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56316B1 - 하이브리드 다이아 후레임 밸브 - Google Patents

하이브리드 다이아 후레임 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56316B1
KR100656316B1 KR1020040074464A KR20040074464A KR100656316B1 KR 100656316 B1 KR100656316 B1 KR 100656316B1 KR 1020040074464 A KR1020040074464 A KR 1020040074464A KR 20040074464 A KR20040074464 A KR 20040074464A KR 100656316 B1 KR100656316 B1 KR 1006563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pper housing
fluid
hole
housing
body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744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96464A (ko
Inventor
윤성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태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태광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태광
Priority to KR10200400744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56316B1/ko
Publication of KR200400964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964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563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563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00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 F16K1/32Details
    • F16K1/34Cutting-off parts, e.g. valve members, seats
    • F16K1/36Valve me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00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 F16K1/32Details
    • F16K1/34Cutting-off parts, e.g. valve members, seats
    • F16K1/42Valve sea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7/00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F16K27/02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of lift valves
    • F16K27/0236Diaphragm cut-off apparatu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1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fluid
    • F16K31/126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fluid the fluid acting on a diaphragm, bellows, or the like
    • F16K31/126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fluid the fluid acting on a diaphragm, bellows, or the like one side of the diaphragm being spring load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44Mechanical actuating means
    • F16K31/60Hand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echanically-Actuated Valves (AREA)
  • Fluid-Driven Val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이브리드 다이아 후레임 밸브에 관한 것으로, 그 구성은 그 중앙부에는 관통된 상부관통공을 가져서 호스를 통해 공기나 가스가 제공되며, 그 측면 일측에는 제1관통공을 가지며, 그 외주 일부에는 나사산이 형성되는 상부하우징과, 상기 상부하우징과 나사결합되며, 회전하여 상기 상부하우징의 외주에서 상승 및 하강되는 핸들부재와, 상기 핸들부재와 접촉되며, 상기 상부하우징의 제1관통공에 수용되는 푸싱부재와, 상기 상부하우징의 내부공간에 위치되며, 관통된 제1몸체관통공을 가지는 제1몸체부와, 그 제1몸체부로부터 연장된 제1날개부를 가져서 전체적으로 십자형의 형상을 가지며, 상기 푸싱부재를 상기 제1날개부로 지지하는 제1연결부재와, 상기 상부하우징의 하방에 위치하여 그 상부하우징과 결합되며, 그 중앙부위에는 관통된 하부관통공을 가지는 하부하우징과, 하방을 향하여 파여진 제2몸체수용홈을 가져서 상기 제1연결부재의 제1몸체부를 수용하는 제2몸체부와, 상기 제2몸체부의 양단으로부터 돌출되며 상기 상부하우징의 내벽과 밀착되는 제2날개부와, 상기 제2몸체부로부터 돌출되며 상기 하부하우징의 하부관통공을 따라 전진 및 후퇴가능한 하방돌출부와, 상기 제2몸체수용홈의 밑면으로부터 상기 제2날개부의 일단까지 형성된 공압통로로 구성되며, 상기 상부하우징과 하부하우징 사이에 위치되는 제2연결부재와, 상기 제2몸체부의 외주에 끼워지며 상기 상부하우징에 마련된 걸림턱과 상기 제2날개부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제2연결부재를 하방으로 이동시키는 방향으로 복원력을 제공하는 스프링과, 상기 제2연결부재와 접촉되며, 상 기 제2연결부재의 이동에 따라 함께 이동되는 스템과, 상기 스템의 하방에 위치되며, 상기 스템을 상방으로 이동시키는 방향으로 복원력을 제공하는 판스프링과, 상기 하부하우징과 결합되며, 외부의 유체가 유입되는 유체유입구 및 상기 유체유입구와 이격되게 위치되며, 상기 판스프링이 상방으로 이동되면 상기 유체유입구의 통로와 연통되어 상기 유체유입구의 유체가 유출되며, 상기 판스프링이 하방으로 이동되면 그 입구가 밀폐되어 유체가 유출되지 않는 유체유출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으로서, 생산 현장에서 사용되는 공압 밸브와 다이아 후레임 밸브의 설치 개수를 줄일 수 있으며, 생산 현장에서 사용되는 밸브의 설치 면적을 작게 할 수 있으며, 밸브의 작동상태를 표시하는 작동핀이 부착되어 유체유출구로 유체가 배출되고 있는지의 여부를 외부에서 쉽게 확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하이브리드 다이아 후레임 밸브{Hybrid diaphragm valv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다이아 후레임 밸브의 단면도
도 2 및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하이브리드 다이아 후레임 밸브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상태에서의 하이브리드 다이아 후레임 밸브의 외관도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상태에서의 하이브리드 다이아 후레임 밸브의 외관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상부하우징 12. 제1관통공
14. 작동핀관통공 16. 하우징나사부
20. 핸들부재 25. 푸싱부재
30. 제1연결부재 31. 제1몸체부
32. 제1날개부 35. 하부하우징
40. 제2연결부재 42. 제2몸체부
44. 제2날개부 46. 하방돌출부
48. 공압통로 50. 스프링
55. 스템 60. 판스프링
70. 유체유입구 80. 유체유출구
90. 작동핀
본 발명은 밸브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공압밸브와 다이아후레임 밸브의 기능을 복합적으로 수용할 수 있으며, 유체유입구를 통해 제공되는 유체가 유체유출구로 유출되고 있는지의 여부를 외부에서 쉽게 판별할 수 있는 하이브리드 다이아후레임 밸브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체의 흐름을 이어주거나 차단시키기 위하여 밸브를 사용한다. 이러한 밸브의 종류는 여러 종류가 있으며, 그 중의 대표적인 것이 공압 밸브(pneumatic valve)와 다이아후레임 밸브(manual diaphragm valve)이다.
이러한 종래의 공압 밸브는 유체유입구와, 유체유출구와, 공압관을 가진다. 상기 유체유입구는 가스 등의 유체가 유입되는 곳이다. 상기 유체유출구는 상기 유체유입구와 연통되는 구조를 가진다. 그리고, 공압관은 상기 유체유입구와 유체유출구를 필요에 따라 서로 연통시키거나 차단시킨다.
따라서, 상기 유체유입구를 통해서 유입된 유체는 상기 공압관으로 공압이 제공되어 상기 유체유입구와 유체유출구가 서로 연통되는 순간에는 유체유출구를 통해서 유동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종래의 다이아후레임 밸브는 상기 공압 밸브와 비슷하게 유체유입구 와, 유체유출구와, 핸들부재를 가진다. 상기 유체유입구는 가스 등의 유체가 유입되는 곳이다. 상기 유체유출구는 상기 유체유입구와 연통되는 구조를 가진다. 그리고, 핸들부재를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유체유입구와 유체유출구가 서로 연통되지 않고 차단되어 상기 유체유입구로 제공되는 유체가 상기 유체유출구를 통해서 유출되지 않으며, 상기 핸들부재를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유체유입구와 유체유출구가 서로 연통되어 상기 유체유입구로 제공되는 유체가 상기 유체유출구를 통해서 유출되는 구조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반도체를 생산하거나, LCD 등을 생산하는 여러 산업 현장에서 위와 같은 밸브를 생산 라인마다 수십개 혹은 수백개 설치하여 제품의 생산에 임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공압 밸브와 다이아후레임 밸브를 각각 별도로 수십개 혹은 수백개 설치함에 따라 그 설치 공간이 많이 필요하게 되어 협소한 공간에서는 제품을 생산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밸브 들을 각각 별도로 구입해야 되므로 그 구입비용도 상승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상기 밸브들은 상기 유체유입구를 통해서 유입된 유체가 상기 유체유출구를 통해서 유출되는지의 여부를 외부에서 식별할 수가 없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상기 유체유출구를 통해서 유체가 유출되려면 상기 공압관을 통해서 공압이 제공되어야 하지만, 상기 공압관에 공압이 제공되는지의 여부를 외부에서 식 별할 수가 없었기 때문에, 상기 유체유입구를 통해서 유입된 유체가 상기 유체유출구를 통해서 유출되는지의 여부를 외부에서 식별할 수가 없어서 여러 가지의 안전 사고를 유발할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그 목적은 적은 비용과 적은 설치 면적으로 종래의 공압 밸브와 다이아후레임 밸브의 역할을 복합적으로 수행하며, 유체유입구를 통해서 유입된 유체가 유체유출구를 통해서 유출되고 있는지를 외부에서 간단히 식별할 수 있는 하이브리드 다이아후레임 밸브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하이브리드 다이아후레임 밸브는, 그 중앙부에는 관통된 상부관통공을 가져서 호스를 통해 공기나 가스가 제공되며, 그 측면 일측에는 제1관통공을 가지며, 그 외주 일부에는 나사산이 형성되는 상부하우징과, 상기 상부하우징과 나사결합되며, 회전하여 상기 상부하우징의 외주에서 상승 및 하강되는 핸들부재와, 상기 핸들부재와 접촉되며, 상기 상부하우징의 제1관통공에 수용되는 푸싱부재와, 상기 상부하우징의 내부공간에 위치되며, 관통된 제1몸체관통공을 가지는 제1몸체부와, 그 제1몸체부로부터 연장된 제1날개부를 가져서 전체적으로 십자형의 형상을 가지며, 상기 푸싱부재를 상기 제1날개부로 지지하는 제1연결부재와, 상기 상부하우징의 하방에 위치하여 그 상부하우징과 결합되며, 그 중앙부위에는 관통된 하부관통공을 가지는 하부하우징과, 하방을 향 하여 파여진 제2몸체수용홈을 가져서 상기 제1연결부재의 제1몸체부를 수용하는 제2몸체부와, 상기 제2몸체부의 양단으로부터 돌출되며 상기 상부하우징의 내벽과 밀착되는 제2날개부와, 상기 제2몸체부로부터 돌출되며 상기 하부하우징의 하부관통공을 따라 전진 및 후퇴가능한 하방돌출부와, 상기 제2몸체수용홈의 밑면으로부터 상기 제2날개부의 일단까지 형성된 공압통로로 구성되며, 상기 상부하우징과 하부하우징 사이에 위치되는 제2연결부재와, 상기 제2몸체부의 외주에 끼워지며 상기 상부하우징에 마련된 걸림턱과 상기 제2날개부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제2연결부재를 하방으로 이동시키는 방향으로 복원력을 제공하는 스프링과, 상기 제2연결부재와 접촉되며, 상기 제2연결부재의 이동에 따라 함께 이동되는 스템과, 상기 스템의 하방에 위치되며, 상기 스템을 상방으로 이동시키는 방향으로 복원력을 제공하는 판스프링과, 상기 하부하우징과 결합되며, 외부의 유체가 유입되는 유체유입구 및 상기 유체유입구와 이격되게 위치되며, 상기 판스프링이 상방으로 이동되면 상기 유체유입구의 통로와 연통되어 상기 유체유입구의 유체가 유출되며, 상기 판스프링이 하방으로 이동되면 그 입구가 밀폐되어 유체가 유출되지 않는 유체유출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하이브리드 다이아후레임 밸브의 상기 상부하우징의 측면에는 관통된 작동핀관통공이 더 마련되며, 상기 제2연결부재의 제2날개부와 접촉되며, 상기 제2연결부재의 상승에 따라 그 일단이 상기 상부하우징의 작동핀관통공을 관통하여 상기 상부하우징의 외부로 돌출되는 작동핀를 구비하여, 상기 작동핀의 돌출 유무에 따라 상기 유체유출구로 유체가 유동하는지의 여부를 외부에서 용이하게 판단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하이브리드 다이아후레임 밸브의 상기 작동핀의 외주에는, 상기 작동핀을 하방으로 이동시키는 방향으로 복원력을 제공하는 제2스프링이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하이브리드 다이아후레임 밸브의 상기 제1몸체부의 상단에는 제1수용홈이 파여져 있으며, 그 제1수용홈에는 제1링이 수용되어, 상기 제1몸체부의 상단과 상기 상부하우징의 내벽과의 기밀을 견고히 유지하며, 상기 제1몸체부의 하단에는 제2수용홈이 파여져 있으며, 그 제2수용홈에는 제2링이 수용되어, 상기 제1몸체부의 하단과 상기 제2몸체수용홈과의 기밀을 견고히 유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하이브리드 다이아후레임 밸브의 상기 제2연결부재의 제2날개부의 각각의 끝단에는 제3수용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3수용홈에 삽입되는 제3링을 더 포함하여, 상기 제3링에 의해 상기 상부하우징과 제2연결부재 사이의 기밀이 견고히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하이브리드 다이아후레임 밸브의 상기 제2연결부재의 하방돌출부에는 제4수용홈이 마련되며, 상기 제4수용홈에 삽입되는 제4링을 더 포함하여, 상기 하방돌출부와 하부관통공 사이의 기밀이 견고히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다이아후레임 밸브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다이아후레임 밸브를 도시한 것으로,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다이아 후레임 밸브의 단면도를, 도 2 및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하이브리드 다이아 후레임 밸브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단면도를,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상태에서의 하이브리드 다이아 후레임 밸브의 외관도를,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상태에서의 하이브리드 다이아 후레임 밸브의 외관도를 각각 나타낸 것이다.
상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다이아후레임 밸브(100)는 상부하우징(10)과, 핸들부재(20)와, 푸싱부재(25)와, 제1연결부재(30)와 하부하우징(35)과, 제2연결부재(40)와, 스프링(50)과, 스템(55)과, 판스프링(60)과, 유체유입구(70)와, 유체유출구(80)와, 작동핀(90)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상부하우징(10)은 그 중앙부에는 관통된 상부관통공(11)을 가져서 호스를 통해 공기나 가스가 제공되며, 그 측면 일측에는 제1관통공(12)을 가지며, 그 외주 일부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는 하우징나사부(16)를 가지고 있다. 또한, 상기 상부하우징(10)의 측면에는 관통된 작동핀관통공(14)이 마련되어 후술하는 작동핀(90)이 상기 작동핀관통공(14)을 따라 상승 및 하강하게 된다.
상기 핸들부재(20)는 상기 상부하우징(10)과 나사 결합되며, 회전하여 상기 상부하우징(10)의 외주에서 상승 및 하강된다. 이를 위하여 상기 핸들부재(20)에는 상기 하우징나사부(16)와 나사 체결되는 핸들나사부(22)를 구비하고 있는 것이다.
상기 푸싱부재(25)는 상기 핸들부재(20)와 접촉되며, 상기 상부하우징(10)의 제1관통공(12)에 수용된다. 미설명부호 23은 와셔이다.
상기 제1연결부재(30)는 상기 상부하우징(10)의 내부공간에 위치되며, 관통된 제1몸체관통공(311)을 가지는 제1몸체부(31)와, 그 제1몸체부(31)로부터 연장된 제1날개부(32)를 가져서 전체적으로 십자형의 형상을 가지며, 상기 푸싱부재(25)를 상기 제1날개부(32)로 지지하고 있다.
또한, 상기 제1몸체부(31)의 상단에는 제1수용홈(313)이 파여져 있으며, 그 제1수용홈에는 제1링(315)이 수용되어, 상기 제1몸체부(31)의 상단과 상기 상부하우징(10)의 내벽과의 기밀을 견고히 유지한다.
그리고, 상기 제1몸체부(31)의 하단에는 제2수용홈(317)이 파여져 있으며, 그 제2수용홈(317)에는 제2링(319)이 수용되어, 상기 제1몸체부(31)의 하단과 상기 제2몸체수용홈(422)과의 기밀을 견고히 유지시킨다.
상기 하부하우징(35)은 상기 상부하우징(10)의 하방에 위치하여 그 상부하우징(10)과 결합되며, 그 중앙부위에는 관통된 하부관통공(37)을 가진다.
상기 제2연결부재(40)는 상기 상부하우징(10)과 하부하우징(35) 사이에 위치되는 것으로서, 제2몸체부(42)와 제2날개부(44)와 하방돌출부(46)와 공압통로(48)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제2몸체부(42)는 하방을 향하여 파여진 제2몸체수용홈(422)을 가져서 상기 제1연결부재(30)의 제1몸체부(31)를 수용한다.
상기 제2날개부(44)는 상기 제2몸체부(42)의 양단으로부터 돌출되며 상기 상부하우징(10)의 내벽과 밀착된다. 그리고 상기 제2날개부(44)의 각각의 끝단에는 제3수용홈(441)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3수용홈(441)에 삽입되는 제3링(443)을 더 포함된다. 따라서, 상기 제3링(443)에 의해 상기 상부하우징(10)과 제2연결부재(40) 사이의 기밀이 견고히 유지되는 것이다.
상기 하방돌출부(46)는 상기 제2몸체부(42)로부터 돌출되며 상기 하부하우징(35)의 하부관통공(37)을 따라 전진 및 후퇴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하방돌출부(46)에는 제4수용홈(461)이 마련되며, 상기 제4수용홈(461)에 삽입되는 제4링(463)을 더 포함하여, 상기 하방돌출부(46)와 하부관통공(37) 사이의 기밀이 견고히 유지된다.
상기 공압통로(48)는 상기 제2몸체수용홈(422)의 밑면으로부터 상기 제2날개부(44)의 일단까지 관통되어 형성되어 있으며, 공기 등의 가스가 통과하게 된다.
상기 스프링(50)은 상기 제2몸체부(42)의 외주에 끼워지며 상기 상부하우징(10)에 마련된 걸림턱(18)과 상기 제2날개부(44)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제2연결부재(40)를 하방으로 이동시키는 방향으로 복원력을 제공한다.
상기 스템(55)은 상기 제2연결부재(40)와 접촉되며, 상기 제2연결부재(40)의 이동에 따라 함께 이동된다.
상기 판스프링(60)은 상기 스템(55)의 하방에 위치되며, 상기 스템(55)을 상방으로 이동시키는 방향으로 복원력을 제공한다.
상기 유체유입구(70)는 상기 하부하우징(35)과 결합되며, 외부의 유체가 유입된다.
상기 유체유출구(80)는 상기 유체유입구(70)와 이격되게 위치되며, 상기 판스프링(60)이 상방으로 이동되면 상기 유체유입구(70)의 통로와 연통되어 상기 유 체유입구(70)의 유체가 유출되며, 상기 판스프링(60)이 하방으로 이동되면 그 입구가 밀폐되어 유체가 유출되지 않게 된다.
상기 작동핀(90)은 상기 제2연결부재(40)의 제2날개부(44)와 접촉되며, 상기 제2연결부재(40)의 상승에 따라 그 일단이 상기 상부하우징(10)의 작동핀관통공(14)을 관통하여 상기 상부하우징(10)의 외부로 돌출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작동핀(90)의 돌출 유무에 따라 상기 유체유출구(80)로 유체가 유동하는지의 여부를 외부에서 용이하게 판단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작동핀(90)의 외주에는, 상기 작동핀(90)을 하방으로 이동시키는 방향으로 복원력을 제공하는 제2스프링(92)이 끼워져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진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다이아 후레임 밸브(100)는 다음과 같이 사용된다.
먼저, 상기 상부하우징(10)의 상부관통공(11)을 통하여 공기 등의 가스가 제공되지 않는 상태에서는 상기 유체유입구(70)로 제공되는 유체가 상기 유체유출구(80)를 통하여 유출되지 않는다. 이 상태는 도 1에 도시된 상태와 같으며, 상기 제1연결부재(30)와 제2연결부재(40)가 최하위에 위치한 것이다. 또한, 이 상태에서는 상기 핸들부재(20)가 최상위에 위치되어 있는 상태이다. 이러한 상태는 상기 스프링(50)에 의해서 유지가 된다.
또한, 이 상태에서는 상기 스템(55)이 하방돌출부(46)에 의해 밀려서 하방으로 이동되어 있는 상태이며, 따라서 상기 판스프링(60)이 하방으로 쳐진 상태가 되어 상기 유체유입구(70)의 끝단과 유체유출구(80)의 끝단을 각각 밀폐시키고 있는 상태이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상부하우징(10)의 상부관통공(11)을 통하여 공기나 가스 등이 제공되어 공압이 발생하게 되면, 그 공기 등의 가스는 상기 상부하우징(10)의 상부관통공(11)을 지나 상기 제1몸체부(31)의 제1몸체관통공(311)을 통과하게 된다. 이 때, 상기 제1몸체부(31)와 상기 상부하우징(10)의 내벽 사이는 상기 제1링(315)에 의해서 기밀이 견고히 유지가 되는 상태이므로, 상기 상부관통공(11)을 통과한 공기 등의 가스는 전부 상기 제1몸체관통공(311)을 통과하게 되는 것이다.
이어서, 상기 제1몸체관통공(311)을 지난 공기 등의 가스는 상기 공압통로(48)를 통과하여 상기 제2연결부재(40)의 제2날개부(44)와 상기 하부하우징(35)의 사이에 축적되게 된다.
이 때, 상기 제1몸체부(31)의 제2수용홈(317)에 끼워진 상기 제2링에 의해서 상기 제1몸체부(31)와 제2몸체수용홈(422) 사이의 기밀이 견고히 유지되는 상태이므로 상기 제1몸체관통공(311)을 통과한 공기 등의 가스는 전부 상기 공압통로(48)를 통과하게 되는 것이다.
이어서, 상기 제3수용홈(441)에 끼워진 상기 제3링(443)에 의해서 상기 제2날개부(44)와 상기 상부하우징(10)의 측벽 간의 기밀이 견고히 유지되는 상태이므로, 상기 공압통로(48)를 통해서 제공되어 상기 제2날개부(44)와 하부하우징(35)의 상면 사이로 유동된 공기 등의 가스의 힘에 의해서 상기 제2연결부재(40) 전체가 상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 때, 상기 스프링(50)이 압축되면서 이동됨은 물론이 다.
이에 따라, 상기 제1연결부재(30)와 상기 푸싱부재(25)가 상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2연결부재(40)의 상기 하방돌출부(46)는 상기 하부하우징(35)의 하부관통공(37)을 따라 상방으로 이동된다. 이 때, 상기 제4수용홈(461)에 끼워진 상기 제4링(463)에 의해 상기 하방돌출부(46)와 상기 하부하우징(35) 간의 기밀이 견고히 유지되면서 상기 제2연결부재(40)가 상방으로 이동됨은 물론이다.
이어서, 상기 스템(55)을 누르는 힘이 제거가 되므로 상기 스템(55)은 상방으로 이동되게 된다. 상기 스템(55)이 상방으로 이동하는 것은 상기 유체유입구(70)로부터 제공되는 유체의 미는 힘과 상기 판스프링(60)이 상방으로 미는 힘이 함께 작용하여 상방으로 이동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판스프링(60)과 상방으로 볼록하게 솟은 형상으로 변하고 상기 스템이 상방으로 이동됨에 따라, 상기 유체유입구(70)와 유체유출구(80)가 서로 연통되어 상기 유체유입구(70)로 유입되는 유체는 상기 유체유출구(80)를 통해서 유출되게 된다.
이 때, 상기 제2연결부재(40)의 상승에 따라, 상기 작동핀(90)이 상기 작동핀관통공(14)을 통과하여 상기 상부하우징(10)의 외부로 돌출되게 되므로, 외부에서 쉽게 상기 유체유출구(80)를 통해서 유체가 유출되고 있는 상태임을 확인할 수가 있는 것이다.(도 2 참조)
한편, 상기 상부관통공(11)을 통해서 공기 등의 가스에 의한 공압이 제공되지 않으면, 상기 스프링(50)의 복원력에 의해 상기 제1연결부재(30)와 제2연결부재 (40)와 스템(55)이 하방으로 이동되고, 이에 따라 상기 판스프링(60)이 하방으로 쳐지는 형상으로 변하여 상기 유체유입구(70)과 유체유출구(80)와의 연통을 차단하게 된다.
그러면, 상기 유체유출구(80)로의 유체의 유출은 일어나지 않게 된다. 이 때도 역시 마찬가지로 상기 작동핀(90)이 작동핀관통공(14)을 따라 하방으로 이동되게 되어 상기 상부하우징(10) 내로 수용되어 외부로 돌출되지 않게 되므로 외부에서 용이하게 상기 유체유출구(80)를 통해서 유체가 유출되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상부관통공(11)을 통해서 공기 등의 가스에 의한 공압이 제공되더라도 상기 유체유출구(80)를 통해서 유체가 유출되게 하지 않게 하기 위해서는 상기 핸들부재(20)를 회전시켜서 상기 핸들부재(20)가 하방으로 이동되게 한다.
상기 핸들부재(20)의 핸들나사부(22)와 상기 상부하우징(10)의 하우징나사부(16)가 나사 결합되어 있으므로 상기 핸들부재(20)의 하방으로의 이동은 견고한 상태에서 이루어지는 것이다.
상기 핸들부재(20)의 하방으로의 이동에 따라 상기 푸싱부재(25)가 하방으로 이동되고, 이에 따라 상기 제1연결부재(30)가 하방으로 이동되고, 순차적으로 상기 제2연결부재(40)와 스템(55)이 하방으로 이동된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판스프링(60)이 하방으로 쳐지는 형상을 하게 되어, 상기 유체유입구(70)와 유체유출구(80)의 연통을 차단하게 된다.(도 3 및 도 5 참조)
따라서, 상기 유체유출구(80)로의 유체의 유출은 일어나지 않게 되는 것이 다. 이 때도 마찬가지로 상기 작동핀(90)이 하방으로 이동되어 상기 상부하우징(10)의 외부로 돌출되지 않으므로, 외부에서 용이하게 상기 유체유출구(80)로 유체가 유출되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 상태에서, 상기 상부관통공(11)을 통해서 공기 등의 가스에 의한 공압이 제공이 되더라도, 상기 제1연결부재(30)와 제2연결부재(40)는 상방으로 이동되지 않는다. 왜냐하면, 상기 공압통로(48)를 통해서 상기 제2연결부재(40)의 제2날개부(44)와 하부하우징(35) 사이로 공기 등의 가스가 유동되어, 그 공기 등의 가스의 힘이 상기 제1연결부재(30)와 제2연결부재(40)를 상방으로 이동시키는 방향으로 작용을 하여도, 상기 핸들나사부(22)와 하우징나사부(16)가 서로 견고히 나사결합이 되어 있는 상태이기 때문에 상기 제1연결부재(30)와 제2연결부재(40)는 상방을 이동이 안돼는 것이다.
따라서, 불의한 실수로 상기 상부관통공(11)을 통해서 공기 등의 가스가 제공되어도 상기 핸들부재(20)가 하방으로 이동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상기 유체유출구(80)를 통해서 유체가 유출되는 불의의 사고는 방지가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하이브리드 다이아후레임 밸브(100)에 의하면 종래의 공압 밸브와 다이아후레임 밸브의 역할을 하나의 밸브로서 수행을 하기 때문에 그 설치면적이 작아지고 설치비용도 저렴해지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하이브리드 다이아후레임 밸브에 의하면, 적은 비용과 적은 설치 면적으로 종래의 공압 밸브와 다이아후레임 밸브의 역할을 복합적으로 수행하며, 유체유입구를 통해서 유입된 유체가 유체유출구를 통해서 유출되고 있는지를 외부에서 간단히 식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이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6)

  1. 그 중앙부에는 관통된 상부관통공을 가져서 호스를 통해 공기나 가스가 제공되며, 그 측면 일측에는 제1관통공을 가지며, 그 외주 일부에는 나사산이 형성되는 상부하우징;
    상기 상부하우징과 나사결합되며, 회전하여 상기 상부하우징의 외주에서 상승 및 하강되는 핸들부재;
    상기 핸들부재와 접촉되며, 상기 상부하우징의 제1관통공에 수용되는 푸싱부재;
    상기 상부하우징의 내부공간에 위치되며, 관통된 제1몸체관통공을 가지는 제1몸체부와, 그 제1몸체부로부터 연장된 제1날개부를 가져서 전체적으로 십자형의 형상을 가지며, 상기 푸싱부재를 상기 제1날개부로 지지하는 제1연결부재;
    상기 상부하우징의 하방에 위치하여 그 상부하우징과 결합되며, 그 중앙부위에는 관통된 하부관통공을 가지는 하부하우징;
    하방을 향하여 파여진 제2몸체수용홈을 가져서 상기 제1연결부재의 제1몸체부를 수용하는 제2몸체부와, 상기 제2몸체부의 양단으로부터 돌출되며 상기 상부하우징의 내벽과 밀착되는 제2날개부와, 상기 제2몸체부로부터 돌출되며 상기 하부하우징의 하부관통공을 따라 전진 및 후퇴가능한 하방돌출부와, 상기 제2몸체수용홈의 밑면으로부터 상기 제2날개부의 일단까지 형성된 공압통로로 구성되며, 상기 상부하우징과 하부하우징 사이에 위치되는 제2연결부재;
    상기 제2몸체부의 외주에 끼워지며 상기 상부하우징에 마련된 걸림턱과 상기 제2날개부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제2연결부재를 하방으로 이동시키는 방향으로 복원력을 제공하는 스프링;
    상기 제2연결부재와 접촉되며, 상기 제2연결부재의 이동에 따라 함께 이동되는 스템;
    상기 스템의 하방에 위치되며, 상기 스템을 상방으로 이동시키는 방향으로 복원력을 제공하는 판스프링;
    상기 하부하우징과 결합되며, 외부의 유체가 유입되는 유체유입구; 및
    상기 유체유입구와 이격되게 위치되며, 상기 판스프링이 상방으로 이동되면 상기 유체유입구의 통로와 연통되어 상기 유체유입구의 유체가 유출되며, 상기 판스프링이 하방으로 이동되면 그 입구가 밀폐되어 유체가 유출되지 않는 유체유출구;를 포함하되,
    상기 상부하우징의 측면에는 관통된 작동핀관통공이 더 마련되며,
    상기 제2연결부재의 제2날개부와 접촉되며, 상기 제2연결부재의 상승에 따라 그 일단이 상기 상부하우징의 작동핀관통공을 관통하여 상기 상부하우징의 외부로 돌출되는 작동핀;를 구비하여,
    상기 작동핀의 돌출 유무에 따라 상기 유체유출구로 유체가 유동하는지의 여부를 외부에서 용이하게 판단할 수 있으며,
    상기 작동핀의 외주에는, 상기 작동핀을 하방으로 이동시키는 방향으로 복원력을 제공하는 제2스프링이 끼워지고,
    상기 제1몸체부의 상단에는 제1수용홈이 파여져 있으며, 그 제1수용홈에는 제1링이 수용되어, 상기 제1몸체부의 상단과 상기 상부하우징의 내벽과의 기밀을 견고히 유지하며,
    상기 제1몸체부의 하단에는 제2수용홈이 파여져 있으며, 그 제2수용홈에는 제2링이 수용되어, 상기 제1몸체부의 하단과 상기 제2몸체수용홈과의 기밀을 견고히 유지시키며,
    상기 제2연결부재의 제2날개부의 각각의 끝단에는 제3수용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3수용홈에 삽입되는 제3링을 더 포함하여,
    상기 제3링에 의해 상기 상부하우징과 제2연결부재 사이의 기밀이 견고히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다이아 후레임 밸브.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연결부재의 하방돌출부에는 제4수용홈이 마련되며,
    상기 제4수용홈에 삽입되는 제4링을 더 포함하여,
    상기 하방돌출부와 하부관통공 사이의 기밀이 견고히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다이아 후레임 밸브.
KR1020040074464A 2004-09-17 2004-09-17 하이브리드 다이아 후레임 밸브 KR1006563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74464A KR100656316B1 (ko) 2004-09-17 2004-09-17 하이브리드 다이아 후레임 밸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74464A KR100656316B1 (ko) 2004-09-17 2004-09-17 하이브리드 다이아 후레임 밸브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26738U Division KR200370211Y1 (ko) 2004-09-17 2004-09-17 하이브리드 다이아 후레임 밸브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96464A KR20040096464A (ko) 2004-11-16
KR100656316B1 true KR100656316B1 (ko) 2006-12-12

Family

ID=373751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74464A KR100656316B1 (ko) 2004-09-17 2004-09-17 하이브리드 다이아 후레임 밸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56316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96464A (ko) 2004-1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422120B1 (en) Flowline flapper valve
US6039360A (en) Couplings for fluid controllers
JP2019505746A (ja) 安全バルブ
KR100656316B1 (ko) 하이브리드 다이아 후레임 밸브
KR200370211Y1 (ko) 하이브리드 다이아 후레임 밸브
CN111853272A (zh)
JP4167204B2 (ja) 流体継手及び継手一体型集積ユニット
KR200370212Y1 (ko) 밸브의 작동상태를 표시하는 작동핀이 부착된 공압 밸브
KR101098244B1 (ko) 굴삭기 어태치먼트용 스톱밸브
KR200320057Y1 (ko) 역류방지를 위한 토치 커플러용 체크밸브
KR200426911Y1 (ko) 유체밸브
KR20110075750A (ko) 알람밸브
KR20040096465A (ko) 밸브의 작동상태를 표시하는 작동핀이 부착된 공압 밸브
TW202016454A (zh) 具升降式閥塞的燃氣開關裝置
CN215059961U (zh) 一种显示压力的快速排气阀
KR20160009671A (ko) 가압 유체 용기
CN111102357B (zh) 具升降式阀塞的燃气开关装置
JP6600855B2 (ja) 空気弁
KR20050008030A (ko) 수도꼭지와 배관의 연결구조물
CN217762241U (zh) 一种球阀自闭阀
WO2018078526A1 (en) Fluid delivery line assembly with shut-off valve assembly
JP4415169B2 (ja) 弁座を有する水抜栓の弁構造
JP4376731B2 (ja) ボールバルブ
JP4376730B2 (ja) ボールバルブ
JP6601961B2 (ja) 空気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0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0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5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2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