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51543B1 - 동영상 화면의 왜곡을 감소시키는 휴대 단말기 - Google Patents

동영상 화면의 왜곡을 감소시키는 휴대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51543B1
KR100651543B1 KR1020050051647A KR20050051647A KR100651543B1 KR 100651543 B1 KR100651543 B1 KR 100651543B1 KR 1020050051647 A KR1020050051647 A KR 1020050051647A KR 20050051647 A KR20050051647 A KR 20050051647A KR 100651543 B1 KR100651543 B1 KR 1006515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ynchronization signal
image
vertical synchronization
frame
conver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516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상진
류영무
김지화
장우석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516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51543B1/ko
Priority to US11/340,607 priority patent/US20060284986A1/en
Priority to CNB200610007699XA priority patent/CN100418352C/zh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515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515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4Systems for two-way working
    • H04N7/141Systems for two-way working between two video terminals, e.g. videophone
    • H04N7/142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terminal equipment, e.g. arrangements of the camera and the displa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04Synchronis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Television Systems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카메라 모드 시 영상을 촬영하여 촬영된 영상 데이터를 프레임 단위로 출력하는 카메라부와, 상기 카메라부에서 출력되는 영상 프레임을 단위 시간당 소정 개수로 출력하며, 상기 출력되는 영상 프레임에 대한 동기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영상 처리부와, 상기 동기신호 중 수직동기신호의 프레임 주파수를 소정 비율로 줄이기 위한 소정의 변환펄스를 발생하는 펄스발생부와, 상기 수직동기신호와 상기 변환펄스의 조합에 따라 상기 수직동기신호의 프레임 주파수가 소정 비율로 변환된 변환수직동기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변환부와, 상기 변환수직동기신호에 따라 상기 영상처리부로부터 단위 시간당 소정 개수로 입력되는 영상 프레임의 개수를 조절하여 상기 표시부에 디스플레이 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휴대 단말기, 영상 왜곡

Description

동영상 화면의 왜곡을 감소시키는 휴대 단말기{WIRELESS TERMINAL FOR REDUCING MOVING PICTURE SCREEN DISTORTION}
도 1은 종래 휴대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수직동기신호, 변환펄스 및 변환수직동기신호의 타이밍 도.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휴대 단말기의 표시부에 디스플레이 되는 동영상 화면의 왜곡을 감소시키는 휴대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 휴대 단말기에 카메라가 구비되어 상기 카메라로부터 입력되는 영상 신호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는 기능이 구현되고 있다. 따라서 상기 카메라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는 영상 화면을 촬영하여 프레임(Frame) 처리에 따라 동영상(moving picture) 및 정지영상(still picture)으로 표시할 수 있으며, 촬영된 영상 화면을 전송할 수도 있다.
도 1은 종래 휴대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시된 휴대 단말기는 카메라부(10), 영상처리부(20), 제어부(30) 및 표시부(40)를 포함한다.
카메라부(10)는 영상을 촬영하여 촬영된 영상 데이터를 프레임 단위로 영상처리부(20)로 출력한다.
영상처리부(20)는 카메라부(10)에서 출력되는 영상 신호를 프레임 단위로 처리하며, 상기 프레임 영상 데이터를 표시부(40)의 특성 및 크기에 맞춰 출력한다.
또한 영상처리부(20)는 동영상 프레임(예컨대, 초당 30프레임의 동영상)을 출력할 경우 이에 대한 동기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한다.
제어부(30)는 상기 동기신호에 따라 영상처리부(20)에서 출력되는 동영상 프레임을 리딩하여 메모리(미도시)에 저장하거나, 표시부(40)를 통해 디스플레이 한다. 이 때 제어부(30)는 동기신호 중 수직동기신호가 입력될 때마다 영상처리부(20)로부터 동영상 프레임을 리딩하게 된다.
한편, 상기 휴대 단말기는 다른 휴대 단말기로 동영상을 전송할 때 제어부(30)는 영상처리부(20)에서 출력되는 높은 프레임(예컨대, 초당 30프레임)을 가지는 동영상을 통상 초당 15프레임의 동영상으로 변환한 후 전송하게 된다. 이는 초당 15프레임의 동영상이 초당 30프레임에 비해 영상의 화질이 나쁘지 않고 데이터의 용량을 줄일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제어부(30)는 높은 프레임을 가지는 동영상을 낮은 프레임을 가지는 동영상으로 변환 처리하기 위해 영상처리부(20)에서 출력되는 상기 수직동기신호를 하나씩 걸러 스킵(SKIP)한다. 즉, 제어부(30)는 일단 수직동기신호를 체크한 후 초당 30프레임의 프레임 주파수를 가지는 수직동기신호를 하나씩 걸러 스킵한 후, 동영상 프레임을 조절하게 된다.
하지만 제어부(30) 내에서 상기 수직동기신호를 하나씩 스킵하여 동영상 프레임수를 조절하기 때문에 많은 부하(Load)가 걸리게 되고, 이는 결국 프레임수가 조절된 동영상이 재생될 때 그 화면이 갈라지거나 왜곡되어 디스플레이 되는 문제점을 발생시키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전송용 동영상 재생 시 영상의 왜곡을 감소시키는 휴대 단말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카메라 모드 시 영상을 촬영하여 촬영된 영상 데이터를 프레임 단위로 출력하는 카메라부와, 상기 카메라부에서 출력되는 영상 프레임을 단위 시간당 소정 개수로 출력하며, 상기 출력되는 영상 프레임에 대한 동기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영상 처리부와, 상기 동기신호 중 수직동기신호의 프레임 주파수를 소정 비율로 줄이기 위한 소정의 변환펄스를 발생하는 펄스발생부와, 상기 수직동기신호와 상기 변환펄스의 조합 에 따라 상기 수직동기신호의 프레임 주파수가 소정 비율로 변환된 변환수직동기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변환부와, 상기 변환수직동기신호에 따라 상기 영상처리부로부터 단위 시간당 소정 개수로 입력되는 영상 프레임의 개수를 조절하여 상기 표시부에 디스플레이 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시된 휴대 단말기는 카메라부(110), 영상처리부(120), 펄스발생부(130), 변환부(140), 제어부(150) 및 표시부(160)를 포함한다.
카메라부(110)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카메라 모드 시 영상을 촬영하여 촬영된 영상 데이터를 프레임 단위로 영상처리부(120)에게 전달한다. 이 때 상기 촬영된 영상 데이터가 정지 영상이면 하나의 프레임이 영상처리부(120)로 전달되고,촬영된 영상 데이터가 동영상이면 초당 30개의 프레임이 연속적으로 영상처리부(120)로 전달된다.
영상처리부(120)는 카메라부(110)에서 출력되는 영상 신호를 프레임 단위로 처리하며, 상기 프레임 영상데이터를 표시부(160)의 특성 및 크기에 맞춰 출력한다. 또한 영상처리부(180)는 영상 코덱을 구비하며, 표시부(190)에 표시되는 프레임 영상데이터를 설정된 방식으로 압축하거나, 압축된 프레임 영상데이터를 원래의 프레임 영상데이터로 복원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영상처리부(120)는 카메라부(110)에서 출력되는 영상 프레임을 단위 시간당 소정 개수(예컨대, 30개)로 출력하며, 상기 출력되는 영상 프레임에 대한 동기신호를 생성하여 제어부(150)로 출력한다.
상기 동기신호는 수직동기신호(Vsync)와 수평동기신호(Hsync)로 구분된다. 예를 들어 영상처리부(120)에서 단위 시간당 30프레임이 출력된다면 상기 수평동기신호의 프레임 주파수는 30Hz가 될 것이다. 상기 수직동기신호와 수평동기신호는 공지된 내용이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펄스발생부(130)는 상기 동기신호 중 영상처리부(120)에서 상기 수직동기신호의 프레임 주파수를 소정 비율로 줄이기 위한 소정의 변환펄스를 발생한다. 상기 수직동기신호 및 변환펄스는 각각 N frame/s의 주기와 M frame/s의 주기를 가지며, 상기 변환펄스는 상기 수직동기신호보다 소정 시간 딜레이 되어 발생된다. 예를 들어 수직동기신호가 30frame/s의 주기(즉, 프레임 주파수는 30Hz)를 가질 때 상기 수직동기신호의 프레임 주파수를 30Hz에서 15Hz로 줄이고자 할 경우, 상기 변환펄스는 15frame/s의 주기를 가지며, 상기 수직동기신호보다 소정 시간(예컨대, 1/60초) 딜레이 되어 발생된다. 즉, 프레임 주파수를 줄이고자 할 경우 상기 N 값은 항상 M 값보다 큰 값이 된다.
한편, 상기 펄스발생부(130)는 영상처리부(120)에 포함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영상처리부(120)는 수직동기신호와 변환펄스를 같이 출력할 수 있다.
변환부(140)는 두개의 입력 단들 중 하나의 입력이 HIGH이면 출력이 HIGH인 특성을 가지고 있으며, 상기 수직동기신호와 상기 변환펄스의 조합에 따라 상기 수 직동기신호의 프레임 주파수가 소정 비율(예컨대, 1/2)로 변환된 변환수직동기신호를 생성하여 제어부(150)로 출력한다.
상기 도 2에서는 변환부(140)의 구성을 상기 수평동기신호와 변환펄스를 입력으로 하는 오아게이트(OR-GATE)로 예시하고 있다.
제어부(15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150)는 변환부(140)에서 출력되는 변환수직동기신호에 따라 영상처리부(120)로부터 단위 시간당 소정 개수로 입력되는 영상 프레임의 개수를 조절하여 표시부(160)에 디스플레이 한다.
즉, 제어부(150)는 상기 변환수직동기신호의 프레임 주파수가 15Hz이면 영상처리부(120)로부터 초당 15프레임의 동영상을 리딩하여 표시부(160)에 디스플레이 한다. 이는 영상처리부(120)에서 초당 30프레임으로 출력되는 동영상을 예컨대, 홀수번째 프레임들만 리딩하여 표시부(160)에 디스플레이 하고, 짝수번째 프레임들은 리딩하지 않고 삭제함을 의미한다.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제어부(150)는 수직동기신호를 직접 스킵하여 초당 30프레임의 동영상을 초당 15프레임의 동영상으로 변환할 필요 없이 보정된 동기신호(즉, 변환수직동기신호)를 입력받아 15프레임의 동영상만 영성처리부(120)로부터 리딩함으로써, 제어부(150)가 상기 수직동기신호를 직접 스킵할 때의 부하 인한 동영상 화면의 왜곡을 감소시킬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수직동기신호, 변환펄스 및 변환수직동기신호의 타이밍 도이다.
도 3(a)는 초당 30프레임의 프레임 주파수를 가지는 수직동기신호(Vsync)이고, 도 3(b)는 전송용 동영상 촬영 시 펄스발생부(130)에서 발생되는 변환펄스이고, 도 3(c)는 수직동기신호와 변환펄스를 입력으로 하는 변환부(140)에서 생성되어 출력된 변환수직동기신호이다.
도 3(a) 내지 도 3(c)를 참조하면 도 3(a)에 도시된 프레임 주파수가 30Hz 즉, 30frame/s의 주기를 가지는 수직동기신호를 도 3(c)에 도시된 15frame/s의 주기를 가지는 변환수직동기신호로 보정하고자 할 경우, 펄스발생부(130)는 도 3(b)에 도시된 변환펄스 즉, 15frame/s의 주기를 가지며 상기 수직동기신호보다 소정 시간 딜레이 되어 발생되는 변환펄스를 발생시켜 변환부(140)로 출력한다.
상기 도 2의 예에서 OR-GATE로 구성된 변환부(140)는 두개의 입력단들 중 하나의 입력이 HIGH이면 출력이 HIGH인 특성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변환부(140)는 도 3(a)의 수직동기신호와 도 3(b)의 변환펄스를 입력으로 받아들여 간단하게 30frame/s의 주기를 가지는 수직동기신호를 15frame/s의 주기를 가지는 변환수직동기신호로 출력하게 된다.
상술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 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 뿐만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의 제어부가 보정된 동기신호(즉, 변환수직동기신호)에 따라 동영상 프레임을 리딩하여 표시부에 디스플레이함으로써 제어부가 수직동기신호를 직접 스킵하여 동영상 프레임 수를 조절할 때 발생하는 부하로 인한 동영상 화면 왜곡을 감소시킬 수 있다.

Claims (8)

  1. 휴대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카메라 모드 시 영상을 촬영하여 촬영된 영상 데이터를 프레임 단위로 출력하는 카메라부와,
    상기 카메라부에서 출력되는 영상 프레임을 단위 시간당 소정 개수로 출력하며, 상기 출력되는 영상 프레임에 대한 동기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영상 처리부와,
    상기 동기신호 중 수직동기신호의 프레임 주파수를 소정 비율로 줄이기 위한 소정의 변환펄스를 발생하는 펄스발생부와,
    상기 수직동기신호와 상기 변환펄스의 조합에 따라 상기 수직동기신호의 프레임 주파수가 소정 비율로 변환된 변환수직동기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변환부와,
    상기 변환수직동기신호에 따라 상기 영상처리부로부터 단위 시간당 소정 개수로 입력되는 영상 프레임의 개수를 조절하여 상기 표시부에 디스플레이 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데이터는 동영상 데이터임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처리부는 상기 펄스발생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동기신호 및 변환펄스는 각각 N frame/s의 주기와 M frame/s의 주기를 가지며, 상기 변환펄스는 상기 수직동기신호보다 소정 시간 딜레이 되어 발생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N은 상기 M 보다 큰 값을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N값은 30, M값은 15임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변환부는
    상기 수평동기신호와 변환펄스를 입력으로 하는 하나의 오아게이트(OR-GATE)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변환수평동기신호는 상기 수직동기신호의 2배 주기를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KR1020050051647A 2005-06-15 2005-06-15 동영상 화면의 왜곡을 감소시키는 휴대 단말기 KR1006515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51647A KR100651543B1 (ko) 2005-06-15 2005-06-15 동영상 화면의 왜곡을 감소시키는 휴대 단말기
US11/340,607 US20060284986A1 (en) 2005-06-15 2006-01-27 Wireless terminal for reducing distortion of moving picture screen
CNB200610007699XA CN100418352C (zh) 2005-06-15 2006-02-17 用于减小运动画面屏幕的失真的无线终端和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51647A KR100651543B1 (ko) 2005-06-15 2005-06-15 동영상 화면의 왜곡을 감소시키는 휴대 단말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51543B1 true KR100651543B1 (ko) 2006-11-29

Family

ID=375199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51647A KR100651543B1 (ko) 2005-06-15 2005-06-15 동영상 화면의 왜곡을 감소시키는 휴대 단말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060284986A1 (ko)
KR (1) KR100651543B1 (ko)
CN (1) CN100418352C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0446B1 (ko) * 2016-07-26 2016-10-28 (주)큐브이미징시스템즈 카메라 영상 실시간 처리 장치 및 그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071636A1 (en) * 2008-12-16 2010-06-24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Controlling artifacts in video data
JP5195818B2 (ja) 2010-06-01 2013-05-15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表示制御装置
US9727991B2 (en) * 2013-03-01 2017-08-08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Foveated image rendering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02290B1 (ko) * 1991-09-28 1994-03-21 삼성전관 주식회사 평판형 화상 표시장치
TW376642B (en) * 1996-05-07 1999-12-1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Video signal processing apparatus
CN2297026Y (zh) * 1997-07-25 1998-11-11 电子工业部第五十四研究所 通信中改变传输速率的装置
JP3797838B2 (ja) * 1999-12-15 2006-07-19 三菱電機株式会社 画像表示装置
KR100463544B1 (ko) * 2002-12-14 2004-12-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채널 등화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디지털 tv 수신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0446B1 (ko) * 2016-07-26 2016-10-28 (주)큐브이미징시스템즈 카메라 영상 실시간 처리 장치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882038A (zh) 2006-12-20
US20060284986A1 (en) 2006-12-21
CN100418352C (zh) 2008-09-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10261228A1 (en) Image capture module and image capture method for avoiding shutter lag
JP2004159191A (ja) 画像データに応じたフレームレートの変換
US20060038888A1 (en) Image transmission apparatus
KR970073025A (ko) 피씨와 티브이 적응형 피아이피 영상신호 처리회로
US7388607B2 (en) Digital still camera
US8593575B2 (en) Video display apparatus for shortened-delay processing of a video signal and video processing method
KR100651543B1 (ko) 동영상 화면의 왜곡을 감소시키는 휴대 단말기
JP4756060B2 (ja) インターフェース変換回路
JPH10304317A (ja) ビデオ信号のスキャン方式変換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4028694B2 (ja) カメラ装置および当該カメラ装置を具備する電子装置
KR20080069318A (ko) 영역 영상을 처리하는 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8842193B2 (en) Imaging apparatus
KR20070122386A (ko) 부호화 데이터 전송 장치 및 부호화 데이터 전송 방법
KR100697626B1 (ko) 두 개의 카메라 모듈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연속촬영 방법
JP2015033020A (ja) 撮像装置、撮像方法、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JP4489760B2 (ja) 3dビデオ信号を生成する装置
EP3544292B1 (en) Image processing device, image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AU770732B2 (en) Apparatus for converting video format and method therefor
WO2020179618A1 (ja) 映像表示システム、映像変換装置及び映像表示方法
KR100663129B1 (ko) 디지털 영상 신호를 tv 신호로 변환하는 방법 및 장치
JP2006101227A (ja) 撮像装置および撮像システム
JP2545631B2 (ja) テレビジョン受信機
JP2005303512A (ja) カメラおよびデータ転送方法
KR101932545B1 (ko) 이미지처리프로세서를 포함한 영상처리장치
KR200274174Y1 (ko) 화면의 움직임 정도에 따라 촬상소자의 주기 및 해상도를조정하여 읽어내어 화상신호를 재현하는 기능을 갖는 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3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8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