이저각인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77434A (en) 1978-11-27 1980-06-11 Nissan Motor Co Ltd Car assembly control system
JPH0680303A (ja) * 1992-08-31 1994-03-22 Toppan Moore Co Ltd 丁合封入封緘方法
KR20020045468A (ko) * 2000-12-11 2002-06-19 이계안 차량용 에미션 라벨 작업 지시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391460B1 (ko) 2001-04-26 2003-07-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아이디 알루미늄 플레이트 및 라벨의 레이저각인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0906B1 (ko) 2012-10-08 2014-01-24 한국성전(주) 터치스크린패널용 투명도전성 필름 적재 장치 및 방법
CN114735273A (zh) * 2021-12-28 2022-07-12 无锡三吉精工有限公司 一种铝盖加工设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522581B1 (de) Arbeitsstation für eine Verpackungsmaschine und Verfahren zum Werkzeugwechsel
EP2522580B1 (de) Werkzeugwechseleinrichtung
CN210150267U (zh) 一种上料装置
US20170165734A1 (en) Tool set-up system for a brake press
CA3039900C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lacement of angle plates in transverse duct flanges
EP0530375A1 (en) System for working on plate material
KR100656622B1 (ko) 차량용 라벨 적재장치
CN112623707A (zh) 上料装置
CN203992188U (zh) 钢筋网焊接生产线的新型横筋落料装置
CN205571662U (zh) 料盘上料周转装置及自动焊锡机
CN113840664A (zh) 层积铁芯的制造装置及其制造方法
KR100655527B1 (ko) 차량용 라벨 제작장치
CN108820322A (zh) 一种用于移液器吸头装盒的设备
DE102010042100A1 (de) Transportsystem in einer Druckeinheit für den Transport mindestens einer neu auf einem Formzylinder der Druckeinheit aufzubringenden Druckform sowie Druckeinheit mit einem Transportsystem
JP3742671B2 (ja) 成形装置およびその保持型取付け方法
CN110861909A (zh) 一种供料机构
CN111646369A (zh) 一种网片吊装运输装置
CN212551421U (zh) 一种机械手抓取装置
CN211337845U (zh) 供料机构
CN212532063U (zh) 一种网片夹取转运装置
DE102010042111A1 (de) Druckformwechselsystem einer Druckeinheit sowie Logistiksytem einer Druckerei umfassend ein Druckformwechselsystem
CN212446658U (zh) 全自动uv拼版机
KR100288968B1 (ko) 타이어용자동라벨부착장치
DE102012202533B3 (de) Verfahren, Vorrichtung und System zur Bereitstellung eines Satzes von in einer Druckmaschine neu aufzulegender Druckformen
CN217477757U (zh) 蓝膜撕除装置及泡棉贴合生产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202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