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56058B1 - 휠로더의 비상조향장치의 고장감지장치 - Google Patents

휠로더의 비상조향장치의 고장감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56058B1
KR100656058B1 KR1020050132825A KR20050132825A KR100656058B1 KR 100656058 B1 KR100656058 B1 KR 100656058B1 KR 1020050132825 A KR1020050132825 A KR 1020050132825A KR 20050132825 A KR20050132825 A KR 20050132825A KR 100656058 B1 KR100656058 B1 KR 1006560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mergency steering
turned
emergency
steering pump
curr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328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일
조완주
Original Assignee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1328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5605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560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560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6Indicating devices
    • E02F9/267Diagnosing or detecting failure of vehicl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0Drives; Control devices
    • E02F9/22Hydraulic or pneumatic drives
    • E02F9/225Control of steering, e.g. for hydraulic motors driving the vehicle tra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40Special vehicles
    • B60Y2200/41Construction vehicles, e.g. graders, excavators
    • B60Y2200/415Wheel load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2211/00Circuits for servomotor systems
    • F15B2211/80Other types of control related to particular problems or conditions
    • F15B2211/86Control during or prevention of abnormal condi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2211/00Circuits for servomotor systems
    • F15B2211/80Other types of control related to particular problems or conditions
    • F15B2211/865Prevention of fail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ower Steering Mechanism (AREA)
  • Steering Control In Accordance With Driving Condi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휠로더의 비상조향장치의 고장감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비상조향펌프 구동모터(M)에 전류를 인가하는 시동스위치(S0)와, 비상조향펌프(P)가 작동되는 경우 비상조향펌프(P)에서 토출되는 압력에 의해 온(ON)되는 비상조향압력스위치(S1)와, 비상조향펌프(P)가 작동하는 경우 전류를 인가받아 점등되는 비상조향펌프 작동표시등(10)과, 상기 시동스위치(S0)가 온(ON)되면 비상조향펌프 구동모터(M)에 전류를 인가하여 구동모터(M)를 기동하는 릴레이(30)와, 상기 시동스위치(S0)가 온(ON)되면 비상조향펌프 구동모터(M)에 전류를 일정시간동안 인가하여 구동모터(M)를 기동하고, 상기 비상조향압력스위치(S1)가 온되는 경우 비상조향펌프 작동표시등(10)에 전류를 일정시간동안 인가하여 점등시키고, 비상조향압력스위치(S1)가 오프되는 경우에는 상기 비상조향펌프 작동표시등(10)을 점멸시키는 타이머(20)를 포함한다.
휠로더, 비상조향, 고장감지, 조향펌프 작동표시등, 조향펌프압력스위치

Description

휠로더의 비상조향장치의 고장감지장치{ Emergency steering system for a wheel type-constuction equipment}
도 1은 종래 휠로더의 비상조향장치의 고장감지장치에 대한 개략적인 회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휠로더의 비상조향장치의 고장감지장치에 대한 개략적인 회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M: 비상조향펌프 구동모터 S0: 시동스위치
P: 비상조향펌프 S1: 비상조향압력스위치
10: 비상조향펌프 작동표시등 20: 타이머
30: 릴레이
본 발명은 휠로더의 비상조향장치의 고장감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조향 시스템의 유압계통에 고장이 발생하는 경우 임시로 장비의 조향을 수행하는 전기식 비상조향장치의 고장을 감지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휠로더와 같은 휠타입 건설중장비는 조향 유압시스템이 정상적으로 작동하지 않아 조향이 불가능한 경우에 임시로 조향을 수행하는 비상조향장치를 구비하고 있는 데, 이러한 비상조향장치가 정상적으로 작동하는지 확인하지 않고 주행이나 작업을 하게 되면, 조향장치가 작동하지 않아 안전사고를 일으키게 되므로 비상조향장치의 이상유무를 점검하여야 한다.
그런데 종래 비상조향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동스위치(S0)를 켜고, 그리고나서 비상조향펌프 작동스위치(S2)를 켜면 비상조향펌프 구동용 전기모터(M)에 전원이 인가되어 비상조향펌프(P)를 구동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종래 비상조향장치의 이상유무는 비상조향펌프(P)의 구동소리로써 확인할 뿐 다른 점검장치가 없어 불편하였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 종래 휠로더의 비상조향장치의 단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서, 장비를 초기 시동시 비상조향시스템의 이상유무를 자동으로 감지하여 이상이 발생하였을 경우 운전자에게 알려주는 비상조향장치의 고장감지장치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비상조향펌프 구동모터에 전류를 인가하는 시동스위치와, 비상조향펌프가 작동되는 경우 비상조향펌프에서 토출되는 압력에 의해 온되는 비상조향압력스위치와, 비상조향펌프가 작동하는 경우 점등되는 비상조향펌프 작동표시등과, 상기 시동스위치가 온(ON)되면 비상조향펌프 구동모터에 전류를 인가하여 구동모터를 기동하는 릴레이와,
상기 시동스위치가 온되면 비상조향펌프 구동모터에 전류를 일정시간동안 인가하여 구동모터를 기동하고, 상기 비상조향압력스위치가 온되는 경우 비상조향펌프 작동표시등에 전류를 일정시간동안 인가하여 점등시키고, 비상조향압력스위치가 오프되는 경우에는 상기 비상조향펌프 작동표시등을 점멸시키는 타이머를 포함한다.
상기한 본 발명의 비상조향장치의 고장감지장치는 시동스위치를 켜는 동시에 비상조향펌프 구동모터에 전원이 타이머에서 설정된 시간동안 인가되어 구동모터를 작동시키고, 구동모터에 의해 비상조향펌프가 작동하여 조향라인에 압력을 형성하게 되며, 상기 조향라인에 형성되는 압력에 의해 비상조향압력스위치가 온되면서 타이머에 설정된 시간동안 비상조향펌프 작동표시등을 점등하여 운전자에게 비상조향장치가 고장없이 작동하고 있음을 알려준다. 반면에 시동스위치를 켰는데도 비상조향펌프가 작동하지 않거나 조향라인의 파손되는 경우에는 비상조향압력스위치가 오프상태를 유지하여, 비상조향압력스위치를 점멸시킴으로써 운전자에게 비상조향장치에 고장이 발생하였음을 알려주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운전자가 의도적으로 비상조향장치의 고장을 점검하지 않더라도 시동을 켜면 자동으로 비상조향장치의 고장유무를 알 수 있게 되어 안전운전이 가능하게 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휠로더 비상조향장치의 고장감지장치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따라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휠로더 비상조향장치의 고장감지장치의 개략적인 회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휠로더 비상조향장치의 고장감지장치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상조향펌프 구동모터(M)에 전류를 인가하는 시동스위치(S0)와, 비상조향펌프(P)가 작동되는 경우 비상조향펌프(P)에서 토출되는 압력에 의해 온(ON)되는 비상조향압력스위치(S1)와, 비상조향펌프(P)가 작동하는 경우 전류를 인가받아 점등되는 비상조향펌프 작동표시등(10)과, 상기 시동스위치(S0)가 온(ON)되면 비상조향펌프 구동모터(M)에 전류를 인가하여 구동모터(M)를 기동하는 릴레이(30)와, 상기 시동스위치(S0)가 온(ON)되면 비상조향펌프 구동모터(M)에 전류를 일정시간동안 인가하여 구동모터(M)를 기동하고, 상기 비상조향압력스위치(S1)가 온되는 경우 비상조향펌프 작동표시등(10)에 전류를 일정시간동안 인가하여 점등시키고, 비상조향압력스위치(S1)가 오프되는 경우에는 상기 비상조향펌프 작동표시등(10)을 점멸시키는 타이머(20)를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본 발명의 비상조향장치의 고장감지장치는, 시동스위치를 켜는 동시에 비상조향펌프 구동모터에 전원이 타이머에서 설정된 시간동안 인가되어 구동모터를 작동시키고, 구동모터에 의해 비상조향펌프가 작동하여 조향라인에 압력을 형성하게 되며, 상기 조향라인에 형성되는 압력에 의해 비상조향압력스위치가 온되면서 타이머에 설정된 시간동안 비상조향펌프 작동표시등을 점등하여 운전자에 게 비상조향장치가 고장없이 작동하고 있음을 알려준다. 반면에 시동스위치를 켰는데도 비상조향펌프가 작동하지 않거나 조향라인의 파손되는 경우에는 비상조향압력스위치가 오프상태를 유지하여, 비상조향압력스위치를 점멸시킴으로써 운전자에게 비상조향장치에 고장이 발생하였음을 알려주게 된다.
상기한 본 발명의 휠로더의 비상조향장치의 고장감지장치에 따르면, 운전자가 의도적으로 비상조향장치의 고장을 점검하지 않더라도 시동을 켜면 자동으로 비상조향장치의 고장유무를 알 수 있게 되어 안전운전이 가능하게 된다.

Claims (1)

  1. 휠로더의 비상조향장치의 고장을 감지하는 비상조향장치 고장감지장치에 있어서,
    비상조향펌프 구동모터(M)에 전류를 인가하는 시동스위치(S0),
    비상조향펌프(P)가 작동되는 경우 비상조향펌프(P)에서 토출되는 압력에 의해 온(ON)되는 비상조향압력스위치(S1)와,
    비상조향펌프(P)가 작동하는 경우 전류를 인가받아 점등되는 비상조향펌프 작동표시등(10)과,
    상기 시동스위치(S0)가 온(ON)되면 비상조향펌프 구동모터(M)에 전류를 인가하여 구동모터(M)를 기동하는 릴레이(30)와,
    상기 시동스위치(S0)가 온되면, 구동모터(M)에 전류인가시간을 제어하고, 비상조향압력스위치(S1)의 온신호에 의해 비상조향펌프 작동표시등(10)에 전류를 일정시간동안 인가하여 점등시키고, 비상조향압력스위치(S1)가 오프되는 경우에는 상기 비상조향펌프 작동표시등(10)을 점멸시키는 타이머(20)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로더의 비상조향장치의 고장감지장치.
KR1020050132825A 2005-12-29 2005-12-29 휠로더의 비상조향장치의 고장감지장치 KR1006560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32825A KR100656058B1 (ko) 2005-12-29 2005-12-29 휠로더의 비상조향장치의 고장감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32825A KR100656058B1 (ko) 2005-12-29 2005-12-29 휠로더의 비상조향장치의 고장감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56058B1 true KR100656058B1 (ko) 2006-12-11

Family

ID=377328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32825A KR100656058B1 (ko) 2005-12-29 2005-12-29 휠로더의 비상조향장치의 고장감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5605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023755A3 (ko) * 2010-08-19 2012-04-19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건설기계의 비상 조향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023755A3 (ko) * 2010-08-19 2012-04-19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건설기계의 비상 조향 장치
US9067620B2 (en) 2010-08-19 2015-06-30 Doosan Infracore Co., Ltd. Emergency steering system of construction equipmen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767702B2 (ja) ハイブリッド式掘削機の非常停止システム
KR101298401B1 (ko) 휠로더의 자가진단 비상 조향장치
KR950017428A (ko) 전기자동차용 구동 에너지 장치
KR100656058B1 (ko) 휠로더의 비상조향장치의 고장감지장치
JP2007177657A (ja) 車両用始動制御装置及び車両の始動制御方法
JP4784949B2 (ja) エレベータ運転制御装置
KR20030055866A (ko) 전자제어 파워 스티어링 시스템에서의 고장 진단 및조치장치
JP2014155402A (ja) 電気自動車のモータ制御システム
KR20100120961A (ko) 리치식 전동 지게차의 전기조향 에러 제어장치
CN113044106A (zh) 电路板
JP4451224B2 (ja) 建設機械の作業状況報知装置
KR100312126B1 (ko) 건설중장비의전기식비상조향구동장치
KR100835197B1 (ko) 전동식 파워 스티어링 시스템에서의 페일 세이프 제어방법
JP3572801B2 (ja) 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KR20170078304A (ko) 안전장치 자동 온 오프 기능을 가지는 차량 및 차량의 안전장치 구동 방법
KR100435744B1 (ko) 자동차의 전원공급장치와 그 제어방법
KR101545674B1 (ko) 건설기계의 안전 조작장치
KR100204277B1 (ko) 브레이크 시스템 회로 고장시 운전정지 회로
JPH0228459Y2 (ko)
JP2012007569A (ja) 緊急停止装置
KR101042039B1 (ko) 유압장비 및 붐조립체의 격납 경보장치
JPH0811729A (ja) 電動式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KR0134003Y1 (ko) 차량의 소나시스템 고장 검출장치
KR100610079B1 (ko) 동력 조향휠 작동상태 진단장치 및 방법
BR102012003720A2 (pt) aparelho antifurto de veícul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0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0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1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5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3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6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8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