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54103B1 - 탄소나노튜브 전극을 이용한 염료감응형 태양전지 모듈 - Google Patents

탄소나노튜브 전극을 이용한 염료감응형 태양전지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54103B1
KR100654103B1 KR1020050115361A KR20050115361A KR100654103B1 KR 100654103 B1 KR100654103 B1 KR 100654103B1 KR 1020050115361 A KR1020050115361 A KR 1020050115361A KR 20050115361 A KR20050115361 A KR 20050115361A KR 100654103 B1 KR100654103 B1 KR 1006541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dye
carbon nanotube
solar cell
sensitized sol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153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동윤
이원재
송재성
구보근
김현주
Original Assignee
한국전기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기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기연구원
Priority to KR10200501153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54103B1/ko
Priority to PCT/KR2006/005135 priority patent/WO2007064164A1/en
Priority to JP2008511063A priority patent/JP5028412B2/ja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541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54103B1/ko
Priority to US11/871,993 priority patent/US20080264482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9/00Electrolytic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Processes of their manufacture
    • H01G9/20Light-sensitive devices
    • H01G9/2022Light-sensitive devices characterized by he counter electrod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02Details
    • H01L31/0224Electrodes
    • H01L31/022408Electrodes for devices characterised by at least one potential 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 H01L31/022425Electrodes for devices characterised by at least one potential 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for solar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36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 H01M4/58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inorganic compounds other than oxides or hydroxides, e.g. sulfides, selenides, tellurides, halogenides or LiCoFy; of polyanionic structures, e.g. phosphates, silicates or borates
    • H01M4/583Carbonaceous material, e.g. graphite-intercalation compounds or CFx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85/00Organic materials used in the body or electrode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85/20Carbon compounds, e.g. carbon nanotubes or fullerenes
    • H10K85/221Carbon nanotub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02E10/542Dye sensitized solar cel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02E10/549Organic PV cel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Nano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ybrid Cells (AREA)
  • Photovoltaic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탄소나노튜브 전극을 이용한 염료감응형 태양전지 모듈은, 백금 상대전극을 사용한 단위 염료감응형 태양전지나, 상,하부 투명기판과, 상부 투명기판의 내측 표면에 형성된 도전성 투명전극과, 도전성 투명전극 위에 형성된 것으로 그 표면에는 염료가 흡착된 산화물반도체 다공질 음극전극과, 하부 투명기판 위에 박막형태로 형성된 것으로 상기 음극전극에 대응하는 양극부로서의 탄소나노튜브층으로 된 상대전극과, 상기 음극전극과 상대전극 사이에 충전된 전해질을 구비하는 단위 염료감응형 태양전지를 연결전극 및 그리드 전극을 이용하여 복수개 직렬 또는 병렬로 연결하여 구성된 염료감응형 태양전지 모듈에 있어서, 상기 연결전극 및 그리드 전극은 탄소나노튜브 전극으로 구성된 점에 그 특징이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단위 태양전지를 2개 이상 연결한 모듈의 그리드 전극 및 연결전극으로 탄소나노튜브 전극을 채용함으로써, 기존의 금속 전극이 전해질에 의해 용해되거나, 산화 등에 의한 열화가 나타나는 현상이 없는 안정된 전극을 형성할 수 있어 태양전지의 수명을 향상시킬 수 있다.
탄소나노튜브, 염료감응형 태양전지, 상대전극, 연결전극

Description

탄소나노튜브 전극을 이용한 염료감응형 태양전지 모듈{Dye-sensitized solar cell module using carbon nanotube electrod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탄소나노튜브를 이용한 염료감응형 태양전지 모듈에 채용되는 단위 염료감응형 태양전지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
도 2는 도 1의 염료감응형 태양전지에서 탄소나노튜브막에 사용된 여러 종류의 탄소나노튜브의 전자현미경 사진.
도 3은 본 발명에 채용되는 금속계 탄소나노튜브의 전자현미경 사진.
도 4는 본 발명에 채용되는 2개 이상의 단위 염료감응형 태양전지를 연결하여 구성된 태양전지 모듈에서 연결전극의 일 예를 보여주는 기판 패턴의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채용되는 2개 이상의 단위 염료감응형 태양전지를 연결하여 구성된 태양전지 모듈에서 단위 태양전지 사이의 단락을 방지하기 위한 탄소나노튜브 절연막을 보여주는 모식도.
도 6은 본 발명에 채용되는 다중벽 탄소나노튜브와 CMC 결합제를 사용하여 제조한 탄소나노튜브 전극막의 전자현미경 사진.
도 7은 본 발명에 채용되는 탄소나노튜브 전극막을 전기전도성이 없는 유리기판 위에 투명에서 불투명까지의 투과도를 보여주도록 제조된 시편의 사진.
도 8은 본 발명에 채용되는 탄소나노튜브 페이스트를 볼밀을 사용하여 제조 하는 모습과 혼합에 사용된 원형과 실린더형의 볼을 보여주는 도면.
도 9는 탄소나노튜브를 지닌 염료감응형 태양전지 소자의 작동 원리를 도식적으로 보여주는 도면.
도 10은 종래의 백금전극과 탄소나노튜브 전극에 대한 전해질의 산화환원 반응의 CV(cyclic voltametry) 측정 결과를 보여주는 도면.
도 11은 종래의 백금전극과 탄소나노튜브 전극에 대해 반응이 일어날 수 있도록 -0.5V의 직류전압을 가한 상태에서 100mHz∼100kHz의 교류전압을 인가하였을 때 나타나는 임피던스 특성을 보여주는 도면.
도 12는 종래의 백금전극과 탄소나노튜브 전극에 대한 안정성 평가를 위해 전해질의 산화환원 반응의 초기 및 15일 경과 후의 CV(cyclic voltametry) 측정 결과를 보여주는 도면.
도 13은 종래의 백금전극과 탄소나노튜브 전극의 안정성 평가를 위해 셀 완성 초기 및 15일 경과 후에 측정된 임피던스 특성을 보여주는 도면.
도 14는 3종류의 서로 다른 탄소나노튜브에 대한 CV 측정 결과를 보여주는 도면.
도 15는 종래의 백금전극과 탄소나노튜브의 광파장에 따른 태양전지 효율의 변화를 보여주는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상부 투명기판 102...도전성 투명전극
103...염료가 흡착된 다공질 전극 104...전해질
105...상대전극(탄소나노튜브막) 106...하부 기판
201...다중벽 탄소나노튜브 202,203...탄소나노섬유
401...탄소나노튜브 연결전극 또는 그리드 전극
501...절연막
본 발명은 탄소나노튜브 전극을 이용한 염료감응형 태양전지 모듈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탄소나노튜브 전극의 높은 전기전도성과 유연성을 이용하여, 광전기화학 작용에 의해 생성된 전자를 포집하는 그리드(gird) 전극과 동일 기판 상에서 2개 이상의 단위 태양전지를 연결하는 연결전극으로 탄소나노튜브 전극을 사용하고, 결합제의 양을 조절하여 탄소나노튜브 페이스트(paste)를 부도체로 만들어 단위 태양전지 간의 화학적, 전기적 절연체 역할을 하는 탄소나노튜브 절연막을 갖는 염료감응형 태양전지 모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염료감응형 태양전지는 염료의 태양광 흡수 능력을 이용하여 화학적으로 발전을 일으키는 태양전지의 일종으로, 유리 기판 위에 음극, 염료, 전해질, 상대전극, 투명 도전성 전극 등을 구비하고 있다. 음극은 나노(nano) 다공질막 의 형태로 존재하는 TiO2, ZnO, SnO2와 같은 넓은 밴드갭을 가진 n형 산화물 반도체로 구성되어 있고, 이 표면에 단분자 층의 염료가 흡착되어 있다. 태양광이 태양전지에 입사되면, 염료 속의 페르미 에너지 부근의 전자가 태양에너지를 흡수하여 전자가 채워지지 않은 상위 준위로 여기된다. 이때 전자가 빠져나간 하위 준위의 빈 자리는 전해질 속의 이온이 전자를 제공함으로써 다시 채워진다. 염료에 전자를 제공한 이온은 양극인 상대전극으로 이동하여 전자를 제공받게 된다. 이때 양극부의 상대전극은 전해질 속에 있는 이온의 산화환원 반응의 촉매로 작용하여 표면에서의 산화환원 반응을 통하여 전해질 속의 이온에 전자를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상대전극의 작용을 만족시키기 위하여 종래의 염료감응형 태양전지에서의 상대전극으로는 촉매작용이 우수한 백금박막을 주로 사용하고 있으며, 백금과 특성이 비슷한 팔라듐, 은, 금 등의 귀금속과 카본블랙, 그래파이트와 같은 탄소계 전극을 사용하기도 한다.
그런데, 백금전극은 높은 전기전도도와 우수한 촉매특성을 지니고 있으나 가격이 고가이고, 촉매 작용이 일어나는 표면적을 높이는 데 한계가 있어 전지 전체의 촉매 반응속도를 높이는데 한계가 있다. 탄소계 전극의 경우는 가격이 저가이고, 표면적을 백금보다 높이는 것은 가능하나 백금보다 촉매반응 속도가 나쁘기 때문에 태양전지의 효율을 떨어뜨리는 단점이 있다. 이에 따라 모듈이 대면적화하면서 가격이 저렴하면서도, 표면적과 전기전도도가 높은 새로운 촉매 상대전극이 필요하다.
또한 기존의 백금 전극의 경우, 기판으로 세라믹과 같은 절연체 기판을 사용하면, 전지가 요구하는 전기전도도를 만족하기 위하여 두꺼운 막으로 제작하여야 하고, 이 경우 고 비용이 들기 때문에, 현실적으로 기판을 절연성 물질로 사용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또한, 태양전지의 모듈을 대면적으로 제작 시, 기존의 백금전극의 경우, 대형 스퍼터링 장치와 같은 고가 장비를 사용하거나, 고가의 백금 화합물을 사용하여 스크린 프린팅방법으로 제작하여야 하므로, 제작 경비의 부담이 커서, 경제성이 낮아지게 된다.
한편, 모듈의 전력을 높이기 위해서 대면적으로 염료감응형 태양전지를 제작할 경우, 대면적의 단일 셀로는 높은 효율을 얻기가 사실상 불가능하다. 이 때문에 일반적으로 효율이 높은 대면적 모듈을 제작할 시에는, 복수 개의 단위셀을 연결전극을 사용하여 연결하거나, 단위셀의 내부에 전자를 효율적으로 포집하는 그리드 전극을 삽입한다. 종래에는 그리드 전극이나 연결전극으로 대부분 백금, 은, 금, 니켈과 같은 금속을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금속계 연결전극은 전해질과의 반응에 의해 용해되거나 반응하므로 엄밀한 절연을 필요로 하여 제조가 어렵고, 플라스틱 기판과 같이 유연성이 요구되는 경우 사용이 힘들다는 단점이 있으며, 제조 비용도 많이 소요되어 대량 생산에 많은 문제점을 지니고 있다. 이에 따라 화학적으로 안정하면서도, 유연성이 있는 신형 전극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은 사항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탄소나노튜브 전 극의 높은 전기전도성과 유연성을 이용하여, 광전기화학 작용에 의해 생성된 전자를 포집하는 그리드(gird) 전극과 동일 기판 상에서 2개 이상의 단위 태양전지를 연결하는 연결전극으로 탄소나노튜브 전극을 사용하고, 결합제의 양을 조절하여 탄소나노튜브 페이스트(paste)를 부도체로 만들어 단위 태양전지 간에 화학적, 전기적 절연체 역할을 하는 탄소나노튜브 절연막을 형성함으로써 대면적의 태양전지 모듈의 제작 및 전기적, 화학적으로 안정한 모듈의 제작을 가능하게 하는 탄소나노튜브 전극을 이용한 염료감응형 태양전지 모듈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탄소나노튜브 전극을 이용한 염료감응형 태양전지 모듈은,
백금 상대전극을 사용한 단위 염료감응형 태양전지나, 상,하부 투명기판과, 상부 투명기판의 내측 표면에 형성된 도전성 투명전극과, 도전성 투명전극 위에 형성된 것으로 그 표면에는 염료가 흡착된 산화물반도체 다공질 음극전극과, 하부 투명기판 위에 박막형태로 형성된 것으로 상기 음극전극에 대응하는 양극부로서의 탄소나노튜브층으로 된 상대전극과, 상기 음극전극과 상대전극 사이에 충전된 전해질을 구비하는 단위 염료감응형 태양전지를 연결전극 및 그리드 전극을 이용하여 복수개 직렬 또는 병렬로 연결하여 구성된 염료감응형 태양전지 모듈에 있어서,
상기 연결전극 및 그리드 전극은 탄소나노튜브 전극으로 구성된 점에 그 특징이 있다.
여기서, 상기 탄소나노튜브 전극은 탄소나노튜브와 결합제 및 첨가제의 조성 을 조정하여 원하는 전기전도도를 지니게 한 것으로서, 1∼104 Ω-1- 1 의 전기전도도를 갖는다.
또한,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탄소나노튜브 전극을 이용한 염료감응형 태양전지 모듈은,
백금 상대전극을 사용한 단위 염료감응형 태양전지나, 상,하부 투명기판과, 상부 투명기판의 내측 표면에 형성된 도전성 투명전극과, 도전성 투명전극 위에 형성된 것으로 그 표면에는 염료가 흡착된 산화물반도체 다공질 음극전극과, 하부 투명기판 위에 박막형태로 형성된 것으로 상기 음극전극에 대응하는 양극부로서의 탄소나노튜브층으로 된 상대전극과, 상기 음극전극과 상대전극 사이에 충전된 전해질을 구비하는 단위 염료감응형 태양전지를 연결전극 및 그리드 전극을 이용하여 복수개 직렬 또는 병렬로 연결하여 구성된 염료감응형 태양전지 모듈에 있어서,
상기 단위 염료감응형 태양전지들 사이에는 단위 태양전지들 간의 절연을 위한 절연막이 더 형성되는 점에 그 특징이 있다.
여기서, 상기 절연막은 바람직하게는 탄소나노튜브 절연막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그 탄소나노튜브 절연막은 단위 태양전지 간에 직접적인 전기적 연결이 되지 않을 정도의 절연성을 갖도록, 바람직하게는 탄소나노튜브와 결합제 및 첨가제의 혼합물로 구성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탄소나노튜브를 이용한 염료감응형 태양전지 모듈에 채용되는 단위 염료감응형 태양전지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채용되는 탄소나노튜브를 이용한 염료감응형 태양전지는 일반적인 염료감응형 태양전지의 구성을 기본적으로 갖는다. 즉, 유리나 투명 플라스틱으로 된 상부 투명기판(101)과, 상부 투명기판(101)의 내측(도면상으로는 하면부) 표면에 형성된 ITO, SnO2, ZnO 재질의 도전성 투명전극(102)과, 도전성 투명전극(102) 위에(도면상으로는 하면부에) 형성된 것으로 그 표면에는 염료가 흡착된 산화물반도체(예컨대, TiO2, SnO2, ZnO) 다공질 음극전극(103)과, 하부 투명기판(106) 위에 박막형태로 형성된 것으로 상기 다공질 음극전극(103)에 대응하는 양극부로서의 상대전극(105)과, 상기 음극전극(103)과 상대전극(105) 사이에 충전된 전해질(104)(액체전해질이나 고분자겔, p형 반도체로 구성됨)을 기본적으로 구비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채용되는 염료감응형 태양전지에서는 상기 상대전극(105)이 탄소나노튜브층으로 구성되는 점이 종래의 일반적인 염료감응형 태양전지와 다르다. 이와 같이 탄소나노튜브를 사용하는 것은 상대전극(105)의 표면에서의 산화환원 반응을 극대화시키기 위한 것이다. 여기서, 이와 같은 탄소나노튜브층을 이루는 탄소나노튜브로는 단일벽 탄소나노튜브나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다중벽 탄소나노튜브(201) 또는 탄소나노섬유(202)(203)나,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금속계 탄소나노튜브가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채용되는 탄소나노튜브 중 특히 우수한 특성을 나타내는 탄소나노튜브는 금속계 탄소나노튜브로서, 도 3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개개의 탄소나노튜브 가닥들이 화학적으로 결합하여 탄소나노튜브들이 탄소나노튜브 제조 시에 사용된 금속탄화물 촉매들과 함께 섞여서 가지 모양으로 상호 연결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도 4 및 도 5는 이상에서와 같은 탄소나노튜브를 이용한 단위 염료감응형 태양전지를 이용하여 제작한 염료감응형 태양전지 모듈을 나타낸 것으로서,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염료감응형 태양전지 모듈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염료감응형 태양전지 모듈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탄소나노튜브 전극을 이용한 염료감응형 태양전지 모듈은, 백금 상대전극을 사용한 단위 염료감응형 태양전지나, 상,하부 투명기판과, 상부 투명기판의 내측 표면에 형성된 도전성 투명전극과, 도전성 투명전극 위에 형성된 것으로 그 표면에는 염료가 흡착된 산화물반도체 다공질 음극전극과, 하부 투명기판 위에 박막형태로 형성된 것으로 상기 음극전극에 대응하는 양극부로서의 탄소나노튜브층으로 된 상대전극과, 상기 음극전극과 상대전극 사이에 충전된 전해질을 구비하는 단위 염료감응형 태양전지를 연결전극(401) 및 그리드 전극(402)을 이용하여 복수개 직렬 또는 병렬로 연결하여 구성한 것이다.
상기 그리드 전극(402)은 단위 태양전지 내부에서 발생한 전자를 효율적으로 외부로 전달하기 위한 통로 역할을 하고, 상기 연결전극(401)은 단위 태양전지를 태양전지의 제일 바깥쪽에서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에서, 특히 상기 연결전극(401) 및 그리드 전극(402)은 탄소나노튜브 전 극으로 구성된다. 이 탄소나노튜브 전극은 탄소나노튜브와 결합제 및 첨가제의 조성을 조정하여 원하는 전기전도도를 지니게 한 것으로서, 1∼104 Ω-1- 1 의 전기전도도를 갖는다. 이상과 같은 탄소나노튜브 전극을 제조하기 위한 탄소나노튜브 페이스트는 탄소나노튜브와 카본 또는 금속계 첨가제, CMC(carboxyl methyl cellulose) 또는 PVDF와 같은 고분자 결합제를 볼밀, 고에너지볼밀, 초음파, 그라인더, V-mixer를 포함하는 기계적 또는 기계화학적 방법에 의해 혼합하여 제조되며, 상기 결합제의 함량은 0.5∼90중량%의 값을 갖는다. 또한, 상기 탄소나노튜브 페이스트를 이용하여 만든 탄소나노튜브 전극은 닥터블레이드법, 스크린프린팅법, 스프레이법, 스핀코팅법, 페인팅법을 포함하는 막을 제조하는 방법에 의해 점상, 선상, 면상의 패턴으로 제조되고, 그 두께는 100nm∼1mm의 범위에 있으며, 투명에서 불투명까지 제조 가능하다. 특히, 면상으로 제조할 시 스프레이법에 의해 1㎡ 이하의 넓은 면에도 코팅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6은 탄소나노튜브(다중벽 탄소나노튜브)와 CMC 결합제를 사용하여 제조한 탄소나노튜브 전극막의 전자현미경 사진으로서, 탄소나노튜브 전극막은 다공질 상태로 넓은 표면적을 지니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여기서, 탄소나노튜브 전극막은 탄소나노튜브 분말과 첨가제를 CMC나 PVDF 등의 적절한 결합제를 물이나 DMP 등의 용매와 혼합하여 페이스트 상으로 만들어서 스크린 프린팅, 닥터블레이드, 스핀 코팅, 스프레이 코팅, 페인팅 등의 방법으로 하부기판 상에 패턴에 따라 코팅함으로써 형성된다.
본 발명에서의 탄소나노튜브 전극막은 표면적을 극대화하기 위하여 결합제의 함량을 0.5%까지 감소시켜 탄소나노튜브 간의 최소한의 결합만을 이루게 하여 다공질 상태로 만들거나, 높은 전기전도도를 얻기 위하여 상대밀도가 100%에 근접하도록 치밀하게 만들 수가 있다. 또한 도 7에서 보는 것과 같이 1㎛ 이하의 극히 얇은 막상으로 제조하여 투명성을 부여하거나, 태양광 에너지를 모두 흡수하기 위하여 1㎛ 이상 1mm 이하의 두께의 박막 또는 후막으로 제조할 수 있다.
탄소나노튜브 전극을 만들기 위한 탄소나노튜브 페이스트의 제조는 일반적인 볼밀, 유성볼밀이나 바이브레이션밀 또는 어트리션밀(attrition mill)과 같은 하이에너지볼밀, V-mixer, 연마기, 스터링(stirring), 초음파 혼합과 같은 기계적 작용을 통하여 원료를 혼합하거나, 기계적 작용과 동시에 화학적 작용을 수반하는 혼합방식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혼합방법의 대표적인 예로 볼밀을 이용하여 탄소나노튜브 페이스트를 제조하는 한 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 평균 직경은 10∼20nm, 평균 길이는 5㎛인 탄소나노튜브 분말과 용매로 사용되는 증류수와 결합제로 사용되는 CMC 분말을 10 : 88.5 : 1.5 무게 비로 혼합하여 그라인더나 볼밀을 이용하여 1단계 페이스트를 제조한다. 다음에 혼합된 페이스트를 원형 또는 실린더형의 볼과 함께 볼밀기에 넣어 볼밀기를 회전시키면서 24시간 동안 혼합시켜 균일한 상태의 최종 페이스트로 제조한다. 도 8은 이러한 볼밀 공정을 보여주는 모식도로서, 본 발명과 관련한 실험에서는 실린더형 볼이 구형볼보다 혼합도가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본 발명에 채용되는 탄소나노튜브 전극은 전기전도도가 우수하므로, 종래의 태양전지에서 도전성 기판을 사용하여 전극을 형성하는 것과 달리, 투명 전도막이 코팅되어 있는 전도성 유리기판이나 전도성 플라스틱 기판뿐 아니라, 도전성이 없는 유리기판, 알루미나기판을 포함하는 절연성 기판과 PET를 포함하는 플라스틱 기판에도 전극막을 형성할 수 있다. 그 한 예로, 스크린 프린팅법을 이용하여 투명 PET막과 유리기판과 알루미나 기판 위에 20㎛의 두께로 탄소나노튜브 전극막을 코팅하여 100Ω/㎠의 전기전도도를 지닌 전극막을 얻을 수 있었고, 이를 N719 염료를 지닌 염료감응형 태양전지의 상대전극으로 적용하여 8%의 효율을 얻을 수 있었다.
한편, 다시 상기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탄소나노튜브 전극을 이용한 염료감응형 태양전지 모듈은, 그 기본 구성에 있어서는 상기 제1실시예의 염료감응형 태양전지 모듈과 동일하다. 다만, 이 제2실시예의 경우에는 상기 단위 염료감응형 태양전지들 사이에 단위 태양전지들 간의 절연을 위한 절연막(501)이 더 형성되는 점에 그 특징이 있다.
여기서, 상기 절연막(501)은 바람직하게는 탄소나노튜브 절연막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그 탄소나노튜브 절연막은 단위 태양전지 간에 직접적인 전기적 연결이 되지 않을 정도의 절연성을 갖도록, 바람직하게는 탄소나노튜브와 결합제 및 첨가제의 혼합물로 구성된다. 즉, 탄소나노튜브 절연막은 1 kΩcm 이상의 전기저항을 지니도록, 탄소나노튜브에 CMC, PVDF와 같은 부도성 고분자 결합제와 SiO2, TiO2를 포함하는 부도체 무기물의 양이 10% 이상 첨가된 조성을 갖도록 구성된다.
한편, 도 9는 탄소나노튜브를 지닌 염료감응형 태양전지 소자의 작동 원리를 도식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태양광이 소자에 입사되면 광감응형 염료(907) 속의 채워진 에너지 궤도에 속하는 전자가 여기되어 전자가 채워지지 않은 빈 궤도로 올라가고, 이 여기 전자는 TiO2 다공질 전극(902)과 도전성 투명전극(901)을 통하여 외부로 이동한다. 한편 광감응 염료(907)에서 전자가 빠져나간 자리는 전해질(906) 속에 있는 이온이 탄소나노튜브(908)와 투명전극(909)으로 구성된 상대전극으로부터 받아온 전자를 전달함으로써 채워진다. 도 9에서 참조번호 900은 상부 투명기판, 903은 TiO2 다공질 전극의 전도대, 904는 TiO2 다공질 전극의 가전도대, 905는 외부의 전기부하, 910은 투명 또는 불투명의 하부기판을 각각 나타낸다.
도 10은 종래의 백금전극과 탄소나노튜브 전극에 대한 전해질의 산화환원 반응의 CV(cyclic voltametry) 측정 결과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여기에서, CV 측정을 위한 백금 및 탄소나노튜브 전극의 기판으로 FTO를 사용했으며, 상대전극으로 백금판(Pt plate: 2.5×2.5㎠)을 사용하였다.
도 10을 참조하면, 전류의 세기는 곧 전극 반응 속도를 나타내며, J-V 즉, 전류 최고치와 전압 최고치에 의해 형성되는 내부면적은 총 반응량을 의미하는 것으로, 반응 속도가 크고 반응량이 많을수록 환원 반응에 의해 나타나는 결과그래프인 왼쪽 곡선이 그리는 면적이 넓어지고 피크도 커지게 된다. 따라서, 탄소나노튜브(CNT)의 경우가 백금(Pt) 전극에 비해 월등히 우수한 것을 알 수 있다.
도 11은 종래의 백금전극과 탄소나노튜브 전극에 대해 반응이 일어날 수 있 도록 -0.5V의 직류전압을 가한 상태에서 100mHz∼100kHz의 교류전압을 인가하였을 때 나타나는 임피던스 특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곡선의 제일 왼쪽에 나타나는 반원이 작을수록 촉매에 의한 산화환원 반응에 대한 전기저항이 작은 것을 의미한다. 탄소나노튜브(CNT)의 경우가 백금(Pt)에 비해 월등히 작은 반응저항을 가지기 때문에 촉매반응이 신속하게 일어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도 12는 종래의 백금전극과 탄소나노튜브 전극에 대한 안정성 평가를 위해 전해질의 산화환원 반응의 초기 및 15일 경과 후의 CV(cyclic voltametry) 측정 결과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백금 전극의 경우 Vpeak는 증가하였지만 Ipeak은 거의 변화가 없으며, 이에 반해, 탄소나노튜브의 경우 Vpeak는 거의 유지되었지만 Ipeak가 눈에 띄게 증가하였음을 알 수 있다.
도 13은 종래의 백금전극과 탄소나노튜브 전극의 안정성 평가를 위해 셀 완성 초기 및 15일 경과 후에 측정된 임피던스 특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반응이 일어날 수 있도록 -0.5V의 직류전압을 인가하였으며, 100mHz∼100kHz의 주파수 범위 내에서 측정하였다.
도 13을 참조하면, CV에서와 같이 백금 전극의 경우 셀 완성 시점으로부터 15일 경과 후 반응저항이 약 67 Ω(ohms)에서 86 Ω으로 증가한 반면, 탄소나노튜브(CNT)의 경우는 약 18 Ω에서 10 Ω으로 감소하는 결과를 보였다.
도 12와 도 13의 결과로부터, 종래의 백금(Pt)은 누구나 예측되는 열화특성 이 나타났으며, 탄소나노튜브(CNT)는 시간이 지나면서 오히려 촉매 특성 및 전극 저항 특성에서 향상되는 이례적인 결과를 보임을 알 수 있다. 종래의 백금 전극은 전극 반응 과정에서 요오드 이온과의 반응에 의해 착체를 형성하여 표면의 비활성화를 가져오고 백금과 FTO 기판의 부착특성 열화 등으로 인해 결국 태양전지 전체의 효율 감소를 초래한다. 최근 들어, 백금의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온전도성이 강하고 휘발성이 강한 아세톤 나이트릴(aceton nitrile) 계의 특수 전해질을 사용하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움직임 역시 태양전지의 효율감소의 근원적인 문제를 해결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볼 때, 탄소나노튜브의 CV 및 임피던스 특성은 종래의 백금이 가지는 문제점을 해결하고 나아가 태양전지 효율 향상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주어 태양전지 상대전극 재료로서 우수하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도 14는 3종류의 서로 다른 탄소나노튜브에 대한 임피던스 분광특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CV에서와 같이 직경이 작은 탄소나노튜브(CNT)가 가장 낮은 반응저항을 지니고 있어, 태양전지에서 가장 좋은 전극임을 알 수 있다.
도 15는 종래의 백금전극과 탄소나노튜브의 광파장에 따른 태양전지 효율의 변화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350nm의 자외선을 제외하고는 거의 전 파장범위에 있어서 탄소나노튜브(CNT) 상대전극을 사용한 태양전지가 백금(Pt)의 경우보다 높은 효율을 지니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탄소나노튜브 전극을 이용한 염료감응형 태양전지 모듈은 상대전극 및 연결전극으로 탄소나노튜브를 사용함으로써, 다음과 같은 장점 및 효과를 갖는다.
첫째, 탄소나노튜브전극의 촉매 작용을 일으키는 전체 표면적이 종래의 백금전극에 비해 매우 넓음으로써. 높은 산화환원 촉매속도를 지니고 있고, 또한 전기전도도도 우수함으로써, 태양전지 소자 내의 전자전달이 신속히 이루어지게 함으로써, 태양전지의 효율이 향상된다.
둘째, 탄소나노튜브는 금속에 준하는 높은 전기전도도를 지니고 있기 때문에, 종래의 백금 전극의 하부에 필수적으로 사용되는 투명전극을 사용할 필요가 없고, 이에 따라 유리기판이 아닌 다양한 종류의 전기적 절연성이 높은 기판도 사용이 가능하다. 이렇게 하부기판의 종류에 대한 선택의 폭이 넓어지면 유리기판을 사용할 수 없는 경우에도 사용할 수 있고, 다양한 제조 공정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셋째, 탄소나노튜브막을 기판에 코팅할 때 스크린 프린팅 또는 스프레이법 등을 사용할 수 있어, 대면적의 기판에 균일한 코팅이 가능하다. 이에 따라 대면적의 태양전지를 제작하는 것이 가능하여 넓은 면적의 태양전지의 모듈을 제작할 수 있고, 그 결과 모듈의 가격을 낮추고, 태양전지의 효율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넷째, 유연성이 있고, 전기전도성이 있는 탄소나노튜브 전극을 연결전극으로 사용함으로써, 전기적, 화학적으로 안정한 모듈을 제조할 수 있다.

Claims (7)

  1. 백금 상대전극을 사용한 단위 염료감응형 태양전지나, 상,하부 투명기판과, 상부 투명기판의 내측 표면에 형성된 도전성 투명전극과, 도전성 투명전극 위에 형성된 것으로 그 표면에는 염료가 흡착된 산화물반도체 다공질 음극전극과, 하부 투명기판 위에 박막형태로 형성된 것으로 상기 음극전극에 대응하는 양극부로서의 탄소나노튜브층으로 된 상대전극과, 상기 음극전극과 상대전극 사이에 충전된 전해질을 구비하는 단위 염료감응형 태양전지를 연결전극 및 그리드 전극을 이용하여 복수개 직렬 또는 병렬로 연결하여 구성된 염료감응형 태양전지 모듈에 있어서,
    상기 연결전극 및 그리드 전극은 탄소나노튜브 전극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소나노튜브 전극을 이용한 염료감응형 태양전지 모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소나노튜브 전극은 1∼104 Ω-1- 1 의 전기전도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소나노튜브 전극을 이용한 염료감응형 태양전지 모듈.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탄소나노튜브 전극을 제조하기 위한 탄소나노튜브 페이스트는 탄소나노튜브와 카본 또는 금속계 첨가제, CMC(carboxyl methyl cellulose) 또는 PVDF와 같 은 고분자 결합제를 볼밀, 고에너지볼밀, 초음파, 그라인더, V-mixer를 포함하는 기계적 또는 기계화학적 방법에 의해 혼합하여 제조되며, 상기 결합제의 함량은 0.5∼90중량%의 값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소나노튜브 전극을 이용한 염료감응형 태양전지 모듈.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탄소나노튜브 전극은 닥터블레이드법, 스크린프린팅법, 스프레이법, 스핀코팅법, 페인팅법을 포함하는 막을 제조하는 방법에 의해 점상, 선상, 면상의 패턴으로 제조되고, 그 두께는 100nm∼1mm의 값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소나노튜브 전극을 이용한 염료감응형 태양전지 모듈.
  5. 백금 상대전극을 사용한 단위 염료감응형 태양전지나, 상,하부 투명기판과, 상부 투명기판의 내측 표면에 형성된 도전성 투명전극과, 도전성 투명전극 위에 형성된 것으로 그 표면에는 염료가 흡착된 산화물반도체 다공질 음극전극과, 하부 투명기판 위에 박막형태로 형성된 것으로 상기 음극전극에 대응하는 양극부로서의 탄소나노튜브층으로 된 상대전극과, 상기 음극전극과 상대전극 사이에 충전된 전해질을 구비하는 단위 염료감응형 태양전지를 연결전극 및 그리드 전극을 이용하여 복수개 직렬 또는 병렬로 연결하여 구성된 염료감응형 태양전지 모듈에 있어서,
    상기 단위 염료감응형 태양전지들 사이에는 단위 태양전지들 간의 절연을 위한 절연막이 더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소나노튜브 전극을 이용한 염 료감응형 태양전지 모듈.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막은 탄소나노튜브 절연막으로 구성되고, 그 탄소나노튜브 절연막은 1 kΩcm 이상의 전기저항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소나노튜브 전극을 이용한 염료감응형 태양전지 모듈.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탄소나노튜브 절연막은 탄소나노튜브에 CMC, PVDF와 같은 부도성 고분자 결합제와 SiO2, TiO2를 포함하는 부도체 무기물의 양이 10% 이상 첨가된 조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소나노튜브 전극을 이용한 염료감응형 태양전지 모듈.
KR1020050115361A 2005-11-30 2005-11-30 탄소나노튜브 전극을 이용한 염료감응형 태양전지 모듈 KR1006541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15361A KR100654103B1 (ko) 2005-11-30 2005-11-30 탄소나노튜브 전극을 이용한 염료감응형 태양전지 모듈
PCT/KR2006/005135 WO2007064164A1 (en) 2005-11-30 2006-11-30 Dye-sensitized solar cell module and the manufacturing method using carbon nanotube electrode
JP2008511063A JP5028412B2 (ja) 2005-11-30 2006-11-30 炭素ナノチューブ電極を利用した色素増感型太陽電池モジュール及びその製造方法
US11/871,993 US20080264482A1 (en) 2005-11-30 2007-10-13 Dye-sensitized solar cell module and the manufacturing method using carbon nanotube electrod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15361A KR100654103B1 (ko) 2005-11-30 2005-11-30 탄소나노튜브 전극을 이용한 염료감응형 태양전지 모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54103B1 true KR100654103B1 (ko) 2006-12-06

Family

ID=377321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15361A KR100654103B1 (ko) 2005-11-30 2005-11-30 탄소나노튜브 전극을 이용한 염료감응형 태양전지 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54103B1 (ko)

Cited B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8072B1 (ko) 2007-10-05 2009-11-23 강릉원주대학교산학협력단 염료감응 태양전지 및 그 제조방법
WO2010024618A2 (en) * 2008-09-01 2010-03-04 Eagon Window & Door Systems Co., Ltd. Tile
WO2010082794A2 (ko) * 2009-01-19 2010-07-22 주식회사 티모테크놀로지 직/병렬 혼합형 염료감응형 태양전지 모듈
KR101011717B1 (ko) * 2008-09-01 2011-01-28 삼성전기주식회사 플렉서블 염료감응형 태양전지의 전극과 그 제조방법 및플렉서블 염료감응형 태양전지
WO2011002231A3 (ko) * 2009-06-30 2011-04-14 엘지이노텍주식회사 태양광 발전장치
KR101030014B1 (ko) 2009-11-09 2011-04-20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광전변환소자
KR101030013B1 (ko) 2009-08-26 2011-04-20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염료감응 태양전지
KR101081065B1 (ko) 2009-06-30 2011-11-07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태양광 발전장치
KR101084047B1 (ko) 2009-05-08 2011-11-16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광감응층을 갖는 나노 복합형 염료감응 태양전지 제조방법 및 그 태양전지
KR101091253B1 (ko) 2009-11-03 2011-12-07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태양전지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097270B1 (ko) 2010-03-25 2011-12-21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광전변환소자
KR101120361B1 (ko) 2009-05-08 2012-03-14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광감응층을 갖는 나노 튜브형 염료감응 태양전지 제조방법 및 그 태양전지
KR101137380B1 (ko) * 2011-03-07 2012-04-20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광전변환소자 및 그 제조방법
KR101151936B1 (ko) 2010-07-15 2012-06-01 주식회사 이건창호 염료감응 태양전지
KR101156585B1 (ko) 2009-11-03 2012-06-20 국립대학법인 울산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염료 감응 태양 전지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295541B1 (ko) 2009-05-14 2013-08-12 엘지전자 주식회사 태양 전지 모듈 및 그 제조 방법
US8728880B2 (en) 2010-12-17 2014-05-20 Samsung Electronics Co., Ltd. Graphene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KR101520249B1 (ko) * 2012-11-30 2015-05-18 한국전기연구원 수열합성법을 이용한 대면적 Fe203 물분해용 광전극 제조 방법 및 그 광전극
EP2131441A4 (en) * 2007-03-20 2017-11-15 Sharp Kabushiki Kaisha Dye-sensitized solar cell modul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11216A (ja) 2002-09-18 2004-04-08 Inst Of Research & Innovation 色素増感型太陽電池およびナノカーボン電極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11216A (ja) 2002-09-18 2004-04-08 Inst Of Research & Innovation 色素増感型太陽電池およびナノカーボン電極

Cited By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131441A4 (en) * 2007-03-20 2017-11-15 Sharp Kabushiki Kaisha Dye-sensitized solar cell modul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100928072B1 (ko) 2007-10-05 2009-11-23 강릉원주대학교산학협력단 염료감응 태양전지 및 그 제조방법
WO2010024618A2 (en) * 2008-09-01 2010-03-04 Eagon Window & Door Systems Co., Ltd. Tile
WO2010024618A3 (en) * 2008-09-01 2010-06-24 Eagon Window & Door Systems Co., Ltd. Tile
KR101011717B1 (ko) * 2008-09-01 2011-01-28 삼성전기주식회사 플렉서블 염료감응형 태양전지의 전극과 그 제조방법 및플렉서블 염료감응형 태양전지
WO2010082794A2 (ko) * 2009-01-19 2010-07-22 주식회사 티모테크놀로지 직/병렬 혼합형 염료감응형 태양전지 모듈
WO2010082794A3 (ko) * 2009-01-19 2010-10-21 주식회사 티모테크놀로지 직/병렬 혼합형 염료감응형 태양전지 모듈
KR101002398B1 (ko) 2009-01-19 2010-12-21 (주)다이솔티모 직/병렬 혼합형 염료감응형 태양전지 모듈
KR101084047B1 (ko) 2009-05-08 2011-11-16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광감응층을 갖는 나노 복합형 염료감응 태양전지 제조방법 및 그 태양전지
KR101120361B1 (ko) 2009-05-08 2012-03-14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광감응층을 갖는 나노 튜브형 염료감응 태양전지 제조방법 및 그 태양전지
KR101295541B1 (ko) 2009-05-14 2013-08-12 엘지전자 주식회사 태양 전지 모듈 및 그 제조 방법
KR101072073B1 (ko) 2009-06-30 2011-10-10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태양광 발전장치
KR101081065B1 (ko) 2009-06-30 2011-11-07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태양광 발전장치
WO2011002231A3 (ko) * 2009-06-30 2011-04-14 엘지이노텍주식회사 태양광 발전장치
KR101030013B1 (ko) 2009-08-26 2011-04-20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염료감응 태양전지
KR101091253B1 (ko) 2009-11-03 2011-12-07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태양전지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156585B1 (ko) 2009-11-03 2012-06-20 국립대학법인 울산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염료 감응 태양 전지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030014B1 (ko) 2009-11-09 2011-04-20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광전변환소자
US8519261B2 (en) 2010-03-25 2013-08-27 Samsung Sdi Co., Ltd. Photoelectric conversion device
KR101097270B1 (ko) 2010-03-25 2011-12-21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광전변환소자
KR101151936B1 (ko) 2010-07-15 2012-06-01 주식회사 이건창호 염료감응 태양전지
US8728880B2 (en) 2010-12-17 2014-05-20 Samsung Electronics Co., Ltd. Graphene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US9257528B2 (en) 2010-12-17 2016-02-09 Samsung Electronics Co., Ltd. Graphene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US8592678B2 (en) 2011-03-07 2013-11-26 Samsung Sdi Co., Ltd. Photoelectric conversion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1137380B1 (ko) * 2011-03-07 2012-04-20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광전변환소자 및 그 제조방법
KR101520249B1 (ko) * 2012-11-30 2015-05-18 한국전기연구원 수열합성법을 이용한 대면적 Fe203 물분해용 광전극 제조 방법 및 그 광전극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54103B1 (ko) 탄소나노튜브 전극을 이용한 염료감응형 태양전지 모듈
JP5028412B2 (ja) 炭素ナノチューブ電極を利用した色素増感型太陽電池モジュール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834475B1 (ko) 탄소나노튜브 전극을 이용한 염료감응형 태양전지 모듈 및그 제조방법
KR100783766B1 (ko) 탄소나노튜브 전극 및 그 제조방법 그리고 이에 의한염료감응형 태양전지
Sumboja et al. All‐solid‐state, foldable, and rechargeable Zn‐air batteries based on manganese oxide grown on graphene‐coated carbon cloth air cathode
Hao et al. Recent advances in alternative cathode materials for iodine-free dye-sensitized solar cells
Joshi et al. Nickel incorporated carbon nanotube/nanofiber composites as counter electrodes for dye-sensitized solar cells
EP1830431B1 (en) Counter electrode for photoelectric converter and photoelectric converter
CN101388294B (zh) 一种用于染料敏化太阳能电池的全碳对电极及制备方法
Theerthagiri et al. Synthesis of various carbon incorporated flower-like MoS 2 microspheres as counter electrode for dye-sensitized solar cells
KR101009442B1 (ko) 전도성 구조체를 이용한 전도성필름 제조방법 및 전도성필름
Al-Bahrani et al. Enhanced electrocatalytic activity by RGO/MWCNTs/NiO counter electrode for dye-sensitized solar cells
Theerthagiri et al. Electrochemical deposition of carbon materials incorporated nickel sulfide composite as counter electrode for dye-sensitized solar cells
KR101041931B1 (ko) 리빙 고분자로 그라프트되어 개질된 탄소나노튜브를 이용한 염료감응형 태양전지 전극 및 그 제조 방법
JP2008021651A (ja) 触媒が担持されたカーボンナノチューブを用いた太陽電池及びその製造方法
Cai et al. Direct application of commercial fountain pen ink to efficient dye-sensitized solar cells
Yun et al. Insight into electrocatalytic activity and mechanism of bimetal niobium-based oxides in situ embedded into biomass-derived porous carbon skeleton nanohybrids for photovoltaics and alkaline hydrogen evolution
Yin et al. Mingled MnO2 and Co3O4 binary nanostructures on well-aligned electrospun carbon nanofibers for nonenzymatic glucose oxidation and sensing
Yan et al. Preparation of platinum/polyaniline/multi-walled carbon nanotube nanocomposite with sugarcoated haws structure for electrocatalytic oxidation of methanol
Cheng et al. Double quantum dots decorated 3D graphene flowers for highly efficient photoelectrocatalytic hydrogen production
Elrouby Electrochemical applications of carbon nanotube
Gong et al. Facile and scalable fabrication of transparent and high performance Pt/reduced graphene oxide hybrid counter electrode for dye-sensitized solar cells
Mehmood et al. Carbon/carbon nanocomposites as counter electrodes for platinum free dye-sensitized solar cells
Li et al. In situ synthesis of oriented NiS nanotube arrays on FTO as high-performance counter electrode for dye-sensitized solar cells
Khampunbut et al. Facile synthesis of Ni doped BiOBr nanosheets as efficient photo-assisted charging supercapacito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0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0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0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1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6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0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