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54132B1 - 한약재와 배 추출물을 배합한 항천식 조성물 및 그의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한약재와 배 추출물을 배합한 항천식 조성물 및 그의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54132B1
KR100654132B1 KR1020050006046A KR20050006046A KR100654132B1 KR 100654132 B1 KR100654132 B1 KR 100654132B1 KR 1020050006046 A KR1020050006046 A KR 1020050006046A KR 20050006046 A KR20050006046 A KR 20050006046A KR 100654132 B1 KR100654132 B1 KR 1006541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up
pear
oral administration
asthma
show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060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85323A (ko
Inventor
나창수
김정상
Original Assignee
동신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신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동신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500060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54132B1/ko
Publication of KR200600853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853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541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541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3/00Closers or openers with braking devices, e.g. checks; Construction of pneumatic or liquid braking devices
    • E05F3/20Closers or openers with braking devices, e.g. checks; Construction of pneumatic or liquid braking devices in hing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7/00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 E05D7/04Hinges adjustable relative to the wing or the fram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00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F1/08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spring-actuated, e.g. for horizontally sliding wings
    • E05F1/10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spring-actuated, e.g. for horizontally sliding wings for swinging wings, e.g. counterbalance
    • E05F1/12Mechanisms in the shape of hinges or pivots, operated by spr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3/00Closers or openers with braking devices, e.g. checks; Construction of pneumatic or liquid braking devices
    • E05F3/04Closers or openers with braking devices, e.g. checks; Construction of pneumatic or liquid braking devices with liquid piston brak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3/00Closers or openers with braking devices, e.g. checks; Construction of pneumatic or liquid braking devices
    • E05F3/04Closers or openers with braking devices, e.g. checks; Construction of pneumatic or liquid braking devices with liquid piston brakes
    • E05F3/10Closers or openers with braking devices, e.g. checks; Construction of pneumatic or liquid braking devices with liquid piston brakes with a spring, other than a torsion spring, and a piston, the axes of which are the same or lie in the same direction
    • E05F3/104Closers or openers with braking devices, e.g. checks; Construction of pneumatic or liquid braking devices with liquid piston brakes with a spring, other than a torsion spring, and a piston, the axes of which are the same or lie in the same direction with cam-and-slide transmission between driving shaft and piston within the closer hous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5/00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 E05F5/06Buffers or stops limiting opening of swinging wings, e.g. floor or wall stop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5/00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 E05F5/06Buffers or stops limiting opening of swinging wings, e.g. floor or wall stops
    • E05F5/08Buffers or stops limiting opening of swinging wings, e.g. floor or wall stops with spr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5/00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 E05F5/06Buffers or stops limiting opening of swinging wings, e.g. floor or wall stops
    • E05F5/10Buffers or stops limiting opening of swinging wings, e.g. floor or wall stops with piston brak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40Physical or chemical protection
    • E05Y2800/422Physical or chemical protection against vibration or noi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한약재와 배 추출물을 배합한 항천식용 식품 조성물 및 그의 용도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한약재와 배 추출물을 배합한 항천식용 식품 조성물 및 이들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한약재와 배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천식용 식품 조성물은 천연물에서 유래한 것으로 부작용이 없으며 천식을 현저하게 억제하므로 천식 치료용 식품 성분으로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한약재, 배

Description

한약재와 배 추출물을 배합한 항천식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Anti-asthmatic food composition comprising extracts from natural herbal materials and pear and process for preparing the same}
도 1은 ACh의 누적투여량에 대한 기관지 평활근의 최대 근수축 반응에 미치는 투여농도에 따른 배혼합물의 경구 투여 효과를 나타낸 그라프도.
도 2는 ACh 누적투여량에 대한 기관지 평활근의 최대 근수축 반응에 미치는 배혼합물의 투여농도에 따른 경구투여의 효과를 나타내는 그라프도.
도 3은 ACh 농도에 대한 기관지 평활근의 최대 근수축 반응에 미치는 배혼합물의 경구 투여 효과를 나타낸 그라프도.
도 4는 ACh에 농도에 대한 기관지 평활근의 최대 근수축 반응에 미치는 배혼합물의 투여량에 따른 경구투여의 효과를 나타내는 그라프도.
도 5는 KCl 농도에 대한 기관지 평활근의 최대 근수축 반응에 미치는 배혼합물의 투여량에 따른 경구 투여 효과를 나타낸 그라프도.
도 6은 KCl 농도에 대한 기관지 평활근의 최대 근수축 반응에 미치는 배혼합물의 투여량에 따른 경구투여의 효과를 나타내는 그라프도.
도 7은 기관지폐포세척액(BALF, bronchoal-velar lavage fluid) 내 호산구(eosinophil)에 대한 투여량에 따른 배혼합물의 경구 투여 효과를 나타낸 그라프 도.
도 8은 기관지폐포세척액 (BALF, bronchoal-velar lavage fluid) 내 호산구에 대한 투여량에 따른 배혼합물의 투여량에 따른 경구투여의 효과를 나타내는 그라프도.
도 9는 기관지폐포세척액 내 임파구(lymphocyte)에 대한 투여량에 따른 배혼합물의 경구 투여 효과를 나타낸 그라프도.
도 10은 기관지폐포세척액 내 임파구에 대한 투여량에 따른 배혼합물의 경구 투여의 효과를 나타내는 그라프도.
도 11은 기관지폐포세척액 내 대식구(macrophage)에 대한 투여량에 따른 배혼합물의 경구 투여 효과를 나타낸 그라프도.
도 12는 기관지폐포세척액 내 대식구(macrophage)에 대한 투여량에 따른 배혼합물의 경구투여의 효과를 나타내는 그라프도.
도 13은 기관지폐포세척액 내 IL-4에 미치는 투여량에 따른 배혼합물의 경구 투여 효과를 나타낸 그라프도.
도 14는 기관지폐포세척액 내 IL-4에 미치는 투여량에 따른 배혼합물의 경구 투여의 효과를 나타내는 그라프도.
도 15는 기관지폐포세척액 내 IgE에 미치는 투여량에 따른 배혼합물의 경구 투여 효과를 나타낸 그라프도.
도 16은 기관지폐포세척액 내 IgE에 미치는 배혼합물의 투여량에 따른 경구투여의 효과를 나타내는 그라프도.
도 17은 혈중 WBC(a), RBC(b) 및 HGB(c)에 대한 투여량에 따른 배혼합물의 경구 투여의 효과를 나타내는 그라프도.
도 18은 혈중 WBC(a), RBC(b) 및 HGB(c)에 대한 투여량에 따른 배혼합물의 경구 투여의 효과를 나타내는 그라프도.
본 발명은 한약재와 배 추출물을 배합한 항천식용 식품 조성물 및 그의 용도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한약재와 배 추출물을 배합한 항천식용 식품 조성물 및 이들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근래 급속한 산업화의 영향으로 갈수록 대기 오염문제가 갈수록 심각하게 대두되고 있으며 이로 인하여 발생하는 직접적인 질병 발생 문제는 인류의 건강을 위협하고 있다. 특히 다양한 호흡기 질환으로 호소하는 경우가 매년 증가 추세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기관지 질환 치료를 목적으로 사용하는 요법은 아직 완벽한 성과를 거두지는 못하고 있는 형편이다. 이러한 폐질환은 만성으로 발작성으로 진행되고 그에 따르는 고통뿐만 아니라 의료부담이 많이 차지하고 있어 임상 분야에 전반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신물질의 개발이 절실히 요청되고 있는 실정이다. 폐질환 중 천식은 염증성 변화를 조직학적 특성으로 하는 가역적 폐색성 기도질환으로서 가역적인 기도수축에 의해 발작적 호흡곤란, 기침, 객담 등을 나타내는 질환으로, 그 발생 기전은 기관지 평활근의 수축이나 경련, 기관지점막의 부종과 점액 분비 증가에 의해서 일어나며 이 중에서도 기관지 평활근 수축이 주된 발생 기전이다. 기도 수축을 일으키는 원인으로 지금까지 알려진 가장 유력한 학설은 항원의 흡입, 섭취로 인해 기도의 과민반응이 유발되어 기도가 광범위하게 수축된다는 것이다. 그 외 호흡기의 감염, SO2 , 중금속, 석면, 분진 등으로 오염된 공기나 자극성 기체의 흡입, 기후의 급격한 변화, 심리적 자극, 내분비계의 이상, 자율신경계의 이상, 신체운동, β- 수용체 차단설 등을 들 수 있다. 본 질환으로 알려진 만성 천식 및 알레르기성 천식은 재발이 잘되는 질환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 질환들은 면역세포의 cytokine에 의한 재발 위험과 자가면역에 의한 요인에 기인한 발병 기전이 알려져 있다.
한편, 배는 예로부터 한방의 중요 약재로 활용될 만큼 인체에 유익한 과일로 알려져 왔고, 본초강목, 동의보감 등에 의하면 배는 맛은 달고 차가우며, 무독하고, 즙을 내어 복용하면 효율성이 뛰어 난 것으로 알려져 왔고 담, 가래, 기침, 해열, 진통, 이뇨 촉진(다이어트 효과), 숙취해소, 종기 등의 치료에 효능이 알려져 있고, 식품분야에서는 고기를 연하게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고 최근에는 항암제로서의 효과도 발표되고 있다.
지금까지 배는 주로 식품 분야에서 설탕과 탄산이 함유된 탄산음료 대신에 천연물을 주재로 한 음료로서 갈아만든 배 등의 캔음료 제품의 형태로 출시되고 있으며, 특허출원 제2001-78358(2001.12.12)에는 배를 주로 하는 음료의 조성물 및 그의 제조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배를 적절히 처리하여 건강 기능성을 증대시키거나 특정 질환에 유효한 제품으로 개발하려는 시도는 아직 주목할 만한 성과가 없는 실정이다.
본 발명자들은 배가 갖는 기능성을 극대화한 기능성 상품으로서 개발하기 위하여 예의 연구한 결과, 후술하는 바와 같이 여러 가지 한약재를 배합한 배 추출물이 천연물에 기인한 것이므로 부작용이 없고, 천식의 개선에 상당한 효능을 나타냄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의 조성을 가진 천식 치료용 건강 식품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생약제와 배의 추출물을 배합하여 구성되는 항천식용 식품 조성물 및 이들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의 첫 번째 성분은 배 추출물을 포함한다. 배(Pyrus serotina Rehd)의 성분으로는 칼리 51.0, 나트륨 8.0 , 칼슘 8.0, 마그네슘 6.0, 인 14.0, 요드 6.0, 규소 3.0 mg/100g 으로 강알칼리성 식품이다. 비타민 B1 0.06mg, B2 0.04mg , C 4.0mg으로 다른 과실에 비하여 높거나 같은 편이다. 과피에는 페놀성 화합물인 아르부틴(arbutin), 클로로게닉산(chlorogenic acid), 에피카테친(epicatechin) 등이 존재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배의 품종은 특별한 제한이 없고, 배의 상태에도 별 영향을 받지 않으므로 본 발명은 특히 당도가 떨어져서 상품화에 미치지 못하거나 수확 전에 기상 변화 등으로 인한 낙과들을 활용할 수 있는 대처 방안에도 유력하게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의 생약 성분은 길경(도라지, Platycodon grandiflorum A. DC) 추출물을 포함한다. 길경은 옛날부터 약용과 식용으로 많이 이용해 오고 있으며 식용으로는 당질과 칼슘, 철분이 다량으로 함유되어 있어 독특한 쓴맛과 향긋한 효과를 더해 주는 식품으로 조리되고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의 다른 생약 성분은 행인(살구나무의 열매) 추출물을 포함한다. 살구나무는 쌍떡잎식물로서 장미목 장미과의 낙엽소교목이다. 열매는 핵과이고 둥글며 털이 많고 지름이 3cm이며, 7월에 황색 또는 황색을 띤 붉은 색으로 익는다. 행인에는 기름이 35~50중량% 있고, 그 밖에는 아미그달린(일명 아미그달로시드, 색이 없는 결정성 배당체, C20H27O11N), 에물신(효소), 단백질 등이 있다. 기름의 주성분은 올레인이다.
살구씨는 지금까지 화장품이나 비누와 같은 다양한 제품의 원료로 사용되거나 민간요법으로 천식과 같이 폐가 좋지 않은 사람들에게 약용되어왔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이 살구씨의 껍질, 내피 및 눈에 들어있는 아미그달린과 같은 물질은 다량 섭취할 경우 인체에 바람직하지 않은 영향을 미치므로 살구씨를 식품 성분으로 이용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으므로 주의를 요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는 상기한 성분 외에도 더욱 강력한 항천식 작용을 유도 하기 위하여, 필요에 따라 하늘타리, 백반, 참나무잎, 은행, 호두기름, 무, 감초, 소자, 전호, 오미자, 상백피, 소엽, 숙지황, 맥문동, 사인, 백복령, 만삼, 폐모, 과루인, 갈근, 대조, 당귀, 생강, 지실, 진피, 인동, 소엽, 황기, 박하, 의이인, 사삼 및 이들의 혼합물을 보조생약성분을 첨가해도 더욱 바람직한 결과를 나타낼 수 있으며, 이러한 성분의 선택 및 첨가량은 당업자에게는 자명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항천식 조성물은 각각의 주생약 성분의 작용이 조합되어 나타나므로, 부작용이나 독성이 거의 없고, 천식에 우수한 치료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는 조성물에서 성분의 조성비율은 다양한 실험 결과에 의하면 중량을 기준으로 길경:행인:배의 함량은 0.1~10:0.1~5:50~200 중량부의 범위 내에서 적절히 조정하여 사용한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조성물에서는 각각의 주생약 성분을 원료의 중량기준으로 하여 0.5~5:0.5~5:50~100 중량부로 포함하는 것이 좋다. 특히, 2:1:100 중량부로 포함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위와 같은 조성비는 각각의 생약 성분이 갖는 유효량과 부작용 등을 고려하여 찾아낸 것이며, 그 비율의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에는 효과가 떨어질 우려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한약재와 배 추출물을 배합한 항천식 조성물은 통상적인 방 식으로 제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상기한 바와 같이 한약재 재료 및 배에 붙어 있는 흙, 먼지, 약제 및 미생물 등을 제거하여 부피를 적게 하는 동시에 제품의 품질을 높이기 위하여 흐르는 물에서 2~3회 세척한 다음, 세척한 과실에서 과즙을 얻기 위한 목적으로 햄머밀(hammer mill)에서 파쇄 추출하여 압력을 14~15lb/in2으로, 온도를 90 ℃로 유지하면서 약 3시간 정도 가열하면서 농축하고 압착법을 사용하여 배 및 한약재 박을 제거한다. 이를 가열 멸균한 후에 포장하고 냉각한다.
본 발명의 항천식용 조성물은 후술하는 시험예로부터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천식을 예방 및 개선을 위한 식품 조성물로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식품 조성물의 제형은, 천식의 치료를 위해 건강기능성 식품으로 이용시에 당해 분야에서의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예를 들면 경구제, 파우치제, 또는 드링크제 등의 음료수의 형태로 제형화시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의 복용량은, 그 제제 형태, 투여 방법, 사용 목적 및 이것에 적용되는 환자의 연령, 체중, 증상에 따라서 적절히 설정되고, 일정하지 않지만 일반적으로는 제제 중에 함유되는 유효성분의 양은 성인 1일당 예컨대 10 mg∼2000 ㎎/㎏이다. 물론 복용량은, 각종 조건에 의해서 변동하기 때문에, 상기 투여량보다 적은 양으로 충분한 경우도 있고, 또는 범위를 초과하여 필요한 경우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식품 조성물은 원하는 조성물의 형태에 따라 통상의 보조제 또는 첨가제, 또는 감미료, 예를 들면 비타민 C, 구연산, 니코틴산, 안식향산나트 륨, 아스파탐, 사카린, 펙틴, 말리톨, 솔비톨, 자일리톨, 구아검, 탈지분유 및 올리고당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성분을 추가하여 기호도나 미감을 증대시킬 수 있다.
이들은 본 발명의 음료 조성물의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약 0.01~20 중량%로 사용하는 것이 적절하다.
음료수는, 예를 들면, 상기 한약재 배합 배 추출액을 0.01~20 중량%로 넣고 구연산을 0.01~2%, 사과산 0.01~2%, 타우린 0.1~2%, 비타민 C 0.01~2%, 비타민 B1 0.01~2%, 바이오틴 0.01~2%, 액상과당 0.01~2% 등을 넣어 기능성 음료수로 제조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은 다음의 대표적인 실시예에 의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되나, 본 발명이 이들 실시예에 의해 어떤 식으로든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실험 결과에 대한 통계적 처리는 Excel statistic program(window XP. microsoft. USA), SPSS(window10.0. SPSS. USA)에 의하여 각 실험군 별로 평균치와 표준오차를 계산하였고, ACh의 누적투여에 대한 변화는 repeated ANOVA test를 시행하였고, IgE와 백혈구 수 등의 비교는 one-way ANOVA를 시행하였으며, P<0.05이하인 경우를 유의한 것으로 검정하였다.
실시예 1: 기능성 배 음료 시작품 제조
배와 한약재의 배합은 길경 200g, 행인 100g, 감초 5g, 배 10kg를 각각 흐르는 물에서 2-3회 깨끗이 세척한 다음, 이를 한데 모아 햄머밀(hammer mill)에서 파쇄 추출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14~15lb/in2 압력, 90 ℃ 온도로 유지하면서 3시간 동안 가열농축하고 압착법을 사용하여 배 및 한약재 박을 제거한 후 액상 성분만을 추출하였으며, 비타빈 C 23.4g을 첨가한 후 가열 멸균하여 시작품을 제조하여 후속 실시예 및 시험예에 사용하였다.
실시예 2: 파우치의 제조
실시예 1에서 얻은 배와 한약재 배합액을 통상의 방식으로 진공 포장하여 파우치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3: 음료수의 제조
실시예 1에서 얻은 한약재 배합액 1 리터를 넣고 여기에 구연산 20g, 아스파탐 17 g을 첨가한 후 나머지를 정제수로 첨가하여 음료수 10 리터를 제조하여 저온 살균하였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 음료수는 종래의 음료수 제품과 입안 감촉, 맛 그리고 종합평가 면에서 양호한 반응을 얻었다.
시험예 1: 실험 동물의 전처리
체중 약 30g 내외의 ICR계 웅성 생쥐를 대한민국 대전광역시 소재의 다움사 이언스(주)로부터 구입하여 동신대학교 한의과대학 동물사육장 (실내온도, 24∼26 ℃) 내에서 물과 사료를 충분히 섭취하게 하면서 적응시킨 후 실험에 사용하였다.
각 군들은 기관지 천식을 유발시키고 난 후 실시예 1에 따른 한약재 함유 배추출물을 혼합한 제재를 구강투여하지 않는 대조군(control), 기관지 천식을 유발시킨 후 10일 동안 매일 1회씩 배 혼합제재를 2.16ml/kg의 용량으로 구강으로 투여한 군(10d1P), 기관지 천식을 유발시킨 후 10일 동안 매일 1회씩 배 혼합제재를 4.32ml/kg의 용량으로 구강으로 투여한 군(10d2P), 기관지 천식을 유발시킨 후 10일 동안 매일 1회씩 배 혼합제재를 8.64ml/kg의 용량으로 구강으로 투여한 군(10d4P), 기관지 천식을 유발시킨 후 20일 동안 매일 1회씩 배 혼합제재를 2.16ml/kg의 용량으로 구강으로 투여한 군(20d1P), 기관지 천식을 유발시킨 후 20일 동안 매일 1회씩 배 혼합제재를 4.32ml/kg의 용량으로 구강으로 투여한 군(20d2P), 기관지 천식을 유발시킨 후 20일 동안 매일 1회씩 배 혼합제재를 8.64ml/kg의 용량으로 구강으로 투여한 군(20d4P)으로 분리하였다.
구강투여는 1차유발이 끝난 후 21일째에 각 군의 해당 용량별로 10일군은 매일1회씩 10일, 20일군은 매일 1회씩 20일 동안 하루에 1회씩 오랄 존데 바늘(oral zonde needle)를 이용하여 각각 시행하였다.
감작은 경구투여 10회와 20회 시행 2일 후(7일째)에 시행되었으며, 1㎖의 PBS에 용해된 1㎎/30g의 오발부민(ovalbumin, OA)에 200㎎의 알루미늄 히드록사이드 어드주반트(aluminum hydroxide adjuvant)에 흡착시켜 피하에 주사하였다. 유발은 감작 시행 13일 후(20일째)에 시행되었는데, 50㎖ PBS에 용해된 0.5g의 OA를 희 석하여 이를 연무기로 분무하면서 30분간 흡입시켜 1차 유발시켰고, 다음 날(21일째) 같은 방법으로 2차 유발시켰다. 2차 유발 후 즉시 마취하여 심장천자로 약 1㎖의 혈액을 얻었다.
채혈에 의하여 얻어진 혈액 중 약 100㎕를 EDTA-bottle에 넣은 후 곧바로 혈구측정기(K-800, Sysmax, Japan)에 주입하여 백혈구(WBC), 적혈구(RBC), hemoglobin(HGB) 등을 각각 측정하였다. 나머지 혈액은 혈청 분리에 사용하였는데, 고속원심분리기(Centricon T-42K, Italy)에서 5,000 rpm으로 10분간 시행하여 혈청을 얻었다.
채혈 후 기관지 주위의 근육을 정리하여 기관을 노출시켜, 기관 상단부를 통해 polyethylene 도관을 삽입하여 고정시키고, 4 ℃의 생리식염수 4㎖(0.5㎖씩 8회)로 기관지폐포세척술(bronchoalvelar lavage fluid, BALF)을 시행하였다. 회수된 세척액 양을 기록하고, 바로 4 ℃, 1500rpm으로 10분간 원심분리하여 상층액은 Interlukin-4(IL-4)를 측정하였고, 하층액은 PBS와 10%FBS를 9:1 비율로 혼합된 용액을 1㎖의 양으로 녹인 다음, 20㎕를 Hemacytometer(Superior, Germany)를 사용하여 현미경(x 100)아래에서 총세포수를 세었다. 표본에 남아있는 세포수가 1㎖당 1x 106개가 되도록 PBS로 희석한 후 400㎕의 양을 4 ℃, 800 rpm으로 5분간 cytospin하여 2개의 슬라이드를 만들었으며, 이것을 Diff-Quick 염색하여 400배 현미경하에서 각 슬라이드의 백혈구 수를 100개씩 세어 림프구와 폐포대식세포의 비율을 구하였다.
시험예 2: ACh 누적 투여에 따른 TSM 수축반응
기관지폐포세척술 직후 기관지를 적출하여 Krebs-Henseleit용액(115.5 NaCl, 4.16 KCl, 2.5 CaCl, 1.16 MgSO4, 1.6 NaH2PO4, 21.9 NaHCO3, 11.1 mM Glucose)에 담그고, 기관에 붙어 있는 결체조직과 지방 등을 제거한 다음 37 ℃ Krebs용액 10㎖가 들어있고 95% 산소와 5% 이산화탄소가 나오는 기관 욕조에 수직으로 매달았으며, 하단의 갈고리로 기관절편을 고정시키고 상단 갈고리는 견사로 포스 트랜스듀서(force transducer, Havard, England)에 연결하였다. 기초 예비 장력에서 결정된 휴지기 장력인 0.7g으로 평형을 이루기 위해 1시간 30분 동안 20-30분 간격으로 기관 절편을 크렙스(Krebs) 용액으로 관류시켰으며, 등장성 수축반응은 이소메트릭 트랜스듀서(isometric transducer, Havard, England)로 측정하여 오실로그래프(oscillograph, Havard, England)에 기록하였다.
안정시킨 후 KCl(5M), OA(Ovalbumin, 1M)를 각각 기관 욕조 내에 투여하여 근육의 수축반응을 측정하였으며, 그 사이에는 Krebs용액으로 관류시키고 난 후 30분 동안 안정기를 가졌다. OA에 대한 수축반응을 관찰하고 난후 다시 30분 동안의 안정기를 가진 다음 아세틸콜린(acetylcholine, ACh)을 기관 욕조 내에 0.1, 0.3 1, 3, 10, 30, 100, 300, 1000 μM이 되도록 누적 투여하여 각 기관 절편의 수축반응을 측정하였다.
실험 후 검사한 절편을 1일동안 실온에서 건조시킨 뒤 그 무게를 측정하였으 며, 반응 결과는 절편의 g당 힘㎎(㎎/g)과 고농도의 KCl에 대한 최대 반응을 보인 값에 대한 상대적인 수축력(%)으로 표시하였다.
배 혼합제제를 10일간 구강투여한 후, ACh의 누적용량에 대한 기관지 평활근의 수축반응을 비교 관찰하고 그 결과를 도 1에 나타냈다. 도 1은 오발부민에 의해 유도된 천식 생쥐에 있어서 ACh의 누적투여량에 대한 기관지 평활근의 최대 근수축 반응에 미치는 투여농도에 따른 배혼합물의 경구 투여 효과를 나타낸 그라프도이다(*, P<0.05, **, P<0.01 대조군의 대응 데이터에 비교함).
대조군에 비해 10d2P군이 0.1μM(P<0.05) 0.3μM(P<0.01), 30μM(P<0.05), 300μM(P<0.05), 1000μM(P<0.05)에서 유의하게 감소하였고, 20d2P군에서는 0.1μM(P<0.05), 0.3μM(P<0.01), 1μM(P<0.05), 3μM(P<0.05), 30μM(P<0.05), 100μM(P<0.05), 300μM(P<0.05), 1000μM(P<0.05)에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배 혼합제제를 20일간 구강투여한 후, ACh의 누적용량에 대한 기관지 평활근의 수축반응을 비교 관찰하고 그 결과를 도 2에 나타냈다. 도 2는 오발부민에 의해 유도된 천식 생쥐에 있어서 ACh 누적투여량에 대한 기관지 평활근의 최대 근수축 반응에 미치는 배 혼합물의 투여농도에 따른 경구투여의 효과를 나타내는 그라프도이다(*, P<0.05, 대조군의 대응 데이터에 비교함).
그 결과, 대조군에 비해 20d2P군이 1000μM에서 유의하게 감소하였고, 20d2P군에서는 0.3μM, 1μM, 3μM, 30μM, 100μM, 300μM, 1000μM에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0.05).
시험예 3: ACh에 대한 TSM 최대수축반응
배 혼합제제를 10일간 구강투여한 후, ACh 농도에 대한 기관지 평활근의 최대 수축반응을 비교 관찰하고 그 결과를 도 3에 나타냈다. 도 3은 오발부민에 의해 유도된 천식 생쥐에 있어서 ACh 농도에 대한 기관지 평활근의 최대 근수축 반응에 미치는 배혼합물의 경구 투여 효과를 나타낸 그라프도이다((*, P<0.05, 대조군의 대응 데이터에 비교함).
그 결과, 대조군이 1074.4±223.67 ㎎/g을 나타내었으며, 이에 비해 10d1P군이 468.1±92.97 ㎎/g, 10d2P군이 465.1±71.40 ㎎/g, 10d4P군이 415.7±48.93 ㎎/g을 나타내었다. 각 군별의 변화 비교에서 대조군에 비하여 10d2P군과 10d4P군이 유의한 감소를 보였다(P<0.05).
한편, 배 혼합제제를 20일간 구강투여한 후, ACh 농도에 대한 기관지 평활근의 최대 수축반응을 비교 관찰하고 그 결과를 도 4에 나타냈다. 도 4는 오발부민에 의해 유도된 천식 생쥐에 있어서 ACh에 농도에 대한 기관지 평활근의 최대 근수축 반응에 미치는 배혼합물의 투여량에 따른 경구투여의 효과를 나타내는 그라프도이다. (*, P<0.05, 대조군의 대응 데이터에 비교함).
그 결과, 대조군은 509.7±73.83 ㎎/g을 나타내었으며, 이에 비해 20d1P군이 490.2±41.82 ㎎/g, 20d2P군이 305.9±47.1 ㎎/g, 20d4P군이 287.6±44.16 ㎎/g을 나타내었다. 각 군별의 변화 비교에서 대조군에 비하여 20d2P군과 20d4P군이 유의한 감소를 보였다(P<0.05).
시험예 4: KCl에 대한 TSM 최대수축반응
배 혼합제제를 10일간 구강투여한 후, 5M의 KCl에 대한 기관지 평활근의 최대 수축반응을 비교 관찰하고 그 결과를 도 5에 나타냈다. 도 5는 오발부민에 의해 유도된 천식 생쥐에 있어서 KCl 농도에 대한 기관지 평활근의 최대 근수축 반응에 미치는 배혼합물의 투여량에 따른 경구 투여 효과를 나타낸 그라프도이다(*, P<0.05, **, P<0.01, 대조군의 대응 데이터에 비교함).
대조군이 417.6±53.93 ㎎/g을 나타내었으며, 이에 비해 10d1P군이 196.1±41.13 ㎎/g, 10d2P군이 211.6±45.86 ㎎/g, 10d4P군이 108.1±38.04 ㎎/g을 나타내었다. 각 군별의 변화 비교에서 대조군에 비하여 10d1P군(P<0.05), 10d2P군(P<0.05)과 10d4P군(P<0.01)이 유의한 감소를 보였다.
배 혼합제제를 20일간 구강투여한 후, 5M의 KCl에 대한 기관지 평활근의 최대 수축반응을 비교 관찰하고 그 결과를 도 6에 나타내었다.
도 6은 오발부민에 의해 유도된 천식 생쥐에 있어서 KCl 농도에 대한 기관지 평활근의 최대 근수축 반응에 미치는 배혼합물의 투여량에 따른 경구투여의 효과를 나타내는 그라프도이다(*, P<0.05, 대조군의 대응 데이터에 비교함).
그 결과, 대조군이 216.8±38.76 ㎎/g을 나타내었으며, 이에 비해 20d1P군이 230.7±24.22 ㎎/g, 20d2P군이 169.7±23.48 ㎎/g, 20d4P군이 81.6±14.86 ㎎/g을 나타내었다. 각 군별의 변화 비교에서 대조군에 비하여 20d4P군(P<0.05)이 유의한 감소를 보였다.
시험예 5: 기관지폐포세척액내 호산구(eosinophil) 변화
배 혼합제제를 10일간 구강투여한 후, 기관지폐포세척액(BALF) 내 eosinophil를 비교 관찰하고, 그 결과를 도 7에 나타내었다. 도 7은 오발부민에 의해 유도된 천식 생쥐에 있어서 기관지폐포세척액(BALF, bronchoal-velar lavage fluid) 내 호산구(eosinophil)에 대한 투여량에 따른 배혼합물의 경구 투여 효과를 나타낸 그라프도이다(*, P<0.05, 대조군의 대응 데이터에 비교함).
그 결과, 대조군이 12.5±1.85 106/lavage을 나타내었으며, 이에 비해 10d1P군이 17.0±3.37 106/lavage, 10d2P군이 11.3±2.26 106/lavage, 10d4P군이 7.5±0.87 106/lavage를 나타내었다. 각 군별의 변화 비교에서 대조군에 비하여 10d4P군(P<0.05)이 유의한 감소를 보였다.
배 혼합제제를 20일간 구강투여한 후, 기관지폐포 세척액(BALF) 내 호산구(eosinophil)를 비교 관찰하고 그 결과를 도 8에 나타내었다. 도 8은 오발부민에 의해 유도된 천식 쥐에 있어서 기관지폐포 세척액 (BALF, bronchoal-velar lavage fluid) 내 호산구에 대한 투여량에 따른 배 혼합물의 투여량에 따른 경구투여의 효과를 나타내는 그라프도이다(*, P<0.05, 대조군의 대응 데이터에 비교함).
그 결과, 대조군이 17.0±3.29 106/lavage을 나타내었으며, 이에 비해 20d1P군이 12.8±6.70 106/lavage, 20d2P군이 9.8±4.26 106/lavage, 20d4P군이 8.2±1.10 106/lavage를 나타내었다. 각 군별의 변화 비교에서 대조군에 비하여 20d4P군(P<0.05)이 유의한 감소를 보였다.
시험예 6: 기관지폐포세척액내 lymphocyte 변화
배 혼합제제를 10일간 구강투여한 후, 기관지폐포 세척액(BALF) 내 임파구(lymphocyte)를 비교 관찰하고 그 결과를 도 9에 나타내었다. 도 9는 오발부민에 의해 유도된 천식 생쥐에 있어서 기관지폐포세척액 내 임파구(lymphocyte)에 대한 투여량에 따른 배혼합물의 경구 투여 효과를 나타낸 그라프도이다.
대조군이 1.3±0.63 106/lavage을 나타내었으며, 이에 비해 10d1P군이 0.8±0.48 106/lavage, 10d2P군이 1.0±0.41 106/lavage, 10d4P군이 1.3±0.75 106/lavage를 나타내었다. 각 군별의 변화 비교에서 대조군에 비하여 감소경향을 보였지만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다.
배 혼합제제를 20일간 구강투여한 후, 기관지폐포 세척액(BALF) 내 임파구(lymphocyte)를 비교 관찰하고 그 결과를 도 10에 나타내었다. 도 10은 오발부민에 의해 유도된 천식 쥐에 있어서 기관지폐포 세척액 내 임파구에 대한 투여량에 따른 배혼합물의 경구 투여의 효과를 나타내는 그라프도이다.
대조군이 1.2±0.43 106/lavage을 나타내었으며, 이에 비해 20d1P군이 0.5±0.29 106/lavage, 20d2P군이 0.67±0.23 106/lavage, 20d4P군이 0.67±0.34 106/lavage를 나타내었다. 각 군별의 변화 비교에서 대조군에 비하여 감소경향을 보였지만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다.
시험예 7: 기관지폐포세척액내 대식구(macrophage) 변화
배 혼합제제를 10일간 구강투여한 후, 기관지폐포 세척액(BALF) 내 대식구 (macrophage)를 비교 관찰하고 그 결과를 도 11에 나타내었다. 도 11은 오발부민에 의해 유도된 천식 생쥐에 있어서 기관지폐포세척액 내 대식구(macrophage)에 대한 투여량에 따른 배혼합물의 경구 투여 효과를 나타낸 그라프도이다.
대조군이 85.0±0.52 106/lavage을 나타내었으며, 이에 비해 10d1P군이 72.5±6.33 106/lavage, 10d2P군이 87.2±3.18 106/lavage, 10d4P군이 92.4±2.54 106/lavage를 나타내었다. 각 군별의 변화 비교에서 대조군에 비하여 10d4P군(P<0.05)이 유의한 증가를 보였다.
배 혼합제제를 20일간 구강투여한 후, 기관지폐포 세척액(BALF) 내 대식구(macrophage)를 비교 관찰하고 그 결과를 도 12에 나타냈다. 도 12는 오발부민에 의해 유도된 천식 쥐에 있어서 기관지폐포세척액 내 대식구(macrophage)에 대한 투여량에 따른 배혼합물의 경구투여의 효과를 나타내는 그라프도이다(*, P<0.05, 대조군의 대응 데이터에 비교함).
대조군이 71.0±9.62 106/lavage을 나타내었으며, 이에 비해 20d1P군이 93.3±4.25 106/lavage, 20d2P군이 88.3±4.57 106/lavage, 20d4P군이 91.0±2.29 106/lavage를 나타내었다.각 군별의 변화 비교에서 대조군에 비하여 10d4P군(P<0.05)이 유의한 증가를 보였다.
시험예: 8 기관지폐포세척액내 IL-4(Interlukin-4) 측정
IL-4 측정은 IL-4 KIT(R&D Systems, USA)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mouse IL-4가 코팅(coating)된 마이크로플레이트에 에세이 희석액(assay diluent) RD1-18 50㎕를 넣고 마우스 IL-4 standard, 마우스 IL-4 control, BALF 상층액 50㎕를 첨가하고 플레이트 커버로 탭핑(tapping)한 후에 1분간 혼합하고 실온에 2시간 방치하였다. 세척 완충액(Wash buffer) 400㎕로 5회 세척한 후 마우스 IL-4 컨쥬게이트 100㎕를 첨가하고 플레이트 커버를 덥고 실온에 2시간 방치하였다. 세척 완충액 400㎕로 5회 세척한 후 기질용액(substrate solution) 100㎕를 첨가하고 어두운 곳에서 30분간 실온에 방치한다. 정지 용액(Stop solution) 100㎕를 플레이트에 넣고 발색반응을 중지시킨 후 마이크로플레이트 리더(microplate reader, Molecular Devices, USA)로 450㎚에서 OD(Optical density)를 측정하였다.
배 혼합제제를 10일간 구강투여한 후, 기관지폐포세척액(BALF) 내 IL-4 변화를 비교 관찰하고 그 결과를 도 13에 나타내었다. 도 13은 오발부민에 의해 유도된 천식 생쥐에 있어서 기관지폐포세척액 내 IL-4에 미치는 투여량에 따른 배혼합물의 경구 투여 효과를 나타낸 그라프도이다(*, P<0.05, 대조군의 대응 데이터에 비교함).
대조군이 0.23±0.001 (OD value)을 나타내었으며, 이에 비해 10d1P군이 0.23±0.006 (OD value), 10d2P군이 0.23±0.004 (OD value), 10d4P군이 0.22±0.003 (OD value)를 나타내었다. 각 군별의 변화 비교에서 대조군에 비하여 10d4P군(P<0.05)이 유의한 감소를 보였다.
배 혼합제제를 20일간 구강투여한 후, 기관지폐포 세척액(BALF) 내 IL-4를 비교 관찰한 결과를 도 14에 나타내었다. 도 14는 오발부민에 의해 유도된 천식 쥐에 있어서 기관지폐포 세척액 내 IL-4에 미치는 투여량에 따른 배 혼합물의 경구 투여의 효과를 나타내는 그라프도이다(*, P<0.05, 대조군의 대응 데이터에 비교함).
대조군이 0.24±0.004 (OD value)을 나타내었으며, 이에 비해 20d1P군이 0.23±0.004 (OD value), 20d2P군이 0.23±0.006 (OD value), 20d4P군이 0.23±0.004 (OD value)를 나타내었다. 각 군별의 변화 비교에서 대조군에 비하여 10d4P군(P<0.05)이 유의한 감소를 보였다.
시험예 9: 혈청 IgE 변화
OA를 0.05% NaN3가 포함된 PBS에 녹여서 100㎕/㎖의 농도가 되도록 한 다음, 50㎕씩을 ELISA plate에 넣고 24시간 동안 실온에 방치하며, 증류수로 3회 세척한 다음 블록킹 완충액(blocking buffer, 0.05% Tween 20, 0.25% bovine serum albumin in PBS)를 50㎕씩을 넣고 30분 동안 방치한 후 증류수로 3회 세척한다. 혈청을 블록킹 완충액을 사용하여 1:8로 희석하여 50 ㎕씩 plate에 넣고 3시간 동안 실온에 방치하여 반응시키며, 증류수로 3회 세척한 후 1:500으로 희석된 HRP-Mouse Anti-rat IgE(Zymed)를 50㎕씩 첨가하고 실온에서 3시간 동안 반응시킨다. 증류수로 3회 세척 후에 O-Phenylenediamine Dihydrochloride를 70㎕씩 넣어 30분 동안 방치하고 2M H2SO4을 30㎕씩 넣어 발색반응을 중지시킨 후, 마이크로플레이트 리더(microplate reader, Molecular Devices, USA)로 490㎚에서 optical density(OD)를 측정하였다.
배 혼합제제를 10일간 구강투여한 후, 혈청 IgE를 비교 관찰한 결과를 도 15 에 나타냈다. 도 15는 오발부민에 의해 유도된 천식 생쥐에 있어서 기관지폐포세척액 내 IgE에 미치는 투여량에 따른 배혼합물의 경구 투여 효과를 나타낸 그라프도이다(*, P<0.05, 대조군의 대응 데이터에 비교함).
대조군이 0.16±0.003 (OD value)을 나타내었으며, 이에 비해 10d1P군이 0.15±0.003 (OD value), 10d2P군이 0.16±0.004 (OD value), 10d4P군이 0.17±0.003 (OD value)를 나타내었다. 각 군별의 변화 비교에서 대조군에 비하여 10d4P군(P<0.05)이 유의한 증가를 보였다.
배 혼합제제를 20일간 구강투여한 후, 기관지폐포세척액(BALF) 내 IgE를 비교 관찰한 결과를 도 16에 나타냈다. 도 16은 오발부민에 의해 유도된 천식 쥐에 있어서 기관지폐포세척액 내 IgE에 미치는 배혼합물의 투여량에 따른 경구투여의 효과를 나타내는 그라프도이다(*, P<0.05, 대조군의 대응 데이터에 비교함).
대조군이 0.16±0.003 (OD value)을 나타내었으며, 이에 비해 20d1P군이 0.16±0.003 (OD value), 20d2P군이 0.17±0.003 (OD value), 20d4P군이 0.18±0.008 (OD value)를 나타내었다.각 군별의 변화 비교에서 대조군에 비하여 10d4P군(P<0.05)이 유의한 증가를 보였다.
시험예 10: 혈액내 WBC, RBC, HGB 변화
배 혼합제제를 10일간 구강투여한 후 WBC를 비교 관찰한 결과를 도 17에 나타냈다. 도 17은 오발부민에 의해 유도된 천식 쥐에 있어서 혈중 WBC(17a), RBC(17b) 및 HGB(17c)에 대한 투여량에 따른 배혼합물의 경구 투여의 효과를 나타 내는 그라프도이다(*, P<0.05, 대조군의 대응 데이터에 비교함).
그 결과, 대조군이 8.8±0.79 103/μl를 나타내었으며, 10d1P군이 7.1±0.75 103/μl, 10d2P군이 11.2±2.76 103/μl, 10d4P군이 13.0±1.11 103/μl를 나타내었다(도 17b).
배 혼합제제를 10일간 구강투여한 후 RBC를 비교 관찰한 결과, 대조군이 9.1±0.32 106/μl을 나타내었으며, 10d1P군이 9.1±0.17 106/μl, 10d2P군이 9.0±0.07 106/μl, 10d4P군이 8.8±0.18 106/μl를 나타내었다(도 17b).
배 혼합제제를 10일간 구강투여한 후 HGB를 비교 관찰한 결과, 대조군이 15.1±0.20 g/dl을 나타내었으며, 10d1P군이 15.5±0.26 g/dl, 10d2P군이 14.4±0.43 g/dl, 10d4P군이 14.4±0.37 g/dl를 나타내었다(도 17c). 각 군별의 변화 비교에서 대조군에 비하여 10d4P군이 WBC의 유의한 증가를 보였다(P<0.01).
배 혼합제제를 20일간 구강투여한 후 WBC를 비교 관찰한 결과를 도 18에 나타냈다. 도 18은 오발부민에 의해 유도된 천식 쥐에 있어서 혈중 WBC(18a), RBC(18b) 및 HGB(18c)에 대한 투여량에 따른 배혼합물의 경구 투여의 효과를 나타내는 그라프도이다.
대조군이 6.9±1.22 103/μl를 나타내었으며, 20d1P군이 6.9±1.12 103/μl, 20d2P군이 6.4±1.30 103/μl, 20d4P군이 7.6±1.42 103/μl를 나타내었다(도 18a).
배 혼합제제를 20일간 구강투여한 후 RBC를 비교 관찰한 결과, 대조군이 8.9±0.49 106/μl을 나타내었으며, 20d1P군이 9.3±0.23 106/μl, 20d2P군이 9.4± 0.24 106/μl, 20d4P군이 8.9±0.49 106/μl를 나타내었다(도 18b).
배 혼합제제를 20일간 구강투여한 후 HGB를 비교 관찰한 결과, 대조군이 14.0±1.29 g/dl을 나타내었으며, 20d1P군이 14.9±0.39 g/dl, 20d2P군이 15.3±0.44 g/dl, 20d4P군이 14.5±1.57 g/dl를 나타내었다(도 18c). 각 군별의 변화 비교에서 대조군에 비하여 모든 군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지금까지 설명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한약재와 배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천식용 기능성 식품은 천연물에서 유래한 것으로 부작용이 없으며 천식을 현저하게 억제하므로 천식 예방 및 개선용 식품 성분 등 다양하게 이용할 수 있다.

Claims (2)

  1. 각 재료의 중량을 기준으로 길경:행인:배를 0.1~10:0.1~5:50~200 중량부의 범위 내에서 배합한 후 흐르는 물에서 2~3회 세척한 다음, 햄머밀(hammer mill)로 파쇄 추출하고, 상기 혼합물을 압력을 14~15lb/in2으로, 온도를 90 ℃ 로 유지하면서 약 3시간 정도 가열 농축한 다음, 압착법을 사용하여 배 및 한약재 박을 제거하고, 이를 가열 멸균시켜 얻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한약재와 배 추출물을 배합한 항천식용 식품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식품 조성물이 드링크제 또는 음료수의 형태로 제공되는 조성물.
KR1020050006046A 2005-01-22 2005-01-22 한약재와 배 추출물을 배합한 항천식 조성물 및 그의제조방법 KR1006541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6046A KR100654132B1 (ko) 2005-01-22 2005-01-22 한약재와 배 추출물을 배합한 항천식 조성물 및 그의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6046A KR100654132B1 (ko) 2005-01-22 2005-01-22 한약재와 배 추출물을 배합한 항천식 조성물 및 그의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85323A KR20060085323A (ko) 2006-07-26
KR100654132B1 true KR100654132B1 (ko) 2006-12-05

Family

ID=371750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06046A KR100654132B1 (ko) 2005-01-22 2005-01-22 한약재와 배 추출물을 배합한 항천식 조성물 및 그의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5413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1703B1 (ko) * 2008-06-19 2011-01-28 동신대학교산학협력단 배추출물을 포함하는 간암 치료용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102019625B1 (ko) * 2019-01-17 2019-11-04 구태훈 폴리페놀 및 아미노산 함량이 증강된 배 음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85323A (ko) 2006-07-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74891B1 (ko) 한약재와 배 추출물을 배합한 기관지 기능 개선을 위한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이 방법에 의해서 제조된 한약재와배 추출물을 함유하는 조성물
JP6027573B2 (ja) 二日酔い予防又は治療用組成物
JP2021008447A (ja) 成年女性、高齢者及び亜健康状態の人々に適用できる健康保持製品組成物
CN110075172A (zh) 解酒护肝的组合物、食品或保健品及其制备方法
CN102139023B (zh) 保健控烟型中草药吸品及制备方法
CN111375049B (zh) 一种解酒保肝的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01745087A (zh) 一种具有解酒防醉作用的组合物及其制备方法
CN105381306A (zh) 一种缓解酒精性肝、脑和心损伤的袋泡茶组合物
CN105878812A (zh) 以金花茶-石斛为原料的解酒饮料及其生产方法
CN108813501A (zh) 具有清热润肺止咳化痰平喘和调节人体机能的养生蜂蜜膏
KR100654132B1 (ko) 한약재와 배 추출물을 배합한 항천식 조성물 및 그의제조방법
CN102919452A (zh) 一种清咽润喉茶及其制备方法
KR101910013B1 (ko) 한약재 추출물(socg)을 함유하는 통증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N110151851A (zh) 一种以金银花甘草药对为基础的复合物及其应用
CN103463341B (zh) 一种美容养颜的中药组合物
KR102404641B1 (ko) 호흡기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296075B1 (ko) 볏 붉은잎 추출물의 신규 용도
CN103919229B (zh) 一种安眠定神保健速溶粉
KR101436213B1 (ko) 긴잎모시풀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221623B1 (ko) 포도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스트레스 완화, 피로회복 또는 운동수행능력 증강용 식품조성물
CN101745042A (zh) 一种具有解酒保肝作用的组合物及其制备方法
CN102100390A (zh) 一种硒茶诺丽功能性饮料制备技术
CN106668332B (zh) 一种百香果含片及其制备方法
KR101906208B1 (ko) 맥문동 추출물, 감초 및 계피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변비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20080107883A (ko) 해삼, 사물탕 약재 및 갈근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포함하는 면역 증강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8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