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56061B1 - 도어용 핸들 - Google Patents

도어용 핸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56061B1
KR100656061B1 KR1020050135377A KR20050135377A KR100656061B1 KR 100656061 B1 KR100656061 B1 KR 100656061B1 KR 1020050135377 A KR1020050135377 A KR 1020050135377A KR 20050135377 A KR20050135377 A KR 20050135377A KR 100656061 B1 KR100656061 B1 KR 1006560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le
door
base member
coupled
loc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353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현식
Original Assignee
조현식
최종근
재단법인 전남테크노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현식, 최종근, 재단법인 전남테크노파크 filed Critical 조현식
Priority to KR10200501353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5606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560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560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3/00Fastening knobs or handles to lock or latch par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00Knobs or handles for wings; Knobs, handles, or press buttons for locks or latches on wings
    • E05B1/0007Knob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5/00Handles completely let into the surface of the wing
    • E05B5/003Pop-out handles, e.g. sliding outwardly before rotation

Abstract

본 발명은 도어용 핸들에 관한 것으로, 함체의 전면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된 도어(1)에 고정 설치되며, 내부에는 구조물을 감싸도록 폐 공간을 갖는 작동실(12)이 형성되고, 이 작동실의 상부로 회동공간(11)이 뚫어진 베이스부재(10)와, 이 베이스부재(10)와 도어(1)를 사이에 두고 결합된 고정본체(40)와, 상기 회동공간(11)에 회동 가능하게 끼움 결합되며, 전면에 형성된 절개홈(24)의 중앙을 절개시켜 양측부로 경사면(21)이 형성되고, 후방에는 회동공간(11)에 수용되는 하우징(20a)이 돌출 형성된 회동부재(20)와, 이 절개홈(24)의 내부에 삽입되는 삽입부(61)가 배면에 돌출 형성되어 회동부재(20)에 회동 가능하게 축 결합되며, 상기 삽입부(61)의 중앙에는 누름돌기(63)가 돌출 형성된 핸들(60)과, 상기 누름돌기(63)가 삽입되도록 전면에 반구형의 회동홈(81)이 형성되고, 후방으로는 고정돌기(82)가 형성된 스프링가이드(80)와, 상기 회동부재(20)의 절개홈(24)에 일단이 밀착된 상태로 다른 일단은 스프링가이드(80)에 형성된 고정돌기(82)에 끼움 고정된 핸들스프링(83)과, 상기 고정본체(40)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상태로 사각레버(30)를 통하여 하우징(20a)의 후방과 연결되어 핸들(60)을 통한 회동부재(20)의 회동 시 도어(1)와 함체를 록킹시키는 잠금편(91)을 갖는 잠금부재(90)와, 상기 핸들(60)을 도어(1)의 안쪽에서 눌러 베이스부재(10)의 바깥으로 핸들(60)을 인출하여 함체 내부에서 잠금부재(90)를 작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비상용 핸들개폐수단(70)으로 구성된다.
한편, 상기 비상용 핸들개폐수단은 고정본체(40)의 하부에 누름부재(71)가 축 결합되고, 이 누름부재(71)의 선단에는 핀부재(72)가 나사 결합된 상태로 그 단부는 베이스부재(10)를 관통한 후 핸들(60)에 밀착되며, 상기 핀부재(72)와 베이스부재(10) 사이에는 리턴스프링(73)이 설치된 구성을 갖는다.
따라서, 도어의 전면에 설치되어 있는 핸들(60)을 함체 내부에서 상기 구성의 비상용 핸들개폐수단(70)을 통하여 베이스부재(10)의 바깥으로 인출하여 이와 연결된 잠금부재(90)를 작동시킬 수 있게 됨으로써, 도어핸들을 양방향에서 작동시킬 수 있게 되는 등 작동방법이 개선된다.
즉, 상기 구성을 통하여 점검이나 수리 과정에서 함체 내부에 예기치 않게 갇히더라도 그 전면을 개폐하는 도어(1)를 개방한 후 쉽게 빠져 나올 수 있게 되어 안전성이 크게 개선되는 등의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도어, 보일러실, 비상 개방, 안전수단, 버튼

Description

도어용 핸들{HANDLE FOR DOOR}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결합상태를 일부 확대하여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설치상태를 일부 절개하여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작동상태를 일부 절개하여 나타낸 단면도.
* 도면 중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도어 10 - 베이스부재
11 - 회동공간 12 - 작동실
20 - 회동부재 20a - 하우징
21 - 경사면 24 - 절개홈
30 - 사각레버 40 - 고정본체
50 - 회동제어수단 60 - 핸들
70 - 비상용 핸들개폐수단 71 - 누름부재
81 - 회동홈 82 - 고정돌기
83 - 핸들스프링 90 - 잠금부재
91 - 잠금편
본 발명은 도어용 핸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보일러실 등의 실 내외측에서 각각 도어를 개방할 수 있도록 발명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건축물이나 아파트 등에는 방과 현관에는 도어가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또, 최근에는 보일러실이 별도로 마련되어 있는데, 이 보일러실은 방음 및 먼지 등의 이물질 유출입 방지와, 방폭 기능을 갖춘 도어 및 도어핸들이 필요된다.
도어핸들이 도어의 바깥에서만 작동이 이루어질 수 있는 구조로 될 경우 보일러실 내부에 갇힐 경우 내부에서는 도어를 개방시킬 수 없다.
따라서, 특히 보일러실의 경우 실내, 실외의 양방향에서 각각 작동이 가능하게 하여 예기치 않게 함체 내부에 갇힐 경우 함체의 내부에서 도어를 개방할 수 있는 도어 핸들이 요구된다.
또한, 종래 알려진 도어핸들의 경우, 외부에서 부주의로 핸들을 회동시키지 못하게 하는 로크상태로 조작되더라도 실내에 갖힌 사람이 비상 탈출할 수 있는 안전수단이 없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도어의 전면에 설치되어 있는 핸들을 함체의 내부에서도 작동시킬 수 있도록 작동방법이 개선된 도어용 핸들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함체 내부에 예기치 않게 갇힐 경우 쉽게 빠져 나올 수 있도록 안전성이 개선된 도어용 핸들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도어핸들을 사용하는데 따른 안전성의 향상을 통하여 제품의 신뢰도를 향상시켜 생산자의 이익창출에 이바지할 수 있도록 한 도어용 핸들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함체의 전면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된 도어에 고정 설치되며, 내부에는 구조물을 감싸도록 폐 공간을 갖는 작동실이 형성되고, 이 작동실의 상부로 회동공간이 뚫어진 베이스부재와;
이 베이스부재와 도어를 사이에 두고 결합된 고정본체와;
상기 회동공간에 회동 가능하게 끼움 결합되며, 전면에 형성된 절개홈의 중앙을 절개시켜 양측부로 경사면이 형성되고, 후방에는 회동공간에 수용되는 하우징이 돌출 형성된 회동부재와;
이 절개홈의 내부에 삽입되는 삽입부가 배면에 돌출 형성되어 회동부재에 회동 가능하게 축 결합되며, 상기 삽입부의 중앙에는 누름돌기가 돌출 형성된 핸들 과;
상기 누름돌기가 삽입되도록 전면에 반구형의 회동홈이 형성되고, 후방으로는 고정돌기가 형성된 스프링가이드와;
상기 회동부재의 절개홈에 일단이 밀착된 상태로 다른 일단은 스프링가이드에 형성된 고정돌기에 끼움 고정된 핸들스프링과;
상기 고정본체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상태로 사각레버를 통하여 하우징의 후방과 연결되어 핸들을 통한 회동부재의 회동 시 도어와 함체를 록킹시키는 잠금편을 갖는 잠금부재와;
상기 핸들을 도어의 안쪽에서 눌러 베이스부재의 바깥으로 핸들을 인출하여 함체 내부에서 잠금부재를 작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비상용 핸들개폐수단으로 구성되어 달성된다.
따라서, 상기 구성의 비상용 핸들개폐수단이 베이스부재와 고정본체 사이에 순차적으로 설치됨에 따라 함체의 내부에서 누름부재를 눌러 가압할 경우 상기 비상용 핸들개폐수단의 누름작동에 의해 핸들이 베이스부재로부터 인출되어 닫혀 있던 도어를 개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사시도로 나타낸 것으로, 도어핸들의 전반적인 구성을 보이고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분해 사시도로 나타낸 것으로, 도어핸들을 구성 하는 각 부품들이 베이스부재에 순차적으로 결합되는 것을 보이고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결합상태를 일부 확대하여 단면도로 나타낸 것으로, 베이스부재에 핸들 및 이 핸들과 사각레버를 통해 연결되는 잠금부재가 결합된 것을 보이고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설치상태를 일부 절개하여 단면도로 나타낸 것으로, 함체의 전면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는 도어에 도어핸들이 결합된 것을 보이고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작동상태를 일부 절개하여 단면도로 나타낸 것으로, 비상용 핸들개폐수단을 통하여 도어의 안쪽에서 핸들을 작동시키는 것을 보이고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인 도어용 핸들은 함체의 내부에서 도어핸들을 작동시킬 수 있는 구성을 갖는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도어(1)의 전면에 고정 설치된 베이스부재(10)와, 이 베이스부재(10)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핸들(60)과, 상기 핸들(60)에 연결된 상태로 실내측에 위치되어 핸들(60) 작동 시 도어(1)를 개폐시키는 잠금부재(90)와, 함체 내부에서 핸들을 눌러 작동시키는 비상용 핸들개폐수단(70)으로 크게 구성된다.
여기서 실내는 예로서 방음 방폭기능이 요구되는 보일러실을 칭함을 밝혀둔다.
상기 베이스부재(10)는 내부의 구조물을 감싸도록 폐 공간을 갖는 작동실(12)이 형성되고, 이 작동실(12)의 상부에는 회동공간(11)이 뚫어지게 된다.
이 베이스부재(10)는 도어(1)의 전면에 볼트 및 스크류 등의 요소로 이루어진 체결수단(13)을 통해 고정 설치되는데, 본 발명에서는 상기 베이스부재(10)의 견고한 고정을 위하여 별도의 고정부재(14)를 도어(1)의 전면에 선 부착한 후 이 고정부재(14)에 베이스부재(10)의 하부를 밀착하여 체결수단(13)으로 고정시킨 것을 예시하고 있다.
이러한 베이스부재(10)의 상부 회동공간(11)에 회동 가능하게 수용되는 회동부재(20)는 사각레버(30)를 통하여 잠금부재(90)와 연결되는 하우징(20a)이 후방에 형성된다.
그리고, 전면에는 절개홈(24)의 중앙부를 절개시켜 양측부로 경사면(21)이 형성되고, 힌지공(22) 및 단턱부(23)가 순차적으로 구비되며, 상기 절개홈(24) 내부로는 유동홈(25)이 경사지게 형성된다.
이러한 구성의 회동부재(20)에 회동 가능하게 축 결합되는 핸들(60)은 절개홈(24)의 내부에 삽입되는 삽입부(61)가 배면에 돌출 형성되고, 이 삽입부(61)의 양측에는 날개(62)가 형성되며, 삽입부(61)의 중앙에는 누름돌기(63)가 돌출 형성된다.
이 핸들의 결합을 위하여 하우징(20a)의 측면에는 힌지공(22)이 절개홈(24)이 관통되게 형성된 것을 도시하고 있다.
즉, 핸들(60)의 배면 상부로는 회동부재(20)의 절개홈(24)에 끼워지도록 삽입부(61)가 돌출 형성되어 있어, 핸들(60)이 끼워진 상태에서 힌지공(22)을 통과하는 힌지축(26)에 의해 회동부재(20)에 핸들(60)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핸들(60)이 결합되는 절개홈(24)의 내부로는 유동홈(25)이 경사지게 형성되며, 이 유동홈(25)에는 핸들(60)의 누름돌기(63)에 결합되는 스프링가이 드(80) 및 핸들스프링(83)이 수용된다.
상기 스프링가이드(80)는 전면부가 반구형의 회동홈(81)이 형성되고, 후방으로 고정돌기(82)가 형성되어 핸들(60)의 누름돌기(63)에 결합되며, 핸들스프링(83)은 유동홈(25)에 일단이 밀착된 상태로 다른 일단은 스프링가이드(80)의 고정돌기(82)에 끼움 고정된다.
따라서, 핸들(60)은 유동홈(25) 내로 핸들스프링(83)과 스프링가이드(80)가 위치되도록 한 후 이 스프링가이드(80)에 상기 핸들(60)의 누름돌기(63)가 결합되게 장착되어야 하며, 핸들(60)의 삽입부(61) 양측에 형성된 날개(62)는 회동부재(20)의 경사면(21)에 접촉되도록 장착하게 된다.
또, 핸들(60)의 삽입부(61) 상단은 호 형상을 갖게 하여 도어(1)의 개방을 위한 인출 시 절개홈(24)의 상부에 간섭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핸들(60)의 하부로는 작업자가 상기 핸들(60)을 보다 쉽게 잡고 인출시킬 수 있도록 하는 인출부(64)가 베이스부재(10)의 수직 길이보다 연장 형성된다.
한편, 도어(1)의 안쪽에는 고정본체(40)가 상기 도어(1)를 사이에 두고 베이스부재(10)의 후방에 결합되며, 상기 고정본체(40)에는 잠금부재(90)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잠금부재(90)는 사각레버(30)를 통하여 회동부재(20)에 형성된 하우징(20a)의 후방과 연결되는 결합부(92)가 선단에 돌출 형성되고, 후방에는 핸들(60)을 통한 상기 회동부재(20)의 회동 시 도어(1)와 함체를 록킹시키는 잠금편(91)이 경사지게 형성된다.
즉, 상기 잠금부재(90)가 베이스부재(10)의 후방에서 사각레버(30)를 통해 회동부재(20)에 연결됨에 따라 핸들(60)을 통한 회동부재(20) 회동 시 같이 회동하여 도어(1)와 함체의 잠금 및 해제역할을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 1에서 나타낸 것과 같이, 핸들(60)을 베이스부재(10)로부터 인출하여 좌, 우로 회동시키게 되면, 이 핸들(60)이 축 결합된 회동부재(20)가 회동하고, 이 회동부재(20)를 따라 사각레버(30)로 연결된 잠금부재(90)가 회동하면서 도어(1)가 함체로부터 개방되거나, 개방된 도어(1)가 실내를 잠기게 하는 등 그 상태가 전환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핸들(60)의 회동조작은 하우징(20a) 및 고정본체(40)의 내부에 결합된 회동제어수단(50)에 의해 회동공간(11)내에서 핸들(60)의 회동이 대략 90°범위로만 회동될 수 있게 한다.
상기 회동제어수단(50)은 각각 하우징(20a)과 결합부(92)에 끼워진 위치제어링(51) 및 코일스프링(52)으로 구성되며, 이 코일스프링(52)과 위치제어링(51)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하우징(20a)과 결합부(92)에는 마감부재(53)가 결합된다.
즉, 회동제어수단(50)은 회동공간(11)이나 고정본체(40)의 내부로 하우징(20a)과 결합부(92)에 각각 끼움 결합되어 핸들(60)의 회동 시 하우징(20a) 및 결합부(92)와 같이 회동하고 있어 허용된 각도만을 핸들(60)이 회동하도록 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핸들(60)은 경사면(21)의 경사각도에 따라 인출각도(R)가 변화하고, 회동제어수단(50)에 의해 회동각도가 조절되는 것이다.
여기서,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동작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핸들(60)을 인출시키기 위한 작동방법으로는, 핸들(60) 하부의 인출부(64)를 인출각도(R)로 들어올리면, 힌지축(26)을 중심으로 핸들(60)상부의 누름돌기(63)가 스프링가이드(80)를 하향 이동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스프링가이드(80)의 후방에 위치된 핸들스프링(83)은 상기 스프링가이드(80)를 따라 유동홈(25)에 압착되고, 그 중심선상을 지나게 되면 핸들스프링(83)의 자체 탄성력에 의해 자동적으로 스프링가이드(80)와 같이 후방으로 확장되면서 핸들(60)을 완전 인출시키게 된다.
즉, 상기 핸들스프링(83)의 작동상태가 초기위치에서 핸들(60)의 회동에 의해 스프링가이드(80)가 이동되며, 중심선상까지 핸들스프링(83)을 압축하고, 중심선상 이후로는 다시 자체 탄성력에 의해 확장되면서 스프링가이드(80)와 누름돌기(63)를 하부로 이동시키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핸들(60)을 수납하는 경우에도 상기한 동작과 같이 핸들스프링(83)의 일단이 하부에서 상부로 이동되는 자체 탄성력에 의해 인출각도(R)로 인출된 핸들(60)을 약간만 하부로 회동시켜도 자동적으로 수납되도록 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핸들(60)의 인출부(64)를 핸들스프링(83)이 중심부를 지나는 지점까지의 약간만 회동시키게 되면 자동적으로 상기 핸들(60)이 회동되어 수납 및 인출됨으로써, 보다 편하게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비상용 핸들개폐수단(70)은 핸들(60)을 함체의 내부에서 눌러 베이스부재의 바깥으로 상기 핸들(60)을 인출하여 함체 내부에서 잠금부재(90)를 작동시켜 도어(1)를 개방시키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이 비상용 핸들개폐수단(70)의 실시 예로 본 발명에서는 도 3에서 나타낸 것과 같이, 고정본체(40)의 하부에 누름부재(71)가 축 결합되고, 이 누름부재(71)의 선단에는 핀부재(72)가 나사 결합된 상태로 그 단부는 베이스부재(10)를 관통한 후 핸들(60)에 밀착되며, 상기 핀부재(72)와 베이스부재(10) 사이에는 리턴스프링(73)이 설치된 것을 보이고 있다.
이 중 상기 핀부재(72)는 누름부재(71)의 선단에 나사 결합되는 것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이 외에도 상기 핀부재(72)를 누름부재(71)의 선단에 끼움 결합한 후 별도의 핀 등을 이용하여 고정시킬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실시 예로 한정짓는 것은 아니다.
상기 베이스부재(10)를 관통한 핀부재(72)의 선단에는 단속구(74)가 체결되어 상기 핀부재(72)가 작동 중 베이스부재(10)로부터 분리되지 않도록 하게 된다.
이를 위한 상기 단속구(74)는 너트를 포함한 공지된 다양한 부품들을 이용할 수 있다.
즉, 이와 같은 구성의 비상용 핸들개폐수단(70)이 베이스부재(10)와 고정본체(40) 사이에 순차적으로 설치됨에 따라 함체의 내부에서 누름부재(71)를 눌러 가압할 경우 이와 연결된 핀부재(72)가 전진하여 그 선단이 핸들(60)을 누르게 되며, 이 누름 작동에 의해 핸들(60)이 베이스부재(10)로부터 인출된다.
이 핸들(60)이 베이스부재(10)의 바깥으로 인출되는 것은 도어(1)의 외부에서 핸들(60)을 인출한 것과 동일한 작용을 하게 되어 함체의 내부에서 상기 핸들(60)과 연결된 잠금편(91)을 좌, 우로 회동시킬 수 있게 되며, 이를 통해 닫혀져 있던 도어(1)를 개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핸들(60)의 인출 후에는 압축되어 있던 리턴스프링(73)이 원래의 형상으로 복귀하려는 자체 탄성력에 의해 누름부재(71) 및 핀부재(72)가 원래의 위치로 복귀하게 되여 바깥으로 인출되어 있던 핸들(60)을 베이스부재(10)에 재 수납하여 사용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구성을 통하여 보일러실 내부에서 점검 및 수리 과정에서 예기치 않게 내부에 갇히더라도 쉽게 도어(1)를 개방하여 빠져 나올 수 있게 되는 등의 안전성이 개선된 도어핸들을 제공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하면, 도어의 전면에 설치되어 있는 핸들을 실내에서 비상용 핸들개폐수단을 통하여 베이스부재의 바깥으로 인출하여 이와 연결된 잠금부재를 작동시킬 수 있게 됨으로써, 도어핸들의 작동방법이 개선된다.
즉, 상기 구성을 통하여 점검이나 수리 과정에서 함체 내부에 예기치 않게 갇히더라도 도어를 개방한 후 쉽게 빠져 나올 수 있게 되어 안전성이 크게 개선된다.
따라서, 도어핸들을 사용하는데 따른 작동성 및 안전성의 향상을 통하여 제품의 신뢰도를 향상시켜 생산자의 이익창출에 이바지할 수 있게 되는 등의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Claims (2)

  1. 함체의 전면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된 도어(1)에 고정 설치되며, 내부에는 구조물을 감싸도록 폐 공간을 갖는 작동실(12)이 형성되고, 이 작동실의 상부로 회동공간(11)이 뚫어진 베이스부재(10)와;
    이 베이스부재(10)와 도어(1)를 사이에 두고 결합된 고정본체(40)와;
    상기 회동공간(11)에 회동 가능하게 끼움 결합되며, 전면에 형성된 절개홈(24)의 중앙을 절개시켜 양측부로 경사면(21)이 형성되고, 후방에는 회동공간(11)에 수용되는 하우징(20a)이 돌출 형성된 회동부재(20)와;
    이 절개홈(24)의 내부에 삽입되는 삽입부(61)가 배면에 돌출 형성되어 회동부재(20)에 회동 가능하게 축 결합되며, 상기 삽입부(61)의 중앙에는 누름돌기(63)가 돌출 형성된 핸들(60)과;
    상기 고정본체(40)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상태로 사각레버(30)를 통하여 하우징(20a)의 후방과 연결되어 핸들(60)을 통한 회동부재(20)의 회동 시 도어(1)와 함체를 록킹시키는 잠금편(91)을 갖는 잠금부재(90)와;
    상기 핸들(60)을 도어(1)의 안쪽에서 눌러 베이스부재(10)의 바깥으로 핸들(60)을 인출하여 함체 내부에서 잠금부재(90)를 작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비상용 핸들개폐수단(70)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용 핸들.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비상용 핸들개폐수단(70)은 고정본체(40)의 하부에 축 결합된 누름부재(71)와;
    이 누름부재(71)의 선단에 결합된 상태로 그 단부는 베이스부재(10)를 관통한 후 핸들(60)에 밀착된 핀부재(72)와;
    상기 핀부재(72)와 베이스부재(10) 사이에 설치된 리턴스프링(73)과;
    상기 베이스부재(10)를 관통한 핀부재(72)의 선단에 체결되어 단속하는 단속구(74)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용 핸들.
KR1020050135377A 2005-12-30 2005-12-30 도어용 핸들 KR1006560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35377A KR100656061B1 (ko) 2005-12-30 2005-12-30 도어용 핸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35377A KR100656061B1 (ko) 2005-12-30 2005-12-30 도어용 핸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56061B1 true KR100656061B1 (ko) 2006-12-11

Family

ID=377328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35377A KR100656061B1 (ko) 2005-12-30 2005-12-30 도어용 핸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5606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9461B1 (ko) 2012-08-24 2014-02-10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스팀 컨벡션 오븐의 도어 핸들
KR101377633B1 (ko) 2013-04-15 2014-03-25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오븐용 손잡이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9461B1 (ko) 2012-08-24 2014-02-10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스팀 컨벡션 오븐의 도어 핸들
KR101377633B1 (ko) 2013-04-15 2014-03-25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오븐용 손잡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88995B1 (ko) 도어락
KR20180006213A (ko) 잠금키가 구비된 폴딩도어용 핸들장치
KR100656061B1 (ko) 도어용 핸들
KR100728658B1 (ko) 이중 풀림 기능을 갖는 모티스 락
JP4823874B2 (ja) 電気錠
US11319735B1 (en) Sliding-door latch
JP6823142B1 (ja) 窓開閉ロック装置
KR100681423B1 (ko) 미닫이문의 잠금장치
JP2007239235A (ja) ドア装置
KR101841874B1 (ko) 슬라이딩 창호용 그립형 잠금장치
KR100748712B1 (ko) 건물용 출입문개폐장치
US6283513B1 (en) Locking device for a two-door unit of swinging type
KR20180124346A (ko) 슬라이딩 창호용 그립형 잠금장치
JP2009197492A (ja) 防火ドア
KR101891784B1 (ko) 래치볼트가 임의로 인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도어록 모티스
KR20010080801A (ko) 창문 잠금장치
US20050126234A1 (en) Spring latch lock
KR200419785Y1 (ko) 미닫이문의 잠금장치
KR20200112351A (ko) 누름타입의 방충망용 이중 잠금장치
KR20060113573A (ko) 디지털 도어록
JP2733831B2 (ja) 扉用施錠装置
KR100441634B1 (ko) 도어 록 장치
JP3354772B2 (ja) 扉の係止装置
US20070028656A1 (en) Lockable pull handle
KR20190066437A (ko) 스윙형 래치볼트가 구비된 모티스 조립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6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6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6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