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51116B1 - 도트 프린터용 인쇄 헤드, 그를 구비한 도트 프린터 및도트 프린터용 인쇄 헤드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도트 프린터용 인쇄 헤드, 그를 구비한 도트 프린터 및도트 프린터용 인쇄 헤드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51116B1
KR100651116B1 KR1020010016711A KR20010016711A KR100651116B1 KR 100651116 B1 KR100651116 B1 KR 100651116B1 KR 1020010016711 A KR1020010016711 A KR 1020010016711A KR 20010016711 A KR20010016711 A KR 20010016711A KR 100651116 B1 KR100651116 B1 KR 1006511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af spring
pin member
spherical body
dot printer
hol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167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33490A (ko
Inventor
고바야시오사무
도꾸나가하루히꼬
이또오기요시
이또오마사유끼
야부료스께
후루까와시게노부
미우라히로시
다자끼이사오
하마바게이지로
가와무라노보루
Original Assignee
후지제롯쿠스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제롯쿠스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제롯쿠스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200334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334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511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511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22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selective application of impact or pressure on a printing material or impression-transfer material
    • B41J2/22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selective application of impact or pressure on a printing material or impression-transfer material ballistic, e.g. using solid balls or pell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22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selective application of impact or pressure on a printing material or impression-transfer material
    • B41J2/23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selective application of impact or pressure on a printing material or impression-transfer material using print wires
    • B41J2/235Print head assemblies
    • B41J2/245Print head assemblies line printer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22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selective application of impact or pressure on a printing material or impression-transfer material
    • B41J2/23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selective application of impact or pressure on a printing material or impression-transfer material using print wires
    • B41J2/235Print head assemblies
    • B41J2/25Print wi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22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selective application of impact or pressure on a printing material or impression-transfer material
    • B41J2/23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selective application of impact or pressure on a printing material or impression-transfer material using print wires
    • B41J2/27Actuators for print wires
    • B41J2/28Actuators for print wires of spring charge type, i.e. with mechanical power under electro-magnetic control

Landscapes

  • Impact Prin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판 스프링에 대하여 보다 정밀도 좋게 위치 결정할 수 있는 핀 부재를 갖는 도트 프린터용 인쇄 헤드의 제공을 과제로 한다.
선단부(6a)에 핀 부재(5)가 설치된 탄성 변형 가능한 판 스프링(6)과, 이 판 스프링(6)의 선단부(6a)를 소정 방향으로 순간적으로 변위시키는 변위 기구(7)를 구비하고, 핀 부재(5)를 세로 방향으로 반송 가능한 용지(C)에 대하여 잉크 리본(3)을 거쳐서 충돌 타격시킴으로써 도트 단위로 인쇄를 행하도록 구성된 도트 프린터용 인쇄 헤드(2)로써, 핀 부재(5)는 판 스프링(6)에 고정 부착된 보유 지지대(36)와, 이 보유 지지대(36)에 보유 지지되어 잉크 리본(3)과 접촉하는 구형체(35)로 이루어진다.
인쇄 헤드, 잉크 리본, 핀 부재, 변이 기구, 구형체, 보유 지지대, 오목부, 충돌 타격 부재

Description

도트 프린터용 인쇄 헤드, 그를 구비한 도트 프린터 및 도트 프린터용 인쇄 헤드의 제조 방법{Printing Head for Dot Printer, Dot Printer Having Thereof, Manufacturing Method of Printing Head for Dot Printer}
도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도트 프린터용 인쇄 헤드의 개략 구성도.
도2는 판 스프링 및 기체부를 도시하고, (a)는 평면도, (b)는 (a)의 B-B 화살 표시도.
도3은 제3 요오크의 사시도.
도4는 보유 지지대에 대한 구형체의 고정 부착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5는 다른 보유 지지대에 있어서의 오목부의 형성 위치를 도시한 도면.
도6은 판 스프링에 대한 보유 지지대의 부착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7은 구형체 및 보유 지지대의 사시도.
도8은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인쇄 헤드의 구형체 및 보유 지지대를 도시한 도면.
도9는 구형체 및 보유 지지대의 사시도.
도10은 다른 구형체에 있어서의 절삭 형태를 도시한 도면.
도11은 종래의 도트 프린터의 개략 모식도.
도12는 종래의 도트 프린터용 인쇄 헤드의 개략 구성도.
도13은 종래의 판 스프링 및 기체부를 도시하고, (a)는 평면도, (b)는 (a)의 b-b 화살 표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인쇄 헤드
3 : 잉크 리본
5 : 핀 부재
7 : 변이 기구
35 : 구형체
36 : 보유 지지대
37 : 오목부
41 : 충돌 타격 부재
C : 용지
본 발명은 도트 프린터용 인쇄 헤드, 그를 구비한 도트 프린터 및 도트 프린터용 인쇄 헤드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프린터에 있어서는 용지 및 잉크 리본에 대하여 기계적인 충격을 부여함으로써 인쇄를 행하는 충격형인 것이 보급되어 있다. 충격형에는 활자를 그 대로 박아 넣는 활자 방식과, 문자나 도형 등을 도트(화소)의 집합으로 표현하는 도트 매트릭스 방식이 있다.
도11은 도트 매트릭스 방식의 프린터에 있어서의 개략 모식도이다. 이 프린터는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플라텐(1)에 대향하여 잉크 리본(3)을 거쳐서 인쇄 헤드(2)가 배치되어 있다. 잉크 리본(3)은 잉크 리본 카세트(4)로부터 공급되고, 플라텐(1)과 잉크 리본(3) 사이에는 용지(C)가 삽입 지지되어 있다. 용지(C)는 플라텐(1)의 회전에 의해 상하 방향(이하,「Y 방향」이라 함)으로 반송된다. 또한 인쇄 헤드(2) 및 잉크 리본 카세트(4)는 용지의 반송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이하, 「X 방향」이라 함)으로 도시하지 않은 스테핑 모터에 의해 왕복 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 인쇄 헤드(2)는, 도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용지(C) 및 잉크 리본(3)을 충돌 타격하기 위한 복수의 핀 부재(50)를 가지고 있으며, 각 핀 부재(50)는 탄성 변형 가능한 판 스프링(6)에 고정 부착되어 있다. 핀 부재(50)는 막대 형상의 초경 와이어로 이루어지며, 예를 들어 직경이 약 0.2㎜, 길이가 약 3㎜로 설정되어 있다. 핀 부재(50)는 그 기단부가 판 스프링(6)에 대해, 예를 들어 은 납땜하여 고정 부착되어 있다
판 스프링(6)은, 도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평판형 기체부(8)의 일단부면(8a)으로부터 복수개 연장되어 있으며, X 방향에 대하여 병렬로 배치되어 있다. 각 판 스프링(6)에 있어서의 각 핀 부재(50)는 Y 방향에 있어서 인쇄 해상도에 따른 도트 피치로 다른 핀 부재(50)와 상대적으로 어긋나 있다.
상기 기체부(8)는 제1 요우크(11)에 지지되어 있다. 제1 요오크(11)는 제2 요우크(12)에 체결 부착되어 있으며, 제2 요우크(12)는 영구 자석(24)을 거쳐서 제3 요우크(13)를 지지하고 있다. 제3 요우크(13)에는 각 판 스프링(6)에 대응한 복수의 코일(14)이 권취되어 있다. 그리고, 제3 요우크(13)의 일단부(13a)는 판 스프링(6)과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 도면 중, 부호 28은 코일(14)을 권취하기 위한 보빈, 부호 30은 코일(14)에 전류를 흘리기 위한 플린트 기판, 부호 31은 커넥터, 부호 33은 방열 핀을 각각 도시한다.
이 구성에 따르면, 영구 자석(24), 제2 요우크(12), 제1 요우크(11), 판 스프링(6) 및 제3 요우크(13)에 있어서 자기 회로가 구성되고, 판 스프링(6)은 통상 영구 자석(24)의 흡인력에 의해 탄성적으로 휘게 되어, 제3 요우크(13)의 일단부(13a)에 접촉한, 혹은 미소 간격 벗어난 상태로 되어 있다. 이 경우, 프린트 기판(30)으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의해 코일(14)에 선택적으로 전류가 흐르게 되면, 영구 자석(24)에 의한 흡인력이 상쇄되고, 판 스프링(6)은 그 탄성 복귀력에 의해 플라텐(1) 측으로 향하게 해 변이한다. 이로써, 핀 부재(50)는 용지(C) 및 잉크 리본(3)에 충돌 타격이 가해져, 그 결과 잉크 리본(3)의 잉크가 용지에 부착되어 용지에 인쇄가 이루어진다.
판 스프링(6)의 각 핀 부재(50)는 상술한 바와 같이 Y 방향에 있어서 인쇄 해상도에 따른 도트 피치로 어긋나 있으며, 이 경우 예를 들어 핀 부재(50)가 12개라 하면, 인쇄 헤드(2)가 X 방향으로 편도 이동한 경우, Y 방향에 있어서 12 도트분이 인쇄되게 되어, 이로써 인쇄의 효율화를 도모할 수 있다.
그런데, 상기 도트 매트릭스 방식이 이용되는 프린터에서는 예를 들어 160dpi(Dot Per Inch)나 180dpi 등의 인쇄 해상도에서 인쇄가 가능해지고 있다. 통상, X 방향에 있어서는 인쇄 헤드(2)를 이동 제어함으로써, 상기 인쇄 해상도로 인쇄할 수 있다. 한편, Y 방향에 있어서는 핀 부재(50)가 인쇄 해상도의 도트 피치에 따라서 어긋나게 설치되어 있으므로, 상기 인쇄 해상도를 실현하기 위해서는 핀 부재(50)의 위치 정밀도를 높일 필요가 있다. 즉, 핀 부재(50)를 판 스프링(6)에 대하여 정밀도 좋게 위치 결정할 필요가 있다.
종래의 인쇄 헤드(2)에서는 핀 부재(50)로서 미세한 초경 와이어를 판 스프링(6)에 납땜하여 고정 부착하고 있지만, 이 방법에서는 인쇄 해상도에 따른 미소한 도트 피치에 대하여, 핀 부재(50)의 위치 정밀도를 내는 것이 곤란하며, 작업성에 문제가 있다. 그로 인해, 많은 작업 시간을 허비하고 있었다. 또, 일반적으로 상기 초경 와이어는 고가이며, 종래의 핀 부재(50)는 부품 비용을 증대시키는 한가지 원인이 되고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 하에서 고안된 것으로, 판 스프링에 대하여 보다 정밀도 좋게 위치 결정할 수 있는 핀 부재를 갖는 도트 프린터용 인쇄 헤드를 제공하는 것을 그 과제로 한다. 또한, 이 도트 프린터용 인쇄 헤드를 구비한 도프 프린터 및 도프 프린터용 인쇄 헤드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과제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다음의 기술적 수단을 강구하고 있다.
본 발명의 제1 측에 의해 제공되는 도트 프린터용 인쇄 헤드는 선단부에 핀 부재가 설치된 탄성 변형 가능한 판 스프링과, 이 판 스프링을 소정 방향으로 또한 순간적으로 변이시키는 변이 수단을 구비하고, 핀 부재를 세로 방향으로 반송 가능한 용지에 대하여 잉크 공급 부재를 거쳐서 충돌 타격시킴으로써 도트 단위로 인쇄를 행하도록 구성된 도트 프린터용 인쇄 헤드로써, 핀 부재는 판 스프링에 고정 부착된 보유 지지대와, 이 보유 지지대에 보유 지지되어 잉크 공급 부재와 접촉하는 구형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보유 지지대의 선단부면에는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오목부의 내면에 구형체가 고정 부착되어 있다. 또한, 오목부의 내면은 테이퍼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구성에 따르면, 용지 및 잉크 리본을 충돌 타격하기 위한 핀 부재는 구형체와 그를 보유 지지하는 보유 지지대로 이루어지며, 보유 지지대에 형성된 오목부의 내면에 구형체가 고정 부착되어 구성되므로, 용지 등을 충돌 타격하는 구형체의 위치를 확실하게 특정할 수 있다. 이 경우, 보유 지지대의 선단부면에 있어서, 오목부는 예를 들어 정밀 기계 가공 장치 등에 의해 비교적 정밀도 좋게 적당한 부위에 형성할 수 있으므로, 그 오목부에 고정 부착되는 구형체도 고정밀도로 위치 결정할 수 있다. 그로 인해, 판 스프링에 대한 구형체의 상대 위치를 원하는 위치로 설정할 수 있어 용지 상의 정확한 위치에 도트를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판 스프링은 용지의 반송 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에 따라서 복수개 병렬로 배치되어 있으며, 각 오목부는 판 스프링마다 인쇄 해상도의 도트 피치에 따라서 용지의 반송 방향으로 소정량 어긋나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구성에 따르면, 구형체가 고정 부착된 오목부는 적절한 부위에 형성하는 것이 용이하므로, 판 스프링마다 보유 지지대의 선단부면에 있어서 오목부를 소정량 늦추어 형성할 수 있다. 그로 인해, 오목부에 고정 부착되는 구형체도 이와 함께 소정량 어긋나게 해 배치할 수 있고, 이로써 각 구형체를 인쇄 해상도의 도트 피치에 따른 용지 등에 충돌 타격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측면에 의해 제공되는 인쇄 헤드는 선단부에 핀 부재가 설치된 탄성 변형 가능한 판 스프링과, 이 판 스프링을 소정 방향으로 또한 순간적으로 변이시키는 변이 수단을 구비하고, 핀 부재를 세로 방향으로 반송 가능한 용지에 대하여 잉크 공급 부재를 거쳐서 충돌 타격시킴으로써 도트 단위로 인쇄를 행하도록 구성된 도트 프린터용 인쇄 헤드로써, 핀 부재는 판 스프링 고정 부착되고, 또한 선단부면에 오목부가 형성된 보유 지지대와, 이 보유 지지대의 오목부에 보유 지지된 충돌 타격 부재로 이루어지고, 충돌 타격 부재는 구형체의 일부를 잘라 낸 형태를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는 오목부의 내면은 테이퍼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구성에 따르면, 보유 지지대에 형성된 오목부의 내면에 충돌 타격 부재가 고정 부착되어 있으므로, 충돌 타격 부재의 위치를 확실하게 특정할 수 있다. 그리고, 충돌 타격 부재는 구형체의 일부가 예를 들어 정밀 기계 가공 장치 등에 의해 비교적 정밀도 좋게 잘라 냄으로써 형성되어 있으므로, 용지 등을 충돌 타격하 는 충돌 타격점을 고정밀도로 위치 결정할 수 있다. 그로 인해, 용지 상의 정확한 위치에 도트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판 스프링은 용지의 반송 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에 따라 복수개 병렬로 배치되어 있으며, 각 충돌 타격 부재는 판 스프링마다 충돌 타격 부재에 있어서의 잉크 공급 부재와의 접촉부가 인쇄 해상도의 도트 피치에 따라서 용지의 반송 방향으로 소정량 벗어나도록, 그 일부가 잘라 내어져 있다.
이 구성에 따르면, 충돌 타격 부재를 잘라 내어 잉크 공급 부재와의 접촉부를 형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판 스프링마다 인쇄 해상도에 따른 도트 피치만큼 어긋날 수 있으므로, 각 충돌 타격 부재를 인쇄 해상도의 도트 피치에 따라서 용지 등에 충돌 타격시킬 수 있다. 또한, 충돌 타격 부재는 구형체를 예를 들어 정밀 기계 가공 장치를 이용하여 직접 잘라 내므로, 충돌 타격 부재에 있어서의 충돌 타격점의 위치 정밀도를 보다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 측면에 의해 제공되는 도트 프린터는 본 발명의 제1 측면에 의해 제공되는 인쇄 헤드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으며, 도트 프린터에 따르면, 본원의 제1 및 제2 측면에 관한 인쇄 헤드에 있어서의 작용 효과와 동일한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4 측면에 의해 제공되는 도트 프린터의 인쇄 헤드의 제조 방법은 탄성 변형 가능한 판 스프링의 선단부에 핀 부재를 설치하고, 이 판 스프링을 소정 방향으로 또한 순간적으로 변이시켜 핀 부재를 용지에 대하여 잉크 공급 부재 를 거쳐서 충돌 타격시킴으로써 도트 단위로 인쇄를 행하도록 구성된 도트 프린터용 인쇄 헤드의 제조 방법으로써, 핀 부재의 제작에 있어서는 판 스프링의 선단부에 보유 지지대를 부착한 후, 보유 지지대의 선단부면에 있어서의 특정 위치에 오목부를 형성하는 공정과, 보유 지지대의 선단부면에 형성된 오목부에 구형체를 고정 부착하는 공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 제조 방법에 따르면, 오목부의 형성은 보유 지지대를 판 스프링에 부착하고 나서 행할 수 있으므로, 예를 들어 인쇄 해상도가 다른 인쇄 헤드를 제작하는 경우, 보유 지지대를 판 스프링에 부착하기 까지의 제작을 동일한 공정으로 행할 수 있다. 또한, 오목부는 예를 들어 정밀 기계 가공 장치로 정밀도 좋게 형성할 수 있으므로, 보유 지지대의 판 스프링에 대한 부착 정밀도는 특별히 필요로 하지 않는다. 그로 인해, 제작 작업을 효율적으로 행할 수 있다. 또한, 인쇄 해상도가 다른 인쇄 헤드를 제작하는 경우, 부품을 공통적으로 사용할 수 있어 부품 비용의 증대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핀 부재의 제작에 있어서는 선단부면에 오목부가 형성된 보유 지지대를 판 스프링의 선단부에 부착하는 공정과, 보유 지지대의 선단부면에 형성된 오목부에 구형체를 고정 부착하는 공정과, 구형체에 있어서의 잉크 공급 부재와의 접촉부를 형성하기 위해, 구형체의 일부를 절삭하여 충돌 타격 부재로 하는 공정을 갖는 방법으로 해도 좋다. 혹은 선단부면에 오목부가 형성된 보유 지지대를 판 스프링의 선단부에 부착하는 공정 대신에, 판 스프링의 선단부에 보유 지지대를 부착한 후, 보유 지지대의 선단부면에 오목부를 형성하는 공정을 갖도록 해도 좋다.
상기 제조 방법에 따르면, 구형체를 절삭하는 작업은 보유 지지대를 판 스프링에 부착하고 나서 행할 수 있으므로, 예를 들어 인쇄 해상도가 다른 인쇄 헤드를 제작하는 경우, 보유 지지대를 판 스프링에 부착하기 까지의 제작을 같은 공정으로 행할 수 있다. 그로 인해, 제작 작업을 효율적으로 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그 밖의 특징 및 이점은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이하에 행하는 상세한 설명에 의해 보다 명백해 질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이하에서는 종래의 구성에서 설명한 도11을 다시 참조하여 도트 프린터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제1 실시 형태>
도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인쇄 헤드가 적용되는 도트 프린터의 일예를 도시한 개략 구성도이다. 이 도트 프린터에서는 도1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플라텐(1)에 대향하여 인쇄 헤드(2)가 배치되어 있다. 인쇄 헤드(2)의 근방에는 그를 둘러싸도록 잉크 리본(3)을 공급하는 잉크 리본 카세트(4)가 설치되고, 잉크 리본(3)은 플라텐(1)과 인쇄 헤드(2) 사이에 개재하도록 배치된다. 플라텐(1)과 잉크 리본(3) 사이에는 용지(C)가 삽입 지지되고, 용지(C)는 플라텐(1)의 회전에 의해 상하 방향(이하,「Y 방향」이라 함)으로 반송된다. 또한, 인쇄 헤드(2) 및 잉크 리본 카세트(4)는 용지(C)의 반송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이하,「X 방향」이라 함)으로, 도시하지 않은 스텝핑 모터에 의해 왕복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인쇄 헤드(2)는 용지(C) 및 잉크 리본(3)에 대하여 도트 단위로 충돌 타격하기 위한 복수의 핀 부재(5)를 설치한 복수의 판 스프링(6)과, 이들 판 스프링(6)을 순간적으로 변이시키는 변이 기구(7)에 의해 대략 구성되어 있다.
판 스프링(6)은 예를 들어 SK재로 이루어지며,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탄성 변형 가능한 바와 같이 대략 평판형 기체부(8)의 일단부면(8a)으로부터 연장 설치되어 있다. 판 스프링(6)은 복수개(이 도면에서는 12개) 설치되고, 각 판 스프링(6)은 기체부(8)에 대하여 등간격(예를 들어 약 4.445㎜ 피치)으로 배치되어 있다. 기체부(8)의 일단부면(8a)은 다소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으며, X 방향에 있어서 판 스프링(6)의 높이가 다르도록 되어 있다. 기체부(8)에는 부착 구멍(8b, 8c)이 형성되어 있다.
변이 기구(7)는 상기 판 스프링(6)이 연장 설치된 기체부(8)를 지지하기 위한 제1 요우크(11)와, 영구 자석을 지지하는 제2 요우크(12)와, 판 스프링(6)에 대하여 자기적으로 작용하는 제3 요우크(코일 요우크)(13)와, 각 판 스프링(6)에 대응하여 보빈(28)을 거쳐서 제3 요우크(13)에 권취된 복수개의 코일(14)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제1 요우크(11)는 대략 평판형의 자성체로 이루어지며, Y 방향에 따라서 배치되어 있다. 제1 요우크(11)는 그 표면에 오목부(16)가 형성되어 있고, 오목부(16)의 상부에는 관통 구멍(17)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판 스프링(6)은 전체가 오목부(16)에 따르도록, 또한 핀 부재(5)가 용지(C) 등을 충돌 타격한 때에 관통 구멍(17)을 핀 부재(5)가 통과하도록 배치된다. 제1 요우크(11)는 기체부(8) 와 함께 볼트(18)에 의해 제2 요우크(12)에 체결되어 있다.
제2 요우크(12)는 제1 요우크(11)와 마찬가지로 자성체로 이루어지며, 제1 요우크(11)의 표면에 따라서 연장된 부착면부(20)와, 부착면부(20)의 일단부로부터 경사 상방으로 연장된 경사면부(21)와, 경사면부(21)의 일단부로부터 부착면부(20)에 대하여 직교 방향으로 연장된 수평면부(22)를 가지고 있다. 제2 요우크(12)의 수평면부(22)의 상면에는 영구 자석(24)을 거쳐서 제3 요우크(13)가 설치되어 있다.
제3 요우크(13)는 제1 및 제2 요우크(11, 12)와 마찬가지로 자성체로 이루어지며,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평판형의 베이스부(26)와 이 베이스부(26)의 일단부면(26a)으로부터 빗살형으로 연장되어, 상기 각 판 스프링(6)에 대응한 복수의 돌기부(27)로 이루어진다. 제3 요우크(13)는 그 베이스부(26)의 하면이 영구 자석(24)에 접촉하는 동시에, 돌기부(27)의 선단부(27a)의 일부가 상기한 판 스프링(6)과 접촉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복수의 돌기부(27)에는 각 판 스프링(6)에 대응한 복수의 코일(14)이 권취된 보빈(28)이 각각 부착되어 있다.
코일(14)은 그 양단부가 코일(4)에 전류를 흘리기 위한 전기 회로가 형성된 플린트 기판(30)에 접속되어 있다. 프린트 기판(30)에는 도시하지 않은 제어 장치와 외부 신호를 주고 받기 위한 커넥터(3)가 배치되어 있다. 프린트 기판(30)에는 스페이서(32)를 거쳐서 방열 핀(33)이 부착되고 있다. 방열 핀(33)은 코일(4)에 축적되는 열을 방열하기 위한 것이며, 그 일부가 코일(14)에 접착되어 있다.
상기 구성에 따르면, 영구 자석(24), 제2 요우크(12), 제1 요우크(11), 판 스프링(6) 및 제3 요우크(13)에 있어서 자기 회로가 형성된다. 즉, 판 스프링(6)은 통상 상태에서 영구 자석(24)의 흡인력에 의해 제3 요우크(13)로 향하게 해 탄성적으로 휘게 되어 있으며, 판 스프링(6)의 이면이 돌기부(27)의 일단부면(27a)의 일부와 접촉하고, 혹은 소정 간격 떨어져 보유 지지된다(이하, 이 상태를「리셋 상태」라 함).
도시하지 않은 제어 장치로부터 플린트 기판(30)에 대하여 제어 신호가 이송되면, 인쇄 기판(30)은 어느 하나의 코일(14)에 선택적으로 전류를 흘린다. 이로써, 전류가 흐르게 된 코일(14)에 대응하는 판 스프링(6)에 있어서는 제2 요우크(12)에 의한 영구 자석(24)의 흡인력이 상쇄된다. 그 결과, 판 스프링(6)은 리셋 상태가 해제되어 그 탄성 복귀력에 의해 용지(C)로 향하게 해 순간적으로 변이하고, 용지(C) 및 잉크 리본(3)을 충돌 타격한다. 이로써, 잉크 리본(3)의 잉크가 용지(C) 부착되어 용지(C)에 인쇄가 이루어진다.
다음에, 본 실시 형태의 특징 부분인 핀 부재(5)에 대해 설명하면, 상기 판 스프링(6)의 선단부(6a)에 고정 부착되는 핀 부재(5)는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판 스프링(6)에 고정 부착된 보유 지지대(36)와, 이 보유 지지대(36)에 보유 지지되어 잉크 리본(3)과 접촉하는 구형체(35)로 이루어진다. 보유 지지대(36)는 판 스프링(6)과 마찬가지로 SK재로 이루어지며, 선단부를 절결한 대략 원추 형상을 가지고 있다. 보유 지지대(36)는 그 기단부가 판 스프링(6)에 고정 부착되어 판 스프링(6)에 대하여 대략 직교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보유 지지대(36)의 선단부면(36a)에는 대략 원추형의 오목부(37)가 형성되어 있다. 오목부(37)는 소정의 크기를 갖는 구형체(35)가 고정 부착되기 쉽도록, 그 내면(37a)이 테이퍼형이 되고, 그 확개 각도(A)가 약 90 내지 120°로 설정되어 있다. 이 오목부(37)는 예를 들어 정밀 기계 가공 장치를 이용하여 정밀도 좋게 형성된다.
구형체(35)는 예를 들어 텅스텐 카바이트 94%, 코발트 6% 등의 재료 조성으로 이루어지는 저렴한 초경 볼이며, 직경이 약 0.3 내지 0.4㎜가 되어 적합하게는 약 0.4㎜인 것이 이용된다.
상기 보유 지지대(36)의 오목부(37)에는 그 내면(37a)의 일부에 구형체(35)가 고정 부착되어 있다. 구형체(35)의 정상점(35a)은 핀 부재(5)의 용지(C) 등에 대한 충돌 타격점이 되므로, 구형체(35)가 오목부(37)에 고정 부착된 상태에서는 적어도 구형체(35)의 정상점(35a)이 오목부(37)로부터 돌출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용지(C) 및 잉크 리본(3)을 충돌 타격하기 위한 핀 부재(5)가 구형체(35)와 그를 보유 지지하는 보유 지지대(36)로 이루어지며, 보유 지지대(36)에 형성된 오목부(37)의 내면(37a)에 구형체(35)가 고정 부착되어 있으므로, 잉크 리본(3) 등을 충돌 타격하는 구형체(35)의 위치를 확실하게 특정할 수 있다. 이 경우, 보유 지지대(36)의 선단부면(36a)에 있어서, 오목부(35)는 예를 들어 머시닝 센터 등의 정밀 기계 가공 장치에 의해 비교적 정밀도 좋게 적절한 부위에 형성할 수 있으므로, 구형체(35)를 고정밀도로 위치 결정할 수 있다. 그로 인해, 판 스프링(6)에 대한 구형체(35)의 상대 위치를 원하는 위치로 설정할 수 있어 용지(C) 상의 정확한 위치에 도트를 형성할 수 있다.
보유 지지대(36)의 선단부면(36a)에 형식되는 오목부(37)는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인접하는 보유 지지대(36)의 오목부(37)에 대하여 Y 방향에 있어서 소정량 어긋나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소정량은 Y 방향에 있어서의 인쇄 해상도의 도트 피치(P)에 대응하고 있다. 그로 인해, 구형체(35)의 정상점(35a)의 위치는 인접하는 구형체(35)의 정상점(35a)의 위치와 Y 방향에 있어서 도트 피치(P)분만큼 어긋나게 된다.
예를 들어, 이 인쇄 헤드(2)를 160dpi의 인쇄 해상도로 사용하는 경우, 도트 피치(P)는 25.4㎜(1 인치)/160dpi에 의해 구하게 되어 약 0.1588㎜가 된다. 오목부(37)는 인접하는 보유 지지대(36)에 대하여, Y 방향에 있어서 약 0.1588㎜ 어긋나게 형성된다. 그로 인해, 각 구형체(35)의 정상점(35a)은 Y 방향에 있어서 인접하는 구형체(35)의 정상점(35a)과, 약 0.1588㎜의 차이만큼 어긋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오목부(37)는 비교적 용이하게 적절한 부위에 형성 가능하므로, 각 보유 지지대(37)의 선단부면(37a)에 있어서 오목부(37)를 정밀도 좋게 어긋나게 하여 형성할 수 있다. 그로 인해, 각 구형체(35)의 정상점(35a)을 판 스프링(6)마다 소정량 어긋나게 할 수 있고, 이로써 각 구형체(35)를 인쇄 해상도의 도트 피치에 따라서 용지(C) 등에 충돌 타격시킬 수 있다. 따라서, 인쇄 품질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 보유 지지대(36)의 선단부면(36a)에는 그에 형성되는 상기 오목부(37) 대신에, 구형체(35)의 직경과 대략 동일한 직경을 갖는 반구 형상의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어도 좋고, 혹은 구형체(35)의 직경과 대략 동일한 한 변을 갖는 대략 직사 각 형상의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이와 같이, 보유 지지대(36)의 선단부면(36a)의 형상은 구형체(35)를 고정 부착할 수 있고, 또한 구형체(35)의 정상점(35a)을 돌출시킬 수 있는 형상이면,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음에, 상기 핀 부재(5)의 판 스프링(6)에 대한 부착 방법 및 오목부(37)의 형성 방법을 설명한다. 우선, 각 판 스프링(6)의 선단부(6a)에 선단부면(36a)이 가공되어 있지 않은 보유 지지대(36)를 코오킹하여 고정 부착한다. 상세하게는 도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판 스프링(6)의 선단부(6a)에 형성된, 그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부착 구멍(6b)에 보유 지지대(36)의 기단부에 형성된 부착부(36b)를 삽입하여, 부착부(36b)의 선단부을 코오킹함으로써, 보유 지지석(36)가 판 스프링(6)에 고정 부착된다.
계속해서, 보유 지지대(36)의 선단부면(36a)에 머시닝 센터 등의 정밀 기계 가공 장치에 의해 오목부(37)를 형성한다. 이 경우, 오목부(37)는 그에 고정 부착되는 구형체(35)의 정상점(35a)이 인접하는 구형체(35)의 정상점(35a)과, Y 방향에 있어서 인쇄 해상도에 따른 도트 피치(P)분 만큼 어긋나도록 형성된다.
구체적으로는, 기체부(8) 상의, 예를 들어 부착 구멍(8b)의 중심점에 기준점(Q)(도2 참조)을 설정한다. 이 기준점(Q)에 의거하여, 예를 들어 가장 좌측단부에 있는 판 스프링(6)에 있어서의 오목부(37)의 형성 위치를 설정하고, 그 형성 위치에 따라서 보유 지지대(36)의 선단부면(36a)에 오목부(37)를 형성한다.
계속해서, 상기 판 스프링(6)의 우측의 판 스프링(6)에 있어서의 오목부(37)의 형성 위치를 설정한다. 구체적으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인쇄 해상도가 16Odpi 인 경우, 각 오목부(37)의 형성 위치는 인접한 판 스프링(6)에 있어서의 오목부(37)의 형성 위치와, Y 방향에 있어서 약 0.1588㎜의 차이가 나도록 설정한다. 그리고, 그에 따라서 인접한 보유 지지대(36)의 선단부면(36a)에 오목부(37)를 형성한다. 이와 같이 하여, 우측단부에 있는 판 스프링(6)까지 형성 위치가 어긋나도록 오목부(37)를 형성한다. 또, X 방향에 있어서의 오목부(37)의 형성 위치는 각 판 스프링(6)의 형성 피치와 일치시키고, 예를 들어 4.445㎜마다 오목부(37)를 형성한다.
그 후, 도7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보유 지지대(36)의 오목부(37)에 구형체(35)를 적재하여, 예를 들어 저항 용접 등의 방법을 이용하여 각 보유 지지대(36)에 구형체(35)를 고정 부착한다.
이와 같이 하여, 각 보유 지지대(36)에 있어서 오목부(37)를 Y 방향에 있어서 어긋나게 형성하면, 각 구형체(35)를 인쇄 해상도에 따른 도트 피치(P)와 일치시켜 배치할 수 있다. 그로 인해, 도시하지 않은 스텝핑 모터의 구동에 의해 인쇄 헤드(2)가 X 방향에 따라서 편도 이동되면, Y 방향에 있어서 12 도트만큼이 인쇄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는 구형체(35)가 고정 부착되는 오목부(37)를 정밀 기계 가공 장치 등에 의해 적절한 부위에 형성하는 것이 용이하므로, 인접하는 보유 지지대(36)의 선단부면(36a)에 있어서, 오목부(37)를 정밀도 좋게 어긋나게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이 인쇄 헤드(2)를 예를 들어 다른 인쇄 해상도로 제작하는 경우, 그 인쇄 해상도에 용이하게 대응 가능해진다. 예를 들어, 인쇄 해상 도를 180dpi로서 사용하는 경우는 도트 피치는 25.4㎜(1 인치)/l80dpi에 의해 구하게 되어, 약 0.1411㎜가 된다. 각 구형체(35)의 정상점(35a)은 인접하는 구형체(35)의 정상점(35a)과 약 0.1411㎜ 어긋나도록 각 오목부(37)를 형성하면 좋다.
또한, 오목부(37)의 형성은 보유 지지대(36)를 판 스프링(6)에 부착하고 나서 행할 수 있으므로, 인쇄 해상도가 다르더라도 보유 지지대(36)를 판 스프링(6)에 부착하기 까지의 제작을 같은 공정으로 행할 수 있다. 또한, 보유 지지대(36)의 판 스프링(6)에 대한 부착 정밀도는 특별히 필요하지 않게 된다. 그로 인해, 제작 작업을 효율적으로 행할 수 있다. 또한, 인쇄 해상도가 달라도 부품을 공통적으로 사용할 수 있어 부품 비용의 증대를 억제할 수 있다.
또, 도2에 있어서 각 판 스프링(6)은 기체부(8)의 경사진 일단부면(8a)으로부터 연장되어 있으므로, 보유 지지대(36)의 Y 방향에 있어서의 위치가 실질적으로 어긋나 있지만, 각 보유 지지대(36)의 선단부면(36a)의 면적이 오목부(37)의 Y 방향에 있어서의 어긋남을 허용할 수 있는 것이면, 기체부(8)의 일단부면(8a)을 경사지지 않게 형성하도록 해도 좋다.
이와 같이 하면, 판 스프링(6) 단일 부재의 성형이 용이해지는 등의 이점이 있다.
<제2 실시 형태>
도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핀 부재(40)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 핀 부재(40)는 판 스프링(6)에 고정 부착되고, 또한 선단부면에 오목부(37)가 형성된 보유 지지대(3b)와, 이 보유 지지대(36)의 오목부(37)에 보유 지지된 충돌 타격 부재(41)로 이루어지며, 충돌 타격 부재(41)는 구형체의 일부를 잘라 낸 형태를 가지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충돌 타격 부재(41)는 구형체의 상반구의 주위면(41a)이 절결되어 상반구가 만곡을 갖는 대략 산형이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충돌 타격 부재(41)의 정상점(41b) 근방은 다른 판 스프링(6)에 있어서의 각 충돌 타격 부재(41)의 높이를 구비할 목적으로 수평 방향에 따라서 절삭되어 절삭면(41c)이 형성되어 있다. 이 절삭면(41c)이 잉크 리본(3)에 대한 접촉부가 된다. 그 밖의 구성에 대해서는 상기 제1 실시 형태의 구성과 대략 마찬가지이다.
여기에서, 보유 지지대(36)에 대한 충돌 타격 부재(41)가 부착 방법 및 충돌 타격 부재(41)의 절삭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9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판 스프링(6)의 선단부(6a)에 보유 지지대(36)를 코오킹하여 고정 부착한다. 계속해서, 보유 지지대(36)의 선단부면(36a)에 머시닝 센터 등의 정밀 기계 가공 장치로 오목부(37)를 형성한다. 이 경우, 제1 실시 형태와는 달리 오목부(37)의 형성 위치에 있어서의 정밀도는 특별히 필요로 하지 않는다. 또, 보유 지지대(36)의 선단부면(36a)에 있어서, 오목부(37)를 형성한 후 보유 지지대(36)를 판 스프링(6)에 코오킹하여 고정 부착하도록 해도 좋다.
계속해서, 오목부(37)에 충돌 타격 부재(41)로서의 구형체를 적재하고, 예를 들어 저항 용접 등의 방법을 이용하여 구형체를 보유 지지대(36)에 고정 부착시킨다. 이 경우, 구형체는 후속 공정에서 절삭되므로, 제1 실시 형태에서 이용된 구 형체에 비해, 그 직경이 비교적 큰 것, 예를 들어 약 0.6 내지 0.8㎜인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적합하게는 약 0.6인 것이 이용된다.
이 상태에 있어서, 구형체의 상반구의 표면(41a)을 도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다이아몬드 지석의 절삭 공구를 구비한 정밀 기계 가공 장치를 이용하여 절삭한다. 이 경우, 대략 산형 부분의 직경(D)은 약 0.2㎜가 된다. 그 후, 구형체의 정상점(41b) 근방을 각 스프링(6)에 있어서의 각 구형체의 높이를 갖추기 위해 수평 방향에 따라서 절삭하여 절삭면(41c)을 형성한다.
그리고, 인접하는 판 스프링(6)에 있어서의 충돌 타격 부재(41)에 있어서는 도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인쇄 해상도에 따른 도트 피치(P)만큼 어긋나도록 충돌 타격 부재(41)의 상반구의 표면(41a)을 절삭한다. 이 결과, 각 판 스프링(6)에 있어서의 각 충돌 타격 부재(41)는 Y 방향에 있어서, 인쇄 해상도에 따른 도트 피치만큼 어긋나 용지(C) 등을 충돌 타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2 실시 형태에 따르면 구형체를 잘라 내어 잉크 리본(3)과의 접촉부를 형성할 수 있어, 이로써 판 스프링(6)마다 인쇄 해상도에 따른 도트 피치만큼 어긋나게 할 수 있다. 그로 인해, 각 충돌 타격 부재(41)를 판 스프링(6)마다 인쇄 해상도에 따른 도트 피치(P)만큼 어긋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작용 효과와 마찬가지인 효과를 갖는 동시에, 구형체를 예를 들어 정밀 기계 가공 장치를 이용하여 직접 절삭하므로, 충돌 타격 부재(41)의 충돌 타격점의 위치 정밀도를 보다 높일 수 있다.
물론, 본 발명의 범위는 상술한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부기란
(부기 1) 선단부에 핀 부재가 설치된 탄성 변형 가능한 판 스프링과, 이 판 스프링을 소정 방향으로 또한 순간적으로 변이시키는 변이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핀 부재를 세로 방향으로 반송 가능한 용지에 대하여 잉크 공급 부재를 거쳐서 충돌 타격시킴으로써 도트 단위로 인쇄를 행하도록 구성된 도트 프린터용 인쇄 헤드로써,
상기 핀 부재는 상기 판 스프링에 고정 부착된 보유 지지대와, 이 보유 지지대에 보유 지지되어 상기 잉크 공급 부재와 접촉하는 구형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트 프린터용 인쇄 헤드.
(부기 2) 상기 보유 지지대의 선단부면에는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오목부의 내면에 상기 구형체가 고정 부착된 부기 1에 기재된 도트 프린터용 인쇄 헤드.
(부기 3) 상기 오목부의 내면은 테이퍼형으로 형성된, 부기 2에 기재된 도트 프린터용 인쇄 헤드.
(부기 4) 상기 판 스프링은 상기 용지의 반송 방향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에 따라서 복수개 병렬로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각 오목부는 상기 판 스프링마다 인쇄 해상도의 도트 피치에 따라서 상기 용지의 반송 방향으로 소정량 어긋나게 형성되어 있는 부기 2 또는 3에 기재된 도트 프린터용 인쇄 헤드.
(부기 5) 상기 구형체의 직경은 0.3 내지 0.4㎜로 된 부기 1 내지 4 중 어느 한 부기에 기재된 도트 프린터용 인쇄 헤드.
(부기 6) 선단부에 핀 부재가 설치된 탄성 변형 가능한 판 스프링과, 이 판 스프링을 소정 방향으로 또한 순간적으로 변이시키는 변이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핀 부재를 세로 방향으로 반송 가능한 용지에 대해 잉크 공급 부재를 거쳐서 충돌 타격시킴으로써 도트 단위로 인쇄를 행하도록 구성된 도트 프린터용 인쇄 헤드로써,
상기 핀 부재는 상기 판 스프링에 고정 부착되고, 또한 선단부면에 오목부가 형성된 보유 지지대와, 이 보유 지지대의 상기 오목부에 보유 지지된 충돌 타격 부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충돌 타격 부재는 구형체의 일부를 잘라 낸 형태를 갖고 있는 것으로 특징으로 하는 도트 프린터용 인쇄 헤드.
(부기 7) 상기 오목부의 내면은 테이퍼형으로 형성된 부기 6에 기재된 도트 프린터용 인쇄 헤드.
(부기 8) 상기 판 스프링은 상기 용지의 반송 방향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에 따라서 복수개 병렬로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각 충돌 타격 부재는 상기 판 스프링마다 상기 충돌 타격 부재에 있어서의 상기 잉크 공급 부재와의 접촉부가 인쇄 해상도의 도트 피치에 따라서 상기 용지의 반송 방향으로 소정량 어긋나도록, 그 일부가 잘라 내어져 있는 부기 6 또는 7에 기재된 도트 프린터용 인쇄 헤드.
(부기 9) 상기 충돌 타격 부재의 직경은 0.6 내지 0.8㎜로 된, 부기 6 내지 8 중 어느 한 부기에 기재된 도트 프린터용 인쇄 헤드.
(부기 10) 부기 1 내지 7 중 어느 한 부기에 기재된 인쇄 헤드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트 프린터.
(부기 11) 탄성 변형 가능한 판 스프링의 선단부에 핀 부재를 설치하고, 이 판 스프링을 소정 방향으로 또한 순간적으로 변이시켜, 상기 핀 부재를 용지에 대해 잉크 공급 부재를 거쳐서 충돌 타격시킴으로써 도트 단위로 인쇄를 행하도록 구성된 도트 프린터용 인쇄 헤드의 제조 방법으로써,
상기 핀 부재의 제작에 있어서는
상기 판 스프링의 선단부에 보유 지지대를 부착한 후, 상기 보유 지지대의 선단부면에 있어서의 특정 위치에 오목부를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보유 지지대의 선단부면에 형성된 오목부에 상기 구형체를 고정 부착하는 공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트 프린터용 인쇄 헤드의 제조 방법.
(부기 12) 탄성 변형 가능한 판 스프링의 선단부에 핀 부재를 설치하고, 이 판 스프링을 소정 방향으로 또한 순간적으로 변이시켜, 상기 핀 부재를 용지에 대해 잉크 공급 부재를 거쳐서 충돌 타격시킴으로써 도트 단위로 인쇄를 행하도록 구성된 도트 프린터용 인쇄 헤드의 제조 방법으로써,
상기 핀 부재의 제작에 있어서는
선단부면에 오목부가 형성된 보유 지지대를 상기 판 스프링의 선단부에 부착하는 공정과,
상기 보유 지지대의 선단부면에 형성된 오목부에 상기 구형체를 고정 부착하 는 공정과,
상기 구형체에 있어서의 상기 잉크 공급 부재와의 접촉부를 형성하기 위해, 상기 구형체의 일부를 절삭하는 공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트 프린터용 인쇄 헤드의 제조 방법.
(부기 13) 탄성 변형 가능한 판 스프링의 선단부에 핀 부재를 설치하고, 이 판 스프링을 소정 방향으로 또한 순간적으로 변이시켜, 상기 핀 부재를 용지에 대해 잉크 공급 부재를 거쳐서 충돌 타격시킴으로써 도트 단위로 인쇄를 행하도록 구성된 도트 프린터용 인쇄 헤드의 제조 방법으로써,
상기 핀 부재의 제작에 있어서는
상기 판 스프링의 선단부에 보유 지지대를 부착한 후, 상기 보유 지지대의 선단부면에 오목부를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보유 지지대의 선단부면에 형성된 오목부에 상기 구형체를 고정 부착하는 공정과,
상기 구형체에 있어서의 상기 잉크 공급 부재와의 접촉부를 형성하기 위해, 상기 구형체의 일부를 절삭하는 공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트 프린터용 인쇄 헤드의 제조 방법.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용지 및 잉크 공급 부재를 충돌 타격하기 위한 핀 부재는 구형체와 그를 보유 지지하는 보유 지지대로 이루어지며, 보유 지지대에 형성되는 오목부의 내면에 구형체가 고정 부착되므로, 잉크 공급 부재 등을 충돌 타격하는 구형체의 위치를 확실하게 특정할 수 있다. 이 경우, 보유 지지대의 선단부면에 있어서, 오목부는 그 형성 위치를 비교적 정밀도 좋게 적절한 부위에 형성할 수 있으므로, 구형체를 고정밀도로 위치 결정할 수 있다. 그로 인해, 판 스프링에 대한 구형체의 상대 위치를 원하는 위치로 설정할 수 있어, 용지 상의 정확한 위치에 도트를 형성할 수 있다.

Claims (11)

  1. 선단부에 핀 부재가 설치된 탄성 변형 가능한 판 스프링과, 이 판 스프링을 소정 방향으로 또한 순간적으로 변이시키는 변이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핀 부재를 세로 방향으로 반송 가능한 용지에 대하여 잉크 공급 부재를 거쳐서 충돌 타격시킴으로써 도트 단위로 인쇄를 행하도록 구성된 도트 프린터용 인쇄 헤드로써,
    상기 핀 부재는 상기 판 스프링에 고정 부착된 보유 지지대와, 이 보유 지지대에 보유 지지되어 상기 잉크 공급 부재와 접촉하는 구형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트 프린터용 인쇄 헤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유 지지대의 선단부면에는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오목부의 내면에 상기 구형체가 고정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트 프린터용 인쇄 헤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의 내면은 테이퍼형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트 프린터용 인쇄 헤드.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판 스프링은 상기 용지의 반송 방향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에 따라서 복수개 병렬로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각 오목부는 상기 판 스프링마다 인쇄 해상도의 도트 피치에 따라서 상기 용지의 반송 방향으로 소정량 어긋나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트 프린터용 인쇄 헤드.
  5. 선단부에 핀 부재가 설치된 탄성 변형 가능한 판 스프링과, 이 판 스프링을 소정 방향으로 또한 순간적으로 변이시키는 변이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핀 부재를 세로 방향으로 반송 가능한 용지에 대해 잉크 공급 부재를 거쳐서 충돌 타격시킴으로써 도트 단위로 인쇄를 행하도록 구성된 도트 프린터용 인쇄 헤드로써,
    상기 핀 부재는 상기 판 스프링에 고정 부착되고, 또한 선단부면에 오목부가 형성된 보유 지지대와, 이 보유 지지대의 상기 오목부에 보유 지지된 충돌 타격 부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충돌 타격 부재는 구형체의 일부를 잘라 낸 형태를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트 프린터용 인쇄 헤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의 내면은 테이퍼형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트 프린터용 인쇄 헤드.
  7.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판 스프링은 상기 용지의 반송 방향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에 따라서 복수개 병렬로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각 충돌 타격 부재는 상기 판 스프링마다 상기 충돌 타격 부재에 있어 서의 상기 잉크 공급 부재와의 접촉부가 인쇄 해상도의 도트 피치에 따라서 상기 용지의 반송 방향으로 소정량 어긋나도록, 그 일부가 잘라 내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트 프린터용 인쇄 헤드.
  8. 제1항, 제2항, 제3항, 제5항 또는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인쇄 헤드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트 프린터.
  9. 탄성 변형 가능한 판 스프링의 선단부에 핀 부재를 설치하고, 이 판 스프링을 소정 방향으로 또한 순간적으로 변이시켜, 상기 핀 부재를 용지에 대해 잉크 공급 부재를 거쳐서 충돌 타격시킴으로써 도트 단위로 인쇄를 행하도록 구성된 도트 프린터용 인쇄 헤드의 제조 방법으로써,
    상기 핀 부재의 제작에 있어서는
    상기 판 스프링의 선단부에 보유 지지대를 부착한 후, 상기 보유 지지대의 선단부면에 있어서의 특정 위치에 오목부를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보유 지지대의 선단부면에 형성된 오목부에 상기 구형체를 고정 부착하는 공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트 프린터용 인쇄 헤드의 제조 방법.
  10. 탄성 변형 가능한 판 스프링의 선단부에 핀 부재를 설치하고, 이 판 스프링을 소정 방향으로 또한 순간적으로 변이시켜, 상기 핀 부재를 용지에 대해 잉크 공급 부재를 거쳐서 충돌 타격시킴으로써 도트 단위로 인쇄를 행하도록 구성된 도트 프린터용 인쇄 헤드의 제조 방법으로써,
    상기 핀 부재의 제작에 있어서는
    선단부면에 오목부가 형성된 보유 지지대를 상기 판 스프링의 선단부에 부착하는 공정과,
    상기 보유 지지대의 선단부면에 형성된 오목부에 상기 구형체를 고정 부착하는 공정과,
    상기 구형체에 있어서의 상기 잉크 공급 부재와의 접촉부를 형성하기 위해, 상기 구형체의 일부를 절삭하는 공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트 프린터용 인쇄 헤드의 제조 방법.
  11. 탄성 변형 가능한 판 스프링의 선단부에 핀 부재를 설치하고, 이 판 스프링을 소정 방향으로 또한 순간적으로 변이시켜, 상기 핀 부재를 용지에 대해 잉크 공급 부재를 거쳐서 충돌 타격시킴으로써 도트 단위로 인쇄를 행하도록 구성된 도트 프린터용 인쇄 헤드의 제조 방법으로써,
    상기 핀 부재의 제작에 있어서는
    상기 판 스프링의 선단부에 보유 지지대를 부착한 후, 상기 보유 지지대의 선단부면에 오목부를 형성하는 공정과,
    선단부면에 오목부가 형성된 보유 지지대를 상기 판 스프링의 선단부에 오목부를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보유 지지대의 선단부면에 형성된 오목부에 상기 구형체를 고정 부착하 는 공정과,
    상기 구형체에 있어서의 상기 잉크 공급 부재와의 접촉부를 형성하기 위해, 상기 구형체의 일부를 절삭하는 공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트 프린터용 인쇄 헤드의 제조 방법.
KR1020010016711A 2000-10-30 2001-03-30 도트 프린터용 인쇄 헤드, 그를 구비한 도트 프린터 및도트 프린터용 인쇄 헤드의 제조 방법 KR10065111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0330077A JP3534062B2 (ja) 2000-10-30 2000-10-30 ドットプリンタ用印字ヘッド、それを備えたドットプリンタ、およびドットプリンタ用印字ヘッドの製造方法
JP2000-330077 2000-10-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33490A KR20020033490A (ko) 2002-05-07
KR100651116B1 true KR100651116B1 (ko) 2006-11-29

Family

ID=188066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16711A KR100651116B1 (ko) 2000-10-30 2001-03-30 도트 프린터용 인쇄 헤드, 그를 구비한 도트 프린터 및도트 프린터용 인쇄 헤드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3534062B2 (ko)
KR (1) KR100651116B1 (ko)
CN (1) CN1278866C (ko)
TW (1) TW501987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076467B2 (ja) * 2006-12-01 2012-11-21 リコープリンティングシステムズ株式会社 ドットラインプリンタ
CN102173212B (zh) * 2011-02-12 2013-07-10 珠海天威飞马打印耗材有限公司 打击锤及打击锤组件
CN102555447A (zh) * 2011-12-22 2012-07-11 深圳中航信息科技产业股份有限公司 用于打印机的打印头散热结构
JP5749697B2 (ja) * 2012-08-29 2015-07-15 株式会社沖データ インパクトドットヘッド及び画像形成装置
CN104816471B (zh) * 2014-11-25 2018-02-16 广州航新航空科技股份有限公司 打印头组件以及带该打印头组件的打印机以及飞机用数据打印机
CN110696494B (zh) * 2019-10-29 2020-11-27 嘉兴市新中软计算机系统工程有限公司 一种针式打印机打印头
CN116714371B (zh) * 2023-08-10 2023-10-20 泉州医学高等专科学校 一种防卡纸财务凭证打印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278866C (zh) 2006-10-11
TW501987B (en) 2002-09-11
JP3534062B2 (ja) 2004-06-07
CN1350926A (zh) 2002-05-29
KR20020033490A (ko) 2002-05-07
JP2002127473A (ja) 2002-05-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929214A (en) Wire matrix ballistic impact print head
US4136978A (en) High speed electromagnetic printing head
US3994381A (en) Wire matrix print head
KR100651116B1 (ko) 도트 프린터용 인쇄 헤드, 그를 구비한 도트 프린터 및도트 프린터용 인쇄 헤드의 제조 방법
US5975776A (en) Dot matrix print head with unitary armature assembly and method of operation thereof
EP0425285B1 (en) Dot type printing head for use in a serial printer
US4503768A (en) Single piece hammer module
US4462705A (en) Cross hammer dot printer
EP0267720A2 (en) Flexible print wire guide for dot matrix printers
JP2847899B2 (ja) ドットラインプリンタの印字ヘッド
KR880001160B1 (ko) 인자헤드
US4134336A (en) Half-herringbone support for restricting sideways vibration of comb hammers
JP3565721B2 (ja) 積層型ワイヤドット印字ヘッド
JPH0732050Y2 (ja) ドットラインプリンタの印字ヘッド
JPS6339081Y2 (ko)
US20110164089A1 (en) Printing system and method
JPH10138531A (ja) ドットラインプリンタ
JPS58163674A (ja) 印字ヘツド用ガイドプレ−ト
JP2003231280A (ja) ラインプリンタ
JP5076467B2 (ja) ドットラインプリンタ
JPH0474188B2 (ko)
JPS61175050A (ja) 印字ハンマ装置
JPH05261944A (ja) ワイヤ印字ヘッドの製造方法
JPH06115105A (ja) インパクトドットヘッド
JPH06206323A (ja) 印字ヘッド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1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3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0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1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8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01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30

Year of fee payment: 14