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53321B1 - 화소어레이를 구비한 화상표시장치 - Google Patents

화소어레이를 구비한 화상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53321B1
KR100653321B1 KR1020040044478A KR20040044478A KR100653321B1 KR 100653321 B1 KR100653321 B1 KR 100653321B1 KR 1020040044478 A KR1020040044478 A KR 1020040044478A KR 20040044478 A KR20040044478 A KR 20040044478A KR 100653321 B1 KR100653321 B1 KR 1006533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ulating substrate
pixel
potential
circuit
lin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444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111076A (ko
Inventor
도비타유이치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401110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1110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533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533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using liquid crystals
    • G09G3/3611Control of matrices with row and column drivers
    • G09G3/3648Control of matrices with row and column drivers using an active matrix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10/00Command of the display device
    • G09G2310/02Addressing, scanning or driving the display screen or processing steps related thereto
    • G09G2310/0264Details of driving circuits
    • G09G2310/027Details of drivers for data electrodes, the drivers handling digital grey scale data, e.g. use of D/A converte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3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 G09G3/3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G09G3/320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Liquid Crystal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ontrol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nd Detecting Electric Fault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 Control Of El Displays (AREA)

Abstract

이 컬러액정표시장치에서는, 불량이 발생하기 쉬운 아날로그앰프(14)가 형성된 절연기판(31)과, 아날로그앰프(14) 이외의 회로부분이 형성된 절연기판(30)을 각각 준비하고, 각각의 양부를 테스트하여, 양호한 절연기판(31)만을 양호한 절연기판(30)에 실장한다. 따라서, 컬러액정표시장치 전체를 1장의 절연기판 상에 형성하고 있는 종래에 비해, 컬러액정표시장치의 수율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화소, 어레이, 화상표시장치, 수율, 컬러액정, 절연기판, 아날로그앰프

Description

화소어레이를 구비한 화상표시장치{IMAGE DISPLAY HAVING PIXEL ARRAY}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의한 컬러액정표시장치의 구성을 기능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낸 컬러화소의 구성을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나타낸 컬러액정표시장치의 실제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는 도 3에 나타낸 기판실장영역 및 절연기판(31)의 표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절연기판(31)의 실장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6은 절연기판(31)의 실장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다른 단면도이다.
도 7a 및 7b는 실시예 1의 변경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의한 컬러액정표시장치의 실제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9는 도 8에 나타낸 기판실장영역 및 절연기판(50)의 표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실시예 2의 변경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1은 실시예 2의 다른 변경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2는 실시예 2의 또 다른 변경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의한 컬러화상표시장치의 구성을 기능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4는 도 13에 나타낸 컬러화소에 포함되는 부화소의 구성을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71 : 화소어레이 2, 72 : 컬러화소
GL : 게이트선 DL : 데이터선
3, 4 : 레벨시프터 5 : 수직주사회로
6, 9 : 시프트 레지스터 7 : 드라이버
8, 73 : 수평주사회로 10, 11 : 데이터래치
12 : 레더저항 13 : 멀티플렉서
14 : 아날로그앰프 15 : 전원회로
20, 80 : 부화소 21, 81∼83 : N형 TFT
22 : 액정셀 23, 84 : 커패시터
30, 31, 50, 60∼62 : 절연기판 30a, 30b : 기판실장영역
32 : D/A 컨버터 33 : 외부단자
34, 42 : 알루미늄 배선 40, 41, 43, 45, 51∼54 : 패드
44 : 아날로그앰프 단위회로 46 : 범프
47 : 수지 48 : 금속입자
74 : 전류원 85 : EL 소자
본 발명은 화상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복수행 복수열로 배치된 복수의 화소표시회로를 포함하는 화소어레이를 구비한 화상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액정표시장치는, 복수행 복수열로 배치된 복수의 화소와, 각각 복수행에 대응하여 설치된 복수의 게이트선과, 각각 복수열에 대응하여 설치된 복수의 데이터선을 포함하는 화소어레이와, 복수의 게이트선을 1수평기간씩 순차 선택하는 수직주사회로와, 1수평기간 내에 각 데이터선에 계조전위를 공급하는 수평주사회로를 구비하고, 1장의 절연기판 상에 형성되어 있다(예를 들면 일본특허공개 2000-338521호 공보 참조).
그러나, 종래의 액정표시장치에서는, 트랜지스터의 특성의 변동이 크기 때문에, 수율이 낮아진다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주된 목적은, 수율이 높은 화상표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관한 화상표시장치는, 복수행 복수열로 배치되고, 각각이 화소전위에 따른 계조의 화소를 표시하는 복수의 화소표시회로와, 각각 복수행에 대응하여 설치된 복수의 게이트선과, 각각 복수열에 대응하여 설치된 복수의 데이터선을 포함하는 화소어레이와, 복수의 게이트선을 소정시간씩 순차 선택하고, 선택한 게이트선에 대응하는 각 화소표시회로를 활성화시키는 수직주사회로와, 수직주사회로에 의해 1개의 게이트선이 선택되는 동안에, 복수의 데이터선을 통해 활성화된 각 화소표시회로에 화소전위를 공급하는 수평주사회로와, 그 표면에 적어도 화소어레이가 형성된 절연기판과, 절연기판의 표면에 실장된 적어도 하나의 부절연기판을 구비한 것이다. 여기서, 수직주사회로 및 수평주사회로는 절연기판 및 적어도 하나의 부절연기판의 표면에 분산배치되고, 수평주사회로 중 적어도 복수의 데이터선에 접속되어 있는 회로부분은 적어도 하나의 부절연기판의 표면에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수평주사회로 중 적어도 복수의 데이터선에 접속되어 있는 회로부분이 형성된 부절연기판과, 적어도 화소어레이가 형성된 절연기판을 각각 준비하고, 각각의 양부(良否)를 테스트하여, 양호한 부절연기판만을 양호한 절연기판에 실장함으로써, 화상표시장치의 수율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고, 화상표시장치의 저비용화를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및 다른 목적, 특징, 국면 및 이점은, 첨부한 도면과 관련하여 이해되는 본 발명에 관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발명의 실시예]
(실시예 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의한 컬러액정표시장치의 구성을 기능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에서, 이 컬러액정표시장치는, 화소어레이(1), 레벨시프터(3, 4), 수직주사회로(5), 수평주사회로(8) 및 전원회로(15)를 구비한다.
화소어레이(1)는, 복수행 복수열로 배치된 복수의 컬러화소(2)와, 각 행에 대응하여 설치된 게이트선 GL과, 각 열에 대응하여 설치된 R, G, B용의 3개의 데이터선 DL을 포함한다.
도 2는, 하나의 컬러화소(2)의 구성을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 2에서, 컬러화소(2)는, R, G, B용의 3개의 부화소(20)를 포함한다. 3개의 부화소(20)에는, 각각 R, G, B용의 필터(도시하지 않음)가 설치된다. 3개의 데이터선 DL에는, 각각 R, G, B용의 계조전위 VR, VG, VB가 공급된다.
부화소(20)는, N형 TFT(박막트랜지스터)(21), 액정셀(22) 및 커패시터(23)를 포함한다. N형 TFT(21)는 대응한 데이터선 DL과 액정셀(22)의 화소전극과의 사이에 접속되고, 그 게이트는 대응한 게이트선 GL에 접속된다. 액정셀(22)의 대향전극은, 공통전위 VCOM을 수신한다. 커패시터(23)는, 액정셀(22)의 화소전극과 공통전위 VCOM의 라인과의 사이에 접속된다.
게이트선 GL이 선택레벨의 「H」레벨로 되면, 각 N형 TFT(21)가 도통하고, 3개의 액정셀(22)의 화소전극은 각각 R, G, B용의 계조전위 VR, VG, VB로 충전된다. 액정셀(22)의 광투과율은, 전극 사이 전압에 따라 변화한다. 계조전위 VR, VG, VB 의 각각의 레벨을 조정함으로써, 원하는 각 및 휘도의 화소를 표시할 수 있다.
도 1로 되돌아가, 수직주사회로(5)는, 시프트 레지스터(6) 및 드라이버(7)를 포함한다. 레벨시프터(3)는, 외부로부터 공급된 스타트신호 STY 및 클록신호 CLKY의 각각의 진폭전압을 예를 들면 3V로부터 5V로 변환하여 시프트 레지스터(6)에 공급한다. 시프트 레지스터(6)는, 스타트신호 STY 및 클록신호 CLKY에 동기하여, 복수의 게이트선 GL을 1수평기간씩 순차 선택한다. 드라이버(7)는, 시프트 레지스터(6)에 의해서 선택되어 있는 게이트선 GL을 선택레벨의 「H」레벨 VGH로 하고, 다른 게이트선 GL을 비선택레벨의 「L」레벨 VGL로 한다.
수평주사회로(8)는, 시프트 레지스터(9), 데이터래치(10, 11), 레더저항(12), 멀티플렉서(13) 및 아날로그앰프(14)를 포함한다. 레벨시프터(4)는, 스타트신호 STX, 클록신호 CLKX, 화상 데이터신호(D0∼D5) 및 래치신호 LT의 각각의 진폭전압을 예를 들면 3V로부터 5V로 변환한다. 시프트 레지스터(9)는, 레벨시프터(4)로부터의 스타트신호 STX 및 클록신호 CLKX에 동기하여 데이터래치 10을 제어한다. 데이터래치 10은, 시프트 레지스터(9)에 의해 제어되고, 레벨시프터(4)로부터의 화상 데이터신호(D0∼D5)를 데이터선 DL만큼씩 순차 래치하고, 1행분의 화상 데이터신호(D0∼D5)를 래치한다. 데이터래치 11은, 레벨시프터(4)로부터의 래치신호 LT에 의해서 제어되고, 데이터래치(10)에 의해 래치된 1행분의 화상 데이터신호(D0∼D5)를 한번에 래치한다.
레더저항(12)은, 고전위 VLH 및 저전위 VLL 사이의 전압을 분압하여 64의 계조전위를 생성한다. 멀티플렉서(13)는, 각 데이터선 DL마다, 데이터래치 11로부터 공급된 화상 데이터신호(D0∼D5)에 따라 64의 계조전위 중 어느 하나의 계조전위를 선택하고, 선택한 계조전위를 아날로그앰프(14)에 공급한다. 아날로그앰프(14)는, 멀티플렉서(13)로부터 공급된 계조전위를 V, R, VG 또는 VB로서 각 데이터선 DL에 공급한다. 시프트 레지스터(9), 데이터래치(10, 11), 레더저항(12) 및 멀티플렉서(13)는, D/A 컨버터를 구성하고 있다.
전원회로(15)는, 외부로부터 공급된 전원전위 VCC, 접지전위 VSS 및 클록신호 CLK에 근거하여 여러가지의 내부전원전위 VDD, VGH, VGL, YCOM, VLH, VLL을 생성한다. 전원회로(15)는, 클록신호 CLK에 의해 구동되는 차지펌프회로를 포함하고 있다. 수직주사회로(5) 및 수평주사회로(8)에 의해 화소어레이(1)의 전체화소(2)가 주사되면, 화소어레이(1)에는 하나의 컬러화상이 표시된다.
그런데, 레벨시프터(3, 4), 수직주사회로(5), 수평주사회로(8) 및 전원회로(15)는, N형 TFT 및 P형 TFT를 포함하는 CMOS 회로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수평주사회로(8)는 선순차 구동방식이고, 수평주사회로(8)의 아날로그앰프(14)는, 데이터선 DL과 동일수의 아날로그앰프 단위회로를 포함하고 있다. 점순차 구동방식인 경우는, 데이터선 DL보다도 적은 수의 아날로그앰프 단위회로와 전환회로가 사용된다. 각 아날로그앰프 단위회로는, 높은 입력임피던스와 낮은 출력임피던스를 갖고, 입력전위와 동일한 전위를 출력한다. 전체 아날로그앰프 단위회로에 동일한 전위가 입력되었을 때, 전체 아날로그앰프 단위회로가 동일한 전위를 출력하는 것이 이상적이지만, 실제로는 TFT의 임계치전압이나 다수캐리어의 이동도의 변동이 크기 때문에 아날로그앰프 단위회로의 출력전위사이에 편차가 생긴다. 이 편차가 30mV를 넘으면, 전체 아날로그앰프 단위회로에 동일한 전위가 입력되었을 때라도 화소 사이에서 다른 색이 표시되므로, 그와 같은 컬러액정표시장치는 불량품으로 된다.
종래의 컬러액정표시장치는 1장의 절연기판 상에 형성되어 있으므로, 아날로그앰프(14)만이 불량인 경우라도 컬러액정표시장치 전체가 불량품으로 되어 있었으므로, 컬러액정표시장치의 수율이 저하했다. 그래서, 이 실시예 1에서는, 아날로그앰프(14)가 형성된 절연기판(31)과, 컬러액정표시장치의 아날로그앰프(14) 이외의 회로부분이 형성된 절연기판(30)을 각각 준비하고, 각각의 양부를 테스트하여, 양호한 절연기판(31)만을 양호한 절연기판(30)에 실장함으로써, 컬러액정표시장치의 수율의 향상을 도모한다.
도 3은, 이 컬러액정표시장치의 실제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에서, 유리기판 또는 수지기판과 같은 절연기판(30)의 표면에 화소어레이(1)가 배치되고, 게이트선 GL의 한쪽 단부에 드라이버(7)가 배치되며, 드라이버(7)에 인접하여 시프트 레지스터(6)가 배치된다. 데이터선 DL의 한쪽 단부에 기판실장영역(30a)이 설치되고, 그 위에 절연기판(31)이 실장된다. 기판실장영역(30a)에 인접하여 D/A 컨버터(32)가 배치되고, D/A 컨버터(32)에 인접하여 레벨시프터(4)가 배치된다. D/A 컨버터(32)는, 도 1의 시프트 레지스터(9), 데이터래치(10, 11), 레더저항(12) 및 멀티플렉서(13)를 포함하고 있다. 드라이버(7) 및 기판실장영역(30a)에 인접하여 전원회로(15)가 배치되고, 시프트 레지스터(6)에 인접하여 레벨시프터(3)가 배치된다. 이때, 절연기판(30, 31) 상의 회로는, 폴리실리콘으로 형성된다.
절연기판(30)의 한변에 따라 복수의 외부단자(33)가 형성되고, 각 외부단자(33)는 알루미늄배선(34)을 통해 대응한 회로에 접속되어 있다. 복수의 외부단자(33)는 FPC(Flexible Printed Circuit)를 통해 컨트롤러에 접속되고, 각 외부단자(33)는 컨트롤러로부터 신호 또는 전위를 수신한다. 클록신호 CLKY 및 스타트신호 STY를 각각 수신하는 2개의 외부단자(33)는 레벨시프터(3)에 접속된다. 클록신호 CLK, 전원전위 VCC 및 접지전위 VSS를 수신하는 3개의 외부단자(33)는 전원회로(15)에 접속된다. 데이터신호(D0∼D5), 래치신호 LT, 스타트신호 STX 및 클록신호 CLKX를 각각 수신하는 9개의 외부단자(33)는 레벨시프터(4)에 접속된다.
도 4a는 기판실장영역(30a)을 나타내는 도면, 도 4b는 절연기판 31의 표면(절연기판 30의 표면에 대향하는 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단, 도면 및 설명의 간단화를 위해, 전원용의 패드 및 배선은 생략되어 있다. 도 4a 및 4b를 참조하여, 기판실장영역(30a)에는, 각 데이터선 DL에 대응하여 설치된 출력패드(40) 및 입력패드(41)가 형성되어 있다. 복수의 출력패드(40)는 화소어레이(1)의 하측의 한변에 따라 일렬로 배치되고, 각 출력패드(40)는 대응한 데이터선 DL에 접속되어 있다. 복수의 입력패드(41)는 D/A 컨버터(32)의 상측의 한변에 따라 일렬로 배치되고, 각 입력패드(41)는 알루미늄배선(42)을 통해 D/A 컨버터(32)에 접속되어 있다.
한편, 절연기판(31)의 표면에는, 각 데이터선 DL에 대응하여 설치된 출력패드(43), 아날로그앰프 단위회로(44) 및 입력패드(45)가 형성되어 있다. 복수의 출력패드(43)는 절연기판(31)의 상측의 한변에 따라 일렬로 배치되고, 각 출력패드(43)는 대응한 아날로그앰프 단위회로(44)의 출력노드에 접속되어 있다. 복수의 입력패드(45)는 절연기판(31)의 하측의 한변에 따라 일렬로 배치되고, 각 입력패드(45)는 대응한 아날로그앰프 단위회로(44)의 입력노드에 접속되어 있다.
절연기판 31의 표면을 절연기판 30의 표면으로 향하여 절연기판 31을 기판실장영역(30a)에 실장하고, 복수의 출력패드 43을 각각 복수의 출력패드 40에 접합함과 동시에, 복수의 입력패드 45를 각각 복수의 입력패드 41에 접합한다.
아날로그앰프 단위회로(44)는, D/A 컨버터(32)로부터 입력패드(41, 45)를 통해 공급된 계조전위를 전류증폭하여, 출력패드(43, 40)를 통해 대응한 데이터선 DL에 공급한다. 이때, 아날로그앰프 단위회로(44)에는, 그 오프셋전압을 보상하기 위한 오프셋캔슬회로도 포함되어 있다.
도 5는, 패드끼리의 접합방법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절연기판(30)의 기판실장영역(30a)에 절연기판(31)이 회로측 표면을 하향으로 하여 마운트된다. 절연기판(30)측의 출력패드(40)와 절연기판(31)측의 출력패드(43)와는 범프(도전성 돌기물)(46)를 통해 접합된다. 입력패드 41과 45도 동일하게 접합된다. 절연기판 30과 31은, 수지 47에 의해 접착된다.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패드 40과 43을 금속입자 48을 통해 접합해도 된다.
이 실시예 1에서는, 불량이 발생하기 쉬운 아날로그앰프(14)가 형성된 절연기판(31)과, 컬러액정표시장치의 아날로그앰프(14) 이외의 회로부분이 형성된 절연기판(30)을 각각 준비하고, 각각의 양부를 테스트하여, 양호한 절연기판(31)만을 양호한 절연기판(30)에 실장한다. 따라서, 컬러액정표시장치 전체를 1장의 절연기 판 상에 형성하고 있던 종래에 비해, 컬러액정표시장치의 수율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어, 컬러액정표시장치의 저비용화를 도모할 수 있다.
도 7a, 7b는, 이 실시예 1의 변경예를 나타내는 블록도로서, 도 4a, 4b와 대비되는 도면이다. 도 7a, 7b를 참조하여, 이 변경예에서는, 복수의 출력패드(40)는, 서로 평행한 2개의 직선 상에 소정의 피치로 교대로 배치되고, 출력패드(40)에 대응하는 출력패드(43)도 동일하게 지그재그형으로 배치된다. 또한, 복수의 입력패드(41)는, 서로 평행한 2개의 직선 상에 소정의 1피치로 교대로 배치되고, 입력패드 41에 대응하는 입력패드 45도 동일하게 지그재그형으로 배치된다. 이 변경예에서는, 패드사이의 거리를 크게 할 수 있으므로, 절연기판(31)을 절연기판(30)에 용이하게 실장할 수 있다.
(실시예 2)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의한 컬러액정표시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로서 도 3과 대비되는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여, 이 컬러액정표시장치에서는, 아날로그앰프(14), D/A 컨버터(32) 및 레벨시프터(4)가 1장의 절연기판(50)의 표면에 형성되고, 화소어레이(1) 등의 나머지의 회로부분은 절연기판(30)의 표면에 형성된다. 테스트로 정상이던 절연기판(50)이 테스트로 정상이던 절연기판(30)의 기판실장영역(30b)에 실장된다.
도 9a는 기판실장영역(30b)을 나타내는 도면, 도 9b는 절연기판(50)의 표면(절연기판(30)의 표면에 대향하는 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단, 도면 및 설명의 간단화를 위해, 전원용의 패드 및 배선은 생략되어 있다. 도 9a 및 9b를 참조하여, 기판실장영역(30b)에는, 각 데이터선 DL에 대응하여 설치된 출력패드(51)와, 각 외부단자(33)에 대응하여 설치된 입력패드(52)가 형성되어 있다. 복수의 출력패드(51)는 화소어레이(1)의 하측의 한변에 따라 일렬로 배치되고, 각 출력패드(51)는 대응한 데이터선 DL에 접속되어 있다. 복수의 입력패드(52)는 복수의 외부단자(33)에 대향하여 일렬로 배치되고, 각 입력패드(52)는 알루미늄배선(34)을 통해 대응한 외부단자(33)에 접속되어 있다.
한편, 절연기판(50)의 표면에는, 각 데이터선 DL에 대응하여 설치된 출력패드(53)와, 각 외부단자(33)에 대응하여 설치된 입력패드(54)가 형성되어 있다. 복수의 출력패드(53)는, 절연기판(50)의 상측의 한변에 따라 일렬로 배치되고, 아날로그앰프(14)에 접속되어 있다. 복수의 입력패드(54)는, 절연기판(50)의 하측의 한변에 따라 일렬로 배치되고, 레벨시프터(4)에 접속되어 있다.
절연기판(50)의 표면을 절연기판(30)의 표면으로 향하여 절연기판(50)을 기판실장영역(30b)에 실장하고, 복수의 출력패드(53)를 각각 복수의 출력패드(51)에 접합함과 동시에, 복수의 입력패드(54)를 각각 복수의 입력패드(52)에 접합한다.
레벨시프터(4), D/A 컨버터(32) 및 아날로그앰프(14)는, 3개의 외부단자(33), 3개의 입력패드(52) 및 3개의 입력패드(54)를 통해 공급된 스타트신호 STX, 클록신호 CLKX 및 래치신호 LT에 동기하여 동작하고, 6개의 외부단자(33), 6개의 입력패드(52) 및 6개의 입력패드(54)를 통해 공급된 화상 데이터신호(D0∼D5)에 따라, 복수의 출력패드(53) 및 복수의 출력패드(51)를 통해 복수의 데이터선 DL에 계조전위를 공급한다.
이 실시예 2에서는, 불량이 발생하기 쉬운 아날로그앰프(14), D/A 컨버터(32) 및 레벨시프터(4)가 형성된 절연기판(50)과, 컬러액정표시장치의 나머지의 회로부분이 형성된 절연기판(30)을 각각 준비하고, 각각의 양부를 테스트하여, 양호한 절연기판(50)만을 양호한 절연기판(30)에 실장한다. 따라서, 컬러액정표시장치 전체를 1장의 절연기판 상에 형성하고 있는 종래에 비해, 컬러액정표시장치의 수율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어, 컬러액정표시장치의 저비용화를 도모할 수 있다.
이하, 여러가지의 변경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0의 컬러액정표시장치에서는, 아날로그앰프(14), D/A 컨버터(32), 레벨시프터(3, 4) 및 전원회로(15)가 1장의 절연기판(60)의 표면에 형성되고, 화소어레이(1) 등의 나머지의 회로부분은 절연기판(30)의 표면에 형성된다. 테스트로 정상이던 절연기판(60)이 테스트로 정상이던 절연기판(30)의 기판실장영역에 실장된다. 이때, 절연기판(60)의 실장방법은, 도 9 등에서 설명한 방법과 동일하므로, 그 설명은 반복하지 않는다. 이 변경예라도, 컬러액정표시장치의 수율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화소(2)에 포함되어 있는 TFT와 동일한 도전형(여기서는 N형)의 TFT만으로 시프트 레지스터(6) 및 드라이버(7)를 형성하면(일본특허공개 2002-3281643호 공보, 일본특허공개평 9-246936호 공보 참조), 장치의 저비용화를 도모할 수 있다.
도 11의 컬러액정표시장치에서는, 아날로그앰프(14), D/A 컨버터(32), 레벨시프터(3, 4) 및 전원회로(15)가 1장의 절연기판 60의 표면에 형성되고, 시프트 레지스터(6) 및 드라이버(7)가 또 1장의 절연기판 61의 표면에 형성되고, 화소어레이(1) 등의 나머지의 회로부분은 절연기판(30)의 표면에 형성된다. 테스트로 정상이던 절연기판(60, 61)이 테스트로 정상이던 절연기판(30)의 기판실장영역에 실장된다. 이 변경예라도, 컬러액정표시장치의 수율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이때, 이 변경예에서는, 화소를 비결정질 실리콘으로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2의 컬러액정표시장치에서는, 아날로그앰프(14), D/A 컨버터(32), 레벨시프터(3, 4), 전원회로(15), 시프트 레지스터(6) 및 드라이버(7)가 1장의 절연기판 62의 표면에 형성되고, 화소어레이(1) 등의 나머지 회로부분은 절연기판 30의 표면에 형성된다. 테스트로 정상이던 절연기판 62가 테스트로 정상이던 절연기판 30의 기판실장영역에 실장된다. 이 변경예라도, 컬러액정표시장치의 수율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이때, 이 변경예에서도, 화소를 비결정질 실리콘으로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실시예 3)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의한 컬러화상표시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로서, 도 1과 대비되는 도면이다. 도 13을 참조하여, 이 컬러화상표시장치가 도 1의 컬러액정표시장치와 다른 점은, 화소어레이 1 및 수평주사회로 8이 각각 화소어레이 71 및 수평주사회로 73으로 치환되어 있는 점이다.
화소어레이 71은, 화소어레이 1의 컬러화소 2를 컬러화소 72로 치환한 것이다. 컬러화소 72는, R, G, B용의 3개의 부화소(80)를 포함한다. 부화소 80은,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N형 TFT(81∼83), 커패시터(84), 및 EL(일렉트로 루미네센스) 소자(85)를 포함한다. EL 소자(85) 및 N형 TFT 83은, 전원전위 VDD의 라인과 접지전위 VSS의 라인과의 사이에 직렬접속된다. N형 TFT 81은 데이터선 DL과 N형 TFT 83의 드레인(노드 N81)과의 사이에 접속되고, N형 TFT 82는 노드 N81과 N형 TFT 83의 게이트(노드 N82)와의 사이에 접속된다. N형 TFT 81, 82의 게이트는, 모두 게이트선 GL에 접속된다. 커패시터 84는, 노드 N82와 접지전위 VSS의 라인과의 사이에 접속된다.
게이트선 GL이 선택레벨의 「H」레벨로 상승되면, N형 TFT 81, 82가 도통한다. 화상 데이터신호(D0∼D5)에 따른 레벨의 전류가 데이터선 DL에 흐르면, 그 전류가 N형 TFT 81, 83을 통해 접지전위 VSS의 라인에 흐르고, 커패시터 84가 N형 TFT 83의 게이트전위로 충전된다. 게이트선 GL이 비선택레벨의 「L」레벨로 강하하면, N형 TFT 81, 82가 비도통이 되고, EL 소자 85 및 N형 TFT 83에는 커패시터 84의 충전전위에 따른 레벨의 전류가 흐른다. EL 소자 85는, 그 전류에 따른 광강도로 발광한다.
도 13으로 되돌아가, 수평주사회로 73은, 도 1의 수평주사회로 8의 레더저항(12), 멀티플렉서(13) 및 아날로그앰프(14)를 전류원(74)으로 치환한 것이다. 전류원 74는, 각 데이터선 DL마다, 데이터래치 11로부터 공급된 데이터신호(D0∼D5)를 아날로그전류로 변환하고, 그 아날로그전류를 데이터선 DL에 공급한다.
이 실시예 3에서도, 실시예 1, 2와 마찬가지로, 불량이 발생하기 쉬운 적어도 전류원 74가 형성된 제1 절연기판과, 적어도 화소어레이 71이 형성된 제2 절연기판을 각각 준비하고, 각각의 양부를 테스트하여, 양호한 제1 절연기판만을 양호한 제2 절연기판에 실장함으로써, 컬러화상표시장치의 수율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 고, 컬러화상표시장치의 저비용화를 도모할 수 있다.
이때, 이상의 실시예 1∼3에서는, 액정셀(22), EL 소자(85)를 사용한 화상표시장치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다른 어떠한 광학소자를 사용한 화상표시장치에도 적용가능한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여 나타내 왔지만, 이것은 예시를 위한 것으로서, 한정될 수 없고, 발명의 정신과 범위는 첨부한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해서만 한정되는 것이 명백하게 이해될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관한 화상표시장치에서는, 복수행 복수열로 배치되고, 각각이 화소전위에 따른 계조의 화소를 표시하는 복수의 화소표시회로와, 각각 복수행에 대응하여 설치된 복수의 게이트선과, 각각 복수열에 대응하여 설치된 복수의 데이터선을 포함하는 화소어레이와, 복수의 게이트선을 소정시간씩 순차 선택하고, 선택한 게이트선에 대응하는 각 화소표시회로를 활성화시키는 수직주사회로와, 수직주사회로에 의해 1개의 게이트선이 선택되는 동안에, 복수의 데이터선을 통해 활성화된 각 화소표시회로에 화소전위를 공급하는 수평주사회로와, 그 표면에 적어도 화소어레이가 형성된 기판과, 기판의 표면에 실장된 적어도 하나의 부절연기판을 구비한 것이다. 여기서, 수직주사회로 및 수평주사회로는 기판 및 적어도 하나의 부절연기판의 표면에 분산배치되고, 수평주사회로 중 적어도 복수의 데이터선에 접속되어 있는 회로부분은 적어도 하나의 부절연기판의 표면에 형성되어 있 다. 따라서, 수평주사회로 중 적어도 복수의 데이터선에 접속되어 있는 회로부분이 형성된 부절연기판과, 적어도 화소어레이가 형성된 기판을 각각 준비하고, 각각의 양부를 테스트하여, 양호한 부절연기판만을 양호한 기판에 실장함으로써, 화상표시장치의 수율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어, 화상표시장치의 저비용화를 도모할 수 있다.

Claims (8)

  1. 복수행 복수열로 배치되고, 각각이 화소전위에 따른 계조의 화소를 표시하는 복수의 화소표시회로와, 각각 상기 복수행에 대응하여 설치된 복수의 게이트선과, 각각 상기 복수열에 대응하여 설치된 복수의 데이터선을 포함하는 화소어레이와,
    상기 복수의 게이트선을 소정시간씩 순차 선택하고, 선택한 게이트선에 대응하는 각 화소표시회로를 활성화시키는 수직주사회로와,
    상기 수직주사회로에 의해 1개의 게이트선이 선택되어 있는 동안에, 상기 복수의 데이터선을 통해 활성화된 각 화소표시회로에 화소전위를 공급하는 수평주사회로와,
    그 표면에 적어도 상기 화소어레이가 형성된 절연기판, 및 상기 절연기판의 표면에 실장된 부절연기판을 구비하고,
    상기 화소표시회로는 액정셀을 포함하며,
    상기 수평주사회로는,
    화상 데이터신호에 따라, 각각 상기 복수의 데이터선에 대응하는 복수의 화소전위를 발생하는 화소전위 발생회로와,
    상기 화소전위 발생회로에서 발생된 상기 복수의 화소전위를 증폭하여 각각 상기 복수의 데이터선에 공급하는 증폭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수직주사회로 및 상기 화소전위 발생회로는 상기 절연기판의 표면에 형성되고,
    상기 증폭회로는 상기 부절연기판의 표면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표시장치.
  2. 복수행 복수열로 배치되고, 각각이 화소전위에 따른 계조의 화소를 표시하는 복수의 화소표시회로와, 각각 상기 복수행에 대응하여 설치된 복수의 게이트선과, 각각 상기 복수열에 대응하여 설치된 복수의 데이터선을 포함하는 화소어레이와,
    상기 복수의 게이트선을 소정시간씩 순차 선택하고, 선택한 게이트선에 대응하는 각 화소표시회로를 활성화시키는 수직주사회로와,
    상기 수직주사회로에 의해 1개의 게이트선이 선택되어 있는 동안에, 상기 복수의 데이터선을 통해 활성화된 각 화소표시회로에 화소전위를 공급하는 수평주사회로와,
    그 표면에 적어도 상기 화소어레이가 형성된 절연기판, 및 상기 절연기판의 표면에 실장된 부절연기판을 구비하고,
    상기 화소표시회로는 액정셀을 포함하며,
    상기 수평주사회로는,
    화상 데이터신호에 따라, 각각 상기 복수의 데이터선에 대응하는 복수의 화소전위를 발생하는 화소전위 발생회로와,
    상기 화소전위 발생회로에서 발생된 상기 복수의 화소전위를 증폭하여 각각 상기 복수의 데이터선에 공급하는 증폭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수직주사회로는 상기 절연기판의 표면에 형성되고,
    상기 수평주사회로는 상기 부절연기판의 표면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표시장치.
  3. 삭제
  4. 제2항에 있어서,
    외부 전원전위에 기초하여 내부 전원전위를 생성하는 전원회로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전원회로는, 상기 수평주사회로와 함께 상기 부절연기판의 표면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표시장치.
  5. 복수행 복수열로 배치되고, 각각이 화소전위에 따른 계조의 화소를 표시하는 복수의 화소표시회로와, 각각 상기 복수행에 대응하여 설치된 복수의 게이트선과, 각각 상기 복수열에 대응하여 설치된 복수의 데이터선을 포함하는 화소어레이와,
    상기 복수의 게이트선을 소정시간씩 순차 선택하고, 선택한 게이트선에 대응하는 각 화소표시회로를 활성화시키는 수직주사회로와,
    상기 수직주사회로에 의해 1개의 게이트선이 선택되어 있는 동안에, 상기 복수의 데이터선을 통해 활성화된 각 화소표시회로에 화소전위를 공급하는 수평주사회로와,
    그 표면에 적어도 상기 화소어레이가 형성된 절연기판, 및 상기 절연기판의 표면에 실장된 부절연기판을 구비하고,
    상기 화소표시회로는 전계발광소자를 포함하며,
    상기 수평주사회로는, 화상 데이터신호에 따라 각 데이터선에 전류를 공급하고, 각 데이터선에 상기 화소전위를 발생시키는 전류원을 포함하고,
    상기 수직주사회로는 상기 절연기판의 표면에 형성되고,
    상기 전류원은 상기 부절연기판의 표면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표시장치.
  6. 복수행 복수열로 배치되고, 각각이 화소전위에 따른 계조의 화소를 표시하는 복수의 화소표시회로와, 각각 상기 복수행에 대응하여 설치된 복수의 게이트선과, 각각 상기 복수열에 대응하여 설치된 복수의 데이터선을 포함하는 화소어레이와,
    상기 복수의 게이트선을 소정시간씩 순차 선택하고, 선택한 게이트선에 대응하는 각 화소표시회로를 활성화시키는 수직주사회로와,
    상기 수직주사회로에 의해 1개의 게이트선이 선택되어 있는 동안에, 상기 복수의 데이터선을 통해 활성화된 각 화소표시회로에 화소전위를 공급하는 수평주사회로와,
    그 표면에 적어도 상기 화소어레이가 형성된 절연기판, 및 상기 절연기판의 표면에 실장된 부절연기판을 구비하고,
    상기 화소표시회로는 전계발광소자를 포함하며,
    상기 수평주사회로는, 화상 데이터신호에 따라 각 데이터선에 전류를 공급하고, 각 데이터선에 상기 화소전위를 발생시키는 전류원을 포함하고,
    상기 수직주사회로는 상기 절연기판의 표면에 형성되고,
    상기 수평주사회로는 상기 부절연기판의 표면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표시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외부 전원전위에 기초하여 내부 전원전위를 생성하는 전원회로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전원회로는, 상기 수평주사회로와 함께 상기 부절연기판의 표면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표시장치.
  8. 제1항 내지 제2항, 제4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기판 및 상기 부절연기판은 모두 유리로 형성되고,
    상기 절연기판 상의 회로 및 상기 부절연기판 상의 회로는 모두 폴리실리콘으로 형성된 박막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표시장치.
KR1020040044478A 2003-06-17 2004-06-16 화소어레이를 구비한 화상표시장치 KR10065332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3-00172157 2003-06-17
JP2003172157A JP2005010282A (ja) 2003-06-17 2003-06-17 画像表示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111076A KR20040111076A (ko) 2004-12-31
KR100653321B1 true KR100653321B1 (ko) 2006-12-04

Family

ID=335161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44478A KR100653321B1 (ko) 2003-06-17 2004-06-16 화소어레이를 구비한 화상표시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040257388A1 (ko)
JP (1) JP2005010282A (ko)
KR (1) KR100653321B1 (ko)
CN (1) CN1573901A (ko)
DE (1) DE102004029362A1 (ko)
TW (1) TW200500990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200703216A (en) * 2005-07-12 2007-01-16 Sanyo Electric Co Electroluminescense display device
US9153341B2 (en) 2005-10-18 2015-10-06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Shift register, semiconductor device, display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JP4528748B2 (ja) * 2006-07-20 2010-08-18 Okiセミコンダクタ株式会社 駆動回路
JP4528759B2 (ja) * 2006-11-22 2010-08-18 Okiセミコンダクタ株式会社 駆動回路
JP5542296B2 (ja) 2007-05-17 2014-07-09 株式会社半導体エネルギー研究所 液晶表示装置、表示モジュール及び電子機器
JP2009162936A (ja) * 2007-12-28 2009-07-23 Rohm Co Ltd ソースドライバ回路
TWI404011B (zh) * 2009-03-18 2013-08-01 Pervasive Display Co Ltd 非揮發性顯示模組及非揮發性顯示裝置
EP2544169A4 (en) * 2010-03-03 2015-04-22 Sharp Kk DISPLAY DEVICE, ITS CONTROL METHOD,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TWM474933U (zh) * 2013-06-17 2014-03-21 Sitronix Technology Corp 顯示面板的驅動電路及其驅動模組與顯示裝置
JP2019136464A (ja) * 2018-02-06 2019-08-22 日本電産コパル電子株式会社 遊技用表示装置
JP2022153393A (ja) * 2019-12-13 2022-10-12 株式会社半導体エネルギー研究所 液晶表示装置
JP7237439B1 (ja) 2022-07-01 2023-03-13 株式会社半導体エネルギー研究所 透過型液晶表示装置、電子機器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97400A (ja) * 1992-04-21 1993-11-12 Toshiba Corp 液晶表示装置
JPH06181394A (ja) * 1992-04-30 1994-06-28 Sharp Corp パネルの実装構造および実装方法並びに樹脂供給硬化装置および樹脂供給硬化方法
JPH08262469A (ja) * 1996-01-12 1996-10-11 Semiconductor Energy Lab Co Ltd 液晶電気光学装置
JPH08334776A (ja) * 1996-06-03 1996-12-17 Semiconductor Energy Lab Co Ltd 液晶電気光学装置
JPH10321983A (ja) * 1997-05-20 1998-12-04 Canon Inc 端子接続構造
KR20020095093A (ko) * 2001-06-08 2002-12-20 산요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집적 회로 칩 및 이것을 이용한 표시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00847A (en) * 1990-05-01 1993-04-06 Casio Computer Co., Lt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having driving circuit forming on a heat-resistant sub-substrate
KR100391843B1 (ko) * 2001-03-26 2003-07-16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액정 표시 장치의 실장 방법 및 그 구조
JP4088422B2 (ja) * 2001-04-26 2008-05-21 株式会社日立製作所 表示データの伝送方法及び液晶表示装置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97400A (ja) * 1992-04-21 1993-11-12 Toshiba Corp 液晶表示装置
JPH06181394A (ja) * 1992-04-30 1994-06-28 Sharp Corp パネルの実装構造および実装方法並びに樹脂供給硬化装置および樹脂供給硬化方法
JPH08262469A (ja) * 1996-01-12 1996-10-11 Semiconductor Energy Lab Co Ltd 液晶電気光学装置
JPH08334776A (ja) * 1996-06-03 1996-12-17 Semiconductor Energy Lab Co Ltd 液晶電気光学装置
JPH10321983A (ja) * 1997-05-20 1998-12-04 Canon Inc 端子接続構造
KR20020095093A (ko) * 2001-06-08 2002-12-20 산요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집적 회로 칩 및 이것을 이용한 표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5010282A (ja) 2005-01-13
US20040257388A1 (en) 2004-12-23
KR20040111076A (ko) 2004-12-31
TW200500990A (en) 2005-01-01
CN1573901A (zh) 2005-02-02
DE102004029362A1 (de) 2005-01-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67314B1 (ko) 액정표시장치
KR101513271B1 (ko) 표시장치
US8159447B2 (en) Display driving apparatus and display apparatus comprising the same
JP5778485B2 (ja) パネル表示装置のデータドライバ
JP3964337B2 (ja) 画像表示装置
CN113287161B (zh) 显示模块和显示模块的驱动方法
JP3960780B2 (ja) アクティブマトリクス型表示装置の駆動方法
CN101401145B (zh) 电流驱动型显示装置和像素电路
US8289273B2 (en) Scan line driving circuit, electro-optical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KR100653321B1 (ko) 화소어레이를 구비한 화상표시장치
KR20030089417A (ko) 화상 표시장치
US20230080385A1 (en) Display substrate and driving method therefor, and display device
US20070018933A1 (en) Driving circuit for display device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JP3960781B2 (ja) アクティブマトリクス型表示装置
US11200864B2 (en) Level voltage generation circuit, data driver, and display apparatus
CN113870762B (zh) 一种显示面板及其驱动方法、显示装置
KR100933447B1 (ko) 액정 표시 패널의 게이트 구동 방법 및 장치
US7317441B2 (en) Constant current circuit, drive circuit and image display device
US11783784B2 (en) Display device, driving circuit and driving method
KR20040025599A (ko) 메모리회로, 표시회로 및 표시장치
US20070216618A1 (en) Display device
US11961458B2 (en)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for
KR100780507B1 (ko) 액티브 매트릭스형 표시 장치 및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
JP2010276800A (ja) 表示装置、信号線の電圧補正方法、及び信号線駆動部
JP4570633B2 (ja) 画像表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