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52584B1 - 주방용 배기후드 - Google Patents

주방용 배기후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52584B1
KR100652584B1 KR1020040066068A KR20040066068A KR100652584B1 KR 100652584 B1 KR100652584 B1 KR 100652584B1 KR 1020040066068 A KR1020040066068 A KR 1020040066068A KR 20040066068 A KR20040066068 A KR 20040066068A KR 100652584 B1 KR100652584 B1 KR 1006525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n
hood
indoor air
exhaust duct
exhau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660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17406A (ko
Inventor
손상범
이제준
백승조
송성배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660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52584B1/ko
Publication of KR200600174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174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525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525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5/00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D25/02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 F04D25/08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working fluid being air, e.g. for venti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20Removing cooking fumes
    • F24C15/2028Removing cooking fumes using an air curtai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20Removing cooking fumes
    • F24C15/2071Removing cooking fumes mounting of cooking hoo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DINDEXING SCHEME FOR ASPECTS RELATING TO NON-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GAS-TURBINES OR JET-PROPULSION PLANTS
    • F05D2210/00Working fluids
    • F05D2210/10Kind or type
    • F05D2210/12Kind or type gaseous, i.e. compressib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2007/001Ventilation with exhausting air duc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28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using the Coanda effec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Venti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주방용 배기후드에 관한 것으로, 공기를 서로 다른 방향으로 송풍시키는 배출팬과 회류팬이 팬 하우징에 하나의 모터로 구동되도록 조립된 후드팬이 구비된 주방용 배기후드에 있어서, 상기 후드팬이 상기 수직 배기덕트의 내부 중간에 배치되고, 상기 수직 배기덕트의 중간부에 유입구가 형성되며, 상기 수직 배기덕트의 하부에 일체로 확장 형성되는 수평 배기덕트의 내부에는 가이드 베인이 설치되어 상기 배출팬에 의해 실내공기를 상부로 배출되도록 안내하는 실내공기 배출통로와, 상기 회류팬에 의해 실내공기를 상기 유입구로 유입시켜 하부로 회류시키는 실내공기 회류통로가 형성되어 구성된다. 이러한 본 발명은 원가를 절감하고, 소음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제품의 소형화에도 유리한 이점이 있다. 또한, 종래에는 전방으로 확산되는 오염물질만을 방지하고 있지만 본 발명은 전방 뿐만 아니라, 좌,우방향으로 확산되는 것을 방지하고 있어 실제로 요리 시 발생하는 오염물질이 주방 내부로 확산되는 것을 확실하게 억제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주방용 배기후드{EXHAUSTION HOOD FOR COOKROOM}
도 1은 종래 주방용 배기후드의 한 형태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종래 주방용 배기후드의 한 형태를 보인 종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주방용 배기후드를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주방용 배기후드의 종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배기후드용 팬을 보인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수직 배기덕트 101 : 유입구
110 : 수평 배기덕트 111 : 실내공기 배출통로
112 : 실내공기 회류통로 113 : 유출구
120 : 가이드 베인 130 : 그리스필터
200 : 후드팬 210 : 배출팬
220 : 회류팬
본 발명은 주방용 배기후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주방용 배기후드의 주 역할 인 실내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배출팬과, 실내공기를 회류시켜 오염물질의 확산을 방지시키기 위한 회류팬을 하나의 모터를 이용하여 구동하고, 원가 절감, 소음 감소 및 제품의 소형화에 유리하도록 하며, 요리 시 발생하는 오염물질이 주방 내부로 확산되는 것을 확실하게 억제할 수 있도록 한 주방용 배기후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의 주방 또는 상업용 주방의 조리대에서는 음식을 조리함에 따라 열 뿐 아니라, 연기, 냄새, 기름증기 등의 오염물질이 발생하게 되고, 이 오염물질은 열에 의하여 부유하여 주방 또는 실내 전체에 확산되게 된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조리대의 상측에는 배기 후드가 설치되고 외측으로 연결되는 덕트가 연결되어, 팬을 가동함으로써 조리에 의하여 발생하는 오염물질을 배출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일반적인 배기 후드는 그 효율이 매우 떨어지고 소음이 커서, 실제로 공기 정화의 효과는 매우 작으며 오히려 그 소음으로 인한 소음공해가 더해지고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최근에 건설되고 있는 고층 아파트 같은 경우에는 창문 등에 빈틈이 없도록 밀폐되어 건축되고 있으므로 상기와 같은 실내에서의 환기 문제는 더욱 중대해지고 있다.
그리하여 최근에는 상기와 같은 일반적인 배기 후드를 개량을 시도해왔고, 특히, 일본이나 유럽에서는 배기 뿐 아니라 급기를 이용함으로써 그 효율을 높이고자 하는 제품이 개발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급기를 이용한 덕트는 그 효율의 증가가 만족스럽지 못하며 경우에 따라서는 오히려 배기되는 공기에 와류를 일으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주방 및 주거공간에 열 부하 및 오염물질이 다른 공간으로 확산하는 것을 방지하고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도록 하여, 주방의 공간을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한 주방용 배기후드가 실용신안 출원번호 20-2001-16701에 알려지고 있다.
도 1은 종래의 주방용 배기 후드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고, 도 2는 종래의 주방용 배기 후드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로서, 천장면에 대하여 수평방향으로 설치되며 그리스필터(11)가 설치되는 흡입부(10)와; 상기 흡입부(10)의 일측 상부에 설치되고 배기팬(21)이 구성되어 상기 흡입부(10)에서 흡입한 실내공기를 배출하는 배기덕트(20)와; 상기 배기덕트(20)의 배기팬(21) 상측에 설치되는 필터부(22)와 상기 흡입부(20)의 상측의 상기 배기덕트(20)와 인접하는 부분에 설치되어 실내공기를 유입하여 배출하는 원통형팬(30)과; 상기 원통형 팬(30)에 연결되어 단부가 하측방향으로 굽은 모양의 덕트(40)와; 상기 덕트(40)의 단부에설치되어 상기 원통형 팬(30)에 의하여 유입된 실내공기를 하측방향과 상기 흡입부(10) 측으로 배출하는 노즐부(50)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노즐부(50)는 가이드 베인에 의하여 형성되는 하향노즐(51)과; 단부에 원통형으로 형성된 유인부(52a)가 설치되는 유인노즐(52)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원통형 팬(30)은 상측의 개구부로부터 공기를 유입하며, 상기 개구부에는 필터(31)를 구성하여, 신선한 공기를 유입하여 노즐부(50)를 통하여 토출 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덕트(40)에는 상기 하향노즐(51)측과 유인노즐(52)측을 분리하도록 가이드베인을 구성하여, 상기 하향노즐(51)측의 풍속과 유인노즐(52)측의 풍속을 별도로 제어할 수가 있고, 배기팬(21)에 대한 풍속도 제어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주방용 배기 후드는 '코안다 원리'에 근거하여 후드의 배기 풍량의 8 ~ 15% 정도 되는 풍량이 후드의 하단부를 가로질러 불어감에 따라, 주방에서 조리에 의해 발생하는 상승열과 기름증기(그리스)가 포함된 공기를 후드 내측으로 유인하게 된다.
즉, 주방에서 조리시에 종래의 주방용 배기 후드를 가동하게 되면, 우선 배기덕트(20) 내에 설치된 배기팬(21)의작용에 의하여 조리시 발생하는 대부분의 오염물질이 상기 흡입부(10)로 흡입되어 그리스필터(11)를 통과하여 기름이 걸러진 상태로 상기 배기덕트(20)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며, 상기 원통형 팬(30)의 작용에 의하여 실내공기를 유입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유입된 공기는 상기 노즐부(40)를 통하여 실내로 토출하게 되는데, 일부는 하향노즐(51)을 통하여 실내로 토출되도록 하여 조리에 의하여 발생하는 오염물질을 희석시키는 역할을 하게 되며, 일부는 유인노즐(52)을 통하여 오염물질을 상기 흡입부(10)로 포집하여 운반하게 된다.
상기 하향노즐(52)에는 원통형의 유인부(52a)가 형성되어, 상기 원통형 팬(30)을 통하여 유입된 공기가 상기 유인부(52a)의 곡면을 타고 상기 흡입부(10)측으로 적은 풍량이나 고속으로 토출되게 된다.
그리하면 상기 토출된 공기는 빠른 속도에 의하여 큰 포집력을 갖게 되고, 따라서 상기 배기팬(21)에 의한 흡입부(10)의 흡입력에 의하여 포집되지 못하고 확산되는 공기를 포집하여 상기 흡입부(10)로 흡입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주방용 배기후드는 종래의 침니형 후드 시스템에서는 흡입하지 못하고 전방으로 확산되는 오염물질을 방방지하기 위하여 별도의 횡류팬을 설치한 것으로 원가가 상승되고 소음이 증대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횡류팬의 크기로 인해 제품의 두께가 두꺼워 질 수 밖에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 및 결함을 해소하기 위하여 창안한 것으로, 주방용 배기후드의 주 역할인 실내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배출팬과, 실내공기를 회류시켜 오염물질의 확산을 방지시키기 위한 회류팬을 하나의 모터를 이용하여 구동하고, 원가 절감, 소음 감소 및 제품의 소형화에 유리하도록 하며, 요리 시 발생하는 오염물질이 주방 내부로 확산되는 것을 확실하게 억제할 수 있게 되는 주방용 배기후드를 제공하고자 함에 목적이 있다.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주방용 배기후드는 설치장소의 천장 하부에 설치되어 실내공기를 상방향으로 배출시키는 수직 배기덕트와; 상기 수직 배기덕트의 하부에 일체로 확장 형성되는 수평 배기덕트와; 상기 수직 배기덕트의 내부에 설치되어 후드의 하부에서 실내공기를 흡입하여 상부로 배출시키는 후드의 중간부에서 실내공기를 흡이하여 후드의 하부로 회류시키는 후드팬과; 상기 수평 배기덕트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수평 배기덕트의 내부 영역을 구분하는 가이드 베인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후드팬은 모터 1개에 2개의 원심형 팬(시로코팬)이 연결된 구성으로 되어 있으며, 이와 같은 후드팬을 채용한 본 발명의 팬 시스템은 서로 다른 곳에서 실내공기를 유입하여 서로 다른 방향으로 유출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와 같은 팬 시스템을 장착하면 2개의 팬 중 큰 쪽은 메인 후드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즉, 오염물질을 덕트 하부에서 흡입하여 외부로 배출시킨다.
반면에 작은 쪽의 팬은 주방 실내의 공기를 덕트 전면으로 흡입하여 오염물질의 확산 방지를 위하여 후드의 사방 모서리부 중 적어도 한 부분에 형성된는 유출구로 배출시키게 된다.
이때 토출되는 모서리부는 전방의 1 모서리부일 수 있고, 또는 전방 및 좌, 우측 3 모서리부일 수 있도록 후드 내부에 유로가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주방용 배기후드의 한 구체적인 형태는 설치장소의 천장 하부에 설치되어 실내공기를 상방향으로 배출시키는 수직 배기덕트와; 상기 수직 배기덕트의 하부에 일체로 확장 형성되는 수평 배기덕트와; 상기 수직 배기덕트의 내부에 설치되고 실내공기를 흡입하여 상부로 배출시키는 배출팬과, 실내공기를 상기 수직 배기덕트의 중간부에 형성된 유입구로 흡입하여 오염물질 확산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수평 배기덕트의 하부로 배출시키는 후드팬이 팬 하우징에 하나의 모터로 구동되도록 조립된 후드팬과; 상기 수평 배기덕트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수평 배기덕트의 내부 영역을 구분하는 가이드 베인과; 상기 수평 배기덕트의 내부 영역이 상기 가이드 베인에 의해 구분 형성되어 상기 배출팬에 의해 실내공기를 상부로 배출되도록 안내하는 실내공기 배출통로와, 상기 수평 배기덕트의 내부 영역이 상기 가이드 베인에 의해 구분 형성되어 상기 후드팬에 의해 실내공기를 하부로 회류시키는 실내공기 회류통로와; 상기 수평 배기덕트의 실내공기 배출통로 하면에 설치되는 그리스필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후드팬의 배출팬과 후드팬은 팬 하우징의 내부에 하나의 모터로 함께 구동되도록 시로코팬을 설치하여 구성된다.
상기 수평 배기덕트의 실내공기 회류통로에는 사방 모서리부의 적어도 어느 한 부분에 유출구가 형성되어 구성된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한 도면에 실시예를 들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주방용 배기후드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주방용 배기후드의 종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배기후드용 팬을 보인 사시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설치장소의 천장 하부에 설치되어 실내공기를 상방향으로 배출시키는 수직 배기덕트(100)와; 상기 수직 배기덕트(100)의 하부에 일체로 확장 형성되는 수평 배기덕트(110)와; 상기 수직 배기덕트(100)의 내부에 설치되고 실내공기를 흡입하여 상부로 배출시키는 배출팬(210)과, 실내공기를 상기 수직 배기덕트(100)의 중간부에 형성된 유입구(101)로 흡입하여 연기, 냄새, 기름증기 등의 오염물질 확산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수평 배기덕트(110)의 하부로 배출시키는 회류팬(220)이 팬 하우징(201)에 하나의 모터로 구동되도록 조립된 후드팬(200)과; 상기 수평 배기덕트(110)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수평 배기덕트(110)의 내부 영역을 구분하는 가이드 베인(120)과; 상기 수평 배기덕트(110)의 내부 영역이 상기 가이드 베인(120)에 의해 구분 형성되어 상기 배출팬(210)에 의해 실내공기를 상부로 배출되도록 안내하는 실내공기 배출통로(111)와, 상기 수평 배기덕트(110)의 내부 영역이 상기 가이드 베인(120)에 의해 구분 형성되어 상기 회류팬(220)에 의해 실내공기를 하부로 회류시키는 실내공기 회류통로(112)와; 상기 수평 배기덕트(110)의 실내공기 회류통로(112) 하면에 설치되는 그리스필터(13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상기 후드팬(200)의 배출팬(210)과 회류팬(220)은 팬 하우징(201)의 내부에 하나의 모터로 함께 구동되도록 원심형 팬(시로코팬)을 설치하여 구성된다.
상기 수평 배기덕트(110)의 실내공기 회류통로(112)에는 사방 모서리부의 적 어도 어느 한 부분, 즉 전방, 후방, 좌측방, 우측방의 모서리중 어느 한 모서리부에 유출구(113)가 형성되어 상기 회류팬(220)에 의해 수직 배기덕트(100)의 유입구(101)로 흡입된 실내공기가 수평 배기덕트(110)의 실내공기 회류통로(112)의 유출구(113)로 배출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주방용 배기후드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의한 주방용 배기후드는 설치장소의 천장 하부에 설치되어 실내공기를 상방향으로 배출시키는 수직 배기덕트(100)의 하부에 수평 배기덕트(110)가 일체로 확장 형성되고, 상기 수직 배기덕트(100)에는 실내공기를 배출시키는 배출팬(210)과 회류시키는 회류팬(220)이 팬 하우징(201)에 하나의 모터로 구동되도록 조립된 후드팬(200)이 설치되어 있으므로 후드팬(200)에 구동되면 배출팬(210)과 회류팬(220)이 함께 회전하며, 주방의 실내공기가 배출팬(210)의 흡입력에 의해 수평 배기덕트(110)의 하면에 부착된 그리스필터(130)를 통하여 연기, 냄새, 기름증기 등의 오염물질이 여과되면서 수직 배기덕트(100)의 실내공기 배출통로(111) 내부로 흡입되어 외부로 배출된다.
그리고, 회류팬(220)에 의해 수직 배기덕트(100)의 중간부에 형성된 유입구(101)를 통하여 수평 배기덕트(110)의 실내공기 회류통로(112)로 유입된 실내공기가 수평 배기덕트(110)의 사방 모서리부 중 적어도 하나의 모서리부에 형성된 유출구(112), 예를 들어 전방 및 좌,우측 모서리부에 형성된 유출구(112)를 통하여 수평 배기덕트(110)의 하부로 토출되어 연기, 냄새, 기름증기 등의 오염물질의 확산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주방용 배기후드의 주 역할인 실내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배출팬과, 실내공기를 회류시켜 오염물질의 확산을 방지시키기 위한 회류팬을 하나의 모터를 이용하여 구동하도록 한 후드팬을 수직 배기덕트에 설치하고, 배출팬에 의해 수직 배기덕트의 하부에 확장 형성된 수평 배기덕트의 실내공기 배출통로로 흡입된 실내공기를 후드 외부로 배출시키며, 회류팬에 의해 수직 배기덕트의 중간 유입구로 흡입된 실내공기를 실내공기 회류통로를 통해 후드 하부로 회류시키도록 한 것으로, 원가를 절감하고, 소음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제품의 소형화에도 유리한 이점이 있다.
또한, 종래에는 전방으로 확산되는 오염물질만을 방지하고 있지만 본 발명은 전방 뿐만 아니라, 좌,우방향으로 확산되는 것을 방지하고 있어 실제로 요리 시 발생하는 오염물질이 주방 내부로 확산되는 것을 확실하게 억제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3)

  1. 공기를 서로 다른 방향으로 송풍시키는 배출팬과 회류팬이 팬 하우징에 하나의 모터로 구동되도록 조립된 후드팬이 구비된 주방용 배기후드에 있어서,
    상기 후드팬이 상기 수직 배기덕트의 내부 중간에 배치되고, 상기 수직 배기덕트의 중간부에 유입구가 형성되며, 상기 수직 배기덕트의 하부에 일체로 확장 형성되는 수평 배기덕트의 내부에는 가이드 베인이 설치되어 상기 배출팬에 의해 실내공기를 상부로 배출되도록 안내하는 실내공기 배출통로와, 상기 회류팬에 의해 실내공기를 상기 유입구로 유입시켜 하부로 회류시키는 실내공기 회류통로가 형성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용 배기후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후드팬의 배출팬과 회류팬은 팬 하우징의 내부에 하나의 모터로 함께 구동되도록 시로코팬을 설치하여 구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용 배기후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 배기덕트의 실내공기 회류통로에는 사방 모서리부의 적어도 어느 한 부분에 유출구가 형성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용 배기후드.
KR1020040066068A 2004-08-20 2004-08-20 주방용 배기후드 KR1006525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66068A KR100652584B1 (ko) 2004-08-20 2004-08-20 주방용 배기후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66068A KR100652584B1 (ko) 2004-08-20 2004-08-20 주방용 배기후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17406A KR20060017406A (ko) 2006-02-23
KR100652584B1 true KR100652584B1 (ko) 2006-12-06

Family

ID=371254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66068A KR100652584B1 (ko) 2004-08-20 2004-08-20 주방용 배기후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52584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17406A (ko) 2006-0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34457B1 (ko) 환기 장치와 이를 포함한 환기 시스템
CN212408779U (zh) 具备涡轮风扇的抽油烟机
RU2526932C2 (ru) Вытяжной колпак
JP2009024595A (ja) 遠心ファン及びこれを用いた空気調和機
JP2001056142A (ja) 台所用換気システム
KR100577206B1 (ko) 환기시스템
KR100384700B1 (ko) 주방용 배기 후드
KR101985797B1 (ko) 환기 장치와 이를 포함한 환기 시스템
KR100393475B1 (ko) 주방용 배기 후드
KR100556835B1 (ko) 주방용 배기후드
KR102159103B1 (ko) 주방용 레인지 후드 시스템
KR20110012038U (ko) 보조 흡입구가 구비된 주방용 레인지 후드 장치
KR100652584B1 (ko) 주방용 배기후드
KR200386369Y1 (ko) 신선공기 도입형 주방용 레인지후드
KR100730403B1 (ko) 레인지 후드
KR200429243Y1 (ko) 주방용 후드 구조
KR102331409B1 (ko) 와류형 흡입 장치
JP3849065B2 (ja) フィルタを内蔵したレンジフード用ファン
KR100445402B1 (ko) 주방용 환기시스템
KR20050118784A (ko) 창문형 환기시스템
KR100619734B1 (ko) 주방용 배기후드
JPH04292735A (ja) レンジフード
CN217274355U (zh) 抽油烟机
KR200388215Y1 (ko) 싱크대 환기장치
KR200243749Y1 (ko) 주방용 배기 후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